KR100346114B1 - 폴리프로필렌계수지의 발포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폴리프로필렌계수지의 발포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6114B1
KR100346114B1 KR1020000017316A KR20000017316A KR100346114B1 KR 100346114 B1 KR100346114 B1 KR 100346114B1 KR 1020000017316 A KR1020000017316 A KR 1020000017316A KR 20000017316 A KR20000017316 A KR 20000017316A KR 100346114 B1 KR100346114 B1 KR 100346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rolls
sheet
polishing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7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6957A (ko
Inventor
이소영
Original Assignee
이소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소영 filed Critical 이소영
Priority to KR20200000094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5631Y1/ko
Priority to KR1020000017316A priority patent/KR100346114B1/ko
Publication of KR20000036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6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6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61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2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4/30Expanding the moulding material between endless belt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415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442Mixing, kneading or conveying the foama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6After-treatment of articles, e.g. for altering the shape
    • B29C44/5627After-treatment of articles, e.g. for altering the shape by mechanical deformation, e.g. crushing, embossing, str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foa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12Chemical modification
    • C08J7/123Treatment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2Panels; Plates;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lding Of Porous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계수지의 발포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압출부(A), 성형부(B), 결정화부(C), 폴리싱부(D), 코로나방전부(D), 마무리부(F), 절단부(G), 포장부(H)로 연속되어 구성되어 있으며,
성형틀(9)의 출구를 단열재로 형성하여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였으며, 결정화부의 롤을 냉각장치시스템을 도입하여 순간냉각을 유도하여 시트중 발포된 기포를 안전하게 유지하므로서, 시트 표면의 발포도의 감소를 방지하고 표면처리를 하였으며, 폴리싱부의 롤중 제1번롤(11)과 제2번롤(11`)의 간격을 제2번롤(11`)과 제3번롤(11``)사이의 간격보다 넓게 하였으며, 시트와 냉각롤의 접촉면을 조절하므로서 평활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냉각장치(12)를 이용하여 발포시트의 순간 냉각하였으며, 마무리부에서 마무리롤(19,20)을 종래의 한 쌍으로는 부족한 탄력조절의 문제점을 해결하였고, 가이드부에서 가이드롤들을 상하 높낮이의 차를 크게 하여 연속적으로 절단부에 공급되는 발포시트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발포장치와 공정을 일부 변경하여 설비의 단순화 및 자동, 수동겸용화 하였으며, 원료배합비가 달라 최종 발포제품의 발포도를 50%이며 밀도가 0.62인 폴리프로필렌수지 발포시트를 제조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폴리프로필렌계수지의 발포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The method for apparatus of polypropylene foam seat}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계수지의 발포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상의 폴리프로플렌계 수지 발포시트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폴리프로필렌수지는 알려진 바와 같이, 굴곡강도 및 인장강도는 골판지종이 보다 우수하나, 저배율의 얇은 모양이 되면 인장강도가 저하하는 성질이 있으며, 열전도율은 종이나 기타 플라스틱에 비해 아주 낮으므로, 단열성을 기대할 수 있으며, 160~190℃까지 변화가 없으므로 열성형에 적합하며 내약품성, 내용제성이 강하며, 발포성이 클수록 저하하는 성질이 있으며 흡수성이 작고 내압축성이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으며, 가격이 저렴하고, 재생이 가능하므로 최근에 폴리프로필렌계수지를 이용한 발포시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폴리프로필렌의 발포방법은 무가교발포와, 가교발포방법으로 구분되며, 발포체는 가교한 10~30배 발포체, 무가교1.3배 저발포체 무가교30배이상 초고발포체등으로 구분되어 왔다.
폴리프로필렌의 발포는 저온에서 압출되며, 가교가 용이하고 폴리올레핀과 공중합체로 사용할 수 있으며, 압출시에 압출량의 문제보다는 시트성형시 170℃정도에서 시작되는 발포제의 분해 억제하기 위하여 저온으로 압출하며 경우에 따라서폴리에틸렌을 혼합하여 연질의 쿠션성을 부여하여 다양한 용도, 자동차의 내장제 등에 사용되어 왔다.
일본 특개평 제1632-1966호에는 고주파가열을 이용하여 폴리 올레핀수지의 발포입자들을 주형에 채운 다음 가열하는 방법이 공개되어 있고, 증기를 이용한 가열방법이 일본특개평 제242/1977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99-28849호에는 포말화제 액체상태로 유지하여 저압상태에서 포말이 형성되는 고분자성 발포체의 제조방법이 공개되어 있고,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132770호에는 냉각장치의 주연에 중공형의 냉각장치를 형성시켜 냉각수와 히터의 냉각 및 가열 열이 실린더에 직접 전달되는 발포시트 제조용 압출기의 실린더냉각장치가 기재되어 있으며,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92685호에는 폴리프로필렌계수지 92~98중량부와 발포제 1~4중량부를 혼합한 후, 용융시켜 가교제(DCG)를 첨가한 후 시트상으로 성형하는 폴리프로필렌계수지의 발포성형체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고,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98-64608호에는 사각형단면을 갖는 통로내의 상축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벨트와, 상기 통로내의 하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벨트 사이에 발포입자들을 공급한 다음, 상기 발포입자들을 상기 통로내의 과열증기 공급영역과 냉각영역에 연속적으로 통과시킴으로서 발포성형체를 연속 제조하는 방법이 공개되어 있으나,
상기 종래의 기술들은 장치들이 복잡하고, 제조공정시간이 길며, 발포도가 일정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단열재로 구성된 쿨러시스템과 냉각장치를 이용한 냉각법, 폴리싱 공정 등으로 구성된 연속장치로 구성된 발포장치를 이용하여 50%의 발포율을 갖는 폴리프로필렌수지의 발포시트를 제조하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계 발포시트의 제조장치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틀의 가열장치 상세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틀의 유출구 닢부분의 상세도
<도면의 부호설명>
모터(1), 배합물 투입구(2), 스크류(3), 실린더(4), 헤드(5),
통과망(6), 스크류체인저(7), 노즐(8), 성형틀(9), A-시스템(10)
1차폴리싱롤(11,11`,11``), 냉각장치(12,12`,12``),
2차폴리싱롤(13,13`), 3차폴리싱롤(14,14`,14``),
1차가이드롤(15.15`.15```), 1차코로나처리롤(16),
2차코로나처리롤(17), 3차코로나처리롤(18),
1차마무리롤(19, 19`, 19``), 2차 마무리롤(20, 20`, 20``),
2차가이드롤(21,21`), 칼날(22), 서브모타(23), 중앙제어기(24)
닢(30), 닢의 롤(31)
A: 혼합부, B:압출부, C:성형부, D:결정화부, E:폴리싱부,
F:코로나방전부, G:마무리부, H:절단부, I: 포장부
J:성형틀, K:성형틀유출구의 닢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과 각종첨가제 및 발포제를 혼합시키는 혼합과정과, 원재료 및 부재료가 녹는 온도 약 200℃이상으로 가열하여 수지를 스크류로 실린더를 통과시키면서 용해시키는 압출공정과, 용해된 수지를 시트형태로 안내하면서 발포시키는 성형공정과, 상기 성형공정에서 발포되어 나온 수지가 시트 셀의 형상이 손상되지 않도록 결정화시키는 결정화공정과, 상기 결정화된 폴리프로필렌 발포시트를 원하는 무늬로 성형시키기 위하여 롤온도를 조절하는 폴리싱공정과, 2차가공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전화시켜 극성으로 개질시키는 코로나방전공정과, 표면이 무늬가 손상이 되지 않도록 적당한 시간과 압력을 조절하는 마무리공정과, 서브모터에 의해 용도에 맞게 크기를 절단하는 절단공정과, 포장공정으로 구성된 폴리프로플렌발포시트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은 SK회사제품인 상품명(H730P, H720P, R140M, B 900F을 사용하며 그 배합비는 1:1:1:2로 섞어 사용하는 것이다) 130Kg~180Kg, 대전방지제2.0Kg, 안료 3.75Kg, 발포제1.1Kg으로 하여 배합을 한 후에 잘 혼합시켜 사용하며,
폴리프로필렌수지는 알려진 바와 같이, 굴곡강도 및 인장강도는 골판지종이 보다 우수하나, 저배율의 얇은 모양이 되면 인장강도가 저하하는 성질이 있으며, 열전도율은 종이나 기타 플라스틱에 비해 아주 낮으므로, 단열성을 기대할 수 있으며, 160~190℃까지 변화가 없으므로 열성형에 적합하며 내약품성이 강하며, 발포성이 클수록 저하하는 성질이 있으며 흡수성이 작고 내압축성이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성형틀(9)의 출구를 단열재로 형성하여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온도변화를 주어, 결정화부의 롤을 냉각장치시스템을 도입하여 순간냉각을 유도하여 시트중 발포된 기포를 안전하게 유지하므로서, 시트 표면의 발포도의 감소를 방지하고 표면처리를 하였으며, 폴리싱부의 롤중 제1번롤(11)과 제2번롤(11`)의 간격을 제2번롤(11`)과 제3번롤(11``)사이의 간격보다 넓게 하였으며, 시트와 냉각롤의 접촉면을 조절하므로서 평활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냉각장치(12)를 이용하여 발포시트의 순간 냉각하였으며, 마무리부에서 마무리롤(19,20)을 종래의 한 쌍으로는 부족한 탄력조절의 문제점을 해결하였고, 가이드부에서 가이드롤들을 상하 높낮이의 차를 크게 하여 연속적으로 절단부에 공급되는 발포시트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발포장치와 공정을 일부 변경하여 설비의 단순화 및 자동수동겸용화 하였으며, 원료배합비가 달라 최종 발포제품의 발포도를 50%로 한 폴리프로필렌수지 발포시트를 제조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원료배합비와 제조장치의 개량으로 발포도가 높은 발포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인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
제1공정 원료배합공정
폴리프로필렌은 SK회사제품인 상품명(H730P, H720P, R140M, B 900F를 사용하며 그 배합비는 1:1:1:2로 섞어 사용하는 것이다) 130Kg~ 180Kg, 대전방지제2.0Kg, 안료 3.75Kg, 발포제1.1Kg를 첨가하여 잘 혼합한 후 투입구(2)를 통해 압출성형기에 주입하면,
제2공정 압출공정
200℃로 가열된 압출기에서 RPM 70/분인 스크류(3)로 공급된 원료를 제1실린더의 온도는 177℃, 제2실린더의 온도는 180℃, 제3실린더의 온도는 184℃, 제4실린더의 온도는 195℃, 제5실린더의 온도는 200℃, 제6실린더의 온도는 201℃, 제7실린더의 온도는 204℃로 가열되는 일곱 개의 각기 다른 온도를 갖는 실린더(4)로 압력 93Kg/m2를 통과시켜 용해시킨 후, 실린더 후면에 부착된 헤드(5)와 통과망(6)이 형성된 스크류체인저(7)와, 노즐(8)을 이용하여,
제3공정 성형공정
용해된 수지를 5부분으로 나누어 온도를 각기 다르게 한 시트상 성형틀에 주입하여 발포시킨 다음, (이때 제1부분은 184℃(9-1), 제2부분은 183℃(9-2), 제3부분은 181℃(9-3), 제4부분은 184℃(9-4), 제5부분은 183℃(9-5)으로 고정시킨다.)5mm이하로 형성된 단열재 석면이 형성된 성형틀(9)의 출구를 통과하여 발포된 시트상으로 변하여,
제4공정 결정화공정
A-시스템(10)에 도달되면 냉각된 세 개의 롤사이로 시트가 통과되면서 발포를 일부 조절하며, 표면처리를 온도와 롤에 접촉하는 면적으로 조절한 후,
제5공정 폴리싱공정
내부에 물이 통과하여 온도를 조절하는 폴리싱롤로 구성된 폴리싱공정으로 이송되어, 세 개의 온도가 각기 다른 1차폴리싱롤(11,11`,11``)통과하며, 상기 1차폴리싱롤(11,11`,11``)의 후면에 설치된 냉각장치(12,12`,12``)가 동시에 작동되어 실질적인 평활도를 조절하여 표면처리 즉 다림질을 하는 공정을 통과한 다음 (제1롤 45℃, 제2롤 100℃, 제1롤 95℃,), 2차폴리싱롤(13,13`) 및 3차폴리싱롤(14,14`,14``)을 통과 된 시트는 다음 공정으로 이송된다,(상기 시트tm피드는 2.5m/분인 것이다)
제6공정 코로나방전공정
이송된 시트는 가이드롤(15)을 통과한 후 1차코로나처리롤(16)에서 인쇄성을 향상시키고, 대전방지효과를 부여하기 위하여 코로나방전처리한 후 다시 2차코로나처리롤(17) 및 3차코로나처리롤(18)에서 코로나 방전처리를 다시 한 후에 가이드롤(15`,15``)를 통과하여 마무리공정으로 이송된다.
제7공정 마무리공정
이송시트는 세 개로 구성된 1차마무리롤(19, 19`, 19``)에서 정리시키고, 2차 마무리롤(20, 20`, 20``)에서 재정리시킨 다음 , 속도를 조절하고, 원단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하 높낮이가 다른 여러 개의 2차가이드롤(21, 21`, 21``, 21```)를 통과시킨 후,(이때 시트 스피드는 2.5m/분인 것이다)
제8공정 절단공정
상기 마무리공정에서 이송된 일정한 속도와 흔들림이 없이 정리된 발포시트를 회전속도에 의해 제어하는 서브모타(23)의 작동에 의해 동작하는 칼날(22)로 절단한 다음,
제9공정 포장공정
포장공정으로 이송되어 포장하여 원하는 폴리프로필렌발포제품을 생산하는 것이다
상기 모든 공정은 중앙제어기(24)에 의해 온도, 속도, 롤과 롤의 간격 등을 조절하여 밀도 0.62이며 발포율 50%인 폴리프러필렌발포시트를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계 발포시트의 제조장치,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틀의 가열장치 상세도 및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틀의 유출구 닢부분의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고, 모터(1), 배합물 투입구(2), 스크류(3), 실린더(4), 헤드(5), 통과망(6), 스크류체인저(7), 노즐(8), 성형틀(9), A-시스템(10), 1차폴리싱롤(11,11`,11``), 냉각장치(12,12`,12``), 2차폴리싱롤(13,13`), 3차폴리싱롤(14,14`,14``), 1차가이드롤(15.15`.15```), 1차코로나처리롤(16), 2차코로나처리롤(17), 3차코로나처리롤(18), 1차마무리롤(19, 19`, 19``), 2차 마무리롤(20, 20`, 20``), 2차가이드롤(21,21`), 칼날(22), 서브모타(23), 중앙제어기(24), 닢(30), 닢의롤(31), A: 혼합부, B:압출부, C:성형부, D:결정화부, E:폴리싱부, F:코로나방전부, G:마무리부, H:절단부, I: 포장부, J:성형틀, K:성형틀유출구의 닢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본 고안의 장치는 도1과 같이 A: 압출부, B성형부, C:결정화부, D:폴리싱부, E:코로나방전부, F:마무리부, G:절단부, H: 포장부로 연속되어 구성되어 있으며,
압출부(A)는 장치의 측면에 설치된 모터(1)와, 상부에 형성되어 원료를 투입하는 배합물 투입구(2)와, 상기 투입된 원료를 이송시키는 스크류(3)와, 이송된 원료를 용해시키기 위한 일곱 개의 각기 다른 온도를 갖는 실린더(4)와, 상기 실린더(4) 후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용해시킨 원료를 압출시키는 헤드(5)와 통과망(6)이 형성된 스크류체인저(7)와, 노즐(8)로 구성되어 있으며,
성형부(B)는 상기 노즐(8)과 연결되어 있으며, 용해된 수지를 5부분으로 나누어 온도를 각기 다르게(9-1 ~ 9-5) 가열하여 주입된 원료를 발포시켜 시트상으로 형성시키는 성형틀(9)과 상기 성형틀의 유출구는 도3과 같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닢(30)부분에 시트통과시 상하로 단열제와 두 개가 롤(31)로 구성되어 있으며,
결정화부(C)는 상기 성형틀(9)에서 형성된 시트가 통과되면서 온도와 롤에 접촉하는 면적의 조절로 발포를 일부 조절하며, 표면처리를 할 수 있도록 냉각된 세 개의 롤 A-시스템(1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폴리싱부(D)는 평활도를 조절하여 표면 처리하는 내부에 물이 통과하여 온도를 조절하는 세 개의 온도가 각기 다른 1차폴리싱롤(11,11`,11``)과,
상기 1차폴리싱롤(11,11`,11``)의 후면에 설치되어 있어 순간 냉각으로 발포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3개의 냉각장치(12,12`,12``)와,
상기 1차폴리싱롤(11,11`,11``)을 통과한 시트가 연속적으로 평활도를 조절하여 표면 처리하는 2차폴리싱롤(13,13`) 및 3차폴리싱롤(14,14`,14``)로 구성되어 있으며,
코로나방전부(E)는 상기 폴리싱부에서 이송된 시트를 통과시키는 가이드롤(15, 15`,15``)과, 상기 가이드롤(15)을 통과한 후 인쇄성을 향상시키고, 대전방지효과를 부여하기 위하여 코로나방전처리하는 1차코로나처리롤(16), 2차코로나처리롤(17) 및 3차코로나처리롤(18)로 구성되어 있으며,
마무리부(F)는 정리시키는 세 개로 구성된 1차마무리롤(19, 19`, 19``) 및 2차 마무리롤(20, 20`, 20``)과, 속도를 조절하고, 원단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하 높낮이가 다른 여러개의 2차가이드롤(21, 21`, 21``, 21```)로 구성되어 있으며,
절단부(G)는 상기 마무리부에서 이송된 발포시트를 일정한 속도와 흔들림이 없이 정리된 발포시트를 회전속도에 의해 제어하는 서브모타(23)와,
상기 서브모터(23)의 작동에 의해 발포시트를 절단하는 칼날(22)로 구성되어 있으며,
포장부(H)는 통상의 포장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폴리프로필렌발포제품을 제조하는 장치인 것이다.
상기 모든 장치는 중앙제어기(24)에 의해 온도, 속도, 롤과 롤의 간격 등을 조절하여 원하는 폴리프로필렌발포제품을 제조하는 장치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은 포장분야, 문구류분야, 가전제품분야, 건축토목분야, 자동차분야, 식품분야, 기타 잡화분야에 널리 이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원료배합비와 제조장치의 개량함으로서, 발포도가 높은 발포시트를 제조하는 것으로서, 설비의 단순화와, 자동 및 수동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온도조절에 따른 제조시간이 단축되어 제품의 불량품이 거의 없는 기술적, 경제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6)

  1. 폴리프로필렌수지를 이용하여 발포시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공정 원료배합공정으로,
    폴리프로필렌은 SK회사제품인 상품명(H730P, H720P, R140M, B 900F를 사용하며 그 배합비는 1:1:1:2로 섞어 사용하는 것이다) 130Kg~ 180Kg, 대전방지제2.0Kg, 안료 3.75Kg, 발포제1.1Kg를 첨가하여 잘 혼합한 후 투입구(2)를 통해 압출성형기에 주입한 다음,
    제2공정 압출공정에서
    200~ 205℃로 가열된 압출기에서 스크류(3)로 공급된 원료를 제1실린더의 온도는 177℃, 제2실린더의 온도는 180℃, 제3실린더의 온도는 184℃, 제4실린더의 온도는 195℃, 제5실린더의 온도는 200℃, 제6실린더의 온도는 201℃, 제7실린더의 온도는 204℃로 가열되는 일곱 개의 각기 다른 온도를 갖는 실린더(4)를 통과시켜 용해시킨 후, 실린더 후면에 부착된 헤드(5)와 통과망(6)이 형성된 스크류체인저(7)와, 노즐(8)을 이용한 후
    제3공정 성형공정으로 이송되어,
    용해된 수지를 5부분으로 나누어 온도를 각기 다르게 한 시트상 성형틀에 주입하여 발포시킨 다음, (이때 제1부분은 184℃(9-1), 제2부분은 183℃(9-2), 제3부분은 181℃(9-3), 제4부분은 184℃(9-4), 제5부분(9-5)은 183℃로 고정시킨다.)5mm이하로 형성된 단열재 석면이 형성형틀(9)의 출구를 통과하여 발포된 시트상으로 변하여,
    제4공정 결정화공정인
    A-시스템(10)에 도달되면 냉각된 세 개의 롤사이로 시트가 통과되면서 발포를 일부 조절하며, 표면처리를 온도와 롤에 접촉하는 면적으로 조절한 후,
    제5공정 폴리싱공정인
    내부에 물이 통과하여 온도를 조절하는 폴리싱롤로 구성된 폴리싱공정으로 이송되어, 세 개의 온도가 각기 다른 1차폴리싱롤(11,11`,11``)통과하며, 상기 1차폴리싱롤(11,11`,11``)의 후면에 설치된 냉각장치(12,12`,12``)가 동시에 작동되어 실질적인 평활도를 조절하여 표면처리 즉 다림질을 하는 공정을 통과한 다음 (제1롤 45℃, 제2롤 100℃, 제1롤 95℃,), 2차폴리싱롤(13,13`) 및 3차폴리싱롤 (14,14`,14``)을 통과 된 시트는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며,
    제6공정 코로나방전공정은
    이송된 시트는 가이드롤(15)을 통과한 후 1차코로나처리롤(16)에서 인쇄성을 향상시키고, 대전방지효과를 부여하기 위하여 코로나방전처리한 후 다시 2차코로나처리롤(17) 및 3차코로나처리롤(18)에서 코로나 방전처리를 다시 한 후에 가이드롤(15`,15``)를 통과하여 마무리공정으로 이송되어
    제7공정 마무리공정은
    이송시트는 세 개로 구성된 1차마무리롤(19, 19`, 19``)에서 정리시키고, 2차 마무리롤(20, 20`, 20``)에서 재 정리시킨 다음 , 속도를 조절하고, 원단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하 높낮이가 다른 여러개의 2차가이드롤(21, 21`, 21``, 21```)를 통과시킨 후,
    제8공정 절단공정
    상기 마무리공정에서 이송된 일정한 속도와 흔들림이 없이 정리된 발포시트를 회전속도에 의해 제어하는 서브모타(23)의 작동에 의해 동작하는 칼날(22)로 절단한 다음,
    제9공정 포장공정
    포장공정으로 이송되어 포장하여 원하는 폴리프로필렌발포제품을 제조하며,
    상기 모든 공정은 중앙제어기(24)에 의해 온도, 속도, 롤과 롤의 간격 등을 조절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계수지의 발포시트의 제조방법.
  2. 폴리프로필렌계수지의 발포시트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압출부(A), 성형부 (B), 결정화부(C), 폴리싱부(D), 코로나방전부(E), 마무리부(F), 절단부(G), 포장부(H)로 연속되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압출부(A)는 장치의 측면에 설치된 모터(1)와, 상부에 형성되어 원료를 투입하는 배합물 투입구(2)와, 상기 투입된 원료를 이송시키는 스크류(3)와, 이송된 원료를 용해시키기 위한 일곱 개의 각기 다른 온도를 갖는 실린더(4)와, 상기 실린더(4) 후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용해시킨 원료를 압출시키는 헤드(5)와 통과망(6)이 형성된 스크류체인저(7)와, 노즐(8)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성형부(B)는 상기 노즐(8)과 연결되어 있으며, 용해된 수지를 5부분으로 나누어 온도를 각기 다르게 하여 주입된 원료를 발포시켜 시트상으로 형성시키는 성형틀(9)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결정화부(C)는 상기 성형틀(9)에서 형성된 시트가 통과되면서 온도와 롤에 접촉하는 면적의 조절로 발포를 일부 조절하며, 표면처리를 할 수 있도록 냉각된 세 개의 롤 A-시스템(1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폴리싱부(D)는 평활도를 조절하여 표면 처리하는 내부에 물이 통과하여 온도를 조절하는 세 개의 온도가 각기 다른 1차폴리싱롤(11,11`,11``)과,
    상기 1차폴리싱롤(11,11`,11``)의 후면에 설치되어 있어 순간 냉각으로 발포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3개의 냉각장치(12,12`,12``)와,
    상기 1차폴리싱롤(11,11`,11``)을 통과한 시트가 연속적으로 평활도를 조절하여 표면처리하는 2차폴리싱롤(13,13`) 및 3차폴리싱롤(14,14`,14``)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코로나방전부(E)는 상기 폴리싱부에서 이송된 시트를 통과시키는 가이드롤 (15, 15`,15``)과, 상기 가이드롤(15)을 통과한 후 인쇄성을 향상시키고, 대전방지효과를 부여하기 위하여 코로나방전처리하는 1차코로나처리롤(16), 2차코로나처리롤(17) 및 3차코로나처리롤(18)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마무리부(F)는 정리시키는 세 개로 구성된 1차마무리롤(19, 19`, 19``) 및 2차 마무리롤(20, 20`, 20``)과, 속도를 조절하고, 원단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하 높낮이가 다른 여러 개의 2차가이드롤(21, 21`, 21``, 21```)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단부(G)는 상기 마무리부에서 이송된 발포시트를 일정한 속도와 흔들림이 없이 정리된 발포시트를 회전속도에 의해 제어하는 서브모타(23)와,
    상기 서브모터(23)의 작동에 의해 발포시트를 절단하는 칼날(22)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발포제품을 제조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폴리프로필렌발포시트에 있어서, 제1항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밀도 0.62이며, 발포율 50%인 폴리프러필렌발포시트.
KR1020000017316A 2000-04-03 2000-04-03 폴리프로필렌계수지의 발포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0346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470U KR200195631Y1 (ko) 2000-04-03 2000-04-03 폴리프로필렌계수지의 발포시트의 제조장치
KR1020000017316A KR100346114B1 (ko) 2000-04-03 2000-04-03 폴리프로필렌계수지의 발포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316A KR100346114B1 (ko) 2000-04-03 2000-04-03 폴리프로필렌계수지의 발포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9470U Division KR200195631Y1 (ko) 2000-04-03 2000-04-03 폴리프로필렌계수지의 발포시트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6957A KR20000036957A (ko) 2000-07-05
KR100346114B1 true KR100346114B1 (ko) 2002-08-01

Family

ID=1966130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9470U KR200195631Y1 (ko) 2000-04-03 2000-04-03 폴리프로필렌계수지의 발포시트의 제조장치
KR1020000017316A KR100346114B1 (ko) 2000-04-03 2000-04-03 폴리프로필렌계수지의 발포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9470U KR200195631Y1 (ko) 2000-04-03 2000-04-03 폴리프로필렌계수지의 발포시트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9563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752B1 (ko) * 2012-02-16 2013-10-28 (주)동해플라스틱 냉장고 후판용 폴리프로필렌 시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637B1 (ko) * 2002-03-30 2004-09-13 김봉희 액정표시장치 운반용 상자
KR100515161B1 (ko) * 2002-10-05 2005-09-16 이필하 폴리스틸렌 수지의 고발포성 건축내장재 압출성형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고발포성 건축내장재
KR100539178B1 (ko) * 2002-10-05 2005-12-28 이필하 저발포성 건축내장재 압출성형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제조되는 저발포성 건축내장재
KR100837106B1 (ko) * 2007-04-10 2008-06-12 (주)한우포옴 무가교 폴리프로필렌 발포 시트의 제조 방법
KR101250772B1 (ko) * 2012-10-30 2013-04-05 주식회사 폼테크 충격 흡수력 및 내열성이 우수한 발포 필름의 제조 방법
KR20160003520U (ko) 2015-04-03 2016-10-12 주식회사 태양 열융착용 무가교 피이발포 시트의 후처리 장치
CN105619684B (zh) * 2016-03-16 2018-03-20 浙江润阳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多级加热发泡炉
CN105599210B (zh) * 2016-03-16 2017-12-08 浙江润阳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节能发泡炉
CN110640965A (zh) * 2019-10-28 2020-01-03 安徽艾迪文新材料有限公司 一种发泡片材发泡系统的智能机械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752B1 (ko) * 2012-02-16 2013-10-28 (주)동해플라스틱 냉장고 후판용 폴리프로필렌 시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6957A (ko) 2000-07-05
KR200195631Y1 (ko) 200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21130A (en) Method of producing plastic foam
CN103370197B (zh) 生产多层塑料薄膜的方法
KR100346114B1 (ko) 폴리프로필렌계수지의 발포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US3573152A (en) Thermoplastic elongated cellular products
CN105566721B (zh) 一种耐高温xpe泡棉及其制备方法
CN101066620B (zh) 挤出法制备发泡烯烃聚合物制品的装置及方法
US7211620B2 (en) Foldable polyolefin films
KR20010072827A (ko) 발포방향성 열가소성중합체로 된 2축방향성박포일의제조방법
CN103085219B (zh) 一种微孔发泡的橡塑保温制品及其制备方法
WO2006088392A1 (fr) Procede de fabrication de granules d&#39;un polymere styrene moussant
EP1075373B1 (en) Method for forming low-density polymer foam articles
CN1029316C (zh) 生产微孔塑料的方法
US5707573A (en) Method of preparing thermoplastic foams using a gaseous blowing agent
CN201132378Y (zh) 挤出法制备发泡烯烃聚合物制品的装置
CN110303748B (zh) 一种较薄聚烯烃收缩膜及其生产工艺
CN103270094A (zh) 高强度挤塑型热塑性聚合物泡沫
CN110527263A (zh) 一种高耐刮擦物理发泡挤出pet与pp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291941B1 (ko) 발포타입 폴리프로필렌 테이프 제조 방법
JPH1076560A (ja) 熱可塑性樹脂発泡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2000774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zumindest teilweise offenzelligen schaumfolien aus styrolpolymerisaten
EA030878B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изделия из пеноматериала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KR102121622B1 (ko) 폴리프로필렌 발포시트 압출기
RU2635138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вспененного полимера и линия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2001205654A (ja)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系樹脂の発泡シート及び発泡体の製造方法
RU2668901C1 (ru) Технологическая линия по производству многослойной штучной кровельной термочерепиц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