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5502B1 - 약탕기용 증기 응축기 - Google Patents

약탕기용 증기 응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5502B1
KR100345502B1 KR1019990043547A KR19990043547A KR100345502B1 KR 100345502 B1 KR100345502 B1 KR 100345502B1 KR 1019990043547 A KR1019990043547 A KR 1019990043547A KR 19990043547 A KR19990043547 A KR 19990043547A KR 100345502 B1 KR100345502 B1 KR 100345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steam
extension protrusion
condensation
eas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3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6514A (ko
Inventor
서창열
Original Assignee
서창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창열 filed Critical 서창열
Priority to KR1019990043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5502B1/ko
Publication of KR20010036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6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5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55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0Cooking-vessels with water-bath arrangements for domes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05Warming devices for warming food contained in vessels immersed in a water bath, e.g. chafers or steam 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인삼과 같은 한약재를 다릴 때 사용되는 증기 응축기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응축기를 분리식으로 구성하여 응축기의 제조가 용이함은 물론 내부세척이 용이하고 증기의 유출이 없는 응축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응축기는 일체로 형성된 상하 복수개의 응축실(100)(100a)의 병목에 일체로 증기 유출방지막(102)을 형성하거나 또는 증기유출방지막을 분리형으로 하여 실리콘을 이용한 탈착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체형은 응축실의 내부세척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고, 분리형은 탈착의 곤란함과 액체의 흐름이 원활치 못한 단점이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응축실(14,14a)을 분리형으로 하여 상부응축기(14)에는 개구부(4)를 갖는 연장돌출부(10)를 일체로 형성하고, 하부응축기(14a)에는 연장돌출부(10)가 끼워질수 있는 삽입부(6)를 형성하여 조립토록 하고, 삽입부에는 패킹(12)을 형성하여 기밀력을 유지토록 한 것이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증기 약탕기.

Description

약탕기용 증기 응축기{A steam condenser for a machine in which medicines are prepared}
본 발명은 인삼과 같은 한약재를 다릴 때 커피포트의 상부에 재치하여 사용되는 증기 응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기에서 발생된 증기를 응축하는 응축기를복수개로 성형시 응축기의 내부에 손이 출입될 수 있을 정도의 개구부를 갖으면서 다른 응축기를 결합할 수 있도록 응축기를 분리식으로 구성하여 응축기의 제조가 용이함은 물론 내부 세척이 용이하고 증기의 유출이 없는 응축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현재 홍삼을 습식으로 제조하는제 사용되는 일반적인 약탕기에 있어서는, 히터를 열원으로 하는 가열기 본체와 상기 가열기에 의하여 데워지는 물에 의하여 홍삼 등을 가열하는 포트와 상기 포트의 상부에 재치되어 포트에서 발생된 증기를 응축시켜 액화하는 응축기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약탕기는 가열기 본체와 포트는 열원의 발생과 물을 집수하는 기능이 주목적인 것이고, 응축기는 포트에서 발생된 증기를 응축시켜 액화하여 달아나는 약 성분을 회수하는 기능을 주목적으로 하므로 그 중요도에 있어서 응축기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종래의 응축기는 제 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병목을 갖는 호리병 형상으로 구성된 상하 복수개의 응축실(100)(100a)과 상기 응축실(100)(100a)의 사이에 형성되는 병목에 깔대기 형상의 증기유출 방지막(102)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발명은 응축실(100,100a)의 사이에 형성되는 병목에 증기유축 방지막(102)이 일체로 형성되어 응축실(100)의 세척이 곤란하고 제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제 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기유출방지막(102)을 상하 복수개의 응축실(100)(100a)의 사이에 탈착이 가능토록 한 것이 제안되고 있으나, 응축실이 통상 유리제를 채용하고 있고, 상기 유리제로된 응축실에 탈착되기 위하여는 연성을 갖는 고무제를 사용하면서 미끄러짐에 의하여 임의적으로 탈리되어버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견고한 부착을 위하여 밀착력이 우수한 실리콘의 재질로 긴밀하게 밀착토록 함으로 세척을 위하여 탈리시킬 경우에 여간불편한 것이 아니고, 또한 2개의 응축실(100)(100a)이 일체로 형성되면서 응축실(100,100a)의 사이로 손이 출입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비교적 넓게 구성하기 위한 제조상의 곤란함으로 인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하의 응축실(100)(100a)의 사이에 증기유출방지막(102)이 장착된 상태에서 하부 응축실로 액체가 이동되므로 이동되는 액체가 증기유출방지막(102)의 선단에 걸리게 되어 액체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응축기를 분리조립토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제조가 용이토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의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응축기의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응축기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2: 상부 응축기 4,4a: 개구부
6: 삽입부 8: 하부 응축기
10: 연장돌출부 12,12a: 패킹
14,14a: 응축실 16: 접속부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도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은, 복수개의 응축실(100)(100a)을 갖고 그 사이에 증기 유출방지막(102)을 갖는 공지의 응축기에 있어서, 각각 분리되어지게 상부응축기(2)와 하부응축기(8)로 구성하고, 상부 응축기(2)에는 응축실(14)의 하부로 손이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개구부(4)를 갖는 연장돌출부(10)를 형성하고, 하부응축기(8)는 상부응측기(2)의 연장돌출부(10)가 삽입되는 삽입부(6)의 내측으로 증기유출방지막(102)을 일체로 형성하고, 연장돌출부(10)에 의하여 끼워지는 상부응축기(2)가 하부응축기(8)의 삽입부(6)에 끼워지면서 맞닿는 부위에는 패킹(12)을 형성하여 증기유출방지막(102)의 선단에 형성된 공기유출구멍(20a)으로 발생되는 증기가 기밀유지토록 된 구성이다.이때 상기 하부 응축기(8)의 저부에는 손이 출입할 수 있을 정도의 개구부(4a)를 갖는 접속부(16)를 일체로 연장하여 응축실(14a)의 내부 세척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접속부(16)의 외면에는 패킹(12a)을 감착하여 포트(30)와의 접속시 완벽한 기밀을 유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삽입부(6)와 접속부(16)에 장착되는 패킹(12)(12a)은 인체에 무해한 재질인 실리콘 등의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접속부(16)의 선단보다 그 길이가 길게 하거나 거의 동일한 정도로 형성하면 되는 것이고, 삽입부(6)의 내측면으로 설치하거나 또는 연장돌출부(10)에 형성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하부 응축기(8)의 저부에 형성된 접속부(16)를 포트(30)의 내측으로 삽입하면 접속부(16)의 외면에 장착된 패킹(12a)이 포트(30)의 내측면에 긴밀이 밀착되므로 기밀이 유지되는 것이고, 하부 응축기(8)의 상면에서 내부로 일정깊이로 몰입된 삽입부(6)에 상부 응축기(2)의 저면에 연장된 연장돌출부(10)를 삽입하면 삽입부(6)의 내측면에 끼워진 패킹(12)에 의하여 상부응축기(2)와 하부 응축기(8)가 기밀이 유지되어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결합한 후 포트(30)의 가열에 의하여 수장된 인삼 등의 가열이 이루어지고 가열시 발생된 증기는 하부 응축기(8)에 형성된 공기유출구멍(20a)에 의하여 상부응축기(2)로 이동되는 것을 억제하게 되므로 하부 응축기(8)에서의 완전한 응축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이때 하부응축기(8)에서 완전하게 응축되지 않은 증기는 공기유출구멍(20a)을 통하여 배출이 이루어지나 이 증기는 상부 응축실(14)에서 액화하여 개구부(4)를 통하여 하부 응축기(8)로 배출되면서 회수하는 것이고, 상부 응축기(2)에서 냉각된 공기는 상부 응축기(2)의 상단부에 형성된 공기 유출구멍(20)을 통하여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 하부 응축기(2)(8)에 의하여 포트(30)에서 발생된 증기를 단계적으로 응축시켜 약재에 포함된 성분이 증기를 타고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인삼을 다린 후 응축기의 세척시에는 상, 하부 응축기(2)(8)를 분리한 후 응축기(2)(8)에 저부로 형성된 개구부(4)(4a)로 손을 집어넣어 세척하면 응축실(14)(14a)의 내부를 손쉽게 세척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포트에서 발생된 증기를 응축하는 응축기를 응축기의 내부에 손이 출입될 수 있을 정도의 개구부를 갖으면서 다른 응축기의 내부에 몰입되면서 결합될 수 있도록 분리식으로 구성하여 응축기의 제조가 용이함은 물론 내부 세척이 용이하고 증기의 유출이 없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정정)일체화된 복수의 응축실(100)(100a)사이의 병목에 장착된 증기유출방지막(102)을 갖는 공지의 응축기에 있어서, 상부 응축기(2)에는 응축실(14)의 하부로 손이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개구부(4)를 갖는 연장돌출부(10)를 형성하고, 하부응축기(8)는 상부응축기(2)의 연장도룰부(10)가 삽입되는 삽입부(6)의 내측으로 증기유출방지막(102)을 일체로 형성하여, 연장돌출부(10)에 의하여 끼워지는 상부응축기(2)가 하부응축기(8)의 삽입부(6)에 끼워지면서 맞닿는 부웨에는 패킹(12)을 형성함으로 기밀유지토록 되면서 상부응축기(2)와 하부응축기(8)가 분리조립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약탕기용 증기 응축기.
KR1019990043547A 1999-10-08 1999-10-08 약탕기용 증기 응축기 KR100345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3547A KR100345502B1 (ko) 1999-10-08 1999-10-08 약탕기용 증기 응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3547A KR100345502B1 (ko) 1999-10-08 1999-10-08 약탕기용 증기 응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6514A KR20010036514A (ko) 2001-05-07
KR100345502B1 true KR100345502B1 (ko) 2002-07-24

Family

ID=19614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3547A KR100345502B1 (ko) 1999-10-08 1999-10-08 약탕기용 증기 응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55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8326A (ko) * 2000-07-21 2002-01-30 서창열 약탕기용 증기 응축기
KR100738479B1 (ko) 2006-09-29 2007-07-16 유연규 아황산염 제거 효율이 향상된 약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9223B1 (ko) * 2000-02-12 2002-03-21 이상준 인삼 습식 홍갈색화 가공용 응축기
KR100361026B1 (ko) * 2000-03-24 2002-11-30 대웅전기산업주식회사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8326A (ko) * 2000-07-21 2002-01-30 서창열 약탕기용 증기 응축기
KR100738479B1 (ko) 2006-09-29 2007-07-16 유연규 아황산염 제거 효율이 향상된 약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6514A (ko) 200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8766B1 (ko) 공기유입통로를 갖는 음료용기
US20070138121A1 (en) Drinking devices for children with integrated valve
KR100345502B1 (ko) 약탕기용 증기 응축기
ES2040524T3 (es) Maquina de cafe o de te.
JPH04347160A (ja) 煎じ器
KR200147310Y1 (ko) 응축부가 개선된 약탕기
KR20020008326A (ko) 약탕기용 증기 응축기
NO884354L (no) Innretning til avdunsting av virksomme stoffer.
ES2243102B1 (es) Dispositivo de proteccion contra derrames para recipientes de liquidos.
KR200188131Y1 (ko) 홍삼 원액 제조기
KR100255396B1 (ko) 전기 약탕기용 증기 응결기
KR200397038Y1 (ko) 공기유입통로를 갖는 음료용기
JP3839841B1 (ja) 加熱消毒用袋体
KR910000564Y1 (ko) 약탕기의 증기응결기
ES2237098T3 (es) Portacono para cono de helado.
KR100791985B1 (ko) 약탕기
KR200220373Y1 (ko) 약탕기
KR100329223B1 (ko) 인삼 습식 홍갈색화 가공용 응축기
KR100221649B1 (ko) 취사기구의 수분수집장치
JP3007859U (ja) 体外循環回路用ドリップチャンバー及び体外循環回路 用の排液チューブ
KR19990030464A (ko) 액체충전용기용 배출대의 구조
KR100770089B1 (ko) 건식 홍삼제조기
KR200253519Y1 (ko) 개선된 밀봉부재를 가지는 홍삼습식제조기
JP2549727Y2 (ja) 哺乳瓶
KR910000563Y1 (ko) 약탕기용 증기응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