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1026B1 -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 - Google Patents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1026B1
KR100361026B1 KR1020000015107A KR20000015107A KR100361026B1 KR 100361026 B1 KR100361026 B1 KR 100361026B1 KR 1020000015107 A KR1020000015107 A KR 1020000015107A KR 20000015107 A KR20000015107 A KR 20000015107A KR 100361026 B1 KR100361026 B1 KR 100361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cap
container
inn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5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0286A (ko
Inventor
박서영
박차영
남숙희
박정일
Original Assignee
대웅전기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웅전기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웅전기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15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1026B1/ko
Priority to KR2020000008445U priority patent/KR200196438Y1/ko
Publication of KR20010090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0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1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10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38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comprising additional heating or cooling means, i.e. use of thermal energy in addition to stored material
    • A47J41/005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comprising additional heating or cooling means, i.e. use of thermal energy in addition to stored material comprising heat or cold producing means, i.e. energy transfer from outside the vess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케이싱과; 상기 본체케이싱의 내부에 단열재충전간격을 두고 수용되며 액체 및 약재를 수용하는 내부용기와; 상기 내부용기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액체를 가열 및 보온 유지시키는 히터와; 상기 본체케이싱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내부용기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액체의 가열시 생성되는 증기의 외부유출을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의 하부에 배치된 깔때기 형상의 캡본체와, 상기 캡본체의 중앙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용기로부터의 증기를 상측으로 일부 배출시키는 증기배출관을 갖는 냉각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보온물통의 기능과 약탕기의 기능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ELECTRIC THERMAL MEDICINE MAKER}
본 발명은,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에 관한 것이다.
보온물통과 약탕기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가전제품으로서, 각각의 구조와 기능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보온물통은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케이싱내에 물 등의 음료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용기가 마련되어 있으며, 본체케이싱의 하부영역에는 내부용기내의 음료를 가열 및 보온 유지시키는 히터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보온물통은, 히터의 발열에 의해 내부용기내에 수용된 물 등의 음료를 가열 및 보온 유지시켜서, 사용자에게 항상 따뜻한 음료를 제공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약탕기는 히터가 설치되어 있는 본체의 상부에 적치되어 약재달임용 물을 수용하는 물수용용기와, 물수용용기의 내부에 배치되어 약재를 수용하는 약재수용용기 및 물수용용기의 상부를 개폐하는 개폐뚜껑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약재수용용기의 둘레면에는 물수용용기의 내부와 약재수용용기의 내부가 연통될 수 있도록 복수의 연통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약탕기는 약재가 수용된 약재수용용기를 물수용용기내에 수용시킨 후, 히터를 발열 동작시켜서 물수용용기내에 물을 가열함으로써 약재를 달이게 되며, 달여진 약물은 히터에 의해 적절한 온도로 보온 유지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손쉽게 약재를 달여서 마실 수 있으며, 달여진 약물을 따뜻하게 보관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보온물통과 약탕기는, 소정의 수용용기내에 수용된 액체(약재달임용 물 또는 음료용 물)를 가열 및 보온 유지할 수 있는 공통된 기능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별개의 가전용품으로 취급되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는 보온물통과 약탕기를 각각 별도로 마련해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을 감수해야 한다.
이에 따라, 가열 및 보온의 공통된 기능을 갖는 보온물통과 약탕기를 일체로 사용할 수 있다면, 사용자의 경제적인 부담이 줄어들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온물통의 기능과 약탕기의 기능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및 제3실시예의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의 측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따른 제4 내지 제6실시예의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7실시예의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의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8실시예의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1은 도 9 및 도 10의 냉각캡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9실시예의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의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0실시예의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의 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1실시예의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케이싱 11 : 조작패널
15 : 급수펌프 20 : 내부용기
23 : 취출구 30 : 히터
40 : 도어 41 : 증기배출구
50 : 냉각캡 51 : 캡본체
53 : 증기배출관 55 : 관통공
57 : 지지플랜지 300 : 약재수용용기
301 : 용기본체 303 : 용기지지부
305 : 용기뚜껑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본체케이싱과; 상기 본체케이싱의 내부에 단열재충전간격을 두고 수용되며 액체 및 약재를 수용하는 내부용기와; 상기 내부용기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액체를 가열 및 보온 유지시키는 히터와; 상기 본체케이싱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내부용기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액체의 가열시 생성되는 증기의 유출을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의 하부에 배치된 깔때기 형상의 캡본체와, 상기 캡본체의 중앙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용기로부터의 증기를 상측으로 일부 배출시키는 증기배출관을 갖는 냉각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에 의하여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캡본체는 주름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캡본체는 양단에 유입구 및 유출구를 갖고 나선형상의 순환유로를 형성하도록 권취된 관상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냉각캡의 상기 캡본체에는 냉각수가 수용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도어와 상기 본체케이싱 중 어느 하나의 일영역에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냉각팬을 더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와 상기 본체케이싱 중 어느 하나의 일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캡 상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팬을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상기 증기배출관은 상단부가 ∩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도어와 상기 본체케이싱 중 어느 하나의 일영역에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냉각캡의 상부로 송풍하는 냉각팬을 더 포함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냉각캡의 저부 일영역에는 상기 냉각캡내에 생성되는 응결수가 상기 내부용기로 낙하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상기 도어와 상기 본체케이싱 중 어느 하나의 일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관상체의 유입구를 향해 송풍하는 냉각팬을 더 포함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도어와 상기 본체케이싱 중 어느 하나의 일영역에 설치되어 소정의 냉각수를 수용하는 냉각수통과, 상기 냉각수통의 냉각수를 상기 관상체의 유입구로 공급하는 펌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상체의 유출구는 상기 냉각수통과 연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내부용기 내에 마련되어 약재를 수용하는 약재수용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상기 약재수용용기는 적어도 일부영역이 망상체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은, 외관을 형성하는 거의 원통형상의 본체케이싱(10)과, 본체케이싱(10)내에 배치되어 물 및 약재를 수용하는 내부용기(20)와, 내부용기(20)의 하부영역에 설치되어 내부용기(20)내에 수용되는 물을 가열 및 보온 유지시키는 한편, 약재를 달이는 히터(30)를 가지며, 본체케이싱(1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용기(20)의 상향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40)와, 도어(40)의 하부영역에 설치되어 내부용기(20)내의 물을 가열할 때 생성되는 증기의 외부유출을 제한하는 냉각캡(50)을 포함한다.
본체케이싱(10)의 전방 상부영역에는 가열 및 보온, 급수 등의 조작버튼이 마련되어 있는 조작패널(11)과, 내부용기(20)의 물 또는 달여진 약물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는 급수구(13)가 마련되어 있으며, 본체케이싱(10) 내측의 하부 일영역에는 내부용기(20)내의 액체(물 또는 달여진 약물)를 급수구(13)로 배출시키는 급수펌프(15)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케이싱(10)의 후방 상부영역에는 도어(4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결합부(17)가 마련되어 있으며, 조작패널(11)과 힌지결합부(17) 사이의 본체케이싱(10) 양측 상부영역에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운반손잡이(19)의 양단부가 결합되어 있다.
내부용기(20)는 상향 개구된 원통형상을 갖도록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판재로 제작되며, 본체케이싱(10)의 내부에 단열재충전간격을 두고 수용되어 있다. 이 내부용기(20)의 내주면 일영역에는 수용되는 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을 따라 수위표시눈금(21)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일영역에는 급수펌프(15)의 흡입측와 연통된 취출구(2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취출구(23)에는 약재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25)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히터(30)는 내부용기(20)의 외측 하부영역에 설치되어 있으며, 도시하지 않은 외부의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하여 내부용기(20)내에 수용된 액체를 가열 및 보온 유지시킨다. 여기서, 히터(30)는 조작패널(11)에 마련되어 있는 가열 및 보온버튼의 누름동작에 의한 히터(30)의 발열동작을 제어하는 수동조작과, 도시하지 않은 온도감지센서가 내부용기(20)내의 온도을 감지하고 이를 도시하지 않은 마이컴에 전달하여 마이컴(미도시)이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히터(30)의 발열동작을 제어하는 자동조작이 가능하다.
도어(40)는 거의 원반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도어판(43)과, 상부도어판(43)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도어판(45)을 갖는다. 도어(40)의 전방영역에는 개폐손잡이(47)가 마련되어 있으며, 도어(40)의 후방영역에는 본체의 후방 상부영역에 마련된 힌지결합부(17)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4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40)의 일영역에는 냉각캡(50)의 상측으로 일부 배출되는 내부용기(20)내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증기배출구(4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냉각캡(50)은 도어(40)의 하부영역에서 내부용기(20)의 개구를 차단하도록 배치되는 깔때기 형상의 캡본체(51)와, 캡본체(51)의 내측 중앙영역에 기립하게 마련되어 내부용기(20)내의 증기를 냉각캡(50)의 상측으로 일부 배출시키는 증기배출관(53)을 갖는다. 캡본체(51)는 그 형상에서 알 수 있듯이 둘레면이 중앙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는데, 이는 내부용기(20)로부터의 증발기체가 캡본체(51)의 접촉하여 응결된 후, 응결수가 원활하게 내부용기(20)내로 하향 낙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캡본체(51)의 저부에는 캡본체(51)내에서 생성되는 응결수가 내부용기(20)로 낙하할 수 있도록 관통공(5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냉각캡(50)은 캡본체(51)의 상측 둘레단부가 도어(40)의 하측 둘레연부에 결합되도록 하여 도어(40)와 일체를 이루도록 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본체(51)의 상측 둘레단부에 둘레방향을 따라 반경방향으로 외향 연장된 지지플랜지(57)를 형성하고, 이 지지플랜지(57)가 내부용기(20)의 개구 연부에 지지되도록 하여 도어(40)와는 별개의 부품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 냉각캡(50)은 캡본체(51)를 도 3에 제2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하거나, 도 4에 제3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캡본체(51)를 나선형상으로 권취된 관상체로 형성함으로써, 증발기체가 접촉되는 캡본체(51)의 둘레면 면적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방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보다 빠른 시간에 많은 양의 증발기체가 캡본체(51)의 둘레면에 접촉하여 응결된 다음 내부용기(20)내로 환원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을 이용하여 한약 등의 약재를 달일 때에는, 먼저, 내부용기(20)내에 적정량의 약재와 물을 넣은 다음, 내부용기(20)의 상향 개구를 차단하도록 냉각캡(50)을 배치하고, 도어(40)를 닫은 후, 조작패널(11)을 조작하면 도시하지 않은 마이컴이 히터(30)를 동작시킨다. 그러면, 히터(30)가 발열하여 내부용기(20)내의 물이 가열되고, 소정시간이 경과되면 물이 끓어 약재가 달여지게 된다.
이때, 히터(30)의 가열에 의해 약효성분을 함유한 물이 증발하게 되는데, 이 증발기체의 대부분은 냉각캡(50)의 캡본체(51) 외주면에 접촉하여 응결되게 되며,응결된 응결수는 하향 경사진 캡본체(51)의 외주면을 따라 하향 이동한 후 내부용기(20)의 내부로 낙하하게 된다.
그리고, 일부의 증발기체는 캡본체(51)의 중앙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증기배출관(53)을 통해 냉각캡(50)의 상측으로 배출된 다음, 도어(40)에 형성되어 있는 증기배출구(4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의해, 약효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물이 증발하는 것을 최소한으로 제한하고, 내부용기(20)내의 압력상승을 방지하면서 효과적으로 약재를 달일 수 있다.
약재를 달여지고 난 후에는, 마이컴이 히터(30)의 동작을 제어하여 내부용기(20)의 내에 달여진 약물을 보온시키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조작패널(11)의 급수버튼을 눌러 달여진 약물은 원하는 만큼 인출하여 마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을 이용하여 물 등의 음료를 가열 및 보온시키고자 할 때는, 먼저 내부용기(20)내에 적정량의 음료(물 등)를 넣고, 도어(40)를 닫은 후, 조작패널(11)을 조작하면 마이컴이 히터(30)를 동작시켜서 내부용기(20)내에 수용된 음료를 가열한 후 보온 유지시키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조작패널(11)의 급수버튼을 눌러 원하는 양의 따뜻한 음료를 원하는 만큼 인출하여 마실 수 있다. 이 때, 냉각캡(50)이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형일 경우에는, 냉각캡(50)을 내부용기(20)에 설치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의 약탕기 겸용 보온 물통의 측단면도이다.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은, 냉각캡(60)의 캡본체(61)내에 냉각수를 수용하고 있으며, 이 냉각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팬(200)을 구비하고 있다. 냉각팬(200)은 도어(40)의 일영역에 형성된 냉각팬수용부(201)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냉각팬수용부(201)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흡입구(203) 및 냉각캡(60) 상부를 향해 개구된 토출구(205)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은, 냉각팬(200) 설치구성을 제외한 일반적인 구성이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냉각팬(200)은 흡입구(203)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구(205)를 통해 캡본체(61)의 상측으로 송풍함으로써, 냉각캡(60)에 수용되어 있는 냉각수를 냉각시키게 되며, 이에 의해, 냉각캡(60)의 캡본체(61) 외주면 접촉되는 증발기체의 응결을 촉진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의 약탕기 겸용 보온 물통의 측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은, 도 의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과 마찬가지로, 냉각캡(70)의 캡본체(71)내에 냉각수를 수용하고 있다. 그리고, 냉각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배출팬(210)을 구비하고 있다. 배출팬(210)은 도어(40)의 일영역에 형성된 배출팬수용부(211)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배출팬수용부(211)에는 냉각캡(70) 상부와 연통된 흡입구(213) 및 외부를 향해 개구된 배출구(215)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배출팬(210)은 흡입구(213)를 통해 냉각캡(70) 상측에 형성되는 더운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구(215)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냉각캡(70)에 수용되어 있는 냉각수를 냉각시키게 되며, 이에 의해, 냉각캡(70)의 캡본체(71) 외주면 접촉되는 증발기체의 응결을 촉진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6실시예의 약탕기 겸용 보온 물통의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 역시, 도 5의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과 마찬가지로, 냉각캡(80)의 캡본체(81)내에 냉각수를 수용하고 있다. 그리고, 내부용기(20)로부터의 증발기체를 캡본체(81)내로 배출하는 증기배출관(83)의 상단부가 ∩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에 의해, 증기배출관(83)을 통해 캡본체(81)내로 배출되는 증발기체는 캡본체(81)에 수용되어 있는 냉각수의 증발을 촉진시킨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7실시예의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의 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은, 도어(40)의 일영역에 송풍팬수용부(2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송풍팬수용부(221)에 설치되는 송풍팬(220)을 갖는다.
송풍팬수용부(221)에는 외부와 연통하는 흡입구(223) 및 냉각캡(90)을 향해 개구된 송풍구(225)가 형성되어 있으며, 냉각캡(90)의 저부에는 내부용기(20)를 향해 개구된 관통공(9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송풍팬(220)은 흡입구(223)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구(225)를 통해 냉각캡(90) 상부로 송풍함으로써, 냉각캡(90)을 냉각시켜 캡본체(91)의 외주면 접촉되는 증발기체의 응결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캡본체(91)내에 생성된 응결수가 관통공(95)을 통해 빠르게 내부용기(20)내로 환원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8실시예의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결합상태 측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9 및 도 10의 냉각캡평면도로써 냉각유체의 순환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은, 냉각캡(100)의 캡본체(101)가 양단에 유입구(108) 및 유출구(109)를 갖고 나선형상의 순환유로를 형성하도록 권취된 관상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도어(40)의 일영역에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캡본체(101)의 유입구(108)를 향해 송풍하는 냉각팬(230)이 설치되어 있고, 도어(40)의 다른 일영역에는 캡본체(101)의 유출구(109)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배출구(235)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냉각팬(230)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캡본체(101)의 유입구(108)를 향해 송풍하면, 송풍공기는 나선형상의 순환유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캡본체(101)를 냉각시킨 다음, 캡본체(101)의 유출구(109)와 도어(40)의 배출구(23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의해, 캡본체(101)를 보다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으며, 캡본체(101) 외주면 접촉되는 증발기체의 응결을 보다 촉진시킬 수 있다.
여기서, 냉각팬(23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케이싱(10)의 일영역에 설치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0실시예의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의 측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냉각캡(110)의 캡본체(111)가 양단에 유입구(118) 및 유출구(119)를 갖고 나선형상의 순환유로를 형성하도록 권취된 관상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40)의 일영역에 설치되어 소정의 냉각수를 수용하는 냉각수통(247)과, 냉각수통(247)에 수용된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냉각팬(340)과, 냉각수통(247)에 수용된 냉각수를 캡본체(111)의 유입구(118)로 공급하는 펌프(240)를 가지며, 캡본체(111)의 유출구(119)는 냉각수통(147)과 연통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냉각수통(147)내에 수용된 냉각수는 펌프(240)에 의해 흡입되어 캡본체(111)의 유입구(118)로 공급된 다음, 나선형상의 순환유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캡본체(111)를 냉각시킨 후, 캡본체(111)의 유출구(119)를 통해 다시 냉각수통(247)으로 순환된다. 그리고, 냉각팬(340)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순환되는 냉각수의 온도상승을 억제한다. 여기서, 냉각팬(340)은 냉각수통(147) 상부영역의 도어(40)에 설치할 수도 있으며, 본체케이싱(10)의 일영역에 설치하고 소정의 안내관(미도시)을 냉각팬(3400으로부터 냉각수통(147)으로 연장시켜서 냉각수통(147)내의 냉각수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캡본체(111)를 보다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으며, 캡본체(111) 외주면 접촉되는 증발기체의 응결을 보다 촉진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4은 본 발명에 따른 제11실시예의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의 측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은, 내부용기(20)내에 설치되어 약재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약재수용용기(300)를 갖는다.
약재수용용기(300)는 상향 개구된 원통형상을 갖는 망상체의 용기본체(301)와, 용기본체(301)의 하부를 지지하는 용기지지부(303)와, 용기본체(301)의 상향개구를 덮는 용기뚜껑(305)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약재수용용기(300)는, 내부용기(20)내에 별도의 약재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약재의 수용 및 인출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달여지고 난 후의 폐약재를 한꺼번에 모아서 용이하게 폐기시킬 수 있고, 약재가 급수펌프(15)의 흡입측에 연결된 내부용기(20)의 취출구(23)를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정의 수용용기내에 수용된 액체를 히터로 가열 및 보온 유지할 수 있는 보온물통과 약탕기의 공통된 구조 및 기능에 약효성분을 함유하는 증발기체의 외부유출을 제한하는 냉각캡을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약탕기의 기능과 보온물통의 기능을 겸용할 수 있는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이 제공된다. 이에 의해, 소비자가 보온물통과 약탕기를 각각 별도로 마련해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보온물통의 기능과 약탕기의 기능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이 제공된다.

Claims (14)

  1. 본체케이싱과;
    상기 본체케이싱의 내부에 단열재충전간격을 두고 수용되며 액체 및 약재를 수용하는 내부용기와;
    상기 내부용기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액체를 가열 및 보온유지시키는 히터와;
    상기 본체케이싱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내부용기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액체의 가열시 생성되는 증기의 외부유출을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의 하부에 배치된 깔때기 형상의 캡본체와, 상기 캡본체의 중앙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용기로부터의 증기를 상측으로 일부 배출시키는 증기배출관을 갖는 냉각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본체는 주름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본체는 양단에 유입구 및 유출구를 갖고 나선형상의 순환유로를 형성하도록 권취된 관상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캡의 상기 캡본체에는 냉각수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와 상기 본체케이싱 중 어느 하나의 일영역에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냉각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와 상기 본체케이싱 중 어느 하나의 일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캡 상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배출관은 상단부가 ∩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와 상기 본체케이싱 중 어느 하나의 일영역에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냉각캡의 상부로 송풍하는 냉각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캡의 저부 일영역에는 상기 냉각캡내에 생성되는 응결수가 상기 내부용기로 낙하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와 상기 본체케이싱 중 어느 하나의 일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관상체의 유입구를 향해 송풍하는 냉각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와 상기 본체케이싱 중 어느 하나의 일영역에 설치되어 소정의 냉각수를 수용하는 냉각수통과, 상기 냉각수통의 냉각수를 상기 관상체의 유입구로공급하는 펌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상체의 유출구는 상기 냉각수통과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 내에 마련되어 약재를 수용하는 약재수용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약재수용용기는 적어도 일부영역이 망상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
KR1020000015107A 2000-03-24 2000-03-24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 KR100361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5107A KR100361026B1 (ko) 2000-03-24 2000-03-24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
KR2020000008445U KR200196438Y1 (ko) 2000-03-24 2000-03-24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5107A KR100361026B1 (ko) 2000-03-24 2000-03-24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8445U Division KR200196438Y1 (ko) 2000-03-24 2000-03-24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0286A KR20010090286A (ko) 2001-10-18
KR100361026B1 true KR100361026B1 (ko) 2002-11-30

Family

ID=1965826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8445U KR200196438Y1 (ko) 2000-03-24 2000-03-24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
KR1020000015107A KR100361026B1 (ko) 2000-03-24 2000-03-24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8445U KR200196438Y1 (ko) 2000-03-24 2000-03-24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9643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438Y1 (ko) * 2000-03-24 2000-09-15 대웅전기산업주식회사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
KR100758031B1 (ko) * 2006-03-31 2007-09-11 조경철 인삼 증숙 발효 약탕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017Y1 (ko) * 1999-06-30 2000-07-15 한종필 약탕기
KR200196438Y1 (ko) * 2000-03-24 2000-09-15 대웅전기산업주식회사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
KR20000020201U (ko) * 1999-04-30 2000-11-25 장인덕 가정용 중탕장치
KR100285561B1 (ko) * 1998-06-08 2001-04-02 이상준 인삼습식홍갈색화가열포트
KR20010036514A (ko) * 1999-10-08 2001-05-07 서창열 약탕기용 증기 응축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5561B1 (ko) * 1998-06-08 2001-04-02 이상준 인삼습식홍갈색화가열포트
KR20000020201U (ko) * 1999-04-30 2000-11-25 장인덕 가정용 중탕장치
KR200188017Y1 (ko) * 1999-06-30 2000-07-15 한종필 약탕기
KR20010036514A (ko) * 1999-10-08 2001-05-07 서창열 약탕기용 증기 응축기
KR200196438Y1 (ko) * 2000-03-24 2000-09-15 대웅전기산업주식회사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0286A (ko) 2001-10-18
KR200196438Y1 (ko) 200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4290B1 (en) Spray bottle fluid heating system having thermostatic control and automatic condensate recovery
RU2535461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использующие центрифугирование для экстракции жидкости, и средства компенсации тепловых потерь
JP5734975B2 (ja) 冷却された区画を持つコーヒーマシン
EP1484045B1 (en) Warm bath apparatus
JP3742392B2 (ja) コーヒーメーカーが備えられた電子レンジ
US20110271842A1 (en) Electric infusion beverage makers
US6571686B1 (en) Brew basket with overflow channel
JP3323503B2 (ja) 瞬間温水ディスペンサー
US5964143A (en) Brewing appliance having a tower with a water reservoir and brewing basket and an adjacently positioned pitcher receptacle
JP2005507295A (ja) 食物包含容器の加熱装置
CA1182297A (en) Drip coffeemaker
KR100361026B1 (ko) 약탕기 겸용 보온물통
US4356382A (en) Drip coffeemaker having a condenser eliminating delivery of steam to the water spreader
WO2008128609A1 (en) Highly flexible coffeepot for the production of a coffee based beverage
KR101689482B1 (ko) 커피 드립장치
US5715742A (en) Single chamber dynamic flow brewing device
JP2002119423A (ja) 蒸し器
CN211157450U (zh) 一种消毒烘干机
CN109771284A (zh) 一种节水型中药熬药装置
JPH04120748U (ja) 電気加熱器
KR200281597Y1 (ko) 약탕장치가 구비된 비데
CN110585453A (zh) 一种消毒烘干机
KR100260783B1 (ko) 가정용 중탕기
JP3744509B2 (ja) コーヒーメーカ
JP3751856B2 (ja) 飲料抽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