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5091B1 - 기밀방화댐퍼 - Google Patents

기밀방화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5091B1
KR100345091B1 KR1020000027048A KR20000027048A KR100345091B1 KR 100345091 B1 KR100345091 B1 KR 100345091B1 KR 1020000027048 A KR1020000027048 A KR 1020000027048A KR 20000027048 A KR20000027048 A KR 20000027048A KR 100345091 B1 KR100345091 B1 KR 100345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uct
damper
open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7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5925A (ko
Inventor
강신모
강일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공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공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공테크
Priority to KR1020000027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5091B1/ko
Publication of KR20010105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5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5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50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내부를 환기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기밀방화댐퍼에 관한 것으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에 돌출되어 항온항습 공기조화기에 연결되는 외부 급기덕트와 연결되는 프런트 덕트와, 상기 본체의 후방에 돌출되어 문화재 수장고에 연결되는 내부 급기덕트와 연결되는 리어 덕트로 구성되는 댐퍼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프런트 덕트의 내측에 설치되는 방범용 그릴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작동실의 리어 덕트측 내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모터를 동력원으로 하는 전동장치와; 상기 본체 작동실의 프런트 덕트측 내상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하향을 향해 수직상으로 고정 부착되어 있는 수개의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전동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정·역으로 회전하는 메인 회전축과; 상기 메인 회전축에 형성된 워엄에 치합되어 정·역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받는 워엄휠과; 및 상기 워엄휠과 함께 정·역으로 회전작동하는 작동축에 축착된 작동링크의 자유단에 고정 부착되어 상기 본체의 프런트 덕트측에 설치된 금속제 내벽면의 개폐구를 개폐하는 밀폐조절판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기밀방화댐퍼{Damper for preventing air and fire}
본 발명은 건물 내부를 환기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기밀방화댐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문화재를 보관하는 문화재 수장고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항온항습 공기조화기가 작동하여 공기를 공급시킬 때와 상기 공기조화기가 정지하였을 때 댐퍼의 개폐작동이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전동장치의 고장시 수동으로도 개폐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문화재 수장고 외부에서 화재가 발생되었을시 댐퍼가 자동으로 신속하게 폐쇄되도록 구성하여 문화재 수장고 내부로 연기 및 화기 등 위험인자가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건물에는 건물 내부의 공기를 환기시키는 환기덕트에는 댐퍼를 설치하고 있으며, 특히 각종 유물의 문화재를 보관하는 특정한 장소 예를 들면, 박물관 등에서는 항온항습 공기조화기를 이용하여 문화재를 보관 또는 전시하고 있는 수장고 및 전시실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므로서 문화재를 안전하게 보관 및 전시토록 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서의 문화재 수장고용 댐퍼는 개폐작동이 가능하고 또 방화기능과 방범기능을 담당할 수 있도록 금속재 철판을 이용하여 단일구조 또는 이중구조로 제작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수장고용 댐퍼는 댐퍼를 개폐조작하기 위하여 설치된 전원스위치박스의 개폐작동스위치를 수동으로 온/오프 조작해야만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수장고의 인접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되었을시 댐퍼가 자동으로 닫히지 않고 반드시 상기한 개폐작동스위치를 수동으로 조작하여야만 댐퍼를 폐쇄작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인접 건물의 화재시 수장고 관리자가 전원스위치박스의 작동스위치를 조작하기 까지는 환기를 위해 개방시켰던 댐퍼를 통해 연기 및 화기가 수장고 내부로 침투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어 왔으며, 또한 종래 수장고의 댐퍼는 폐쇄작동시 환기통로에 대하여 직각상태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 개방작동시는 환기통로와 수평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댐퍼가 완전히 닫히고 열리는 개폐각도가 대략 90°각도로 크기 때문에 댐퍼가 열린상태에서 닫힐 때의 시간이 긴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고, 나아가 댐퍼의 내면이 평면상으로 되어 있어 상기 댐퍼의 폐쇄작동시 틀체에 장착된 가스켓에 평면상으로 접촉하게 되므로 정밀한 기밀력을 기대하기 곤란하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문화재 수장고 내부로 온도 및 습도가 조절된 공기를 공급하는 항온항습 공기조화기의 급기덕트에 장설되어 상기 공기조화기가 작동될 때에는댐퍼가 자동으로 개방되고 상기 공기조화기가 정지될 때에는 댐퍼가 자동으로 폐쇄작동되는 한편, 댐퍼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전동장치의 고장시에는 수동으로 댐퍼를 개폐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수장고 내부의 공기가 역류하거나 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하여 수장고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밀력을 갖춘 댐퍼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또한 문화재 수장고가 설치된 건물의 외부에서 화재가 발생되었을시 그 화재현장의 연기가 상기 공기조화기의 급기덕트를 통해 수장고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이고 화기를 차단하는 방화력을 갖춘 댐퍼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으며, 또한 건물 외부에서 급기덕트를 통해 불법침입자가 문화재 수장고에 불법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범기능을 갖춘 댐퍼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에 돌출되어 항온항습 공기조화기에 연결되는 외부 급기덕트와 연결되는 프런트 덕트와, 상기 본체의 후방에 돌출되어 문화재 수장고에 연결되는 내부 급기덕트와 연결되는 리어 덕트로 구성되는 댐퍼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프런트 덕트의 내측에 설치되는 방범용 그릴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작동실의 리어 덕트측 내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모터를 동력원으로 하는 전동장치와;
상기 본체 작동실의 프런트 덕트측 내상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하향을 향해 수직상으로 고정 부착되어 있는 수개의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전동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정·역으로 회전하는 메인 회전축과;
상기 메인 회전축에 형성된 워엄에 치합되어 정·역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받는 워엄휠과; 및
상기 워엄휠과 함께 정·역으로 회전작동하는 작동축에 축착된 작동링크의 자유단에 고정 부착되어 상기 본체의 프런트 덕트측에 설치된 금속제 내벽면의 개폐구를 개폐하는 밀폐조절판;
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본체의 상부 일측에 베어링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수동작동축의 상단은 본체의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수동핸들이 축착되며, 상기 수동작동축의 하단은 본체의 내부로 진입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회전축의 일단에 축착된 연동베벨기어에 치합되는 구동베벨기어를 축착하여 상기 수동핸들을 수동으로 회전조작하여 상기 밀폐조절판을 개폐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전동장치는 모터 및 감속기 각각의 출력축과 입력축에 설치된 구동풀리와 연동풀리를 벨트로 연결하는 한편, 상기 감속기의 감속출력축과 상기 메인 회전축을 커풀링으로 연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본체의 프런트 덕트측에 설치된 금속제 내벽면과 금속제 외벽면 사이에 내화재를 충진하며, 상기 금속제 내벽면의 개폐구 주연부를 계단상으로 단층지게 형성하고, 상기 개폐구의 제1 단층면에는 내화패킹을, 제2 단층면에는 기밀패킹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밀폐조절판의 개폐면에 돌출되게 부착되어 상기 개폐구 주연부에 형성된 제1 단층면의 내화패킹과 접촉하는 표면금속판의 내측에 내화재를 개재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요부로서 도 2의 "A"부분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요부인 전동장치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작동실
3a,3b : 외·내부 급기덕트 4 : 전동장치
5 : 메인 회전축 6 : 밀폐조절판
7a : 폐쇄용 리미트 스위치 7b : 개방용 리미트 스위치
8 : 수동핸들 9 : 방범용 그릴
11 : 프런트 덕트 12 : 리어 덕트
13 : 금속제 내벽면 13a : 개폐구
13b,13c : 제1 및 제2 단층면 14 : 금속제 외벽면
15,65 : 내화재 16 : 내화패킹
17 : 기밀패킹 41 : 모터
42 : 감속기 46 : 커풀링
51 : 브라켓 52 : 워엄
53 : 연동베벨기어 61 : 작동축
62 : 워엄휠 63 : 작동링크
82 : 구동베벨기어 91 ; 에어벤트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며,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요부로서 도 2의 "A"부분 확대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요부인 전동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 1은 본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본체(1) 내부에는 비교적 넓은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작동실(2)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의 전방에는 프런트 덕트(11)가 건물벽면(W)을 관통할 수 있도록 길게 연장된 상태로서 건물의 외부에 설치된 항온항습 공기조화기(도시 없음)에 연결된 외부 급기덕트(3a)와 연결되는 프런트 덕트(11)가 설치되어 있고, 후방에는 건물 내부의 문화재 수장고 내부와 연통하도록 설치된 내부 급기덕트(3b)와 연결되는 리어 덕트(1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본체(1) 내부의 작동실(2)에는 전동장치(4)와 상기 전동장치(4)에 의하여 회전하는 메인 회전축(5) 그리고 상기 회전축(5)으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본체(1) 내부에서 프런트 덕트(11)를 개방 및 밀폐하는 밀폐조절판(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동장치(4)는 본체(1)의 리어 덕트(12)측 내상부에 설치되는데, 그 구성은 동력원으로서 정·역으로 회전구동하는 모터(41)와 감속기(42)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모터(41)의 출력축에 축착된 구동풀리(43)와 상기 감속기(42)의 입력축에 축착된 연동풀리(44)는 벨트(45)에 의하여 연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감속기(42)의 감속출력축과 상기 메인 회전축(5)은 커풀링(46)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메인 회전축(5)은 본체(1)의 프런트 덕트(11)측 내상부에 수개의 브라켓(51)에 의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메인 회전축(5)은 프런트 덕트(11)측에 근접한 부위에 워엄(5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워엄(52)의 대향측에는 연동베벨기어(53)가 축착되어 있다.
상기 메인 회전축(5)의 워엄(52) 하방에는 상기 워엄(52)과 직교하는 작동축(61)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축(61)에는 상기 워엄(52)과 치합하는 워엄휠(62)이 축착되어 있고, 또한 상기 작동축(61)에 일단이 축착된 작동링크(63)의 타단은 상기 밀폐조절판(6)에 부착되어 그 밀폐조절판(6)을 개폐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본체(1)의 프런트 덕트(11)측 벽면 즉, 건물벽면(W)에 밀착되는 부분의 구조는 상기 건물벽면(W) 외부에서의 화재발생시 화기를 차단할 수 있도록 금속판으로 된 금속제 내·외벽면(13)(14) 사이에 내화성이 우수하고 중량이 가벼운 세라믹 재질의 내화재(15)로 된 내화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프런트 덕트(11)와 연통하는 상기 금속제 내벽면(13)의 개폐구(13a)의 주연부는 계단상으로 된 제1 및 제2 단층면(13b)(13c)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단층면(13b)에는내화패킹(16 : FIRE PROOF PACKING)이 설치되며, 상기 제2 단층면(13c)에는 기밀성이 우수한 실리콘재질의 기밀패킹(1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밀폐조절판(6)은 그 개폐면에 가운데가 빈 금속돌출테(64)를 고정 부착시킨 다음 상기 금속돌출테(64)의 가운데 빈 공간에 내화성이 우수한 세락믹 보드로 된 내화재(65)를 충진시킨 상태에서 표면금속판(66)으로 복개시키는 구조로서 상기 밀폐조절판(6)을 닫으면서 상기 제1 및 제2 단층면(13b)(13c) 각각에 설치된 내화패킹(16) 및 기밀패킹(17)에 밀착되어 상기 프런트 덕트(11)를 통하여 유입되는 화기 및 연기 등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동장치(4)의 모터(41)는 본체(1)의 내상부 일측(프런트 덕트측)에는 상기 밀폐조절판(6)을 개폐작동시키는 작동축(61)상에 돌출된 스위치 작동간(67)에 의하여 동작하는 폐쇄용 리미트 스위치(7a)가 고정 설치되고, 타측(리어 덕트측)에는 상기 밀폐조절판(6)이 개방작동을 완료하였을 때 밀폐조절판(6)에 의하여 동작하는 개방용 리미트 스위치(7b)가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밀폐조절판(6)의 개폐작동을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프런트 덕트(11)의 내부에는 공기의 온·습도와 연기를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프런트 덕트(11)로 유입되는 공기가 설정된 온·습도로 공급되는지 또는 외부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시 연기가 프런트 덕트(11)로 유입되는지를 감지하여 상기 밀폐조절판(6)의 개폐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본체(1)의 상부에는 수동핸들(8)의 수동작동축(81)을 베어링 등으로 회전이 자유롭도록 설치하고, 상기 수동작동축(81)의 하단에는 상기 메인 회전축(5)의 연동베벨기어(53)와 치합하는 구동베벨기어(82)를 축착시키는 구조로서, 상기 전동장치(4)에 고장이 발생되거나 또는 자동 콘트롤장치(도시 없음)에 이상이 생겨 밀폐조절판(6)의 개폐작동을 제어할 수 없을 때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 덕트(11)의 내부에는 철판이 격자상으로 짜여진 방범용 그릴(9)을 설치하여 외부 침입자가 프런트 덕트(11)를 통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상기 프런트 덕트(11)의 선단부 즉, 건물벽면(W)으로 돌출된 부분에는 에어벤트(91)를 설치하여 상기 프런트 덕트(11) 내부의 압력이 순간적으로 상승하게 될 때 압력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문화재 수장고의 내부 공기를 환기시켜야 할 시기가 되면 자동 콘트롤장치가 작동하여 상기 본체(1)의 작동실(2)에 설치되어 있는 전동장치(4)의 모터(41)를 정해진 방향으로 구동시키게 되면 벨트(45)를 통하여 감속기(42)가 구동하게 되며, 상기 감속기(42)는 모터(41)의 회전력을 적당히 감속시켜 커풀링(46)으로 연결된 메인 회전축(5)을 정해진 방향으로 감속회전시키게 되는데, 상기 메인 회전축(5)의 워엄(52)에는 작동축(61)에 축착되어 있는 워엄휠(62)이 회전(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서 상기 작동축(61)도 상기 워엄휠(62)과 함께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또한 상기 작동축(61)에 작동링크(63)가 고정 상태로 축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작동링크(63)도 작동축(61)의 회전방향(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작동하는 작동링크(63)에는 밀폐조절판(6)이 부착되어 있으므 상기 밀폐조절판(6)도 함께 회전이동하는 상태가 되므로 상기 본체(1)의 프런트 덕트(11)측 벽면을 구성하고 있는 금속제 내벽면(13)의 개폐구(13a)가 개방되는 것이며, 상기 작동링크(63)의 회전작동에 따라 함께 회전이동하는 상기 밀폐조절판(6)이 상기 본체(1)의 작동실(2) 내상부 일측(리어 덕트측)에 설치되어 있는 개방용 리미트 스위치(7b)에 닿게 되면 상기 개방용 리미트 스위치(7b)가 동작하게 되며, 상기 전동장치(4)의 모터(41)는 상기 개방용 리미트 스위치(7b)의 동작신호를 받는 즉시로 정지하게 되므로 상기 밀폐조절판(6)이 정해진 개방각도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설정된 개방위치에 정확하게 정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밀폐조절판(6)이 개방되면 항온항습 공기조화기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외부 급기덕트(3a)를 프런트 덕트(11)로 유입되어 리어 덕트(12)를 통해 내부 급기덕트(3b)로 공급되므로서 문화재 수장고의 내부를 환기시키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항온항습 공기조화기를 이용하여 문화재 수장고의 내부를 정해진 시간 동안 환기작동을 완료하는 시점에 도달하거나 또는 건물 외부의 화재발생으로 인하여 화재현장에서 발생된 연기 및 화기가 상기 프런트 덕트(11)를 통해 유입될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은 각 센서(온·습도, 연기, 화기 등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말함)들이 동작하여 상기 프런트 덕트(11)로 유해인자(연기, 화기 등)가 유입되는 신호를 자동 콘트롤장치에 보내게 되면 상기 자동 콘트롤장치는 유해인자의 유입신호를 받는 즉시로 전동장치(4)의 모터(41)를 개방시와는 반대방향으로 구동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메인 회전축(5)도 개방시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워엄(52)에 치합되어 있는 워엄휠(62)과 상기 워엄휠(62)이 고정 설치되어 있는 작동축(61) 그리고 상기 작동축(61)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작동링크(63) 각각은 상기 밀폐조절판(6)을 폐쇄시키는 방향(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서 상기 작동링크(63)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밀폐조절판(6)이 금속제 내벽면(13)의 개폐구(13a)을 밀폐하여 프런트 덕트(11)를 통해 유해인자의 유입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도 2 참조)
상기와 같이 밀폐조절판(6)이 금속제 내벽면(13)의 개폐구(13a)를 폐쇄시키는 작동이 완료되는 시점에는 상기 작동축(61)에 돌출되어 있는 스위치 작동간(67)이 폐쇄용 리미트 스위치(7a)를 동작시켜 상기 전동장치(4)의 모터(41)를 정지시키게 되므로 상기 밀폐조절판(6)은 개폐구(13a)를 폐쇄작동시킨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1)의 프런트 덕트(11)측 벽면은 금속제 내·외벽면(13)(14)과 그 사이에 충진된 내화성이 우수한 내화재(15) 등 3중 구조로 되어 있으며, 또한 개폐구(13a)를 밀폐하고 있는 상기 밀폐조절판(6) 역시 두꺼운 철판으로 된 밀폐면과 표면금속판(66) 사이에 내화성이 우수한 세라믹 보드로 구성된 내화재(65)가 충진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화재현장에서 발생된 화기가 건물벽면(W)을 가열시키는 상태이면서 프런트 덕트(11)로 유입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더라도 화기의 열기가 본체(1)의 작동실(2)로 쉽게 전도되지 않게 하는 특징이 있으며, 또한 상기 금속제 내벽면(13)의 개폐구(13a)의 주연부에 형성된 제1 및 제2 단층면(13b)(13c)이 계단상으로 되어 있어 기밀력이 증대됨과 동시 제1 단층면(13b)에는 불연재 또는 내화성이 높은 재질로 된 내화패킹(16)이 설치되어 있어 프런트 덕트(11)로 유입된 화기를 차단하여 상기 제2 단층면(13c)에 설치된 기밀패킹(17)으로 화기에 영향을 받지 않고 기밀성을 그대로 보유케 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1) 내부의 작동실(2)에 설치된 전동장치(4)를 구성하고 있는 모터(41) 및 감속기(42) 등이 고장났을 경우 또는 자동 콘트롤장치에 이상이 생겨 밀폐조절판(6)을 자동으로 개폐작동을 제어할 수 없을 경우에는 상기 본체(1) 상부에 설치된 수동핸들(8)을 수동으로 회전작동시켜 상기 밀폐조절판(6)을 수동으로 개폐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수동핸들(8)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그 회전력이 구동베벨기어(82)와 치합되어 있는 연동베벨기어(53)에 전달되어 메인 회전축(5)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되므로 상기 밀폐조절판(6)을 수동을 개폐작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프런트 덕트(11) 내부에는 철판이 격자상으로 형성된 방범용 그릴(9)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외부 침임자가 침입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 상기 프런트 덕트(11)에 설치된 에어벤트(91)는 프런트 덕트(11)의 내부압력이 순간적으로 상승하게 될 때 압력을 방출시키게 되므로 개폐구(13a)를 밀폐하고 있던 밀폐조절판(6)이 상승된 압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기밀력을 상실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상기 밀폐조절판(6)의 밀폐작동시 외부의 오염인자가 본체(1) 내부는 물론이고 문화재 수장고 내부로 유입되는 사례를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댐퍼 본체 내부인 작동실에 모터와 감속기로 구성되는 전동장치와 상기 감속기의 감속출력축과 메인 회전축을 연결시키는 간단한 구조로 밀폐조절판을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된 수동핸들을 이용하여 상기 밀폐조절판을 수동으로 개폐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전동장치 또는 자동 콘트롤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될 때에는 상기 밀폐조절판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한편 상기 전동장치가 고장나거나 또는 자동 콘트롤장치에 이상이 생겼을 때에는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댐퍼 본체의 프런트 덕트측 벽면은 금속제로 된 내·외벽면과 그 사이에 내화성이 우수한 세라믹 울로 된 내화재가 충진되는 3중 구조로 구성하는 한편 밀폐조절판 역시 개폐면과 표면금속판 사이에 내화성이 우수한 세라믹 보드로 된 내화재를 충진시킨 3중 구조로 구성하여 단열성을 높힘과 동시 내화기능을 향상시켜 외부에서 발생된 화재현장의 화기가 프런트 덕트로 유입되더라도 댐퍼 본체 자체가 발화되거나 화기 및 열기가 댐퍼 본체의 내부는 물론이고 문화재 수장고로 유입되는 현상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프런트 덕트를 통해 침입자가 침범하지 못하도록 하여 문화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하는 등의 이점을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5)

  1.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에 돌출되어 항온항습 공기조화기에 연결되는 외부 급기덕트와 연결되는 프런트 덕트와, 상기 본체의 후방에 돌출되어 문화재 수장고에 연결되는 내부 급기덕트와 연결되는 리어 덕트로 구성되는 댐퍼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프런트 덕트의 내측에 설치되는 방범용 그릴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작동실의 리어 덕트측 내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모터를 동력원으로 하는 전동장치와;
    상기 본체 작동실의 프런트 덕트측 내상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하향을 향해 수직상으로 고정 부착되어 있는 수개의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전동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정·역으로 회전하는 메인 회전축과;
    상기 메인 회전축에 형성된 워엄에 치합되어 정·역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받는 워엄휠과; 및
    상기 워엄휠과 함께 정·역으로 회전작동하는 작동축에 축착된 작동링크의 자유단에 고정 부착되어 상기 본체 작동실의 프런트 덕트측에 설치된 금속제 내벽면의 개폐구를 개폐하는 밀폐조절판;
    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방화댐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 일측에 베어링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수동작동축의상단은 본체의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수동핸들이 축착되며, 상기 수동작동축의 하단은 본체의 내부로 진입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회전축의 일단에 축착된 연동베벨기어에 치합되는 구동베벨기어를 축착하는 구조로서 정전시에 전동장치가 작동하지 못할 때 수동작동으로 상기 수동핸들을 수동으로 회전조작하여 상기 밀폐조절판을 개폐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방화댐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장치는 모터 및 감속기 각각의 출력축과 입력축에 설치된 구동풀리와 연동풀리를 벨트로 연결하는 한편, 상기 감속기의 감속출력축과 상기 메인 회전축을 커풀링으로 연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방화댐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프런트 덕트측에 설치된 금속제 내벽면과 금속제 외벽면 사이에 세라믹 울로 된 내화재를 충진하며, 상기 금속제 내벽면의 개폐구 주연부를 계단상으로 단층지게 형성하고, 상기 개폐구의 제1 단층면에는 내화패킹을, 제2 단층면에는 기밀패킹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방화댐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조절판의 개폐면에 돌출되게 부착되어 상기 개폐구 주연부에 형성된 제1 단층면의 내화패킹은 표면금속판의 내측에 단열재용 세라믹 보드로 된 내화재를 취부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방화댐퍼.
KR1020000027048A 2000-05-19 2000-05-19 기밀방화댐퍼 KR100345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7048A KR100345091B1 (ko) 2000-05-19 2000-05-19 기밀방화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7048A KR100345091B1 (ko) 2000-05-19 2000-05-19 기밀방화댐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5925A KR20010105925A (ko) 2001-11-29
KR100345091B1 true KR100345091B1 (ko) 2002-07-24

Family

ID=19669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7048A KR100345091B1 (ko) 2000-05-19 2000-05-19 기밀방화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50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7528A (ko) 2021-03-11 2022-09-20 전준열 일체형 전동방화댐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58185B (zh) * 2020-05-15 2021-05-11 安徽新盾消防设备有限公司 一种防火门
KR102386091B1 (ko) * 2020-06-16 2022-04-12 신승용 단열차단판을 구비한 방화댐퍼
KR102551777B1 (ko) * 2021-02-06 2023-07-04 신승용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 방지용 덕트관연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7167A (ko) * 1982-11-29 1984-12-05 원본미기재 방화용 댐퍼
JPH01171576A (ja) * 1987-12-28 1989-07-06 Toshiba Corp リニア搬送装置用の防火ダンバ
US5810662A (en) * 1996-04-03 1998-09-22 Tomkins Industries, Inc. Compact smoke and fire damper with over center latch
KR200149248Y1 (ko) * 1997-04-18 1999-06-15 유병규 개폐각도 조절이 가능한 제연댐파의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7167A (ko) * 1982-11-29 1984-12-05 원본미기재 방화용 댐퍼
JPH01171576A (ja) * 1987-12-28 1989-07-06 Toshiba Corp リニア搬送装置用の防火ダンバ
US5810662A (en) * 1996-04-03 1998-09-22 Tomkins Industries, Inc. Compact smoke and fire damper with over center latch
KR200149248Y1 (ko) * 1997-04-18 1999-06-15 유병규 개폐각도 조절이 가능한 제연댐파의 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7528A (ko) 2021-03-11 2022-09-20 전준열 일체형 전동방화댐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5925A (ko) 2001-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7891B1 (ko) 수막형성 방화문틀 및 그 시공방법
US5916077A (en) Composite fire-proof, heat-barrier door
KR100623969B1 (ko) 회전식 방화판
JP4891628B2 (ja) 換気装置
KR100345091B1 (ko) 기밀방화댐퍼
TR201808161A2 (tr) Kompakt dolaplarda yeni̇li̇k
WO2015177874A1 (ja) 室内設備の冠水を防止する防火扉
JP4796380B2 (ja) 建物の警備装置
KR101597890B1 (ko) 수막형성 방화문틀 및 그 시공방법
JP2020183679A (ja) 原子力発電施設用閉止装置
JP3941588B2 (ja) アトリウムの防災システム
KR100340021B1 (ko) 귀중품 보관실용 댐핑장치
EP1518035A1 (en) Revolving door
JP2000297489A (ja) 建物の防火構造
JP2003120141A (ja) 防火扉
KR100315214B1 (ko) 문화재 수장고용 기밀방화댐퍼
KR20150030996A (ko) 화재 대피소를 구비한 헬리데크
JP6567898B2 (ja) シャッター装置
JP3171545B2 (ja) 防火防煙設備
CN214403306U (zh) 一种具备阻隔有害气体流通功能的高阻燃钢木质防火门
CN213627319U (zh) 一种双扇带玻璃木质防火门
JP2001170195A (ja) 地下室用防火扉
KR102189013B1 (ko) 제연설비의 환기겸용 급기댐퍼
CN218033534U (zh) 带有防火阀门的建筑通风器
JPH05332067A (ja) 自動取引装置用ブ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