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4768B1 -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4768B1
KR100344768B1 KR1019990051439A KR19990051439A KR100344768B1 KR 100344768 B1 KR100344768 B1 KR 100344768B1 KR 1019990051439 A KR1019990051439 A KR 1019990051439A KR 19990051439 A KR19990051439 A KR 19990051439A KR 100344768 B1 KR100344768 B1 KR 100344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forming
floating gate
float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1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7288A (ko
Inventor
양경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19990051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4768B1/ko
Publication of KR20010047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7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4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47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825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with a floating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055Deposition of semiconductive layers, e.g. poly - or amorphous silicon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3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H10B41/35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with a cell select transistor, e.g. N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 어레이(cell array) 내에서 플로팅게이트(floating gate) 단차를 줄이어 소자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은 반도체기판 상에 제 1게이트를 형성하는 공정과, 반도체기판 상에 제 1게이트를 노출시키도록 제 1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절연막 상에 상기 제 1게이트와 연결되도록 다결정실리콘을 증착하여 패턴 식각하여 제 2게이트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2게이트 표면에 HSG(Hemi Spheric Glass)처리하여 다 수개의 반구형입자를 형성시키어 상기 제 1게이트와 상기 표면에 다 수개의 반구형입자가 형성된 제 2게이트로 된 플로팅게이트를 형성하는 공정과, 플로팅게이트 상에 유전체층을 개재시키어 콘트롤게이트를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플로팅게이트의 제 2게이트 표면에 다 수개의 반구형입자를 형성함으로써, 플로팅게이트와 콘트롤게이트 간의 커플링비가 향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플로팅게이트 표면적이 증가되므로 단차를 낯춰 안정적인 구조로 제조가능함에 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된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Method of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s}
본 발명은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셀 어레이(cell array) 내에서 플로팅게이트(floating gate) 단차를 줄이어 소자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반도체장치의 제조 공정 단면도로, 도 1a 내지 도 1f는 x축 방향에서 본 반도체장치의 제조 공정 단면도이고, 도 2a 내지 도 2f는 y축 방향에서 본 반도체장치의 제조 공정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2a와 같이, 반도체기판(100)상에 소자격리를 위한 필드산화막(102)을형성한 후, 게이트절연막(104)을 개재시키어 제 1게이트(106)를 형성한다.
이 후, 제 1게이트(106) 측면에 절연측벽(108a)을 형성한다.
도 1b 및 도 2b와 같이, 필드산화막(102) 및 절연측벽(108a)을 포함한 제 1게이트(106) 상에 HLD(High temperature Low pressure Deposition)방법으로 산화실리콘을 증착한 후, 제 1게이트(106)가 노출되도록 패턴식각하여 제 1절연막(108)을 형성한다. C1은 제 1절연막(108)에 형성된 콘택홀이 된다.
도 1c 및 도 2c와 같이, 제 1절연막(108) 상에 다결정실리콘을 증착한 후, 제 1게이트(106)과 연결되도록 패턴 식각하여 제 2게이트(120)을 형성한다.
제 1게이트(106)과 제 2게이트(120)은 플로팅게이트가 된다.
이 후, 제 2게이트(120) 상에 유전체층이 될 ONO(Oxide-Nitride-Oxide)층(122)을 형성한다.
도 1d및 도 2d와 같이, ONO층(122) 상에 콘트롤게이트(control gate) 형성용 다결정실리콘층(124)을 형성한다.
다결정실리콘층(124) 상에 산화실리콘을 증착한 후, 제 1게이트(106)과 대응된 부분을 덮도록 패턴 식각하여 제 2절연막(126)을 형성한다.
도 1e및 도 2e와 같이, 다결정실리콘층(124) 상에 감광막을 도포한 후, 제 2절연막(126)을 일부 덮되 콘트롤게이트 형성영역이 정의되도록 패턴 식각하여 감광막패턴(130)을 형성한다.
도 1f및 도 2f와 같이, 제 2절연막 및 감광막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다결정실리콘층 및 ONO층을 제거한다. 이 때, 식각된 다결정실리콘층은 콘트롤게이트가 되며, 식각된 ONO층은 유전체층이 된다.
이 후, 감광막패턴을 제거한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제 1게이트와 제 2게이트가 결합되어 플로팅게이트가 되고, 유전체층인 ONO층을 개재시키어 콘트롤게이트를 형성하였다.
종래의 구조에 프로그래밍 볼티지(programing voltage)를 인가해 주면, 소오스와 드레인 간의 액티브로부터 채널이 형성되어 채널 핫전자 주입방식에 의해 플로팅게이트로 전자가 주입된다. 이때, 플로팅게이트에 주입된 전자에 의해 해당 셀 이 프로그램된다.
플로팅게이트에서 이레이즈(erase)하는 경우, 이레이즈볼티지를 소오스와 이레이즈게이트 사이에 인가해 주면, Fowler-Nordheim형 터널링에 의해 플로팅게이트에 있던 전자가 이레이즈게이트로 빠져 나가게 된다.
상기 두 경우, 유전체층인 ONO층의 커플링비(coupling ratio)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서는 상기 두 경우 커플링비를 얻기 위해 일정 수준의 정전용량이 필요하며, 그에 따라 커플링비를 위한 플로팅게이트의 표면적이 커지게 되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플로팅게이트의 단차가 심하여 식각량이 과다하게 발생되어 공정마진을 확보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목적은 플로팅게이트의 단차를 낮추면서 표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의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은 반도체기판 상에 제 1게이트를 형성하는 공정과, 반도체기판 상에 제 1게이트를 노출시키도록 제 1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절연막 상에 상기 제 1게이트와 연결되도록 다결정실리콘을 증착하여 패턴 식각하여 제 2게이트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2게이트 표면에 HSG(Hemi Spheric Glass)처리하여 다 수개의 반구형입자를 형성시키어 상기 제 1게이트와 상기 표면에 다 수개의 반구형입자가 형성된 제 2게이트로 된 플로팅게이트를 형성하는 공정과, 플로팅게이트 상에 유전체층을 개재시키어 콘트롤게이트를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이 특징이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반도체장치의 제조 공정 단면도로,
도 1a 내지 도 1f는 x축 방향에서 본 반도체장치의 제조 공정 단면도이고,
도 2a 내지 도 2f는 y축 방향에서 본 반도체장치의 제조 공정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장치의 제조 공정 단면도로,
도 3a 내지 도 3g는 x축 방향에서 본 반도체장치의 제조 공정 단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g는 y축 방향에서 본 반도체장치의 제조 공정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장치의 제조 공정 단면도로, 도 3a 내지 도 3g는 x축 방향에서 본 반도체장치의 제조 공정 단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g는 y축 방향에서 본 반도체장치의 제조 공정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4a와 같이, 반도체기판(200)상에 소자격리를 위한 필드산화막(202)을 형성한 후, 게이트절연막(204)을 개재시키어 제 1게이트(206)를 형성한다.
이 후, 제 1게이트(206) 측면에 절연측벽(208a)을 형성한다.
도 3b 및 도 4b와 같이, 필드산화막(202) 및 절연측벽(208a)을 포함한 제 1게이트(206) 상에 HLD 방법으로 산화실리콘을 증착한 후, 제 1게이트(206)가 노출되도록 패턴식각하여 제 1절연막(208)을 형성한다.
도 3c 및 도 4c와 같이, 제 1절연막(208) 상에 다결정실리콘을 증착하여 제 1게이트(206)과 연결되도록 패턴 식각한 후, HSG(Hemi Spheric Glass)처리함으로써 표면에 다 수개의 반구형입자를 갖는 제 2게이트(220)이 형성된다.
이 때, 제 1게이트(206)과 표면에 다 수개의 반구형입자를 갖는 제 2게이트(220)은 플로팅게이트가 된다.
도 3d및 도 4d와 같이, 제 2게이트(220) 상에 유전체층이 될 ONO층(222)을 형성한다.
도 3e및 도 4e와 같이, ONO층(222) 상에 콘트롤게이트 형성용 다결정실리콘층(224)을 형성한다.
다결정실리콘층(224) 상에 산화실리콘을 증착한 후, 제 1게이트(206)과 대응된 부분을 덮도록 패턴 식각하여 제 2절연막(226)을 형성한다.
도 3f및 도 4f와 같이, 다결정실리콘층(224) 상에 감광막을 도포한 후, 제 2절연막(226)을 일부 덮되 콘트롤게이트 형성영역이 정의되도록 패턴 식각하여 감광막패턴(230)을 형성한다.
도 3g및 도 4g와 같이, 제 2절연막 및 감광막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다결정실리콘층 및 ONO층을 제거한다. 이 때, 식각된 다결정실리콘층은 콘트롤게이트가 되며, 식각된 ONO층은 유전체층이 된다.
이 후, 감광막패턴을 제거한다.
본 발명에서는 플로팅게이트의 제 2게이트 표면에 다 수개의 반구형입자를 형성함으로써, 플로팅게이트와 콘트롤게이트 간의 커플링비를 향상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플로팅게이트의 제 2게이트 표면에 다 수개의 반구형입자를 형성함으로써, 플로팅게이트와 콘트롤게이트 간의 커플링비가 향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플로팅게이트 표면적이 증가되므로 단차를 낯춰 안정적인 구조로 제조가능함에 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된 잇점이 있다.

Claims (1)

  1. 반도체기판 상에 제 1게이트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도체기판 상에 제 1게이트를 노출시키도록 제 1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절연막 상에 상기 제 1게이트와 연결되도록 다결정실리콘을 증착하여 패턴 식각하여 제 2게이트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2게이트 표면에 HSG(Hemi Spheric Glass)처리하여 다 수개의 반구형입자를 형성시키어 상기 제 1게이트와 상기 표면에 다 수개의 반구형입자가 형성된 제 2게이트로 된 플로팅게이트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플로팅게이트 상에 유전체층을 개재시키어 콘트롤게이트를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한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KR1019990051439A 1999-11-19 1999-11-19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KR100344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1439A KR100344768B1 (ko) 1999-11-19 1999-11-19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1439A KR100344768B1 (ko) 1999-11-19 1999-11-19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7288A KR20010047288A (ko) 2001-06-15
KR100344768B1 true KR100344768B1 (ko) 2002-07-20

Family

ID=19620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1439A KR100344768B1 (ko) 1999-11-19 1999-11-19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476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0107A (ja) * 1991-10-14 1993-04-30 Sony Corp フローテイングゲートを有する半導体装置
JPH1140780A (ja) * 1997-07-17 1999-02-12 Hitachi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0107A (ja) * 1991-10-14 1993-04-30 Sony Corp フローテイングゲートを有する半導体装置
JPH1140780A (ja) * 1997-07-17 1999-02-12 Hitachi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7288A (ko)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02964A (en) Method for forming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floating gate
US5270240A (en) Four poly EPROM process and structure comprising a conductive source line structure and self-aligned polycrystalline silicon digit lines
KR100239459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0136995B1 (ko) 비휘발성메모리셀의제조방법
KR0183877B1 (ko)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6562681B2 (en) Nonvolatile memories with floating gate spacers, and methods of fabrication
US5872036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plit-gate flash memory cell
JP4027446B2 (ja) 不揮発性メモリ製造方法
US5972752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flash memory cell having a tunnel oxide with a long narrow top profile
KR20050066871A (ko) 높은 커플링비를 갖는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5756384A (en) Method of fabricating an EPROM cell with a high coupling ratio
KR100525005B1 (ko) 스플릿 게이트형 플래쉬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5607871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flash EEPROM cell using the select gates as a mask
KR20040023716A (ko)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 방법
US5932910A (en) Flash memory cell structure having electrically isolated stacked gate
KR100344768B1 (ko)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KR100665835B1 (ko) 스플리트 게이트형 플래시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US6995060B2 (en) Fabrication of integrated circuit elements in structures with protruding features
US6458659B1 (en) Method of fabricating non-volatile memory devices integrated in a semiconductor substrate and organized into memory matrices
KR100187679B1 (ko) 플래쉬 메모리 셀의 제조방법
KR100223274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0155581B1 (ko) 부유 게이트를 사용한 반도체 소자 및 그 형성 방법
KR100339420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751661B1 (ko) 플래쉬 메모리 셀의 제조 방법
KR100536799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