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4750B1 - 방청지 - Google Patents

방청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4750B1
KR100344750B1 KR1020000018310A KR20000018310A KR100344750B1 KR 100344750 B1 KR100344750 B1 KR 100344750B1 KR 1020000018310 A KR1020000018310 A KR 1020000018310A KR 20000018310 A KR20000018310 A KR 20000018310A KR 100344750 B1 KR100344750 B1 KR 100344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layer
rust preventive
desiccant
r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8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4902A (ko
Inventor
나가무라마사히로
Original Assignee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000018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4750B1/ko
Publication of KR20010094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4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4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47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4Paper recycling

Landscapes

  • Paper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생지로서 재사용할 수 있는 방청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지층(3)의 하면에 방습제층(5)이 적층되므로써 방청지(1)가 구성된다. 지층(3)은 방청제가 함침된 종이소재로 구성되어 있다. 종이소재에는 중성지가 이용된다. 방습제층(5)은 지층(3)의 하면에 물에 분리 분해되는 성질(수용성 또는 수분산성)을 가진 방습제를 도포하므로써 형성한다. 방습제층(5)의 하면에 또다른 지층 또는 보강재층이 적층되어도 무방하다.

Description

방청지{Anticorrosive Paper}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금속코일 등의 금속제품의 포장 등에 이용되는 방청지에 관한 것이다.
철망재료, 동합금재료 등으로 된 금속제품이 종이제 포장재, 단(段)마분지박스 등으로 포장되어 보관되거나 유통되면, 종이제 포장재, 단마분지박스 등이 습기를 흡수하게 되고, 흡수된 수분에 의해 금속제품에 녹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잠열이 큰 금속제품의 경우에는 이슬이 맺히게 되어, 수분에 의해 금속제품에 녹이 발생한다.
금속제품의 녹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출하 시에 금속제품의 표면에 방청유 등을 도포(塗工)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녹 발생을 방지할 수 있지만, 방청유를 도포하는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금속제품의 제조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금속제품을 사용하기 전에 방청유를 제거하는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금속제품의 이용자로부터도 외면 당하게 된다.
종이에 방청제를 함침시킨 방청지를 이용하여 금속제품을 포장하는 수단도 제안되었다. 이 방법에서는 방청지로부터 기화한 방청제가 금속제품의 표면에 부착되므로써 금속제품의 녹 발생이 방지된다. 그러나, 기화한 방청제의 일부는 방청지의 외부로도 비산되므로, 기화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방청효과가 지속되지 않는다. 따라서, 포장된 금속제품이 장기간 보관될 때에는 방청지를 통해 외부로부터 침입한 수분에 의해 녹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방청제가 함침된 종이의 한쪽 면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으로 된 합성수지층이 적층된 방청지도 제안되었다. 이러한 방청지에서는 방청제가 외부로비산되는 것이 합성수지층에 의해 방지되고, 방청효과가 지속된다. 또한, 합성수지층에 의해 외부로부터 수분의 침입이 방지되어 포장된 금속제품의 녹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최근에, 자원절약, 환경보호 등의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재사용 가능한 방청지가 요망되고 있다. 그런데, 합성수지층이 적층된 종래의 방청지의 경우, 재생지로서 이용하려고 해도 합성수지가 수중에서 거의 분리 분해(이해 離解)가 되지 않아 재생지속에 합성수지가 불순물로 혼입되어, 재생지의 품질을 저하시키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방청지는 재사용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부득이하게 이러한 방청지를 소각 처분하는 경우에는, 합성수지의 산화에 의해 다량의 이산화탄소가 발생하게 되므로, 지구온난화 방지라는 관점에서 볼 때 바람직하지 않다. 더욱이 방청지가 폐기된 경우에는 자연환경 속에서 합성수지가 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환경 속에 잔존하게 되어 환경파괴를 일으키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감안한 것으로, 재생지로서 재사용할 수 있는 방청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종이소재에 방청제가 부착된 지층과, 물에서 분리 분해되는 성질(水離解性)을 가진 방청제로 이루어진 방습제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청지이다.
본 발명의 방청지는 방청제가 부착된 지층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것을 이용하여 금속제품을 포장하면, 지층으로부터 기화한 방청제가 금속제품표면에 부착하게 되어 녹 발생이 방지된다. 방청제를 부착시키는 방법으로서는 방청제를 함침시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청지는 방습제층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기화한 방청제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이 방지되고, 방청효과가 지속된다. 또한, 방습제층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수분 침입이 방지되므로써, 포장된 금속제품의 녹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방청지의 방습제층은 물에서 분리 분해되는 성질을 가진 방습제로 구성되고, 지층은 본래 물에서 분리 분해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방습지 전체가 물에서 분리 분해될 수 있다. 이 때문에, 방청지를 재생지로 사용할 수 있고, 물에서 분리 분해된 방습제는 물과 함께 그때마다 미생물등의 처리를 거쳐 버려진다. 따라서, 재생지속에 합성수지 성분이 혼입되는 경우가 없고, 재생지의 품질이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물에서 분리 분해되는 성질을 가진 방습제는 수용성 방습제 또는 수분산성 방습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종이소재에 방청제가 부착된 지층과, 물에서 분리 분해되는 성질을 가진 방습제로 된 방습제층과, 종이소재로 된 또다른 지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방청지를 구성하면, 방청지의 강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방습제층이 표면에 나타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방습제 속의 성분이 다르게 전이하는 현상이 억제된다. 또한, 또다른 지층을 종이소재에 방청제가 부착된 지층으로 구성하면, 방청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종이소재에 방청제가 부착된 지층과, 물에서 분리 분해되는 성질을 가진 방습제로 된 방습제층과, 보강재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방청지를 구성하면, 방청지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이 보강재층이 물에서 분리 분해되는 성질을 가지도록 하면, 보강재층을 제거하지 않고도 방청지를 재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방청지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방청지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방청지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7, 15 : 방청지
3, 9, 17 : 지층
5, 11, 19 : 방습제층
13 : 또다른 지층
21 : 보강재층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인 방청지(1)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방청지(1)는 지층(3)의 하면에 방습제층(5)이 적층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층(3)으로는 종이소재를 이용한다. 이용되는 종이소재로는 예를 들면, 상질지(上質紙), 중질지(中質紙), 쇄()크라프트지, 미쇄(未)크라프트지, 편절미쇄크라프트지, 라이너지, 지관원지(紙管原紙), 중성크라프트지, 코트지, 크레이프지, 재생지 등이 권장된다. 그 중에서도, 포장하는 금속제품의 녹 발생을 방지한다는 관점에서 그 pH가 6.5 이상 7.5 이하이고, 그 염소이온농도가 0.01중량% 이하이며, 황산이온농도가 0.01중량% 이하의 중성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이소재의 중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30g/m2이상 1000g/m2이하의 것 중에서 사용목적에 따라 적합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지층(3)을 구성하는 종이소재에는 방청제가 함침되어 있다. 사용되는 방청제의 종류는 포장된 금속제품의 재질 등에 따라 적합하게 선정한다. 방청제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면, 지방산염, 안식향산염, 아초산염등의 수용액 또는 알콜(예를 들면, 메탈, 인프로필알콜, 에탄올 등)용액 등이 권장된다. 이러한 수용액 및 용액의 농도는 예를 들면, 10중량% 이상 50중량% 이하이다. 방청제의 함침은 일반적으로는 종이소재에 방청액을 도포 또는 침지하여 이루어진다. 방청제의 도포량은 고형분 환산으로 8g/m2이상 30g/m2이하가 바람직하고, 특히 10g/m2이상 15g/m2이하가 바람직하다. 도포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방청효과가 불충분한 경우가 있다. 반대로 도포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지층(3)의 상면이 끈적거리게 되어 방청제가 결정화되는 경우가 있다.
방습제층(5)은 지층(3)의 하면에 물에서 분리 분해되는 성질을 가진 방습제를 도포하므로써 형성된다. 사용된 물에서 분리 분해되는 성질의 방습제로서는 왁스에멀젼, 수지에멀젼, 라텍스, 이것의 혼합물 등의 공지의 방습제가 사용된다. 방습제에는 필요에 따라 탄화수소계 올리고머(oligomer), 계면활성제, 분산제, 안정제, 안료 등이 배합되어도 좋다. 방습제의 도포량은 고형분 환산으로 5g/m2이상 50g/m2이하가 바람직하고, 특히 10g/m2이상 30g/m2이하가 바람직하다. 도포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방습효과가 불충분하게 되고, 외부로부터 방청지(1)를 통해 수분이 내부에 침입할 수 있다. 반대로, 도포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방습제의 비용이 상승되어 비교적 방습효과가 한계점에 도달되어 비경제적일 수 있다.
방습제를 종이소재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공지의 각종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키스롤코터, 바코터, 롤코터, 블레이드코터, 키스코터 등에 의한 방법을 사용하면 바람직하다.
상기 방청지(1)를 사용하여 금속제품을 포장하는 경우에는 지층(3)이 내측으로 오도록 한다. 그러면, 지층(3)으로부터 방청제가 기화하여 금속제품의 표면에 부착하게 되어, 녹 발생이 방지된다. 외측에 위치하는 방습제층(5)은 수분이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방청제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방청지(1)를 사용한 후 재생지로 가공하는 경우에는, 우선 방청지(1)를 소정 치수로 재단하고, 수중에서 교반한다. 그러면, 지층(3) 및 방습제층(5)이 분리 분해된다. 다음에, 이것을 들어올려 건조시켜 재생지를 얻는다. 방습제는 물에 분리 분해되므로써 재생지 중에는 거의 혼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재생지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물에 분리 분해된 방습제는 물과 함께 버려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방청지(7)의 일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 방청지(7)는 종이소재에 방청제를 부착한 지층(9), 방습제층(11) 및 또다른 지층(13)을 적층시켜 구성되어 있다. 지층(9) 및 방습제층(11)의 구성은 각각 도 1에 도시된 방청지(1)의 지층(3) 및 방습제층(5)의 구성과 동일하다.
상기 또다른 지층(13)은 종이소재에 방청제를 함침시킨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용된 종이소재의 재질 및 중량, 그리고 이용된 방청제의 성분 및 도포량은 도 1에 도시된 방청지(1)의 지층(3)과 동일하다.
상기 방청지(7)는 금속제품의 낱개 포장에 이용하기에 적합하다. 복수개의낱개 포장체는 단마분지박스 등의 외포장재속에 수납된다. 예를 들면, 지층(9)을 내측으로 하여 금속제품이 낱개 포장되면, 상기 지층(9)으로부터 기화한 방청제가 금속제품의 녹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측으로 된 다른 지층(13)으로부터도 방청제가 기화하여 외포장재속에 충만하게 된다. 따라서, 일부의 낱개 포장체의 방청지(7)가 파단되어도, 외포장재 중에 충만된 방청제에 의해 금속제품의 녹 발생이 방지된다.
상기 방청지(7)에서는 상면 및 하면이 종이소재이기 때문에, 방습제층(11)이 표면에 나타나지 않고, 이 때문에, 피포장체와 외포장재에 방습제 중의 성분이 전이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상면 및 하면이 종이소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방청지(7)의 강도가 향상된다. 방청제가 함침되어 있지 않은 종이소재를 상기한 또다른 지층(13)으로 이용한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방청지(7)에 있어서, 지층(9) 및 다른 지층(13)에 쇼오가공을 하여도 무방하다. 이것에 의하면, 방청지(7)에 응력완화성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밴드형의 방청지(7)로 환형의 금속제품을 나선형으로 권선한 경우에 방청지(7)가 금속제품의 형상대로 이루어지고, 방청지(7)로 금속제품을 간극 없이 피복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방청지(15)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방청지(15)는 종이소재에 방청제가 부착된 지층(17), 방습제층(19) 및 보강재층(21)이 적층된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 지층(17) 및 방습제층(19)의 구성은 각각 도 1에 도시된 방청지(1)의 지층(3) 및 방습제층(5)의 구성과 동일하다.
보강재층(21)은 예를 들면, 수지크로스, 울프, 수지필름, 부직포 등의 보강재로 구성되어 있다. 보강재층(21)을 형성하므로써 방청지(15)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보강재층(21)을 구비한 방청지(15)를 재생지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방습제층(19)이 물에서 분리 분해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보강재층(21)이 이탈되어 용이하게 보강재층(21)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보강재층(21)이 재생지속에 혼입되지 않는다. 보강재층(21)은 물에서 분리 분해되는 성질을 가진 보강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방습제층(19)과 함께 보강재층(21)도 물에 분리 분해되므로써, 보강재층(21)을 제거하지 않고도 방청지(15)를 재생지로 사용할 수 있다. 물에 분리 분해되는 성질을 가진 보강재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콜제의 보강재(구체적으로는 크라시 사의 「크라론 K-」Ⅱ가 권장됨)등이 권장된다.
본 발명의 방청지의 구성은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구성만으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인쇄층을 형성하고, 다른 보강층을 형성하며, 다른 지층을 형성하는 등,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재생지로서 재사용할 수 있는 방청지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종이 소재에 방청제가 부착된 지층과, 물에서 분리 분해되는 성질을 가진 방습제로된 방습제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청지.
  2. 제1항에 있어서,
    종이 소재에 방정체가 부착된 지층과, 물에서 분리 분해되는 성질을 가진 방습제로 된 방습제층과, 종이소재로 된 또다른 지층을 순차적으로 적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청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또다른 지층은, 종이소재에 방청제가 부착된 지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청지.
  4. 제1항에 있어서,
    종이소재에 방청재가 부착된 지층과, 물에서 분리 분해되는 성질을 가진 방습제로 이루어진 방습제층과, 보강재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방청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층은, 물에서 분리 분해되는 성질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청지.
KR1020000018310A 2000-04-07 2000-04-07 방청지 KR100344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8310A KR100344750B1 (ko) 2000-04-07 2000-04-07 방청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8310A KR100344750B1 (ko) 2000-04-07 2000-04-07 방청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4902A KR20010094902A (ko) 2001-11-03
KR100344750B1 true KR100344750B1 (ko) 2002-07-20

Family

ID=37531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8310A KR100344750B1 (ko) 2000-04-07 2000-04-07 방청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47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985B1 (ko) * 2006-01-05 2007-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59899B1 (ko) * 2011-08-10 2014-02-18 주식회사 시노펙스 철강코일 모서리용 보호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4902A (ko) 200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2947262C2 (de) Faltbehälter aus Wellpappe
EP2445715B1 (en) Laminated material and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US5736231A (en) Protective wrap with additive delivery system
US2534201A (en) Carton having metal corrosion inhibiting characteristics
DE3115754A1 (de) "verpackungsmaterial in form von laminiertem bahn- oder bogenmaterial"
DE60319448T2 (de) Kreuzgewebe-frachtrückhaltesystem und verfahren
WO2011067250A1 (de) Beutelverpackung mit klebelasche
DE60017949T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ehrschichtverpackungsmaterials
KR100344750B1 (ko) 방청지
US2898026A (en) Corrosion inhibiting container for metal articles
DE7818669U1 (de) Vorrichtung, geeignet zur aufnahme und anwendung von schaedlingsbekaempfungsmitteln
WO2010142676A1 (de) KONISCHE VERPACKUNG MIT VERBESSERTER AUFREIßÖFFNUNG
JPH1081359A (ja) 添加剤分配機構を有するラップ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3568803B2 (ja) 防錆紙
CA1231681A (en) Animal repellent bag packag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US6544629B1 (en) Food grade laminate
KR102421652B1 (ko) 기화성 방청기능과 정전기 방지 기능이 있는 알루미늄 진공포장재 제조방법
EP2750877B1 (en) A non-composite packaging material with a high tearing resistance
CA2669936A1 (en) Packaging for high moisture bar soap
DE102013215328A1 (de) Transportverpackung
JPH06247473A (ja) 防錆クロス
JP2001001457A (ja) 防湿防錆緩衝紙
JP2003165180A (ja) 防錆シート
JP2005206976A (ja) 再生可能な防湿包装紙
WO2023227780A1 (de) Verpackungsmaterialbahn und verpackungstasch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