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4533B1 - 자동 제과기 - Google Patents

자동 제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4533B1
KR100344533B1 KR1019990015819A KR19990015819A KR100344533B1 KR 100344533 B1 KR100344533 B1 KR 100344533B1 KR 1019990015819 A KR1019990015819 A KR 1019990015819A KR 19990015819 A KR19990015819 A KR 19990015819A KR 100344533 B1 KR100344533 B1 KR 100344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n shaft
driven
mold
injector
confection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5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2881A (ko
Inventor
김형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델리스
김형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델리스, 김형섭 filed Critical 주식회사델리스
Priority to KR1019990015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4533B1/ko
Priority to JP11209138A priority patent/JP2000316480A/ja
Priority to IDP990780D priority patent/ID25939A/id
Priority to HK99103665A priority patent/HK1025872A2/xx
Priority to CNB991194934A priority patent/CN1158929C/zh
Priority to SG9905645A priority patent/SG83753A1/en
Priority to US09/472,454 priority patent/US6116152A/en
Priority to RU2000104088/13A priority patent/RU2250006C2/ru
Priority claimed from CA002388203A external-priority patent/CA2388203A1/en
Publication of KR20000072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2881A/ko
Priority to CA2377203A priority patent/CA2377203C/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4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45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 A23G3/0236Shaping of liquid, paste, powder; Manufacture of moulded articles, e.g. modelling, moulding, calendering
    • A23G3/0252Apparatus in which the material is shaped at least partially in a mould, in the hollows of a surface, a drum, an endless band, or by a drop-by-drop casting or dispensing of the material on a surface, e.g. injection moulding, transfer moulding
    • A23G3/0278Mould conveyor, e.g. with the associated moul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002Processes of manufacture not relating to composition and compounding ingredients
    • A23G3/0004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 A23G3/0019Shaping of liquid, paste, powder; Manufacture of moulded articles, e.g. modelling, moulding, calendering
    • A23G3/0025Processes in which the material is shaped at least partially in a mould in the hollows of a surface, a drum, an endless band, or by a drop-by-drop casting or dispensing of the material on a surface, e.g. injection moulding, transfer moulding
    • A23G3/0027Processes for laying down material in moulds or drum or a surface, optionally with the associated heating, cooling, portioning, cutting cast-tail, anti-drip proce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002Processes of manufacture not relating to composition and compounding ingredients
    • A23G3/0004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 A23G3/0019Shaping of liquid, paste, powder; Manufacture of moulded articles, e.g. modelling, moulding, calendering
    • A23G3/0025Processes in which the material is shaped at least partially in a mould in the hollows of a surface, a drum, an endless band, or by a drop-by-drop casting or dispensing of the material on a surface, e.g. injection moulding, transfer moulding
    • A23G3/0036Mould conveying, e.g. with the associated manip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 A23G3/0236Shaping of liquid, paste, powder; Manufacture of moulded articles, e.g. modelling, moulding, calendering
    • A23G3/0252Apparatus in which the material is shaped at least partially in a mould, in the hollows of a surface, a drum, an endless band, or by a drop-by-drop casting or dispensing of the material on a surface, e.g. injection moulding, transfer moulding
    • A23G3/0257Apparatus for laying down material in moulds or drop-by-drop on a surface, optionally with the associated heating, cooling, portioning, cutting cast-tail, anti-drip devi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nfectioner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팥, 크림 등의 재료가 내부에 함입되어 있는 제과 또는 빵을 생산하기 위한 소형 자동 제과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으로 과자를 생산하는 제과기에 있어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며, 외주 일부에 치가 형성되어 있는 구동치차; 상기 구동치차의 회전에 의하여 구동치차의 치와 계합하여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종동축; 과자를 생산하기 위한 틀이 놓이는 가열 플레이트; 상기 종동축들에 의하여 구동되는, 상기 틀을 이송시키기 위한 수단; 상기 종동축의 구동에 의하여 제료를 호퍼로부터 상기 틀에 압송하기 위한 주입기; 상기 종동축에 연결된 체인과 접촉하는 종동 스프라킷에 의하여 구동되어 상기 틀을 뒤집으며, 상기 가열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어 있는 역전장치; 및 상기 종동축에 의하여 구동되는, 상기 틀의 뚜껑을 열기 위한 뚜껑 개폐레버를 구비한다. 소비자가 직접 접할 수 있는 곳에서 과자가 제조되는 과정이 보이므로 구매욕을 자극할 뿐만 아니라, 필요할 때에만 재료를 투입해서 과자로 가공하므로, 공장 등에서 생산하는 제품보다 맛이 우수한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 제과기 {Apparatus for producing confectionery}
본 발명은 자동 제과기, 구체적으로는 내부에 팥, 크림 등의 재료가 내부에 함입되어 있는 제과 또는 빵을 생산하기 위한 소형 자동 제과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과자라는 용어는 경도가 비교적 높은 것만 칭하는 것이 아니며, 빵이나 찹쌀떡 등과 같이 부드러운 종류의 기호품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또한, 제과기라는 용어는 통상의 과자는 물론, 빵이나 찹쌀떡 등의 제품을 생산하는 기계를 통칭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과자는 소비자가 출입할 수 없는 공장의 비교적 크고 긴 생산 라인에서 생산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장에서 생산된 과자가 소비자에게 도착할때까지는 비교적 먼 운송거리와 긴 운송시간이 소요된다. 과자는 생산되어 따뜻할때 맛이 우수하지만, 운송시간 때문에 소비자에게 도착하였을 때에는 맛이 떨어지게 된다. 한편, 제과점에서 만드는 과자는 구운 즉시 소비자에게 판매되어 우수한 맛을 보유하고 있지만, 수작업으로 생산되는 만큼,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수작업을 통하여 과자를 생산하는 경우에는 재료의 배합에 따라 맛이 달라질수 있으므로, 일정한 맛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오랜기간 훈련을 받아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과점에서 사용하는 오븐은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소비자가 내부에서 과자가 형성되는 과정을 볼 수 없었다.
본 발명에서는 좁은 공간에서 과자를 생산할 수 있는 제과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자동적으로 재료를 투입하여 작업자의 수작업을 경감할 수 있는 제과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비자가 과자가 생산되는 과정을 볼 수 있어, 구매욕을 자극할 수 있는 제과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은 부품을 사용하여 생산비용을 낮추면서도 신뢰성이 있는 자동 제과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구동모터와 여러개의 종동축을 사용하여 과자를 제조할 수 있는 제과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제과기의 구동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제과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제과기 정면의 작동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제과기 후면의 작동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자동으로 과자를 생산하는 제과기에 있어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며, 외주 일부에 치가 형성되어 있는 구동치차; 상기 구동치차의 회전에 의하여 구동치차의 치와 계합하여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종동축; 과자를 생산하기 위한 틀이 놓이는 가열 플레이트; 상기 종동축들에 의하여 구동되는, 상기 틀을 이송시키기 위한 수단; 상기 종동축의 구동에 의하여 제료를 호퍼로부터 상기 틀에 압송하기 위한 주입기; 상기 종동축에 연결된 체인과 접촉하는 스프라킷에 의하여 구동되어 상기 틀을 뒤집으며, 상기 가열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어 있는 역전장치; 및 상기 종동축에 의하여 구동되는, 상기 틀의 뚜껑을 열기 위한 뚜껑 개폐레버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과기에는 구동치차 위쪽에 설치된 제 1 종동축, 상기 구동치차의 일측에 설치된 제 2 종동축, 상기 구동치차의 아래쪽에 설치된 제 3 종동축, 상기 구동치차의 타측에 설치된 제 4 종동축을 구비한다.
또한, 제과기는 상하로 왕복이동하며 상기 주입기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틀내에 재료를 사출하는 노즐부를 더욱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노즐부는 복수개가 제공되어 주입기가 한번 작동되면 여러개의 틀에 재료가 한꺼번에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송수단은 틀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 이송부와, 상기 틀을 폭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 이송부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제 1 종동축은 상기 역전장치, 상기 제 2 이송부와 뚜껑 개폐레버를 구동시키면서 상기 노즐부를 상기 틀쪽으로 하강시키며, 상기 제 2 종동축은 상기 주입기를 구동시키고, 상기 제 3 종동축은 상기 노즐부를 위로 이동시키며, 상기 제 4 종동축은 상기 제 1 이송부를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과기는 상기 주입기와 상기 호퍼의 접속과, 상기 주입기와 상기 노즐과의 접속을 절환하기 위한 절환기를 더욱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종동축은 제 1 크랭크를 회전시키고, 제 1 크랭크는 상기 절환기의 일단이 수용되어 있는 제 1 아암부와, 경사부를 구비한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며, 상기 슬라이더의 경사부에는 상기 노즐에 고정되어 있는 구름바퀴가 접하고 있어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노즐이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슬라이더는 제 1 운동판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 종동축에는 제 1 캠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 제 1 캠의 회전에 따라 주입기를 구동시키는 분기암이 제공되어 있고, 상기 제 3 종동축은 제 2 크랭크를 회전시키며, 제 2 크랭크는 상기 제 1 운동판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4 종동축에는 제 2 캠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 제 2 캠은 상기 분기암을 작동시켜 주입기를 구동시키고, 상기 제 1 이송부는 제 2 캠에 그 일단이 연결된 작동봉에 의하여 미끄러지며 그 상단이 푸셔에 연결된 제 2 운동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이송부는 상기 제 1 종동축에 연결된 제 3 크랭크에 연결된 제 3 운동판 연결된 와이어, 및 이 와이어에 연결된 푸셔로 구성되며, 상기제 3 운동판에는 경사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경사홈에 뚜껑 개폐레버의 노브가 수용되어 있어, 상기 제 3 운동판의 이동에 따라 상기 뚜껑 개폐례버가 상하로 이동한다.
이하에서는 도면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과기의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은 본 실시예에 대한 개략도를 나타내고 있다. 구동모터(3)는 감속기어(5), 커플링(7), 토오크 리미터(9) 워엄기어(11)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워엄기어를 통하여 감속된 출력측은 체인에 의하여 구동치차(13)를 구동시킨다. 구동치차(13)의 위쪽에는 제 1 종동축(15)이, 오른쪽에는 제 2 종동축(17)이, 아래쪽에는 제 3 종동축(19)이, 왼쪽에는 제 4 종동축(21)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구동치차(13)는 외주 일부에 걸쳐 치가 형성되어 있으며, 구동치차(13)가 한번 회전하면, 각각의 종동축을 순차적으로 360도 회전시킨다. 이를 위해서 구동치차(13)치의 개수는 각 종동축 치의 개수와 일치한다. 각각의 종동축은 순차적으로 회전하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여러 작업을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뒤쪽으로는 호퍼(22)가 설치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주입기가 호퍼(20)의 재료를 흡입한 뒤 이를 노즐부(24)를 통하여 사출한다. 이와 같이 사출된 재료는 틀(10) 내에 주입된다. 틀(10)의 하부에는 전기 오븐이 설치되어 있어, 틀(10)과 그 내부의 재료를 가열한다. 틀(10)은 하부 본체와 뚜껑으로 구성되어 있고, 뚜껑은 하부 본체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열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틀(10)의 내부면은 코팅되어 있어,소재와 틀(10)의 금속 소재가 붙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쌍의 노즐부가 제공되어 있다. 틀(10)의 진행방향 역방향으로 위치한 일련의 노즐부는 과자 겉부분의 밀가루 반죽을 사출하고, 틀(10)의 진행방향에 위치한 일련의 노즐부는 과자 겉부분에 함입되는 크림을 사출한다.
도 2 에서 앞쪽에 설치되어 있는 일렬의 틀(10)은 제 1 푸셔(104)의 수단에 의해 가압되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송된다. 한편, 도면의 뒤쪽에 표시되어 있는 일렬의 틀은 제 2 푸셔(72)의 수단에 의해 가압되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송된다. 아울러, 앞쪽 열에서 틀이 오른쪽 끝까지 이송된 다음에는 제 3 푸셔(122)의 수단에 의하여 뒤쪽 열로 이송되고, 뒤쪽 열에서 왼쪽 끝으로 이송된 다음에는 제 4 푸셔(124)에 의해 다시 앞쪽 열로 이송된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앞쪽열에서는 틀(10)이 통상 닫힌 상태로 있지만, 오른쪽 끝에 달하면 뚜껑 개폐레버의 단부(121)가 상승하면서 뚜껑을 연다. 뚜껑이 열린 상태에서 제 3 푸셔(122)에 의하여 뒤쪽 열로 이송된다. 실제 작업시에는 뚜껑이 열리면 그 내부에서 전기 오븐에 의해 구워진 과자를 틀(10)로부터 꺼내게 된다. 과자를 꺼낸 다음에는 틀이 열린 상태에서 제 2 푸셔(72)에 의하여 노즐부(24)로 이동되며, 여기서 후술하는 주입기에 의해 재료가 틀(10) 내로 사출된다. 사출이 완료된 다음에는, 뒤쪽 열이 다시 제 2 푸셔(72)에 의해서 왼쪽으로 이동하면서 앞열과 뒷열 사이에 설치된 걸림봉(188)에 뚜껑이 닿으면서 닫히게 된다. 이렇게 재료가 주입된 틀(10)은 뒷열을 모두 통과한 다음에 다시 앞열로 제 4 푸셔(124)에 의해 이송된 뒤, 앞열에서 오른쪽으로 제 1 푸셔(104)에 의해 밀리게 된다. 이송 과정중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틀하부에 설치된 전기 오븐에 의하여 가열되어 과자의 겉부분이 응고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계의 전면은 덮개(14)에 의하여 덮여 있으며, 그 내부에는 도 4 와 관련하여 후술하는 구성요소가 설치된다. 기계의 뒷면(도시되지 않음)은 도 3 과 관련하여 후술하는 구성요소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는 좁은 공간에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몸체 밑에 바퀴 롤러가 4개 설치되어 있다. 이 기계는 비교적 소형으로 소비자가 과자의 제조과정을 직접 볼 수 있도록 거리나 백화점 등의 장소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3 은 본 실시예의 구체적인 기계적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제 1 종동축(15)는 위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크랭크와 제 1 아암부(63)를 통하여 슬라이더(67)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치차(13)가 제 1 종동축(15)과 치합하여 제 1 종동축(15)이 회전하면, 제 1 아암부(63)이 이동하면서 슬라이더(67)를 도면의 오른쪽으로 이동시킨다. 슬라이더(67)가 오른쪽으로 이동하면, 슬라이더와 접하고 있는 구름바퀴(37)가 슬라이드(67)의 상면을 따라 구르면서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노즐부(24)는 구름바퀴(37)와 중간축(35)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구름 바퀴(37)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노즐부(24)가 아래쪽으로 하강하여 틀(10)에 접근한다. 한편, 제 1 아암부(63)는 절환축(41)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절환축(41)이 이와 같이 회전하면, 주입기(25)의 절환기(27)가 회전하면서 호퍼의 재료를 틀(10)에 분사할 수 있도록 절환밸브(29)(31)를 절환시킨다. 이 절환 상태에서는 주입기(25)와 노즐부(24)가 연결되어 있다.
제 1 종동축(15)의 회전이 완료되면, 제 2 종동축(17)이 회전한다. 제 2 종동축(17)에는 캠(53)이 설치되어 있다. 분기암(55)은 축(54)에 피벗되어 있다. 캠(53)이 회전하면, 캠(17)의 표면에 분기암(55)의 내측 롤러(59)가 접하면서 분기암(55)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단부 블록(23)이 왼쪽으로 밀린다. 이와 같은 작동에 의해, 재료가 주입기(25)로부터 노즐부(24)로 공급되어 틀(10) 내에 주입된다.
제 3 종동축(19)이 회전하면 크랭크를 거쳐 연결봉(20)을 좌우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가이드(45)(47) 상에서 미끄러지는 제 1 운동판(43)이 죄우로 직선운동을 한다. 슬라이더(67)는 제 1 운동판(43)에 고정되어 있다. 제 3 종동축의 회전에 따라, 제 1 운동판(43)은 왼쪽으로 밀리면서 슬라이더(67)의 분기 홈에 수용된 절환축(41)의 돌기가 왼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절환축(4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절환축(4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절환기(27) 역시 시계방향을 회전하면서 절환밸브(29)(31)를 절환시킨다. 이 절환 상태에서는 주입기(25)와 호퍼(22)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 1 운동판(43)과 함께 슬라이더(67)가 왼쪽으로 이동하면서, 구름 바퀴(37)가 위쪽으로 올라가게 되고, 노즐부(24)가 위쪽으로 상승하여 틀(10)이 푸션에 의해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제 4 종동축(21)이 회전하면, 편심 캠(61)이 회전하면서 분기암(55)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단부 블록(23)을 오른쪽으로 이동되면서, 호퍼(22)로부터 재료가 주입기(25)로 흡입된다. 제 2 운동판(49)은 가이드(45)(47) 상에서 미끄러질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 2 운동판(49)은 연결 막대(71)에 의하여 제 2 푸셔(72)와 연결되어 있다. 제 4 종동축이 회전하면, 제 2 푸셔(72)가 틀(10)을민 뒤, 다시 원 위치로 복귀한다. 분기암(55)이 캠(21)(53)과 접하는 부분에는 휠이 설치되어 있어, 캠의 회전에 따른 분기암(55)의 회전을 원활하게 한다.
도 4 는 제과기의 전면에 설치되는 기계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전면에는 제 1 종동축(15)과 제 4 종동축(21)에 연결된 기계적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제 1 종동축(15)은 크랭크와 연결봉(111)을 통해서 제 3 운동판(117)에 연결되어 있다. 경사홈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유도판(113)은 제 3 운동판(117)에 볼트(118)로 고정되어 있다. 제 3 운동판(117)은 가이드(107)(109)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운동한다. 가이드(107)(109)의 양쪽 단부는 제과기의 프레임(125)(127)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한편, 이 경사홈에는 뚜껑 개폐레버(115)의 노브가 수용되어 있다. 제 1 종동축(15)이 회전하면, 유도판(113)이 도면의 오른쪽으로 이동하면서 그 내부의 경사홈을 따라 노브가 위쪽으로 상승한다. 이에 따라, 뚜껑 개폐레버(115)가 위쪽으로 이동하면서, 전기 오븐의 바닥으로부터 돌출하면서 틀(10)의 뚜껑을 연다. 그 후, 다시 유도판(113)이 왼쪽으로 이동하면 뚜껑 개폐레버(115)가 하강한다. 유도판(113)의 상부는 와이어(119)와 연결되어 있다. 이 와이어(119)는 도면에 표시된 구멍(114)(116)을 통하여 내부로 연장되어 제 3 푸셔(122)와 제 4푸셔(124)에 연결된다. 따라서, 유도판(113)이 이동하면, 제 3 푸셔(122)와 제 4푸셔(l24)가 틀(10)을 제과기의 폭방향으로 민다.
제 4 종동축(21)이 회전하면, 굴곡 연결막대(105)를 이동시킨다. 연결막대(105)는 제 4 운동판에 피벗(106)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 4 종동축(21)이 회전하면 제 4 운동판(101)이 직선운동한다. 제 4 운동판(101)의 위쪽으로는 결합판(103)이 볼트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결합판(103)의 상단은 제 1 푸셔(104)에 고정되어 있어, 제 4 종동축(21)이 한번 회전하면, 푸셔(104)는 틀(10)을 밀고는 다시 원 위치로 복귀한다.
도 5 는 도 2 에 도시된 역전장치(16)를 구체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역전 장치(16)은 제 1 판(75), 제 2 판(77),및 이들 판을 양쪽에서 고정시키는 원형의 측면부재들(80)(82)을 구비하고 있다. 측면부재들(80)(82)로부터는 역전장치(16)을 지지하는 축들(85)(87)이 바깥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측면부재들(80)(82)의 내측에는 안쪽으로 돌출하는 제 1 돌출부들(89)(93)과 제 2 돌출부들(91)(95)이 설치되어 있고, 이들 사이에 틀(10)이 들어가는 요홈부들(81)(94)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판(75)와 제 2 판(77)의 중간에는 스프라킷(79)이 설치되어 있고, 스프라킷(79)과 접하는 체인이 제 1 종동축(15)에 고정된 다른 스프라킷(도시되지 않음)과 접하고 있다. 여기서, 역전장치(16) 스프라킷(79) 치의 개수는 제 1 종동축(15)의 스프라킷 치의 개수의 2배이므로, 제 1 종동축(15)이 360도 회전하면, 역전장치(16)는 180도 회전하게 된다.
도 6 은 역전장치(16)이 틀(1O)을 뒤집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틀(1O)이 이동하여 역전장치(16)의 요홈부(89)(94)에 들어가면, 제 1 종동축(15)이 회전하면서 역전장치(16)에 수용된 틀(10)도 함께 회전하여 뒤집히게 된다. 이 때, 제 1 돌출부들(89)(93)과 제 2 돌출부들(91)(93)는 틀(10)의 뚜껑이 열리지 않으면서 틀(10)이 뒤집히도록 한다.
주입기(25)는 절환기(27)의 회전에 의하여 절환밸브(29)(31)가 절환하면서, 주입기와 호퍼, 노즐 사이의 접속을 절환한다. 즉, 제 2 종동축이 회전할 때에는 주입기(25)와 노즐부(24)를 연통시켜 주입기(25) 내의 재료를 틀(10)에 주입하고, 제 4 종동축이 회전할 때에는 호퍼(22)와 주입기(25)를 연통시켜 호퍼(22) 내의 재료를 주입기(25)로 흡입시킨다. 절환밸브(29)(31)의 절환은 제 1 종동축과 제 3 종동축의 회전시에 이루어진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과기의 뒤쪽에는 전기 오븐의 온도나 구동 모터의 회전 속도 등을 제어하는 제어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어기를 통해서 과자의 재료에 따라 전기 오븐의 온도 및 틀(1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호퍼(22) 내에는 구획이 나누어져 있어, 틀(1O)의 진행방향 반대쪽에 위치한 노즐부로 사출되는, 밀가루가 주원료인 겉재료가 저장되어 있고, 다른쪽에는 진행방향의 노즐부로 사출되는 주원료가 크림인 속재료가 저장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일의 22O볼트의 직류 모터를 사용하여 각각의 종동축을 차례로 회전시키고, 그에 따라 순차적으로 종동축에 연결된 기구가 소정 작업을 행하므로 구성이 간단하며, PLC 등의 제어기와 복수의 모터를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제조비용이 절약되고 부품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와이어(119)로 푸셔를 이동시키는 대신, 제 2 운동판(49) 또는 제 4 운동판(49)에 연결된 푸셔처럼 별도의 운동판이 제과기의 폭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전기 모터를 사용하는 대신 유압모터와 유압 엑츄에이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캠대신에 이에 대응되는 다른 기계적인 기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변형은 모두 당업자에게 본 발명과 동일성이 있는 제과기로 인식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과기는 소형으로, 야외에서 소비자가 보는 앞에서 과자를 즉석으로 구워 판매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소비자가 직접 접할 수 있는 곳에서 과자가 제조되는 과정을 보므로, 구매욕을 자극할 뿐만 아니라, 필요할 때에만 재료를 틀에 투입해서 과자로 가공하므로, 공장 등에서 생산하는 과자에 비하여 높은 제품의 맛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PLC와 복수의 모터를 사용하는 대신, 단일의 모터와 이에 의해 구동되는 복수의 종동축에 의해 해당 기구가 순차적으로 작동하므로, 제조원가가 저렴하고 부품수가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11)

  1. 재료가 주입되는 복수 개의 과자 성형용 틀을 구동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이송하되 그 이송과정에서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동작하는 역전장치로써 상기 틀을 적어도 1 회 이상 반전시켜 이송하면서 상기 틀 아래에 내장된 전기오븐으로 상기 틀을 가열함으로써 상기 틀에 주입된 재료를 소성하여 제과하도록 구성된 자동제과기에 있어서,
    외주에 서로 분리되어진 복수 개의 치를 가지고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치차;
    상기 구동치차의 둘레에서 상기 구동치차의 각 치들과 순차적으로 치합하여 상기 구동치차의 회전에 따라 순차적으로 회전하는 복수 개의 종동축;
    상기 종동축들 중에서 선택되는 종동축의 동력으로 작동하면서 상기 틀들을 이송방향이 반대이고 병치된 두 개의 직선이송경로 양 끝단이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순환이송경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
    상기 종동축들 중에서 선택되는 종동축의 동력으로 상승하여 상기 틀의 뚜껑을 개방하는 뚜껑 개폐레버;
    상기 종동축들 중에서 선택되는 종동축의 동력으로 작동하여 호퍼에 투입된 재료를 압송하는 주입기;
    상기 주입기에서 인출되어 상기 종동축들 중에서 선택되는 종동축의 동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하면서 상기 주입기가 압송하는 재료를 상기 뚜껑 개폐레버에 의해 개방된 상기 틀 속에 압출하는 노즐부;
    상기 종동축들 중에 선택되는 종동축의 동력으로 작동하면서 상기 주입기를 상기 호퍼 또는 상기 노즐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절환기;
    상기 노즐부로부터 상기 틀의 이송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상기 노즐부를 거치면서 재료가 투입되어져 이송되어 오는 상기 틀의 뚜껑을 닫는 걸림봉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과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종동축들은 상기 구동치차의 둘레에 일방향으로 배열되어 각기 상기 구동치차의 각 치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치합되는 제 1, 2, 3, 4 종동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종동축은 크랭크식 동력전달매체를 통해 상기 뚜껑 개폐레버를 상승시키고 상기 노즐부를 하향 이동시키며 상기 절환기는 상기 주입기와 상기 노즐을 연결하도록 절환시키고, 동시에 체인을 매개로 상기 역전장치를 구동하여 그 역전장치가 상기 틀을 반전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종동축은 그 제 2 종동축에 결합된 캠과 그 캠에 의해 회전되는 분기암을 매개로 상기 주입기를 작동하여 그 주입기가 상기 호퍼에서 유입된 재료를 노즐을 통해 압출하도록 구성되고,
    제 3 종동축은 크랭크식 동력전달매체를 통해 상기 제 1 종동축에 의해 이동된 상기 노즐부와 상기 절환기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4 종동축은 그 제 4 종동축에 결합된 캠을 매개로 상기 제 2 종동축에 의해 회전된 상기 분기암을 원위치로 복귀시켜 상기 호퍼에 투입된 재료가 상기 주입기에 유입되게 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과기.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각 종동축에 각기 크랭크식 동력전달매체에 의해 동력적으로 연결되어 각각 상기 각 종동축 회전에 따라 직선왕복운동하면서 상기 틀들을 그 이송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순환이송경로를 따라 이송시키는 제 1, 2, 3, 4 푸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과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종동축에 크랭식 동력전달매체를 통해 동력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1 종동축의 회전에 따라 직선왕복운동하며 그 진행방향으로 경사홈이 형성된 제 3 운동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뚜껑 개폐레버는 상기 제 3 운동판의 경사홈에 끼워지는 노브를 구비하여,
    상기 뚜껑 개폐레버가 상기 제 3 운동판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과기.
KR1019990015819A 1999-05-01 1999-05-01 자동 제과기 KR100344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5819A KR100344533B1 (ko) 1999-05-01 1999-05-01 자동 제과기
JP11209138A JP2000316480A (ja) 1999-05-01 1999-07-23 自動製菓機
IDP990780D ID25939A (id) 1999-05-01 1999-08-12 Peralatan untuk memproduksi makanan kecil
HK99103665A HK1025872A2 (en) 1999-05-01 1999-08-25 Apparatus for producing confectioneries
CNB991194934A CN1158929C (zh) 1999-05-01 1999-09-27 生产小食品的装置
SG9905645A SG83753A1 (en) 1999-05-01 1999-11-12 Apparatus for producing confectioneries
US09/472,454 US6116152A (en) 1999-05-01 1999-12-27 Apparatus for producing confectioneries
RU2000104088/13A RU2250006C2 (ru) 1999-05-01 2000-02-18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ндитерских изделий
CA2377203A CA2377203C (en) 1999-05-01 2002-03-18 Apparatus for producing confectioneri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5819A KR100344533B1 (ko) 1999-05-01 1999-05-01 자동 제과기
CA002388203A CA2388203A1 (en) 1999-10-26 2000-10-25 Microbe, microbial exopolysaccharide, and uses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2881A KR20000072881A (ko) 2000-12-05
KR100344533B1 true KR100344533B1 (ko) 2002-07-24

Family

ID=32313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5819A KR100344533B1 (ko) 1999-05-01 1999-05-01 자동 제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45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849B1 (ko) * 2007-08-29 2009-04-10 서인원 수직 회전형 자동 호두과자 제조기
KR101582143B1 (ko) * 2014-03-28 2016-01-04 한지형 붕어빵 제조장치
CN116195614B (zh) * 2023-04-19 2023-10-03 江苏费氏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肉松撒料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2881A (ko) 2000-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48503A (en) Bakery apparatus
EP0938263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pizza
US3735692A (en) Automatic pizza making machine
US5388503A (en) High speed food processing device
KR970007146B1 (ko) 과자등의 자동성형장치
US6116152A (en) Apparatus for producing confectioneries
KR100344533B1 (ko) 자동 제과기
CN210043082U (zh) 馅饼型糕点自动生产设备
KR200446377Y1 (ko) 호두과자 제조 장치
CN107212038B (zh) 一种面食一体机
KR101257021B1 (ko) 호두 과자 제조 장치
CN2134782Y (zh) 异形威化制品烘烤机
KR101012602B1 (ko) 롤케이크의 장식무늬 형성장치
KR100548739B1 (ko) 자동 제과기
RU225000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ндитерских изделий
US3327651A (en) Apparatus for making ice cream bars
KR100331460B1 (ko) 호떡 제조기
US2273735A (en) Machine for filling forms with biscuit material
US2664055A (en) Apparatus for depositing marshmallow, dough, batters, and the like
US3474742A (en) Dough applicator for bun molds
KR200338474Y1 (ko) 술떡제조기
KR200288195Y1 (ko) 전병 자동 제조장치
US1102614A (en) Machine for making biscuits of shredded cereal.
JP2893250B2 (ja) 食品自動焼成装置における食品反転機
JPS64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