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4209B1 - 섬유기계에서 자카드선택을 위한 방법과 장치 - Google Patents

섬유기계에서 자카드선택을 위한 방법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4209B1
KR100344209B1 KR1019997007049A KR19997007049A KR100344209B1 KR 100344209 B1 KR100344209 B1 KR 100344209B1 KR 1019997007049 A KR1019997007049 A KR 1019997007049A KR 19997007049 A KR19997007049 A KR 19997007049A KR 100344209 B1 KR100344209 B1 KR 100344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selection
jack
butt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7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0787A (ko
Inventor
스키아카프랑코
Original Assignee
필로텔리 마시네 테실리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필로텔리 마시네 테실리 에스.알.엘. filed Critical 필로텔리 마시네 테실리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000070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0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4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42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04B15/68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knitting instruments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잭이 실린더내로 캠에 의해서 안내되는 사전선택위상 다음에 스프링의 압력하에서 이동되어 경로나 기능을 변경하거나 이들을 방지하도록 전면상에 설치된 다른 부재 및/또는 셀렉터에 의해서 실린더내에 포함 및/또는 유지되어 잔류함으로써 스프링(M1)으로 형성된 선택잭(1)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계에서 자카드선택에 대한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 고정되어 있어도 셀렉터는 유입버트 및/또는 잭상에 측면충격없이 최소공간과 시간에 의해 수평, 수직, 방사형으로 이동할 수 있다. 결국, 액추에이터는 잭 및/또는 니들의 캠과 함께 규격지지부에 합체되어 선택의 형 및/또는 자카드형이외의 직물동작을 변경한다.

Description

섬유기계에서 자카드선택을 위한 방법과 장치{METHOD AND EQUIPMENT FOR JACQUARD SELECTION IN A TEXTILE MACHINE}
다수의 섬유기계는 문제의 부품(니들, 잭 또는 언더니들, 싱커, 헬드 등)의 경로 및/또는 위치를 변경하는 일반적인 원리에 따라, 적절한 이동부품의 선택에 의한 직조 및 편직위상 동안 생산된 디자인이나 장식의장을 가진 직물의 생산을 위한 자카드디바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근본적으로 의식적인 판정은 "내-외", "상-하", "좌-우"와 같은 대응위치 및/또는 지령사이에서 행해진다. 스타킹과 환형 또는 평직기계에 있어서, 실린더와 고정캠을 또는 반대로 회전시킴으로써, 선택잭은, 통상, 외부디바이스, 액추에이터 및/또는 셀렉터가 대향해서 작용하는 하나이상의 버트를 지닌다. 일반적으로 후자와 유입잭의 토막사이에(즉, 이동부품과 고정부품사이 또는 이동부품들 사이에) 충격이 있고, 그 힘은 동작속도를 변경시켜, 지나친 측면충격, 진동, 가속도, 가열, 마찰, 마모를 발생시켜, 가끔 기계적인 파손을 일으킨다. 그러나, 상기 측면충격에 추가해서, 통상의 선택은 신속한 기계에서 더욱 명백한 다른 제한에 의해 특징화된다. 이들중 하나는 속도에 기인해서 상승캠 상의 잭의 버트의 충격이 20°보다 작은 약간의 경사로 발생되기 때문에 선택창이나 영역을 확장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다른 제한은, 10㎜이상 큰 셀렉터(및 대응하는 측면경사면)의 폭으로 설정되고 있고, 이것은 잭이 그 경로를 완성하도록, 즉, 정시에 파손없이 상승캠 뒤로 통과하면서 실린더나 니들베드로 급격히 재진입하도록 허용할 필요가 있다. 다른 제한은 통상 경사면을 지닌 외부셀렉터에 의한 충격 다음에, 잭이 실린더를 향해서 격렬하게 재진입하여 실제적으로 자유로우므로 강한 퇴각과 진동을 행할 수 있다는 사실로 나타난다. 다른 제한은 경사면을 완성하는 상기 셀렉터의 일반적인 폭은, 동작속도와 관계없이, 잭버트의 배치를 매우 근접하게, 예를 들면, 단일자석디바이스와 유사한 방식으로 모든 잭을 선택하는 액추에이터의 단일 셀렉터, 즉, 도 21의 (13), (13a)의 사용을 허용하지 않는다는 사실로 나타난다. 또 다른 제한은 단일자석 디바이스인지 액추에이터 인지의 여부를 원래의 선택방법에 의해 전자기계가 명확하게 특징화하고, 조건화한다는 사실로 나타난다. 이러한 각각의 시스템은, 현대의 섬유공장이 생산의 다른 형태와 자카드에 따라 변경되는 시장의 요구에 유연하고 신속하게 적응해야 한다는 전문가에게 공지된 이점(게이지, 재료의 비용과 마모, 2∼3가지 기술방식에 의한 니들 선택 등의 신속한 변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각종 및/또는 다른 선택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거나 고속에서 다른 편직구조를 생산할 수 있는 다양한 기계를 이용가능하다고 하는 이점을 나타낸다.이러한 가정에 의하면, 본 발명의 주요목적은, 이동부품들 및/또는 이동부품과 고정부품사이에서 적절하고, 프로그래밍된 전면 대치에 의해서 섬유기계에서 자카드선택을 위한 장치와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다른 목적은 이동부품들 사이 및/또는 이동부품과 고정부품사이에서 많은 격렬한 충격, 특히 측면충격을, 감소 및/또는 제거하는 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전자석의 키퍼의 적절한 연장에 의해 및/또는 이동부재가 잭에 직접 작용한 경우에 대체되는 셀렉터 자체 및/또는 유입잭을 위한 편차와 충격의 지점, 셀렉터 또는 플런저의 경사면의 제거에 있다.다른 목적은, 임시적인 "액티브한 사전선택"시에도 잭 및/또는 유사부품, 즉, 부분적으로 상승캠 및/또는 그 경로만의 선택을 개량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주목적은, 엑추에이터 및/또는 다른 선택디바이스의 편입시, 각 피드 또는 피드의 군용의 단일 지지부에서 잭 및/또는 언더니들 및/또는 싱커 및/또는 니들을 사전선택 및/또는 상승시키기 위한 대응 캠의 제공에 있고, 또한, 고속의 직물동작이나 다른 편직선택을 위해 유사한 지지대와의 교체 또는 신속한 교환에 있다. 다른 목적은 더욱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윤활에 추가해서, 마찰, 가열 및/또는 소음의 예기된 감소에 있다. 추가의 목적은 선택시에 진동과 퇴각을 감소시키고 또는 잭을 적절하게 안내하기 위해, 선택영역의 폭을 공칭게이지이하로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와 방법의 제공에 있다. 기타 다른 목적은 명세서, 실시예, 도면 및 청구항에 의해 개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명백해 질 것이다.
이들 결과는 단지 설명을 위한 비제한적인, 유입잭의 버트에 외부에서 작용하는 전기적 액추에이터의 광범위한 방식에 우선해서 집중되는 본 명세서와 각종 방식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청구범위 제 1항, 제 3항 및 제 4항에 규정되어 있다. 그외 유익한 실시예와 추가의 가능한 형태는 종속항에 설명되어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의 가능한 실시예를 표시한다.
도 1은 탄성잭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
도 2와 도 3은 선택구성을 표시하는 2개의 도면
도 4, 도 5 및 도 6은 2개의 동작상태에 있는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
도 7 내지 도 11은 각각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
도 12는 전자석 셀렉터를 가진 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
도 13은 잭의 이동과 그 아래에 배치된 언더니들을 표시하는 도면
도 14는 영구자석에 의해 작동된 선택을 표시하는 도면
도 15, 도 16 및 도 17은, 잭, 이동셀렉터 및 상승캠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
도 18은 사전선택캠의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
도 19는 잭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
도 20은 상승캠의 동작을 표시하는 도면
도 21은 요동셀렉터의 동작을 표시하는 도면
도 22는 영구자석의 동작을 표시하는 도면
<도면의 부호 일람표>
1: 잭 2: 하단부
3: 언더니들 5, 7: 잭
8: 상승버트 9: 선택버트
10: 하부버트 11: 버트
16: 변환캠 12: 사전선택버트
13: 셀렉터 20: 전자석
MP: 영구자석 AS: 선택영역
KS: 상승캠 GA: 액추에이터
K2:사전선택캠 K5: 변환캠
mc: 실린더스프링
본 발명은, 잭이 임계선택위치에 들어갈 때 작동하는 각각의 및/또는 공통의 스프링을 지닌 잭, 니들, 싱커 등과 같은 이동부재에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힘이나 압력은, 잭(탄성잭으로 알려져 있음) 및/또는 그 부품의 일시적인 구조변형에 의해서, 또는 니들실린더와 유사한 별개 및/또는 통상의 스프링에 의해서 또는 반력에 의해 잭을 후방으로 밀 수 있는 고무 및/또는 기체나 액체로 채워져 있어도 되는 다른 적절한 재료의 띠에 의해 발생된다. 후자는 수직진동에 의해 실린더를 향하고 실린더로부터 하단부에서 요동하는 타입, 즉 도 15 및 도 19의 (5)이거나; 인접 및/또는 중첩하는 언더니들이나 싱커를 수용 및/또는 제어시키는 포크 및/또는 지그재그로 형성가능한 상단부, 즉 도 1의 (1), (1a)에서 요동하는 타입, 즉, 도 1의 (3)이거나; 도 9의 (1)과 마찬가지로 요동하는 양단부를 가진 잭이다. 통상, 사전의 선택영역에서 이미 실린더외부에 있는 상기 잭은 도 2의 액추에이터(GA)의 지지대에 고정되거나 삽입되어 있어도 되는 적어도 하나의 캠이나 경사면에 의해서 점진적으로 안내 및/또는 압착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기적 액추에이터 등과 같은, 공지의 선택디바이스와 기타의 전기-기계적, 자기적, 압전, 세라믹이나 공압디바이스 및/또는 선형모터; 또는 선택휠이나 패턴드럼, 미니잭머신용의 고정 혹은 이동가능한 셀렉터의 군, 동작 및/또는 설계프로그램에 의한 위치, 이동, 회전, 요동, 충격 또는 진동으로 특징화된 유사한 디바이스를 사용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피드에 설치된 유입잭과 셀렉터사이의 격렬한 측면충격이 없는 "부드러운" 접근을 발생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중 하나에 있어서, 도 1의 선택잭(1)이 사용되어, 위치(1a)의 상단부에서 요동하고; (M1)과 같은 실린더나 통상의 스프링 또는 (M2), (M3) 및/또는 도 8(탄성력)의 (21), (22)와 같은 별개의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잭은 하나이상의 선택버트(11)와 사전선택버트(12)를 구비하고 있고, 화살표 F방향으로 안내되어 슬라이드가능하고, 이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승버트(13)가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언더니들이나 중첩부재(3)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동 및/또는 선택지점에서, 상기 잭(1)은 도 2 및 도 3(그리고 도 5, 도 6, 도 13)의 경사면(K2)에 의해서, 실린더나 니들베드의 내부로 밀려서, 버트(13)가 완전히 벗어나는 위치(13a1)로 추측되고, 버트(13)의 지점이나 에지가 지지부(10)에 고정된 상승캠(K)에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도 3의 버트(13a), (13a1)에 대응하는 선택영역에 있어서 대응하는 액추에이터유닛(GA)에 삽입된 이동가능한 셀렉터나 엑추에이터(L)는 캠(K2) 바로 다음에 작동한다. 이 작동위치(즉 도 2의 (L))에 있어서, 잭의 선택버트(11)에 작용해서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캠(K2)의 구속력이 없어졌을 때, 잭(1)은 별개 또는 공통의 스프링의 힘에 의해서 이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실제로 셀렉터(L)는, 정지, 벽 또는 제한으로 작용하여, 잭은 그 궤적이나 경로를 변경하지 않고서 계속 움직인다. 반대의 경우에, 액추에이터유닛(GA)에 있는 도 2의 셀렉터 또는 액추에이터(L1)의 비작동성은, 도 2 및 도 3의 위치(13b)에서 상승캠(K)상에서 연속되는 잭의 자동적인 외부로의 이동과 간섭하지 않는다. 상기 언급된 위상은 화살표 F방향으로 수직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고 적절한 압력 및/또는 절곡을 행할 때, 지점(M5)에서 구조상 탄성인 언더니들(3)과 각종 스프링(M1), (M2), (M3), (M4)을 지닌 도 4의 잭(1)의 관련해서 도 5 및 도 6에 더욱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단부에서 요동하는 잭(1)은 도 5의 평면도에 표시된 선택버트(11), 사전선택버트(12) 및 상승버트(13)를 구비하고 있다. 문제의 경우에, 캠(K2)은 모든 유입버트(12w)를 가압하여 위치(12y), (12a)로 점진적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이동은 버트(13w)가 경로를 처음에 (13y)로, 다음에 (13a)로 변경하는 언더니들 위쪽의 위치로 작용한다. 이 위상에 있어서, 선택영역(AS)에서 선택버트(11)상에 작용하는 셀렉터나 액추에이터는 위치(L1)에서 비작동상태로 된다. 따라서, 스프링 및/또는 다른 힘에 의해 밀린 버트(12a)는 (P.I.)로 표시된 캠(K2)의 경사진 출구면을 따라서 자연적인 외부위치로 복귀한다. 이러한 이동은 도 2 및 도 3과 유사한 방식으로 (13b)로서 상승캠(K)상을 계속 움직이는 언더니들(13a) 위쪽의 위치로 명확하게 작용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서 다른 기능을 행하는, 선택영역(AS)에 배치된 셀렉터나 액추에이터(L)의 작용위치를 표시하는 점에서 도 5와 다르다. 상기 셀렉터(L)는 상기 버트(13a)가 (13c)에 표시된 상승캠(K)의 라인뒤에 계속 잔류하는 방식과 도 2의 (13al)과 유사한 방식으로 현재위치에서 대응 버트(11a)를 존속 및/또는 유지시킨다. 즉, 작은 전면상의 경사면을 지닌 상기 셀렉터(L)는 이미 캠(K)이나 그 경로상에 부분적으로 있는 버트(11a(13a))를 위치(13c)로 더욱 민다. 요약하면 사전선택캠(K2)을 가진 버트(11a), (12a), (13a)의 위치와 셀렉터(L)의 기능 및/또는 전면형상을 동등하게 함으로써, 자카드선택은 (13c)에 표시된 캠(K)의 뒤에서 유지되는 상승버트(13a)를 선형방식으로 발생시키고; 또는 상기 선택은 상승버트(13a)가 상승캠(K)의 경로상에 초기에 부분적으로 위치하므로 적절하게 진행되나, 그렇지 않으면 압력이나 힘이 잭의 압력이나 힘을 초과하는 셀렉터(L)에 의해 상승캠(K)의 후방을 추월해서 다시 후방으로 밀도록 되어 있다고 특정된 "액티브한 사전선택"의 임시의 위상의 도입에 의해 부분적으로 변경된다. 셀렉터(L), (L1)(도 5, 도 6참조) 바로 앞에 배치된 경사면이나 캠(K3)은 셀렉터를 보호하는 기능을 행하고, 문제의 경우에는, 유입버트(도 16 및 도 18에서 (12), (12a)참조)와 접촉하지 않는다. 잭이 파손되면, 이 경사면은 예기되지 않은 미제어상태의 유입버트 또는 조각을 실린더나 니들베드로 안내해서, 정지부의 회로에 적절하게 단속되면, 예기되지 않은 금속부와 접촉하는 경우에 정지디바이스로서도 작용한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된 선택디바이스나 종래의 액추에이터유닛에 통상 삽입된 이동셀렉터를 실질적으로 변경하여, 예를 들면 그들은 실린더 또는 니들베드에 잭의 버트를 밀어서 안내해서 거기에 유지하고, 생산과 동작 비용면에서 우수하고 안전하게 종래의 액추에이터가 유익할지라도 이동시에 부하와 질량을 상당히 감소시키는 기능을 가진 셀렉터 자체에서 단지 예비적이고 파손의 원인이 되는 측면경사면을 분리 및/또는 제거함으로써 적어도 2개의 측면에서 8개 레벨을 가진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양단부에서 요동하도록 중간하단부에 본래 피벗 및/또는 힌지되어 있는 점에서 선행 잭과 다른, 도 9, 도 10, 도 11에 개략적으로 표시된 잭(1)을 사용한다. 도 9에 있어서, 잭(1)은 하부버트(10)가 주행하는 영구자석(MP)에 의해 형성된 전자석(20) 및/또는 캠을 작용시키는 하부부속물(9)을 구성한다. 잭(1)은 니들실린더상의 지점(30)이나 슬릿이나 바아의 하부에 피벗되어 있고; 상기 잭을 복원시킬 수 있는 하나이상의 스프링(mc)을 구비하고 있고, 선택(11), 사전선택(12), 상승(13)용의 통상의 버트가 최종적으로 존재한다. 도 10은 도시생략된 실린더의 바아에 삽입된 고정부재상에 지점(26)에서 힌지된 잭(1)을 표시한다. 또한, 부속물(9)도 인접한 경사면(K6), (K7)의 형상을 따른다. 도 11에 있어서, 상기 잭은 탄성의 부속물(4)을 지닌 실린더(2)내의 부재에 (3)에서 힌지되어 있는 점에서 더욱 다르다. 도 13은 양단부에서 요동하는 잭(1)을 특징으로 하는 새롭고 다른 구성에서 상기 잭과 언더니들의 이동에 대한 평면도이다. 사전선택버트(12)는 그 경로를 (12y), (12a)로 전환하는 캠(K2)이나 경사면과 대항한다. 비작동상태인 셀렉터(L)는 원위치로의 잭의 복귀를 방해하지 않고, (13y), (13a)로의 단단한 변환 후에 상승버트(13)는 캠(K)상에 올라탄다. 동시에, 선택영역(AS)을 지나서 이동한 하부버트(10)는 (10b)에서와 같이 연속한다. 이외에, 활동적인 셀렉터(L)는 버트(11a)를 포함, 유지, 및/또는 밀어서, 결국 캠(K)을 너머서, 상승버트(13)(도시생략)를 이동시킨다. 이 위치에 있어서, 도 14에서 선택영역(AS)다음의 하부버트(10)는 영구자석(MP)의 힘에 의해서 계속 접촉 및 부착된다. 상기 언급한 구성은 동작프로그램에 따라서 에너지를 부여할 때 선택영역(9A)까지 상승캠(K4)에 의해 미리 부하를 준 하부부속물(9)이 통과하는 자기장을 순간적으로 제거하는 코일(21)을 구비한 도 12의 전자석(20)을 사용하는 다른 실시예에서 완료된다. 통상, 영구자기장은 상기 부속물을 유지하고, 힘을 부여해서 (9a)에서와 마찬가지로 계속하고; 선택영역에서 자기장의 순간적인 제거는 부속물(9a)을 (9b)로 복귀시키며, 이것은 변환캠(K5)에 의해서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파동운동에 의해 하단부에서 요동하고, 지적된 하단부(7)에 스프링(M1), (M2), (M3), 상승버트(8), 선택버트(9)를 구비한 도 15의 잭(5)은 일반적으로 도 18에 (7a), (8a), (9a)로 표시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사전선택영역에 있어서, 잭(5)은 적절한 제어기구에 의해서 외부로부터 이동 및/또는 조정가능한 캠(14a) 및/또는 (14b) (및/또는 (15a))에 의해서 니들베드를 향해서 밀려서 상기 부분(7a), (8a), (9a)은 내부위치(7b), (8b), (8b1), (9b)로 추측된다. 문제의 경우에, 수직 및/또는 수평으로 요동하는 도 16과 도 18의 셀렉터(13)는 거기에 유지된 선택버트(9b)에 대해서, 정지, 제한, 벽으로서 작용하고, (9d), (8d), (7d)에 표시된 바와 같이, 계속 움직인다. 비작동상태인 셀렉터(13)에 의해서 스프링에 의거하거나, 압력, 지렛대받침, 레버의 조합에 의하거나, 고유의 구조상 탄성을 부여할 수 있는 지그재그 및/또는 부속물을 구비한 탄성잭에 의해서 밀린 버트(9b)는 이동하여, 도 18의 (9c)에서 갑자기 그 경로를 변경한다. 따라서, 이 부분(8), (9)도 대응 캠(16), (KS) 및/또는 대응 셀렉터 및/또는 전자석의 도움으로, 위치(8c), (7c)로 추측된다. 셀렉터의 정지 또는 비작동 위치는 잭을 이동시키고 스프링에 의해서 후방으로 밀리고, 다음에, 도 17의 (8c)에서와 마찬가지로 대응 캠(KS)상에 올라탄다. 다음에 선택은 선택버트(9b)의 이동을 방지하는 셀렉터(13)의 위치에 의해서 달성되고; 이외에 비선택된 잭은 별개 또는 일반적인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서 실린더로부터 자동으로 이동한다. 문제의 경우에, 상당히 날카로운 잭(7)의 하부는 선택공정이, 변환캠(16)의 도움으로 (7b)에서 (7c)까지의 궤적을 변경하고, 선택영역(Z)에 인접한 영구자석(MP)의 추가의 도움으로 비작동잭(7d)을 유지함으로써 발생되는 것을 확실하게 하는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를 도 19의 잭(5)에 의해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바, 이 잭은 (M)에서 구조적으로 탄성이고 필요에 따라 (M1)과 같은 다른 스프링을 구비하는 점이 도 15의 유사한 잭과 다르다. 이 잭은 사전선택캠(KP)을 따라서 하단부에서 요동하고, 필요에 따라 영구자석(MP)에 의해서 유지되고, 이들은 하단부(7)나 그 외에 예를 들면, 상승버트(8)에 대항해서 설치되어 있다. 통상, 잭(5)은 도 20에 표시된 바와 같이, 선택버트(9)가 대응 셀렉터에 의해서 밀리지 않으면 상승캠(KS)을 따른다. 유입 잭(7a), (8a), (9a)은 선택영역 및/또는 공칭게이지(Z)에서 위치(7b), (8b), (9b)에 대해서, 니들베드의 내부로 전환된다. (9b)에 대해서 비작동인 셀렉터(13)는 상승캠(KS)을 따르는 미리 가압된 잭의 자동적인 외부로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따라서, 버트(9b)에 대항해서 작동하는 셀렉터(L)에 의해서 버트(7b) 및/또는 (8b)는 상승캠(KS)을 너머서 아래로 잔류하고 인접한 영구자석(MP)의 힘에 의해서 이 위치에 부착 및/또는 유지되고 필요에 따라 선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적절한 경사면(P.I.)을 구비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셀렉터(L)의 폭은 섬유기계의 다른 게이지 및/또는 상승시키는 다른 기술적인 필요물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주요목적은 도 2 및 도 3의 (L), (L2)와 유사한 도 16, 도 18, 도 20 및 도 21의 잭의 버트에 작용하는 셀렉터(13)의 위치 및/또는 움직임 및/또는 기능을 변경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셀렉터는 옆으로 요동하고, 즉 선택된 잭의 외부로의 이동을 교정하기 위해 필요한 공간을 개재하고 또는 선택의 실수를 방지하기에 충분한 경우에, 수평으로 요동한다. 그러므로, 잭의 별개 선택을 위해 고속으로 요동하고, 종래의 단일 자석 디바이스에 별도의 방법을 제공하는 당연히 준비되고 강화된 하나이상의 전자석의 키퍼 또는 피에조-세라믹 스트립과 같은 다른 유사한 부재 및/또는 전자석의 다른 위치 결정에 의하고, 초기 설계를 위해서 상기 선택부재를 사용할 수 있고, 실린더내로 밀림으로써, 선택버트(9b)에 작용하고 (11)에 힌지된 (13), (13a)에서 도 2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대응 버트(7b) 및/또는 (8b)에 힘을 가하여, 도 22의 위치(7d)로 영구자석(MP)을 추종시킨다. (KP)는, 버트(7), (8)를 위한 추가의 사전선택캠을 표시하고, (AS)는, 상승캠(KS)이전에, 영구자석(MP)의 작용을 받는 경로의 부분과 셀렉터(13)의 두께를 구비한 선택영역을 표시한다. 반드시 개략적인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의 상당한 유연성에 따라서 변형 및/또는 추가 실시예에 주된 경우이다. 그것은 기계적인 요소를 포함한 통상의 자카드기계에 명확하게 적용가능하지만, 본 발명은 전기적인 선택을 초기에 구비한 기계에 완전히 적용가능하고, 예를 들면 하나의 지지대에 편입된 전기적인 액추에이터를 가지고 잭, 언더니들, 싱커 및/또는 니들의 제어를 위한 캠으로 완성되고, 결국 환경에 따라서 다른 기계적인 섬유특성을 추측할 수 있는 것에 적용할 수 있다. 동일한 산업분야내에서, 예를 들면 편직물의 분야에서 문제의 기계는 2∼3개의 기계적인 방식에서 니들선택을 변경하고, 이 방식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48∼60 또는 72피드 또는 각각의 경우에 대해, 적절한 구성 및/또는 성향을 가진 반대의 것이다. 본 명세서는, 부품 및/또는 기능이 본 발명의 개념 및/또는 목적내에 해당하거나 포함된 다수의 가능한 실시예 및/또는 용도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는 것만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의 설명)
당업자에게 명백한 본 발명의 상대적인 단순화에는 더 간단하고 개략적인 도면을 필요로 한다. 도 1은 하우징내에 화살표 F로 표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안내되고 삽입된 언더니들(3)의 상승버트(13), 사전선택버트(12), 선택버트(11), 하단부(2)를 가진 스프링(M1) 및 (M2) 또는 (M3)을 구비하여, (1a)로 표시된 바와 같이 요동하는 잭(1)을 포함한다. 도 2는 버트(11)에 대향해서 (L)에서 작동하고 (L1)에서 비작동하는 이동셀렉터를 수용하는 액추에이터유닛(GA)에 대향해서 잭(1)의 단면을 표시한다. 캠지지부(10)에는 (13a1)에서 캠(K)의 후방에 배치되고, (13a)에서 부분적으로 캠(K)상에 있고, (13b)에서 상승하는 버트(13)용 상승캠과 버트(12)에 대향해서 사전선택캠(K2)을 가진다. 도 3은 캠(K), 유입버트(13a) 및/또는 (13a1), 캠(K)후방의 버트(13c), 꼭대기의 버트(13b)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사전선택캠(K2)은, (L2)에서 수평요동하고 (L)에서 수직이동하는 셀렉터를 수용하는 엑추에이터유닛(GA)과 일직선상에 있다. 도 4는 (M5)에서 구조적으로 탄성인 언더니들(3) 및/또는 각종 스프링(M1), (M2), (M3), (M4)을 구비한 잭(1)을 표시한다. 도 5는 사전선택캠(K2), 상승캠(K) 및 사전선택방지캠(K3)에 대해서 선택영역(AS)의 셀렉터(L)에 대해서 공통으로 배향된 잭(1)의 3개의 버트의 평면도이다. 도 6은 (11a)에 대항하는 셀렉터(L)의 작용에 의해 야기된 버트(13c)의 미선택을 표시한다는 점에서 도 5와 다르다.
도 7 및 도 8은 언더니들(3)에 관한 일부 변형과 실린더스프링(mc)을 가진 잭(1)뿐만 아니라 각종 방식으로 배치가능한 부속물(21), (22) 또는 탄성적인 지그재그의 존재를 표시한다. 도 9, 도 10 및 도 11은 양단부가 요동하도록 중앙하단부(30), (26), (3)에 근본적으로 피벗된 다른 잭(1)을 표시한다. 다른 실시예에 관해서, 이 피벗은 실린더(30)에 대항해서 직접 설치되거나 실린더내에 수용된 다른 부재(25-2)에 잭(1)의 기능적인 연결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하부버트(10)는 선택영역을 직접 따르는 영구자석(MP)에 의해 유지되고; 이외에 하부부속물(9)도 새로운 위치(9b)로 전환되는 부속물(9), (9a)이 움직이는 베어링면에 인가된 코일(21)이 일시적으로 자장을 제거하는 영역에서 도 12의 캠(K4), (K5)과 도 10의 캠(K6), (K7)의 도움과 단일자석디바이스(20)에 의해서 선택을 위해 사용된다. 도 13은 이 경우에, 비작동하는 셀렉터(L), 제어캠(K3), 상승캠(K), 사전선택캠(K2)과 관련된 상기 잭의 버트(10), (11), (12), (13)의 평면도이다. (11a)에 대항해서 작동하게 되면, 버트(13)는 상승캠(K)을 너머서 통과하고, 하부버트(10)는 도 14에 표시된 바와 같이 위치(10a)에서 영구자석(MP)에 의해서 유지된다. 도 15는 상승버트(8), 선택버트(9), 사전선택지점이나 버트(7)를 구비하고, 스프링(M1), (M2), (M3)을 구비한 동시에 구조적으로 탄성인 하단부(7)에서, 요동하는 다른 잭(5)을 표시한다. 도 16은 통상의 경사면(12) 및/또는 별개의 경사면(12A)을 지닌, 지지부나 액추에이터유닛(10)에서의 이동셀렉터(13)를 표시한다. 이 실린더에 수직, 수평이고 연속 및/또는 분열된, 상기 경사면(12)은 이들 잭과 접촉하는 경우에 정지디바이스의 다른 기능에 의해서 부러진 잭으로부터 별개의 셀렉터 및/또는 액추에이터를 보호한다. 적절히 배치하면, 그것은 도 18의 (14a), (15a)와 유사한 사전선택캠으로 된다. 셀렉터(13)의 수직, 측면 혹은 수평위치나 변이는 니들베드로부터 잭(6)의 자동적인 추방을 허용한다. 도 17은 (8c)에서와 같이 상승하여 위치(8d)에서 캠(KS)뒤에 잔류하는 유입상승버트(8b)에 관한 상승캠(KS)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7c), (8c), (9c)에서 전환되거나 (7d), (8d), (9d)에서 연속하는 것으로부터 선택영역(7b), (8b), (9b)까지, (7a), (8a), (9a)에서의 유입버트(7), (8), (9)의 위치를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선택영역(Z)을 통과한 하부버트 또는 부속물(7)은 확실한 효과에 의해 영구자석(MP)과 접촉해서 계속 유지된다. 도 19에 표시된 잭(5)은 (M)에서 구조적으로 탄성이고 필요에 따라, (M1)과 같은 다른 스프링을 구비한 점에서 도 15의 유사한 잭과 다르다. 그 하단부는 사전선택캠(KP)을 따라서 요동하고, 필요에 따라 영구자석(MP)에 의해서 유지되고, 이들은 하단부(7)에 배치되어 있다. 그것은 상승캠(KS)과 선택버트(9)를 위한 버트(8)를 구비하고 있다. 이런 기능은 도 20에 개략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즉, 유입잭(7a), (8a), (9a)은 위치(7b), (8b), (9b)에 대해서 안쪽으로 선택영역(Z)을 전환한다. (9b)에 대항해서 비작동하는 셀렉터(13)는 상승캠(KS)과 만나는 가압된 잭의 자동적인 외부로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역으로 버트(9b)에 대항해서 작용하는 셀렉터(L)에 의해서 버트(7b) 및/또는 (8b)는 상승캠(KS)뒤에 잔류하고, 활동적인 선택의 기능을 행하고 경사면(P.I.)로 형성된 인접한 영구자석(MP)의 힘에 의해 지정된 영역에서 부착 및/또는 유지되고, 즉, 대응 버트(7b) 및/또는 (8b)가 영구자석(MP)을 도 22의 위치(7d)를 따르도록 하고, 실린더로 밀린 버트(9b)에 대항해서 작용하고 (11)에 힌지된 도 21의 (13), (13a)에 표시된 바와 같은 수평으로 요동하는 셀렉터의 폭의 감소 또는 공칭게이지에 대한 선택영역(Z)의 감소에 기여하고 상승캠(KS)으로부터 제거하는 잭의 경로를 변경한다. 결국, (KP)는 버트(7) 및/또는 (8)에 대한 2개의 다른 사전선택캠을 표시하고, (AS)는 셀렉터(13)의 두께와 상승캠(KS)이전에 영구자석(MP)의 작용에 주된 경로의 부분을 구비한 선택영역을 표시한다.

Claims (28)

  1. -적어도 하나의 니들베드를 제공하는 스텝과;
    -상기 니들베드내에 직물의 형성을 위한 이동부품(1,3)과 이 이동부품의 선택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셀렉터수단(GA, L1;L2)을 제공하는 스텝과;
    -상기 셀렉터수단의 작용과 반대로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반작용부재(M1,M2,M3,M4,M5)를 제공하는 스텝과;
    -상기 이동부품중 적어도 일부를 선택해서 해당 선택된 이동부품이 적어도 하나의 상승캠(K)에 의해서 니들베드내에서 슬라이드하도록 하는 스텝을 포함한 섬유기계에서 자카드선택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품(1,3)은 사전선택위치에서 상기 니들베드내로 상기 모든 이동부품을 미는 사전선택캠(K2)에 의해 사전선택되어 있고;
    -상기 셀렉터수단(GA, L, L1)은 상기 상승캠(K)과 협동하기 위해 이 선택된 부품을 상기 니들베드에서 외부로 이동시키는 한편, 선택되지 않은 부품은 상기 상승캠(K)과 접촉하지 않도록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계에서 자카드선택을 위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선택위치에서, 상기 이동부품은, 상기 상승캠(K)을 거의 완전히 제거하지 않고, 선택되지 않은 부품은 상기 선택액추에이터에 의해서 니들베드내로 더 이동되고, 선택된 부품은 상기 상승캠(K)에 의해 작용되고 있는 외부위치로 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계에서 자카드선택을 위한 방법.
  3. -직물의 형성을 위한 이동부품(1,3)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니들베드와;
    -상기 이동부품의 선택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셀렉터수단(GA;L,L1)과;
    -상기 셀렉터수단의 작용과 반대로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반작용부재(M1,M2,M3,M4,M5)와;
    -선택된 이동부품(1,3)을 이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상승캠(K)을 포함한 섬유기계에서 자카드선택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사전선택캠(K2)은 사전선택위치에서 니들베드내에 상기 이동부품을 이동시키는 사전선택수단으로서 작용하고, 상기 셀렉터수단(GA, L, L1)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승캠(K)과 협동하기 위해 상기 반작용부재의 작용하에, 선택된 부품을 상기 니들실린더 외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선택캠(K2)은 상기 셀렉터수단들과 상기 사전선택캠(K2)과 상기 니들실린더 사이의 상대이동에 대해서, 상기 셀렉터수단(GA, L, L1)의 상류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계에서 자카드선택을 위한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선택캠(K2)은 상기 상승캠(K)을 완전히 제거하지 않는 위치에 이동부품을 이동시키도록 설계되어 있고, 상기 셀렉터수단은 선택되지 않은 이동부품을 니들실린더내로 더 이동시키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계에서 자카드선택을 위한 장치.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반작용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계에서 자카드선택을 위한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품은 적어도 하나의 사전선택버트(5), 적어도 하나의 선택버트(11) 및 상승버트(13)를 포함하고, 상기 반작용수단은 상기 버트가 상기 니들베드로부터 상기 사전선택캠(K2), 상기 상승캠(K) 및 상기 셀렉터수단(GA, L, L1)을 향해서 돌출하는 위치로 이동부품을 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계에서 자카드선택을 위한 장치.
  7.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반작용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자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계에서 자카드선택을 위한 장치.
  8.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품은 상기 니들실린더에 대해서 요동하도록 설계된 잭(1)과, 상기 잭을 따라서 요동하고 상기 잭(1)에 대해서 슬라이드하도록 설계된 언더니들(3)을 포함하고, 상기 잭은 상기 사전선택캠(K2)과 협동하는 사전선택버트(12)와 상기 셀렉터수단(GA, L, L1)과 협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버트(11)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언더니들(3)은 상기 상승캠(K)과 협동하는 상승버트(13)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계에서 자카드선택을 위한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잭은 자석(MP;20;21)과 협동하는 선택버트(9)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계에서 자카드선택을 위한 장치.
  10.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셀렉터수단(GA, L, L1)의 바로 상류에, 방지캠(K3)이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계에서 자카드선택을 위한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KR1019997007049A 1997-02-04 1998-01-30 섬유기계에서 자카드선택을 위한 방법과 장치 KR1003442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CO97A000002 1997-02-04
IT97CO000002A IT1295742B1 (it) 1997-02-04 1997-02-04 Metodo e attrezzatura per la selezione jacquard in una macchina tess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0787A KR20000070787A (ko) 2000-11-25
KR100344209B1 true KR100344209B1 (ko) 2002-07-20

Family

ID=11347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7049A KR100344209B1 (ko) 1997-02-04 1998-01-30 섬유기계에서 자카드선택을 위한 방법과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145349A (ko)
EP (1) EP0958415B1 (ko)
JP (1) JP2001521586A (ko)
KR (1) KR100344209B1 (ko)
DE (1) DE69809030T2 (ko)
ES (1) ES2184228T3 (ko)
IT (1) IT1295742B1 (ko)
TW (1) TW436544B (ko)
WO (1) WO199803396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496B1 (ko) * 2001-03-13 2005-03-17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시스템 부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48196C1 (de) 2001-09-28 2003-04-03 Groz Beckert Kg Systemteil
US6901499B2 (en) * 2002-02-27 2005-05-31 Microsoft Corp.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data stored in a flash memory device
WO2007113649A1 (en) * 2006-03-31 2007-10-11 Lonati S.P.A.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hosiery or the like
US7739889B2 (en) * 2006-03-31 2010-06-22 Lonati S.P.A.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hosiery or the like
DE202015102653U1 (de) 2015-05-22 2015-06-25 Shun-Yee Industrial Co., Ltd. Schnelllöser für ein Handwerkzeug
CN107268170B (zh) * 2017-06-08 2023-04-11 浙江华诗秀新材料科技有限公司 组合型任意拉毛的提花针及其选针系统
CN108532112B (zh) * 2018-06-13 2024-04-12 福建泉州凹凸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改进提花片复位机构的针织圆机及针筒
CN109736003B (zh) * 2019-03-09 2024-05-03 绍兴鸿骏机械有限公司 一种提花圆机的提花机构
CN109853119A (zh) * 2019-03-12 2019-06-07 绍兴贵能针纺有限公司 一种两用提花三角机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1500A (en) * 1971-04-19 1974-12-03 Rockwell International Corp Circular knitting machine needle selecting apparatus
JPS5416204Y2 (ko) * 1973-11-22 1979-06-26
IT1207078B (it) * 1987-05-13 1989-05-17 Lonati Spa Dispositivo per il comando dei selettori in una macchina circolare per calze a quattro alimentazioni.
CH686141A5 (fr) * 1991-09-20 1996-01-15 Steiger Sa Atelier Constr Dispositif de selection des aiguilles d'une machine a tricoter.
IT1255049B (it) * 1992-04-02 1995-10-17 Savio Spa Macchina circolare da maglieria ad aghi elastici con dispositivo di selezione a cursore scorrevo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496B1 (ko) * 2001-03-13 2005-03-17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시스템 부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521586A (ja) 2001-11-06
EP0958415A1 (en) 1999-11-24
ES2184228T3 (es) 2003-04-01
KR20000070787A (ko) 2000-11-25
ITCO970002A0 (it) 1997-02-04
EP0958415B1 (en) 2002-10-30
ITCO970002A1 (it) 1998-08-04
US6145349A (en) 2000-11-14
IT1295742B1 (it) 1999-05-27
DE69809030T2 (de) 2003-06-18
WO1998033966A1 (en) 1998-08-06
DE69809030D1 (de) 2002-12-05
TW436544B (en) 2001-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4209B1 (ko) 섬유기계에서 자카드선택을 위한 방법과 장치
EP1418263B1 (en) Yarn feeder of weft knitting machine and method of feeding yarn for weft knitting machine
EP3608461B1 (en) Plating knitting method used in flat knitting machine
EP1514963B1 (en) Weft knitting machine with movable sinker device
KR100348690B1 (ko) 경편기에서의무늬내는장치
EP0722007A1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with improved needle selection mechanism
JPH06207352A (ja) 編機の選針装置
EP1524348B1 (en) Sinker selection device in a circular machine for knitting hosiery or the like
GB1564985A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having an electromagnetically actuated patterning device
EP3165652B1 (en) Knitting method and circular knitting machine
CN104099718A (zh) 具备可动沉降片的横机
US4147042A (en) Selection mechanism of circular knitting-machine
EP3615723B1 (en) A circular knitting machine and a method for moving the needles of a circular knitting machine
US5138850A (en) Spring biased pattern bars having electromagnetic selectors
EP0550251A2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EP0974692A3 (en) Needle selecting apparatu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EP0328976B1 (en) Needle selection device for knitting machine
EP0604164B1 (en) A method for knitting a crossing pattern and an apparatus for knitting a crossing pattern in a flat knitting machine
EP0335099A1 (en) Selector of bimorphous piezoelectric cell type for needles of textile machine
US3398554A (en) Straight bar knitting machines
JPH04289249A (ja) 丸編機における針の選択の方法および装置
CN112853598B (zh) 经编机
US20220235501A1 (en) A circular knitting machine and a method for moving the needles of a circular knitting machine
EP0962568A2 (en) Needle actuation device for knitting machines for hosiery or the like
KR940001742Y1 (ko) 횡편기에 있어서의 선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