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3563B1 - 고도 정수처리용 생물활성탄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도 정수처리용 생물활성탄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3563B1
KR100343563B1 KR1020000026115A KR20000026115A KR100343563B1 KR 100343563 B1 KR100343563 B1 KR 100343563B1 KR 1020000026115 A KR1020000026115 A KR 1020000026115A KR 20000026115 A KR20000026115 A KR 20000026115A KR 100343563 B1 KR100343563 B1 KR 100343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ctivated carbon
particle size
carbo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6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4899A (ko
Inventor
안태영
Original Assignee
게스트환경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스트환경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게스트환경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26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3563B1/ko
Publication of KR20010104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4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3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3563B1/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고도 정수처리용 생물활성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옹기토 50∼90중량%, 평균입자크기가 1.0∼3.0mm인 부식토 5∼44중량%, 게르마늄 1∼5중량% 및 입자크기가 0.1mm 이하인 녹말 0.1∼2중량%로 구성된 고도 정수처리용 생물활성탄 성분을 원하는 형태로 성형한후 5∼12시간동안 건조시키는 다음, 상기 성형물을 400∼500℃에서 탄화시키고, 일정한 크기로 파쇄 및 입도를 분리시킨후, 800∼1200℃에서 소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도 정수처리용 생물활성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생물활성탄은 효능이 탁월하고, 효과가 신속하고 지속력이 있으며, 기존의 제품에 비해 취급 및 사용이 용이하고, 수입을 대체하고 수출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저가격의 100% 국산제품이며, 2차 환경오염이 없어 대외 경쟁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도 정수처리용 생물활성탄 및 이의 제조방법{Biological activated carbon for advanced water purification treatmen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도 정수처리용 생물활성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활성탄으로의 유기물질의 흡착과 부착미생물의 분해를 연동시켜 미량의 화학물질과 난분해성 물질(T-N, T-P 등)을 분해·제거시키기 위한 입상활성탄(Granular Activated Carbon)을 대체할 수 있는 고도 정수처리용 생물활성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부는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세계화 시대에 걸맞는 하수도 정책을 시행하기 위하여 향후 하수도 정책의 기본방향을 "맑은 물 만들기와 하수도 정책의 선진화"로 잡고 이와 관련된 정책들을 중점 추진해 나가고 있다. 따라서 오수 및 하수처리장의 건설 등 환경투자는 날로 증가하고 있으나, 우리나라 수계의 수질이 점차악화됨에 따라 각 하수처리장에 고도처리시설의 도입을 의무화하여 방류수의 질소, 인 제거 등 방류수의 수질기준을 강화하고 있다.
경제발전과 용수의 사용증가로 21세기에는 세계적으로 물 부족현상이 예견됨에 따라 물 부족을 해결할 대책 중의 한 방법은 사용된 하수 등을 고도처리를 통하여 사용목적에 맞는 용수로 재사용하는 중수도를 실시하는 것이다.
하수처리장의 고도처리방법은 처리수중의 미처리된 질소와 인 및 유기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입상활성탄에 흡착, 여과시키는 방법이다.
종래의 활성탄의 특성은 하기 표 1과 같으며, 비단 고도정수처리시설 뿐만 아니라, 하·폐수처리, 대기오염물질제거, 화학공업 및 의약 등의 다방면에서 응용되고 있으므로 향후 기대되는 바가 매우 크다고 하겠다.
기존 입상활성탄의 비표면적, 세공용적 및 평균세공반경
활성탄 비표면적(m2/g) 세공용적(cm3/g) 평균세공반경(Å)
기상용 A 1130 0.77 27
B 1140 0.71 25
C 1290 0.64 20
D 1050∼1150 - 30
액상용 E 970 1.07 44
F 850 0.88 41
G 850∼1100 - 35
H 1000 1.5 50
활성탄의 흡착특성은 세공구조 뿐만 아니라 화학조성에도 영향을 준다. 활성탄의 세공은 부활과정에 있어서 말조직탄소나 탄소계 성분이 제거되므로 인해,기본 결정자 간(비결정부)에 생기는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적당한 부활방법에 의해 많은 세공이 형성되어 지는데 통상의 표면적이 500∼1,700m2/g에 달하고, 이것이 큰 흡착능력을 표시하는 주된 이유가 되고 있으며, 고도의 규칙성 구조를 지닌 흑연표면에 대한 흡착력은 주로 반델발스(Van der Waal's) 힘 중 분산력에 의거한다.
기존의 활성탄은 야자각 숯, 종려각 숯, 갈탄 숯, 유연탄 숯, 목탄 및 소회, 무연탄 숯 및 석유 코크(Coke) 등 우리 나라에서는 거의 자원이 없는 것으로 100%의 원자재를 수입하여 임가공하거나 완제품을 수입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조공정을 거쳐 활성탄을 제조·생산하였던 것이다(Smisek and cerny, 1970).
이러한 원자재의 수입은 외화를 낭비하며, 국가 경쟁력제고에도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판단될 뿐 아니라, 제조공정중 800∼1000℃의 온도 범위에서 일어나는 탄소의 산화반응으로 발생되는 가스(수증기, 이산화탄소 등)와 산세과정의 약품(염화아연, 인산, 황산 등의 무기약품)은 장치부식과 2차 환경오염을 발생시키고, 제조공정의 복잡성 등 단점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또한, 활성탄 100g당 COD 제거율은 20∼50g이 제거되며, 활성탄 m2당 소요량은 30∼100g으로써 가동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것에 비해 처리효율이 낮고, 특히 수처리 후 발생되는 활성탄 폐기물은 2차 환경오염을 발생시켜 왔으나 그 이용가치에 비하여 대체 품목이 없거나 비경제적으로 사용되어 온 것이다.
이렇게 제조공정 중 발생되는 가스가 대기 중으로 방출되거나 폐기물로서의활성탄을 적절히 처리하지 못할 경우에는 자연환경을 오염시키고, 생태계를 파괴하며, 인류를 위협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산업의 발전에도 큰 저해요인이 될 것이다.
따라서, 활성탄의 흡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중인데, 예를 들어, 한국 등록특허 제141480호에서는 활성탄소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부의 천연 폴리사카라이드를 포함하는 성형가능한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고, 한국 공고특허 제97-5529호에서는 목재 중해에 의해 펄프 제조시의 부산물로서 다량으로 배출하는 리그린 또는 그의 유도체를 원료로서, 알칼리를 활성화제로서 사용하여 고성능의 활성탄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 공고특허 제96-3235호에서는 폐기 타이어를 연소시켜 제조한 활성탄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들은 기존의 활성탄의 특성을 개선시킨 특징은 있으나, 활성탄을 대체시킨 예는 아니다. 결론적으로, 현재까지는 고가의 활성탄 대체품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한편, 국내·외 활성탄 규격 및 기준을 살펴보면 하기 표 2 및 표 3과 같으며 용도는 하기 표 4와 같다.
활성탄 규격(Granular activated carbon)
시험 항목 기준치(입상) 비고(시험방법)
성 상 흑색의 알갱이 환경부고시 95-44호
확인시험 적 합
pH 4.0∼11.0
체잔류물 8호체통과 35체잔류물95% 이상
건조감량 5% 이하
염화물 0.5% 이하
As 2ppm 이하
Pb 10ppm 이하
Cd 1ppm 이하
Zn 50ppm 이하
페 놀 가 25 이하
ABS 가 50 이하
M.B 탈색력 150㎖/g 이상
요오드 흡착력 950mg/g 이상
입상활성탄 구입규격 (동경부 수도국)(松全 稔 1974)
항목 규격 적요
입 도 8∼32mesh
메틸렌 블루 탈색력 150 ㎖/g 이상 100mesh 통과시료에 대하여
요오드 흡착력 1,100 ㎤/g 이상
건조 감량 50 % 이하
pH 4∼11
염화물 0.5% 이하
아 연 0.1%이하
0.001%이하
비 소 0.0002%이하
활성탄소의 용도(Application of activated carbon)
구 분 목 적
상수도 수원 및 취수지,정수장 처리 - 조류 발생의 억제- 미생물 발생에 의한 이물질 냄새제거- 산업폐수 유입으로 인한 이물질 냄새제거
하수도 처리 - BOD, COD, TOC, 색도 제거- 생물처리 방해물질 제거 (농약, ABS등)- 난분해성 물질제거 (ABS, 농약, 플라스틱)- 공업용수로 재이용- 골프장 용수, 잡용수, 지하수로의 이용
산업폐수 처리 - BOD, COD, TOC, 색소, 냄새, 기름, 석탄산 제거- 생물처리 방해물질 제거- 생물분해 곤란한 물질제거- 수은 등 금속물질 제거- 기름 냄새 제거- 재순환용수의 처리
산업용수처리,양조 공업,청량음료공업, 제방업,발전소, 화학공업,의약품공업,전자기기공업 - 지하수의 유기물 (색, 냄새, 콜로이드, 세제, 농약)제거- 상수중의 유리염소, 냄새제거- 보일러 원수 정화, 보일러 환류수의 탈유- 원수 중 발열성물질 제거, 초순수의 제조- 수돗물 중의 염소제거, 음료수 처리- 이온교환수지 보호, 공업용수의 제조
아울러 국내 활성탄 생산업계는 대부분 야자각을 원료로 한 입상활성탄과 톱밥을 원료로 한 분말활성탄을 생산하고 있으며,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역청탄, 이탄, 무연탄 등을 원료로 한 석탄계 활성탄과 조립탄, 첨착활성탄 등 고가의 특수활성탄은 국산 대체가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국내 활성탄 생산업계는 원료를 전량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수입품과 가격경쟁에서 열세에 놓여져 있으며, 과다 경쟁이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Chemical Report, 1997). 또한, 산업의 발전에도 큰 저해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용수의 고도처리에 이용함은 물론 국가 산업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뿐만 아니라 수입대체품목으로서의 국제수지를 개선하는 한편, 2차 환경오염 방지를 통한 자연생태계의 보전하고, 고비용 저효율의 활성탄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활성탄을 연구한 결과, 저비용 고효율의 생물활성탄(BAC)를 개발하였고, 본 발명은 이에 기초하여 완성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요처에 적용시 종래에 발생되는 문제점을 보완하고 효능이 향상된 ① 탁월한 효능의 제품, ② 효과가 신속하고 지속력이 있는 제품, ③ 기존의 제품에 비해 취급 및 사용이 용이한 제품, ④ 수입을 대체하고 수출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저가격의 100% 국산제품 및 ⑤ 2차 환경오염이 없어 대외 경쟁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생물 활성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생물 활성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생물활성탄은 옹기토 50∼90중량%, 부식토 5∼44중량%, 게르마늄 1∼5중량% 및 녹말 0.1∼2중량%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생물활성탄의 제조방법은 옹기토 50∼90중량%, 부식토 5∼44중량%, 게르마늄 1∼5중량% 및 녹말 0.1∼2중량%로 구성된 원료와 부원료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원하는 형태로 성형한후 5∼12시간동안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성형물을 400∼500℃에서 탄화시키는 단계; 탄화후 일정한 크기로 파쇄 및 입도를 분리시키는 단계; 및 입도분리후 800∼1200℃에서 8∼10시간동안 소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통상적인 활성탄중 파쇄상 활성탄의 제조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활성탄을 제조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술환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물활성탄은 옹기토 50∼90중량%, 부식토 5∼44중량%, 게르마늄 1∼5중량% 및 녹말 0.1∼2중량%로 구성된다.
상기 옹기토는 국내에서 전통 항아리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주원료서, 옹기토의 생산지별 화학적 성분은 하기 표 5와 같다.
생산지\조성 SiO2 Al2O3 Fe2O3 MgO CaO K2O
청양 52.16 11.23 7.37 12.04 9.41 2.60
홍성 50.68 9.69 6.60 15.49 9.03 3.78
산청 60.4 19.0 6.71 1.91 0.67 2.42
경주 64.23 20.53 4.377 0.80 0.40 2.86
상기 표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옹기토는 담체의 기공 및 흡착력을 결정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SiO2성분이 50∼70중량%로서, SiO2성분이 50중량% 미만이면 최종 생물활성탄의 기공형성은 양호하나 흡착력이 저하되고, 70중량%를 초과하면 흡착력은 향상되나 기공형성이 어려우므로써, 유사한 성분을 가지나 SiO2성분이 70중량% 이상인 고령토나 점토보다 본 발명의 생물활성탄의 주원료서 바람직하며, 국내(경주, 산청, 홍성, 청양 등)에서 조달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면에서도 유리하다. 상기 옹기토의 사용량은 50∼90중량%가 바람직한데, 50중량% 미만이면 흡착능력이 저하되고, 90중량%를 초과하면 미세기공의 용적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부식토는 나무껍질, 나무잎 및/또는 식물 줄기 등의 혼합 성분을 퇴비화시킨 것으로, 생물활성탄에 상대적으로 큰 기공을 형성시키기 위해 평균입자크기가 1.0∼3.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사용량은 5∼44중량%가 바람직하며, 5중량% 미만이면 기공의 용적이 저하되고, 44중량%를 초과하면 흡착능력이 저하된다.
상기 게르마늄은 분말 형태로 생물활성탄에 첨가되어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살균능을 가지며, 그 사용량은 1∼5중량%가 바람직하다. 이때, 1중량% 미만이면 살균효과가 미미하고, 5중량%를 초과하면 미생물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아울러, 게르마늄의 입자크기는 크게 제한받지 않으나 미세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녹말은 생물활성탄에 상대적으로 작은 기공을 형성시키기 위해 입자크기가 0.1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사용량은 0.1∼2중량% 정도인데, 0.1중량% 미만이면 기공형성이 저하되고, 2중량%를 초과하면 세공용적이 저하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생물활성탄(BAC)의 제조공정은 도 2와 같이 원료 →혼합 →성형 →건조 →탄화(활성화)공정 →파쇄 및 입도분리 →소성(활성화)공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원료인 옹기토는 국내(경주, 산청, 홍성, 청양 등지)에서 조달이 가능하며, 부식토, 게르마늄 및 녹말과 같은 부원료 또한 국내조달이 100%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료와 부원료를 이용하여 각종 처리용도에 맞게 일정비율로 혼합한 후 압출기 또는 토련기를 거쳐 원하는 일정한 크기나 모양으로 성형 후 절단한다. 성형 절단된 소재는 일정한 크기와 모양을 유지하기 위하여 약 5∼12시간동안 자연건조시킨 다음, 원료를 약 400∼500℃정도로 탄화(가열)시키면 탈수분해가 일어나서 산소결합이 끊어지며 물과 이산화탄소 및 일산화탄소 등의 형태로 방출되고 휘발분이 거의 제거되며 기공이 형성되게 한다.
그 다음, 파쇄 및 입도 분리과정을 거친후, 온도를 시간당 약 100℃ 정도로 서서히 올려 약 800∼1200℃의 온도 범위에서 약 8∼10시간 동안 탄소의 산화반응으로 표면을 침식시켜 미세공 구조를 발달시키는 공정이다. 이렇게 소성된 소재는 약 5시간 동안 서서히 상온 공기와 접촉시켜 건조 공정을 거친다.
본 발명에서 만들어진 생물활성탄(BAC)은 하기 표 6에서와 같이 기존의 활성탄보다 균일한 기공(10∼20Å)과 넓은 비표면적(1200m2/g)이 형성되어 하·폐수나 대기오염물질 등을 처리할 수 있는 적절한 조건이 형성되었으며, 실시예에서와 같이 BOD, COD 등 유기물질 제거효율은 실시한 결과 25%∼80%로써 종래의 활성탄과 비교할 때(처리효율 28∼35%) 비슷하거나 우수하며, 소재의 세공용적이 평균 0.82 ㎤/g로써 기존의 활성탄 세공용적 0.64∼1.5㎤/g보다 높음을 알 수 있다.
생물활성탄의 비표면적, 세공용적 및 평균세공반경
입상활성탄 No 비표면적(m2/g) 세공용적(㎤/g) 평균세공반경(Å)
A 890 0.51 10
B 970 0.82 13
C 1050 0.85 17
D 1200 1.2 15
E 1100 0.72 20
A는 옹기토 : 부식토 : 게르마늄 : 녹말(90 : 8 : 1 : 1)
B는 옹기토 : 부식토 : 게르마늄 : 녹말(80 : 17 : 2 : 1)
C는 옹기토 : 부식토 : 게르마늄 : 녹말(70 : 26 : 3 : 1)
D는 옹기토 : 부식토 : 게르마늄 : 녹말(60 : 35 : 4 : 1)
E는 옹기토 : 부식토 : 게르마늄 : 녹말(50 : 44 : 5 : 1)
또한, 최근에 문제시되고 있는 부영양화와 적조현상의 원인 물질이기도 한 총 질소(T-N)와 총인(T-P)의 제거효율이 53%∼80%로 상당한 제거효율을 나타냄으로써 생물활성탄을 이용한 수처리를 통하여 하·폐수의 재활용을 위한 고도정수처리 효과에 월등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생물활성탄은 사용된 원·부재료의 혼합비율에 따른 화학 성질은 하기 표 7과 갔다.
생물활성탄의 규격
시험 항목 기준치 생물활성탄 비고(시험방법)
성 상 흑색의 알갱이 회색의 알갱이 환경부고시 95-44호
확인시험 적 합 적 합
pH 4.0∼11.0 8.6
체잔류물 8호체통과35체잔류물 95% 이상 8호체통과35체잔류물 96%
건조감량 5% 이하 3.8%
염화물 0.5% 이하 0.1%
As 2ppm 이하 0.5ppm
Pb 10ppm 이하 8.1ppm
Cd 1ppm 이하 0.2ppm
Zn 50ppm 이하 20.0ppm
페놀가 25 이하 11
ABS가 50 이하 20
M.B 탈색력 150㎖/g 이상 180㎖/g
요오드 흡착력 950mg/g 이상 1100mg/g
또한, 하·폐수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효율면에서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는 옹기토 60중량%, 부식토 35중량%, 게르마늄 4중량% 및 녹말 1중량%의 비율로 혼합된 소재가 유기물질과 질소 및 인 등을 약 80%이상 제거할 수 있어 바람직하며, 상기 활성탄의 m2당 유기물량은 50∼150g이 통상의 하·폐수를 처리하는데 바람직한 범위이나, 하·폐수의 유기물과 질소, 인 등의 농도에 따라 상기 범위를 벗어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이용(사용)된 혼합기와 압출성형기 및 활성화기는 기존의 도자기 공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공정(구조)를 갖는다.
상기 공정중 압출 성형 후 건조 단계에서 건조 시간이 5∼12시간의 범위를 벗어나면 원하는 형태의 소재를 유지할 수 없으며 탄화공정에서 400∼500℃ 및 소성공정중 가열온도가 800∼1200℃의 범위를 벗어나면 기공의 균일성이 떨어지며 공극율이 낮아지므로 수처리에 이용시 효율이 저조하므로 이용가치는 현격히 저하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생물활성탄은 기공이 10∼20Å으로 균일하며, 공극율이 70%이상으로 높아 그 이용가치는 매우 광범위할 수 있다. 오·폐수에 적용시 고도의 운전기술이 필요치 않아 유지관리가 쉽고, 소재의 넓은 표면적으로 고농도의 미생물을 유지할 수 있어 유기물 제거효율이 높아 처리시간을 단축시켜 시설 규모를 축소시킬 수가 있으며 환경조건이 다른 저부하와 고부하의 폐수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1차 처리수에 적용시 미처리된 유기물과 총 질소(T-N) 및 총 인(T-P)을 제거하는 효율이 높아 하천이나 호소 등의 부영양화현상을 예방하고, 바다 등의 적조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고도 정수처리의 소재로 안정된 수질을 확보함으로써 용수의 재사용을 통한 물 부족을 예방하여 산업발전에 일익을 도모하고, 자연환경보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지만, 하기 예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위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한 "중량%"를 의미한다.
실시예 1
옹기토 60%, 평균입자크기가 약 2mm인 부식토 35%, 평균입자크기가 약 0.5mm인 게르마늄 4%, 입자크기가 0.1mm 이하인 녹말 1%로 이루어진 성분을 혼합한 다음, 토련기에서 상기 혼합물을 펠렛상으로 성형한후 약 10시간동안 자연건조시켰다. 상기 성형물을 도자기를 굽는 가마를 이용하여 400∼500℃에서 약 1시간동안 탄화시켰다. 탄화후, 파쇄기로 파쇄하여 평균입자크기가 약 10mm인 것만을 분리하였다. 입도분리후 상기 가마를 이용하여 800∼1200℃에서 소성시킨 다음, 자연건조시켜 본 발명의 생물활성탄을 제조하였다. 상기 생물활성탄을 이용하여 염색공장폐수를 처리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기재하였다.
생물활성탄 플랜트(Plant)에 의한 처리성적
구분 염색공장폐수 처리수 제거율(%) 비고
COD(mg/L) 430 86 80 320L/min/m2
TPC(mg/L) 258 49 81 320L/min/m2
색도(도) 600 120 80 320L/min/m2
실시예 2
옹기토 60%, 부식토 35%, 게르마늄 4% 및 녹말 1%로 이루어진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본 발명의 생물활성탄을 제조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하수처리장 처리수를 대상으로 실험을 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기재하였다.
생물활성탄에 의한 T-N, T-P의 처리실험
구분 하수처리수 처리수 제거율(%) 비고
COD(mg/L) 15 4 73
T-N(mg/L) 35 11 69 HRT = 2hr
T-P(mg/L) 9 2 78 HRT = 2hr
실시예 3
옹기토 60%, 부식토 35%, 게르마늄 4%, 녹말 1%로 이루어진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본 발명의 생물활성탄을 제조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석유정제공장폐수를 대상으로 실험을 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0에 기재하였다.
폐수 처리 결과
단위; mg/L
구분 공장폐수 처리수 효율(%) 비고
N-H 3.4 0.6 82
NH3 430 24 94
H2S 1200 13 99
페놀 9.8 0.5 95
CN 6.4 0.1 98
상기 실시예들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물활성탄은 효능이 탁월하고, 효과가 신속하고 지속력이 있으며, 기존의 제품에 비해 취급 및 사용이 용이하고, 수입을 대체하고 수출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저가격의 100% 국산제품이며, 2차 환경오염이 없어 대외 경쟁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옹기토 50∼90중량%, 평균입자크기가 1.0∼3.0mm인 부식토 5∼44중량%, 게르마늄 1∼5중량% 및 입자크기가 0.1mm 이하인 녹말 0.1∼2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도 정수처리용 생물활성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옹기토는 SiO2성분을 50∼70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도 정수처리용 생물활성탄.
  3. 옹기토 50∼90중량%, 평균입자크기가 1.0∼3.0mm인 부식토 5∼44중량%, 게르마늄 1∼5중량% 및 입자크기가 0.1mm 이하인 녹말 0.1∼2중량%로 구성된 원료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원하는 형태로 성형한후 5∼12시간동안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성형물을 400∼500℃에서 탄화시키는 단계;
    탄화단계후 일정한 크기로 파쇄 및 입도를 분리시키는 단계; 및
    입도분리후 800∼1200℃에서 소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도 정수처리용 생물활성탄의 제조방법.
KR1020000026115A 2000-05-16 2000-05-16 고도 정수처리용 생물활성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343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6115A KR100343563B1 (ko) 2000-05-16 2000-05-16 고도 정수처리용 생물활성탄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6115A KR100343563B1 (ko) 2000-05-16 2000-05-16 고도 정수처리용 생물활성탄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4899A KR20010104899A (ko) 2001-11-28
KR100343563B1 true KR100343563B1 (ko) 2002-07-20

Family

ID=45813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6115A KR100343563B1 (ko) 2000-05-16 2000-05-16 고도 정수처리용 생물활성탄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35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121B1 (ko) * 2005-12-26 2007-05-30 주식회사 포스코 고수율 활성탄 제조방법
KR102213249B1 (ko) * 2018-11-15 2021-02-08 문성우 활성탄 전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혐기성 생물활성탄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4899A (ko) 2001-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66752B (zh) 一种水体净化用炭化吸附颗粒的制备方法
EP1985590B1 (en) Sawdust based mixture comprising iron-containing waterworks sludge from drinking water treatment plants
Jadhav et al. Treatment of textile wastewater using adsorption and adsorbents
KR101373399B1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수질정화제의 제조방법
US5407576A (en) Process for the purification of waste water
KR101971537B1 (ko) 악취 저감용 조성물
KR100614253B1 (ko) 다공성 흡착 여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0343563B1 (ko) 고도 정수처리용 생물활성탄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20332600A1 (en) Absorbent for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KR101951188B1 (ko) 살균, 탈취 기능이 있는 나노 아연 탄소 과망간산칼륨 용액의 제조방법과 그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방법
Fahim et al. Structural and functional perspectives of carbon filter media in constructed wetlands for pollutants abatement from wastewater
CN112978937A (zh) 一种净化水体有机污染锭剂及其制备方法
JPH07313868A (ja) 汚水処理用吸着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32230B1 (ko) 인 제거를 위한 폐수처리제 및 그의 제조방법
JPH105750A (ja) 染色排水中の染料を除去する方法および染料除去剤
KR100417830B1 (ko) 이탄을 이용한 수질정화용 환경유도제 제조방법 및이로부터 제조된 환경유도제
KR100614740B1 (ko) 수질정화용 활성탄 세라믹 및 그 제조방법
KR20050103071A (ko) 미생물이 담지된 수처리제
KR100886737B1 (ko) 연탄재를 이용한 수질정화용 기능성 메디아 및 그 제조 방법
KR100350242B1 (ko) 흡착 및 생물 입상 활성탄의 제조방법
KR100872353B1 (ko) 수질정화용 기능성 메디아 및 그 제조 방법
KR19990053035A (ko) 석탄회를 이용한 폐수처리용 담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252463B1 (ko) 수처리용 입상 복합 분자체와 그 제조방법
KR100388631B1 (ko) 고탄소 석탄회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용 성형 흡착제의제조방법
KR101237762B1 (ko) 수질향상 보존제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