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2759B1 - 흡수성구조체의제조방법및상기방법으로제조된흡수성구조체 - Google Patents

흡수성구조체의제조방법및상기방법으로제조된흡수성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2759B1
KR100342759B1 KR1019960702629A KR19960702629A KR100342759B1 KR 100342759 B1 KR100342759 B1 KR 100342759B1 KR 1019960702629 A KR1019960702629 A KR 1019960702629A KR 19960702629 A KR19960702629 A KR 19960702629A KR 100342759 B1 KR100342759 B1 KR 100342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precursor
substrate
capillary
roll
transfer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2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5534A (ko
Inventor
딘 반 판
폴 데니스 트로칸
Original Assignee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ublication of KR960705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5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2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27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 A61F13/5371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 A61F13/5371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84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haracterized by quantifiable properties
    • A61F2013/15422Density
    • A61F2013/1543Density with a density gradient in the horizontal pl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84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haracterized by quantifiable properties
    • A61F2013/15422Density
    • A61F2013/15439Density with a density gradient in the vertical pl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 A61F2013/5372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with capillary means
    • A61F2013/5372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with capillary means on the top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 A61F2013/5372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with capillary means
    • A61F2013/537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with capillary means with compressed l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94Composite having a component wherein a constituent is liquid or is contained within preformed walls [e.g., impregnant-filled, previously void containing component, et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Printing Method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모세관 기재(22) 및 모세관 기재상의 삼투압 흡수체(24)를 갖는 흡수성 구조체(20)를 제조하는 방법. 삼투압 흡수체는 모세관 기재에 도포된 액체 전구물질(40)로부터 경화된다. 모세관 기재는 모세관 기재의 평면에 수직으로 취한 형태상 상이한 높이(26)를 갖는 영역(34 및 38)을 포함한다. 인쇄 장치의 전달 롤과 앤빌 롤 사이의 틈을 통해 모세관 기재를 통과시킨다. 전달 롤은 외면에 액체 전구물질을 갖는다. 전달 롤의 외면과 접촉하는 모세관 기재의 형태상 높은 영역에만 액체 전구물질이 도포된다. 모세관 기재의 형태를 변화시킴으로써, 전달 롤을 변화시키지 않고도 액체 전구물질을 상이한 패턴으로 모세관 기재에 도포할 수 있다. 이러한 배열로 인해 모세관 기재상의 삼투압 흡수체의 다양한 패턴을 갖는 흡수성 구조체를, 제조공정을 융통성있게 운용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흡수성 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흡수성 구조체{PROCESS OF MAKING ABSORBENT STRUCTURES AND ASORBENT STRUCTURES PRODUCED THEREBY}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삼투압 흡수능 및 모세관 흡수능 둘 다를 갖는 흡수성 구조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방법은 모세관 흡수능 및 고정화된 삼투압 흡수능의 패턴화된 조합을 갖는 흡수성 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모세관 흡수성 기재 및 이에 도포된 삼투압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구조체는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모세관" 흡수성 기재는 액체와 모세관 매체의 고형 표면 사이의 열역학적 인력에 기인한 액체의 모세관 인력에 의해 물 같은 액체를 흡수한다. 대조적으로, 본원에 사용되는 "삼투압" 흡수체는 삼투압 흡수체의 외면을 가로질러 액체를 전달함으로써 그 위에 가해지는 액체를 흡수하여, 액체를 흡수하는 겔성 물질을 형성한다. 본 원에 사용되는 "흡수성 구조체"는 삼투압 흡수 및 모세관 흡수 둘다에 의해 액체를 흡수하는 물질을 일컫는다.
아크릴산, 전분 그라프팅된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량체로부터 삼투압 흡수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삼투압 흡수성 물질은 통상 기저귀 및 생리대 같은 일회용 흡수제품에서 흡수성 겔화제 또는 초흡수체로서 사용된다. 삼투압 흡수체는 나중에 삼투압 흡수체로 경화되는 액체 전구물질 형태로 기재에 도포될 수 있다.
모세관 흡수체는 나중에 그 위에 도포되는 삼투압 흡수체에 대한 기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모세관 기재는 통상 종이, 부직물, 직물 또는 성형된 필름 같은, 평면상의 거의 2차원적인 물질이다.
일반적으로는, 삼투압 흡수성 물질을 액체 단량체 같은 유체 전구물질로서 모세관 기재에 도포할 수 있다. 통상, 액체 전구물질은 유체 형태로 모세관 흡수성 기재에 도포되며, 일부 형태의 아크릴산 및 아크릴레이트 염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는, 액체 전구물질을 분무, 함침 등에 의해 모세관 기재에 도포하여 상기 기재위에 균일한 피막을 제공한다. 당해 분야의 다른 교지내용은 솔질, 롤러 피복 등을 통해 액체 전구물질을 모세관 기재에 불연속적으로 도포함을 제안한다. 일단 액체 전구물질을 모세관 기재에 도포한 후, 이 액체 전구물질을 승온, 조사(照射) 등에 의해 가교 결합시켜 삼투압 흡수체를 형성시킬 수 있다.
당해 분야에서의 이러한 시도의 예는 1977년 2월 15일자로 그로스(Gross) 등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 4,008,353호; 1977년 12월 6일자로 그로스 등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 4,061,846호; 1978년 1월 31일자로 그로스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 4,071,650호; 1989년 5월 30일자로 이또(Itoh) 등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 4,835,020호; 1989년 6월 27일자로 이또 등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 4,842,927호; 1989년 9월 12일자로 이또 등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 4,865,886호; 1990년 1월 9일자로 이또 등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 4,892,754호; 1988년 11월 21일자로 미야께(Miyake) 등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 5,079,034호; 및 1976년 10월에 트리오폴리스(Triopolis)의 명의로 공고된 영국 특허 제 1,452,325호를 포함한다.
그러나, 액체 전구물질을 모세관 기재에 도포하는 종래 기술의 방법에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체 전구물질을 모세관 기재상에 정밀한 패턴으로 분무하기는 어렵다. 모세관 기재에 삼투압 흡수체를 인쇄함으로써 분무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것보다 더욱 선명하고 정밀한 패턴을 얻을 수 있으나, 상기와 같이 인쇄하는 데에는 그라비야 판 또는 융기된 돌기를 갖는 인쇄 롤을 필요로 한다. 그라비야 판 또는 융기된 돌기를 갖는 인쇄 롤은, 어느 패턴이 특정 기재에 바람직할 수 있는지에 관계없이, 도포되는 삼투압 흡수체의 패틴을 인쇄 롤의 그라비야 판 또는 돌기에 상응하는 패턴으로 한정한다.
이 문제는 목적하는 각각의 요구되는 패턴에 대해 하나씩 과다한 인쇄 롤을 제공함으로써 극복될 수 있다. 그러나, 일단 건조 벨트가 고정되면, 이러한 해결책은 단시간의 제조공정이 요구되는 경우 요구되는 각 패턴에 대해 그라비야 롤 또는 플렉소 인쇄 롤을 제공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불가능할 수 있는 정도까지 장치의 비용을 상승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극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목적은 겔 차단이 잘 일어나지 않고 흡수성 구조체의 전체 용량을더욱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삼투압 및 모세관 흡수성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 따라 제조되는 것보다 더욱 용이하고 정밀하게 제조되는 흡수성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모세관 기재의 불연속 영역과 일치되는 삼투압 흡수체를 갖는 흡수성 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삼투압 흡수능 및 모세관 흡수능을 갖는 흡수성 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본 방법은 전달 롤 및 앤빌(anvil) 롤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두 롤은 두 개의 롤 사이에 틈이 형성되도록 바람직하게는 축방향으로 평행한 관계로 배치된다.
모세관 기재 또한 제공된다. 예정된 모세관 기재의 영역 및 상응하는 전달 롤의 영역 사이의 틈 내에서 위치상 상대적인 차이가 있도록 틈을 통해 모세관 기재를 통과시킨다. 액체 전구물질이 전달 롤의 상응하는 영역으로부터 틈의 예정된 영역으로 전달되도록, 모세관 기재의 예정된 영역이 전달 롤의 상응하는 영역과 접촉한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모세관 기재는 형태상 높은 영역을 갖는다. 모세관 기재는 전달 롤과 앤빌 롤 사이의 틈을 통해 통과하여 모세관 기재가 틈 사이에 있는 동안 형태상 높은 영역이 전달 롤을 향해 배향되도록 한다. 모세관 기재는 전달 롤과 앤빌 롤 사이의 틈을 통해 통과하는 동안 앤빌 롤에 대향하여 놓인다. 액체전구물질은 기재가 틈 사이에 있는 동안 전달 롤의 외면으로부터 기재의 형태상 높은 영역으로 도포된다.
다른 실시태양에서는, 전달 롤은 돌기를 가질 수 있으며, 모세관 기재는 통상 평면상이고 형태상 높은 영역을 가지지 않는다. 액체 전구물질은 전달 롤의 돌기로부터 돌기에 의해 접촉되는 모세관 기재상의 영역으로 전달된다.
이어, 액체 전구물질을 중합시켜 기재상에 고정화된 삼투압 흡수체를 형성시킨다. 액체 전구물질을 동일 반응계 내에서 중합시킴으로써 액체 전구물질이 도포된 형태상 높은 영역상에 고정화시킨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본 방법은 계량 롤 및 저장용기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액체 전구물질을 저장용기에 넣는다. 바람하게는 전달 롤과 축방향으로 평행하고 서로 접촉하는 관계로 계량 롤을 배치시켜 이들 두 롤 사이에 닙을 형성시킨다. 계량 롤은 저장 용기중의 액체 전구물질 내에 위치하여, 계량 롤이 회전할 때 액체 전구 물질이 저장용기로부터 전달 롤의 외면으로 전달되도록 한다(이후 모세관 기재에 도포됨).
본 명세서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지적하고 명확하게 청구하는 특허청구범위로 결론지어지지만, 첨부된 도면과 함께 하기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본 발명이 더 잘 이해될 것으로 생각된다.
제 1 도는 형태상 높은 영역을 갖는 모세관 기재 및 상기 형태상 높은 영역 위에 배치되는 삼투압 흡수성 물질의 불연속 부위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구조체의 부분적인 측단면도이다.
제 2 도는 제 1 도의 선(2-2)을 따라 취한 부분 측단면도이다.
제 3 도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흡수성 구조체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한가지 장치의 개략적인 입면도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흡수성 구조체(20)는 제 1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특정 패턴으로 제공되는 두가지 구성요소, 즉 모세관 기재(22) 및 삼투압 흡수체(24)를 포함한다. 모세관 기재(22)는 모세관 기재(22)의 평면에 수직인 높이(26)에 의해 구별되며 또한 연속적 인지 또는 불연속적인지에 의해 형태상 구별가능한 영역(34 및 38)을 갖는다. 삼투압 흡수체(24)는 상기 영역(34 및 38)의 높이(26)에 상응하는 패턴으로 형태상 구별가능한 영역(34 및 38)에 도포된다.
모세관 기재(22)에는, 제조공정동안 섬유상 셀룰로즈 모세관 기재(22)를 송풍(through air) 건조시키거나, 볼록형으로(knob to knob) 엠보싱 시키거나, 오목형으로(nested) 엠보싱시키거나, 또는 두 층을 서로 적층시킴으로써 형태상 높은 영역(34 및 38)이 제공된다. 형태상 높은 영역(36 및 38)을 갖는 모세관 기재(22)를 제조하는 데에는 송풍 건조가 특히 바람직한 방법이며, 이는 상기 모세관 기재(22)로부터 편향된 영역(36 및 38)이 불연속적이고 편향되지 않은 영역(32 및 34)보다 더 작은 밀도를 갖기 때문이다.
모세관 기재(22)는 바람직하게는 액체 전구물질(40)이 목적하는 영역(38)에만 도포되도록 하기에 충분한, 영역(34 및 38) 사이의 높이(26) 차이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영역(34 및 38) 사이의 높이(26)는 약 0.13mm(0.005인치) 이상이다. 당해 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토모스코피(microtomoscopy) 또는 입체경 3차원 주사 전자 현미경 영상화 기법을 이용하여 압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로 높이(26)를 측정한다.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전구물질(40)(이는 나중에 경화되어 삼투압 흡수체(24)가 됨)을 모세관 기재(22)의 형태상 높은 불연속 영역(38)에 도포하여 삼투압 흡수체(24)를 갖지 않는 모세관 기재(22)의 본질적으로 연속적인 망상조직 영역(34)이 전술한 바와 같이 액체 전구물질(40)이 도포되는 불연속 영역(36) 사이에서 이들을 둘러싸도록 한다. 물론, 액체 전구물질(40)이 모세관 기재(22)의 대향되는 표면에 도포되는 경우, 액체 전구물질(40)은 본질적으로 연속적인 망상조직 영역(34)을 형성하며, 모세관 기재(22)는 삽투압 흡수체(24)가 위에 없는 불연속 영역(36)을 갖게 된다.
단일 층을 엠보싱시키면 국부적으로 밀집된, 형태상 높은 불연속 영역(38)을 갖는 모세관 기재(22)가 생성된다. 요구되는 경우, 액체 전구물질(40)을 이들 영역에 도포할 수 있으며, 이로써 액체 전구물질을 밀도가 더 낮은 영역에 도포하는 경우보다 본질적으로 연속적인 망상조직 영역(33)으로 스며드는 열역학적 경향이 감소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송풍 건조가 형태상 높은 영역(36 및 38)을 갖는 모세관 기재(22)를 제공하는 바람직한 방법이다.
송풍 건조, 볼록형 엠보싱 및 오목형 엠보싱은 각각 1985년 7월 16일자로 트로칸(Trokhan)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 4,539,480호 (통상적으로 양도됨); 1968년 12월 3일자로 웰즈(Wells)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 3,414,459호(통상적으로 양도됨); 및 1975년 2월 18일자로 니스트란드(Nystrand)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 3,867,225호에 설명되어 있다. 전술한 세 특허는 형태상 높은 영역(36 및 38)을 갖는 모세관 기재(22)를 제조하는 상이한 방식을 보여주기 위하여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었다.
전술한 미합중국 특허 제 4,529,480호(트로칸에게 허여됨)에 따라 제조된 모세관 기재(22)가, 연속적인 고밀도 영역(32) 및 불연속적인 저밀도 영역(36)을 갖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저밀도 영역(36)은 망상조직 영역(34)을 형성하는 고밀도 영역(32)에 대해 높이(26) 차이를 갖는 불연속 영역(38)이다.
모세관 기재(22)에 배치된 삼투압 흡수체(24)는 임의의 삼투압 전구물질, 전형적으로는 액체 전구물질(4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전구물질은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세관 기재(22)에 도포될 수 있다. 본 원에 사용되는 "전구물질"은 경화 또는 중합시 삼투압 흡수체(24)로 변형되는 임의의 물질을 일컫는다. 본원에 사용되는 "삼투압 흡수체"는 g/g 기준으로 수용액, 바람직하게는 합성 뇨를 그자체의 중량의 10배 이상 흡수할 수 있는 임의의 물질을 일컫는다. 바람직한 삼투압 흡수체(24)는 아크릴산나트륨과 아크릴산의 중합체, 전분 그라프팅된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을 포함한다.
합성 뇨는 약 0.0025% 옥틸페녹시 폴리에톡시 에탄올 계면활성제(Triton X-100, 롬 앤드 하스 캄파니(Rohm and Haas Company) 제품)에 의해 표면장력이 45dyne/cm로 조정된, 증류수중 염 용액을 포함한다. 합성 뇨 용액은 1% Triton X-100 15부, NaCl 60부, CaCl2·2H2O 1.8부, MgCl2·6H2O 3.6부 및 증류수 6000부를 포함한다.
경화되어 고형 삼투압 흡수체(24)가 될 수 있는 임의의 액체 전구물질(40)이 적합하다. 선택되는 액체 전구물질(40)의 특정 유형은 액체 전구물질(40)이 목적하는 패턴으로 도포되고 모세관 기재(22)의 상이한 높이(26)로 유동하거나 이동하거나 또는 운반되지 않도록 고정화될 수 있는 한, 본 발명에 중요하지 않다. 삼투압 흡수체(24)는 바람직하게는 건조 조건으로 또한 사용할 때 습윤된 동안 고정화된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특히 바람직한 액체 전구물질(40), 최종적으로는 삼투압 흡수체(24)는 아크릴산나트륨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 카복시메틸 셀룰로즈, 광개시제 및 가교결합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액체 전구물질(40)은 중화되거나 또는 중화가능한 카복실기를 포함하는 실질적인 수용성 단량체이다. 단량체는 바람직하게는 그의 선형 중합체가 실질적으로 수용성이기에 충분한 카복실기를 함유한다(즉, 카복실기는 친수성이다). 이러한 단량체의 혼합물도 사용할 수 있다.
카복실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는 산, 산 무수물 및 에스테르기 함유 단량체를 포함한다. 이들 단량체는 하이드록실기, 아미드기, 아미노기, 니트릴기 및 4급 암모늄염 기 같은 다른 친수성 기를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량체는 산 유형 친수성기를 함유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단량체는 약 5몰%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몰% 이상의 산 기를 함유한다.
카복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는 올레핀성 불포화 산, 그의 에스테르, 및 하나 이상의 탄소 대 탄소 올레핀성 이중결합을 함유하는 무수물을 포함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이들 단량체는 올레핀성 불포화 카복실산, 이러한 카복실산의 에스테르, 산 무수물, 설폰산, 이들 설폰산의 에스테르, 전술한 단량체중 임의의 둘 이상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올레핀성 불포화 카복실산 및 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는 아크릴산 자체, 메타크릴산, 에타크릴산, 알파-클로로아크릴산, 알파-시아노 아크릴산, 베타-메틸 아크릴산(즉, 크로톤산), 알파-페닐 아크릴산, 베타-아크릴옥시 프로피온산, 및 메타-스테릴 아크릴산으로 예시되는 아크릴산 및 그의 유도체; 말레산; 및 말레산 무수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유형의 다른 단량체는 소르브산, 알파-클로로 소르브산, 앤젤산, 신남산, p-클로로신남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메사콘산, 글루타콘산, 아코니트산, 푸마르산 및 트리카복시에틸렌이다.
올레핀성 블포화 설폰산 단량체 및 그의 유도체는 비닐설폰산, 알릴 설폰산, 비닐톨루엔 설폰산 및 스티렌 설폰산 같은 지방족 또는 방향족 비닐 설폰산; 및 설포에틸 아크릴레이트,설포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설포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설포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3-아크릴옥시 프로필 설폰산, 2-하이드록시-3-메타크릴옥시 프로필 설폰산 및 2-아크릴아미도-2-메틸 프로판 설폰산 같은 아크릴 및 메타크릴 설폰산 유도체를 포함한다.
카복실기(예컨대 산 기)는 단량체와 염을 형성할 수 있는 양이온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화되어 중화된 카복실기를 갖는 단량체를 형성한다. 이러한 염-형성 양이온은, 예컨대 적합한 삼투압 흡수체(24)를 나타내기 위한 목적으로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 1988년 4월 19일자로 브랜트(Brandt) 등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재발행 특허 제 32,649호에 더욱 상세하게 논의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알칼리 또는 알칼리 금속, 암모늄, 치환된 암모늄 및 아민을 포함한다. 중화는 임의의 종래 방식으로 바람직하게 실행되어, 총 카복실기의 약 25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0몰%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75몰% 이상이 중화된다. 실질적으로 비수용성인 중합체가 형성되기 전에 카복실기를 바람직하게 중화시킨다. 예를 들면, 단량체 또는 그의 수용성 중합체 상에서 바람직하게 중화시킨다.
카복실기 외의 친수성기를 함유하는 단량체를 카복실기 함유 단량체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기타 친수성 기는 하이드록실기, 아미드기, 아미노기, 니트릴기 및 4급 암모늄염 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를 함유하는 단량체는 널리 공지되어 있는 물질이고, 1978년 2월 28일자로 마스다(Masuda) 등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 4,076,663호; 및 1977년 12월 13일자로 웨스터맨(Westerman)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 4,062,817호에 더욱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으며, 이들 특허는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어 있다. 이들 친수성기중 하나 이상의 형태가 단량체에 존재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이 통상 액체 전구물질(40)에 대한 것이기는 하지만, 실질적인 수용성 단독중합체, 공중합체 또는 단량체의 반응생성물을 단량체 형태 대신 또는 단량체 형태에 덧붙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출발물질은 단량체의 실질적인 수용성 단독중합체 및 단량체 또는 그의 단독중합체와 내부 가교결합제의 실질적인 수용성 반응생성물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액체 전구물질(40)을 공지된 중합 조건으로 처리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선형이고 실질적으로 수용성인 삼투압 흡수체(24)를 제조할 수 있다. 액체 전구물질(40) 또는 그의 선형 중합체와 본원의 가교결합제 같은 가교결합제를 반응시킴으로써(예컨대 가열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수용성이고 부분적으로 가교결합된 삼투압 흡수체(24)를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삼투압 흡수체(24)는 전형적으로 낮은 가교결합도, 예컨대 약 5% 미만의 가교결합도를 갖는다.
액체 전구물질(40)을 모세관 기재(22)에 도포한 후, 또는 더욱 구체적으로는 액체 전구물질(40)을 모세관 기재(20)의 선택된 영역에 도포한 후 고정화시키기 위하여, 모세관 기재(22)에 도포하기 전에 중점제를 액체 전구물질(40)에 첨가할 수 있다. 적합한 중점제는 폴리비닐 피롤리돈,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즈, 바람직하게는 카복시메틸 셀룰로즈 및 폴리아크릴산을 포함한다. 중점제는 액체 전구물질(40)에 2중량%의 농도로 첨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액체 전구물질(40)은 20℃에서 2번 쉘(Shell) 컵을 사용하여 브룩필드(Brookfield) 점도계에서 측정할 때 2,000센티포이즈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4,000센티포이즈 이상의 동점도를 갖는다.
중점제를 액체 전구물질(40)에 첨가하지 않고자 하는 경우에는, 아크릴산형 액체 전구물질(40)을 부분적으로 예비중합시킬 수 있다.
예비중합시킴으로써 액체 전구물질(40)을 모세관 기재(22)에 도포하기 전에 잔류 단량체를 제거할 수 있다. 생성되는 삼투압 흡수체(24)의 잔류 단량체를 최소화시키는 것은 흡수성 구조체(20)를 기저귀 또는 생리대 같은 일회용 흡수제품에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상피 접촉이 일어날 수 있는 다른 용도에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매우 바람직하다.
액체 전구물질(40)을 모세관 기재(22)에 도포한 후, 또는 모세관 기재(22)의 선택된 영역에 도포한 후 액체 전구물질(40)을 고정화시킴으로써, 액체 전구물질(40)을 동일 반응계 내에서 중합시킬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액체 전구물질(40)은 가교결합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경화되는 경우 동일반응계 내에서중합되어 삼투압 흡수체(24)를 형성한 후에도 원래 도포된 것과 실질직으로 동일한 위치(모세관 기재(22)상의)에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제 3 도에서,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구조체(20)는 도시된 장치(50)에 따라 제조 수 있다. 도시된 장치(50)는 바람직하게는 상호 평행한 종방향 축을 갖는 세 개의 축방향으로 회전가능한 롤(52, 54 및 55), 즉 계량 롤(52), 전달 롤(54) 및 앤빌 롤(56)을 포함한다. 세 개의 평행한 롤(52, 54 및 56)은 닙(58) 및 틈(60)을 형성한다. 닙(58)은 계량 롤(52)과 전달 롤(54) 사이에 있다. 틈(60)은 전달 롤(54)과 앤빌 롤(56) 사이에 위치한다.
계량 롤(52)은 액체 전구물질(40)의 저장용기(62)에 배치된 그라비야 롤이다. 축 회전시, 계량 롤(52)은 특정량의 액체 전구물질(40)을 전달 롤(54)에 전달한다. 모세관 기재(22)는 액체 전구물질(40)이 배치된 전달 롤(54)과 앤빌 롤(56) 사이의 틈(60)을 통해 통과한다. 중요하게는, 모세관 기재(22)의 형태상 높은 영역(36 및 38)(바람직하게는 여기에 액체 전구물질(40)이 도포됨)은 전달 롤(54)을 향해 배향되고, 모세관 기재(22)의 나머지 부분은 앤빌 롤(56)에 대향하여 놓인다.
당해 분야의 숙련자는 전달 롤(54)과 앤빌 롤(56) 사이의 틈(60)의 공차를 증가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각각 더 적거나 더 많은 양의 액체 전구물질(40)을 기재의 형태상 높은 영역(36 및 38)에 도포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마찬가지로, 계량 롤(52)의 디자인을 변화시킴으로써 일정한 틈(60)에서 모세관 기재(22)에 도포되는 액체 전구물질(40)의 양을 변화시킬 수 있다. 다르게는, 액체 전구물질(40)을분무하거나 전달 롤(44)을 액체 전구물질(40)에 함침시키는 등에 의해 액체 전구물질(40)을 전달 롤(54)에 도포함으로써 계량 롤(52)이 불필요하게 되거나, 또는 계량 롤(52)과 앤빌 롤(56) 사이에 형성된 틈(60)에서 액체 전구물질(40)을 계량 롤(52)로부터 기재(22)로 직접 인쇄할 수 있음이 명백해질 것이다.
모세관 기재(22)가 전달 롤(54)과 앤빌 롤(56) 사이의 틈(60)을 통해 통화함에 따라, 전달 롤(54)의 외면과 접촉하기에 충분한 높이(26)를 갖는 모세관 기재(22)의 영역(38)에만 액체 전구물질(40)이 도포된다. 전달 롤(54)은 앤빌 롤(56)에 대향하여 놓이는 모세관 기재(22)의 영역(34)과는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모세관 기재(22)의 이러한 부분에는 액체 전구물질(40)이 도포되지 않는다.
상기 지적한 바와 같이, 틈(60)의 공차를 조정함으로써, 상이한 양의 액체 전구물질(40) 및 궁극적으로는 경화된 삼투압 흡수체(24)를 기재의 높은 영역(36 및 38)에 도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원에 기재되어 있는 실시태양의 경우, 모세관 기재(22) 제곱센티미터당 약 1 내지 500㎎의 양으로 도포된 액체 전구물질(40)이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통상, 흡수성 구조체(20)의 최종 용도로 보아 다량의 유체를 취급하게 되는 것으로 생각되면 더욱 많은 양의 삽투압 흡수체(24)가 모세관 기재(22)에 존재해야 한다. 통상, 흡수성 구조체(20)의 최종 용도가 겔 차단 또는 흡수성 구조체(20)의 다른 구역으로의 유체의 신속한 운송 능력에 관련된 것으로 생각되면 더욱 적은 양의 삼투압 흡수체(34)가 모세관 기재(22)에 존재해야 한다.
특정 흡수성 구조체(20)의 모세관 기재(22)는 소비자에게 있어서 흡수성 구조체(20)의 성능에 영향을 끼치는 상이한 인자(예컨대 인장강도, 부드러움, 흡수성)에 있어서 고유한 요구조건에 따라 선택된다. 성능인자를 최적화시키는 모세관 기재(22)를 선택하여, 소비자가 최적성능을 갖는 흡수성 구조체(20)를 선택하도록 한다.
흡수성 구조체(20)에 사용되는 모세관 기재(22)가 소비자 취향에 따라 선택되는 경우에는 특정 잇점이 명백해진다. 특히, 상이한 높이(26)의 영역(하나의 영역(34)은 앤빌 롤(56)과 접촉하고, 다른 하나의 영역(38)은 전달 롤(54)과 접촉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모세관 기재(22)는 종래 기술에서 볼 수 없었던 몇가지 잇점을 제공한다. 첫째로, 전달 롤(54)이 그라비야 판을 가지거나 또는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돌기를 가지지 않고도 액체 전구물질(40)의 특정 패턴을 모세관 기재(22) 상에 가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패턴을 갖는 전달 롤(54)은 매끈한 표면을 갖는 전달 롤(54)보다 제조하기 더 어렵고 더 비싸며 돌기의 마모로 인해 수명이 통상 더 짧다.
특허청구된 본 발명의 두 번째 이점은 액체 전구물질(40)을 도포하려고 하는 모세관 기재(22)의 영역에 모세관 흡수체(24)의 패턴을 부여하기 위하여 패턴을 갖는 전달 롤(54)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융통성이다. 그라비야 판 또는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돌기중 어느 것이나 액체 전구물질(40)을 배치하고자 하는 모세관 기재(22)내의 영역(32 및 36)(특정 기본중량 또는 밀도를 가짐)과 정밀하게 일치되어야 한다. 아주 근소한 현미경 규모로 모세관 기재(22)의 상이한 영역(32 및 36)이 공존할 수 있기 때문에, 이상적인 제조 조건하에서도 이런 방식으로 패턴을 부여하기는 매우 어려울 수 있다. 상이한 영역(3a 및 36)의 핏치 때문에 실제 제조는 더욱 복잡하며, 따라서 모세관 기재(22)가 장치(50)를 통패 연신될 때의 장력, 모세관 기재(22)의 전체 기본 중량 및 다른 제조변수를 통상적으로 변화시킴에 따라 패턴을 잘못 부여할 기회가 변화될 수 있다. 제 3 도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을 제조하면 모세관 기재(22)의 목적하는 영역에 액체 전구물질(40)을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셋째로, 모세관 기재(22)에 도포되는 액체 전구물질(40)의 패턴, 따라서 생성되는 흡수성 구조체(20)상의 삼투압 흡수체(24)의 패턴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매끈한 외면을 갖는 전달 롤(54)이 있는 하나의 장치(50)를 여러 패턴에 사용할 수 있다. 상이한 형태를 갖는 모세관 기재(22)를 소비자 취향에 따라 선택하여 전달 롤(54)과 앤빌 롤(56) 사이의 틈(60)에 삽입하고 틈(60)의 공차를 적절하게 조정한다. 전달 롤(54)은 계속 매끈한 표면을 가질 수 있으며, 단순히 모세관 기재(22)를 변화시킴으로써 임의의 목적하는 패턴을 획득한다. 종래 기술에서는 제조상의 이러한 융통성이 얻어질 수 없었다.
액체 전구물질(40)을 모세관 기재(22)에, 또는 더욱 구체적으로는 모세관 기재(22)의 형태상 높은 영역(38)에 배치한 후, 액체 전구물질(40)이 모세관 기재(22)의 다른 영역(34)으로 흘러들어가서 목적하는 패턴이 번지거나 부정확해지지 않도록 액체 전구물질(40)을 고정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당해 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적합한 기법을 이용하여 액체 전구물질(40)을 경화시킴으로써 고정화시킨다. 특정한 기법 및 일반적인 기법은 전자 비임 조사 및 자외선을 포함한다. 상기 지적한 바와 같이, 액체 전구물질(40)이 모세관 기재(22)에 도포된 후 가능한한 빨리 경화되어 삼투압 흡수체(24)가 됨으로써 액체 전구물질(40)이 모세관 기재(22)의 다른 구역내로 흘러들어갈 기회를 최소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체 전구물질(40)이 모세관 기재(22)의 다른 구역내로 흘러들어갈 기회를 최소화시키는 것은, 액체 전구물질(40)이 도포되는 모세관 기재(22)의 형태상 높은 영역(38)이 액체 전구물질(40)이 도포되지 않는 모세관 기재(22)의 형태상 낮은 영역(34)보다 낮은 밀도를 갖는 경우 특히 중요하다.
중합을 개시 및 야기시키는 임의의 수단에 의해 경화, 특히 동일 반응계 내에서 경화시킬 수 있으며, 액체 전구물질(40)을 구성하는 단량체에 2-하이드록시-이소-부티로페논 또는 2,2-아조비스(2-아미디노 프로판)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같은 유리 라디칼 개시제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열, 광(가시광선 또는 자외선), 또는 이온화선이 중합반응을 개시 및 야기시킬 수 있다. 원할 경우, 유리 라디칼 개시제를 사용하지 않는 삼투압 화학이 포함될 수 있고, 이로써 임의의 다른 적절한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유리 라디칼 개시제를 포함시키기를 원하지 않는다면, 경화반응을 개시시키는 유리 라디칼을 다른 방식으로 발생시키기 위하여 전자 비임 조사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화방법으로 액체 전구물질(40)을 고체 삼투압 흡수체(24) 중합체로 중합 및 변형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라, 액체 전구물질(40)을 도포하는 단계와 이를 중합시키는 단계 사이에 모세관 기재(22) 상의 목적하는 위치에 또한 목적하는 패턴으로 삼투압 흡수체(24)를 배치 및 고정화시키는 부가적인 단계 없이 액체 전구물질(40)을 동일 반응계 내에서 중합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몇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필요한 경우, 밀도보다는 기본 중량이 상이한, 본질적으로 연속적인 망상조직 영역(34) 및 불연속 영역(38)을 갖는 모세관 기재(22)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모세관 기재(22)가 선택되면, 1985년 4월 30일자로 존슨(Johnson) 등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 4,514,345호(통상적으로 양도됨)의 제 4 도에 따른 성형 와이어론 사용하여, 또는 1993년 9월 14일자로 트로칸 등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 5,245,025호에 개시된 성형 와이어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으며, 상기 특허는 기본 중량이 상이한 영역(32 및 36)을 갖는 모세관 기재(22)를 제조하는 방법을 보여주기 위하여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어 있다. 다르게는, 본질적으로 연속적인 망상조직 영역(34)보다 높은(또는 낮은), 다수의 상이한 높이(26)를 갖는 불연속 영역(38)이 가능하다. 액체 전구물질(40)은 특정 최소 높이(26)를 갖는 불연속 영역(38)에만 도포되거나, 또는 양에 따라 일정 높이(26)의 불연속 영역(38)각각에 도포될 수 있다.
다른 변형은 궁극적으로 삼투압 흡수체(24)를 형성하는 액체 전구물질(40)을 포함한다. 이 변형에서는, 삼투압 흡수체(24)가 겔 강도, 즉 압출력의 존재하에 흡수된 유체를 보유하는 능력에 따라 변화하는 것으로 인지된다. 또한, 삼투압 흡수체(24)는 흡수속도, 즉 삼투압 흡수체(24) 위에 침적된 유체가 상기 삼투압 흡수체(24)에 의해 포획 및 보유되는 속도, 및 겔 용적-흡수되는 유체의 양(g/g)에 따라 변화된다. 일반적으로, 특정 삼투압 흡수체(24)의 경우 겔 강도는 겔 용적 및 흡수속도에 반비례한다. 요구되는 경우, 더욱 빠른 흡수속도를 갖는 삼투압흡수체(24)를 흡수성 구조체(20)의 중심에 또는 중심 근처에 사용할 수 있다. 미리 말하자면, 이러한 실시태양에서는 액체 오물이 신속하게 흡수되고 흡수성 구조계(20)의 가장자리(여기에서는 액체가 가장자리를 지나는 경우 누출이 일어날 수 있음)로 용이하게 흐르지 않는다.
다르게는, 흡수성 구조체(20)는 가장자리 부근에서 더욱 빠른 흡수속도를 갖는 삼투압 흡수체(24)를 포함할 수 있다. 미리 말하건대, 이러한 배열은 액체가 가장자리를 지나기 전에 신속히 흡수되는 잇점을 갖는다.
유사하게는, 흡수성 구조체(20)의 중심 근처에 있는 삼투압 흡수체(24)가 비교적 더 큰 겔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비교적 큰 겔 강도로 인해 흡수성 구조체(20)의 중심 근처에 침적되는 액제 오물을 비교적 강하게 보유하여, 이렇게 흡수된 오물이 흡수성 구조체(20)의 가장자리에 거의 접근하지 못하도록 한다.
가장자리에서 또는 가장자리 부근에서, 더 높은 겔 강도 및 느린 포획속도를 갖는 삼투압 흡수체(24)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삼투압 흡수체(24)는 흡수된 액체를 더욱 강하게 보유하며, 액체 오물이 흡수성 구조체(20)의 중심에 또는 중심 근처에 배치되는 더 높은 포획속도의 삼투압 흡수체(24)에 먼저 침적되기 때문에 액체 오물이 가장자리에 의해서는 간접적으로만 흡수됨으로써 느린 포획이 허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배열중 어느 것이나 흡수성 구조체(20)의 삼투압 흡수체(24)의 포획속도 및 겔 강도 특성면에서 횡방향 구배를 제공한다.
미리 말하건대, 다수의 격실(chamber)을 갖는 저장용기(62)를 사용함으로써 상이한 겔 강도 및/또는 포획 속도의 삼투압 흡수체(24)를 갖는 흡수성 구조체(20)를 제조할 수 있다. 인접한 각 격실은 상이한 액체 전구물질(40)을 함유한다. 기계방향으로 배향된 하나 이상의 격벽을 저장용기(62)에 삽입시킴으로써 격실을 만든다. 이 격벽은 생성되는 흡수성 구조체(20)에서 상이한 형태의 삼투압 흡수체(24)의 목적하는 경계에 해당된다. 물론, 전달 롤(54) 및 앤빌 롤(56)은 인접한 격벽 사이의 액체 전구물질(40)의 전달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 격벽과 접촉하지 않는다.
특히 바람직한 저장용기(62)는 기계횡방향으로 떨어져서 위치하는 3개의 격실을 갖는다. 두 개의 바깥쪽 격실은 각각 예컨대 중합시 비교적 높은 겔 강도 및 비교적 느린 흡수속도를 갖는 동일한 액체 전구물질(40)을 함유한다. 중앙의 격실은 예컨대 중합시 비교적 빠른 흡수속도 및 비교적 낮은 겔 강도를 갖는 액체 전구물질(40)을 함유한다.
물론, 당해 분야의 숙련자는 이들 3개(또는 필요한 경우 임의의 다른 수)의 독립적인 격실이 기계횡방향으로 동일한 폭을 가질 필요는 없음을 알 것이다. 격실의 폭은 필요한 경우 생성되는 흡수성 구조체(20)의 모세관 기재(22)의 흡수특성을 흡수성 구조체(20)의 최종 용도에 의해 추정되는 요구조건에 맞추도록 조정될 수 있다.
미리 말하자면, 삼투압 흡수체(24)의 횡방향 구배가 흡수성 구조체(20)에 부여될 수 있는 다른 방법에서는 다중 인쇄 스테이션을 이용한다. 제 1 인쇄 스테이션에서는, 목적하는 폭 및 목적하는 기계횡방향 위치를 갖는 전달 롤(54) 및 앤빌 롤(56)이 제공된다. 전달 롤(54)은 전술한 바와 같은 특히 바람직한 특성을 갖는 액체 전구물질(40)에 침지된다. 이 액체 전구물질(40)은 목적하는 위치(즉, 세부위중 중심 둥)에 일치되어, 또한 전달 롤(54)의 폭 및 기계횡방향 위치에 상응하게 모세관 기재(22)에 인쇄된다.
제 2 인쇄 스테이션에서는, 다른 전달 롤(54) 및 앤빌 롤(56)이 제공된다. 이 전달 롤(54) 및 앤빌 롤(56)은 또한 모세관 기재(22)의 특정 기계횡방향 위치에 일치되며 목적하는 폭을 갖는다. 물론, 바깥쪽의 전달 롤(54) 및 앤빌 롤(56)을 장치(50)의 특정 인쇄 스테이션에서 직렬로 사용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나, 다중 인쇄 스테이션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삼투압 흡수체(24)의 특성 면에서 횡방향 구배를 갖는 흡수성 구조체(20)를 제조하기 위하여 각 인쇄 스테이션에서 하나 이상의 전달 롤(54) 및 앤빌 롤(56)을 사용할 수 있다.
횡방향 구배를 갖는 상이한 삼투압 흡수체(24)의 배열은 흡수성 구조체(20)가 기저귀 또는 생리대 같은 일회용 흡수제품의 코어내에 포함될 때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코어에 본 발명의 흡수성 구조체(20)를 사용하는 일회용 기저귀는 1975년 1월 14일자로 뷰엘(Buell)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 3,860,003호(통상적으로 양도됨)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물론, 일회용 기저귀는 필요한 경우 어린이 또는 성인 실금자에게 딱 맞도록 하는 크기 및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본 원에 사용되는 일회용 기저귀란 어린이 또는 성인이 착용하는 일회용 흡수제품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코어에 본 발명의 흡수성 구조체(20)를 사용하는 생리대는 1990년 8월 21일자로 오스본 3세(Osborn, Ⅲ)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 4,950,264호(통상적으로 양도됨)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두 특허는 본 발명의 흡수성 구조체(20)를일회용 흡수제품내에 포함시키는 방법을 보여주기 위하여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어 있다. 당해 분야의 숙련자는 몇가지 다른 변형이 가능하며 이들 모두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영역내에 포함됨을 알 것이다.

Claims (15)

  1. 두 롤 사이에 틈이 생기도록 배치된 전달 롤 및 앤빌 롤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전달 롤의 외면에 액체 전구물질을 제공하는 단계;
    형태상 구별가능한 영역을 갖는 모세관 흡수성 기재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모세관 기재를 상기 틈을 통해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모세관 기재의 예정된 영역과 상기 전달 롤의 상응하는 영역 사이에 있는 상기 틈에 상대적인 차이를 두어 상기 모세관 기재의 예정된 영역을 상기 전달 롤의 상응하는 영역에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액체 전구물질을 상기 전달 롤의 상기 상응하는 영역으로부터 상기 기재의 상기 예정된 영역으로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액체 전구물질을 동일 반응계 내에서 중합기켜 상기 기재의 상기 예정된 영역상에 고정화된 삼투압 흡수체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삼투압 흡수능 및 모세관 흡수능 둘 다를 갖는 흡수성 구조체의 제조방법.
  2. 두 롤 사이에 틈이 생기도록 축방향으로 평행한 관계로 배치된 전달 롤 및 앤빌 롤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전달 롤 및 앤빌 롤을 제공하는 단계;
    모세관 흡수성 기재를 제공하는 단계(이 때, 상기 모세관 흡수성 기재는 형태학적으로 상승된 영역을 갖고 상기 모세관 기재가 상기 틈 사이에 위치되는 동안상기 형태학적으로 상승된 영역이 상기 전달 롤을 향하도록 배향되고 상기 모세관 기재가 상기 앤빌 롤에 대향하여 위치됨);
    상기 틈을 통해 상기 모세관 기재를 통과시키는 단계;
    상기 액체 전구물질을 상기 오프셋 전달 롤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기재의 형태상 높은 영역으로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액체 전구물질을 동일 반응계 내에서 중합시켜 상기 기재상에 고정화된 삼투압 흡수체를 형성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삼투압 흡수능 및 모세관 흡수능 둘 다를 갖는 흡수성 구조체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저장용기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저장용기에 상기 액체 전구물질을 넣는 단계;
    계량 롤을 상기 전달 롤과 접촉하는 관계로 세공하는 단계(이때, 상기 계량 롤 및 전달 롤은 병렬로 배치되므로 이들 사이에 닙이 형성됨); 및
    상기 액체 전구물질에 상기 계량 롤을 넣음으로써 상기 계량 롤이 회전할 때 액체 전구물질을 상기 저장용기에서 상기 계량 롤로 전달하고, 다시 상기 모세관 지재에 도포하기 위하여 전달 롤의 상기 외면으로 전달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세관 기재의 상기 형태상 높은 영역이 서로 불연속적인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를 다수의 독립적인 격실(chamber)로 분할하는 단계, 및 중합시 상이한 겔 강도 및 또는 상이한 흡수속도를 갖는 다수의 액체 전구물질을 상기 상이한 격실에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시 저장용기를 다수의 독립적인 격실로 분할하는 상기 단계가 상기 저장용기를 바깥쪽에 위치하는 2개의 격실 및 중앙의 격실로 삼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이한 액체 전구물질을 상기 삼분된 저장용기에 넣는 상기 단계가 상기 바깥쪽의 격실에 있는 상기 액체 전구물질보다 비교적 더 높은 겔 강도를 갖는 액체 전구물질을 상기 중앙의 격실에 제공하고, 상기 중앙의 격실에 있는 상기 액체 전구물질보다 비교적 더 빠른 흡수속도를 갖는 액체 전구물질을 상기 바깥쪽의 격실에 제공함을 포함하는 방법.
  8. 제 3 항에 있어서,
    전달 롤과 앤빌 롤 쌍을 다수 제공하는 단계(이 때, 전달 롤과 앤빌 롤을 갖는 상기 각 쌍은 이들 사이에 틈이 형성되도록 배치됨);
    액체 전구물질을 상기 각 오프셋 전달 롤의 외면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전달 롤 및 앤빌 롤 사이의 상기 틈을 통해 상기 모세관 기재를 통과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액체 전구물질을 상기 기재의 형태상 높은 영역에 도포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며, 이 때
    하나의 전달 롤에 의해 도포되는 액체 전구물질이 다른 전달 롤에 의해 도포되는 액체 전구물질과 상이한 특성을 갖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달 롤이 중심에 배치된 액체 전구물질을 상기 모세관 기재에 도포하는 제 1 전달 롤; 및 상기 제 1 전달 롤에 의해 도포된 상기 액체 전구물질의 기계횡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상기 모세관 기재에 액체 전구물질을 도포하는 2개의 바깥쪽 전달 롤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전구물질을 상기 기재에 도포하기 전에 상기 액체 전구물질을 예비중합시킴으로써 중합후 잔류하는 단량체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방법.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전구물질에 중점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전구물질이 상기 저장용기에 있는 동안 약 4000센티포이즈 이상의 동점도를 갖는 방법.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전구물질을 조사(照射) 또는 승온에 의해 중합시키는 방법.
  1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세관 기재가 연속적인 고밀도 영역을 포함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세관 기재가 불연속적인 저밀도 영역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KR1019960702629A 1993-11-17 1994-11-09 흡수성구조체의제조방법및상기방법으로제조된흡수성구조체 KR1003427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466793A 1993-11-17 1993-11-17
US08/154667 1993-11-17
US08/154,667 1993-11-17
PCT/US1994/012970 WO1995013780A1 (en) 1993-11-17 1994-11-09 Process of making absorbent structures and absorbent structures produced thereb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5534A KR960705534A (ko) 1996-11-08
KR100342759B1 true KR100342759B1 (ko) 2002-12-05

Family

ID=22552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2629A KR100342759B1 (ko) 1993-11-17 1994-11-09 흡수성구조체의제조방법및상기방법으로제조된흡수성구조체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2) US5549928A (ko)
EP (1) EP0729338B1 (ko)
JP (1) JPH09505220A (ko)
KR (1) KR100342759B1 (ko)
AT (1) ATE189600T1 (ko)
AU (2) AU1093595A (ko)
BR (1) BR9408082A (ko)
CA (1) CA2175792C (ko)
DE (1) DE69423000T2 (ko)
ES (1) ES2144601T3 (ko)
HK (1) HK1012929A1 (ko)
MY (1) MY131698A (ko)
TW (1) TW299249B (ko)
WO (1) WO19950137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08244C2 (sv) * 1994-02-24 1998-09-21 Moelnlycke Ab Absorptionskropp samt anordning för framställning av en sådan absorptionskropp
US5840403A (en) * 1996-06-14 1998-11-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elevational tissue paper containing selectively disposed chemical papermaking additive
AU2001288639A1 (en) * 2000-08-30 2002-03-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ear-resistant adhesive/combination bond pattern
US6645407B2 (en) 2001-12-14 2003-11-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ocess for making absorbent material with in-situ polymerized superabsorbent
US20030211248A1 (en) * 2001-12-14 2003-11-13 Ko Young C. High performance absorbent structure including superabsorbent added to a substrate via in situ polymerization
US6872275B2 (en) * 2001-12-14 2005-03-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ocess for adding superabsorbent to a pre-formed fibrous web via in situ polymerization
US6918981B2 (en) * 2001-12-14 2005-07-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ocess for adding superabsorbent to a pre-formed fibrous web using two polymer precursor streams
US7018497B2 (en) * 2001-12-14 2006-03-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making an absorbent structure having high integrity
US7189888B2 (en) 2001-12-21 2007-03-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Nonabsorbent surge layer having discrete regions of superabsorbent and method for making
JP4077204B2 (ja) * 2002-01-25 2008-04-16 大王製紙株式会社 吸水性複合体の製造方法および吸水性複合体
US20030149413A1 (en) * 2002-02-04 2003-08-07 Mehawej Fouad D. Superabsorbent composite and absorbent articles including the same
US7135135B2 (en) * 2002-04-11 2006-11-14 H.B. Fuller Licensing & Financing, Inc. Superabsorbent water sensitive multilayer construction
JP3875595B2 (ja) * 2002-06-25 2007-01-3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水性構造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939492B2 (en) * 2002-12-26 2005-09-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for making fibrous web materials
US20040204554A1 (en) * 2003-04-09 2004-10-14 Ko Young Chan Process for making a multifunctional superabsorbent polymer
US8211815B2 (en) 2003-06-13 2012-07-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structure having three-dimensional topography on upper and lower surfaces
US20070191798A1 (en) * 2003-08-20 2007-08-16 Glaug Frank S Absorbent cores for absorbent articles and method for making same
WO2011095228A1 (en) * 2010-02-08 2011-08-11 Sca Hygiene Products Ab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products
CA3034619C (en) 2016-08-26 2024-04-09 Molecular Imprints, Inc. Edge sealant confinement and halo reduction for optical devices
US11513372B2 (en) 2018-06-12 2022-11-29 Magic Leap, Inc. Edge sealant application for optical devices
CN115625829A (zh) 2018-10-16 2023-01-20 奇跃公司 一种形成具有预定形状的波导部分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0731A (en) * 1966-05-20 1972-06-20 Johnson & Johnson Absorbent product containing a hydrocolloidal composition
US3369700A (en) * 1966-06-09 1968-02-20 Kimberly Clark Co Sheet material dispensing package
US3721242A (en) * 1970-03-30 1973-03-20 Scott Paper Co Disposable diapers
DE2222780C3 (de) * 1972-05-10 1975-05-07 Vereinigte Papierwerke Schickedanz & Co, 8500 Nuernberg Verfahren zum Festlegen von feinteiligen in Hygiene-Artikeln zu verwendenden hydrokolloiden Quellstoffen auf Unterlagen
US3849173A (en) * 1972-06-07 1974-11-19 Johnson & Johnson Synthetic resin composition and methods of utilizing the same
US3881632A (en) * 1973-07-11 1975-05-06 Procter & Gamble Compact dispensing package
GB1452325A (en) * 1973-09-10 1976-10-13 Bonded Fibre Fab Non-woven fabrics
US4008353A (en) * 1974-03-13 1977-02-15 The Dow Chemical Company Water swellable articles
US4061846A (en) * 1974-03-13 1977-12-06 The Dow Chemical Company Flexible water swellable crosslinked polyacrylate film
US4057521A (en) * 1974-08-05 1977-11-08 The Dow Chemical Company Absorbent articles made from carboxylic synthetic polyelectrolytes having copolymerized N-substituted acrylamide crosslinker
US4082878A (en) * 1975-08-16 1978-04-04 Firma Carl Freudenberg Absorbent textile sheet material
US4145464A (en) * 1976-10-15 1979-03-20 Scott Paper Company Absorbent articles
US4310593A (en) * 1977-05-13 1982-01-12 The Dow Chemical Company Absorbent articles cured with amine-epihalohydrin adducts
DE2749386A1 (de) * 1977-11-04 1979-05-10 Roehm Gmbh Dispersionen hydrophiler acrylharze
US4235237A (en) * 1978-05-08 1980-11-25 Johnson & Johnson Absorbent open network structure
US4354487A (en) * 1980-05-12 1982-10-19 Johnson & Johnson Fiber/absorbent polymer composites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4529480A (en) * 1983-08-23 1985-07-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issue paper
US4880419A (en) * 1983-08-24 1989-11-14 Chicopee Absorbent article with internal wicking means
JPS6128003A (ja) * 1984-07-13 1986-02-07 ユニ・チヤ−ム株式会社 衛生物品における吸収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4559050A (en) * 1984-08-17 1985-12-17 Personal Products Company Thin, soft, absorbent product
US4748076A (en) * 1985-02-16 1988-05-31 Hayashikane Shipbuilding & Engineering Co., Ltd. Water absorbent fibrous product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RE32649E (en) * 1985-06-18 1988-04-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ydrogel-forming polymer compositions for use in absorbent structures
US4994053A (en) * 1985-06-26 1991-02-19 Kimberly-Clark Corporation Composite article having discrete particulate areas formed therein
US4715918A (en) * 1985-06-26 1987-12-29 Kimberly-Clark Corporation Method for forming discrete particulate areas in a composite article
JPS6330505A (ja) * 1986-07-24 1988-02-09 Mitsubishi Petrochem Co Ltd 吸水性複合材料の製造法
JPH0780970B2 (ja) * 1986-08-29 1995-08-30 三菱化学株式会社 吸水性複合材料の製造法
JPH0764896B2 (ja) * 1987-04-17 1995-07-12 三菱化学株式会社 吸水性複合材料の製造法
US4781710A (en) * 1987-05-15 1988-11-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pad having improved liquid distribution
JPH07121976B2 (ja) * 1987-05-26 1995-12-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水性複合体の製造法
JPH07121975B2 (ja) * 1987-05-26 1995-12-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水性複合体の製造法
US4992326A (en) * 1987-08-28 1991-02-12 Ncneil-Ppc, Inc. Hydrophilic polymers for incorporating deodorants in absorbent structures
US4888238A (en) * 1987-09-16 1989-12-19 James River Corporation Superabsorbent coated fibers and method for their preparation
JPH01292103A (ja) * 1988-05-19 1989-11-24 Mitsubishi Rayon Co Ltd 吸収材の製造方法
US5071681A (en) * 1988-07-28 1991-12-10 James River Corporation Of Virginia Water absorbent fiber web
CA2002016A1 (en) * 1988-11-21 1990-05-21 Koji Miyake Manufacturing method, continuous manufacturing method, product and manufacturing apparatus of absorbent composite
US5013309A (en) * 1989-04-24 1991-05-07 Kem-Wove Incorporated Incontinent pad with high absorbent packet
US5149335A (en) * 1990-02-23 1992-09-22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structure
JP2525290B2 (ja) * 1991-01-28 1996-08-14 幸雄 小松 転写式粉粒体散布装置
MX9200798A (es) * 1991-02-26 1992-08-01 Weyerhaeuser Co Producto absorbente.
US5171391A (en) * 1991-02-26 1992-12-15 Weyerhaeuser Company Method of making an absorbent product
US5175046A (en) * 1991-03-04 1992-12-29 Chicopee Superabsorbent laminate structure
US5487236A (en) * 1995-02-27 1996-01-30 Moon; Donald D. Plant food and fertilizer applic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29338A1 (en) 1996-09-04
KR960705534A (ko) 1996-11-08
US5547747A (en) 1996-08-20
US5549928A (en) 1996-08-27
ES2144601T3 (es) 2000-06-16
CA2175792C (en) 2000-10-31
TW299249B (ko) 1997-03-01
DE69423000T2 (de) 2001-11-08
WO1995013780A1 (en) 1995-05-26
AU1093595A (en) 1995-06-06
ATE189600T1 (de) 2000-02-15
BR9408082A (pt) 1997-08-12
EP0729338B1 (en) 2000-02-09
AU706439B2 (en) 1999-06-17
AU8088198A (en) 1998-10-15
DE69423000D1 (de) 2000-03-16
JPH09505220A (ja) 1997-05-27
MY131698A (en) 2007-08-30
CA2175792A1 (en) 1995-05-26
HK1012929A1 (en) 1999-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2759B1 (ko) 흡수성구조체의제조방법및상기방법으로제조된흡수성구조체
KR100352380B1 (ko) 삼투압흡수성물질의불연속적인부분이선택적으로배치된,파동형의모세관기재
EP0700673B1 (en) Method of manufacture of an absorbent structure
US6022610A (en) Deposition of osmotic absorbent onto a capillary substrate without deleterious interfiber penetration and absorbent structures produced thereby
EP0729336B1 (en) Osmotic and capillary absorbent structure having differential density and process of manufacture therefor
US4235237A (en) Absorbent open network structure
GB2176815A (en) Absorbent article with water-absorbent polymer
AU670563B2 (en) Liquid management member for absorbent articles
KR100323818B1 (ko) 유체 처리 능력을 개선하기 위한 상이한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중합체의 혼합물로부터 제조된 흡수성 거대 구조물
KR100352381B1 (ko) 모세관구조물상부또는내부에배치된삼투흡수성물질인불연속영역을포함하는흡수구조체
EP0390513A2 (en) Body-fluid-absorbing article
JPH0621127B2 (ja) 吸液性複合体の連続的製造方法
JP2683091B2 (ja) 体液吸収物品
JPH0253968A (ja) 吸水性複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683095B2 (ja) 体液吸収物品
MXPA97001798A (en) Absorbent structure that has regions with different degrees of interlocking and m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