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2115B1 - 유기 매트릭스 보강용 유리섬유 - Google Patents

유기 매트릭스 보강용 유리섬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2115B1
KR100342115B1 KR1019940017595A KR19940017595A KR100342115B1 KR 100342115 B1 KR100342115 B1 KR 100342115B1 KR 1019940017595 A KR1019940017595 A KR 1019940017595A KR 19940017595 A KR19940017595 A KR 19940017595A KR 100342115 B1 KR100342115 B1 KR 100342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fiber
stabilizer
polyolefin
sizing composition
coupl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7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3199A (ko
Inventor
쟝-필립가스카
제라르타르디
Original Assignee
비트로텍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트로텍스 프랑스 filed Critical 비트로텍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950003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2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21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1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6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using pretreated fibrous materials
    • C08J5/08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using pretreated fibrous materials glass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5/00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 C03C25/10Coating
    • C03C25/24Coatings containing organic materials
    • C03C25/26Macromolecular compounds or prepolymers
    • C03C25/28Macromolecular compounds or pre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3C25/30Poly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10T428/2938Coating on discrete and individual rods, strands or fila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10T428/2962Silane, silicone or siloxane in co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10T428/2964Artificial fiber or fila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산 또는 무수물로 그래프트화되고 하나 이상의 알콜아민에 의해 중화된 하나 이상의 폴리올레핀을 기본으로 하는 수성 에멀젼, 하나 이상의 아미노실란 커플링제 및 물과 혼화가능하며 pKb값이 커플링제의 아민 그룹의 pKb+1보다 작은 하나 이상의 1급, 2급 또는 3급 지방족 모노아민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가호제 조성물로 피복된 유리 섬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 섬유는 더욱 특히 폴리올레핀매트릭스(예; 폴리올레핀 매트릭스)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유기 매트릭스 보강용 유리 섬유
본 발명은 유기 재료 또는 "유기 매트릭스(organic matrix)"를 보강하기 위한 유리 섬유로서, 특정한 성질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이징 조성물(sizing composition)이 피복된 유리 섬유에 관한 것이다.
보다 정확히 말해서,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매트릭스, 보다 특히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와 같은 열가소성 매트릭스를 보강하기 위한 유리 섬유로서 , 적당한 사이징 조성물로 피복된 유리 섬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생성된 보강 제품에 관한 것이다.
유리 섬유는, 보강의 대상이 되는 매트릭스와 유리 사이에 결합이 생성되도록 하는 여러 가지 사이징 조성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성질을 보유하기 때문에, 보강되지 않은 중합체성 재료에 비하여 성질, 특히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복합체 제품을 제조할 목적으로 다수의 중합체성 재료와 결합될 수 있다.
다이로부터 연신된 필라멘트의 형태로 존재하는 유리 섬유는 일반적으로 사이징 조성물로 피복되는데, 이 경우, 사이징 조성물은 일단 필라멘트를간에 결합을 형성하고, 필라멘트들의 조합에 의하여 생성된 트레드(thread)가 마모되지 않도록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동시에, 상기한 바와 같이, 사이징 공정은 보강될 재료와 유리 트레드간의 접착력을 증진시킨다.
폴리올레핀 매트릭스, 특히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와 같은 열가소성 매트릭스를 유리 섬유로 보강하려는 경우, 보강될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폴리올레핀과 밀접하게 연관된 특성을 지닌 폴리올레핀 에멀젼을 기제로 하는 사이징 조성물을 사용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유리 섬유와 폴리올레핀 매트릭스간의 접착이 상기 폴리올레핀 에멀젼에 대한 반응성 그룹(예 : 카르복실기)의 존재에 의하여 촉진되며, 이 반응성 그룹은 사이징 조성물에 존재하는 다른 화합물과 반응할 수 있다는 것 또한 알려져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매트릭스 자체로는 이러한 반응성 그룹이 부족하기 때문에 우수한 유리-매트릭스 결합을 위해서는 사이징 조성물내에 이러한 유형의 그래프트화 폴리올레핀이 존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래프트되거나 그래프트되지 않은 폴리올레핀 매트릭스와 유리 섬유간의 접착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폴리올레핀의 에멀젼(중화된 폴리올레핀의 염과 반응하며 염기도가 디에틸에탄올아민의 염기도보다 큰 하나 이상의 아미노실란 커플링제의 존재하에 산에 의해 그래프트되고 디에틸에탄올아민에 의해 중화됨)포함하며, 2산 (二酸; diacid) 형태로 하나 이상의 안정화제 및 접착 필름 형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피복된 유리 섬유를 상기 매트릭스 보강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또한 공지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5 130 197호에 기술되어 있는 상기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반응성이 큰 아민기를 갖는 아미노실란을 사용하고/사용하거나 비교적 다량의 아미노실란을 사용해야 하는데, 이는 특히 가격면에서 불리하다. 더구나, 사이징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에 안정화제 또는 실란을 가하는 경우, 상당한 증점 현상이 주시되는데, 이 증점 현상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할 수 있거나 환경에 따라 안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기 매트릭스의 보강 문제에 대한 보다 저렴하고 보다 유리한 해결책을 제공하고, 특히 적당한 사이징 조성물로 피복된 것으로, 계속되는 보강된 열가소성 재료, 특히 보강된 폴리올레핀, 보다 특히 보강된 폴리프로필렌의 제조시 양호한 유리-매트릭스 결합을 제공하는 유리 섬유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의 목적은 (1) 하나 이상의 산 또는 무수물로 그래프트되고 하나 이상의 알콜아민에 의해 중화된 하나 이상의 폴리올레핀을 기본으로 하는 수성 에멀젼,
(2) 하나 이상의 아미노실란 커플링제 및
(3) 물과 혼화가능하며 pKb값이 커플링제의 아민 그루의 pKb+ 1보다 작은, 하나 이상 1급, 2급 또는 3급 지방족 모노아민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사이징 조성물로 피복된 유리 섬유에 효과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이징된 섬유는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한다.
이들 방법중의 하나는 연속 필라멘트의 층 형태로 존재하는 용융 유리의 트레드를 하나 이상의 다이의 구멍으로부터 연신시키고, 이러한 필라멘트를 본 발명에 따르는 사이징 조성물로 피복시킨 다음, 문제의 필라멘트를 하나 이상의 트레드로 모이는 것으로 구성된다. 그 다음, 이들 트레드는 다른 공정을 수행하기 전에 회전 지지체상에서 권취시킬 수 있고, 이동식 컨베이어(conveyor)상에 분포시킬 수있거나, 성형후 촙핑(chopping)할 수 있다. 이렇게 사이징된 유리 섬유는 보강되는 제품내에서 성취하고자 하는 기계적 특성 및 사용된 방법에 따라 가변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매트릭스를 보강시키는 유리 섬유는 특히 연속 트레드, 로빙, 촙트(chopped) 트레드 또는 매트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들 섬유는, 사이징 조성물내에 포함된 물이 양호한 유리-매트릭스 접착에 유해할 수 있기 때문에, 유기 매트릭스를 보강하기 위해 사용하기 전에 일반적으로 건조시킨다.
위해서 언급한 폴리올레핀은, 이것이 보강딜 매트릭스의 폴리올레핀이든지 사이징 조성물내에서 사용되는 에멀젼의 폴리올레핀이든지간에, 무정형 폴리올레핀 또는 필수적으로 결정성인 폴리올레핀[어택틱(atactic), 이소택틱(isotactic) 또는 신디오택틱(syndyotactic)]일 수 있고,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일 수 있으며, 고분자량 또는 저분자량일 수 있다. 보강될 매트릭스의 폴리올레핀(들)은 그래프트화될 수 있거나 그래프트화되지 않을 수 있고,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된 에멀젼의 하나 이상의 폴리올레핀은 하나 이상의 산 또는 무수물에 의해 그래프트된다. 바람직하게는, 에멀젼이 다수의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경우, 대부분의 폴리올레핀은 하나 이상의 산 또는 무수물로 그래프트된다. 폴리올레핀상에서 그래프트된 산 또는 무수물은, 특히 말레산,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또는 시트라콘산(또는 무수물)과 같은 에틸렌 치환된 카복실산 및/또는 폴리카복실산 및/또는 산 무수물 등일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르는 폴리올레핀은, 에멀젼의 폴리올레핀(들)의 경우, 바람직하게 말레산 무수물(들)에 그래프트된 폴리에틸렌 및/또는폴리프로필렌이다. 더욱 특히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르는 폴리올레핀은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들의 혼합물 또는 폴리프로필렌 유도체이며, 에멀젼의 폴리올레핀(들)은 말레산 무수물(들)로 그래프트된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된 에멀젼의 폴리올레핀(들)은 주로 보강되는 매트릭스에 대해 커플링 보조제로서 작용하는 동시에, 접착 필름 형성제 및, 가능하게는, 윤활제로서 작용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는 섬유를 구성하는 유리 필라멘트상에 침착된 사이징 조성물 내에서의 폴리올레핀(들)의 초기 비율은 상기한 조성물의 1 내지 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조성물을 생성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폴리올레핀 에멀젼의 중량비는 상기한 폴리올레핀(들)의 비율보다 크며, 이는 사용된 에멀젼에 따라 가변적이다. 이와 관련해서, 수성 폴리올레핀 에멀젼은 유리 표면을 처리하기에 가장 적합한 형태를 구성한다. 이들 에멀젼은 프랑스공화국 특허원 제2 044 805호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은 방법으로 생산하거나, 고분자량 폴리올레핀에 대해서는 유럽 특허원 제0 394 090호에 기술되어 있는 방법에 의해 생산한다.
이들 방법은, 특히 폴리올레핀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에서 가압하에 적당한 염기 및 계면활성제의 존재하에서 목적량의 폴리올레핀(들)을 혼합시킴을 포함한다. 상기한 염기는 그래프트된 폴리올레핀(들)에 의한 산 그룹(들)을 중화시키는 가능을 하고, 이후 적당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중화된 폴리올레핀(들)의 에멀젼을 형성시킨 다음 냉각시킨다.
상기한 염기는 바람직하게는 디메틸아미노프로판을 또는 디메틸에탄올아민과같은 알콜 아민으로 이루어져 있다. 계면활성제와 관련하여, 폴리올레핀을 유화시키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특정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섬유를 피복시키기 위한 조성물은 상기한 에멀젼외에 하나 이상의 아미노실란 커플링제를 포함한다. 이 커플링제는, 예를 들어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또는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과 같은 모노-또는 디-아민화 아미노실란 또는 임의의 다른 유사 아미노실란일 수 있다.
이는 사이징 조성물로 피복된 유리 섬유를 보강될 폴리올레핀 매트릭스와 커플링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는 섬유를 구성하는 유리 필라멘트상에 침착된 사이징 조성물내에서의 아미노실란(들)의 초기 비율은 이들 조성물의 0.1 내지 2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중량%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섬유를 피복시키는 사이징 조성물은 또한 조성물을 안정화 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안정화제를 포함하는데, 이 안정화제는 물과 혼화가능하고 pKb값이 커플링제의 아민 그룹의 pKb+1보다 작은, 1급, 2급 또는 3급 지방족 모노아린으로 이루어져 있다.
"1급, 2급 또는 3급 지방족 모노아민"은 본 발명에 따라 1급, 2급 또는 3급 아민 그룹을 포함하며 방향족 환을 포함하지 않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된 모노아민 안정화제는, 특히 커플링제의 아민 그룹의 염기도보다 크거나 또는, 가능하게는, 약간 낮은 염기도(위에서 pKb값에 의해 나타낸상기 범위내)를 갖는다는 사실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한 모노아민 안정화제의 pKb값은 커플링제의 아민 그룹의 pKb+0.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커플링제의 아민 그룹의 pKb값 이하(즉, 커플링제의 아민 그룹의 염기도와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염기도를 지닌다)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염기성 모노아민 형태의 안정화제를 사용하면, 예를 들어 미합중국 특허 제5 130 197호에 따라 2산과 같은 안정화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매우 우수한 이점이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수득된 이점은 특히 아래에서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된 모노아민 안정화제는 알콜 아민, 알킬아민, 에테르아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아민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된 조건을 충족시킨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된 커플링제가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질 경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된 모노아민 안정화제는, 특히 N-메틸에탄올아민, 3-메톡시프로필아민 또는 부틸아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부틸아민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된 커플링제가 N-β(아미노에틸) 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질 경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된 모노아민 안정화제는, 특히 디메틸아미노메틸프로판올, 아미노메틸프로판올, N-메틸에탄올아민, 3-메톡시프로필아민 또는 부틸아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N-메틸에탄올아민, 3-메톡시프로필아민 또는 부틸아민으로 어루어질 수 있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모노아민 안정화제(들)은, 사이징 조성물내의 아미노실란 커플링제(들)의 비율이 무엇이든간에, 사이징 조성물중의 아미노실란 커플링제(들)에 비해 과량으로 존재한다. 안정화제의 pKb값이 커플링제의 아민 그룹의 pKb값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인 경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된 사이징 조성물중의 아미노실란 커플링제에 비해 모노아민 안정화제가 과량으로 존재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라,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된 사이징 조성물내에 있는 아민의 몰 비는 중화 염기로서 작용하는 알콜아민(들) 및 안정화제로서 작용하는 모노아민(들) 둘 다를 고려하여, 아미노실란의 몰 비에 비해 2배 이상 크다. 본 발명의 유리한 양태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는 섬유를 구성하는 유리 필라멘트위에 침착된 것으로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된 사이징 조성물내에서의 모노아민 안정화제의 초기 몰 비는 아미노실란 커플링제(들)의 비율보다 약 2배 이상 크다. 일반적으로, 위의 조성물내에서의 모노아민 안정화제(들)의 양은 0.1 내지 2중량%이다.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나, 사용된 모노아민 안정화제(들)의 반응성 및, 경우에 따라, 사용된 커플링제(들)에 비해 과량의 아민의 존재로 인해, 필라멘트를 피복시키는 사이징 조성물의 양에서 에멀젼의 폴리올레핀(들)과 아미노실란 커플링제(들)간의 상호 작용은 상당히 감소되는 것으로 추측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유리 섬유를 피복하기 위한 사이징 조성물이 결과적으로 보다 안정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유리 섬유를 생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사이징된 유리 트레드를 생산하는 방법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저점도를 유지한다. 따라서, 미합중국 특허 제5 130 197호에 기술되어 있는 사이징 조성물의 경우에 특히 발견되는 중점 현상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된 사이징 조성물내에서는 감소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모노아민(들)은 일반적으로 저온(150 ℃ 이하)에서 증발하고, 계속해서 건조시키는 동안 또는 복합체를 형성시키는 동안 유리되어 최종 복합체의 수준에서 아미노실란 커플링제(들)와 매트릭스의 폴리올레핀(들)간의 상호 작용을 강하게 생성시킨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에멀젼의 그래프트된 폴리올레핀(들)이 매개되어 유발되지만, 매트릭스의 폴리올레핀(들) 자체가 그래프트된 경우, 또한 매트릭스의 폴리올레핀(들)의 수준에서 직접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섬유를 피복시키는 사이징 조성물은 다음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계적 특성이 양호한 복합체를 생산할 수 있다. 더구나, 저비율의 실란 및 안정화제의 선택으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르는 섬유를 피복시키는 사이징 조성물이 더욱 저렴해지고,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조시, 미합중국 특허 제5 130 197호에 기술되어 있는 사이징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에서와 같은 상당한 중점 현상을 유발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미합중국 특히 제5 130 197호에 기술되어 있는 접착 필름 형성제를 함유할 필요가 있는 사이징 조성물과는 달리, 대부분의 경우, 접착 필름 형성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트레드내에서의 필라멘트성 접착이 양호하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언급된 사이징 조성물은 사용하면 특히보존성이(integrity)이 우수한 촙트 트레드를 제조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이점이 특히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 따르는 섬유를 피복시키는 조성물내에서의 필름 형성제의 존재는 선형 또는 적재형 로빙을 생산하는데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때, 사용된 필름 형성제는 폴리우레탄, 에폭시 중합체 또는 에폭시-폴리우레탄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언급한 화합물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르는 섬유를 피복시키는 사이징 조성물은 또한 이러한 유형의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특정 유형의 부가제 및, 특히, 윤활제 및/또는 습윤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한 사이징 조성물의 pH는 대부분의 경우에 9보다 크고, 상기한 조성물의 고체 함량은 1 내지 15%가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 따르는 섬유의 강열감량(ignition loss)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이다.
다음 실시 예는 본 발명에 따르는 섬유를 사용하여 보강시킨 매트릭스 및 사이징 조성물을 미합중국 특허 제5 130 197호에 기술되어 있는 섬유를 사용하여 보강시킨 매트릭스 및 사이징 조성물과 점도, 보존성 및 기계적 특성면에서 각각 비교하며 얻어낸 다양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말레산 무수물로 그래프트된 폴리프로필렌(들)을 기본으로 하는 수성 에멀젼, 모노아민화 아미노실란 커플링제 및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된 2산 안정화제 또는 모노아민 안정화제를 각각 포함하는 사이징 조성물의 제조시눈금이 조정된 모세관에 의해 측정된 동적 점도를 비교하였다.
A로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들)의 에멀젼은 프로톨루브(Protolube) RL-5440이라는 상표명으로 나셔날 스타치(National Starch)에 의해 시판되는 에멀젼으로서 이는 디에틸에탄올아민에 의해 중화된 것이고, B로서 사용되는 커플링제는 실란 A 1100이라는 상표명으로 유니온 카바이드(Union Carbide)에 의해 시판되는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이며, C로서 표시되는 2산 안정화제는 말레산이고, D로서 표시되는 모노아민 안정화제는 N-메틸에탄올아민이었다. 각종 사이징 조성물은, 경우에 따라, 각각의 조성물에서의 균일한 고체 함량이 약 5%가 되도록 CMD-W 60-5520이라는 상표명으로 쉘 유에스(Shell US)에 의해 시판되는, 점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에폭시-폴리우레탄 공중합체로 만들었다.
아래의 표에 나타낸 비율은 사이징 조성물에 도입시킨 생성물 A, B, C 또는 D의 중량%를 나타낸 것이며, 나머지 백분율은 가한 물의 양이다. 사이징 조성물내에서의 각각의 이들 생성물로부터 생성된 활성 화합물의 실제 중량비는 괄호안에 나타었는데, 생성물 B, C 및 D는 순수하나, 생성물 A는 연구 대상인 활성 화합물 및 물을 둘다 포함한다.
2산 안정화제의 비율은 이러한 제제에 대해 미합중국 특허 제5 130 197호에 나타나 있는 비율 정도였고, 모노아민 안정화제의 비율은 본 발명에 따라 선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정의된 모노아민 안정화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조성물 2, 4 및 6은 2산 안정화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조성물 1, 3 및 5보다 초기 점도가 낮다. 또한 상기 조성물 내애 폴리프로필렌 에멀젼의 양이 증가할수록 초기 점도의 차이가 더욱 커진다.
이 차이는, 사용된 폴리프로필렌 에멀젼의 반응성이 보다 크고/크거나 또한 사용된 아미노실란이 실란 A 1120이라는 상표명으로 유니온 카바이드에 의해 시판 되는 N-β(아미노에틸) 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인 경우일 경우 증가한다는 것이 주목하였다.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 2산 안정화제를 사용하는 조성물의 점도는 20 ℃에서 10cts를 초과하는데, 모노아민 안정화제를 사용하는 조성물의 점도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유사한 정도였다(1.40cts 정도).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라 정의된 모노아민 안정화제를 사용하는 사이징조성물로 피복된 촙트 트레드와 2산 안정화제를 사용하는 사이징 조성물로 피복된 촙트 트레드를 동적 보존성에 대해 비교함으로써 수득한 결과를 나타낸다.
동적 보존성은 다음 시험에 의해 촙트 트레드의 폐기물 비율을 측정함으로써 이해될 수 있다: 촙트 트레드를 열가소성 재료의 입상체와 혼합한 다음 약 10분 동안 회전시킨 후 회수하여 진동식 스크린상으로 통과시켰다. 그 다음, 스크린으로 통과하지 않은 폐기물을 회수하고 칭량하여 상응하는 비율의 폐기물을 수득하였다. 이 비율이 적을수록 보존성은 커진다.
조성물 7 및 8은 프로톨루브 RL-5440이라는 상표명으로 나셔날 스타치에 의해 시판되는 13.6% 비율의 말레산 무수물로 그래프트된 폴리프로필렌을 기본으로하는 에멀젼 및 A 1100 이라는 상표명으로 유니온 카바이드에 의해 시판되는 1.1% 비율의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커플링제를 포함하며, 조성물 7의 경우, 1% 비율의 N-메틸에탄올아민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조성물 8의 경우 0.35% 비율의 말레산 안정화제를 포함하는데, 이들 조성물의 고체 함량은 각각 5.2% 및 5.5%이며, 이들 조성물은 접할 필름 형성제를 전혀 함유하지 않았다.
조성물 9 및 10은 말레산 무수물로 그래프트된 폴리프로필렌을 기본으로 하는 에멀젼 및, 실란 A 1120이라는 상표명으로 유니온 카바이드에 의해 시판되는 N-β(아미노에틸)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커플링제를 포함하며, 조성물 9의 경우, 아미노메틸프로판올 안정화제를 포함하거나, 조성물 10의 경우, 말레산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조성물 10은 또한 에멀젼 내에서의 폴리프로필렌의 양에 대해 40% 비율의 접착성 에폭시-폴리우레탄 필름 형성제를 포함하는데, 이들 두 조성물의 고체 함량은 6.9%였다.
각종 조성물의 초기 점도 및 사이징된 트레드에서의 강열감량을 또한 측정하였다.
또한 모노아민 안정화제를 사용하는 조성물 7 및 9의 초기 점도는 2산 안정화제를 사용하는 조성물 8 및 10의 초기 점도보다 낮고, 또한 강열감량은 각각의 경우에 유사한 정도라는 것이 관찰되었다.
또한, 동적 보존성 시험 결과는 트레드를 피복시키기 위한 접착 필름 형성제의 부재하에서 2산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8을 사용하는 경우 동적 보존성이 매우 열악한 트레드가 생성됨을 나타낸다. 사실상, 트레드는 측정된 폐기물의 비율이 2%를 초과하면 보존성은 열악한 상태인 것으로 생각된다.
2산 안정화제 뿐만 아니라 접착 필름 형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10으로 피복된 트레드는 조성물 8로 피복된 트레드의 동적 보존성보다 양호한 동적 보존성을 갖지만, 이 동적 보존성은 불만족스럽고 본 발명에 기술된 모노아민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피복된 트레드의 보존성만큼 양호하지 않았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보강된 매트릭스가, 각각의 경우에, 폴리본드(Polybond) 3002라는 상표명으로 비피 케미칼즈(BP Chemicals)에 의해 시판되는 그래프트화 폴리프로필렌을 5% 가한 아프릴(Appryl) 3030이라는 상표명으로 아토캠(Atochem)에 의해 시판되는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인, 유리 섬유 30중량%를 포함하는 복합체에 의해 수득된 기계적 특성상의 결과를 나타낸다. 매트릭스를 보강하는데 사용되는 유리 트레드는 각각 조성물 7 내지 11로 피복시키고, 조성물 7 내지 10은 실시예 2에 기술 된 바와 같은 것이고, 조성물 11은, 1% 비율의 N-메틸에탄올아민 안정화제 대신에 0.7% 비율의 부틸아민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에 기술된 조성물 7과 동일하다.
파단점에서의 인장 응력 및 굽힘 응력, 및 챠피(Charpy) 및 아이조드 충격 내성을 각각 표준 ISO R 527, ISO R 178, ISO R 179 및 ISO R 180에 정의된 조건하에서 측정하였다.
기계적 특성에 대한 상기 실험 결과, 본 발명에 따르는 섬유를 사용하여 보강시킨 매트릭스가 미합중국 특허 제5 130 197호에 기술되어 있는 섬유를 사용하여 보강시킨 매트릭스 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트레드를 170 ℃에서 4시간 동안 열처리하면, 트레드 양에 대한 숙성 효과와 같은 효과가 나타났고, 동일하게 만족스러운 기계적 특성을 지니는 복합체가 수득되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안정화제로서 부틸아민을 포함하는 사이징 조성물로 피복된 유리 섬유를 사용한 경우가 부틸아민 안정화제 대신 N-메틸에탄올아민 안정화제를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챠피 및 아이조드 충격 내성과 파단점에서의 인장 응력 및 굽힘 응력이 3 내지 15% 더 높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섬유를 피복하는 사이징 조성물 내에 부틸아민 안정화제를 사용하면, 사용된 부틸아민의 중량 비율이 상당히 작음에도 불구하고, 상기한 섬유로부터 형성된 복합체의 양에서 특히 유리한 결과가 수득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사이징된 유리 섬유는, 특히 그래프트되거나 그래프트되지않은 폴리올레핀,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와 같은 열가소성 매트릭스를 보강하고, 더욱 특히 보다 저렴한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를 보강하여 수득된 복합체 제품에 유리한 특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Claims (15)

  1. (1) 하나 이상의 산 또는 무수물로 그래프트되고 하나 이상의 알콜아민에 의해 중화된 하나 이상의 폴리올레핀(전체 조성물 중 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을 기본으로 하는 수성 에멀젼,
    (2) 하나 이상의 아미노실란 커플링제 0.1 내지 2 중량% 및
    (3) 물과 혼화가능하며 pKb값이 커플링제의 아민 그룹의 pKb+ 1보다 작은 하나 이상의 1급, 2급 또는 3급 지방족 모노아민 안정차제 0.1 내지 2 중량%를 포함하는 사이징 조성물로 피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재료 보강용 유리 섬유.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들)이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형태로서,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들의 혼합물 또는 폴리프로필렌 유도체인 유리 섬유.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에멀젼의 폴리올레핀(들)이 하나 이상의 말레산 무수물에 의해 그래프트된 유리 섬유.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안정화제의 PKb값이 커플링제의 아민 그룹의 pKb값과 동일하거나 그 이하인 유리 섬유.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모노아민 안정화제(들)가 사이징 조성물 중의 아미노실란 커플링제(들)에 대해 과량으로 존재하는 유리 섬유.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에멀젼의 폴리올레핀(들)을 중화시키는 알콜아민(들) 및 모노아민 안정화제(들)를 포함하는 아민의 몰 비가 사이징 조성둘중의 아미노실란 커플링제(들)의 몰 비의 2배 이상인 유리 섬유.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모노아민 안정화제가 아미노메틸프로판올, N-메틸에탄올아민, 디메틸아미노메틸프로판올, 부틸아민 또는 3-메톡시프로필아민과 같은 알콜아민, 알킬아민 또는 에테르아민인 유리 섬유.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그래프트된 폴리올레핀이 디메틸아미노프로판올 또는 디메틸에탄올아민과 같은 하나 이상의 알콜아민에 의해 중화되는 유리 섬유.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아미노실란 커플링제가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또는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과 같은 모노- 또는 디-아민화 아미노실란인 유리 섬유.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사이징 조성물이 또한 폴리우레탄, 에폭시 중합체 또는 에폭시폴리우레탄 공중합체와 같은 하나 이상의 접착 필름 형성제를 포함하는 유리 섬유.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사이징 조성물이 또한 윤활제 및/또는 습윤제를 포함하는 유리 섬유.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사이징 조성물의 pH가 9보다 큰 유리섬유.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사이징 조성물의 고체 함량이 1 내지 15중량%인 유리 섬유.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강열감량(ignition loss)이 0.5 내지 1.5%인 유리 섬유.
  15.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청구한 유리 섬유에 의해 보강된 열가소성 매트릭스(matrix).
KR1019940017595A 1993-07-22 1994-07-21 유기 매트릭스 보강용 유리섬유 KR1003421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309050A FR2707976B1 (fr) 1993-07-22 1993-07-22 Fibres de verre destinées au renforcement de matrices organiques.
FR9309050 1993-07-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199A KR950003199A (ko) 1995-02-16
KR100342115B1 true KR100342115B1 (ko) 2002-11-23

Family

ID=9449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7595A KR100342115B1 (ko) 1993-07-22 1994-07-21 유기 매트릭스 보강용 유리섬유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470658A (ko)
EP (1) EP0635462B1 (ko)
KR (1) KR100342115B1 (ko)
DE (1) DE69402125T2 (ko)
FR (1) FR27079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5673A (ko) * 2017-10-24 2019-05-03 주식회사 케이씨씨 사이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리섬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3989A (en) * 1993-10-29 1997-07-01 Azdel, Inc. Fiber reinforced functionalized polyolefin composites
US5626643A (en) * 1994-09-26 1997-05-06 Owens-Corning Fiberglas Technology Inc. Contact drying of fibers to form composite strands
DE19523511C1 (de) * 1995-06-28 1996-12-19 Bayer Ag Wäßrige Dispersion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US6004650A (en) * 1996-12-31 1999-12-21 Owens Corning Fiberglas Technology, Inc. Fiber reinforced composite part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475592B1 (en) 1997-04-29 2002-11-05 Darwin Enterprises, Inc. Carpet backing that provides dimensional stability
US5962101A (en) 1997-04-29 1999-10-05 Donald A. Irwin, Sr. Dimensionally stable tufted carpet
WO1998051981A1 (en) * 1997-05-15 1998-11-19 Owens Corning Glass fiber reinforced ceramic molding compositions
GB2326164B (en) * 1997-06-13 2001-02-21 Eastman Chem Co Emulsification process for functionalized polyolefins and emulsions made therefrom
US6020028A (en) * 1998-06-05 2000-02-01 Kinneberg; Bruce I. Silane adhesion catalysts
US6280818B1 (en) * 1999-03-03 2001-08-28 Wayn-Tex, Inc. Carpet backing componen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IT1312071B1 (it) * 1999-04-14 2002-04-04 Revetex S R L Caricamento di tipo vetroso per materie plastiche e resine fenoliche eprocedimento di realizzazione della stessa.
US7585563B2 (en) * 2001-05-01 2009-09-08 Ocv Intellectual Capital, Llc Fiber size, sized reinforcements, and articles reinforced with such reinforcements
US7732047B2 (en) * 2001-05-01 2010-06-08 Ocv Intellectual Capital, Llc Fiber size, sized reinforcements, and articles reinforced with sized reinforcements
CN100363388C (zh) * 2001-12-27 2008-01-23 玻璃纤维日本株式会社 玻璃纤维用上浆组合物,烯烃树脂增强用玻璃纤维,纤维增强模制品用烯烃树脂组合物制法
EP1382642A1 (en) * 2002-07-15 2004-01-21 Rockwool International A/S Formaldehyde-free aqueous binder composition for mineral fibers
USRE44893E1 (en) 2004-03-26 2014-05-13 Hanwha Azdel, Inc.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sheets with surface coverings
FR2885316B1 (fr) * 2005-05-04 2007-08-31 Saint Gobain Vetrotex Procede de fabrication d'une piece composite a partir de granules haute densite de verre
FR2885362B1 (fr) * 2005-05-04 2007-06-08 Saint Gobain Vetrotex Composition d'ensimage pour granules de fils de verre a forte teneur en verre
TWI355401B (en) * 2006-09-29 2012-01-01 Cheil Ind Inc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plastic articl
US20110027592A1 (en) * 2007-10-26 2011-02-03 Attila Molnar Aqueous binder or sizing composition
US20100160529A1 (en) * 2008-12-18 2010-06-24 Cheil Industries Inc. Glass Fiber-Reinforc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Using the Same
US20120144870A1 (en) 2010-12-09 2012-06-14 Owens Corning Intellectual Capital,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isture in the manufacture of glass fiber insulation
US8821625B2 (en) 2010-12-09 2014-09-02 Owens Corning Intellectual Capital,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re-circulating wash water used in manufacturing glass fiber products
KR101360892B1 (ko) 2011-06-21 2014-02-11 제일모직주식회사 반사성, 내열성, 내황변성 및 내습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101549492B1 (ko) 2011-12-28 2015-09-03 제일모직주식회사 내황변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EP2620419A1 (en) 2012-01-27 2013-07-31 3B Fibreglass Polyamide based sizing composition for glass fibres
RU2629934C2 (ru) 2012-03-20 2017-09-05 3Б Фибрегласс СПРЛ Двухкомпонентная замасливающ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окрытия стекловолокна и композиционный материал, армированный указанным стекловолокном
WO2014104485A1 (ko) 2012-12-28 2014-07-03 제일모직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성형품
KR20140086738A (ko) 2012-12-28 2014-07-08 제일모직주식회사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성형품
US10301449B2 (en) 2013-11-29 2019-05-28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light stability at high temperature
KR101690829B1 (ko) 2013-12-30 2016-12-28 롯데첨단소재(주) 내충격성 및 내광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10636951B2 (en) 2014-06-27 2020-04-28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reflectivity
KR101793319B1 (ko) 2014-12-17 2017-11-03 롯데첨단소재(주)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849830B1 (ko) 2015-06-30 2018-04-18 롯데첨단소재(주) 내충격성 및 광신뢰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JP7395476B2 (ja) 2017-08-07 2023-12-11 ゾルテック コーポレイション プラスチックを強化するための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でサイジング処理されたフィラー
KR102262939B1 (ko) 2020-09-24 2021-06-08 노민혁 우레탄 배수판의 연속 제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0197A (en) * 1985-03-25 1992-07-14 Ppg Industries, Inc. Glass fibers for reinforcing polymer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55353A (en) * 1969-05-21 1972-04-11 Ppg Industries Inc Glass fiber size
US4413085A (en) * 1978-08-21 1983-11-01 Ppg Industries, Inc. Storage stable polyolefin compatible non-crosslinking size for fiber glass strands
US4248935A (en) * 1978-08-21 1981-02-03 Ppg Industries, Inc. Storage stable polyolefin compatible non-crosslinking size for fiber glass strands
US4263082A (en) * 1978-12-20 1981-04-21 Ppg Industries, Inc. Storage stable polyolefin compatible non-crosslinking size for fiber glass strands
US4283322A (en) * 1979-02-12 1981-08-11 Ppg Industries, Inc. Emulsion composition and method for use in treating glass fibers
US4240944A (en) * 1979-02-12 1980-12-23 Ppg Industries, Inc. Emulsion composition and method for use in treating glass fibers
US4370439A (en) * 1979-03-22 1983-01-25 Ppg Industries, Inc. Method of preparing a sizing composition for treating glass fibers
CH647484A5 (en) * 1980-11-28 1985-01-31 Ppg Industries Inc Sizing product imparting better stability to UV rays to sized glass fibres
US4370157A (en) * 1981-03-09 1983-01-25 Ppg Industries, Inc. Stable sizing compositions used during forming of glass fibers and resulting fiber
US4457970A (en) * 1982-06-21 1984-07-03 Ppg Industries, Inc. Glass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s
JPS5938254A (ja) * 1982-08-26 1984-03-02 Ube Ind Ltd 強化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US4608304A (en) * 1982-09-30 1986-08-26 Mobay Corporation Glass fibers coated with aqueously dispersed coating compositions
JPS60195120A (ja) * 1984-03-19 1985-10-03 Asahi Chem Ind Co Ltd ポリオレフイン樹脂組成物
US4728573A (en) * 1985-03-25 1988-03-01 Ppg Industries, Inc. Glass fibers for reinforcing polymers
FR2646164B1 (fr) * 1989-04-19 1992-12-11 Saint Gobain Vetrotex Emulsion aqueuse a base de polyolefines greffees procede d'obtention et emploi, notamment dans les compositions d'appret
ES2099119T3 (es) * 1990-12-05 1997-05-16 Ppg Industries Inc Material fibroso termoplastico formado humedo y dispersion acuosa para su preparacion.
JP2579566B2 (ja) * 1991-08-09 1997-02-05 旭ファイバーグラス株式会社 樹脂組成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0197A (en) * 1985-03-25 1992-07-14 Ppg Industries, Inc. Glass fibers for reinforcing polymer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5673A (ko) * 2017-10-24 2019-05-03 주식회사 케이씨씨 사이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리섬유
KR101999900B1 (ko) * 2017-10-24 2019-07-12 주식회사 케이씨씨 사이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리섬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35462B1 (fr) 1997-03-19
EP0635462A1 (fr) 1995-01-25
DE69402125T2 (de) 1997-09-18
US5470658A (en) 1995-11-28
FR2707976B1 (fr) 1995-09-22
FR2707976A1 (fr) 1995-01-27
KR950003199A (ko) 1995-02-16
DE69402125D1 (de) 1997-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2115B1 (ko) 유기 매트릭스 보강용 유리섬유
US4341877A (en) Sizing composition and sized glass fibers and process
EP0750594B1 (en) Glass fiber sizing and sized glass fibers and polyolefin reinforcing articles
AU759430B2 (en) Sizing for glass fibers having low nonionic and cationic lubricant content
US5648169A (en) Glass fiber size and mat
DE19524345C2 (de) Schlichtemittel und deren Verwendung für Glasfasern
JPS623788B2 (ko)
US5389440A (en) Finish composition for coating and protecting a reinforcing substrate
EP0055443A1 (en) Coated glass fiber strands obtained by treatment with an aqueous sizing composition and their use
AU744458B2 (en) Sized glass fibers for reinforcing polymer material
US4358501A (en) Storage stable polyolefin compatible size for fiber glass strands
US20070134490A1 (en) Sizing composition for sheet molding compound roving
NO147843B (no) Vannholdig limblanding for overtrekning av glassfibre
US4808478A (en) Chemically treated glass fibers for reinforcing thermosetting polymers
JPS623105B2 (ko)
AU2004299305B2 (en) Sized glass fibres with fast impregnation for the reinforcement of polymer materials
US20040096659A1 (en) Sized glass yarns, sizing composition and composites comprising said yarns
US4547533A (en) Glass-fiber-reinforced ABS-molding compositions
KR101863488B1 (ko) 유리섬유용 집속제 조성물
JPH0643501B2 (ja) ポリマーマトリックス用の化学的に処理された成形体,充填材,および強化材
US5759687A (en) Sized glass threads for reinforcing organic materials
US5237083A (en) Synthetic organosilane compounds useful as lubricants in glass sizing compositions
CA1115876A (en) Storage stable polyolefin compatible size for fiber glass strands
US4694034A (en) Size composition
US4716080A (en) Size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