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2939B1 - 우레탄 배수판의 연속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우레탄 배수판의 연속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2939B1
KR102262939B1 KR1020200123631A KR20200123631A KR102262939B1 KR 102262939 B1 KR102262939 B1 KR 102262939B1 KR 1020200123631 A KR1020200123631 A KR 1020200123631A KR 20200123631 A KR20200123631 A KR 20200123631A KR 102262939 B1 KR102262939 B1 KR 102262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ethane
main
drainage plate
conveyor devic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3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민혁
Original Assignee
노민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민혁 filed Critical 노민혁
Priority to KR1020200123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2939B1/ko
Priority to KR1020210010313A priority patent/KR20220040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2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2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2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4/30Expanding the moulding material between endless belt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5/00Use of PU, i.e. polyureas or polyuretha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연속적 생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우레탄 배수판, 및 그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배수판의 구성은, 우레탄으로 발포 성형되는 되는 것으로서, 판형상의 배수판 본체; 상기 배수판 본체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메인돌출부; 상기 메인돌출부를 서로 연결하는 형태로 상기 배수판 본체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브릿지(bridgr)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브릿지부의 높이보다 높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우레탄 배수판의 연속 제조장치{Urethane Drain Boar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수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연속적 생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우레탄 배수판, 및 그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수판은 건물의 벽체 단열, 최저층 바닥에 설치되기도 하고 최상층인 옥상에 설치되기도 하는 것으로서 빗물이나 지하에서 발생하는 유수가 고이지 않고 흘러 배수구로 배출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배수판은 교량 등 다양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근래 이러한 배수판은 우레탄으로 제작되어 공급되기도 하였다. 배수판은 판상의 본체 상면 또는 하면에 요철부가 마련되어 있는 구성을 가진다. 그러므로 이러한 형태의 배수판을 우레탄으로 제작하여야 하는 경우에 있어서, 하나의 성형틀 내에 우레탄을 충전하면서 발포한 뒤 탈형시킴으로써 한 피스(piece)의 배수판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이렇게 성형틀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한번의 작업에 의해 한 조각의 배수판을 얻을 수 있을 뿐이다. 성형틀을 이용하는 경우 성형틀의 크기에는 제한이 따르므로 다량의 배수판을 제작하기 위하여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기 마련이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7-0014606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1995-0003199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우레탄으로 된 배수판의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방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연속식 생산방법에 의하여 제작될 수 있는 배수판 및 이 배수판을 제작하기 위한 연속식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타 목적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은, 우레탄으로 발포 성형되는 되는 것으로서, 판형상의 배수판 본체; 상기 배수판 본체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메인돌출부; 상기 메인돌출부를 서로 연결하는 형태로 상기 배수판 본체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브릿지(bridgr)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브릿지부의 높이보다 높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탄 배수판;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배수판의 메인돌출부는 사각 형태로 되어 있고 상면은 평면으로 되어 있으며; 사방 측면은 경사면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브릿지부는 상기 메인돌출부의 높이에 대하여 1/3 ~ 2/3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메인돌출부가 설치된 면에 전체적으로 필름이 접착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한궤도식으로 기동하는 것으로서 수평의 제1이송면을 제공하는 제1컨베이어장치; 무한궤도식으로 기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이송면과 평행을 이루는 제2이송면을 제공하는 제2컨베이어장치; 상기 제2컨베이어장치의 컨베이어벨트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상기 컨베이어벨트 상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성형블럭;을 포함하며;
상기 성형블럭은 종횡으로 연속되게끔 상기 컨베이어벨트 상면에 설치되되; 메인돌출부를 성형하기 위한 메인홀과, 상기 메인홀을 연결하는 배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우레탄 배수판 제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메인홀의 깊이는 상기 배기홀의 깊이보다 깊게 되어 있으며; 상기 배기홀은 상기 메인홀을 중심으로 사방으로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성형블럭이 자력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벨트 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성형블럭의 저면에는 복수 개의 자석체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연속식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는 우레탄 소재의 배수판이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배수판의 생산성을 높임으로써 그의 공급가격을 낮출 수 있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연속식 우레탄보드 제조설비를 이용할 수 있으며, 요철면의 형상이 성형틀에서 성형된 것과 크게 다름없는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배수판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우레탄 배수판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우레탄 배수판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우레탄 배수판의 연속 제조장치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우레탄 배수판의 제작을 위한 성형몰드의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우레탄 배수판의 제작을 위한 성형몰드의 일부 분해 저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우레탄 배수판 제조장치의 성형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우레탄 배수판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우레탄 배수판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우레탄 배수판을 설명한다. 이후 나머지 도면을 이용하여 연속 제조장치와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배수판(1)은 우레탄으로써 발포 성형되는 것이다. 배수판(1)은 판형상의 배수판 본체(3)와, 상기 배수판 본체(3)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메인돌출부(5)와, 메인돌출부(5)를 서로 연결하는 형태로 배수판 본체(3)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브릿지부(7, bridge portion)를 포함한다.
배수판(1)의 두께(T)는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50 ~ 300mm가 될 수 있다. 배수판(1)의 일면에는 메인돌출부(5)가 형성되어 있는데, 배수판(1)은 이 메인돌출부(5)가 있는 하방향으로 향하도록 설치된다. 배수판 본체(3)의 두께(T')는 배수판 두께(T)에 대하여 60 ~ 90%가 된다.
메인돌출부(5)의 높이는 브릿지부(7)의 높이보다 높게 되어 있다. 브릿지부(7)는 메인돌출부(5)의 강도를 높이는 역할도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연속적 생산과정에서 가스의 배기를 위해 마련되는 것이다. 이점은 더 상세하게 후술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배수판(1)의 메인돌출부(5)는 사각 형태로 되어 있다. 메인돌출부(5)의 상면(5a)은 평면으로 되어 있으며 사방 측면(5b)은 경사면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사방 측면(5b)의 경사도(N)는 5 ~ 30°가 될 수 있는데, 이는 컨베이어를 이용한 연속적 생산시스템에서 중요한 사항이다. 이 경사도(N)가 있어야만 배수판(1)과 성형블럭(15) 간의 저촉이 없이 원활하게 생산이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브릿지부(7)는 메인돌출부(5)의 높이에 대하여 1/3 ~ 2/3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메인돌출부(5)가 설치된 면에 전체적으로 필름(9)이 접착되어 있을 수 있다. 필름(9)은 합성수지 재질로 되어 있으며 우레탄과의 접착력이 좋은 소재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메인돌출부(5)와 브릿지부(7)의 모든 모서리 부위는 소정의 곡률(R)을 갖고 있다. 이 곡률(R)은 10 ~ 30mm 일 수 있다. 이것은 연속 제조방식을 이용하여 원활하게 생산하기 위한 조치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배수판 연속 제조장치(이하, '제조장치'라 한다)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조장치는 제1컨베이어장치(11), 제2컨베이어장치(13) 및 제2컨베이어장치(13)에 설치되는 성형블럭(15)을 포함한다.
성형블럭(15)은 3개가 한조가 되도록 고정바(35) 상에 볼트(31)로써 고정된다. 성형블럭의 저면에는 고정바(35)를 끼우기 위한 고정바안착홈(33)이 길이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다. 하나의 고정바(35)에 고정된 3개의 성형블럭(15)은 동시에 제2컨베이어장치(13) 상에서 동일하게 거동한다.
제1컨베이어장치(11)는 무한궤도식으로 기동하는 것으로서 수평의 제1이송면(17)을 제공한다. 제2컨베이어장치(13)는 무한궤도식으로 기동하는 것으로서 제1이송면(17)과 평행을 이루는 제2이송면(19)을 제공한다. 제1,2이송면(17,19) 사이의 공간이 성형공간이 되며 배수판(1)의 두께와 형태를 결정하게 된다.
제2컨베이어장치(13)의 컨베이어벨트(21)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컨베이어벨트(21) 상에 복수 개의 성형블럭(15)이 고정 설치된다. 성형블럭(15)은 종횡으로 연속되게끔 컨베이어벨트(21)의 상면에 설치된다. 성형블럭(15)은 배수판(1)의 메인돌출부(5)를 성형하기 위한 메인홀(23)과, 메인홀(23)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배수판(1)의 브릿지부(7)를 성형하기 위한 배기홀(25)을 포함한다.
메인홀(23)의 깊이는 상기 배기홀(25)의 깊이보다 깊게 되어 있다. 배기홀(25)은 메인홀(23)을 중심으로 사방으로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메인홀(23)은 직사각 형태로 되어 있으며 장변이 이송방향(W)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메인홀(23)의 측벽은 경사면(23a)으로 되어 있다.
성형블럭(15)의 저면에는 복수 개의 자석체(27)가 볼트(31)에 의해 붙박이식으로 고정되어 있다. 성형블럭(15)은 이 자석체(27)의 자력에 의해 컨베이어벨트(21)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성형블럭(15)은 오버헤드 형태로 상부에 설치되는 제2컨베이어장치(13)에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 하부에 설치되는 제1컨베이어장치(11)에 설치될 수도 있다. 다만 전자가 상품성을 높이는데 유리하다. 고정바(35)의 중심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자석체(27')가 볼트로써 고정 설치되어 있다.
자석체(27)와 더불어 암수결합이 가능한 복수 개의 돌기와 홈이 성형블럭(15)와 컨베이어벨트의 접합면 상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돌기와 홈은 성형블럭(15)의 위치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잡을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성형블럭(15)은 컨베이어벨트에 일체형으로 고정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배수판 전용 생산라인이 구축되게 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 29는 액상의 우레탄을 제1,2컨베이어장치(11,13) 사이의 공간으로 분사 충전하기 위한 노즐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작용을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1,2컨베이어장치(11,13)가 화살표(W) 방향으로 기동하며 우레탄액이 그 사이에 분사되는 경우 우레탄액(U)은 발포에 의해 점차적으로 부피가 커지게 되며 이송면(17,19) 사이의 공간을 채우게 되며, 이 발포과정에서 생기게 되는 가스(gas)는 배기홀(25)에 의해 만들어지는 공간을 통해 화살표(K) 방향으로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로써 성형이 완성된 상태에서도 배수판(1)의 요철면, 즉 메인돌출부(5)의 형태가 기포 없이 깔끔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연속적으로 제작되는 우레탄 소재 배수판의 상품성을 높인다.
이하,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배수판(1)의 측면 가장자리가 계단식으로 되어 있다. 계단식 단턱(41,43)에 의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배수판(1)간에 요철식으로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배수판(1) 간의 이음새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배수판 간의 일체감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 계단식 단턱(41,43)은 성형 직후 컷팅에 의해 마련될 수 있다.
위에 도시 및 설명된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지나지 아니한다. 당업자는 통상의 기술적 상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위에 개시된 실시예는 다양한 조합이 가능할 것이며, 가능한 모든 조합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있는 것이 된다.
1 : 우레탄 배수판 3 : 배수판 본체
5 : 메인돌출부 7 : 브릿지부
9 : 필름 11,13 : 제1,2컨베이어장치
15 : 성형블럭 17,19 : 제1,2이송면
21 : 컨베이어벨트 23 : 메인홀
25 : 배기홀 27,27' : 자석체
29 : 노즐 31 : 볼트
33 : 고정바안착홈 35 : 고정바
41,43 : 계단식 단턱

Claims (7)

  1. 무한궤도식으로 기동하는 것으로서 수평의 제1이송면을 제공하는 제1컨베이어장치; 무한궤도식으로 기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이송면과 평행을 이루는 제2이송면을 제공하는 제2컨베이어장치; 상기 제1컨베이어장치 또는 상기 제2컨베이어장치 중 어느 하나의 컨베이어벨트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상기 컨베이어벨트 상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성형블럭;을 포함하며;
    상기 성형블럭은 종횡으로 연속되게끔 상기 컨베이어벨트 상면에 설치되되; 메인돌출부(5)를 성형하기 위한 메인홀(23)과, 상기 메인홀(23)을 연결하는 배기홀(25)을 포함하며;
    상기 배기홀(25)은,
    발포과정에서 생기는 가스(gas)로 하여금 상기 배기홀(25)에 의해 만들어지는 공간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메인홀(23)을 중심으로 사방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홀(23)의 깊이는 상기 배기홀(25)의 깊이보다 깊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탄 배수판의 연속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블럭이 자력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벨트 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성형블럭의 저면에는 복수 개의 자석체가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탄 배수판의 연속 제조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00123631A 2020-09-24 2020-09-24 우레탄 배수판의 연속 제조장치 KR102262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631A KR102262939B1 (ko) 2020-09-24 2020-09-24 우레탄 배수판의 연속 제조장치
KR1020210010313A KR20220040971A (ko) 2020-09-24 2021-01-25 우레탄 배수판, 그의 연속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631A KR102262939B1 (ko) 2020-09-24 2020-09-24 우레탄 배수판의 연속 제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313A Division KR20220040971A (ko) 2020-09-24 2021-01-25 우레탄 배수판, 그의 연속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2939B1 true KR102262939B1 (ko) 2021-06-08

Family

ID=7639931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631A KR102262939B1 (ko) 2020-09-24 2020-09-24 우레탄 배수판의 연속 제조장치
KR1020210010313A KR20220040971A (ko) 2020-09-24 2021-01-25 우레탄 배수판, 그의 연속 제조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313A KR20220040971A (ko) 2020-09-24 2021-01-25 우레탄 배수판, 그의 연속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6293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199A (ko) 1993-07-22 1995-02-16 에스 르 바게레즈 유기 매트릭스 보강용 유리 섬유
KR20010083335A (ko) * 2000-02-10 2001-09-01 김충엽 바닥구조
KR100539333B1 (ko) * 2005-01-14 2006-01-10 주식회사 삼보케미칼 지하 바닥층 시공용 배수판
KR20100093314A (ko) * 2009-02-16 2010-08-25 박공영 합성수지 섬유를 이용하는 식생 매트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시스템
KR20130085862A (ko) * 2012-01-20 2013-07-30 양재상 건물 바닥의 단열방수공법
KR20170014606A (ko) 2015-07-30 2017-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199A (ko) 1993-07-22 1995-02-16 에스 르 바게레즈 유기 매트릭스 보강용 유리 섬유
KR20010083335A (ko) * 2000-02-10 2001-09-01 김충엽 바닥구조
KR100539333B1 (ko) * 2005-01-14 2006-01-10 주식회사 삼보케미칼 지하 바닥층 시공용 배수판
KR20100093314A (ko) * 2009-02-16 2010-08-25 박공영 합성수지 섬유를 이용하는 식생 매트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시스템
KR20130085862A (ko) * 2012-01-20 2013-07-30 양재상 건물 바닥의 단열방수공법
KR20170014606A (ko) 2015-07-30 2017-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971A (ko) 2022-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4502B2 (en) Multiple support wall structure
US11473298B2 (en) Special L-shaped column shear wall module, shear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US11801622B2 (en) Manufactured retaining wall block with improved false joint
US4182089A (en) Interlocking building block
US20170145692A1 (en) Finish-Ready Structural Insulating Panels
KR102262939B1 (ko) 우레탄 배수판의 연속 제조장치
KR101422076B1 (ko) 플랫타이 및 이 플랫타이와 비금속제 거푸집틀을 이용한 거푸집 설치방법
US11396748B2 (en) Special T-shaped column shear wall module, shear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217631063U (zh) 装饰模框以及构造物
US20210008758A1 (en) Mold device for molding a waffle slab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waffle slab having chamfers
EP0390702B1 (en) Mold panel unit and spring-water processing structure using mold panel units
CN113618887A (zh) 一种装配式建筑预制墙板的通用模具
EP3766385A1 (en) Modular pavement
CN218928145U (zh) 一种叠合板加工模具
CN204662681U (zh) 一种新型的组合式建筑保温泡沫模块
CN218838115U (zh) 一种圆弧倒角模具
CN211806823U (zh) 一种预制叠合板通用组合模具
CN211762338U (zh) 一种连接盒
CN213971749U (zh) 用于加工增强型水泥基泡沫保温隔声板的组合式单面模具
CN221053075U (zh) 卫浴地盘
JP3016148U (ja) 排水パネル
JPH069242Y2 (ja) 補強リブ付スラブ用型枠
KR100639158B1 (ko) 모따기용 거푸집 패널
CN209615880U (zh) 一种可周转使用的承插型块材成型简易工具
KR200316337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성형몰드용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