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1958B1 - 백신조성물 - Google Patents

백신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1958B1
KR100341958B1 KR1019960700590A KR19960700590A KR100341958B1 KR 100341958 B1 KR100341958 B1 KR 100341958B1 KR 1019960700590 A KR1019960700590 A KR 1019960700590A KR 19960700590 A KR19960700590 A KR 19960700590A KR 100341958 B1 KR100341958 B1 KR 100341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patitis
composition
virus
hav
m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0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3619A (ko
Inventor
네빌레 챗필드 스티븐
로버츠 마크
Original Assignee
메데바 홀딩스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데바 홀딩스 비브이 filed Critical 메데바 홀딩스 비브이
Publication of KR960703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3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1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19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12Viral antigens
    • A61K39/29Hepatitis viru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00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7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ssRNA viruses positive-sense
    • C12N2770/00011Details
    • C12N2770/32011Picornaviridae
    • C12N2770/32411Hepatovirus, i.e. hepatitis A virus
    • C12N2770/32422New viral proteins or individual genes, new structural or functional aspects of known viral proteins or g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7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ssRNA viruses positive-sense
    • C12N2770/00011Details
    • C12N2770/32011Picornaviridae
    • C12N2770/32411Hepatovirus, i.e. hepatitis A virus
    • C12N2770/32434Use of virus or viral component as vaccine, e.g. live-attenuated or inactivated virus, VLP, viral prote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nc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mmu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점막 표면에 투여되어 간염 A에 대한 혈청 면역글로불린 G 항체 생성을 유도하는 점막 백신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간염 A 바이러스 캡시드, 또는 점막적으로 면역성인 단편 또는 그것의 에피토프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백신 조성물
본 발명은 점막 표면에 전달하기 위한 백신 조성물, 및 포유동물의 점막 표면에 항원을 전달시킴으로써 포유동물에서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도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피코나바이러스(picornavirus) 감염, 특히 A형 간염 감염에 대해 포유동물, 예를 들어 사람에 접종하기 위한 백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A형 간염은 폴리오바이러스(poliovirus)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작은 피코나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으로 인해 유발되는 급성 질환이다. 또한, 감염은 분변/구강 경로에 의해 확산되기 때문에, A형 간염은 공중위생 수준이 낮은 지역의 풍토병이다. 개발도상국을 여행하는 여행자들이 A형 간염에 걸릴 위험성은 장티푸스 및 콜레라에 걸릴 위험성 보다 훨씬 높다(각각 40배 및 800배).
상기 바이러스 자체는 직접적으로 세포병변을 일으키지는 않는다. A형 간염 바이러스(HAV) 감염으로부터 유발되는 간 손상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가 숙주의 세포독성 T 림프구에 의해 파괴됨으로써 일어난다. HAV에는 단 하나의 혈청형이 존재하며, 감염에 의해, A형 간염 예방약의 개발에 있어서 이상적인 특징인 장기간 면역이 초래된다. 방어는 A형 간염 바이러스가 간세포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중화 항체에 의해 매개된다. 정제된 사람의 혈청 γ-글로불린에 의한 수동 면역은 질병에 대한 단기간 방어를 제공하며, 최근까지 이것은 A형 간염을 예방하는 유일한 수단이었다.
최근 수 년간, HAV 백신이 개발되어 왔지만, 개발의 초점은 비활성화 백신 및 약독화된 생백신에 맞추어 졌다. 두 가지 타입의 백신은 모두 조직 배양 세포에서 증식된 HAV로부터 제조된다. 그러나, HAV 복제가 느리고, 대부분의 바이러스가 세포와 결합된 상태로 남기 때문에, 바이러스 수율이 낮아서, 상대적으로 상업적인 매력을 갖지 못했다. 바이러스 수율이 낮은 문제점은 단백질의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재조합 기법을 이용하여 해결될 수 있다. 그러나, 공지된 중화 에피토프가 입체형태에 의존적이기 때문에, HAV 단백질의 정확한 프로세싱 및 폴딩을 보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까지는, 적당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재조합 HAV 항원을 수득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밝혀졌다.
비경구적으로 주사되는 경우 HAV에 대한 방어를 유도시키는 데에 성공적인 것으로 밝혀진 재조합 HAV 항원은 아메리칸 바이오제네틱 사이언스(American Biogenetic Sciences)에 의해 개발된 HAV 캡시드 제제이다. 아메리칸 바이오제네틱 사이언스는 백시니아 및 바큘로바이러스 발현 벡터를 사용하여 진핵 세포에서 중공 HAV 캡시드(empty HAV capsid)를 제조하는 데에 성공했다. 재조합 캡시드는 모노클로날 중화 항체에 의해 인식되고, 비경구적으로 주사되는 경우에 침팬지에서 HAV에 대한 방어를 유도하며, 통상적인 수단에 의해 수득되는 양 보다 대량으로 제조된다. HAV 캡시드는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인용되어 있는 국제 특허 출원 WO-A-9301279호에 기재되어 있다.
많은 백신접종법의 단점은, 백신 조성물을 주사에 의해 자주 투여할 필요가있다는 점이며, 이는 특히 치료과정을 완료하기 위해 후속 또는 부스터 주사가 필요한 경우, 많은 사람들이 치료를 단념하게끔 하는 잠재적인 인자가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한 가지 방법은 백신 조성물을 구강 또는 비강 점막에 투여하는 것이다. 몇가지 다른 항원에 있어서 구강 또는 비내 경로에 의한 면역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일반적으로 비경구 면역 보다 혈청 항체를 유도시키는 데에 덜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예를 들어, 엠. 에이치. 스조그렌(M.H, Sjogren) 등의 문헌[Vaccine, Vol. 10, Suppl. 1, S135-S137, 1992]에는 약독화된 A형 간염 생백신을 경구 경로 또는 근내 경로에 의해 투여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근내 투여는 양호한 혈청 항체 반응을 유도시킨 반면, 경구 투여에 대한 항체 반응은 어떠한 투여량에서도 관찰되지 않았다.
시판되는 점막 백신이 거의 없다는 사실은 이러한 백신을 개발하는데에 문제가 있음을 나타낸다. 다수의 비생(non-living) 가용성 항원, 특히 면역학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항원, 예를 들어 오발부민(OVA) 및 키호을 림펫 헤모시아닌 (KLH)은 불량한 점막 면역원이다. 어느 정도의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항원을 대량 투여할 필요가 있지만, 대량 투여는 항원에 대한 후속적인 비경구적 노출에 대해 개체에서 내성, 즉 경구 내성으로 알려진 질환을 유발시킬 수 있다. 몇몇 미생물 성분, 예를 들어 콜레라 독소(CT) 또는 대장균 열불안정 독소(LT), 또는 이들 독소의 비독성 결합 부분(CT-B 및 LT-B)이 강력한 분비성 및 순환성 항체를 유도시키는 효능있는 점막 면역원으로 밝혀졌으나, 이러한 분자가 양호한 점막 면역원인 이유는 완전히 해명되지 않았다. 진핵 세포에 결합하는 항원의 능력과 이것의 점막 면역원성 사이에 필수적인 상관관계가 없다는 것이 다른 연구자들의 실험에서 밝혀졌지만, 중요할 수 있는 한 가지 특성은 이들 분자가 특정한 표면 수용체에 의해 점막 상피 세포에 결합하는 능력이다. 현재로서는, 분자 또는 세포 수준에서 HAV가 체내에 들어가는 들어가는 방법도, 특이적 수용체가 관련되어 있는가 여부도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이 인식하는 범위에서, 주어진 항원이 양호한 점막 면역원성을 가지는지 여부를 확실히 예측하는 방법이 현재로서 없다.
상기 언급된 재조합 중공 HAV 캡시드가 점막 투여시, 특히 비내 투여시에 혈청 항-HAV 항체를 유도시키는 데에 효율적인 것으로 이제 밝혀졌다. 따라서, HAV 캡시드 제제를 비내 투여하고 후속하여 제 1 및 제 2 부스터 투여한 후, 항-HAV에 대한 혈청 전환이 대다수의 동물에서 관찰되었고, 이는 명반 애쥬번트의 존재하에 항원을 피하 경로로 투여한 경우와 필적하였다.
따라서, 첫 번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환자의 점막 표면에 투여되어 A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한 혈청 면역글로불린 G 항체의 생성을 유도시키는 점막 백신 조성물들 제조하기 위한, A형 간염 바이러스 캡시드 또는 이것의 점막 면역원성 단편 또는 에피토프의 용도를 제공한다.
두 번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점막 표면에 적용하기 위한 백신 조성물로서, A형 간염 바이러스 캡시드 또는 이것의 점막 면역원성 단편 또는 에피토프,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포유동물(예를 들어, 사람) 숙주에서 A 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한 혈청 면역글로불린 G 항체의 생성을 유도시키는 방법으로서, 유효량의 A형 간염 바이러스 캡시드 항원 또는 이것의 점막 면역원성 단편 또는 에피토프를 숙주의 점막 표면에 직접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점막 전달용 조성물은 예를 들어, 구강, 위장관, 및 호흡기(예를 들어, 비강 및 기관지) 점막 중의 하나 이상에 전달시키기 위해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호흡기(예를 들어, 비강 또는 기관지) 점막에 전달시키고자 하는 경우, 조성물은 에어로졸 또는 점비약으로서 투여하기 위한 수용액으로서 제형화되거나, 예를 들어, 흡입시키기 위한 건조 분말로 제형화된다.
점비약으로서 투여되는 조성물은, 이러한 조성물에 통상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어 보존제, 점도 조절제, 삼투성 조절제, 완충제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백신 조성물은, 항원을 위장관내의 점막 표면에 전달시키기 위한 조성물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에는, 예를 들어 백신 제제를 공지된 타입의 보호 매트릭스 또는 코팅내의 캡슐에 넣음으로써, 항원이 위산에 의해 분해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환자에게 투여되는 A형 간염 바이러스 캡시드의 양은, 이것이 면역 반응을 유도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농도에서 무독성인 양으로 선택된다. 예를 들어, 투여되는 캡시드의 농도는 kg/숙주 당 0.1 내지 100mg 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기재된 특정한 구체예를 참조로 하여 보다 상세하게 예시될 것이고, 첨부된 도면에 예시될 것이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할 뿐이며,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제 1도는 비내, 경구 및 피하 경로 각각에 의해 HAV 캡시드를 3회 투여한 후, 개별적 및 평균 혈청 항-HAV 역가를 도시한 도면이다.
재조합 HAV 캡시드의 샘플을 아메리칸 바이오제네틱 사이언스(Reyniers Germ Free Buildimg, P.O.Box 1001 Notre Dame, Indianna 46556, USA)로부터 입수하였다. 샘플은 백시니아-HAV 감염 베로 세포(Vero cell)로부터 제조하였다. 세포를 NP40으로 용해시킨 후, 트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탄으로 추출하였다. 수성상을 농축시킨 후, 바이오겔(Biogel) A-15 칼럼상에서 크로마토포커싱(chromatofocusing)하였다. 중공 캡시드를 함유하는 분획을 풀링시키고, 농축시켰다. 포르말린을 첨가하여, 임의의 잔류 백시니아 바이러스를 비활성화시켰다.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샘플 중의 HAV 캡시드 함량을 엘리사 유닛(ELISA units: EU)으로 표현하였다. EU 값을 스미스클라인 비참(SmithKline Beecham)으로부터 입수한 A형 간염 바이러스 샘플에 대해 표준화시켰다. 입수한 샘플은 1㎕ 당 HAV 캡시드 52 엘리사 유닛(EU)을 함유하였다. 샘플의 단백질 함량은 30mg/㎖이있으며, 이 중에 100ng/㎖가 HAV 항원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전술한 타입의 재조합 HAV 캡시드는 국제 특허 출원 WO-A-9301279 (PCT/US92/05714)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마우스를 상이한 용량의 HAV를 사용하여 경구 및 비내(I/N) 면역시켰다. 소량(1μgm)의 콜레라 독소(CT)를 애쥬번트로서 작용하도록 일부 마우스군에 투여되는 물질에 포함시켰다. CT가 공지된 가장 강력한 점막성 애쥬번트이기 때문에 CT를사용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서, 별도의 마우스 군을 애쥬번트로서 수산화 알루미늄에 흡착된 HAV로 비경구적으로 면역시켰다. 군은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았다:
면역을 하기 표 2에 설명된 방법에 의해 수행하였다:
항-HAV 반응을 하기와 같이 포획 ELISA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공지된 A형 간염에 걸린 개체로부터 얻은 회복기 사람의 플리클로날 혈청을 96 웰 플라스틱 플레이트상에 피복시켰다. 폴리클로날 혈청은 HAV 캡시드를 플레이트에 결합시켜 포획하였다. 그 후, 마우스 혈청을 HAV 캡시드 결합 플레이트와 함께 인큐베이션시키고, HAV에 대한 마우스의 혈청 반응성을 표지된 항-마우스 항체를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검정에 대한 프로토콜은 하기와 같았다:
프로토콜 (다른 명시가 없는 한, 모든 용적은 50μL/웰)
1) 코스타(Costar) EIA 플레이트(Cat no: 3590)를, 4℃에서 밤새 PBS중에 희석된 1:25000 사람 포획 항체로 피복시킨다.
2) 플레이트를 인산염 완충 식염/트윈(0.05%)(PBST)으로 3회 세척한다.
3) PBST 중의 1% BSA(Sigma, Cat no: A7888)(200μl/웰)로 37℃에서 1시간 동안 블록킹시킨다.
4) 플레이트를 PBST로 3회 세척한다.
5) 플레이트를, PBST(0.1%BSA) 증의 HAV(0.1EU/μl)를 함유하는 샘플로 37℃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피복시킨다.
6) 플레이트를 PBST로 3회 세척한다.
7) 플레이트를, PBST로 희석된 마우스 혈청과 37℃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한다.
8) 플레이트를 PBST로 3회 세척한다.
9) PBST 중의 항-마우스 IgG(1:1000)[염소, Sigma, Cat No: B7022]와 37℃에서 1 내지 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한다.
10) 플레이트를 PBST로 3회 세척한다.
11) 플레이트를 PBST 중의 스트렙타비딘-과산화효소(1:1000)(Dako, Cat No: P397)와 37℃에서 1 내지 2시간 동안 인큐에이션한다.
12) 플레이트를 PBST로 3회 세척한다.
13) 기질로서 인산염-시트르산염 완충액(Sigma, Cat no: P8287)중의 OPD를 첨가하고, 37℃에서 30분 이하 동안 인큐베이션한다.
14) 기질 반응(3MH2SO4)을 정지시킨 후, 색의 전개를 판독한다.
사람 혈청 및 HAV 캡시드 샘플은 ABS에 의해 제공되었다.
포획 항체 및 HAV 캡시드 샘플의 최적 조건은 S/N 비를 최소화하도록 선택하였다.
사람 혈청 포획 항체에 대한 마우스 혈청의 반응성으로 인해 백그라운드 노이즈(background noise)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포획 항체를 ABS에 의해권고된 희석비 이상으로 희석시킴으로써 백그라운드의 감소를 달성하였다.
1:1000 내지 1:25000 희석비의 포획 항체를 사용하여 캡시드 포획에 대한 유사한 결과를 수득하였다.
혈청 lgG 항-HAV 반응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평균 역가는 반응하는 마우스로부터만 계산하였다.
상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1회 투여 후, 250EU로 피하 면역된 마우스의 혈청, 및 500EU로 비내 면역된 마우스의 혈청에서 항-HAV 항체를 검출할 수 있었다. 다른 임의의 군에서는 검출가능한 반응이 없었다. 부스터에 의해 피하 투여군 및 비내 500 EU 투여군에서 반응이 강화되었고, 각각 약 10500 및 9500의 역가를 나타내있다. 또한, 250EU+CT를 l/N 투여한 마우스에서 매우 유사한 반응이 나타났으며, 250EU을 2회 l/N 투여한 마우스중 절반의 혈청에서는 낮지만 측정가능한 반응이 검출되었다. 이 시점에서, 경구 면역된 마우스에서는 혈청 반응이 검출되지 않았다. 추가 부스터에 의해, 경구 면역된 마우스 중의 일부가 250EU, 500EU 및 250EU+CT 군에서 혈청전환되었다. 반응은 나중 군에서 최대였다. 3회 투여 후, l/N면역된 마우스 전부가 혈청전환되있고, 반응의 크기는 CT의 부재하에 용량 의존적이었다. 500EU, 250EU+CT로 l/N 면역시킨 경우, 명반에 흡착된 HAV 250EU로 S/C 면역시켜 생성된 역가 보다 약간 작지만 필적할 만한 높은 혈청 역가가 생성되었다.
제 1도는 HAV 캡시트를 3회 투여 후 개별적 및 평균 혈청 항-HAV 역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CT는 l/N 및 경구 투여 항원의 혈청 항-HAV 반응을 크게 증대시켰다. 250EU+CT를 l/N 투여한 마우스에서의 역가는 250EU 단독으로 l/N 면역시켜 유도된 역가 보다 각각의 시점에서 10배가 넘었다. CT의 존재 및 부재하에 250EU로 경구 면역된 마우스에서의 항-HAV 역가에도 유사한 차이점이 있었다. 또한, CT는 혈청전환 마우스의 수를 증가시켰다. 더욱이, 각각의 면역 후 l/N 250EU+CT군에서의 역가는, 명반에 흡착된 250EU을 피하 투여한 마우스에서의 역가와 매우 유사하였다.
하기 표 4는 제 1 및 제 2 부스터 투여 후, 여러 군에서 혈청절환된 마우스의 수를 나타낸다. 혈청전환은 용량 및 경로에 의존적이었다. 250EU로 2회 투여에 의해 피하 면역시킨 경우, 모든 마우스에서 혈청전환이 유도된 반면에, 동일한 용량으로 항원을 비내 투여한 마우스는 절반만이 혈청전환되었고, 항원을 경구 투여한 마우스에서는 전혀 혈청전환이 일어나지 않았다. 제 2 부스터 후에는, 2회 투여 후에 반응을 나타내지 않았던 125EU 용량군의 마우스를 포함하여, l/N 군의 마우스 전부가 혈청전환되었다. 마찬가지로, 경구 면역된 마우스는 CT를 첨가한 경우에도 모든 마우스의 혈청전환이 일어나지는 않았지만, 제 2 부스터 후에는 반응을 개시하였다.
* 반응한 마우스의 수 /시험된 마우스의 수
표 4는 제 1 및 제 2 부스터 투여 후, 여러 군에서 혈청전환된 마우스의 수를 나타낸다. 혈청전환은 용량 및 경로에 의존적이었다. 250EU로 2회 투여에 의해 피하 면역시킨 경우, 모든 마우스에서 혈청전환이 유도된 반면에, 동일한 용량으로 항원을 비내 투여한 마우스는 절반만이 혈청전환되었고, 항원을 경구 투여한 마우스에서는 전혀 혈청전환이 일어나지 않았다. 제 2 부스터 후에는, 2회 투여 후에 반응을 나타내지 않았던 125EU 용량군의 마우스를 포함하여, l/N 군의 마우스 전부가 혈청전환되있다. 마찬가지로, 경구 면역된 마우스는 CT를 첨가한 경우에도 모든 마우스의 혈청전환이 일어나지는 않았지만, 제 2 부스터 후에는 반응을 개시하였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로서 제공되며, 본원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은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Claims (6)

  1. 환자의 점막 표면에 투여되어 A형 간염에 대한 혈청 면역 글로불린 G 항체의 생성을 유도시키는 점막 백신 조성물로서, A형 간염 바이러스 캡시드 항원을 포함하며, A형 간염 바이러스와 백일해 독소 캡시드의 B 서브유닛을 함유하는 비내 조성물을 제외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A형 간염 바이러스 캡시드 항원이 재조합 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점막 백신 조성물이 비강 또는 기관지 점막에 전달되도록 패키징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에어로졸 또는 점비약으로서 투여되는 수용액으로 제형화되거나 흡입용 건조 분말로서 제형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A형 간염 바이러스 캡시드 항원이 구강 또는 위장관 점막에 전달되도록 제형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사람을 제외한 포유동물 숙주에서 A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해 혈청 면역글로불린 G 항체의 생성을 유도시키는 방법으로서, 유효량의 A형 감염 바이러스 캡시드 항원을 숙주의 점막 표면에 직접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며, A형 간염 바이러스와 백일해 독소 캡시드의 B 서브유닛을 함유하는 비내 조성물의 투여를 제외한 방법.
KR1019960700590A 1993-08-12 1994-07-29 백신조성물 KR1003419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39316745A GB9316745D0 (en) 1993-08-12 1993-08-12 Vaccine compositions
GB9316745.0 1993-08-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3619A KR960703619A (ko) 1996-08-31
KR100341958B1 true KR100341958B1 (ko) 2003-03-15

Family

ID=10740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0590A KR100341958B1 (ko) 1993-08-12 1994-07-29 백신조성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6129922A (ko)
EP (1) EP0714307B1 (ko)
JP (1) JP3883203B2 (ko)
KR (1) KR100341958B1 (ko)
AT (1) ATE185073T1 (ko)
AU (1) AU674983B2 (ko)
DE (1) DE69420970T2 (ko)
DK (1) DK0714307T3 (ko)
ES (1) ES2139083T3 (ko)
GB (1) GB9316745D0 (ko)
GR (1) GR3032134T3 (ko)
WO (1) WO19950051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316745D0 (en) * 1993-08-12 1993-09-29 Medeva Holdings Bv Vaccine compositions
US20060165606A1 (en) 1997-09-29 2006-07-27 Nektar Therapeutics Pulmonary delivery particles comprising water insoluble or crystalline active agents
CA2361377C (en) 1999-02-05 2009-02-03 Alk-Abello A/S Novel mucosal delivery system
US7871598B1 (en) 2000-05-10 2011-01-18 Novartis Ag Stable metal ion-lipid powdere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drug delivery and methods of use
US20020051794A1 (en) 2000-08-09 2002-05-02 Alk-Abello A/S Novel parenteral vaccine formulations and uses thereof
AU2002366267B2 (en) * 2001-11-19 2007-05-10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Pharmaceutical compositions in particulate form
PT1458360E (pt) 2001-12-19 2011-07-13 Novartis Ag Derivados de indole como agonistas do recetor s1p1
KR100748842B1 (ko) 2004-09-09 2007-08-13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에이형 간염바이러스에 대한 항체 제조방법 및 그 응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5923A (ja) * 1989-10-20 1991-06-10 Chemo Sero Therapeut Res Inst 百日咳毒素bオリゴマーの構成サブユニットを含有する経鼻接種ワクチン
WO1993001279A1 (en) * 1991-07-03 1993-01-21 American Biogenetic Sciences, Inc. Recombinant hepatitis a virus vaccin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005572T2 (de) * 1989-09-08 1994-04-07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Fusionsproteine und Herstellung davon.
US5549896A (en) * 1991-05-08 1996-08-27 Schweiz. Serum- & Impfinstitut Bern Hepatitis a virus strain, method for the isolation of new hepatitis a virus strains and hepatitis a vaccines
DK17093D0 (da) * 1993-02-15 1993-02-15 Lyfjathroun H F Farmaceutisk praeparat til topisk administrering af antigener og/eller vacciner til pattedyr via slimhinder
GB9316745D0 (en) * 1993-08-12 1993-09-29 Medeva Holdings Bv Vaccine compositions
KR100198515B1 (ko) 1994-02-03 1999-06-15 토비 에취. 쿠스머 주사이미지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x선 단층촬영시스템과 방법
US5766906A (en) * 1994-07-11 1998-06-16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Hepatitis A virus deletion mutants and vaccine formulations contain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5923A (ja) * 1989-10-20 1991-06-10 Chemo Sero Therapeut Res Inst 百日咳毒素bオリゴマーの構成サブユニットを含有する経鼻接種ワクチン
WO1993001279A1 (en) * 1991-07-03 1993-01-21 American Biogenetic Sciences, Inc. Recombinant hepatitis a virus vacc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139083T3 (es) 2000-02-01
AU674983B2 (en) 1997-01-16
US6699480B2 (en) 2004-03-02
EP0714307B1 (en) 1999-09-29
ATE185073T1 (de) 1999-10-15
US6129922A (en) 2000-10-10
WO1995005194A1 (en) 1995-02-23
JPH09501437A (ja) 1997-02-10
GB9316745D0 (en) 1993-09-29
DE69420970D1 (de) 1999-11-04
DE69420970T2 (de) 2000-03-30
DK0714307T3 (da) 2000-04-10
KR960703619A (ko) 1996-08-31
US20030007979A1 (en) 2003-01-09
GR3032134T3 (en) 2000-04-27
AU7235694A (en) 1995-03-14
JP3883203B2 (ja) 2007-02-21
EP0714307A1 (en) 1996-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amura et al. Protection against influenza virus infection by vaccine inoculated intranasally with cholera toxin B subunit
Liang et al. Oral administration of cholera toxin-Sendai virus conjugate potentiates gut and respiratory immunity against Sendai virus.
US4474757A (en) Synthetic vaccine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McMichael et 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wo proteins from Moraxella catarrhalis that bear a common epitope
PERKINS et al. Evidence for protective effect of an inactivated rhinovirus vaccine administered by the nasal route
US8182821B2 (en) Flu vaccine admixture of mannan and flu antigen
WO1988008718A1 (en) Intranasal immunization against viral infection using viral glycoprotein subunit vaccine
JPH03502687A (ja) レスピラトリイ・シンシチアル・ウイルス:ワクチンおよび診断法
JPH11507808A (ja) 核酸rsウイルスワクチン
KR20010032425A (ko) Ltb 보강제를 갖는 백신
Lee et al. Protective immunity conferred by the C-terminal fragment of recombinant Pasteurella multocida toxin
KR100341958B1 (ko) 백신조성물
Tamura et al. Protection against influenza virus infection by a two-dose regimen of nasal vaccination using vaccines combined with cholera toxin B subunit
JP5837500B2 (ja) ライノウイルスの感染の治療および予防のための薬学的組成物
CA2719041C (en) A method for identifying polypeptides which comprise a cross-reactive antigenic determinant
Kasel et al. Human influenza: aspects of the immune response to vaccination
Nargi et al. Protection of swine from foot-and-mouth disease with one dose of an all-D retro peptide
WO2018066948A2 (ko) 다수의 에피토프로 구성된 재조합 항원 단백질 및 이의 제조방법
CA2168885C (en) Vaccine compositions
JP4053587B2 (ja) 不活性化レスピラトリーシンシシャルウイルスワクチン
EP1221970B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timulating an immune response against infectious agents
JP2001506578A (ja) 複合ペプチド、それを含む免疫製剤および免疫疾患を処置するためのそれらの使用
JPH0211524A (ja) オーエスキー病ワクチンの製造方法及び該ワクチン接種豚と自然感染豚との識別方法
Newcomb et al. Nasal immunization of asthmatic children with killed influenza virus
WO1993011795A1 (en) Anti-idiotypic vaccine for protection against bovine respiratory syncytial vir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