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1311B1 - 다분할 영상감시 녹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분할 영상감시 녹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1311B1
KR100341311B1 KR1019990010888A KR19990010888A KR100341311B1 KR 100341311 B1 KR100341311 B1 KR 100341311B1 KR 1019990010888 A KR1019990010888 A KR 1019990010888A KR 19990010888 A KR19990010888 A KR 19990010888A KR 100341311 B1 KR100341311 B1 KR 100341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plexer
video
screen
signal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0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1673A (ko
Inventor
홍문헌
정충식
Original Assignee
곽정소
주식회사 케이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정소, 주식회사 케이이씨 filed Critical 곽정소
Priority to KR1019990010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1311B1/ko
Publication of KR20000061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1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1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13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채널의 화면이 변화된 경우 압축 및 편집 과정없이 녹화할 수 있는 다분할 영상감시 녹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분할 영상감시 녹화 시스템은 서로 다른 감시대상을 촬상하여 영상신호를 발생하는 다수개의 카메라와, 다수개의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다수개의 영상신호를 압축하고 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편집하기 위한 다분할 영상 편집수단과, 다분할 영상 편집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다분할 영상신호로부터 화면변화 여부를 검출하여 제1 및 제2 제어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화면변화검출수단과, 제1 제어신호에 따라 다수개의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기 위한 제1 멀티플렉서와, 제2 제어신호에 따라 다분할 영상 편집수단과 상기 멀티플렉서의 출력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기 위한 제2 멀티플렉서와, 제2 멀티플렉서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과, 제2 멀티플렉서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녹화하기 위한 녹화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면변화가 있는 채널의 화면은 압축 및 편집 과정없이 그대로 모니터에 표시하고 녹화함으로써 비정상적인 상황을 신호손실없이 녹화할 수 있으므로 증거보존 능력이 우수하게 된다.

Description

다분할 영상감시 녹화 시스템{Multiple Division Video Monitoring Recording System}
본 발명의 영상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화면을 다분할하여 다수개의 영상을 감시하는 경우 화면변화가 있는 채널의 화면을 신호손실 없이 그대로 녹화할 수 있는 다분할 영상감시 녹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상현상의 발생여부 등을 감시하기 위한 감시시스템으로서 카메라와 모니터를 이용한 영상감시 시스템이 대표적이다. 영상감시 시스템은 카메라에 의해 피사체를 포착하고 모니터를 통해 포착된 화면을 표시하는 구조로서, 감시자가 모니터에 표시된 화면을 통해 이상유무를 판단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하게 된다. 최근에는 각각 다른 카메라로부터 포착된 화면, 즉 다수개 채널의 화면을 모니터의 화면을 다분할하여 한 화면에 표시하는 영상감시시스템이 등장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4분할 영상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4분할 영상감시 시스템은 4개의 카메라로 구성되는 촬상부(1)와, 촬상부(1)의 각 카메라에 공통접속된 4분할기(2)와, 4분할기(2)에 병렬로 접속된 모니터(3) 및 녹화기(4)를 구비한다.
도 1의 4분할 영상감시 시스템에서 촬상부(1)에 구성되는 4개의 카메라는 각기 다른 감시대상을 촬상하여 영상신호를 4분할기(2)로 출력한다. 4분할기(2)는 촬상부(1)의 각각의 카메라에서 들어오는 영상신호를 압축하여 하나의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편집하고 편집된 4분할 영상신호를 모니터(3)와 녹화기(4)로 출력한다. 모니터(3)는 4분할기(2)로부터 입력되는 4분할 영상신호를 한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녹화기(4)는 4분할기(3)로부터 입력되는 4분할 영상신호를 그대로 녹화하게 된다.
그런데, 전술한 4분할 영상감시 시스템에서 4분할기(2)에서 각각의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압축하여 하나의 편집된 화면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화면을 인위적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많은 신호가 유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4분할기(2)로부터 출력되는 4분할 영상신호를 녹화기(4)에서 그대로 녹화한 후 재생하여 볼 경우 유실된 신호에 의해 화질의 열화가 발생하게 됨으로써 해상도가 떨어져 촬영된 피사체를 식별하기가 곤란하고 증거의 자료로 활용하기 곤란한 불합리한 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면변화가 있는 채널의 화면은 압축 및 편집 과정없이 그대로 화면에 표시하고 녹화함으로써 비정상적인 상황을 신호손실 없이 그대로 녹화할 수 있는 다분할 영상감시 녹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다분할 영상감시 녹화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다분할 영상감시 녹화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11 : 촬상부 2, 12 : 4분할기
3, 16 : 모니터 4, 17 : 녹화기
13, 14 : 멀티플렉서 15 : 화면변화검출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분할 영상감시 녹화 시스템은 서로 다른 감시대상을 촬상하여 영상신호를 발생하는 다수개의 카메라와, 다수개의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다수개의 영상신호를 압축하고 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편집하기 위한 다분할 영상 편집수단과, 다분할 영상 편집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다분할 영상신호로부터 화면변화 여부를 검출하여 제1 및 제2 제어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화면변화검출수단과, 제1 제어신호에 따라 다수개의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기 위한 제1 멀티플렉서와, 제2 제어신호에 따라 다분할 영상 편집수단과 상기 멀티플렉서의 출력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기 위한 제2 멀티플렉서와, 제2 멀티플렉서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과, 제2 멀티플렉서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녹화하기 위한 녹화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4분할 영상감시 녹화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의 4분할 영상감시 녹화 시스템은 4개의 감시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압축 및 편집하여 하나의 화면을 4개로 분할하여 표시하게 된다. 이어서, 비정상적인 신호로 바뀔 경우 이를 검출하여 변화된 신호가 입력되는 카메라의 영상신호는 압축 및 편집 과정없이 그대로 화면에 표시함과 아울러 그대로 녹화하여 신호의 유실에 의한 화질열화를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다시 정상적인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자동으로 4분할 영상신호를 표시하면서 그 4분할 영상신호를 녹화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도 2의 4분할 영상감시 녹화 시스템은 4개의 감시 카메라로 구성되는 촬상부(11)와, 촬상부(11)의 각 카메라에 공통접속된 4분할기(12)와, 촬상부(11)에 접속되어 제1 제어신호에 따라 제1 내지 제4 카메라의 영상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기 위한 제1 멀티플렉서(13)와, 제2 제어신호에 따라 4분할기(12) 및 제1 멀티플렉서(13)의 출력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기 위한 제2 멀티플렉서(14)와, 4분할기(12)의 영상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제1 및 제2 제어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화면변화검출기(15)와, 제2 멀티플렉서(14)에 병렬 접속된 모니터(16) 및 녹화기(17)를 구비한다.
도 2의 다분할 영상감시 녹화 시스템에서 촬상부(11)의 제1 내지 제4 카메라는 각기 다른 피사체를 촬상하여 출력한다. 4분할기(12)는 촬상부(11)의 제1 내지 제4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압축하여 하나의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편집하여 출력한다. 제1 멀티플렉서(13)는 화면변화검출기(15)로부터 입력되는 제1 제어신호에 따라 촬상부(11)의 제1 내지 제4 카메라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게 된다. 제2 멀티플렉서(14)는 화면변화검출기(15)로부터 입력되는 제2 제어신호에 따라 4분할기(12) 및 제1 멀티플렉서(13)의 출력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게 된다. 화면변화검출기(15)는 4분할기(12)로부터 입력되는 4분할 영상신호를 입력하여 영상신호의 변화여부를 검출하게 된다. 여기서, 영상신호의 변화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화면변화검출기(15)의 마이컴에서 제2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제2 멀티플렉서(14)를 통해 4분할기(12)의 출력단이 모니터(16) 및 녹화기(17)에 접속되도록 한다. 이 경우, 모니터(16)는 제2 멀티플렉서(14)를 경유하여 4분할기(12)로부터 입력되는 4분할 영상신호를 표시하고, 녹화기(16)는 역시 제2 멀티플렉서(14)를 경유하여 4분할기(12)로부터 입력되는 4분할 영상신호를 녹화하게 된다. 반면에, 영상신호의 변화가 검출되는 경우 화면변화검출기(15)는 영상신호의 변화가 검출되는 카메라를 판별하여 제1 제어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제1 멀티플렉서(13)를 통해 영상신호의 변화가 검출되는 카메라의 출력단이 제2 멀티플렉서(14)에 접속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화면변화검출기(15)는 제2 제어신호를발생하여 제2 멀티플렉서(14)를 통해 제1 멀티플렉서(13)의 출력단이 모니터(16) 및 녹화기(17)에 접속되도록 한다. 이 경우, 모니터(16)는 변화가 검출되는 카메라의 영상신호를 제1 멀티플렉서(13) 및 제2 멀티플렉서(14)를 경유하여 신호의 압축 및 편집없이 그대로 입력하여 전체의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아울러, 녹화기(17)도 변화가 검출되는 카메라의 영상신호를 제1 멀티플렉서(13) 및 제2 멀티플렉서(14)를 경유하여 그대로 입력하여 녹화하게 된다. 이에 따라,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하는 채널의 화면을 압축 및 편집 과정없이 그대로 녹화함으로써 신호손실에 의한 화질열화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다시 정상적인 신호가 들어올 경우 화면변화검출기(15)는 제2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제2 멀티플렉서(14)를 통해 4분할기(12)의 출력단이 모니터(16) 및 녹화기(17)에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4분할된 영상신호를 표시하면서 녹화하게 된다.
여기서, 화면변화검출기(15)에서 화면변화를 검출하는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첫번째로, 화면변화검출기(15)는 정상적인 화면의 데이터를 산술 평균에 의한 평균값을 기억하고 있다가 다시 들어온 데이터의 산술 평균에 의한 평균값과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 경우 화면변화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두번째로, 화면변화검출기(15)는 정상적인 화면의 데이터 벡터값을 계산하여 그 값을 기억하고 있다가 움직임이 있을 경우 그 벡터값의 변화에 의해 화면변화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세번째로, 화면변화검출기(15)는 사물의 경계면 부분만 검출하여 기억하고 있다가 경계면 부분이 변화될 때 화면변화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외에도 다른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해 화면변화검출기(15)는 화면변화 여부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분할 영상감시 녹화 시스템에 의하면 다수개의 영상을 한 화면에 표시하다가 화면변화가 있는 경우를 검출하고 화면변화가 있는 채널의 화면은 압축 및 편집 과정없이 그대로 모니터에 표시하고 녹화함으로써 비정상적인 상황을 신호손실없이 그대로 녹화함으로써 증거보존 능력이 우수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2)

  1. 서로 다른 감시대상을 촬상하여 영상신호를 발생하는 다수의 카메라와,
    상기 다수의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다수의 영상신호가 한 화면 내에 분할 표시되도록 상기 다수의 영상신호를 압축 및 편집하는 다분할 영상 편집수단과,
    상기 다분할 영상 편집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다분할 영상신호로부터 화면변화 여부를 검출하여 제1 및 제2 제어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화면변화검출수단과,
    상기 제1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다수의 영상신호 중 화면변화가 발생한 영상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기 위한 제1 멀티플렉서와,
    상기 제2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다분할 영상 편집수단과 상기 제1 멀티플렉서의 출력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제2 멀티플렉서와,
    상기 제2 멀티플렉서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과,
    상기 제2 멀티플렉서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녹화하기 위한 녹화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분할 영상 감시 녹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변화검출수단은,
    상기 다분할 영상 편집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다분할 영상신호 중 화면변화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화면변화가 검출되는 카메라를 판별하고 그 카메라의 출력단이 상기 제1 멀티플렉서에 접속되도록 상기 제1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1 멀티플렉서의 출력단이 상기 제2 멀티플렉서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 및 녹화수단에 접속되도록 상기 제2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분할 영상 감시 녹화 시스템.
KR1019990010888A 1999-03-30 1999-03-30 다분할 영상감시 녹화 시스템 KR100341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0888A KR100341311B1 (ko) 1999-03-30 1999-03-30 다분할 영상감시 녹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0888A KR100341311B1 (ko) 1999-03-30 1999-03-30 다분할 영상감시 녹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1673A KR20000061673A (ko) 2000-10-25
KR100341311B1 true KR100341311B1 (ko) 2002-06-21

Family

ID=19578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0888A KR100341311B1 (ko) 1999-03-30 1999-03-30 다분할 영상감시 녹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13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237B1 (ko) * 2003-03-06 2010-02-0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이벤트 발생과 연동하여 모니터링 및 레코딩 제어가가능한 감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9698A (ko) * 1996-09-02 1998-06-25 김광호 감시 화면 분할 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73567A (ko) * 1997-03-17 1998-11-05 윤종용 폐회로 텔레비젼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9698A (ko) * 1996-09-02 1998-06-25 김광호 감시 화면 분할 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73567A (ko) * 1997-03-17 1998-11-05 윤종용 폐회로 텔레비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1673A (ko) 2000-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0616B1 (ko) 감시 화면 분할 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101218360B1 (ko) 감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0701595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utput of a surveillance image
MXPA03003268A (es) Metodo de busqueda de video digital grabado para areas de actividad.
KR100940237B1 (ko) 이벤트 발생과 연동하여 모니터링 및 레코딩 제어가가능한 감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7742072B2 (en) Monitoring image recording apparatus
JPH11252534A (ja) カメラシステム
KR100341311B1 (ko) 다분할 영상감시 녹화 시스템
KR100393408B1 (ko) 다분할 영상 감시 녹화 시스템
KR20060086505A (ko) 움직임 감지를 이용한 디지털 보안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060086506A (ko) 영상정보 저장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0472546B1 (ko) 보안용 녹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H07111630A (ja) 動画像編集装置及びカット統合方法
JP4277377B2 (ja) 映像切替装置
JP3654509B2 (ja) 映像切替装置
KR0143022B1 (ko) 테이프 자동 검색장치
JP3913515B2 (ja) 画像再生装置
JP2000050253A (ja) フレームスイッチャー装置
KR19980073933A (ko) 폐회로 텔레비젼 시스템의 움직임 검출 방법
JP3103160B2 (ja) 画像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KR100504363B1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JPH09284724A (ja) 監視装置
JP2002034031A (ja) 監視撮影装置
JP3642094B2 (ja) 撮像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H04281692A (ja) 画像の乱れ検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