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0814B1 - 마이너스편위추월치형의휨맞물림식기어장치 - Google Patents

마이너스편위추월치형의휨맞물림식기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0814B1
KR100340814B1 KR1019960704424A KR19960704424A KR100340814B1 KR 100340814 B1 KR100340814 B1 KR 100340814B1 KR 1019960704424 A KR1019960704424 A KR 1019960704424A KR 19960704424 A KR19960704424 A KR 19960704424A KR 100340814 B1 KR100340814 B1 KR 100340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tooth
gears
teeth
conv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4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1321A (ko
Inventor
쇼이찌 이시까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하모닉 드라이브 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하모닉 드라이브 시스템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하모닉 드라이브 시스템즈
Publication of KR970701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1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0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08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08Profiling
    • F16H55/0833Flexible toothed member, e.g. harmonic dr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9/00Other gearings
    • F16H2049/006Wave generators producing a non-elliptical shape of flexsplines, i.e. with a qualified different shape than elliptic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휨 맞물림식 기어 장치(1)에 있어서, 그 가요성 외접기어(3)의 잇줄의 소정 위치에 설정한 기준축의 직각 단면의 반경방향의 휨량(W)을 정규의 휨량(W0)보다 작은 마이너스 편위의 휨량으로 한다. 강성 내치기어(2)와 가요성 외접기어(3)를 모두 평기어로 하고, 가요성 외접기어(3)의 기어수를 강성의 내치기어(2)의 기어수보다 2n개(n은 양의 정수) 적게 한다. 상기 양 기어(2, 3)중 한 쪽 기어의 작용치형을 볼록 곡선의 치형으로 하고, 그 형상을, 상기 기어의 톱니가 다른 쪽 기어에 대하여 잇줄 기준축의 직각 단면상에서 그리는, 래크 근사에 의한 이동 궤적(L1)의 꼭대기부의, 다른 쪽 기어에 대하여 볼록하게 속하는 부분(L1(O, A))을, 상기 이동궤적의 정점을 원점으로하여 확대비(λ)로 상사 변환한 볼록 곡선(L2(O, B)) 혹은 그의 근사곡선으로 한다. 다른 쪽 기어의 작용치형을 오목 곡선으로 하고, 그 형상을, 이동 궤적에 있어서의 상기한 바와 동일한 부분을 동일하게 상기 이동궤적의 정점을 원점으로 하여 확대비(λ+1)로 상사 변환한 오목 곡선(L3(O, C))으로 한다. 양 기어의 맞물림은 기준축의 직각단면에서 연속 접촉할 수 있는 추월형 맞물림으로 되어, 치면간의 윤활유막의 유지력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마이너스 편위 추월 치형의 휨 맞물림식 기어 장치{FLEXIBLE MESHING TYPE GEAR HAVING A NEGATIVE DEFLECTION OVER-RUNNING TOOTH PROFILE}
대표적인 휨 맞물림식 기어장치는, 원형의 강성 내치기어와, 상기 내치기어의 내측에서 상기 내치기어와 예를 들어, 2곳에서 맞물리도록 타원형으로 휘어지며, 내치기어보다 2n개(n은 양의 정수)만큼 적은 기어수를 가지는 가요성 외접기어와, 상기 외접기어의 내측에 끼워져 상기 외접기어를 타원형으로 휘어지게 하는 웨이브 제너레이터로 구성된다.
양 기어의 기본적인 치형은 직선이나(미국 특허 제 2,906,143호 참조), 인벌류트(involute) 치형도 고안되었다(특허 공개 공보 1970-411171호). 또한, 상기 기어장치의 부하 능력을 높이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양 기어의 치면을, 내치기어에 대한 외접기어의 톱니의 래크 근사에 따라 이동 궤적 상의 맞물림에 한계가 있다는 사실로부터, 상기 궤적의 필요한 범위를 축소비 1/2로 상사 변환하여 얻어지는 곡선으로 하는 방식을 고안하였다(특허 공개 공보 1988-115943호). 이는 양 기어가치면의 치형 사이에 연속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도록 한 방식이다.
여기서, 휨 맞물림식 기어 장치로서는, 환상의 가요성 외접기어가 내장된 형식의 것과, 컵형상의 가요성 외부기어가 내장된 형식의 것이 알려져 있다. 후자 형식의 장치에서는, 타원형의 정점부에서 간섭을 피하도록 볼록곡선으로 형성하던가, 혹은 이끝을 단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치형은, 컵형상의 가요성 외접기어를 구비한 휨 맞물림식 기어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잇줄(tooth trace)을 따라 연속 접촉하는 맞물림을 실현하기 위하여, 잇줄 기준축의 직각 단면에 대하여, 컵형상의 가요성 외접기어의 개구부 및 다이어프램측 내단부에 걸쳐, 간섭을 피할 필요도에 따라서 볼록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기어는, 가요성 외접기어를 3엽형상으로 휘게 하고 강성 내치기어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3곳에서 맞물리도록 구성한 휨 맞물림식 기어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요성 외접기어의 잇수는 강성 내치기어의 잇수보다 3n개(n은 양의 정수)만큼 적게 되도록 설정하면 좋다.
본 발명은 휨 맞물림식 기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휨 맞물림식 기어 장치에 사용되는 강성 내치기어 및 가요성 외접기어의 톱니 형상에 관한 것이다.
제 1 도는 컵(cup)형상의 가요성 외접기어를 구비한 휨 맞물림식 기어 장치의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제 3 도는 코닝(coning)에 의한 컵형상의 가요성 외접기어가 휘어져 있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로써, (a)는 그 변형 전의 축을 포함한 단면을, (b)는 웨이브제너레이터의 장축을 포함한 단면을, (c)는 단축을 포함한 단면을 각각 도시한다.
제 4 도는 가요성 외접기어와 강성 내치기어 중 어느 한 기어에 대하여, 다른 기어의 톱니가, 마이너스 편위인 경우에 기준축의 직각 단면상의 래크 근사에 따라 이동한 이동 궤적을 도시한 도면.
제 5 도는 본 발명의 치형 유도 수법을 도시한 설명도.
제 6 도는 한쪽 기어의 오목 곡선인 치말부가 볼록 형상의 포락선으로 치환되는 과정을 도시한 설명도.
제 7 도는 본 발명의 기준 톱니의 직각 단면에 있어서의 치형의 맞물림을, 한쪽 기어의 톱니 홈 하나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시간의 경과를 따라 그린 설명도.
제 8 도는 본 발명의 기준 톱니의 직각 단면에 있어서의 치형의 맞물림을, 가요성 외접기어의 주요 부분의 치형을 볼록한 치형으로 하고, 강성 내치기어의 주요 부분의 치형을 오목한 치형으로 한 경우에 관하여 강성 내치기어의 기어수 전체에 걸쳐 공간적으로 그린 설명도.
제 9 도는 제 8 도에 있어서, 양 기어의 주요 부분의 치형의 요철을 역으로 한 경우에 관하여, 치형의 맞물림을 공간적으로 그린 설명도.
제 10 도는 본 발명의 기준 톱니의 직각 단면 이외의 단면에 있어서의 치형 맞물림의 간섭의 일례를 설명한 도면으로써, (a)는 기준 톱니의 직각 단면으로부터 개구부측의 일단면도를, (b)는 기준 톱니의 직각 단면으로부터 다이어프램측의 일단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제 11 도는 가요성 외접기어의 톱니를 볼록하게 한 것을 도시한 설명도.
제 12 도는 본 발명의 기준 톱니의 직각 단면 이외에 볼록하게 한 단면에 있어서의 치형의 맞물림의 일례를 도시한 설명도로써, (a)는 기준 톱니의 직각 단면으로부터 개구부측의 단면도를, (b)는 기준 톱니의 직각 단면으로부터 다이어프램측의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제 13 도는 컵형상의 가요성 외접기어의 치형에 수정을 가한 경우의 볼록하지 않은 각 단면에 있어서의 맞물림을 도시한 설명도로써, (a)는 개구부의 단면, (b)는 기준 단면, (c)는 내단부의 단면을 각각 도시한다.
제 14 도는 기어수 차이가 3장인 경우에 관하여, 본 발명의 기준 톱니의 직각 단면에 있어서의 치형의 맞물림을, 전 톱니 수에 걸쳐 공간적으로 그린 설명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1 도 및 제 2 도는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공지된 휨 맞물림식 기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상기 휨 맞물림식 기어 장치(1)는, 원통형상의 강성 내치기어(2)와, 상기 내치기어의 내측에 배치된 컵형상의 가요성 외접기어(3)와, 상기 외접기어의 내측에 장착된 타원형의 웨이브 제너레이터(4)로 구성되어 있다. 컵형상의 가요성 외접기어(3)는, 타원형 웨이브 제너레이터(4)에 의해 타원형상으로 휘어져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서는, 웨이브 제너레이터(4)의 타원의 장축 및 단축 방향을, 각각 부호 4a, 4b로 도시한다.
제 3 도는 컵형상의 가요성 외접기어(3)의 개구부를 타원형으로 휘게 함으로써, 이른바 코닝에 의해 가요성 외접기어의 휘어져 있는 상황을 축을 포함한 단면으로 도시한 것이다. 제 3 도(a)는 변형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제 3 도(b)는 웨이브 제너레이터(4)의 장축(4a)을 포함한 단면도, 제 3 도(c)는 웨이브 제너레이터(4)의 단축(4b)을 포함한 단면을 각각 도시한다. 상기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컵형상의 가요성 외접기어(3)는 코닝에 의해 그 개구부측 단면(3a)에 있어서 휨량이 최대이며, 그 다이어프램(3b)측의 내단부측 단면(3c)을 향하여 휨량이 점차 감소하고 있다.
제 4 도는 강성 내치기어와 가요성 외접기어 중 어느 한 기어(이하, 제 1기어라 부른다)의 기준 톱니의 직각 단면(치형 설정에 사용되는 축의 직각 단면으로, 예를 들어 제 3 도(a)의 선Ⅳ-Ⅳ를 따라 도시한 잇줄 중앙의 단면으로 한다)에 있어서의, 상기 제 1기어(100) 톱니의 다른 쪽 기어(이하, 제 2기어(200)라 부름)에 대한 이동 궤적이다. 여기에 도시한 이동 궤적(L1)은, 반경 방향의 휨량(가요성 외접기어의 피치원이 타원형 또는 3엽형상으로 변형되었을 때의 최대 반경과 피치원 반경의 차)이 정규의 값(W0(가요성 외접기어의 피치원 반경을 강성 내치기어를 고정한 경우의 감속비로 나눈 값))보다 작은, 이른바 마이너스 편위의 경우, 즉, 기준 휨 계수를 κ(κ<1)로 하고, 반경 방향의 휨량이 κW0으로 표시되는 경우이다. 또한, 동도에 도시한 이동 궤적(L1)은, 가요성 외접기어를 타원형으로 휘게 한 경우의 것으로서, 화살표(101)는, 제 1기어(100)의 톱니의 이동 방향을 도시한다. 한편, 휨 맞물림식 기어 장치는, 톱니 수가 많고 맞물림을 근사적으로 기어수가 무한대로 된 래크로 간주할 수 있으므로, 본 도면을 비롯하여 이하의 치형 유도에 관하여는 래크 근사로서 취급한다.
제 5 도는 본 발명의 치형 유도 수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O점은 제 1기어 톱니의 이동 궤적(L1)의 정점(제 2기어 톱니 홈에 가장 깊이 들어간 부분)이며, V점은 상기 궤적(L1)이 제 2기어에 대하여 볼록한 부분에서 오목한 부분으로 바뀌는 변곡점이다. 상기 이동 궤적(L1)의 OV영역에 A점을 설정한다. O점을 정점(상사의 중심)으로 하며, 궤적(L1)의 OA간의 곡선(L1(O, A))을 확대비λ로 상사 변환하고, 상사 곡선(L2(O, B))를 구한다. 상기 곡선을 제 1기어의 작용 치형으로서 채용한다. 더욱이,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곡선에 미끈하게 필릿 곡선을 접속한다. 따라서, 제 1기어의 작용 치형은 볼록한 치형이 된다.
다음으로, 상기 곡선(L1(O, A))을 마찬가지로 O점을 원점(상사의 중심)으로 하고, 확대비(λ+1)로 상사 변환하여, 상사곡선(L3(O, C))을 구한다. 상기 곡선을 제 2기어의 기준치형으로서 채용한다. 따라서, 이것은 오목한 치형이 된다.
여기서, λ치는, C점의 O점으로부터의 톱니높이 방향(도면의 수직방향)의 거리가, 궤적(L1)의 톱니높이 방향의 진폭(OM)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에 근사한 값이 되도록 취한다. 즉, C점을 상기한 바와 같이 취함으로써, λ치는 먼저 설정한 A점에 대하여,
λ≒( OC / OA ) - 1
의 관계로부터 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치형을 설정한 제 1 및 제 2 기어의 치형이 바르게 맞물리는 것은 이하와 같이 표시된다.
제 5 도에 있어서, 제 2기어의 오목한 치형(L3(O, C))상의 임의의 점을 P로하여, 직선OP를 긋고, OP가 제 1기어의 볼록한 치형(L2(O, B)) 및 이동 궤적(L1(O, A))과 교차하는 점을 각각 Q, R로 한다. 이 때, 치형 설정의 경위로부터 다음의 관계가 성립한다.
OP = ( λ+ 1 ) ×OR
OQ = λ×OR
따라서
QP = OP - OQ = OR
또는, 상사의 성질로부터, P, Q, R의 3점에 있어서의 각각의 곡선으로의 접선은 서로 평행하다.
상기 두 사실로부터, 볼록한 치형(L2(O, B))의 Q점이 P점에 위치하였을 때, 볼록한 치형(L2(O, B))이 P점에서 오목한 치형(L3(O, C))에 접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즉, 볼록한 치형(L2(O, B))과 오목한 치형(L3(O, C))과의 연속적인 맞물림이 보장된다. 동시에, 그 맞물림은, B점이 C점과 접하는 위치(이 때, 제 1기어의 치형의 O점은 A점의 위치에 있다)에서 시작하여, O점에 있어서의 맞물림으로 끝나므로, 이른바 추월형 맞물림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제 2기어의 이끝 부분은, 맞물림이 이동 궤적의 A점에 달하기 이전에, 제 1기어의 치형에 의한 창성작용에 따라 볼록한 포락곡선으로 치환된다. 제 6 도는 이러한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제 6 도에 있어서, DE의 부분이 그것이다. 상기한 부분의 맞물림은 엇갈림형으로 된다. 또한,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컵형상의 가요성 외접기어가 구비된 형식의 휨 맞물림식 기어 장치에서는, 제 1기어 축의 직각 단면의 위치에 따라 포락곡선의 형상은 변화하며, 제 2기어의 이끝으로 끼워 맞춰지는 것은 내단부(제 3 도(a)의 부호 3c로 도시한 위치)에서 최대가 된다.
제 7 도는, 상기한 본 발명의 기준축 직각 단면에 있어서의 맞물림을 제 2기어의 한 톱니 홈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시간의 경과를 따라 그린 것이다.
또한, 제 8 도에는 제 1기어(100)를 가요성 외접기어(3)로하고, 제 2기어(200)를 강성 내치기어(2)로하여, 전 기어수에 걸쳐서 공간적으로 그린 것을 도시한다. 이에 대하여, 제 9 도에는 제 1기어(100)를 강성 내치기어(2)로 하고, 제 2기어(200)를 가요성 외접기어(3)로하여 그린 것을 도시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컵형상의 가요성 외접기어가 구비된 장치에서는 그 축의 직각 단면의 위치에 따라 제 1기어(100)의 이끝 부분이 제 2기어(200)에 포락하는 곡선의 형상이 변화한다(제 6 도 참조). 이 경우, 제 2기어(200)의 치말의 볼록한 치형으로 내단부(3c)의 상기 포락곡선을 취함으로써 맞물림 강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내마모성을 중시하여, 상기 포락곡선에 약간의 홈을 부여한 형상 혹은 단순히 이끝을 단축시킨 형상으로 함으로써 윤활한 점에서 유리한 완전 추월형 맞물림으로 할 수도 있다.
다음에,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컵형상의 가요성 외접기어가 구비된 휨 맞물림식 기어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가요성 외접기어의 코닝에 대한 성질에 관하여 고찰한다. 본 발명의 치형은, 기준 단면의 이동 궤적으로부터 유도된 것으로써이 치형이 다른 단면에도 그대로 적합하지는 않다. 제 10 도에는, 이러한 사실을, 제 1 기어(100)를 가요성 외접기어(3)로 하고, 제 2 기어(200)를 강성 내치기어(2)로 한 경우의 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있다. 동도는, 기준 단면을 잇줄 중앙(제 3 도(a)의 선 Ⅳ-Ⅳ를 따라 도시한 위치)에 취한 경우로써, (a)는 기준 단면으로부터 개구부측 단면에 있어서의 맞물림을 도시하며, (b)는 기준 단면으로부터 다이어프램측에 위치하는 내단부측의 단면에 있어서의 맞물림을 도시한다.
상기한 도면들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준 단면으로부터 양측을 향하는 단면에서는, 톱니가 서로 간섭하고 있다. 이를 피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서, 제 1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 단면으로부터 양측 이를 간섭량에 적합한 만큼 볼록하게 하는 방법이 있다.
제 12 도(a), (b)는, 이와 같이 볼록하게 한 경우 각각 개구부측 단면, 내단부측 단면에 있어서의 맞물림을 도시한 것이다. 그 밖에, 가요성 외접기어의 치형에 간섭량에 적합한 적절한 수정을 행하고, 볼록한 부분이 없이도 잇줄에 따라 연속 접촉을 얻을 수 있는 방법도 있다.
제 13 도(a), (b) 및 (c)는 이 경우의 각각 개구부측 단면, 기준단면 및 내단부측 단면에 있어서의 맞물림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한 설명은 주로 타원형상으로 휘는 경우에 관한 것이나, 본 방법은 기어수 차이가 3n개인 3엽형상으로 휘는 경우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가능한 수법이다. 제 14 도는, 상기한 경우의 기준 단면에 있어서의 맞물림의 일례를 공간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추월형 맞물림을 도입함으로써, 치면간 윤활유막의 유지력을 크게 높일 수 있으며 치면 마모를 바탕으로 한 휨 맞물림식 기어 장치의 허용 전달 토크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마이너스 편위를 채용함으로서 가요성 외접기어의 장축 및 단축 부근의 휨에 의한 굽힘 응력을 감소시키며, 가요성 외접기어의 림강도 향상을 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톱니의 연속적인 접촉에 따른 맞물림 강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컵형상의 가요성 외접기어는 코닝의 임의의 각도로 성립하는 것으로서, 상기 가요성 외접기어의 몸체 길이가 짧은 타입의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코닝이 없는 환상의 가요성 외접기어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4)

  1. 강성 내치기어와, 그 내측의 가요성 외접기어와, 상기 외접기어 축의 직각 단면을 타원형상으로 휘게 하고, 상기 가요성 외접기어를 부분적으로 상기 강성의 내치기어에 맞물리게 하여, 이들의 맞물림 위치를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웨이브 제너레이터를 가지며, 상기 웨이브 제너레이터의 회전에 의해 양 기어에 상대적인 회전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는 마이너스 편위 추월형 치형의 휨 맞물림식 기어 장치에 있어서,
    (a) 상기 가요성 외접기어의 잇줄의 소정 위치에 설정한 기준축의 직각 단면의 반경 방향의 휨량(W)을 정규 휨량(W0)보다 작은 마이너스 편위의 휨량이 되도록 설정하고,
    (b) 강성 내치기어 및 가요성 외접기어를 모두 평기어로 하고,
    (c) 가요성 외접기어의 잇수를 강성 내치기어의 잇수보다 2n개(n은 양의 정수) 적게 하고,
    (d) 강성 내치기어 및 가요성 외접기어 중 어느 한 쪽인 제 1기어의 작용 치형을 볼록 곡선의 치형으로 하고, 그 형상을, 상기 기어의 톱니가 다른 쪽 제 2기어에 대하여 잇줄의 기준축의 직각 단면상에 그려지는 래크 근사에 의한 이동궤적의 정점부에 있어서의 제 2기어에 대하여 볼록하게 속하는 부분을 상기 이동궤적의 정점을 원점으로 하여 확대비(λ)로 상사변환한, 볼록곡선 혹은 그의 근사곡선으로하며,
    (e) 다른 쪽 제 2기어의 작용치형을 오목 곡선으로 하고, 그 형상을 상기 이동궤적에 있어서와 동일한 부분을 동일하게 상기 이동궤적의 정점을 원점으로 하여 확대비(λ+1)로 상사변환한 오목 곡선 혹은 그의 상사곡선으로 함으로써, 상기 제 1, 제 2기어의 맞물림을 기준축의 직각 단면에서 연속 접촉할 수 있는 추월형 맞물림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너스 편위 추월 치형의 휨 맞물림식 기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작용치형이 오목 곡선으로 되어 있는 상기 제 2기어의 오목 치형의 정점부를 볼록 곡선으로 하고, 상기 오목 치형의 정점부가 상기 제 1기어의 볼록곡선으로 규정되어 있는 볼록 치형과 간섭하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너스 편위 추월형 치형의 휨 맞물림식 기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작용치형이 오목 곡선으로 되어 있는 상기 제 2기어의 이끝을 단축시키고, 상기 오목 치형의 이끝이 상기 제 1기어에 있어서의 볼록곡선으로 규정되어 있는 볼록 치형과 간섭하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너스 편위 추월형 치형의 휨 맞물림식 기어장치.
  4. 강성의 내치기어와, 그 내측의 가요성 외접기어와, 상기 외접기어의 축의 직각 단면을 3엽형상(三葉形狀)으로 휘어지게 하고, 상기 가요성 외접기어를 부분적으로 상기 강성 내치기어에 맞물리게 하며, 이들의 맞물림 위치를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웨이브 제너레이터를 가지고, 웨이브 제너레이터의 회전에 의해 양 기어에 상대회전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는 마이너스 편위 추월형 치형의 휨 맞물림식 기어 장치에 있어서,
    (a) 상기 가요성 외접기어의 잇줄의 소정 위치에 설정한 기준축의 직각 단면의 반경방향의 휨량(W)을 정규의 휨량(WO)보다 작은 마이너스 편위의 휨량이 되도록 설정하고,
    (b) 강성 내치기어 및 가요성 외접기어를 모두 평기어로 하고,
    (c) 가요성 외접기어의 기어수를 강성 내치기어의 기어수보다 3n개(n은 양의 정수) 적게 하고,
    (d) 강성 내치기어 및 가요성 외접기어 중 어느 한 쪽인 제 1기어의 작용치형을 볼록 곡선의 치형으로 하고, 그 형상을, 상기 기어의 톱니가 다른 쪽 제 2기어에 대하여 잇줄 기준축의 직각 단면상에 그려지는 래크 근사에 의한 이동궤적의 정점부에 있어서의 제 2기어에 대하여 볼록하게 속하는 부분을 상기 이동궤적의 정점을 원점으로 하여 확대비(λ)로 상사변환한, 볼록곡선 혹은 그의 근사곡선으로 하고,
    (e) 다른 쪽 제 2기어의 작용치형을 오목곡선으로 하고, 그 형상을 상기 이동궤적에 있어서의 상기한 바와 동일한 부분을 동일하게 상기 이동궤적의 정점을 원점으로 하여 확대비(λ+1)로 상사변환한 오목 곡선 혹은 그의 상사곡선으로 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기어의 치형의 맞물림을 기준축의 직각 단면에서 연속 접촉할 수 있는 추월형 맞물림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너스 편위 추월 치형의 휨 맞물림식 기어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작용치형이 오목 곡선으로 되어 있는 상기 제 2기어의 오목 치형의 정점부를 볼록 곡선에 의해 규정하고, 상기 오목 치형의 정점부가 상기 제 1기어의 볼록곡선으로 규정되어 있는 볼록 치형과 간섭하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너스 편위 추월형 치형의 휨 맞물림식 기어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작용치형이 오목 곡선으로 되어 있는 상기 제 2기어의 이끝을 단축시키고, 상기 오목 치형의 이끝이 상기 제 1기어에 있어서의 볼록곡선으로 규정되어 있는 볼록 치형과 간섭하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너스 편위 추월형 치형의 휨 맞물림식 기어장치.
  7. 강성 내치기어와, 그 내측의 컵형상의 가요성 외접기어와, 상기 외접기어의 축의 직각 단면을, 그 다이어프램측으로부터 개구부에 걸쳐 다이어프램으로부터의 거리에 거의 비례한 휨량을 생성하도록 상기 외접기어를 타원형으로 휘게 하며, 상기 외접기어를 부분적으로 상기 강성 내치기어에 맞물리게 하며, 이들의 맞물림 위치를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웨이브 제너레이터를 가지며, 웨이브 제너레이터의 회전에 의해 양 기어에 상대 회전을 생성시키도록 되어 있는 마이너스 편위 추월형치형의 휨 맞물림식 기어 장치에 있어서,
    (a) 상기 가요성 외접기어의 잇줄의 소정 위치에 설정한 기준축의 직각 단면의 반경방향의 휨량(W)을 정규의 휨량(W0)보다 작은 마이너스 편위의 휨량이 되도록 설정하고,
    (b) 강성 내치기어 및 가요성 외접기어를 모두 평기어로 하고,
    (c) 가요성 외접기어의 기어수를 강성 내치기어의 기어수보다 2n개(n은 양의 정수) 적게 하고,
    (d) 강성 내치기어 및 가요성 외접기어 중 어느 한 쪽인 제 1기어의 작용치형을 볼록 곡선의 치형으로 하고, 그 형상을, 상기 기어의 톱니가 다른 쪽 제 2기어에 대하여 잇줄의 기준축의 직각 단면상에 그려지는 래크 근사에 의한 이동궤적의 정점부에 있어서의 제 2기어에 대하여 볼록하게 속하는 부분을 상기 이동궤적의 정점을 원점으로 하여 확대비(λ)로 상사변환한, 볼록곡선 혹은 그의 근사곡선으로 하고,
    (e) 다른 쪽 제 2기어의 작용치형을 오목곡선으로 하고, 그 형상을 상기 이동궤적에 있어서의 상기한 바와 동일한 부분을 동일하게 상기 이동궤적의 정점을 원점으로 하여 확대비(λ+1)로 상사변환한 오목 곡선 혹은 그의 상사곡선으로 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기어의 치형의 맞물림을 기준축의 직각 단면에서 연속 접촉할 수 있는 추월형 맞물림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너스 편위 추월 치형의 휨 맞물림식 기어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작용치형이 오목 곡선으로 되어 있는 상기 기어의 오목 치형의 정점부를 볼록 곡선에 의해 규정하고, 상기 오목 치형의 정점부가 볼록곡선으로 규정되어 있는 볼록 치형과 간섭하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너스 편위 추월형 치형의 휨 맞물림식 기어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작용치형이 오목 곡선으로 되어 있는 상기 제 2기어의 이끝을 단축시켜 상기 오목 치형의 이끝이 상기 제 1기어의 치형의 볼록곡선으로 규정되어 있는 볼록 치형과 간섭하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너스 편위 추월형 치형의 휨 맞물림식 기어장치.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기어의 치형의 적어도 한 쪽의 치형은, 그 잇줄의 상기 기준축의 직각 단면에 대하여 상기 컵형상의 가요성 외접기어의 개구부측 및 그 다이어프램측의 단부측에 걸쳐 볼록하게 하며, 상기 컵형상의 가요성 외접기어의 코닝에 의해 양 기어의 치형이 간섭하는 일이 없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너스 편위 추월형 치형의 휨 맞물림식 기어 장치.
  11. 강성 내치기어와, 그 내측의 컵형상의 가요성 외접기어와, 상기 외접기어의 축의 직각 단면을 그 다이어프램측으로부터 개구부에 걸쳐 다이어프램으로부터의 거리에 거의 비례한 휨량을 생성하도록 상기 외접기어를 3엽형상으로 휘게 하고,상기 가요성 외접기어를 부분적으로 상기 강성 내치기어에 맞물리게 하여 이들의 맞물림 위치를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웨이브 제너레이터를 가지며, 웨이브 제너레이터의 회전에 의해 양 기어에 상대회전을 생성하도록 되어 있는 마이너스 편위 추월형 치형의 휨 맞물림식 기어장치에 있어서,
    (a) 상기 가요성 외접기어 잇줄의 소정 위치에 설정한 기준축의 직각단면의 반경방향의 휨량(W)을 정규의 휨량(W0)보다 작은 마이너스 편위 휨량이 되도록 설정하고,
    (b) 강성 내치기어 및 가요성 외접기어를 모두 평기어로 하고,
    (c) 가요성 외접기어의 기어수를 강성 내치기어의 기어수보다 3n개(n은 양의 정수) 적게 하고,
    (d) 강성 내치기어 및 가요성 외접기어 중 어느 한 쪽인 제 1기어의 작용치형을 볼록 곡선의 치형으로 하고, 그 형상을, 상기 기어의 톱니가 다른 쪽의 제 2기어에 대하여 잇줄의 기준축의 직각 단면상에 그려지는, 래크 근사에 의한 이동궤적의 정점부에 있어서의 제 2기어에 대하여 볼록하게 속하는 부분을 상기 이동궤적의 정점을 원점으로 하여 확대비(λ)로 상사변환한, 볼록곡선 혹은 그의 근사곡선으로 하고,
    (e) 다른 쪽 제 2기어의 작용치형을 오목한 곡선으로 하고, 그 형상을 상기 이동궤적에 있어서의 상기한 바와 동일한 부분을 동일하게 상기 이동궤적의 정점을 원점으로 하여 확대비(λ+1)로 상사변환한 오목 곡선 혹은 그의 상사곡선으로 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기어의 맞물림을 기준축의 직각 단면에서 연속 접촉할 수 있는 추월형 맞물림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너스 편위 추월 치형의 휨 맞물림식 기어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작용치형이 오목 곡선으로 되어 있는 상기 제 2기어의 오목 치형의 정점부를 볼록 곡선에 의해 규정하고, 상기 오목 치형의 정점부가 제 1기어의 볼록곡선으로 규정되어 있는 볼록 치형과 간섭하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너스 편위 추월형 치형의 휨 맞물림식 기어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작용치형이 오목 곡선으로 되어 있는 상기 제 1기어의 이끝을 단축시키고, 상기 오목 치형의 이끝이 상기 제 1기어의 볼록곡선으로 규정되어 있는 볼록 치형과 간섭하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너스 편위 추월형 치형의 휨 맞물림식 기어장치.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기어의 치형의 적어도 한 쪽의 치형은, 그 잇줄의 상기 기준축의 직각 단면에 대하여 상기 컵형상의 가요성 외접기어의 개구부측 및 그 다이어프램측 단부측에 걸쳐 볼록하게 하며, 상기 컵형상의 가요성 외접기어의 코닝에 의해 양 기어의 치형이 간섭하는 일이 없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너스 편위 추월형 치형의 휨 맞물림식 기어 장치.
KR1019960704424A 1994-12-19 1994-12-19 마이너스편위추월치형의휨맞물림식기어장치 KR1003408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4/002141 WO1996019683A1 (fr) 1994-12-19 1994-12-19 Transmission semi-rigide a engrenement ayant un profil de dents a depassement et deviation negativ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1321A KR970701321A (ko) 1997-03-17
KR100340814B1 true KR100340814B1 (ko) 2002-11-30

Family

ID=14098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4424A KR100340814B1 (ko) 1994-12-19 1994-12-19 마이너스편위추월치형의휨맞물림식기어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782143A (ko)
EP (1) EP0745786B1 (ko)
JP (1) JP3483570B2 (ko)
KR (1) KR100340814B1 (ko)
CA (1) CA2183540C (ko)
DE (1) DE69423654T2 (ko)
TW (1) TW295216U (ko)
WO (1) WO19960196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9017B2 (ja) * 1995-12-15 2006-01-25 株式会社ハーモニック・ドライブ・システムズ 非干渉広域かみ合い歯形を有する撓みかみ合い式歯車装置
JP3887762B2 (ja) * 1997-10-16 2007-02-28 株式会社ハーモニック・ドライブ・システムズ 波動歯車装置
EP1013534B1 (de) * 1998-12-08 2002-09-18 Ford-Werke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e Servolenkung,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JP4357054B2 (ja) * 1999-11-22 2009-11-04 株式会社ハーモニック・ドライブ・システムズ 追い越し型極大歯たけの歯形を有する負偏位撓みかみ合い式歯車装置
DE10296591B4 (de) * 2001-03-29 2016-10-13 Harmonic Drive Systems Inc. Wellenzahnradgetriebe mit dreidimensionalem Auslenkungs-Zahneingriffsprofil
JP4392787B2 (ja) * 2003-08-29 2010-01-06 株式会社ハーモニック・ドライブ・システムズ 広域3次元かみ合い歯形を有する波動歯車装置
CN100453846C (zh) * 2003-10-30 2009-01-21 谐波传动系统有限公司 具有宽范围啮合齿形的波动齿轮驱动装置
WO2005121597A1 (ja) * 2004-06-07 2005-12-22 Harmonic Drive Systems Inc. 高ラチェティングトルク歯形を有する波動歯車装置
JP4650954B2 (ja) * 2004-06-21 2011-03-16 株式会社ハーモニック・ドライブ・システムズ 負偏位噛み合い歯形を有する波動歯車装置
JP4777792B2 (ja) * 2006-02-09 2011-09-21 株式会社ハーモニック・ドライブ・システムズ 連続噛み合い高ラチェティングトルク歯形を有する波動歯車装置
DE112008004248T5 (de) * 2008-12-18 2012-03-15 Harmonic Drive Systems Inc. Wellgetriebe mit einem dreidimensional kontaktierbaren,verschobenen Zahnprofil
JP5275150B2 (ja) 2009-06-23 2013-08-28 株式会社ハーモニック・ドライブ・システムズ 波動歯車装置
JP5423460B2 (ja) * 2010-02-12 2014-02-19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揺動歯車の加工方法および加工装置
DE112011105127B4 (de) * 2011-05-09 2017-01-19 Harmonic Drive Systems Inc. Wellgetriebe, das ein dreidimensionales Zahnprofil mit kontinuierlichem Kontakt hat
CN103748382B (zh) * 2012-08-17 2016-12-07 谐波传动系统有限公司 具有三维接触齿形的波动齿轮装置
WO2015079576A1 (ja) * 2013-11-29 2015-06-04 株式会社ハーモニック・ドライブ・システムズ 2度接触の負偏位歯形を有する波動歯車装置
JP6067183B2 (ja) * 2014-12-09 2017-01-25 株式会社ハーモニック・ドライブ・システムズ 追い越し型かみ合いの負偏位波動歯車装置
EP3306132B1 (en) * 2015-06-02 2020-04-01 Harmonic Drive Systems Inc. Strain wave gearing device with compound meshing that involves congruity of tooth surfaces
JP2018017317A (ja) * 2016-07-28 2018-02-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ロボット、歯車装置および歯車装置の製造方法
TWI641771B (zh) * 2016-12-29 2018-11-2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諧波傳動裝置
JP6886415B2 (ja) * 2018-02-23 2021-06-16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歯車装置のシリーズ、歯車装置のシリーズの構築方法、および歯車装置群の製造方法
CN109723800A (zh) * 2019-03-05 2019-05-07 苏州绿的谐波传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三次谐波减速器
USD937332S1 (en) * 2020-06-30 2021-11-30 Harmonic Drive Systems Inc. Speed reducer
USD971978S1 (en) * 2020-09-09 2022-12-06 Harmonic Drive Systems Inc. Speed reduc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06143A (en) * 1955-03-21 1959-09-29 United Shoe Machinery Corp Strain wave gearing
JPH0784896B2 (ja) * 1986-11-05 1995-09-13 株式会社ハーモニック・ドライブ・システムズ 撓み噛み合い式歯車装置
JP3230595B2 (ja) * 1991-12-24 2001-11-19 株式会社ハーモニック・ドライブ・システムズ 撓み噛み合い式歯車装置の3次元無転位歯形の形成方法
JP3230596B2 (ja) * 1991-12-24 2001-11-19 株式会社ハーモニック・ドライブ・システムズ 撓み噛み合い式歯車装置の3次元無転位歯形の形成方法
WO1994012808A1 (en) * 1992-11-24 1994-06-09 Harmonic Drive Systems Inc. Tertiary negative-deflection flexing contact gears of non-profile-shifted tooth profile
EP0622566B1 (en) * 1992-11-24 1997-02-05 Harmonic Drive Systems Inc. Flexing contact type gears of non-profile-shifted two-circular-arc composite tooth prof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6019683A1 (fr) 1996-06-27
CA2183540C (en) 2004-05-25
KR970701321A (ko) 1997-03-17
EP0745786A4 (en) 1998-01-28
EP0745786B1 (en) 2000-03-22
JP3483570B2 (ja) 2004-01-06
US5782143A (en) 1998-07-21
DE69423654D1 (de) 2000-04-27
TW295216U (en) 1997-01-01
DE69423654T2 (de) 2000-11-02
EP0745786A1 (en) 1996-12-04
CA2183540A1 (en) 1996-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0814B1 (ko) 마이너스편위추월치형의휨맞물림식기어장치
JP4650954B2 (ja) 負偏位噛み合い歯形を有する波動歯車装置
KR920008646B1 (ko) 파형식 맞물림변형기어장치
JP5165120B2 (ja) 3次元連続接触歯形を有する波動歯車装置
KR100360925B1 (ko) 패스형 치형의 굽힘 기어결합식 기어장치
JP4597051B2 (ja) 広域噛み合い歯形を有する波動歯車装置
KR102007320B1 (ko) 치면의 일치를 수반하는 복합 맞물림 파동기어장치
KR20140041395A (ko) 3 차원 접촉 치형을 가지는 파동 기어 장치
KR102303739B1 (ko) 파동기어장치
KR102225559B1 (ko) 3차원 맞물림 치형을 갖는 파동기어장치
US10174825B2 (en) Passing-type-meshing negative-deflection strain wave gearing
JP4650953B2 (ja) 高ラチェティングトルク歯形を有する波動歯車装置
JP6104474B1 (ja) 2応力分離の波動歯車装置
JPH05172196A (ja) 撓み噛み合い式歯車装置の3次元無転位歯形の形成方法
KR100438684B1 (ko) 하모닉 감속기
KR100224512B1 (ko) 파동 기어 구동장치
KR100245287B1 (ko) 무전위치형의 3차원부편위가요물림식기어장치
CN117377839A (zh) 波动齿轮装置的齿廓设计方法
WO1994012809A1 (en) Flexing contact type gears of non-profile-shifted two-circular-arc composite tooth prof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5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