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0264B1 - 오수슬러지의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오수슬러지의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0264B1
KR100340264B1 KR1020000031302A KR20000031302A KR100340264B1 KR 100340264 B1 KR100340264 B1 KR 100340264B1 KR 1020000031302 A KR1020000031302 A KR 1020000031302A KR 20000031302 A KR20000031302 A KR 20000031302A KR 100340264 B1 KR100340264 B1 KR 100340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drying
furnace
comb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1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11150A (ko
Inventor
윤병문
Original Assignee
윤병문
서진열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병문, 서진열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병문
Priority to KR1020000031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0264B1/ko
Publication of KR20010111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1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0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0264B1/ko

Links

Landscapes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수슬러지의 건조장치에 관한것으로 건조로를 이중으로하여 로통외부에 공기도입관을 씌워 공기도입로를 형성시킨 건조로 내벽에 스크류돌 스픈형안내편을 다수 고정설치하여 건조재료 슬러지의 이동, 돌입과 분산, 분리가 잘 이루어지게하고 건조로 중간에는 +자형 금망판장치가 지지대의 중심부에 착탈가능하게 삽입설치하여 건조재료의 이송분리 및 금망판에 걸러져서 건조가 효율적으로 되게하고 그 앞쪽에 고속회전의 파쇄장치를 설비하여 건조재료도입과 동시 파쇄시켜 더욱 건조가 잘 이루어지도록하고 또한 건조재료인 슬러지의 운송도입을 용이하게하기 위하여 트럭하차통 밑에 리본스크류콤베어로서 트럭하차통에 주입된 슬러지를 앵글콤베어에 이송하고 또 벨트이송콤베어로서 슬러지저장통에 저장시킨 건조재료슬러지는 리본스크류콤베어로서 슬러지주입통에 원활히 도입하게하고, 건조로(1)의 분진, 유해까스를 제거하기 위하여 각각 1차분진집진기, 소각기, 2차분진집진기, 수분제거기, 여과기와 1차까스이송관, 2차까스이송관, 3차까스이송관, 4차까스이송관으로 까스배기 및 슬러지주입통에 연결설치하여 배기되는 분진 및 유해까스를 정화 제거시켜 청정공기를 배출케하고 또 소각기내의 열교환기에서 순수온열을 로통내로 유입시켜 건조효율을 향상시키도록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오수슬러지의 건조장치 {Drying device for swage sludge}
본 발명은 오수슬러지의 건조장치에 관한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러지건조작업을 능율적으로 처리할수 있고 또 슬러지건조시 발산되는 유해까스냄새를 완전히 정화제거시키도록 하기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저속회동케된 건조로의 중간부에 파쇄장치와 회전하는 금망판장치에의한 슬러지건조가 원활히 이루어지고 또 건조로 내벽의 스크류돌기 및 다수의 스픈형이송편에 의하여 이송건조가 잘될뿐더러 건조효율을 향상시키도록하고, 슬러지건조시 발산되는 분진 및 유해까스냄새를 분리흡입시켜서 집진기, 소각기 및 여과기를 통과하면서 정화제거시켜 슬러지건조작업시 유해까스가 외부로 발산되지 않게하고 또 열교환기의 순수온열은 건조로에 환수유입시켜 건조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게할 목적으로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슬러지건조는 버어너로 가열케된 고정식 건조로 중심부에 건조재료의 이송을 위한 망통과 회전스크류 또는 벨트콤베어를 내입설치한 구조로되어 있거나, 건조실 내부에 여러층의 망판을 시설하여 망판장치가 상,하로 회동하면서 건조열을 받아 건조시키도록한 건조장치가 종래에 이용되었다.
이러한 건조장치들은 습기가 많은 슬러지를 용이하게 분산, 분리시키지 못하여 건조시간이 느리고 늦어지므로 원활한 건조작업이 이루어지지못한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또 건조시설에 비하여 건조능율이 저조하기 때문에 효율적 건조처리를 하지못한 문제점이 있었고 또 슬러지건조시 발산하는 분진 및 유해까스의 제거처리가 불량하여 환경정화에 공해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개선하고 보다 건조능율을 향상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분진 및 유해까스를 정화제거시키도록 한것으로 건조로 외부에 냉각공기유입을 위한 공기도입관을 로통외부로 위설하여 냉각공기유통이되어 건조가 잘 되게하고 건조로 내벽에는 스크류돌기와 스픈형이송편을 다수 고정설치하여 건조재료인 슬러지 이송 도입이 원활하게하고 또 슬러지가 뭉쳐지는 것을 분산, 분리가 잘 이루어지도록하였다. 또 건조로의 중간에는 +자형 금망판장치가 지지대에 의하여 건조로 중심부에서 회전하면서 스픈형이송편에 의하여 슬러지분이 금망판에 담겨지고 다시 회전하면서 떨어지므로 분리가 더욱 잘되어 건조가 잘이루어지고 또 +자형 망판장치는 인출과 조립설치가 용이하여 수세청소가 가능케하고 또 건조로의 건조재료도입측에 슬러지의 파쇄장치를 설치하여 고속회전시키므로 파쇄날이 슬러지를 잘게 파쇄시키게하였다.
또한 건조재료인 슬러지의 운송도입을 용이하게하기 위하여 트럭하차통 밑에 리본스크류콤베어로서 트럭하차통에 주입된 슬러지를 앵글콤베어에 이송하고 또 벨트이송콤베어로서 슬러지저장통에 저장시킨 건조재료 슬러지는 리본스크류콤베어로서 슬러지주입통에 주입되어 건조로 내부로 용이하게 공급되게하므로 건조재료인 슬러지는 자동공급되어져서 원활한 건조작업이 되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로내의 분진 및 유해까스는 슬러지주입통을 통해서 상부로 배기되게 구성하고 있으므로 여기 슬러지주입통에 연결설치시킨 리본스크류콤베어에 분진 및 까스의 1차까스이송관, 2차까스이송관, 3차까스이송관 및 4차까스이송관을 통하여 각각의 1차분진집진기, 소각기, 2차분진집진기, 냄새제거기를 위한 여과기를 통과하면서 분진 및 유해까스를 정화제거시키도록 함으로 환경공해에 안전한 슬러지건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고 또 소각기는 열교환기를 같이 설비하고 있으므로 열교환기에 의한 순수온열을 환수시켜 건조로내에 유입시키므로 슬러지건조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고 또 비용절감을 가져오도록 개선한 새로운 구성의 슬러지 건조장치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략적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를 단면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건조로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있어 1차분진집진기의 측면도
도 7은 도 6의 평면도로 까스가 선회배출상태를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있어 까스소각기 및 열교환기의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있어서 2차분진집진기, 수분제거기 및 여과기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있어서 냄새제거기의 확대 평단면도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건조로 2 : 스크류돌기
3,3′: 스픈형이송편 4 : 로통
5 : 공기도입관 5′: 간격편
6 : 공기도입로 7 : 까스배기 및 슬러지주입통
8 : 건조물배출통 9 : 부라켓
10,10′: 원형바퀴 11,11′: 로울
14 : 파쇄장치 15,15′: 지지대
16,16′: 금망판 17 : 금망판장치
19 : 중심부 21 : 이동바퀴
22 : 링판 23 : 안내통
25 : 버어너 31 : 트럭하차통
32 : 리본스크류콤베어 33 : 호퍼
34 : 앵글콤베어 35 : 스러지저장통
36 : 리본스크류콤베어 37 : 1차까스이송관
37a : 2차까스이송관 37b : 3차까스이송관
37c : 4차까스이송관 38 : 1차분진집진기
39 : 소각기 40 : 2차분진집진기
41 : 수분제거기 42 : 여과기
46 : 열교환기 48 : 열환수관
49 : 공기주입통
원통형 로통(4) 내벽에 통상의 스크류돌기(2)와 스픈형이송편(3)(3′)다수를 형성시키고 외면에는 공기도입관(5)을 간격편(5′)으로 공기도입로(6)가 형성되게 씌워 결합시킨 건조로(1) 양단을 일측은 기대(20)위에 설치시킨 까스배기 및 슬러지주입통(7)과 그 반대측 건조물배출통(8)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건조로(1) 중간 양측에는 부라켓(9)으로 원형바퀴(10)(10′)를 고정하여 하부에 접촉회동되게 축설된 로울(11)(11′)과 접촉시키고 또 일측의 로울(11)에는 모우터(M)의 축과 연결하여 동력전달로 접동회전하도록 하였다.
또한 건조로(1)의 일측에는 모우터(M′)에 의하여 회전케된 회전축(12)을 건조재료도입측내로 연장설치하여 파쇄날(13)을 다수 회전축(12)에 고정한 파쇄장치(14)가 고속회전하면서 건조재료인 슬러지를 파쇄분리시키게하고 그 안쪽에는 도 3의 도시와같이 로통(4) 내벽사방에 길이로 다수의 지지대(15)(15′)를 대향으로 세워 고정한 중심부(19)에 금망판(16)(16′)을 경사로하여 +자형으로 조립시킨 금망판장치(17)를 착탈가능하게 중심부(19)로 삽입설치하여 스픈형이송편(3)(3′)으로 안내유입된 건조재료가 금망판장치(17)의 금망판(16)(16′)에 유입되어 걸러지게하여 분리되도록하고, 건조물배출통(8)은 후진이동이 가능하게 밑에 이동바퀴(21)를 달아 링판(22)제거후 후진시켜 건조로(1)와 분리되게하므로 내부 금망판장치(17)를 꺼내 수세청소가 가능하도록하고 또 안내통(23)내부로 외부 버어너(25)의 화염열이 건조로(1)의 로통(4)내로 안내유입되도록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재료 슬러지의 운송도입을 위하여 트럭하차통(31) 밑에 리본스크류콤베어(32)를 슬러지저장통(35)에 이송도입시킬수 있게 설치된 앵글콤베어(34)에 연결설치하고 또 벨트이송콤베어(34a)와 슬러지저장통(35)의 호퍼(33)와 까스배기 및 슬러지주입통(7)간에 리본스크류콤베어(36)을 연결설치하여 건조재료가 자동공급되어져서 슬러지주입통(7)내의 안내판(7′)으로 슬러지가 안내되어 로통(4)내로 공급되어지게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로(1)내의 분진 및 유해까스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 까스배기 및 슬러지주입통(7)에 연통연결시킨 리본스크류콤베어(36)에 1차까스이송관(37)을 연결시켜 1차분진집진기(38)에서 분진 및 유해까스가 집진분리되어지게하고 또 2차까스이송관(37a)을 통해 소각기(39)에서 각분진과 냄새분진이 소각처리되도록하고 또 3차까스이송관(37b)을 통해 2차분진집진기(40)에서 또한 분진을 수세처리되게하고 4차까스이송관(37c)을 통해서 수분제거기(41)의 필터(41a)에 의거 수분제거되고 활성탄여과막(42a)으로 구성시킨 여과기(42) 내부를 통하여 활성탄여과막(42a)을 통과하면서 유해냄새가 정화되어져서 배출휀(43)에 의하여 배출관(44)으로 청정공기가 배출되어 나가도록 하였다.
또한 1차분진집진기(38)는 취입구(38a)로 유입된 유해까스는 내부에서 선회되면서 분진은 하부토출구(38c)로 나가고 미처리된 까스는 상부출구(38b)로 나간다. 소각기(39)내에는 열교환기(46)가 내장설치되어있어 열교환기에 의하여 가온된 온열은 환열휀(47)에 의하여 온열환수관(48)으로 공기주입통(49)에 유입하도록 하였다. 소각기(39)는 하부 소각버어너(50)로 연소실(51)을 가열하면 유입구(52)로 들어온 유해까스가 연소실(51)에서 소각 제거되고 그열은 열교환기(46)를 가열시키므로 외부공기주입구(46a)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열교환기(46)내에서 더워져서 배열구(46b)로 배출케되므로 열환수관(48)으로 온열이 건조로(1)의 로통(4)내로 공급유입케 된다. 또 2차분진집진기(40)는 물분사에 의한 수세식분진기이며 3차까스이송관(37b)에서 유입구(40a)로 유입된 냄새까스는 내부 여과휠타(40b)와 분사수세기(40c)를 거쳐가는 동안 2차분진이 제거된다. 또 4차까스이송관(37c)으로 유입된 냄새까스는 수분제거기(41)의 내부에 설치한 필터(41a)를 통과하므로 수분제거가 되어지고 내부에 활성탄여과막(42a)이 다층형성한 여과기(42)에서 유해냄새까스가 정화제거케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발명구성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외부에 설치시킨 트럭하차통(31)에서 건조재료 슬러치는 리본스크류콤베어(32) 앵글콤베어(34) 벨트이송콤베어(34a)를 통해 슬러지저장통(35)에 저장되었다가 리본스크류콤베어(36)의 가동에 의거하여 까스배기 및 슬러지주입통(7)내의 안내판(7′)에서 안내디어 건조로(1)의 로통(4)내로 자동공급되므로 재료공급이 간편하고 또 건조로(1)는 모우터(M)의 가동으로 로울(11)(11′)과 접촉회전케된 원형바퀴(10)(10′)가 저속회전에 의하여 회동을하고 또 모우터(M′)의 가동으로 파쇄장치(14)가 고속회전을 하므로 위에서 공급된슬러지는 파쇄장치(14)의 파쇄날(13)에 의하여 세분, 분리될 뿐더러 파쇄시키게 되므로 건조가 잘되고 또 파쇄된 건조재료는 로통(4) 내벽에 고정시킨 스크류돌기(2)와 다수의 스픈형이송편(3)(3′)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송분리 되어지며 더욱이 로통(4) 중간부에 길게 설치된 금망판장치(17)는 건조로(1)와 함께 회동작용을 하므로 스픈형이송편(3)(3′)에 담겨 이송분리되는 건조재료는 건조로(1)내의 상부위치에서 하부로 연속 분리되면서 금망판(16)(16′)에 쏟아지고 또 금망판(16)(16′)에 담긴 슬러지분은 하부로 쏟아지는 연속작용을 계속적으로 진행하면서 전방의 버어너(25)로부터 받는 화염열을 통과시키므로 건조효율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기주입통(49)을 통한 공기는 로통(4)외면에 씌워형성시킨 공기도입관(5) 내의 공기도입로(6)를 통과하면서 더워진 온열이 건조물배출통(8)내의 안내통(23) 외부에서 유입케되므로 버어너(25)의 화력에 의한 건조처리가 더욱 원활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로(1)에서의 건조작업으로 발생되는 슬러지분진 및 유해냄새까스를 1차까스이송관(37) 2차까스이송관(37a) 3차까스이송관(37b) 4차까스이송관(37c)을 통해 배출휀(43)에서 흡인시켜서 1차분진집진기(38) 소각기(39) 2차분진집진기(40) 수분제거기(41) 여과기(42)에서 각각 분진 및 유해냄새를 정화제거시키므로 냄새가 없는 안전한 건조작업을 할수가 있고 또 건조로(1)는 건조물배출통(8)과 결합시킨 링판(22)의 나사를 빼내면 분리가 쉽게되므로 내부 다수의 지지대(15)(15′)의 중심부(19)에 삽입설치한 금망판장치(17)가 손쉽게 빠지므로 꺼내서 수세청소후 다시 삽입조립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원통형 로통(4) 내벽에 스픈형이송편(3)(3′)다수를 형성한 외면에 공기도입관(5)을 결합시킨 건조로(1) 양단을 기대(20)위에 설치한 까스배기 및 슬러지주입통(7)과 건조물배출통(8)사시에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건조로(1)의 양측 외면에 부라켓(9)으로 원형바퀴(10)(10′)를 고정하여 하부 기대(20)위에 축설한 로울(11)(11′)과 접촉 회전할 수 있게하고 건조물배출통(8) 내의 안내통(23)을 향하여 버어너(25)를 설치하여 가열하게하고 로통(4) 중간부에는 다수의 지지대(15)(15′)를 대향으로 세운 중심부(19)에 금망판(16)(16′)을 +자형으로 조립시킨 금망장치(17)를 삽입설치하고 그전망에 파쇄장치(14)를 설비한 건조로(1)와, 트럭하차통(31)의 리본스크류콤베어(32) 및 앵글콤베어(34)과 슬러지저장통(35)의 호퍼(33) 하부 리본스크류콤베어(36)을 까스배기 및 슬러지주입통(7)을 연결하여 건조재료를 도입하게한것과, 건조로(1)의 배기까스를 분진하는 1차분진집진기(38) 소각기(39) 2차분진집진기(40) 수분제거기(41) 여과기(42)를 1차까스이송관(37) 2차까스이송관(37a) 3차까스이송관(37b) 및 4차까스이송관(37c)으로 까스배기 및 슬러지주입통(7)과 연결된 리본스크류콤베어(36)에 연결 설치하여 배기유해까스냄새를 제거하게한 것과, 소각기(39)내의 열교환기(46)의 열환수관(48)을 공기도입관(5) 입구위치에 설치된 공기주입통(49)에 연결하여 온열환수를 하도록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슬러지의 건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건조물배출통(8)은 하부에 이동바퀴(21)가 부착되어있고 링판(22)으로 건조로(1)와 나사부착되어 링판(22)을 빼내면 건조물배출통(8)이 분리되게한 오수슬러지 건조장치.
  3. 건조로(1)내의 금망장치(17)는 로통(4)내벽에 다수의 지지대(15)(15′)를 대향으로 세운 중심부(19)에 끼워져서 착탈이 가능하게하고 각각의 금망판(16)(16′)는 경사각으로 고정되고 금망장치(17)는 중심부(19)에서 회동할 수 있게된 오수슬러지의 건조장치.
KR1020000031302A 2000-06-08 2000-06-08 오수슬러지의 건조장치 KR100340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1302A KR100340264B1 (ko) 2000-06-08 2000-06-08 오수슬러지의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1302A KR100340264B1 (ko) 2000-06-08 2000-06-08 오수슬러지의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1150A KR20010111150A (ko) 2001-12-17
KR100340264B1 true KR100340264B1 (ko) 2002-06-12

Family

ID=45929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1302A KR100340264B1 (ko) 2000-06-08 2000-06-08 오수슬러지의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02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239B1 (ko) 2007-06-28 2009-05-08 한국하이테크 주식회사 유기성 폐기물의 파쇄물 건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2239B1 (ko) * 2004-08-27 2006-10-09 자연과학산업(주) 음식물 쓰레기 연속 탄화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3694U (ja) * 1983-07-26 1985-02-18 株式会社クボタ 汚泥乾燥機
JPH0544272U (ja) * 1991-11-26 1993-06-15 株式会社井上興業 廃棄物公害処理及びリサイクル・ドライヤ−装置
JPH10267535A (ja) * 1997-03-28 1998-10-09 Kubota Corp 回転胴式加熱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3694U (ja) * 1983-07-26 1985-02-18 株式会社クボタ 汚泥乾燥機
JPH0544272U (ja) * 1991-11-26 1993-06-15 株式会社井上興業 廃棄物公害処理及びリサイクル・ドライヤ−装置
JPH10267535A (ja) * 1997-03-28 1998-10-09 Kubota Corp 回転胴式加熱処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239B1 (ko) 2007-06-28 2009-05-08 한국하이테크 주식회사 유기성 폐기물의 파쇄물 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1150A (ko) 2001-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42104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езвоживания куск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JPH06341622A (ja) 廃棄物の浄化焼却装置
KR100340264B1 (ko) 오수슬러지의 건조장치
CN111174536A (zh) 一种垃圾焚烧发电用垃圾烘干装置
CN212005695U (zh) 一种用于化工垃圾的焚烧装置
CN211424405U (zh) 一种环保型垃圾焚烧炉
CN102008889B (zh) 复合式废气净化除臭装置
CN110454797A (zh) 一种磁化降解炉
KR100952198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필터조립체
KR10114099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서의 냄새 제거방법
KR20050112481A (ko) 먼지 연소형 집진기
CN209893425U (zh) 一种工业有机废气焚烧炉
KR20190031116A (ko) 고온 소각 장치
CN211822406U (zh) 一种环境工程固体废物治理用焚烧装置
CN2332905Y (zh) 移动式焚烧炉装置
CN210079192U (zh) 一种生活垃圾热解装置
CN111804095A (zh) 一种用于中药膏药加工的废气处理装置
CN201815240U (zh) 复合式废气净化除臭装置
KR100254707B1 (ko) 쓰레기 소각장치
CN219713376U (zh) 一种自燃式垃圾焚烧炉
CN205832855U (zh) 一种印染定型机烟气处理装置
KR100366913B1 (ko) 플라즈마 아아크 절단기의 집진장치
KR19990009028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위한 장치 및 그 시스템
KR100336639B1 (ko) 폐기물 소각장치
CN218147289U (zh) 一种环保性较高的无纺布生产用清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