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0172B1 - 전화벨 발생전압을 이용한 송수화기 틸트장치 - Google Patents

전화벨 발생전압을 이용한 송수화기 틸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0172B1
KR100340172B1 KR1020020008508A KR20020008508A KR100340172B1 KR 100340172 B1 KR100340172 B1 KR 100340172B1 KR 1020020008508 A KR1020020008508 A KR 1020020008508A KR 20020008508 A KR20020008508 A KR 20020008508A KR 100340172 B1 KR100340172 B1 KR 100340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set
telephone
electric motor
hook
telephon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8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9506A (ko
Inventor
정구진
Original Assignee
(주) 이스턴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이스턴텔레콤 filed Critical (주) 이스턴텔레콤
Priority to KR1020020008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0172B1/ko
Publication of KR20020019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9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0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01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 H04M1/654Telephone line monitoring circuits therefor, e.g. ring detectors
    • H04M1/6545Telephone line monitoring circuits therefor, e.g. ring detectors mechanically actuating hook switch, e.g. lifting hand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호음의 전화벨 발생전압을 이용하여 전화벨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송수화기에 움직임을 부여함으로써, 남다른 식별성과 새로움으로 사용자 편의를 극대화시킬 수 있고, 심플한 디자인으로 차별화된 전화기에 적용될 수 있는 전화벨 발생전압을 이용한 송수화기 틸트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화벨 발생전압을 이용한 송수화기 틸트장치는 송수화기(103)를 받침대 공간(106)에 안착시킨 전화기 본체(102)에 설치하되, 이런 전화기 본체(102) 내부에 설치되어 전화벨 발생전압을 전기모터(210)에 적합하도록 변환시키는 전화벨 모듈(112)과 전기모터(210)의 작동을 제어하는 틸팅제어부(113)가 회로적으로 구비된 주기판(109)과; 이런 주기판(109)의 케이블(118)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훅스위치(212)를 내장하고, 전기모터(210)에서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게 기계적으로 결합된 훅블록(200, 200')을 포함하며, 전기모터(210)의 작동시 훅블록(200, 200')이 송수화기(103)의 수화기(103a)를 틸트시킴으로써, 송수화기(103) 일부가 외부로 돌출된다.

Description

전화벨 발생전압을 이용한 송수화기 틸트장치{APPARATUS FOR TILTING HANDSET OF TELEPHONE USING RING VOLTAGE}
본 발명은 전화벨 발생전압을 이용한 송수화기 틸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무선전화기의 접속장치에 움직임을 부여하여 식별력과 기능성을 극대화시킨 송수화기 작동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기의 기본 기능은 ①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화시키고, ② 송수화기를 드는 것을 교환기에 알리며, ③ 다이얼 신호를 보내고, ④ 착신하면 전화벨을 울리고, ⑤ 교환기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런 기본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전화기의 기본 구성은 송수화기와, 훅스위치와, 다이얼과, 벨 내지 스피커 및, 전화기 회로 등이다.
송수화기는 송화기와 수화기를 하나의 핸드세트(HANDSET)에 구성한 것이다. 송화기는 얇은 금속판의 진동판을 사용자의 음성으로 진동시키고, 그 진동의 강약에 따라 탄소입자의 저항이 크거나 작게 되어 전류가 변화하게 되는데, 음성의 크기와 높낮이에 따른 진동 회수가 전기 에너지로 변해 통신로를 통해 상대방으로 도달하는 것이다.
수화기는 송화기와 반대로 스피커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전기 신호를 음성으로 바꾸어주는 역할을 한다.
훅스위치는 전화를 걸기 위해 송수화기를 들면 수화기 밑에 눌려 있던 노브(knob)가 튀어오르게 되는데, 노브의 하단에 형성된 플런저(plunger)가 접촉하는 훅(hook)의 회동에 의해서 통화를 온/오프(ON/OFF)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훅스위치의 노브가 올라가면 교환기와 교환기 사이에 전류가 흐르면서 전화를 걸게 하기 위한 준비가 완료된다.
다이얼은 전화를 걸려는 상대와 접속하기 위해 전화번호를 교환기에 전달해 신호를 보내는 부분으로서, 푸시 버튼식과 다이얼식이 있다.
벨 내지 스피커는 전화번호를 누르거나 돌릴 때 교환기로부터 전화로 전달되는 신호음을 소리로 변환시켜주는 것이다. 여기에서, 신호음은 통상적으로 20Hz의 주파수와 90Volt의 전화벨 발생전압을 갖는다.
전화기 회로는 교환기와의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것으로서, 측음을 방지하거나, 재발신, 전환, 온훅, 자동응답 등과 같이 전화기의 다양한 기능을 전자적으로 수행 및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유무선전화기는 일명 코드리스(cordless) 전화로서, 전화국의 가입자선과 유선으로 연결된 접속장치와, 그 접속장치에 무선전파로 연결된 휴대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접속장치는 3 ∼ 10㎽ 이하의 작은 송신전력을 갖는 것으로서 통화 반경이 10 ∼100m 정도이고, 송신 주파수는 휴대장치에서 접속장치일 때 914MHz, 접속장치에서 휴대장치일 때 959MHz대를 사용하고 있다. 이런 유무선전화기는 주파수 대역을 25kHz 간격으로 분할하여 전부 40 채널을 만들고, 전파를 발신하기 전에 전파의 채널이 비어 있는가를 확인해서 비어 있는 채널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하며, 접속장치와 휴대장치 세트마다 식별부호(ID)를 주어서, 식별부호를 체크함으로써 접속해도 좋은 조합이 어느 것인가를 식별한다.
특히, 유무선전화기는 발신자번호(Caller ID) 표시 기능, 특정 벨 소리 내지 묵음 설정기능, 벨 소리 선택 기능, 통화전환 기능, 내선통화 기능, 자동수신 기능 등이 있으며, 휴대장치 또는 접속장치 중 어느 하나가 사용중 일때는 사용자의 통화내용을 보호하기 위해서 어느 한 장치만 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전화기 내지 유무선전화기는 단순히 벨을 울리거나, 케이스에 설치된 전등을 점멸시켜서 사용자에게 전화가 오는 것을 알려주는 착신음 표출 방식을 택하고 있으며, 이는 가시적 효과가 떨어짐으로써 상대적으로 특유의 상품성이 없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전화기는 획일적 제품 디자인, 즉 송수화기의 손잡이 부분이 볼록 튀어나와 있거나, 송수화기가 전화기 본체의 디자인에 비해 돌출되어서 안착위치에 얹혀져 있는 디자인을 갖기 때문에, 아무리 많은 기능과 고가의 재질로 만들어진 전화기라 할지라도 타사 제품과의 차별성을 갖지 못하여 품질과 기술에 대한 경쟁력이 없다.
또한, 종래의 유무선전화기는 유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를 사용자가 있는 공간이 아닌 다른 실내에서 다른 사용자가 사용중일 때, 전화를 사용하려는 사용자는 접속장치에서 멀리 떨어진 상태에서 쉽게 전화의 사용중임을 알지 못하거나, 직접 접속장치로 와서 송수화기를 들고 귀로 확인하거나, 작은 표시등 등을 눈으로 확인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또한, 종래의 유무선전화기는 앞서 언급한 획일화된 디자인을 탈피하기 어렵고, 사용중임을 표시하는 표시등과 같은 구성 또한 획일하게 되어서, 심플하고 모던(modern)한 이미지의 제품 생산이 매우 어려운 상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속장치의 상면과 거의 일치시켜 외부로 거의 돌출되지 않게 송수화기를 배치하되, 신호음의 전화벨 발생전압을 이용하여 전화벨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송수화기에 움직임을 부여함으로써, 남다른 식별성과 새로움으로 사용자 편의를 극대화시킬 수 있고, 심플한 디자인으로 차별화된 전화기에 적용될 수 있는 전화벨 발생전압을 이용한 송수화기 틸트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전화벨 발생전압을 이용한 송수화기 틸트장치가 장착된 유무선전화기용 접속장치와 휴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속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접속장치의 내부 구성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접속장치의 분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유무선전화기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유무선전화기용 접속장치의 내부 구성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접속장치의 분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접속장치 101 : 휴대장치
102 : 전화기 본체 103 : 송수화기
106 : 받침대 공간 107 : 상부커버
108 : 하부커버 109 : 주기판
110 : 전화기 제어부 111 : 전원부
112 : 전화벨 모듈 113 : 틸팅제어부
200, 200' : 훅블록 210 : 전기모터
211 : 커플러 212 : 훅스위치
307a, 307b : 랙기어 305, 306, 308, 309 : 피니언기어 세트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송수화기를 받침대 공간에 안착시킨 전화기 본체에 설치하는 전화벨 발생전압을 이용한 송수화기 틸트장치에 있어서, 전화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전화벨 발생전압을 전기모터에 적합하도록 변환시키는 전화벨 모듈과 전기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틸팅제어부가 회로적으로 구비된 주기판과; 이런 주기판의 케이블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훅스위치를 내장하고, 전기모터에서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게 기계적으로 결합된 훅블록을 포함하며, 전기모터의 작동시 훅블록이 송수화기의 수화기를 틸트시킴으로써, 송수화기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벨 발생전압을 이용한 송수화기 틸트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훅블록은 훅스위치를 장착한 부기판을 내부에 고정하고 있으며, 훅스위치를 스위칭 작동시키는 노브가 상면에 형성된 조립구멍에 결합되어 있고, 받침대 공간의 블록조립용 구멍에 배치되어서 송수화기의 수화기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훅블록은 일측의 양쪽 측면에 힌지축을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있고, 힌지축이 각각의 지지단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커플러를 통해 전기모터의 회전축과 축연결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전기모터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전환에 따라 유한한 각도범위 내에서 힌지식으로 회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훅블록은 랙기어와 피니언기어 세트로 전기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도록 결합되어서, 받침대 공간의 블록조립용 구멍에서 수직방향으로 승강 및 하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화벨 발생전압을 이용한 송수화기 틸트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실시예>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전화벨 발생전압을 이용한 송수화기 틸트장치가 장착된 유무선전화기용 접속장치와 휴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속장치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접속장치의 내부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접속장치의 분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유무선전화기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보이듯이, 본 발명의 전화벨 발생전압을 이용한 송수화기 틸트장치는 하기에 상세히 설명할 제 1훅블록을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동시키고, 그 결과 송수화기를 틸트(tilt)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런 틸트장치는 일반적인 전화기와, 접속장치(100) 및 휴대장치(101)로 이루어진 유무선전화기에 모두 적용하되, 송수화기(103)를 접속장치(100)의 전화기 본체(102)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틸트시켜서, 일반적인 전화기와 유무선전화기에 역동적이면서 경쾌한 움직임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외부에 다이얼 버튼이 있는 것이 아니라, 송수화기의 밑면에 다이얼이 위치한 전화기에 적합하다. 예컨대, 유무선전화기의 접속장치(100)는 전화기 본체(102) 상면에 다이얼 버튼과, 재다이얼/포즈 버튼(104) 등을 배치하지 않고, 버튼(104)들을 송수화기(103)의 밑면에 배치시키고 있으며, 전화기 본체(102)의 측면에 손가락 일부를 넣어서 송수화기(103)를 쉽게 잡을 수 있도록홈(105)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전화기 본체(102)에는 송수화기(103)가 전화기 본체 안으로 들어가 있을 수 있게 파여진 송수화기 받침대 공간(106)이 형성되어 있다. 이런 송수화기 받침대 공간(106)의 송수화기(103)는 평상시 전화기 본체(102)의 상면과 동일하거나 매우 조금 튀어나오게 안착되어서, 전화기 본체(102)의 심플하고 콤팩트한 디자인과 일치하며, 기존 전화기의 이미지를 완전히 탈피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송수화기 틸트장치는 어댑터 잭(1, 2)으로 유무선전화기의 접속장치(100)에 연결된 외부전원(DC12V, 150㎃)을 이용하여 구동력을 발생하는 전기모터를 작동시킬 수 있으나, 외부전원이 필요하지 않는 일반적인 전화기에서도 작동가능하도록, 전화벨 발생전압을 이용하도록 되어 있다.
접속장치(100)의 전화기 본체(102)는 상부커버(107)와 하부커버(108)로 나사결합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상부커버(107)와 송수화기(103)를 제외한 내부 구성을 아래와 같이 도 3에 도시하였다.
도 3에 보이듯이, 하부커버(108)의 내부에는 PCB 기판에 전화기 제어부(110)와 전원부(111)와 전화벨 모듈(112)과 틸팅제어부(113)를 회로적으로 구비한 주기판(109)이 안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주기판(109)은 어댑터 잭(1)과 외부전화라인(3)과 송수화기 코드라인(4)과 접속되는 접속단자(114, 115, 116)를 구비하며, 하기에 상세히 설명할 제 1훅블록(200)의 훅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유연하고 상당한 길이의 케이블(118)을 접속시키는 케이블단자(117)를 구비하고 있다.
전원부(111)는 전화기 제어부(11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전기회로이다.
전화벨 모듈(112)은 전화라인(3)으로부터 공급되는 20Hz의 주파수와 90Volt의 신호음을 스피커(도시 안됨)와 틸팅제어부(113)에 필요한 주파수와 전력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런 전화벨 모듈(112)은 통상의 콘덴서, 트랜지스터와 같은 전력 증폭 소자와, 리액턴스 트랜지스터, 가변 용량 다이오드와 같이 주파수 증폭 소자와, 스피커 전속단자, 출력단자 등을 구비한다.
틸팅제어부(113)는 전화벨 모듈(112)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필요한 때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저장하는 전력콘덴서 내지 배터리를 구비하고 있고, 이를 구동력을 발생하는데 사용하도록 직류형 전기모터(2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기모터(210)는 기어모터로서, 출력쪽 회전축의 회전수가 20 ∼ 30rpm으로 상당한 토크력을 발생시키고,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만 출력쪽 회전축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킴으로써, 전원 인가시 제 1훅블록(200)을 부드럽고 저속으로 경사지게 회동시키거나 수평하게 할 수 있고, 전원 비인가시 제 1훅블록(200)을 정지상태로 유지시킨다.
이런 전기모터(210)의 회전축은 커플러(211)를 통해서 제 1훅블록(200)의 힌지축(201, 202)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다.
특히, 제 1훅블록(200)은 송수화기의 수화기(103a) 하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부와 하부가 분해 조립가능하며 내부에 소정 공간을 갖는 플라스틱 케이싱이다. 이런 제 1훅블록(200)은 상면에 조립구멍(205)을 형성하고 있는데, 조립구멍(205)에는 노브(218 ; knob)가 결합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 1훅블록(200)은 케이싱의 내부에 전기회로인 부기판(216)을 고정시키고 있으며, 부기판(216)에는 전기적으로 훅스위치(212)가 구비되어 있다. 훅스위치(212)의 훅(213)은 노브(218)의 플런저(217)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노브(218)는 힌지작동가능하게 제 1훅블록(200)의 내부에 결합되어 있다. 즉, 노브(218)가 송수화기(103)의 수화기(103a) 하면에 눌려 힌지작동할 경우, 노브(218)의 플런저(217)가 훅(213)을 눌러서 훅스위치(212)를 오프(OFF)상태로 만들고, 송수화기(103)를 사용자가 들어올릴 경우, 훅스위치(212)의 탄성수단에 의해 훅(213)이 노브(218)를 들어올리게 되어 있다.
또한, 제 1훅블록(200)의 상부쪽 하단 모서리에는 경사면을 갖는 정지턱(219)이 형성되어 있고, 양 측면에는 앞서 언급한 힌지축(201, 202)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힌지축(201, 202)들은 각각 지지단(203, 204)에 의해 지지됨과 동시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송수화기(103)를 위한 송수화기 받침대 공간(106)의 좌측에는 블록조립용 구멍(106a)이 형성되어 있는데, 블록조립용 구멍(106a)에서는 평상시 제 1훅블록(200)이 받침단(119)에 지지되어서 수평을 이루면서, 송수화기(103)의 수화기(103a)를 지지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부커버(107)와 결합되는 하부커버(108)는 다수의 고정단(120)으로 주기판(109)을 지지함과 동시에, 나사결합될 때 상부커버(107)와 하부커버(108)의 고정단(120, 121)으로 고정시킨다.
또한, 전기모터(210)는 하부커버(108)의 바닥판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장착대(240)에 결합된다.
아래에서,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전화벨 발생전압을 이용한 송수화기 틸트장치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겠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된 유무선전화기의 전원을 온(ON)하여 작동대기 상태로 되게 한다. 즉, 휴대장치(101)는 충전기(101a)에 놓여져 있고, 접속장치(100)의 송수화기(103)의 수화기(103a)는 송수화기 받침대 공간(106)에 수평하게 놓여져 있다. 이때, 송수화기(103)의 수화기(103a)는 제 1훅블록(200)의 상면과 접촉하여 노브(218)를 제 1훅블록(200)의 안쪽으로 밀고, 이렇게 밀려진 노브(218)의 플런저(217)가 훅스위치(212)의 훅(213)을 하향으로 밀어 통화대기 상태를 만든다(훅스위치의 OFF 상태).
만일 외부에서 본 발명의 유무선전화기의 접속장치(100)로 전화벨 발생전압을 갖는 신호음이 전달될 경우, 전화벨 모듈은 신호음을 스피커와 틸팅제어부에 필요한 주파수와 전력으로 변환하여 공급하고, 전화기 회로가 40 채널중 어느 한 채널로 접속을 시도하여 휴대장치(101)와 접속한다. 이런 경우, 접속장치(100)와 휴대장치(101)는 거의 동시에 전화벨이 울리게 된다.
한편, 틸팅제어부는 전달된 전력을 제어하여 적당한 전압과 전류를 유한한 시간동안 전기모터(210)에 흘려보내어 회전축을 회전시킨다. 이런 회전축과 연결된 힌지축(201)을 갖는 제 1훅블록(200)은 유한한 회전각으로 회전되고, 정지턱(219)이 블록조립용 구멍(106a)의 끝단(106b)에 접촉할 때에 정지된다. 따라서, 제 1훅블록(200)의 회전 및 정지에 의해서 송수화기(103)는 상향으로 틸트되어 돌출되게 된다(h).
만일, 사용자가 휴대장치(101)를 들어올려 통화를 하는 경우, 제 1훅블록(200)과 송수화기(103)는 전화통화가 끝날 때까지 틸트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휴대장치(101)에서 전화통화의 종료 신호가 접속장치의 틸팅제어부로 전달될 경우, 틸팅제어부는 전기모터를 반대로 유한한 시간동안 회전시켜서 제 1훅블록(200)과 송수화기(103)를 수평한 상태로 유지시킨다.
또한, 사용자가 접속장치(100)의 송수화기(103)를 들어올릴 경우, 제 1후블록(200)의 훅스위치(212)가 온(ON)상태가 되어 전화통화가 가능하며, 이때에도 전화통화가 끝날 때까지 제 1훅블록(200)은 틸트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송수화기(103)를 송수화기 받침대 공간(106)에 안착시키면, 수화기(103a)가 노브(218)를 눌러 훅스위치(212)가 오프(OFF)되고, 이때, 틸팅제어부는 전기모터를 반대로 유한한 시간동안 회전시켜서 제 1훅블록(200)과 송수화기(103)를 수평한 상태로 유지시킨다.
<제 2실시예>
이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전화벨 발생전압을 이용한 송수화기 틸트장치는 제 2훅블록을 상하방향으로 승강 및 하강시키고, 그 결과 송수화기를 틸트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도 1 내지 도 7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것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될 것이다.
도면에서,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유무선전화기용 접속장치의내부 구성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접속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훅블록(200')은 길이방향쪽 양 측면(281, 282) 하단에 각각 정지턱(219a, 219b)들이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양 측면(281, 282)의 안쪽 중앙에 기어장착 공간(283, 28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2훅블록(200')은 상기 받침대 공간(106)에 형성된 블록조립용 구멍(106a)에서 승강 작동할 때, 블록조립용 구멍(106a)의 테두리(106b, 106c)와 접촉하여, 제 2훅블록(200')이 외부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정지턱(219a, 219b)들을 형성하고 있다.
이런 제 2훅블록(200')은 전기모터(21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랙, 피니언 동력 전달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전기모터(210)의 회전축은 기어박스(300)에 설치된 구동기어(301)와 제 1피동기어(302)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기어 결합되어 있고, 이런 제 1피동기어(302)의 회전축은 반대쪽 단부쪽에 두개의 제 1, 제 2풀리(303, 304)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제 2풀리(303, 304)는 제 2훅블록(200')의 축심쪽에 위치하며, 기어장착 공간(283, 284)에 각각 배치된 피니언기어 세트(305, 306, 308, 309)와 두개의 벨트(320)로 결합되어 있어서, 각각의 피니언기어(306, 309)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피니언기어(306, 309)는 기어장착 공간(283, 284)의 랙기어(307a, 307b)에 각각 기어 결합되어 있다. 즉, 전기모터(210)의 구동력이 피니언기어(306, 309)에 전달될 경우, 피니언기어(306, 309)의 회전방향에 따라 랙기어(307a, 307b)를 축의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힘을전달하고, 이에 따라 랙기어(307a, 307b)를 갖는 제 2훅블록(200')을 승강 및 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2훅블록(200')은 축심을 가로지르는 폭방향쪽 내부에는 두께의 하방향으로 통공되어 제 2훅블록(200')의 승강 및 하강작동을 수직한 방향으로 안내하는 두개의 중공형 가이드(330, 331)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런 중공형 가이드(330, 331)는 접속장치 하부커버(108)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가이드바(332)들과 각각 미끄럼 작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전화벨 발생전압을 이용한 송수화기 틸트장치의 작동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된 유무선전화기는 전원이 온(ON)되어 있고, 전화국의 교환기로부터 접속장치에 신호음이 전달될 경우, 전화벨 모듈과 틸팅제어부의 작동에 의해서, 전기모터(210)에 전원이 인가되어 회전축을 회전시킨다. 이런 회전축과 연결된 구동기어(301)와 제 1피동기어(302)와 제 1, 제 2풀리(303, 304)가 회전하면서, 기어장착 공간(283, 284)에 각각 배치된 피니언기어 세트(305, 306, 308, 309)를 구동시킨다. 이때, 각각의 피니언기어(306, 309)는 랙기어(307a, 307b)를 상향으로 밀어올리는 쪽으로 회동함으로써, 랙기어(307a, 307b)를 갖는 제 2훅블록(200')이 승강한다. 그런 경우, 제 2훅블록(200')이 송수화기(103)를 틸트시키고, 이런 송수화기(103)는 접속장치의 상면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송수화기(103)를 송수화기 받침대 공간(106)에 안착시키면, 수화기(103a)가 노브(218)를 눌러 훅스위치(212)가 오프(OFF)된다. 이때, 틸팅제어부는 전기모터의회전축을 유한한 시간동안 반대로 회전시키므로 제 2훅블록(200')이 하강하고, 이에 따라 송수화기(103)가 수평한 상태로 유지되면서, 더 이상 전화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화벨 발생전압을 이용한 송수화기 틸트장치는 일반 전화기나, 접속장치 및 휴대장치로 이루어진 유무선전화기의 내부에 안착된 송수화기를 외부로 돌출되게 작동시킴으로써, 독특한 기능과 디자인 구성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역동적이면서 경쾌한 움직임을 부여하여 제품 품질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화벨 발생전압을 이용한 송수화기 틸트장치는 전동기어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훅블록을 저속으로 부드럽게 틸트시키거나 승,하강 작동시키고, 이를 통해서 부드럽게 송수화기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사용자가 돌출된 송수화기를 눈으로 확인하여, 전화기의 작동 상태를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유무선전화기의 경우, 휴대장치가 사용중일 때 접속장치의 사용유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직접 접속장치의 위치까지 가서 송수화기를 들고 귀에 댄 후 작동음을 들어야 그 사용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전화벨 발생전압을 이용한 송수화기 틸트장치는 전속장치 내지 휴대장치의 작동 유무를 송수화기의 돌출 상태로 쉽게 확인할 수 있어서 사용상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화벨 발생전압을 이용한 송수화기 틸트장치는 송수화기를 틸트시키는데 구동력을 제공하는 전기모터의 전원을 전화벨 발생전압을 사용함으로써, 유무선전화기와 같이 전원을 제공하지 않는 일반적인 전화기에도 적용될 수 있어서 외부 전원이 필요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전화벨 발생전압을 이용한 송수화기 틸트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4)

  1. 송수화기(103)를 받침대 공간(106)에 안착시킨 전화기 본체(102)에 설치하는 전화벨 발생전압을 이용한 송수화기 틸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 본체(102) 내부에 설치되어 전화벨 발생전압을 전기모터(210)에 적합하도록 변환시키는 전화벨 모듈(112)과 상기 전기모터(210)의 작동을 제어하는 틸팅제어부(113)가 회로적으로 구비된 주기판(109)과;
    상기 주기판(109)의 케이블(118)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훅스위치(212)를 내장하고, 상기 전기모터(210)에서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게 기계적으로 결합된 훅블록(200, 200')을 포함하며,
    상기 전기모터(210)의 작동시 상기 훅블록(200, 200')이 상기 송수화기(103)의 수화기(103a)를 틸트시킴으로써, 상기 송수화기(103)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벨 발생전압을 이용한 송수화기 틸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훅블록(200, 200')은 상기 훅스위치(212)를 장착한 부기판(216)을 내부에 고정하고 있으며, 상기 훅스위치(212)를 스위칭 작동시키는 노브(218)가 상면에 형성된 조립구멍(205)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받침대 공간(106)의 블록조립용 구멍(106a)에 배치되어서 상기 송수화기(103)의 수화기(103a)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벨 발생전압을 이용한 송수화기 틸트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훅블록(200)은 일측의 양쪽 측면에 힌지축(201, 202)을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있고, 상기 힌지축(201, 202)이 각각의 지지단(203, 20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커플러(211)를 통해 상기 전기모터(210)의 회전축과 축연결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상기 전기모터(210)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전환에 따라 유한한 각도범위 내에서 힌지식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벨 발생전압을 이용한 송수화기 틸트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훅블록(200')은 랙기어(307a, 307b)와 피니언기어 세트(305, 306, 308, 309)로 상기 전기모터(21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도록 결합되어서, 상기 받침대 공간(106)의 블록조립용 구멍(106a)에서 수직방향으로 승강 및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벨 발생전압을 이용한 송수화기 틸트장치.
KR1020020008508A 2002-02-18 2002-02-18 전화벨 발생전압을 이용한 송수화기 틸트장치 KR100340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508A KR100340172B1 (ko) 2002-02-18 2002-02-18 전화벨 발생전압을 이용한 송수화기 틸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508A KR100340172B1 (ko) 2002-02-18 2002-02-18 전화벨 발생전압을 이용한 송수화기 틸트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762U Division KR200274702Y1 (ko) 2002-02-18 2002-02-18 전화벨 발생전압을 이용한 송수화기 틸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9506A KR20020019506A (ko) 2002-03-12
KR100340172B1 true KR100340172B1 (ko) 2002-06-15

Family

ID=19719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8508A KR100340172B1 (ko) 2002-02-18 2002-02-18 전화벨 발생전압을 이용한 송수화기 틸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017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9506A (ko) 2002-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26475B2 (en) Communications device with voice recognition and movable element control interface
KR0129713B1 (ko) 휴대용 통신장치
EP2389754A1 (en) A headset system with two user interfaces
JP2004173233A (ja) 携帯型情報端末装置
KR100595691B1 (ko) 이동단말기의 스피커 업다운 장치
KR100340172B1 (ko) 전화벨 발생전압을 이용한 송수화기 틸트장치
KR200274702Y1 (ko) 전화벨 발생전압을 이용한 송수화기 틸트장치
KR100630127B1 (ko) 보조 표시부를 구비한 폴더 타입 무선 단말기 및 보조표시부 구동방법
JP2000358085A (ja) 携帯電話機の充電時における着信報知切替え方法と装置
JP2002281116A (ja) 折り畳み式携帯通信機器
JP2003051871A (ja) 折り畳み式携帯通信端末装置
JP2994317B2 (ja) 電話機および電話機の制御方法
JPH11186951A (ja) 移動無線電話機および移動無線電話システム
KR100628541B1 (ko) 수화기 리프트 장치
KR20010034562A (ko) 송수화기를 들어올리기 위한 장치
KR100384543B1 (ko) 전화벨 발생전압을 이용한 송수화기 회동장치
JP2001053839A (ja) 移動無線端末装置
JP2001339506A (ja) 携帯端末装置
KR200281718Y1 (ko) 디비디 플레이어 겸용 전화기
KR100384542B1 (ko) 전화벨 발생전압을 이용한 송수화기 슬라이딩장치
CN2534746Y (zh) 新型无绳电话机
KR200177447Y1 (ko) 유선전화기처럼 본체와 수화기가 분리된 형태로 제공되는무선전화기
JP2003319032A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0224376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신호 수신장치
KR200232579Y1 (ko) 핸즈프리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배터리의 충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