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7447Y1 - 유선전화기처럼 본체와 수화기가 분리된 형태로 제공되는무선전화기 - Google Patents

유선전화기처럼 본체와 수화기가 분리된 형태로 제공되는무선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7447Y1
KR200177447Y1 KR2019990023435U KR19990023435U KR200177447Y1 KR 200177447 Y1 KR200177447 Y1 KR 200177447Y1 KR 2019990023435 U KR2019990023435 U KR 2019990023435U KR 19990023435 U KR19990023435 U KR 19990023435U KR 200177447 Y1 KR200177447 Y1 KR 2001774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main body
handset
dial
trans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34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선
황삼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싸이버뱅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싸이버뱅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싸이버뱅크
Priority to KR20199900234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74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74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74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Abstract

본 고안은 유선전화기처럼 본체와 수화기가 코일 코드로 연결된 형태의 무선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전화라인에 무선 송수신회로와 전화기 제어장치와 벨소리 처리회로 부분으로 구성되는 본체를 설치하고, 이에 대응하는 상대 무선전화기를 현재의 유선전화기와 같이 수화기와 본체가 코일코드로 분리된 형태로 제공하도록 무선송수신 회로, 제어회로, 수화기 감지회로, 스프커폰 회로 및 배터리와 코일코드 및 스피커, 마이크로 구성하여, 현재의 핸드셋 무선전화기와 같이 움직이면서 사용하며 일하는 중에 전화를 받을 때는 스피커폰으로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유선전화기처럼 본체와 수화기가 분리된 형태로 제공되는 무선전화기{The Cordless Phone Which Is Separated Alike Telephone}
고안의 분야
본 고안은 핸드셋 형태의 무선전화기를 현재의 유선전화기와 같이 수화기와 본체를 분리하여 코일 코드로 연결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상 편리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무선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유선전화기를 무선전화기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대해서는 본 고안인에 의해 고안(실용신안 공고 94-1178호)되었지만 이는 유선전화기에 부착하는 어댑터 형태로 제공되어 구현에 많은 제약이 있었다. 이에 이를 개량하여 유선전화기 자체에 구현함으로써 소기의 목적을 달성함은 물론 보다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는데, 핸드셋 형태의 무선전화기를 코일코드가 달린 유선전화기 형태로 제공함은 사무실과 가정의 응접세트에 놓기가 불편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다이얼 자판들을 크게 할 수 있어 연로자들이 사용이 쉽도록 하며 다양한 형태의 제품 디자인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본 고안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고안의 배경
기술의 발전에 의하여 널리 보급되어 있는 무선전화기가 생활에 편리함을 제공하여 주고 있으며, 현재는 본체 하나에 다수의 핸드셋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제품까지 개발되어 전 가족이 사용하는데 편리함을 극대화시키고 있다. 그러나 무선전화기는 핸드셋에 모든 기능을 집적시켜 점차 소형화 및 경량화 되고 있어 사무실이나 가정의 응접세트에 올려놓기는 부적합하며 본체를 올려놓을 경우 전화선과 직류전원 공급선으로 인하여 배치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화기의 소형화와 함께 다이얼 버튼의 크기가 작아져 연로한 사람들이 사용하기에는 다이얼 누르기가 쉽지 않아 현재의 유선전화기 처럼 다이얼 자판이 커져야 하지만 핸드셋의 한계로 이는 불가능하고, 또한 핸드셋에는 무게 때문에 소형 충전 배터리를 사용하여 쉽게 방전이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고용량 배터리를 제공해야 하는데 이를 현재의 핸드셋 형태에 적용하기에는 크기 및 무게로 한계점이 있어, 궁극적으로 유선전화기처럼 코일 코드로 수화기가 분리되는 형태로 제공되어야만 한다.
본 고안인에 의하여 출원(실용신안 출원 91-3315호) 및 공고(실용신안 공고 94-1178호)된 유선전화기 형태의 무선전화기를 제공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 형태가 있다. 첫째는 전화 국선측과 전화기 본체의 연결선을 절단하고 송수신장치를 부착하는 방식, 둘째는 전화기 본체와 송수화기 연결선을 절단하고 송수신장치를 부착하는 방식, 셋째는 전화국선측과 전화기 본체와 송수화기의 연결선을 절단하고 세 부분으로 나누어 송수신장치를 부착하는 방식이 있다. 본 고안인이 기출원한 '유선전화기의 무선화용 송수신 어댑터장치' 출원번호 제 91-3315호는 첫째의 방식을 사용한 것으로, 벨신호감지기, 방향성 분리기, 무선 송수신기 및 통화회로 검출기를 포함한 어댑터는 벽면에 고정시키고 벨신호 발생기, 방향성 분리기, 무선 송수신기 및 훅 스위치 검출기를 포함한 어댑터를 전화기 본체에 부착하여 무선화시켰으나 회로가 복잡하고 어댑터 장치의 크기로 구성에 무리가 있어 본 고안으로 개량될 필요가 있다. 둘째 방식은 본고안인이 기출원 공고된 제 94-1178호로 통상의 무선전화기에 사용하는 방식으로 무선전화기의 본체에는 송수신회로, 릴레이, 비밀번호 설정 및 검색 기능으로 기능을 최소화하고 송수화기 부분에 다이알, 온/오프 스위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기존의 핸드셋 형태의 무선전화기가 가지는 사용할 때 편리한 이점에도 불구하고 전화기 본체가 주가 되어 응접세트 등에 올려놓을 때 전원 공급선과 전화선 때문에 위치 및 배선으로 설치가 어려우며, 핸드셋을 응접 세트 위에 올려놓기에는 안정감과 기능상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을 하면서 전화를 받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스피커폰을 사용하지만, 현재의 핸드셋 형태의 무선전화기에는 이러한 스피커폰 기능이 제공되지 않는데 이러한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편리한 전화 문화를 제공하고자 함이 본 고안의 목적이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은 모두 하기 설명되는 본 고안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유선전화기처럼 본체와 수화기가 분리된 형태로 제공되는 무선전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유선전화기처럼 본체와 수화기가 분리된 형태로 제공되는 무선전화기의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전화라인 2: 팁
3: 링 4: 송수신장치
5: 송수신측 안테나 6: 본체측 안테나
7: 수화장치 8: 스피커
9: 마이크 10: 감지스위치
11: 전원소켓 12: 본체
13: 코일코드 14: 직류전원 공급장치
15: 안테나 16: 송수신장치
17: 전화다이얼 18: 스피커폰 다이얼
본 고안은 유선전화기처럼 본체와 수화기가 코일 코드로 연결된 형태의 무선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전화라인에 무선 송수신회로와 전화기 제어장치와 벨소리 처리회로 부분으로 구성되는 본체를 설치하고, 이에 대응하는 상대 무선전화기를 현재의 유선전화기와 같이 수화기와 본체가 코일코드로 분리된 형태로 제공하도록 무선송수신 회로, 제어회로, 수화기 감지회로, 스프커폰 회로 및 배터리와 코일코드 및 스피커, 마이크로 구성하여, 현재의 핸드셋 무선전화기와 같이 움직이면서 사용하며 일하는 중에 전화를 받을 때는 스피커폰으로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었는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유선전화기처럼 본체와 수화기가 선으로 분리된 형태로 제공되는 무선전화기는, 현재의 핸드셋 형태의 무선전화기가 휴대하면서 통화하기는 편하지만, 인간의 의식주 생활에 적합하지 않은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이를 해결하고자 생각된 것이며, 해결의 초점은 기존의 유선전화기 형태로 무선전화기를 제공하는 방식에서 핸드셋으로 제공하기 어려운 큰 다이얼, 고용량 배터리, 임의로 고정적인 전화 설치 위치의 이점을 확보할 수 있으며, 현재의 핸드셋 형태의 무선전화기에서 구현되지 않은 스피커폰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무선전화기의 송수신 회로는 크게 아날로그와 디지털 방식으로 구분되고 각각 다수의 채널을 선택적으로 중앙제어장치의 제어하에 가장 깨끗한 채널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주파수 대역도 40Mhz에서 최근은 900Mhz로 전환되고 있으며 일부는 기가 대역까지 사용하는 추세이고, 기존의 무선전화기 개념을 벗어나 발신 전용 전화와 각종 이동전화와 접목시키는 기술 들이 소개되고 있어 미래의 전화기상을 예측하기가 어려울 정도이다.
무선 송수신 관련 회로들과 반도체 기술의 발전에 의하여 원칩화되고 있어 기존의 복잡한 송수신 회로들이 원칩 주위에 소수의 부속 부품을 연결하면 신호가 처리되는 단계에 이르러 송수신 관련 회로 기술은 주지의 사실화되고 있어 앞으로 전화기 관련 기술은 이러한 소자들을 활용해 새로운 기능과 기술을 창조하는 쪽으로 전개되리라 생각된다. 무선전화기가 보다 편리함을 추구하는 인간 필요의 산물인 만큼, 기능적이나 기술적으로 현재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향으로 전화기 관련 기술은 진보할 것이고 본 고안 또한 이러한 진보에 대응하여 제시되는 기술인바,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유선전화기처럼 본체와 수화기가 선으로 분리된 형태로 제공되는 무선 전화기의 개략적인 구성도가 제 1 도에 도시되어 있다. 팁(2)과 링(3)으로 구성되는 전화라인(1)과 연결하는 송수신장치(4)는 무선 송수신회로와 제어회로를 내장하고 있어서 안테나(5)를 통하여 들어오는 신호에 따라 호를 연결하고 음성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이에 대응하는 무선전화장치는 각종 입력장치가 설치된 본체(12)와 올려 놓는 수화장치(7)가 코일 코드(13)를 통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수화장치(7)에는 스피커(8)와 마이크(9)가 설치되어 있고 본체(12)에 놓여 있을 때에는 감지스위치(10)에 의하여 처리되며 직류 전원공급장치(14)에 의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원 소켓(11)이 설치되어 있다.
전화다이얼에는 현재의 핸드셋 무선전화기와는 달리 스피커폰 선택 스위치가 설치되어 필요시 스피커폰으로 통화를 할 수 있고, 감지스위치가 설치되어 수화장치(7)를 들어야 전화 장치가 전 동작을 진행하는 특징이 있으며, 고용량 배터리를 적용하여 장기간 별도로 전원공급장치를 연결하지 않아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벨소리를 송수신장치(4)와 무선전화기 본체(12)에서 모두 소리가 나도록 구성할 수 도있고 각각 따로 한 쪽만 소리가 나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무선전화기 본체의 전원 절약을 위해서는 송수신장치(4)에서만 소리가 나도록 구성하고 무선전화기(12)에서는 수화장치(7)를 들거나 스프키폰 스위치를 눌러야 동작하도록 구성하는 방법이 있다.
제2도는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로 무선전화기 본체(12)는 안테나(15)를 통하여 송수신장치(16)를 통하여 오디오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는데 오디오 출력(29)은 감지스위치(22)나 스피커폰 선택 다이얼(18) 입력에 의하여 전환되는 신호 전환장치(28)를 통하여 스피커(25)나 외부 스피커(27)로 들리며, 마이크(26)나 외부 마이크(27) 입력은 신호전환장치(28)에서 선택되어 오디오 입력회로(30)를 통하여 송수신 장치(16)를 통하여 신호 전달을 수행하며, 중앙제어장치(20)는 전화다이얼(17) 및 스피커폰 다이얼(18)을 감지하여 다이얼 톤의 전달 및 제어를 수행하고 코드로 연결된 수화기의 들림을 감지하기 위하여 감지스위치(22)의 입력을 받아들이는데, 감지 스위치로는 후크스위치(19), 비접촉식 스위치(23), 수직/수평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전화기 본체(1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외부 전원 공급장치 소켓(35)을 통하여 충전용 배터리(34)를 충전하는데, 충방전 제어회로(33)를 통하여 전원(31)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전화라인(38)과 연결되어 무선전화기 본체(12)와 신호 전달과 호 연결 기능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4)는 신호변환장치(39)에 의해 신호를 바꾸며 바뀐 신호는 각각 오디오 출력회로(40)와 송신회로(42)를 거쳐 송신되며 안테나(44)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는 수신회로(43)를 거쳐 오디오 입력회로(41)를 통하여 상대방에게 전달되고, 이러한 회로들을 기능에 맞도록 제어하는 제어회로(37)는 다이얼, 키폰 제어 신호, 스피커, 마이크와 같은 신호 입출력 장치를 연결하고 동작하도록 지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송수신 장치는 사무실에 널리 사용되는 키폰 시스템의 각 출력 회선에 부착하면 사무실에서도 일일이 배선하지 않아도 무선 키폰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데 사무실의 특성상 본 고안과 같은 형태의 무선전화기로 제공할 수 있어, 사무실 배치가 달라지더라도 전화기가 가지고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어 키폰 사용할 때 문제점을 해결 하여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유선전화기처럼 본체와 수화기가 선으로 분리된 형태로 제공되는 무선전화기는, 현재의 핸드셋 형태의 무선전화기가 휴대하면서 통화하기는 편하지만, 인간의 의식주 생활에 적합하지 않은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이를 해결하고자 생각된 것이며, 해결의 초점은 기존의 유선전화기 형태로 무선전화기를 제공하는 방식에서 핸드셋으로 제공하기 어려운 큰 다이얼, 고용량 배터리, 임의로 고정적인 전화 설치 위치의 이점을 확보할 수 있으며, 현재의 핸드셋 형태의 무선전화기에서 구현되지 않은 스피커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함은 물론 전화기 사용이 보다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는데, 핸드셋 형태의 무선전화기를 코일코드가 달린 유선전화기 형태로 제공함은 사무실과 가정의 응접 세트에 놓기가 불편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다이얼 자판들을 크게 할 수 있어 연로자들이 사용이 쉽도록 하며 다양한 형태의 제품 디자인들이 가능하여 보다 편리한 통신 문화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하리라 생각된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의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되어야 한다.
사회가 고령화되어 가면서 고령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데, 고령화 인구의 경우 대부분 기억력 감퇴와 시력 저하로 인하여 핸드셋 형태의 무선전화기는 사용후 놓은 자리를 기억하지 못해 찾는 경우가 많으며 전화기 다이얼 자판이 작을 경우 사용하는데 애로점이 많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과 같이 유선전화기 처럼 구성함으로써 무선 전화기의 휴대성은 다소 희생되지만 상시 놓아두는 자리를 다수 지정함으로써 상기의 분실 문제를 해결하고, 가시성이 좋도록 다이얼 크기를 결정할 수 있으며 고용량 배터리의 적용이 가능하여 자주 충전하지 않더라도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Claims (7)

  1. 무선전화기에 있어서, 팁(2)과 링(3)으로 구성되는 전화라인(1)과 연결하는 송수신장치(4)는 무선 송수신회로와 제어회로를 내장하고 있어서 안테나(5)를 통하여 들어오는 신호에 따라 호를 연결하고 음성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이에 대응하는 무선 전화장치는 각종 입력장치가 설치된 본체(12)와 올려 놓는 수화장치(7)가 코드(13)를 통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수화장치(7)에는 스피커(8)와 마이크(9)가 설치되어 있고, 본체(12)에 수화장치(7)에 의해 동작하는 감지스위치(10)에 의하여 전화기상태가 전환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전화기처럼 본체와 수화기가 분리된 형태로 제공되는 무선전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전화기의 배터리 충전을 위해 직류전원 공급장치(14)에 의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원 소켓(11)이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전화기 형태로 제공되는 무선전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충전용 배터리를 탈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방전시에는 방전된 배터리를 빼내고 충전된 배터리를 끼워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전화기 형태로 제공되는 무선전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전화다이얼에 스피커폰 선택스위치(18)가 설치되어 필요시 스피커폰으로 통화할 수 있고, 수화장치(7)를 들어야 전화 장치가 관련 동작을 진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전화기 형태로 제공되는 무선전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벨소리를 송수신장치(4)와 무선전화기 본체(12)에서 모두 소리가 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각각 따로 한 쪽만 소리가 나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무선전화기 본체(12)의 전원 절약을 위해서는 송수신장치(4)에서만 소리가 나도록 구성하고 무선전화기(12)에서는 수화장치(7)를 들거나 스피커폰 스위치를 눌러야 동작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본체(12)는 안테나(15)를 통하여 송수신장치(16)를 통하여 오디오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는데 오디오출력(29)은 감지스위치(22)나 스피커폰 선택 다이얼(18) 입력에 의하여 전환되는 신호전환장치(28)를 통하여 스피커(25)나 외부 스피커(27)로 들리며, 마이크(26)나 외부 마이크(27) 입력은 신호전환장치(28)에서 선택되어 오디오 입력회로(30)를 통하여 송수신 장치(16)를 통하여 신호 전달을 수행하며, 중앙제어장치(20)는 전화다이얼(17) 및 스피커폰 다이얼(18)을 감지하여 다이얼 톤의 전달 및 제어를 수행하고 코드로 연결된 수화기의 들림을 감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
  7. 제1항에 있어서, 수화장치(7)의 들림을 감지하기 위하여 감지스위치(22)의 입력을 받아들이는데, 감지스위치로는 후크스위치(19), 비접촉식 스위치(23), 수직/수평 센서나 임의의 다이얼 키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
KR2019990023435U 1999-10-28 1999-10-28 유선전화기처럼 본체와 수화기가 분리된 형태로 제공되는무선전화기 KR2001774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435U KR200177447Y1 (ko) 1999-10-28 1999-10-28 유선전화기처럼 본체와 수화기가 분리된 형태로 제공되는무선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435U KR200177447Y1 (ko) 1999-10-28 1999-10-28 유선전화기처럼 본체와 수화기가 분리된 형태로 제공되는무선전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7447Y1 true KR200177447Y1 (ko) 2000-04-15

Family

ID=19594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3435U KR200177447Y1 (ko) 1999-10-28 1999-10-28 유선전화기처럼 본체와 수화기가 분리된 형태로 제공되는무선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744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6175B2 (en) Cordless and wireless telephone docking station
US20030236091A1 (en) Apparatus for wirelessly-coupling a bluetooth-wireless cellular mobile handset to a docking station for connecting a standard telephone set to the cellular network
KR20000025955A (ko) 라디오 겸용 이어폰-마이크 및 그 이어폰-마이크를 이용한전화 통화/라디오 청취 제어 방법
JP2749248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
US5526405A (en) Cordless telephone apparatus with a speakerphone operation mode cordless
JP2001339485A (ja) 携帯電話と共同使用可能な固定ネットワーク電話機
KR200177447Y1 (ko) 유선전화기처럼 본체와 수화기가 분리된 형태로 제공되는무선전화기
KR200293071Y1 (ko) 캐릭터가 움직이는 핸드폰 케이스
KR19990000549A (ko) 유선전화기처럼 본체와 수화기가 분리된 형태로 제공되는 무선전화기
KR20000055031A (ko) 유선전화기처럼 본체와 수화기가 분리된 형태로 제공하는 무선전화기
RU2171545C1 (ru) Бесшнуровой громкоговорящий телефон
KR19990085489A (ko) 휴대폰 접속기능을 갖는 무선전화시스템
JPS6394748A (ja) コ−ドレス通話装置
JP2000286929A (ja) 携帯電話用充電器
KR100366771B1 (ko) 휴대전화의 충전기능을 구비한 전화기
KR19990001680A (ko) 유선전화기처럼 본체와 수화기가 분리된 형태로 제공되는 무선전화장치
JPH08251641A (ja) コードレスボタン電話装置
CN100440894C (zh) 带有自动呼叫转移功能的固定电话
JPH0654044A (ja) 携帯電話端末装置および発呼データ登録方法
KR100605850B1 (ko) 이어마이크가 연결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동작 방법및 무선 이어마이크에서의 동작 방법
KR200313355Y1 (ko) 휴대폰의 톤음을 이용한 전화기
KR10049500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고정장치
KR20030046032A (ko) 일반 전화기를 이용한 휴대전화 통화 시스템 및 이시스템에 사용되는 베이스 스테이션 셋
KR100323283B1 (ko) 이동전화 수신기
KR200241236Y1 (ko) 휴대형 무선전화기 모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11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