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9619B1 - 벌브 소켓 - Google Patents

벌브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9619B1
KR100339619B1 KR1020000032638A KR20000032638A KR100339619B1 KR 100339619 B1 KR100339619 B1 KR 100339619B1 KR 1020000032638 A KR1020000032638 A KR 1020000032638A KR 20000032638 A KR20000032638 A KR 20000032638A KR 100339619 B1 KR100339619 B1 KR 100339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bulb
bulb socket
pieces
cl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2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7366A (ko
Inventor
야기다카유키
츠카모토히로노리
Original Assignee
고지마 류조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지마 류조,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고지마 류조
Publication of KR20010007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7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9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96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46Two-pole devices for bayonet type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bstract

베이어닛 구조를 갖는 벌브 소켓의 착탈성을 개선하는 동시에 베이어닛부에서의 협지력을 향상시켜 유지 안정성을 높인 벌브 소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벌브 소켓(10)에 마련되는 베이어닛부(14)의 구성으로서, 소켓 본체(11)의 원주 복수 개소에 배치된 걸림 돌기(112)와, 이 걸림 돌기(112)에 대하여 통축(筒軸)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또 소켓 본체(11)의 원주 방향의 복수 개소에 각각 외경(外徑)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협지편(115∼118)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협지편은 돌출 길이가 짧은 단측(短側) 협지편(115, 116)과, 이 단측 협지편보다 돌출 길이가 긴 장측(長側) 협지편(117, 118)으로 구성된다. 돌출 길이가 짧은 단측 협지편(115, 116)을 높은 강성의 협지편으로서 구성할 수 있고, 돌출 길이가 긴 장측 협지편(117, 118)을 높은 탄성의 협지편으로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벌브 소켓(10)을 리플렉터(40)에 착탈할 때의 조작성을 개선하는 한편, 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협지력을 높여 벌브 소켓의 안정된 유지 상태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벌브 소켓{BULB SOCKET}
본 발명은 등기구의 광원이 되는 벌브를 등기구 하우징에 장착하는데 이용되는 벌브 소켓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등기구 하우징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베이어닛 구조를 갖는 벌브 소켓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등기구에서는, 등기구의 케이스로서의 등기구 몸체나, 등기구 몸체내에 내장된 리플렉터 등으로 구성되는 등기구 하우징에 벌브를 장착하기 위한 구조로서, 그 벌브를 벌브 소켓에 유지하고, 또 그 벌브 소켓을 상기 등기구 몸체 혹은 리플렉터에 장착하는 구조가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종류의 벌브 소켓에서는, 벌브의 교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벌브 소켓의 착탈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착탈 가능한 구조로서 베이어닛 구조가 이용된다. 도 6은 종래의 베이어닛 구조를 갖는 벌브 소켓(10A)의 일례의 사시도로서, 소켓 본체(11A)는 도시 상측의 벌브(30)를 지지하는 벌브 지지부(12A)가 각이진 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개구부(201)내에는 콘택트(202)가 내장되며, 상기 개구부(201)에 삽입되는 벌브의 전극에 접촉하여 전기 접속이 행해진다. 또한, 상기 소켓 본체(11A)는 도시 하측의 상기 벌브 지지부(12A)로 이어지는 영역이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베이어닛부(14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어닛부(14A)는 상기 소켓 본체(11A)의 원주면의 원주 복수 개소에 외경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 돌기(211)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둘레면에는 상기 걸림 돌기(211)에 대하여 통축 방향을 따른 후방측에 미소 치수로 대향된 패틀(petal)형의 복수 개의 탄성 협지편(212)이 마련된다.
이러한 벌브 소켓(10A)에서는,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리플렉터(40)의 배면에 개구된 소켓 부착 구멍(41)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른 복수 개소에, 상기 걸림 돌기(211)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걸림 홈(42)을 형성해 두고, 벌브 소켓(10A)을 전단측으로부터 상기 소켓 부착 구멍(41)에 삽입하며, 탄성협지편(212)을 통축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면서 걸림 돌기(211)를 상기 걸림 홈(42)에 삽입 관통하고 나서 벌브 소켓(10A)을 통축 주위로 미소 각도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도 7에 그 측면도를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 돌기(211)와 탄성 협지편(212) 사이에 상기 소켓 부착 구멍(41)의 주연부가 진입되어 협지되기 때문에, 이 협지력으로 벌브 소켓(10A)을 리플렉터(40)에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장착한 상태의 벌브 소켓(10A)을 상기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한 협지 상태를 해소하여 벌브 소켓(10A)을 리플렉터(40)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벌브 소켓에서는, 걸림 돌기(211)와 탄성 협지편(212)으로 소켓 부착 구멍(41)의 주연부를 협지함으로써 벌브 소켓(10A)을 리플렉터(40)에 유지시키고 있기 때문에, 협지력을 높이는 경우에는 탄성 협지편(212)의 강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 협지편(212)은 소켓 본체(11A)와 일체로 수지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탄성 협지편(212)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좋지만, 너무 강성을 높게 하면, 탄성 협지편(212)을 탄성 변형시키는 것이 곤란하게 되고, 상기한 바와 같이 벌브 소켓(10A)을 리플렉터(40)에 장착, 이탈시킬 때에 벌브 소켓(10A)과 리플렉터(40)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이 커져, 벌브 소켓을 회전시킬 때에 큰 힘이 필요하게 되어 벌브 소켓의 착탈성이 나빠진다. 반대로, 탄성 협지편(212)의 강성을 낮추어 탄성 변형하기 쉽게 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착탈성은 개선되지만, 탄성 협지편(212)에 있어서의 협지력이 저하되어, 벌브 소켓(10A)을 리플렉터(40)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유지하기가 곤란해진다. 특히, 도7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벌브 소켓(10A)에 통축 방향의 큰 외력이 가해졌을 때, 탄성 협지편(212)이 용이하게 탄성 변형하여 베이어닛부(14A)에서의 협지력이 저하되어 버린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탄성 협지편에서의 상반되는 요구에 대처하여 착탈성을 개선하는 동시에 협지력을 향상시켜 유지 안정성을 높인 벌브 소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벌브 소켓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며, 벌브 소켓, 벌브 및 리플렉터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벌브 소켓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벌브 소켓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AA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5는 도 1의 벌브 소켓을 리플렉터에 장착한 상태의 일부를 파단한 측면도.
도 6은 종래의 벌브 소켓의 일례의 사시도.
도 7은 종래의 벌브 소켓을 리플렉터에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벌브 소켓
11 : 소켓 본체
12 : 벌브 지지부
13 : 커넥터부
14 : 베이어닛부
20 : 콘택트
30 : 웨지 베이스 벌브
31 : 베이스부
33 : 전극
40 : 리플렉터
41 : 소켓 부착 구멍
42 : 걸림 홈
101 : 개구부
111 : 절결부
112 : 걸림 돌기
113 : 플랜지
114 : 슬릿
115, 116 : 단측 협지편
117, 118 : 장측 협지편
115a∼118a : 접촉 돌기
본 발명은 벌브 소켓에 배치되는 베이어닛부의 구성으로서, 소켓 본체의 원주 복수 개소에 배치된 걸림 돌기와, 상기 걸림 돌기에 대하여 통축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소켓 본체의 원주 방향의 복수 개소에서 각각 외경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협지편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복수 개의 협지편은 돌출 길이가 짧은 단측 협지편과, 상기 단측 협지편보다 돌출 길이가 긴 장측 협지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협지편은 상기 소켓 본체의 통축 위치에 마련된 원판형 플랜지의 일부로 구성되고, 상기 플랜지의 원주 복수 개소에 마련되어 원주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슬릿 쌍에 의해 각각 이격 형성된 복수 개의 설형편(舌形片)으로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다음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켓 본체의 원주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내경 방향을 향해 오목하게 된 절결부가 마련되고, 상기 장측 협지편은 상기 절결부가 마련된 원주면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장측 협지편은 외경 방향의 선단으로부터 내경 방향을 향해 그 두께가 증대된다. 또한, 상기 벌브 지지부는 직사각형의 각이진 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장측 협지편은 상기 벌브 지지부의 길이 방향과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협지편은 외경 방향 선단부의 상기 걸림 돌기에 대향하는 쪽의 면에 통축 방향의 접촉 돌기가 형성되고, 또 상기 접촉 돌기는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돌출 길이가 짧은 단측 협지편을 높은 강성의 협지편으로서 구성할 수 있고, 단측 협지편보다 돌출 길이가 긴 장측 협지편을 탄성이 있는 협지편으로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 단측 협지편과 장측 협지편에 있어서의 고강성, 고탄성의 각 특성에 의해 벌브 소켓을 등기구쪽에 착탈시킬 때의 조작성을 개선하는 한편, 장착 상태에서의 협지력을 높여 벌브 소켓의 안정된 유지 상태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웨지 베이스 벌브라 불리는 구금(口金)이 없는 전구를 장착하기 위한 벌브 소켓(1)에 적용한 실시 형태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그 평면도, 도 3은 정면도이다. 상기 벌브 소켓(10)은 수지 성형에 의해 형성된 개략 형상이 통형인 소켓 본체(11)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소켓 본체(11)의 도시 상측의 전단부는 각이진 통형의 벌브 지지부(12)로서 구성되며, 도시 하측의 후단부는 다른 형상을 한 커넥터부(13)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벌브 지지부(12)와 커넥터부(13)의 경계 영역인 상기 소켓 본체(11)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벌브 소켓(10)을 등기구쪽에 장착하기 위한 베이어닛부(14)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소켓 본체(11)내에는 도 4에 도 2의 AA선 단면도를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벌브 지지부(12)로부터 커넥터부(13)에 걸쳐 금속편을 가공한 복수 라인, 여기서는 2개의 콘택트(20)가 상기 소켓 본체(11)내에 삽입되어 내장 지지되어 있다. 상기 콘택트(20)는 그 전단측 영역이 상기 벌브 지지부(12)의 벌브 콘택트편부(21)로서 구성되고, 타단측 영역은 상기 커넥터부(13)의 커넥터편부(22)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벌브 지지부(12)에는 웨지 베이스 벌브(30)를 장착할 수 있고, 상기 커넥터부(13)에는 도시하지 않은 차량에 탑재된 전원에 접속된 전원측 커넥터를 끼워 맞출 수 있으며, 상기 콘택트(20)를 통해 상기 웨지 베이스 벌브(30)에 대하여 차량에 탑재된 전원의 전기 접속이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벌브 지지부(12)는 상기 웨지 베이스 벌브(30)의 베이스부(31)의 형상에 대응한 거의 편평한 직사각형 개구 형상의 각이진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전단 개구부(101)내에 상기 웨지 베이스 벌브(30)의 상기 베이스부(31)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웨지 베이스 벌브(30)는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31)가 편평하게 형성되고, 벌브(30)내에 내장되어 있는 필라멘트(32)에 전기 접속되어 있는 2개의 선형 전극(33)이 상기 베이스부(31)의 양면을 따라 굴곡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31)가 상기 벌브 지지부(12)의 전단 개구부(101)내에 내장되었을 때에는 상기 베이스부(31)의 각 전극(33)이 상기 소켓 본체(11)내에 내장되어 있는 상기 콘택트(20)의 벌브 콘택트편부(21)에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전기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벌브 지지부(12)의 상기 전단 개구부(101)내에는 상기 웨지 베이스 벌브(30)의 베이스부(31)에 마련된쐐기형 볼록부(34)와 서로 결합하여 웨지 베이스 벌브(30)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편(102)과, 상기 베이스부(31)에 있어서의 베이스 길이 방향의 요동을 흡수하기 위한 요동 흡수편(103)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벌브 지지부(12)에 끼워 넣어진 웨지 베이스 벌브(30)를 안정된 상태로 지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커넥터부(13)는, 이 실시 형태에서는 후단부에서 본 형상이 凸자형의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내측 저부에 상기 콘택트(20)의 커넥터편부(22)가 개구측을 향해 돌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커넥터부(13)에 대응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전원측 커넥터를 상기 커넥터부(13)에 끼워 맞춤으로써, 그 전원측 콘택트의 도시하지 않은 커넥터편을 상기 커넥터편부(22)에 접촉시켜 상호 전기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어닛부(14)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소켓 본체(11)의 외형이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여기서는 상기 벌브 지지부(12)의 각이진 통형상이 웨지 베이스 벌브(30)의 베이스부(31)에 대응하여 거의 편평한 직사각형인 것을 이용하고, 그 긴 변 방향을 따른 대각 위치의 양측부를 각각 통축의 중심측을 향해 직각〈 형으로 삭제(削除)한 절결부(111)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절결부(111) 이외의 원주면에는 복수 개의 걸림 돌기(112)가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들 걸림 돌기(112)는 원주 방향의 일단부가 테이퍼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플렉터(40)의 배면에 마련되어 있는 원형의 소켓 부착 구멍(41)의 둘레 가장자리에 원주 배치된 걸림 홈(42)에 대응되고, 각 걸림돌기(112)가 각 걸림 홈(42)을 삽입 관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어닛부(14)에 있어서의 원주면에는 상기 각 걸림 돌기(112)와 통축 방향으로 미소 간격, 즉 상기 리플렉터(40)의 두께 치수와 거의 같은 간격을 두고 원판형 플랜지(11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113)에는 그 원주 방향으로 거의 4등분된 위치에 있어서, 각각 원주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미소 간격으로 쌍을 이루는 슬릿(114)이 형성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각 쌍의 슬릿(114) 사이에 각각 설편형 협지편, 즉, 모두 4개의 협지편(115∼11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는, 상기 4개의 협지편(115∼118)은 후면측에서 그 두께가 상기 플랜지(113)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4개의 협지편(115∼118)중, 직경 방향으로 대향 배치되는 2개의 협지편(115, 116)은 상기 절결부(111)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원주면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각 협지편(115, 116)은 소켓 본체(11)의 반경 방향을 향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협지편(115, 116)은 그 편(片)의 길이가 짧은 단측 협지편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단측 협지편(115, 116)과 거의 직교하는 원주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다른 2개의 협지편(117, 118)은 상기 절결부(111)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벌브 지지부(12)의 직사각형 개구부(101)의 길이 방향과 거의 평행한 방향을 향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협지편(117, 118)은 그 길이가 상기 플랜지(113)의 직경 방향의 치수보다 긴 길이의 장측 협지편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장측 협지편(117, 118)은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외경 방향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절결부(111)를 향해 그 두께가 서서히 증대하도록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단측 협지편(115, 116)과 장측 협지편(117, 118)중 어느곳에도 각각의 선단부이고 또 상기 걸림 돌기(112)에 대향하는 면에는 상기 플랜지(113)의 전방면보다 통축 방향으로 미소 치수로 돌출되어 있는 접촉 돌기(115a∼118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플랜지(113)에 마련되어 있는 통축 방향의 구멍(119)은 상기 벌브 소켓을 수지 성형할 때에 이용되는 상기 걸림 돌기(112)를 성형할 때의 금형의 해체 구멍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벌브 소켓(10)에 따르면, 지금까지와 같이, 소켓 본체(11)의 벌브 지지부(12)에 웨지 베이스 벌브(30)의 베이스부(31)를 끼워 넣음으로써, 웨지 베이스 벌브(30)를 벌브 지지부(12)에 지지하는 동시에 웨지 베이스 벌브(30)의 전극(33)에 대하여 소켓 본체(11)내에 내장되어 있는 콘택트(20)의 벌브 콘택트편부(21)가 접촉되어 전기 접속이 행해진다. 그리고, 상기 벌브 소켓(10)을 벌브 지지부(12)측으로부터 리플렉터(40)의 소켓 부착 구멍(41)으로 삽입한다. 이 때, 베이어닛부(14)의 각 걸림 돌기(112)를 걸림 홈(42)에 정렬시킴으로써, 각 걸림 돌기(112)는 걸림 홈(42)이 삽입 관통되고, 이것에 의해 소켓 본체(11)는 플랜지(113)가 리플렉터(40)의 배면에 근접되는 위치까지 삽입된다. 그 후, 소켓 본체(11)를 통축 주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각 걸림 돌기(112)는 테이퍼형 부분에서의 쐐기 작용에 의해 리플렉터(40)의 내면을 따라 회전된다. 또한, 이 때, 리플렉터(40)의 배면측에서는, 4개의 협지편(115∼118)의 각 선단부에 마련한 접촉 돌기(115a∼118a)가 리플렉터(40)의 배면에 접촉하고, 약간 통축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이 결과, 소정의 각도만큼 벌브 소켓(10)이 회전되면, 걸림돌기(112)와 협지편(115∼118) 사이에 리플렉터(40)의 소켓 부착 구멍(41)의 주연부가 협지되고, 즉 도 5에 일부를 파단한 측면도를 도시한 바와 같이, 벌브 소켓(10)이 리플렉터(40)에 장착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4개의 협지편중, 2개의 단측 협지편(115, 116)은 그 직경 방향의 길이가 장측 협지편(117, 118)보다 짧기 때문에, 그 통축 방향의 탄성 변형의 정도는 장측 협지편보다 낮아지고, 그 강성은 장측 협지편보다 높게 되어 있다. 한편, 장측 협지편(117, 118)은 그 반대로 단측 협지편(115, 116)보다 강성은 낮지만 쉽게 탄성 변형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벌브 소켓(10)을 리플렉터(40)의 소켓 부착 구멍(41)에 장착할 때에, 단측 협지편(115, 116)과 장측 협지편(117, 118)의 각각의 접촉 돌기(115a∼118a)가 리플렉터(40)의 배면에 접촉되지만, 장측 협지편(117, 118)은 그 탄성 변형성에 따라 접촉력은 낮고, 단측 협지편(115, 116)은 그 접촉력이 큰 상태가 된다. 따라서, 벌브 소켓(10)을 회전시킬 때에 소켓 본체(11)와 리플렉터(40) 사이의 접촉력에 따라 생기는 마찰력은 적어도 2개의 장측 협지편(117, 118)의 접촉력이 낮음에 따라 저감되게 되고, 종래 구조에서의 협지편의 강성을 높인 경우에 비하여 벌브 소켓의 착탈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때, 장측 협지편(117, 118)은 소켓 본체(11)의 절결부(111)로부터, 벌브 지지부(12)의 개구부(101)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하고 있기 때문에, 플랜지(113)의 직경 방향의 치수보다 길게 형성할 수 있어 충분한 탄력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측 협지편(117, 118)은 외경 방향의 선단으로부터 절결부(111)를 향해 두께가 증대되고 있기 때문에, 특히 탄성 변형시에 절결부측에생기는 응력을 완화하여 그것이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상의 작용은 벌브 소켓(10)을 리플렉터(40)로부터 이탈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벌브 소켓(10)을 장착한 상태에서는, 단측 협지편(115, 116)의 강성이 높기 때문에, 이들 단측 협지편(115, 116)의 높은 강성에 따른 높은 협지력에 의해 종래 구조에서의 협지편의 탄력성을 높인 경우에 비하여 벌브 소켓의 협지 강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4개의 협지편(115∼118)과 동일한 평면 위치에 플랜지(113)가 존재하고 있고, 상기 플랜지(113)는 그 두께가 각 협지편(115∼118)에 비하여 두꺼워지며, 이것에 의해 높은 강성의 플랜지로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만일 벌브 소켓(10)에 단측 협지편(115, 116)의 협지력을 초월한 통축 방향의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도, 플랜지(113)에 의해 그 외력에 대항하여 축 방향의 이동을 억지할 수 있게 되고, 벌브 소켓(10)에 있어서의 베이어닛부(14)에서의 협지력을 매우 높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플랜지(113)는 벌브 소켓(10)의 장착시에 소켓 본체(11)가 소켓 부착 구멍(41)내에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각 협지편(115∼118)이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113)는 벌브 소켓(10)을 등기구에 장착하지 않는 소켓 단체(單體) 상태에 있어서도, 외력으로부터 각 협지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4개의 협지편을 강성이 높은 2개의 단측 협지편(115, 116)과, 탄성이 있는 2개의 장측 협지편(117, 118)으로 구성함으로써, 벌브 소켓(10)의 장착, 이탈시의 조작력을 완화하는 한편, 리플렉터(40)에 장착한 상태의 벌브 소켓(10)에서의 협지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각 2개의 단측 협지편과 장측 협지편의 각각의 선단부의 접촉 돌기(115a∼118a)가 소켓 본체(11)의 원주 방향의 거의 4등분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단측 협지편(115, 116)과 장측 협지편(117, 118)에 의한 협지력의 밸런스를 유지하는 데 있어서도 유효하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웨지 베이스 벌브용 벌브 소켓에 적용하고 있지만, 단측 협지편과 장측 협지편을 각각 형성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구금 벌브용 벌브 소켓에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커넥터 일체형 벌브 소켓에 적용하고 있지만, 코드에 의해 전기 접속을 행하는 구성의 벌브 소켓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더욱이, 리플렉터에 형성된 소켓 부착 구멍에 장착하는 벌브 소켓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등기구 몸체에 형성한 소켓 부착 구멍에 장착하는 벌브 소켓에 적용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벌브 소켓에 마련되는 베이어닛부를 구성하기 위한 협지편을 소켓 본체의 원주면의 복수 개소에 있어서 외경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협지편을 구비하고 있고, 또 이들 복수 개의 협지편은 돌출 길이가 짧은 단측 협지편과, 상기 단측 협지편보다 돌출 길이가 긴 장측 협지편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측 협지편을 높은 강성의 협지편으로서 구성할 수 있고, 장측 협지편을 탄성이 있는 협지편으로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 단측 협지편과장측 협지편에 의해, 벌브 소켓을 등기구 쪽에 착탈할 때의 조작성을 개선하는 한편, 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협지력을 높여 벌브 소켓이 안정된 유지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6)

  1. 통형의 소켓 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소켓 본체에는 벌브를 지지하기 위한 통형의 벌브 지지부와, 상기 소켓 본체의 일부에 마련되어 상기 소켓 본체를 등기구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한 베이어닛부를 구비한 벌브 소켓에 있어서,
    상기 베이어닛부는 상기 소켓 본체의 원주 복수 개소에 배치된 걸림 돌기와, 상기 걸림 돌기에 대하여 통축(筒軸)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또 상기 소켓 본체의 원주 방향의 복수 개소에서 각각 외경(外徑)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협지편(挾持片)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 개의 협지편은 돌출 길이가 짧은 단측 협지편과, 상기 단측 협지편보다 돌출 길이가 긴 장측 협지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브 소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협지편은 상기 소켓 본체의 통축 위치에 마련된 원판형 플랜지의 일부로 구성되고, 상기 플랜지의 원주 복수 개소에 마련되어 원주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슬릿 쌍에 의해 각각 이격 형성된 복수 개의 설형편(舌形片)으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브 소켓.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본체의 상기 원주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내경(內徑) 방향을 향해 오목하게 된 절결부가 마련되고, 상기 장측 협지편은상기 절결부가 마련된 원주면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브 소켓.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측 협지편은 외경 방향의 선단으로부터 내경 방향을 향해 그 두께가 증대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브 소켓.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벌브 지지부는 직사각형의 각이진 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장측 협지편은 상기 벌브 지지부의 길이 방향과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브 소켓.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협지편은 외경 방향 선단부의 상기 걸림 돌기에 대향하는 쪽의 면에 통축 방향의 접촉 돌기가 형성되고, 또 상기 접촉 돌기는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브 소켓.
KR1020000032638A 1999-06-21 2000-06-14 벌브 소켓 KR1003396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173480 1999-06-21
JP17348099A JP3710647B2 (ja) 1999-06-21 1999-06-21 バルブソケ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7366A KR20010007366A (ko) 2001-01-26
KR100339619B1 true KR100339619B1 (ko) 2002-06-05

Family

ID=15961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2638A KR100339619B1 (ko) 1999-06-21 2000-06-14 벌브 소켓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710647B2 (ko)
KR (1) KR100339619B1 (ko)
CN (1) CN1134089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3002A (ko) 2018-06-19 2019-12-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단자브라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27337C (zh) * 2004-08-05 2008-10-22 齐俊曌 车体轮廓照明灯
CN101615750B (zh) * 2008-06-24 2011-03-16 上海小糸车灯有限公司 一种用于楔形灯泡的触点式灯座
JP7194565B2 (ja) * 2018-11-13 2022-12-2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2342A (ja) * 1993-10-26 1995-05-12 Sumitomo Wiring Syst Ltd バルブソケット
JPH08148246A (ja) * 1994-11-18 1996-06-07 Sumitomo Wiring Syst Ltd バルブソケット
US5895295A (en) * 1997-06-19 1999-04-20 Koito Manufacturing Co., Ltd. Bulb sock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3002A (ko) 2018-06-19 2019-12-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단자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710647B2 (ja) 2005-10-26
CN1134089C (zh) 2004-01-07
KR20010007366A (ko) 2001-01-26
JP2001006833A (ja) 2001-01-12
CN1278668A (zh) 2001-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83434A (en) Wedge-base lamp and socket assembly
US7736199B2 (en) Contact retention assembly
US6220899B1 (en) Electrical connector jack for securely holding a plug
KR20040108690A (ko) 램프와 램프 홀더 및 그 조립체
KR900009230Y1 (ko) 모 터
EP1776545B1 (en) Lamp having improved vibration damping
KR100339619B1 (ko) 벌브 소켓
US5971814A (en) Lamp socket
US5879186A (en) Bulb socket
JP2006080075A (ja) くさび形ベースランプのためのセンタリングリングを備えるソケット
JP3710651B2 (ja) バルブソケット
US20010002170A1 (en) Rear combination lamp
KR100542626B1 (ko) 벌브용 커넥터
JPH11126649A (ja) キャップ部材のロック構造
KR20020034877A (ko) 기판취부형 커넥터 및 커넥터의 기판취부구조
JP2006319044A (ja) 基板実装構造と基板実装方法およびこれらに用いる接続ピン
KR100339617B1 (ko) 벌브 소켓
US4823356A (en) Capillary bore tube support structure
JPH0346472Y2 (ko)
KR200325474Y1 (ko) 벌브홀더를 갖춘 차량 전조등용 가스방전램프
US6007360A (en) Guide socket of electrical connector
JP3269988B2 (ja) 電球ソケット
JP3139293B2 (ja) 照明器具のソケット構造
JP2001126834A (ja) ねじ込みソケット
KR200281760Y1 (ko) 웨지 베이스 벌브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