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8403B1 - 버스 라인 장치 - Google Patents

버스 라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8403B1
KR100338403B1 KR1019990040722A KR19990040722A KR100338403B1 KR 100338403 B1 KR100338403 B1 KR 100338403B1 KR 1019990040722 A KR1019990040722 A KR 1019990040722A KR 19990040722 A KR19990040722 A KR 19990040722A KR 100338403 B1 KR100338403 B1 KR 100338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op
bus line
signal
subscriber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0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3353A (ko
Inventor
뵈스차우커트
댄트저얼리크
론나우켄
아가르드크젤드
Original Assignee
니센 게오르그
댄포스 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센 게오르그, 댄포스 아/에스 filed Critical 니센 게오르그
Publication of KR20000023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3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8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84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1/00Common features of fluid actuator systems; Fluid-pressure actuator systems or details thereof,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F15B21/08Servomotor systems incorporating electrically operated control means
    • F15B21/085Servomotor systems incorporating electrically operated control means using a data bus, e.g. "CAN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2Loop networks
    • H04L12/437Ring fault isolation or re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가입자(LPU)가 연결된 전기 루프(2), 및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6)가 연결되고 루프(2)의 2개의 부분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장치(5)를 포함하는, 가입자로서의 유압식 컴팩트 구동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버스 라인 장치(1)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식의 장치는 어려운 사용 조건들에도 적합하게 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상기 제어 장치(5)는, 루프(2)와 동일한 특성을 가지고 연결된 가입자(6)를 위해 유도되어 나온 단자(7)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버스 라인 장치 {BUS LINE SYSTEM}
본 발명은 다수의 가입자가 연결된 전기 루프(loop), 및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가 연결되고 루프의 2개의 부분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가입자로서의 유압식 컴팩트 구동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버스 라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식의 버스 라인 장치는 WO 98/30961호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간행물에서 루프는 2개의 신호 라인 및 하나의 에너지 공급 라인을 포함한다. 가입자는 부분적으로는 안전하게 보호되지 않은 가입자로서 그리고 부분적으로는 제어된 가입자로서 연결된다. 제어된 가입자는, 제어 장치와 접속된 루프의 2개의 부분을 서로 연결시키거나, 즉 순환 루우핑하거나 또는 상기 가입자를 제어 장치의 일부분 혹은 다른 부분, 또는 분기와 연결시키는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라인이 순환 루우핑되지 않는 경우를 위해 제어 장치내에는 종단 저항이 제공되며, 이 저항은 신호 라인에서 반사가 나타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버스 라인 장치의 바람직한 적용 분야는 소위 컴팩트 구동 장치를 트리거링하는 경우이다. 파워 팩으로도 언급되는 상기 방식의 컴팩트 구동 장치는, 유압식 조절 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유압식으로 작동될 수 있는 전기자를 포함한다. 상응하는 압력하에서 조절 모터에 유압식 액체를 제공하기 위해 구동 장치내에 펌프가 제공되는데, 이 펌프는 구동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이와 같은 방식의 컴팩트 구동 장치의 장점은, 상기 장치가 유압식 장치의 안정성으로 작동되기는 하지만 유압식 전력 공급 라인을 필요로하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제어 및 에너지 공급은 오히려 순수하게 전기적으로 리드되는 라인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형의 컴팩트 구동 장치는 일반적으로 비교적 강하게 하중을 받는 환경에서 사용되는데, 예를 들면 선박, 화학 산업의 프로세스 장치, 광산 또는 발전소 영역이다. 상기와 같이 공격적이거나 또는 강하게 하중을 받는 환경에서는 공지된 버스 라인 장치가 원하는 신뢰성으로 작동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버스 라인 장치를 어려운 사용 조건에 적합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도 1은 버스 라인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제어 장치의 개략도.
도 3은 제어 장치의 출구에 있는 중앙 유닛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버스 라인 장치 2 : 루프
3 : 중앙 유닛 4 : 장애 장소
5 : 제어 장치 6 : 가입자
7 : 라인 분기 8, 9 : 단자판
10 : 신호 검출기 16 : 단자
19 : 전력 공급 장치 21: 안전 장치
22 : 전류 제한기 23 : 스위치
OPTA, OPTB : 모니터링 장치 S : 루프의 신호부
V : 루프의 에너지 전달부
상기 목적은 서문에 언급된 방식의 버스 라인 장치에서, 제어 장치가 루프와 동일한 특성을 가지고 연결된 가입자를 위해 유도되어 나온 단자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그럼으로써 가입자, 예를 들어 컴팩트 구동 장치는, 이 구동 장치가 루프내에 직접 결합되어 있는 것처럼 세팅된다. 물론 이 가입자를 위해서는 공지된 안전한 동작 상태가 유지된다. 즉, 제어 장치의 도움에 의해서 에러의 경우에도 상기 가입자를 루프의 장애를 받지 않는 분기 또는 부분과 접속시키는 것이 이전과 같이 가능해짐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가입자에는 어떠한 경우에도 필요한 신호 및 필요한 전기 에너지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가입자를 제어 장치로부터 공간적으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공간적인 분리는, 제어 장치가 예를 들어 다른 환경에 제공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그러나 많은 경우에는, 제어 장치가 컴팩트 구동 장치의 하우징으로부터 진동에 따라 커플링 해체되는 고유의 하우징내에 제공되는 것으로도 충분하다. 특히 제어 장치가 스위칭을 위해서 전자기 릴레이와 같은 기계적인 스위치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컴팩트 구동 장치가 발생시키거나 또는 그것에 노출되는 진동 또는 충격이 반복적으로 스위칭 구간의 에러 기능을 야기한다. 상기 현상은 커플링 해체에 의해서 피해지거나 또는 적어도 감소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단자는 하나 이상의 가입자가 제공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그러면 제어 장치는 안전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고, 에러의 경우에는 어떠한 경우라도 계속해서 동작해야 하는 가입자는 출력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성예는 또한, 예를 들어 라인 가이드에 대한 비용을 줄일 수 있게 해주는 개별 통과 구간이 루프로부터 리드되어 나올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하나의 통과 라인으로도 충분할 수 있는 경우에는, 이중 라인이 개별 가입자에게까지 연결될 필요가 없다.
바람직하게 제어 장치는 루프의 2개의 연결 부분과 접속된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한다. 이 모니터링 장치에 의해 제어 장치는, 루프의 하나의 부분에서 에러가 나타나는지 혹은 나타나지 않는지를 자발적으로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어 장치가 반드시 인접 장치들과 접속될 필요가 없다. 모니터링 장치는 다만 예를 들어 인가되는 전압과 같이 루프에서의 지배적인 상태를 근거로해서만 정상 작동이 이루어지는지, 또는 에러가 나타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특히, 모니터링 장치가 각각의 루프 부분을 위해서 상기 루프로부터 갈바닉 방식으로 커플링 해체되는 출력을 갖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갈바닉 방식의 커플링 해체는, 예를 들어 단락 또는 과전압과 같은 에러가 모니터링 장치에 및 상기 장치에 연결된 소자에 작용하는 것을 저지한다. 따라서 원하는 정보가 유지되는 경우에는 에러의 전파가 피해진다.
이 경우 센서는 에너지 전달자로서 형성된 루프의 한 부분과 상호 작용한다. 이 때 루프는 2가지 과제를 갖는다. 한편으로 루프는, 개별 가입자가 어떤 기능을 실행해야 하는지를 상기 가입자에게 지시하는 신호를 전달해야 한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모든 정보 앞에 코우딩이 부가될 수 있음으로써, 개별 가입자에 상응하는 신호가 결정되어 있는지 또는 그렇지 않은지를 개별 가입자가 알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루프는, 예를 들어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기 에너지를 또한 가입자의 전력 공급부에 전달한다. 루프의 이 부분이 모니터링되는 경우에는, 가능한 에러의 대부분이 검출될 수 있다. 말하자면 루프내에서의 에러는 일반적으로 라인 중단시에 또는 단락시에 나타난다. 2가지 상태는 간단한 방식으로 확인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센서가 광학 커플러로서 또는 전달자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가지 소자는, 정보 손실을 결과로 야기하지 않으면서도 에너지 전달 라인과 모니터링 장치 사이의 갈바닉적 커플링 해체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는 바람직하게, 루프의 신호부와 함께 작용하여 신호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신호 검출기를 포함한다. 신호의 부재도 또한 루프의 장애에 대한 표시이다. 루프의 한 부분에서 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에러에 대한 임의의 가능성이 형성된다. 그 다음에 제어 장치는 루프의 다른 부분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조치는 단독으로 제공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 공급부의 모니터링과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신호 검출기는 보호 회로를 포함한다. 이 보호 회로는 과전압, 지나치게 높은 전류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단락으로부터 신호 검출기를 보호한다. 상기 보호 회로는 2가지 장점을 갖는다. 한편으로는 조립이 덜 위험하다는 점이다. 즉, 신호 단자가 실수로 에너지 전송 라인과 접속되는 경우인 역 배터리(reverse battery)가 즉각적으로 신호 검출기의 파괴를 야기하지 않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또한, 라인 장애시 신호 라인 및 에너지 전송 라인을 갖는 버스 라인의 상응하는 부분이 단락되는 경우를 위한 안전이 제공된다.
전력 공급 장치는 바람직하게 루프의 2개 부분과 접속된다. 전력 공급 장치는 제어 장치에 에너지가 공급되는 것을 보장해준다. 전력 공급 장치가 루프 또는 버스 라인의 2개의 부분과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전력 공급은 에러의 경우를 위해서도 보장된다.
이 경우에는 전력 공급 장치와 루프의 각각의 부분 사이에 루프의 방향으로 차단하는 다이오드가 배치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럼으로써, 단락의 경우 루프의 한 부분에서 전류가 간단히 루프의 상기 부분까지 흘러가는 것이 피해진다. 이와 같은 전류 흐름은 오히려 다이오드에 의해서 저지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다이오드가 상응하는 전류를 전력 공급 장치의 방향으로 흐르게 함으로써, 전력 공급이 안전하게 유지된다.
바람직하게 루프는, 이 루프까지 이어지는 경로내에 신속하게 트리거링되는 안전 장치를 갖는 중앙 유닛과 접속된다. 특별히 공격적이거나 또는 강하게 부하를 받는 환경에서는, 제어 장치내에 제공된 스위칭 구간이 정체되는, 말하자면 원하는 특성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스위칭 구간의 콘택을 접착시키는 높은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이러한 에러는 예를 들어 하나의 가입자가 한가지 에러 상태로 되는 경우에도 나타날 수 있다. 신속하게 트리거링되는 안전 장치는, 스위칭 콘택 또는 스위칭 구간의 손상이 계속적으로 나타날 수 있기 전에 상기 장치가 전류 흐름을 차단하도록 설계된다. 완전한 버스 라인 장치의 단기간 동안의 고장은 일반적으로 제어 장치의 손상보다 견디기가 더 쉽다. 안전 장치는 말하자면 예를 들어 상기 장치에 접근이 용이하도록 중앙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가입자는 대부분 직접적인 액세스가 제거된 위치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전류 제한기 및 스위치로 이루어진 병렬 회로가 상기 안전 장치와 직렬로 배치된다. 안전 장치가 트리거링되면, 일반적으로 전체 버스 라인 장치의 진단이 실행되어야 한다. 그밖의 경우에 전류 제한기를 브리징하는 스위치가 이 경우에는 개방된다. 전류 제한기는 가장 간단하게 오옴 방식 저항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그런 경우에는 버스 라인이 감소된 전압으로 작동되는데, 이 전압의 크기는 계속적인 손상을 야기하는 전류가 에러의 경우에도 나타나지 않을 정도로 작다. 주의해야 할 점은 상기와 같은 에러의 원인이 많은 경우 단지 기계적인 부하로만 소급될 수 있다는 점인데, 상기 기계적인 부하에 의해서는 스위칭 콘택이 상응하는 구동 성능 없이도 전자석에 의해서 접촉된다. 상응하는 기계적 부하가 제거되면 장애의 경우도 제거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과 관련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중앙 유닛(3)으로부터 나와서(단자 A) 상기 유닛으로 되돌아가는(단자 B) 루프(2)(loop)를 갖는 버스 라인 장치(1)를 보여준다. 2개의 단자(A, B)를 통해서는 신호뿐만 아니라 전기 용량도 송출될 수 있다. 후속하는 설명을 위해 단자(A)와 결합된 루프의 부분은 A-버스로 표기되는 한편, 단자(B)와 결합된 부분은 B-버스로 표기된다.
루프는 4개의 리드를 포함한다, 즉, 2개의 리드는 에너지를 전송하기 위해서 그리고 2개의 리드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프로토콜로서는 예를 들어 CAN-프로토콜 또는 RS485-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다.
루프(2)에는 다수의 사용자 혹은 가입자(LPU)가 배치된다. 상기 사용자는 중앙 유닛(3)으로부터 제어 명령 및 전기 에너지를 전류 및 전압의 형태로 수신하며, 상기 명령에 따라 사용자는 일정한 행동을 야기하거나 실행한다. 예를 들어 가입자가 유압식 컴팩트 구동 장치인 경우에는, 유압식 펌프를 구동시키는 전동기가 신호에 따라 작동된다. 유압식 펌프는 작동유를 일정 압력하에서 조절 모터 내부로 이송하며, 상기 모터는 그의 측에서 접속된 전기자의 조절을 야기할 수 있다. 상기 방식의 장치는 예를 들어 다수의 밸브, 플랩 밸브 또는 전철기가 작동되어야 하는 장소인 선박, 특히 유조선에서 찾을 수 있다. 다른 적용 분야로서는, 화학 또는 조제 산업의 프로세스 장치, 광산 또는 발전소이다.
이제는 여러 차례 루프(2)내에서 장애가 나타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장애 장소(4)에 대한 예는 루프(2)의 우측 분기에 십자로 표시되어 있다. 이 경우 라인 차단이 문제가 된다면, (도 1과 관련하여) 장애 장소의 아래쪽 좌측에 있는 사용자(LPU)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단자(A)를 통해서는 불가능하다. 링 구조로 인해 전력 공급은 어떤 경우에도 B-버스를 통해서 가능하다.
상기 유형의 장애(4)를 억제할 수 있기 위해서 다수의, 실시예에서는 2개의 제어 장치(5)가 제공되는데, 이 장치는 루프(2)내에 접속된다. 우측 제어 장치(5)에는, 특히 나머지 가입자 혹은 사용자(LPU)와 정확하게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는 추가의 사용자(6)가 접속된다. 라인 분기(7)에 의해서는 또 다른 추가의 사용자가 접속될 수 있다는 사실이 설명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 장치(5)는 5개의 사용자(6)에게까지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 장치(5)는, 사용자(6) 및 라인 분기(7)에 접속된 추가의 사용자들이 언제나 버스, 다시 말해서 장애를 받지 않는 A-버스 혹은 B-버스와 접속되는 것을 보장해준다. 따라서 제어 장치(5)에는 소위 '안전한' 사용자, 다시 말해 에러의 경우에도 기능이 보장되어야 하는 그러한 사용자가 접속될 수 있다.
제어 장치(5)의 자세한 구성은, 제어 장치(5)의 전기적 결선의 개략도를 보여주는 도 2에서 얻어진다.
단자판(8)(terminal strip)에는 A-버스가 접속된다. 단자판(9)에는 B-버스가 접속된다. 2개의 단자판(8, 9)은 각각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2개의 단자(V) 및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2개의 단자(S)를 포함한다. 2개의 단자(V)는 그에 상응하게 루프(2)의 에너지 전달부, 예를 들어 220V의 교류를 가이드하는 2개의 리드와 접속된다. 2개의 단자(S)는 예를 들어 4...20 mA-신호를 가이드하는 2개의 리드로 이루어질 수 있는 루프(2)의 신호부와 접속된다. 그러나, 다수의 경우에는 디지털 신호를 라인을 통해 전송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이다.
2개 단자판(8, 9)의 단자(V)는 릴레이(R1)를 통해 각각 다른 단자판(9, 8)의 상응하는 단자(V)와 접속된다. 상응하게 단자(S)는 릴레이(R2)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 릴레이(R1, R2)는 상기 접속을 스위칭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2개 단자판(8,9)의 신호 단자(S)는 제 3릴레이(R3)의 스위칭 구간까지 연결되며, 이 릴레이는 단자판(8)의 신호 단자(S)를 신호 검출기(10)와 연결시키거나 또는 단자판(9)의 신호 단자(S)를 신호 검출기(10)와 연결시킨다. 신호 검출기(10)는 신호가 A-버스의 루프의 신호부에 인가되는지 혹은 인가되지 않는지를 처리 장치(11), 예를 들어 CPU에 지시한다. 신호 검출기(10)의 입력은, 모든 입력 경로에 PTC-써미스터(13) 및 오옴 방식 저항(14)을 포함하는 보호 회로(12)에 의해서 보호된다. 또한, 신호 검출기(10)의 2개의 입력 라인은 서로에 대항하여 접속된 제너 다이오드(15) 장치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 과전압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이 과전압이 제너 다이오드(15)를 통과하면서 유지된다. 지나치게 높은 전류는 PTC-써미스터(13)에 의해서 저지된다. 220V를 가이드하는 라인이 신호 단자(S)와 접속되는 경우과 같은 에러 접속이 조립시에 나타나게 되더라도 신호 검출기(10)는 손상되지 않는다.
제 3릴레이(R3)의 출력은 추가의 단자판(16)에 연결되며, 특히 그곳에서는 상응하는 신호 단자(S)와 연결된다. 자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2개의 추가 릴레이에 의해서는, 예를 들어 에러 진단시에 분기(7)를 차단할 수 있기 위해서 또한 단자판(16)이 분리될 수도 있다.
단자판(8)의 단자(V) 및 단자판(9)의 단자(V)는 제 4릴레이(R4)와 접속되며, 이 릴레이의 출력은 단자판(16)의 단자(V)와 접속된다. 그에 상응하게 상기 단자판(16)에는 루프(2)와 동일한 특성을 갖는 라인(7)이 접속될 수도 있다. 사용자(6)는 상기 단자판(16)에 접속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사용자는 제어 장치(5)와 함께 더이상 유닛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단자판(8)의 단자(V)는 정류기 장치(17)를 통해 광학 커플러(OPT A)와 접속된다. 단자판(9)의 단자(V)는 정류기 장치(18)를 통해 광학 커플러(OPT B)와 접속된다. 전압이 단자(V)에 인가되는 동안 개별 광학 커플러(OPT A, OPT B)는 이 사실을 처리 장치(11)에 지시하며, 이 경우 처리 장치(11)는 단자판(8, 9 및 16)의 단자(V)로부터 갈바닉적으로 커플링 해체된다.
2개의 정류기 장치(17, 18)는 공지된 바와 같이 상응하는 다이오드 브리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정류기 장치(17, 18)의 출력은 각각 하나의 다이오드(DA, DB)를 통해 전류 공급 장치(19)와 접속된다. 전류 공급 장치(19)는 +12V 직류 전원 전압을 처리 장치(11)에 공급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또한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5V의 전원 전압을 공급한다. 이 경우에는 Firma Integrations, Inc.의 탑 스위치 (Topswitch)-회로가 다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로에 의해, 매우 작은 트랜스포머로도 충분히 릴레이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는, 특히 진동을 피할 수 없는 선박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도 3은 중앙 유닛(3)의 출력, 더 정확하게 말하면 루프(2)에 대한 공급부의 출력을 나타낸 것이다.
다만 개략적으로만 도시된 전압원(20)은 전류 제한기로서 동작하는 저항(22) 및 스위치(23)로 이루어진 병렬 회로를 갖는, 신속하게 트리거링되는 안전 장치(21)를 통해 루프(2)용 단자의 2개 부분(A, B)과 접속된다. 또다른 추가의 스위치(24, 25)가 제공될 수도 있는데, 이 스위치에 의해서는 A-버스 뿐만 아니라 B-버스도 따로따로 에너지 공급부로부터 차단될 수 있다.
제어 장치(5)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정상의 경우, 즉 장애를 받지 않는 상태에서는 릴레이(R3, R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된다. 그 결과로 단자판(8)이 단자판(16)과 접속된다. 즉, 라인(7)이 A-버스와 접속된다. A-버스에서 도달되는 모든 신호는 계속적으로 장애를 받지 않으면서 라인(7)에 전달된다.
전압이 단자판(8)의 단자(V)에 인가되는 동안, 처리 장치(11)의 광학 커플러(OPTA)는 공급측으로부터 모든 것이 정상이라는 사실을 신호한다. 신호 검출기(10)는, 단자판(8)의 신호 단자(S)에 상응하는 신호 전압이 인가된다는 사실을 신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신호 검출기는, 4...20 mA의 신호에서 최소 전류가 흐르는지 또는 디지털 신호 혹은 대략 RS485-프로토콜에 따른 신호 패턴이 인가되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그와 동시에 전류 공급 장치(19)는 전체 장치의 작동을 위해 필요한 전압을 전송하는 위치로 변위된다.
릴레이(R1, R2)의 스위칭 구간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단자판(9)에 인가되는 루프(2)의 부분에 B-버스를 통해서가 아니라 A-버스를 통해서 전력을 공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위칭 구간도 또한 폐쇄될 수 있다.
에러가 나타났다는 사실을 처리 장치(11)가 검출하는 경우, 예를 들어 광학 커플러(OPTA)가 출력 신호를 더이상 제공하지 않는 경우 또는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신호 검출기(10)가 검출하는 경우에는, 처리 장치(11)가 그것의 출력(T)을 통해 릴레이(R3, R4)를 전환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단자판(16)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은 이제 B-버스를 통해서 직접 이루어진다.
그렇게 되면 전력 공급 장치(19)에는 다이오드(DB)를 통해서 전력이 공급된다. 다이오드(DA)는, 전류가 에러에 이르기까지 A-버스상에서 흐를 수 있는 가능성을 저지한다.
정상 작동시에는 (도 3의) 스위치(24, 25) 및 스위치(23)도 폐쇄된다. 큰 전류 흐름을 야기하며 재차 땜납 또는 릴레이(R1-R4)의 스위칭 콘택의 다른 손상을 야기할 수도 있는 에러가 나타나면, 안전 장치(21)가 트리거된다. 그에 따라 전체 루프(2)는 에너지 공급부가 없다. 그러나, 릴레이-콘택의 계속적인 손상은 피할 수 없다 (릴레이 대신 반도체 스위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응하는 내용이 반도체 구간에도 적용된다).
안전 장치(21)가 재차 스위치-온되거나 또는 교체되면, 통상적으로 루프(2)에 연결된 사용자를 갖는 루프의 진단이 필요하다. 이 때에는 즉각적으로 재차 안전 장치의 트리거링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스위치(23)가 개방된다. 그러면, 전류가 전류 제한기(22)를 통해 예정된 최대값으로 한정되며, 이 최대값은 손상을 야기할 수 없도록 선택된다. 그렇게 되면 에러가 제거되었는지 또는 어디에 에러가 존재하는지가 체크될 수 있다. 상기 장치가 재차 에러가 없는 경우에는 스위치(23)가 폐쇄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스위치(24, 25)에 의해서 A-버스 또는 B-버스가 결함이 있는지가 체크될 수 있다. 전력 공급 장치(19)를 개별 제어 장치내에 국부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진단 동작은 또한 감소된 전압으로도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해, 버스 라인 장치를 어려운 사용 조건에 적합하도록 만들 수 있게 되었다.

Claims (12)

  1. 가입자인 유압식 컴팩트 구동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버스 라인 장치로서, 다수의 가입자가 연결된 전기 루프와, 상기 루프의 2 개의 부분 사이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가 접속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버스라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 (5)는 상기 루프 (2)와 동일한 특성을 가지며 상기 접속되어 있는 가입자(6)를 위해 유도되어 나온 단자 (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라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16)는 하나 이상의 가입자 (6)가 제공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라인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 (5)는 상기 루프 (2)의 2개의 연결 부분과 접속된 모니터링 장치(OPTA, OPTB, 10, 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라인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각각의 루프 부분을 위한 센서(OPTA, OPTB)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는 상기 루프(2)로부터 갈바닉 방식으로 커플링 해체되는 출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라인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에너지 전달자로서 형성된 상기 루프(2)의 한 부분(V)과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라인 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OPTA, OPTB)가 광학 커플러 또는 전달자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라인 장치.
  7.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신호 검출기(10)를 포함하며, 상기 검출기는 상기 루프(2)의 신호부(S)와 상호 작용하여 신호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라인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검출기(10)가 보호 회로(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라인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력 공급 장치(19)가 상기 루프(2)의 2개의 부분과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라인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 장치(19)와 상기 루프(2)의 각각의 부분 사이에 루프의 방향으로 차단하는 다이오드(DA, DB)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라인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2)는, 루프(2)까지 연결되는 경로내에 신속하게 트리거링되는 안전 장치(21)를 포함하는 중앙 유닛(3)과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라인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전류 제한기(22) 및 스위치(23)로 이루어진 병렬 회로가 상기 안전 장치(21)와 직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라인 장치.
KR1019990040722A 1998-09-28 1999-09-21 버스 라인 장치 KR1003384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44185A DE19844185C2 (de) 1998-09-28 1998-09-28 Busleitungssystem
DE19844185.1 1998-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3353A KR20000023353A (ko) 2000-04-25
KR100338403B1 true KR100338403B1 (ko) 2002-05-27

Family

ID=7882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0722A KR100338403B1 (ko) 1998-09-28 1999-09-21 버스 라인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100338403B1 (ko)
CN (1) CN1118987C (ko)
DE (1) DE19844185C2 (ko)
DK (1) DK176167B1 (ko)
IT (1) IT13088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16894B4 (de) * 1999-04-14 2005-09-08 Siemens Ag Bussystem
DE10013529A1 (de) * 2000-02-10 2001-08-30 Phoenix Contact Gmbh & Co Leitungssystem, insbesondere Bussystem
US7493524B2 (en) 2003-11-27 2009-02-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Network with redundancy properties, a branching unit for a user device in a network, redundancy manager for a network with redundancy properties and method for operating a network with redundancy properties
CN100447769C (zh) * 2005-06-06 2008-12-31 上海奇码数字信息有限公司 总线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11068B2 (en) * 1988-12-20 1991-05-30 Fujitsu Limited System for internetwork communication between local area networks
US5241540A (en) * 1991-07-31 1993-08-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verse ordered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FR2693612B1 (fr) * 1992-07-10 1994-08-19 Cit Alcatel Dispositif de raccordement d'une station à un réseau local comportant au moins un anneau.
GB2318262B (en) * 1996-10-08 2000-11-08 Ibm Bypass circuit for data processing system
SE507046C2 (sv) * 1996-12-23 1998-03-23 Nob Elektronik Ab Elektroniskt ringformigt bussystem uppdelad i ett flertal sek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844185C2 (de) 2002-01-03
CN1118987C (zh) 2003-08-20
ITTO990828A1 (it) 2001-03-27
IT1308846B1 (it) 2002-01-11
CN1255006A (zh) 2000-05-31
KR20000023353A (ko) 2000-04-25
DE19844185A1 (de) 2000-03-30
DK176167B1 (da) 2006-11-13
DK199901355A (da) 2000-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05439B (zh) 用于防故障地关断电消耗装置的安全开关装置
CN102386612B (zh) 电力转换设备的保护回路
US7505819B2 (en) Redundant fieldbus system
JP5728095B2 (ja) 電気負荷をフェイルセーフに停止させるための安全開閉装置
EP1819028A2 (en) Redundant fieldbus system
KR100338403B1 (ko) 버스 라인 장치
CN1875440B (zh) 以故障保护方式切断电感性负载的装置和方法
EP2149181A1 (en) Intrinsically safe communications circuit
CN109585219B (zh) 安全开关
CN103262198A (zh) 用于电磁继电器的驱动电路
CN112444722A (zh) 一种电控制器件的检测电路及检测方法
EP1078304A2 (en) Self-validating output module
JP2004010200A (ja) エレベーターの信号切替方法
KR20080085736A (ko) 이중 채널 안전 조합물에 접속된 단일 채널 또는 이중 채널 전자 센서들의 자동 인식 및 구별을 위한 설비 및 방법
KR100960495B1 (ko) 디지털 보호 계전기
KR100986004B1 (ko) Plc 시스템의 지능형 입출력 모듈
JPH09223444A (ja) 補助リレー駆動回路
SU1474039A1 (ru) Устройство блокировки привода конвейера
JP2023096337A (ja) 接点出力装置及び監視装置
JPH05284116A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光リピータ装置
JPH0883389A (ja) フィールド通信装置
KR20080076534A (ko) 네트워크 이상감지 및 보호기능을 갖는 선박용 입출력장치
JPH03188794A (ja) 監視制御装置とその監視方法
JPH02173899A (ja) 遠隔監視装置
JPH05260654A (ja) 二重化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