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8082B1 - 플랫 베드 스캐닝 시스템에서 원고 크기 검출방법 - Google Patents

플랫 베드 스캐닝 시스템에서 원고 크기 검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8082B1
KR100338082B1 KR1019990049897A KR19990049897A KR100338082B1 KR 100338082 B1 KR100338082 B1 KR 100338082B1 KR 1019990049897 A KR1019990049897 A KR 1019990049897A KR 19990049897 A KR19990049897 A KR 19990049897A KR 100338082 B1 KR100338082 B1 KR 100338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original
detected
detecting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9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6214A (ko
Inventor
정영철
전규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49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8082B1/ko
Publication of KR20010046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6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8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80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684Object of the detection
    • H04N1/00708Size or dimensions
    • H04N1/0071Wid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684Object of the detection
    • H04N1/00708Size or dimensions
    • H04N1/00713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729Detection means
    • H04N1/00734Optical detectors
    • H04N1/00737Optical detectors using the scanning elements as det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742Detection methods
    • H04N1/00748Detecting edges, e.g. of a stationary she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0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1Image rea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고 거치대의 임의의 위치에 놓여지는 원고의 에지(edge)를 소프트웨어적으로 검출하여 원고의 크기를 자동적으로 검출하는 플랫 베드 스캐닝 시스템에서 원고 크기 검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원고가 놓여진 원고대의 영역을 스캐닝한 데이터인 원고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원고 데이터와 기 저장된 기준 데이터를 라인단위로 비교하여, 비교결과가 상이하면 기준 데이터와 상이한 원고 데이터의 라인이 검출된 것이 처음인지 확인하며, 기준 데이터와 상이한 원고 데이터의 라인이 검출된 것이 처음이면 원고 데이터의 해당 라인을 원고의 선단라인번호로 검출하고, 기준 데이터와 상이한 원고 데이터의 라인이 검출된 것이 처음이 아니면 원고 데이터의 해당 라인을 원고의 후단라인번호로 검출하며, 검출된 해당 라인에 대해서 원고의 원고폭 시작위치와 종료위치를 검출하고, 원고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를 라인단위로 비교하는 작업이 완료되면 검출된 원고의 시작위치와 종료위치를 참조하여 원고의 원고폭 선단시작점과 후단시작점을 검출하며, 검출된 원고의 선단라인번호와 후단라인번호 및 원고폭 선단시작점과 후단시작점을 기준으로 원고의 크기를 검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고대의 임의의 위치에 놓여지는 원고의 크기를 프리 스캐닝이나 실제 스캐닝시에 소프트웨적으로 자동 검출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며, 여러 가지 부가기능의 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플랫 베드 스캐닝 시스템에서 원고 크기 검출방법{METHOD FOR DETECTING DOCUMENT SIZE OF FLAT-BED SCANNER SYSTEM}
본 발명은 플랫 베드 스캐닝 시스템에서 원고 크기 검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고 거치대의 임의의 위치에 놓여지는 원고의 에지(edge)를 소프트웨어적으로 검출하여 원고의 크기를 자동적으로 검출하는 플랫 베드 스캐닝 시스템에서 원고 크기 검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캐너와 같은 화상 스캐닝 시스템은 인쇄물, 사진, 사람의 손으로 작성한 메모 형태의 글자나 그림 등을 칼라 또는 흑백으로 스캐닝(scanning, 독취)하기 위한 일반적인 수단으로써, 복합기, 문서 번역기, CAD(Computer Aided Design)용 컴퓨터, 팩시밀리, 문자인식기, 디지털 복사기 등의 필수 구성 요소이다.
화상 스캐닝 시스템은 크게 시트 페드 스캐닝 시스템(sheet-fed scanning system)과 플랫 베드 스캐닝 시스템(flat-bed scanning system)으로 구분된다.
시트 페드 시스템은 일반적인 팩시밀리와 같이 낱장의 원고를 읽어들이기 위해 구성되어 이미지 센서는 고정되어 있고 원고가 움직이는 방식으로, ADF (Automatic Document Feeder) 장치를 추가하면 여러장을 자동으로 독취할 수 있고, 플렛 베드 스캐닝 시스템은 일반적인 복사기와 같이 낱장은 물론 북 스캔(bookscan)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원고는 고정되어 있고 이미지 센서가 움직이는 방식이다.
이러한 화상 스캐닝 시스템에서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IS(Contact Image Sensor)와 같은 이미지 센서는 스캐닝할 원고에서 반사되는 빛에 비례하여 광전변환을 수행함으로써, 본래의 이미지에 해당하는 픽셀 패턴으로 전환한다.
한편, 플랫 베드 스캐닝 시스템에서는 원고대의 임의의 위치에 놓여진 원고의 크기를 검출하는 방법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원고대의 정해진 위치에 원고를 정확하게 위치시켜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발생한다.
또한, 플랫 베드 스캐닝 시스템에서는 원고대에 놓여진 원고를 스캐닝할 때 원고대에 놓여진 원고의 실제 크기와는 관계없이 시스템에 미리 설정된 크기에 대응하는 영역만을 스캐닝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랫 베드 스캐닝 시스템의 커버 플레이트를 흑색과 백색을 조합하여 설치하고, 실제 스캐닝시에 출력된 화상 데이터와 플레이트의 스캐닝시에 출력된 화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원고의 에지영역을 검출하는 플랫 베드 스캐닝 시스템에서 원고 크기 검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고를 프리 스캐닝할 때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참조하여 원고의 에지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에지영역으로 원고의 크기와 원고의위치정보를 검출하는 플랫 베드 스캐닝 시스템에서 원고 크기 검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플랫 베드 스캐닝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랫 베드 스캐닝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플랫 베드 스캐닝 시스템에서 원고 크기를 검출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원고 크기 검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는 복합기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원고 크기를 검출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며,
도 7은 프리스캔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프리스캔된 이미지 데이터를 필터링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고,
도 9는 필터링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원고의 크기를 검출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원고대의 임의의 위치에 놓여진 원고의 크기를 자동으로 검출하기 위하여 원고가 놓여진 원고대의 영역을 스캐닝하고, 스캐닝된 데이터인 원고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원고데이터 검출단계와, 원고 데이터와 메모리에 기 저장된 기준 데이터를 라인단위로 비교하는 비교단계와, 비교결과가 상이하면 기준 데이터와 상이한 원고 데이터의 라인이 검출된 것이 처음인지 확인하는 단계와, 기준 데이터와 상이한 원고 데이터의 라인이 검출된 것이 처음이면 원고 데이터의 해당 라인을 원고의 선단라인번호로 검출하고, 기준 데이터와 상이한 원고 데이터의 라인이 검출된 것이 처음이 아니면 원고 데이터의 해당 라인을 원고의 후단라인번호로 검출하는 원고길이 검출단계와, 검출된 해당 라인에 대해서 원고의 원고폭 시작위치와 종료위치를 검출하는 단계와, 원고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를 라인단위로 비교하는 작업이 완료되면, 검출된 원고의 시작위치와 종료위치를 참조하여 원고의 원고폭 선단시작점과 후단시작점을 검출하는 원고폭 검출단계와, 검출된 원고의 선단라인번호와 후단라인번호 및 원고폭 선단시작점과 후단시작점을 기준으로 원고의 크기를 검출하는 원고크기 검출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원고대의 임의의 위치에 놓여진 원고의 크기를 자동으로 검출하기 위하여 프리 스캐닝을 수행하고, 프리 스캐닝된 프리스캔 데이터를 저장하는 프리스캔 데이터 검출단계와, 프리스캔 데이터의 검출이 완료되면 프리스캔 데이터를 소정크기의 프리스캔 마스크를 이용한 바이트 단위로 필터링하여 필터링 데이터를 검출하는 필터링 데이터 검출단계와, 필터링 데이터의 검출이 완료되면 필터링 데이터를 소정크기의 에지 마스크를 이용한 바이트 단위로 검색하여, 주변 데이터와의 연결성을 체크하여 최종적인 에지 데이터를 검출하는 에지 데이터 검출단계와, 에지 데이터를 참조하여 원고대의 임의의 위치에 놓여진 원고의 크기 및 위치를 검출하는 원고크기 검출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플랫 베드 스캐닝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플랫 베드 스캐닝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 1에 도시된 플랫 베드 스캐닝 시스템에서 원고 크기를 검출하기 위한 동작흐름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에 도시된 원고 크기 검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기기 본체(1)의 상면에 원고가 얹혀지는 원고대(2)가 설치되어 있고, 기기 본체(1)의 상면 일측 연부에 커버(3)가 경첩으로 연결되어 있어, 경첩에 의해 화살표 a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원고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커버(3)의 내측면에는 소정의 두께를 갖고 원고대(2)에 놓여지는 원고의 흐트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스폰지 등의 탄성부재(4)가 부착되어 있고, 그 탄성부재(4)에는 플레이트(5)가 부착되어 있다.
플레이트(5)는 원고대(2)에 놓여진 원고의 크기를 검출하기 위한 백색 영역(A)과 흑색 영역(B)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백색 영역(A)은 원고대(2)에 놓여지는 원고가 OHP필름인 경우 플레이트(5)가 흑색 영역(C)이 되면 정확한 스캐닝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이를 감안하여 인쇄용지 A4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고대(2)에 놓여지는 원고의 크기가 플레이트(5)의 백색 영역(A)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는 원고의 크기를 자동으로 검출할 수 없기 때문에, 원고대(2)에 원고가 놓여지는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 마크(position mark)가 원고대(2)의 아래 바닥면에 표시된다.
여기서, 위치 마크는 실제 원고를 스캐닝할 때 램프에서 방사되는 빛이 통과하지 않는 위치에 표시되고, 플레이트(5)의 백색 영역(A)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플랫 베드 스캐닝 시스템의 블록구성도를 도 2를 참조하여 간단히 살펴보면, 중앙처리장치(10)는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원고대(2)의 임의 위치에 놓여진 원고의 크기를 자동으로 검출하도록 각 구성부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메모리(20)는 중앙처리장치(10)의 동작 프로그램과 일반적인 제어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수행에 따른 데이터가 저장된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플레이트(5)를 스캐닝한 디지털 데이터인 기준 데이터와, 원고대(2)에 놓여진 원고의 크기를 검출하기 위해 스캐닝한 디지털 데이터인 원고 데이터 및 기준 데이터와 원고 데이터의 비교결과에 따라 검출된 원고의 크기를 나타내는 데이터인 위치 데이터가 저장된다.
화상 독취부(30)는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에 따라 램프의 발광상태를 제어하는 램프 드라이버와, 램프 드라이버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되는 램프와, 입사되는 반사광을 전기적인 아날로그 신호로 광전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화상 독취부(30)는 램프가 턴-온된 상태에서 입사되는 광량에 비례하는 수치의 전압신호를 발생한다.
이미지 처리부(40)는 화상 독취부(30)에서 광전변환된 아날로그 형태의 화상 데이터를 디지털 형태의 화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데이터 비교부(50)는 이미지 처리부(4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데이터인 원고데이터와 메모리(20)에 기 저장된 기준 데이터를 각 라인단위로 비교하여 그 결과를 출력한다.
원고크기 검출부(60)는 데이터 비교부(50)에서의 비교결과에 따라 원고대(2)에 놓여진 원고의 크기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 즉 원고의 선단 라인번호, 후단 라인번호, 원고폭 상단기준점, 원고폭 하단기준점을 검출한다.
프린터부(70)는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2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인쇄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동작을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원고대(2)에 놓여진 원고의 크기는, 원고를 인쇄용지의 중앙으로 옮겨서 인쇄하는 중앙이동기능이나 원고를 인쇄용지의 크기에 맞게 자동으로 확대하는 autofit기능을 정확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원고의 크기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먼저 플레이트(5)를 스캐닝하여 검출된 기준 데이터가 메모리(20)에 기 저장되어야 한다.
또한, 사용자는 원고가 원고대(2)의 아래 바닥면에 표시된 위치 마크를 모두 가리도록 원고대(2)의 소정위치에 위치시켜야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중앙처리장치(10)는 중앙이동기능이나 autofit기능 등의 부가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복사키가 입력되었는지 확인한다(S301).
확인결과 부가기능 수행을 위한 복사키가 입력되면, 중앙처리장치(10)는 화상 독취부(30)를 구동시켜 원고대(2)의 임의의 위치에 놓여진 원고의 크기를 검출하기 위해 스캐닝한다(S302).
중앙처리장치(10)는 화상 독취부(30)에서 아날로그 형태의 화상 데이터로 광전변환되고 이미지 처리부(40)에서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 즉 원고 데이터를 메모리(20)에 저장한다(S303).
데이터 비교부(50)는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20)에 저장되는 원고 데이터와 메모리(20)에 기 저장된 기준 데이터를 한 라인씩 비교한다(S304).
원고크기 검출부(60)는 데이터 비교부(50)에서 출력되는 비교결과가 동일한지 확인하고(S305), 비교결과가 동일하면 원고가 아직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고, 원고의 크기를 검출하는 작업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한다(S306).
여기서, 원고크기 검출부(60)는 데이터 비교부(50)에서 출력되는 비교결과가 동일하지 않으면, 비교결과가 동일하지 않은 첫번째 라인인지 확인한다(S307).
확인결과 기준 데이터와 동일하지 않은 원고 데이터가 검출된 것이 첫번째 라인이면, 원고크기 검출부(60)는 해당 라인번호를 원고의 선단라인번호로 검출하고, 이를 위치 데이터로 메모리(20)에 저장한다(S308).
예컨대, 원고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놓여졌다고 가정하면, 데이터 비교부(50)는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에 따라 첫번째 라인의 원고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를 비교한다. 원고대(2)에 놓여진 원고는 첫번째 라인에 해당되지 않기 때문에 데이터 비교부(50)는 첫번째 라인의 원고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가 동일하다고 출력하며, 원고크기 검출부(60)는 데이터 비교부(50)에서의 비교결과가 동일하기 때문에 원고가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것이다.
라인단위로 단계 304(S304)와 단계 305(S305)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데이터 비교부(50)에서 53번째 라인의 원고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게 된다. 데이터 비교부(50)에서 출력되는 비교결과가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원고크기 검출부(60)는 53번째 라인에서 원고가 감지된 것으로 판정하고 이를 원고의 선단라인번호로 설정하는 것이다.
원고크기 검출부(60)는 원고의 선단라인번호가 검출되면, 해당 라인에서 원고폭의 시작위치와 종료위치를 검출하고, 이를 메모리(20)에 저장한다(S309).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53번째 라인이 원고의 선단라인번호로 판정되면, 53번째 라인의 원고 데이터 중에서 데이터 변환이 일어난 위치, 즉 데이터 비교부(50)에서 기준 데이터와 원고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가 동일하지 않다고 판정된 화소(pixel)의 시작위치와 종료위치를 검출하고, 이를 각각 53번째 라인의 원고폭 시작위치와 종료위치로 메모리(20)에 저장하는 것이다.
이후, 원고의 크기를 검출하는 작업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306 (S306)으로 분기하여 원고의 크기가 검출될 때까지 상기의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여기서, 원고의 크기를 검출하는 작업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데이터 비교부(50)에서 원고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동일하지 않은 결과가 출력된 이후에, 원고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의 비교결과가 다시 동일해졌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원고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의 비교결과가 다시 동일하게 된 것은, 원고가 감지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기 때문에, 중앙처리장치(10)는 원고의 크기를 검출하는 작업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단계 305(S305)에서 한 라인의 원고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가 동일하지 않을 때, 해당 라인이 동일하지 않은 첫번째 라인인지 확인하는 단계 307(S307)에서의 확인결과 동일하지 않은 첫번째 라인이 아니면 원고크기 검출부(60)는 해당 라인을 원고의 후단라인번호로 검출하고, 이를 메모리(20)에 저장한다(S310).
원고의 후단라인번호가 검출되면, 해당 라인의 원고폭 시작위치와 종료위치를 검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309(S309)로 분기한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54번째 라인의 원고 데이터는 기준 데이터와 동일하지 않지만, 비교결과가 동일하지 않은 첫번째 라인(53번째 라인)이 아니기 때문에 54번째 라인은 원고의 후단라인번호로 판정되는 것이다.
물론, 라인단위로 원고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는 과정을 수행하면서 원고의 후단라인번호가 변경되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원고의 크기를 검출하는 작업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306 (S306)에서의 확인결과 원고의 크기를 검출하는 작업이 완료되었으면, 중앙처리장치(10)는 메모리(20)에 저장된 원고의 크기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 중에서 원고폭 시작위치와 원고폭 종료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참조하여 원고폭 상단기준점과 원고폭 하단기준점을 최종적으로 검출한다(S311). 즉, 메모리(20)에 저장된 원고폭 시작위치 정보 중에서 가장 작은 시작위치 정보를 원고폭 상단기준점으로 검출하고, 메모리(20)에 저장된 원고폭 종료위치 정보 중에서 가장 큰 종료위치 정보를 원고폭 하단기준점으로 검출하는 것이며, 이는 원고의 최대폭을 기준으로 원고의 크기를 검출하여 원고의 실제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이와 같이, 원고의 위치 데이터인 원고의 선단 라인번호, 후단 라인번호, 원고폭 상단기준점, 하단기준점이 검출되어 원고의 크기가 정해지면, 중앙처리장치(10)는 메모리(20)에 저장된 원고 데이터 중에서 정해진 크기에 포함되는 원고 데이터만을 실제 원고의 데이터로 판단한다(S312).
이후, 중앙처리장치(10)는 원고의 크기로 판단된 영역의 원고 데이터를 이용하여 단계 301(S301)에서 입력된 부가기능을 수행한다(S313).
따라서, 플랫 베드 스캐닝 시스템의 원고대에 놓여진 원고의 크기를 실제 스캐닝을 수행하면서 검출하기 때문에 시간 소요를 줄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는 복합기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원고 크기를 검출하기 위한 동작흐름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프리스캔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나타낸 예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도 7에 도시된 프리스캔된 화상 데이터를 필터링하기 위한 동작흐름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에는 필터링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원고의 크기를 검출하기 위한 동작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중앙처리장치(100)는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프리스캔된 화상 데이터를 참조하여 원고의 에지영역을 검출하도록 각 구성부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메모리(110)는 중앙처리장치(100)의 동작 프로그램과 일반적인 제어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수행에 따른 데이터가 저장된다. 특히 원고를 프리 스캐닝한 데이터인 프리스캔 데이터와, 프리스캔 데이터를 소정의 마스크(mask) 단위로 필터링한 필터링 데이터와, 필터링 데이터간의 연결성을 체크하여 에지 이미지와 연결되지 않은 데이터를 제거하여 최종적으로 검출된 에지 데이터를 저장한다.
스캐닝부(120)는 원고대에 놓여진 원고를 스캐닝하여 원고에 대한 화상을 2치화 정보로 변환한 후 중앙처리장치(100)에 인가한다.
원고크기 검출부(130)는 프리스캔 데이터에서 필터링 데이터를 검출하고, 필터링 데이터에서 최종적으로 에지 데이터를 검출하여, 원고대의 임의의 위치에 놓여진 원고의 크기 및 원고의 위치정보를 검출한다.
조작패널(OPE: Operation Panel)(140)은 다수개의 키를 가지며 소정의 키 누름에 따른 키 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100)에 인가하고, 중앙처리장치(100)의 표시 데이터에 의해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내부의 표시창으로 표시한다.
프린터부(150)는 중앙처리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11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인쇄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동작을 첨부도면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플랫 베드 스캐닝 시스템의 사용자는 원고대의 임의의 위치에 불특정 크기의 원고를 올려놓고, 원고를 인쇄용지의 중앙으로 옮겨서 인쇄하는 중앙이동기능이나 원고를 인쇄용지의 크기에 맞게 자동으로 확대하는 autofit기능 등의 부가기능 수행을 위한 복사키를 입력한다.
중앙처리장치(100)는 중앙이동기능이나 autofit기능 등의 부가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복사키가 입력되었는지 확인한다(S600).
확인결과 부가기능 수행을 위한 복사키가 입력되면, 중앙처리장치(100)는 원고의 크기를 검출하기 위하여 스캐닝부(120)를 구동시켜서 프리 스캐닝을 수행한다(S610).
이때, 사용자는 프리 스캐닝의 효율성과 신속성을 위하여 여러가지 조건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연산의 수행시간을 최소화하고 스캐너의 사용환경 등에 의해 발생하기 쉬운 일정크기 이하의 이미지(먼지 등에 의해 발생하는 이미지 등)를 1차적으로 필터링하기 위하여 가능한 한 낮은 해상도를 이용하여 프리 스캐닝을 수행한다. 이때, 용지의 크기를 나타내는 에지의 특성을 잃지 않는 한도 내에서 스캐닝을 해야 하므로 수평측 75DPI(Dot Per Inch), 수직측 75DPI의 해상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한 라인, 즉 1 래스터(raster, 216mm)당 80바이트(byte)의 데이터와 11.7(A4) 인치(inch)에 대하여 약 800라인(line)의 프리 스캐닝된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110)에 저장하게 된다.
또한, 용지의 에지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스캐닝부(120)의 램프 광량을 정상적인 램프 광량의 80% 정도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처리장치(100)는 스캐닝부(120)에서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수행되는 프리 스캐닝에 의한 화상 데이터, 즉 프리스캔 데이터를 메모리(110)에 저장하면서 (S620), 프리 스캐닝이 완료되었는지 체크한다(S630).
프리 스캐닝이 완료되면, 원고크기 검출부(130)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프리스캔 데이터를 소정의 마스크를 이용하여 바이트 단위로 필터링하여, 이 필터링 데이터를 메모리(110)에 저장한다(S640).
여기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필터링 데이터의 검출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 610(S610)에서 프리 스캐닝되어 메모리(110)에 저장된 프리스캔 데이터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면, 원고크기 검출부(130)는 중앙처리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110)에 저장된 프리스캔 데이터를 소정의 마스크, 즉 3*3 윈도우(window)를 이용하여 바이트 단위로 프리스캔 데이터를 검출한다(S641).
즉, 메모리(110)에 저장된 80*800 바이트의 프리스캔 데이터 중에서 3*3 윈도우(이하, '필터링 마스크'라 함) 단위로 이동하면서 프리스캔 데이터를 검출하는 것인데, 이때 필터링 마스크는 바이트 단위이며 총 9개의 바이트를 검출한다.
원고크기 검출부(130)는 바이트 단위로 검출된 프리스캔 데이터의 필터링 마스크 중에서 중앙에 위치한 바이트를 검출하고(S642), 검출된 중앙 바이트의 주변에 존재하는 8개의 바이트의 프리스캔 데이터 중에서 8 비트가 모두 백색 데이터 (white data)가 아닌 바이트의 수를 체크한다(S643). 즉, 중앙 바이트의 주변에존재하는 8개의 바이트는 각각 8비트의 프리스캔 데이터를 포함하므로, 원고크기 검출부(130)는 8개의 바이트 중에서 8비트가 모두 백색 데이터가 아닌 바이트의 수를 체크하는 것이다.
체크결과, 8개의 바이트 중에서 모두 백색 데이터(즉, 8비트가 모두 백색 데이터)가 아닌 바이트의 수가 2개 이상인지 확인한다(S644).
확인결과, 8비트가 모두 백색 데이터가 아닌 바이트의 수가 2개 이상이면, 원고크기 검출부(130)는 단계 641(S641)에서 검출된 필터링 마스크에 해당하는 9바이트의 프리스캔 데이터를 필터링 데이터(filtering data)로 판정한다.
따라서, 중앙처리장치(100)는 필터링 마스크에 해당하는 9바이트의 프리스캔 데이터를 흑색 데이터(black data)를 갖는 1바이트로 변환하고, 변환된 1바이트인 필터링 데이터를 메모리(110)에 저장한다(S645).
필터링 마스크에 해당하는 9바이트의 프리스캔 데이터를 1바이트의 데이터로 변환한 후, 중앙처리장치(100)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프리스캔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646).
확인결과, 메모리(110)에 저장된 프리스캔 데이터가 존재하면, 중앙처리장치 (100)는 단계 641(S641)로 복귀하여 필터링 마스크 단위로 프리스캔 데이터를 검색하여 필터링 데이터를 검출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여기서, 확인결과 메모리(110)에 저장된 프리스캔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프리스캔 데이터에서 필터링 데이터를 검출하는 작업을 완료한다(S647).
한편, 단계 642(S642)에서 검출된 중앙 바이트의 주변에 존재하는 8개의 바이트 중에서 모두 백색 데이터(즉, 8비트가 모두 백색 데이터)가 아닌 바이트의 수가 2개 이상인지 확인하는 단계 644(S644)에서의 확인결과 8비트가 모두 백색 데이터가 아닌 바이트의 수가 2개 미만이면, 원고크기 검출부(130)는 단계 641(S641)에서 검출된 필터링 마스크에 해당하는 9바이트의 프리스캔 데이터를 부정확한 데이터(garbage data)로 판정한다.
따라서, 중앙처리장치(100)는 필터링 마스크에 해당하는 9바이트의 프리스캔 데이터를 백색 데이터를 갖는 1바이트로 변환하고, 변환된 1바이트의 데이터인 필터링 데이터를 메모리(110)에 저장한다(S648).
이후, 중앙처리장치(100)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프리스캔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646(S646)으로 분기한다.
도 8에 도시된 방법으로 프리스캔 데이터를 필터링 마스크 단위로 필터링하여, 그 필터링 데이터를 메모리(110)에 저장하는 작업이 완료되면(S650), 원고크기 검출부(130)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필터링 데이터에 대해서 주변 이미지와의 연결성을 체크하고 에지 데이터가 아닌 일정 크기 이하의 작은 데이터를 제거하여 최종적인 에지 데이터를 검출한다(S660).
여기서, 도 9를 참조하여 단계 640(S640)에서 검출되어 메모리(110)에 저장된 필터링 데이터 중에서 최종적인 에지 데이터를 검출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용지크기 검출부(130)는 중앙처리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110)에 저장된 필터링 데이터를 소정 크기의 마스크, 예컨대 3*3 윈도우를 이용하여 바이트단위로 검출한다(S661).
여기서, 필터링 데이터를 3*3 윈도우(이하, '에지 마스크'라 함)를 이용하여 바이트 단위로 검출하는 것은 도 8에 도시된 프리스캔 데이터를 검출하는 것과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에지 마스크를 3*3 윈도우를 이용하였지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가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원고크기 검출부(130)는 바이트 단위로 검출된 필터링 데이터의 에지 마스크 중에서 중앙에 위치한 바이트를 검출하고(S662), 검출된 중앙 바이트의 주변에 존재하는 8개의 바이트의 필터링 데이터 중에서 8비트가 모두 흑색 데이터인 바이트의 수를 체크한다(S663). 즉, 중앙 바이트의 주변에 존재하는 8개의 바이트는 각각 8비트의 필터링 데이터를 포함하므로, 원고크기 검출부(130)는 8개의 바이트 중에서 8비트가 모두 흑색 데이터인 바이트의 수를 체크하는 것이다.
체크결과, 8개의 바이트 중에서 모두 흑색 데이터(즉, 8비트가 모두 흑색 데이터)인 바이트의 수가 0개인지 확인한다(S664).
확인결과, 8비트가 모두 흑색 데이터인 바이트의 수가 0개 이면, 원고크기 검출부(130)는 단계 662(S662)에서 검출된 중앙 바이트를 에지 데이터와 연결되지 않는 데이터로 판정하고, 단계 661(S661)에서 검출된 에지 마스크에 해당하는 9바이트의 필터링 데이터를 모두 백색 데이터로 변환하며, 변환된 9바이트의 백색 데이터를 최종적인 에지 데이터로 메모리(110)에 저장한다(S665).
이후, 중앙처리장치(100)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필터링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S666), 확인결과 필터링 데이터가 존재하면 에지 마스크를 이용하여바이트 단위로 필터링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 661(S661)로 복귀한다.
여기서, 확인결과 필터링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필터링 데이터에서 에지 데이터를 검출하는 작업을 완료한다(S667).
한편, 단계 662(S662)에서 검출된 중앙 바이트의 주변에 존재하는 8개의 바이트의 필터링 데이터 중에서 8비트가 모두 흑색 데이터인 바이트의 수가 0개인지 확인하는 단계 664(S664)에서의 확인결과, 8비트가 모두 흑색 데이터인 바이트의 수가 0개가 아니면, 원고크기 검출부(130)는 단계 661(S661)에서 검출된 9바이트의 디지털 데이터를 그대로 최종적인 에지 데이터로 메모리(110)에 저장하고(S668), 메모리(110)에 저장된 필터링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666(S666)으로 분기한다.
도 9에 도시된 방법으로 필터링 데이터를 에지 마스크 단위로 주변 이미지와의 연결성을 체크하여, 최종적인 에지 데이터를 검출하여 메모리(110)에 저장하는 작업이 완료되면(S670), 중앙처리장치(100)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최종적인 에지 데이터를 참조하여 원고의 크기 및 위치를 검출한다(S680).
즉, 중앙처리장치(100)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최종적인 에지 데이터 중에서 8비트가 모두 흑색 데이터인 바이트는 연결성을 가지는 에지 데이터와 원고내의 실제 이미지로 간주한다.
따라서, 중앙처리장치(100)는 8비트가 모두 흑색 데이터인 바이트를 수평/수직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검색하고, 수평/수직방향으로 첫번째 검색되는 바이트를 각각 수평/수직방향의 시작위치로 설정하고, 수평/수직방향으로 끝으로 검색되는바이트를 각각 수평/수직방향의 종료위치로 설정함으로써, 원고의 크기 및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를 획득하게 된다.
이때 획득된 원고의 크기 및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는 축소된 값이므로, 적당한 배율을 적용하여 좌료를 다시 계산해야 한다. 즉, 단계 610(S610)에서 프리 스캐닝을 수행할때 해상도가 축소되었기 때문에, 축소된 해상도를 감안하여 원고의 좌표값을 계산하는 것이다.
원고의 좌표값이 검출되면, 중앙처리장치(100)는 스캐닝부(120)를 구동시켜서 검출된 좌표값에 대응하는 범위만을 스캐닝하고(S690), 스캐닝을 수행하여 획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단계 600(S600)에서 입력된 부가기능을 수행한다(S700).
따라서, 플릿 베드 스캐닝 시스템에서 원고대의 임의의 위치에 놓여진 원고의 크기 및 위치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플랫 베드 스캐닝 시스템에서 원고 크기 검출방법에 따르면 원고대의 임의의 위치에 놓여지는 원고의 크기를 프리 스캐닝이나 실제 스캐닝시에 소프트웨적으로 자동 검출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며, 여러 가지 부가기능의 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원고대의 임의의 위치에 놓여진 원고의 크기를 자동으로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원고가 놓여진 원고대의 영역을 스캐닝하고, 상기 스캐닝된 데이터인 원고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원고데이터 검출단계;
    상기 원고 데이터와 상기 메모리에 기 저장된 기준 데이터를 라인단위로 비교하는 비교단계;
    상기 비교결과가 상이하면, 상기 기준 데이터와 상이한 원고 데이터의 라인이 검출된 것이 처음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기준 데이터와 상이한 원고 데이터의 라인이 검출된 것이 처음이면 상기 원고 데이터의 해당 라인을 상기 원고의 선단라인번호로 검출하고, 상기 기준 데이터와 상이한 원고 데이터의 라인이 검출된 것이 처음이 아니면 상기 원고 데이터의 해당 라인을 상기 원고의 후단라인번호로 검출하는 원고길이 검출단계;
    상기 검출된 해당 라인에 대해서 상기 원고의 원고폭 시작위치와 종료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원고 데이터와 상기 기준 데이터를 라인단위로 비교하는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검출된 원고의 시작위치와 종료위치를 참조하여 상기 원고의 원고폭 선단시작점과 후단시작점을 검출하는 원고폭 검출단계;
    상기 검출된 원고의 선단라인번호와 후단라인번호 및 상기 원고폭 선단시작점과 후단시작점을 기준으로 상기 원고의 크기를 검출하는 원고크기 검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베드 스캐닝 시스템에서 원고 크기 검출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데이터는,
    상기 원고대에 상기 원고가 놓여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원고대와 접촉되는 커버를 스캐닝하여 획득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베드 스캐닝 시스템에서 원고 크기 검출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원고의 크기를 검출하기 위한 인쇄용지 A4크기의 백색 영역과, 상기 백색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인 흑색 영역으로 구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베드 스캐닝 시스템에서 원고 크기 검출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라인에서 원고의 시작위치와 종료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해당 라인의 원고 데이터 중에서 상기 기준 데이터와 상이하다고 판정된 첫번째 화소번호를 검색하여 원고의 시작위치로 검출하고, 상기 해당 라인의 원고 데이터 중에서 상기 기준 데이터와 상이하다고 판정된 마지막 화소번호를 검색하여 원고의 종료위치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베드 스캐닝 시스템에서 원고 크기 검출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폭 검출단계는,
    상기 원고폭 시작위치 정보 중에서 가장 작은 시작위치 정보를 상기 원고의 원고폭 상단기준점으로 검출하고, 상기 원고폭 종료위치 정보 중에서 가장 큰 종료위치 정보를 상기 원고의 원고폭 하단기준점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베드 스캐닝 시스템에서 원고 크기 검출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대의 하단면에는 상기 원고가 놓여지는 위치를 지정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의 백색 영역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적어도 두개 이상의 위치 마크(position mark)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베드 스캐닝 시스템에서 원고 크기 검출방법.
  7. 원고대의 임의의 위치에 놓여진 원고의 크기를 자동으로 검출하기 위하여 프리 스캐닝을 수행하고, 상기 프리 스캐닝된 프리스캔 데이터를 저장하는 프리스캔 데이터 검출단계;
    상기 프리스캔 데이터의 검출이 완료되면, 상기 프리스캔 데이터를 소정크기의 프리스캔 마스크를 이용한 바이트 단위로 필터링하여 필터링 데이터를 검출하는 필터링 데이터 검출단계;
    상기 필터링 데이터의 검출이 완료되면, 상기 필터링 데이터를 소정크기의 에지 마스크를 이용한 바이트 단위로 검색하여, 주변 데이터와의 연결성을 체크하여 최종적인 에지 데이터를 검출하는 에지 데이터 검출단계;
    상기 에지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원고대의 임의의 위치에 놓여진 원고의 크기 및 위치를 검출하는 원고크기 검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베드 스캐닝 시스템에서 원고 크기 검출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마스크와 상기 에지 마스크의 크기는 3*3 바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베드 스캐닝 시스템에서 원고 크기 검출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데이터 검출단계는,
    상기 프리스캔 데이터 중에서 상기 필터링 마스크를 이용하여 바이트 단위로 검출하는 단계;
    상기 필터링 마스크 단위로 검출된 프리스캔 데이터 중에서 중앙 바이트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상기 중앙 바이트를 제외한 8바이트의 프리스캔 데이터 중에서 한 바이트의 내용이 모두 화이트 데이터가 아닌 바이트의 수를 체크하는 단계;
    체크된 상기 바이트의 수가 2개 이상이면 상기 필터링 마스크 단위로 검출된 9바이트의 프리스캔 데이터를 모두 블랙 데이터를 갖는 1 바이트의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상기 1 바이트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체크된 상기 바이트의 수가 2개 미만이면 상기 필터링 마스크 단위로 검출된 9바이트의 프리스캔 데이터를 상기 원고크기 검출과 관계없는 데이터로 판정하여 모두 화이트 데이터를 갖는 1 바이트의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상기 1 바이트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링 마스크 단위로 검출되지 않는 상기 프리스캔 데이터가 존재하면, 상기 필터링 마스크 단위로 상기 프리스캔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부터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베드 스캐닝 시스템에서 원고 크기 검출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데이터 검출단계는,
    상기 필터링 데이터 중에서 상기 에지 마스크를 이용하여 바이트 단위로 검출하는 단계;
    상기 에지 마스크 단위로 검출된 필터링 데이터 중에서 중앙 바이트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상기 중앙 바이트를 제외한 8바이트의 프리스캔 데이터 중에서 한 바이트의 내용이 모두 블랙 데이터인 바이트의 수를 체크하는 단계;
    체크된 상기 바이트의 수가 0개이면 상기 에지 마스크 단위로 검출된 9바이트의 필터링 데이터를 상기 원고크기 검출과 관계없는 데이터로 판정하여 모두 화이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단계;
    체크된 상기 바이트의 수가 0개가 아니면 상기 에지 마스크 단위로 검출된 9바이트의 필터링 데이터를 변환없이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에지 마스크 단위로 검출되지 않는 상기 필터링 데이터가 존재하면, 상기 에지 마스크 단위로 상기 필터링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부터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베드 스캐닝 시스템에서 원고 크기 검출방법.
KR1019990049897A 1999-11-11 1999-11-11 플랫 베드 스캐닝 시스템에서 원고 크기 검출방법 KR100338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897A KR100338082B1 (ko) 1999-11-11 1999-11-11 플랫 베드 스캐닝 시스템에서 원고 크기 검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897A KR100338082B1 (ko) 1999-11-11 1999-11-11 플랫 베드 스캐닝 시스템에서 원고 크기 검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6214A KR20010046214A (ko) 2001-06-05
KR100338082B1 true KR100338082B1 (ko) 2002-05-24

Family

ID=19619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9897A KR100338082B1 (ko) 1999-11-11 1999-11-11 플랫 베드 스캐닝 시스템에서 원고 크기 검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80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58776B2 (en) 2017-01-17 2018-12-18 Hp Printing Korea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US10511736B1 (en) 2018-07-23 2019-12-17 Kinpo Electronics, Inc. Document size sensing modu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24874C (zh) * 2004-03-25 2007-07-04 宇东电浆科技股份有限公司 盖板上设计有定位线的影像扫描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58776B2 (en) 2017-01-17 2018-12-18 Hp Printing Korea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US10511736B1 (en) 2018-07-23 2019-12-17 Kinpo Electronics, Inc. Document size sensing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6214A (ko) 2001-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0896B2 (en) Image reading method, image reading apparatus,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JP2006033797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US1173664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images from documents
JPH08279876A (ja) ファクシミリ走査位置の校正装置とその方法
KR100338082B1 (ko) 플랫 베드 스캐닝 시스템에서 원고 크기 검출방법
US20230145962A1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image reading
JP4998257B2 (ja) 画像読取装置
US7161706B2 (en) System for improving digital coplers and multifunction peripheral devices
JPH06103410A (ja) 画像処理装置
US7734120B2 (en) Method of scanning a document using a pre-scanning operation
US664303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age in an image scanner
JP2956377B2 (ja) 画像読取装置
US6133564A (en) Scanning area detection method for shuttle scanner
JPH09200445A (ja) 画像読取り装置
JPH07162667A (ja) 画像読取装置
JP2009194762A (ja) 画像処理装置
JP2008263275A (ja) 画像読取システム及び画像読取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100224583B1 (ko) 고속 스캐닝을 위한 스캐닝 영역 설정 방법
KR100474432B1 (ko) 프리 스캐닝 기능을 갖는 화상인쇄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329567Y1 (ko) 원고상태에 무관한 스캐너의 불필요 데이터 제거장치 및방법
JP3667536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
JPH09284491A (ja) 画像読取り装置
KR100268339B1 (ko) 복합기의 스캐닝 방법
JP4467019B2 (ja) 画像処理装置
KR100334099B1 (ko) 복합기에서 원고의 화상영역을 검출하여 확대 인쇄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