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7024B1 -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고온 촉매연소용 고표면적 알루미나 촉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고온 촉매연소용 고표면적 알루미나 촉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7024B1
KR100337024B1 KR1019990026679A KR19990026679A KR100337024B1 KR 100337024 B1 KR100337024 B1 KR 100337024B1 KR 1019990026679 A KR1019990026679 A KR 1019990026679A KR 19990026679 A KR19990026679 A KR 19990026679A KR 100337024 B1 KR100337024 B1 KR 100337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a
surfactant
surface area
high temperature
specific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6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8729A (ko
Inventor
강성규
조성준
송광섭
서용석
류민웅
류인수
Original Assignee
손재익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재익,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손재익
Priority to KR1019990026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7024B1/ko
Publication of KR20010008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8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7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70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009Use of binding agents; Moulding; Pressing; Powdering; Granulating; Addition of materials ameliorat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roduct catalyst
    • B01J37/0018Addition of a binding agent or of material, later completely removed among others as result of heat treatment, leaching or washing,(e.g. forming of pores; protective layer, desintegrating by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16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arsenic, antimony, bismuth, vanadium, niobium, tantalum, polonium, chromium, molybdenum, tungsten, manganese, technetium or rhenium
    • B01J23/32Manganese, technetium or rhenium
    • B01J23/34Mangane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메탄 등 기체 연료의 고온연소용 고표면적 알루미나 촉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함침법 등에 의한 알루미나 제조방법과는 달리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1,200℃ 이상의 고온에서도 5~80 m2/g의 넓은 비표면적과 촉매활성을 가지고 있다. 순수 알루미나는 θ형으로 제조하여 계면활성제의 농도에 따라 비표면적을 10~80 m2/g 변화시키며, 전이금속이 담지된 알루미나는 5~ 50 m2/g의 범위에서 변화시킨다. 본 발명의 전이금속이 담지된 알루미나는 메탄의 연소반응에 대하여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며 고온에서도 열적 안정이 우수하여 고온촉매 연소기술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고온 촉매연소용 고표면적 알루미나 촉매의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high surface area alumina for high temperature catalytic combustion using surfactant}
본 발명은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1,200℃ 이상의 고온 촉매연소에 적용할 수 있는 고표면적 알루미나 촉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함침법 등과 같이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알루미나는 1,000℃ 이상 고온에서 α-형의 알루미나로 상전이가 일어나면서 급격한 비표면적 감소가 일어나는 반면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촉매 담체 제조기술로 만들어진 알루미나는 θ형으로서 1,200 ℃의 고온에서도 10~80 m2/g의 넓은 비표면적을 유지하고 있으며, 제조과정에서 망간과 란타륨 같은 전이금속과 희토류 금속을 첨가함으로써 메탄과 같은 기체연료의 촉매연소반응에도 이용할 수 있는 헥사알루미네이트 hexaaluminate; 이하 hexal이라 한다) 상의 알루미나 물질을 제조할 수 있다.
1,200℃ 이상의 고온에서 넓은 비표면적을 갖는 물질의 제조에 관해서는 알루미늄 알콕사이드와 금속 알콕사이드를 원료로 질소분위기에서 가수분해하여 건조한 후 소성하여 만든 헥살(hexal)이 있다. 이 hexal은 1,300℃의 고온에서도 20 m2/g의 넓은 비표면적을 나타내며 메탄의 촉매연소반응에도 우수한 활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들의 제조방법은 금속알콕사이드를 원료로 사용함으로서 제조조건이 복잡하고 취급하기가 어려우며, 또한 조건의 미세한 차이가 비표면적에 큰 영향을 주어 넓은 비표면적을 지닌 hexal을 합성하기가 어렵다.
순수한 알루미나는 γ형에서 δ, θ, α형으로의 상전이가 각각 1,000℃, 1,080℃, 1,150℃에서 일어나면서 급격한 비표면적 감소가 일어나고 이러한 비표면적 감소로 인해 촉매 담체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이러한 상전이에 의한 비표면적 감소를 억제하기 위해 란타늄(La), 바륨(Ba) 등 희토류 금속과 실리카 첨가제를 이용하거나, 분무 열분해, 초임계 건조법 등을 이용하여 미세구조를 조절하거나 또는 hexal과 같은 작은 결정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순수한 알루미나를 이용하여 1,200℃의 고온에서 넓은 비표면적을 갖도록 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 Arai and M. Machida, Appl. Catal. A:General 1996, 138, 161).
본 발명은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촉매 담체에 망간과 란타늄 같은 전이금속과 희토류 금속을 첨가함으로써 1,000℃ 이상 고온에서 α-형의 알루미나로 상전이가 일어나면서 급격한 비표면적 감소가 일어나는 종래 알루미나 제조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메탄과 같은 기체연료의 촉매연소반응에도 이용할 수 있는 헥사알루미네이트(hexaaluminate) 상의 알루미나 물질을 제조하여 고온 촉매연소용 고표면적 알루미나 촉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제조한 알루미나를 공기중에서 6시간 1,200 ℃로 가열한 후 측정한 X선 회절 그래프.
도 2는 Al2O3/계면활성제(CTACl)의 비에 따라 알루미나 비표면적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제조한 알루미나를 공기중에서 6시간 1,200 ℃로 가열한 후 찍은 주사전자 현미경사진.(a: 순수 알루미나, b: 본 발명의 망간과 란타늄이 첨가되어 헥사알루미네이트를 형성한 알루미나.)
도 4는 돝간과 란타늄이 담지된 알루미나 촉매의 메탄 연소활성을 나탄낸 그래프이다. (1% 메탄, 99% 공기, 공간속도 48,000 hr-1)
알루미나에 망간 및 란타늄이 담지된 헥사알루미네이트를 합성함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로는 세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Cetyltrimethylammoniumchloride; CTACl, 25%, Aldrich) 5∼30 wt%, 폴리옥시에틸렌 스터릴 에테르(polyoxyethlyene steryl ether, C16H33(OCH2CH2)30OH, 99%, SE-30, Hannong Chemicals, Inc) 5∼30 wt%, 폴리옥시에틸렌 로릴에테르(polyoxyethylene laurylether, LE-50) 5∼30 wt% 또는 폴리옥시에틸렌 이소옥틸페닐에테르(polyoxyethylene isooctylphenylether, 99%, Triton X-100, Junsei Chemicals) 5∼30 wt%를 사용한다. 계면활성제를 5 wt% 이하를 사용하면 알루미나 촉매의 표면적을 증가시키는데 효과가 미미하며, 30 wt% 이상을 사용하면 촉매의 표면적 증대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알루미나는 알루미나 졸(alumina sol (10% Al2O3, Nissan) 67∼92 wt%을 사용하고, 란타늄은 La(CH3COO)2xH2O(99%, Aldrich)을, 망간은 Mn(CH3COO)24H2O(99%, Aldrich)을 사용하며 이 둘은 서로 혼합하여 3 wt%를 사용한다.본 발명에서 다양한 사용량의 알루미나, 망간 및 란타늄을 사용한 바 알루미나 67~92wt%, 망간 및 란타늄을 혼합하여 3wt% 사용시 본 발명의 목적에 가장 부합하는 알루미나 촉매를 얻을 수 있다.
망간 및 란타늄을 CTACl 계면활성제가 25% 포함된 용액에 용해한 후, 알루미나 졸을 분당 5g씩 천천히 첨가하였다. 그런 다음 상온에서 1 시간동안 초음파 처리(160 watt/43 kHz)하여 망간 및 란타늄, 계면활성제, 알루미나가 고르게 잘 혼합되도록 하고 90∼120℃ 에서 20∼30시간 동안 가열 한 후 550∼650℃에서 5.5∼6.5시간 동안 소성하여 계면활성제를 제거한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들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
알루미나, 망간 및 란탄이 담지된 헥사알루미네이트를 합성하기 위하여 세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Cetyltrimethylammoniumchloride; CTACl, 25wt%, Aldrich) 30 wt%를 계면 활성제로 사용하고, 알루미나 졸(alumina sol (10% Al2O3, Nissan) 67 wt%, 란타늄으로 La(CH3COO)2xH2O (99%, Aldrich) 2wt%와 망간으로 Mn(CH3COO)24H2O (99%, Aldrich) 1 wt%를 출발 물질로 사용하였다.
망간 및 란타늄을 계면활성제가 25% 포함된 용액에 용해한 후, 알루미나 졸을 천천히 첨가하였다. 이 알루미나 혼합물은 완전 혼합을 위하여 상온에서 1 시간동안 초음파 처리(160 watt/43 kHz)하여 계면활성제와 알루미나가 고르게 잘 혼합되도록 하고 100℃ 에서 24시간 동안 가열 한 후 600℃에서 6시간 동안 소성하여 계면활성제를 제거하였다. 그런 다음 계면활성제가 제거된 알루미나를 1,200℃의 고온에서 약 12 시간 동안 가열하여 비표면적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도 1은 순수한 알루미나와 망간과 란타늄이 담지된 알루미나의 X선 회절 스펙트럼을 보여주고 있다. 1,200℃의 고온 소성 조건에서도 순수한 알루미나는 α형으로의 상전이가 일어나지 않고 θ형의 상을 유지하고 있다. 망간과 란탄늄이 담지된 알루미나도 α형이 아닌 헥사알루미네이트(hexaaluminate) 상을 나타내고 있다.
< 실시예 2 >
계면활성제 CTACl를 5wt%~30wt%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망간 및 란타늄이 담지된 알루미나를 제조한 후 1,200℃에서 공기중에서 소성하여 측정한 비표면적을 비교하였다. 도 2는 비표면적 변화를 제조과정에서 사용한 Al2O3/CTACl 비의 함수로 비교한 것으로서 Al2O3/CTACl 비가 증가함에 따라, 즉 사용한 계면할성제의 양이 감소함에 따라 비표면적이 감소하고 계면활성제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비표면적이 최대 75 m2g-1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실시예 3 >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에 의해서 망간과 란타늄이 담지된 알루미나를 제조한 것을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을 찍어서 순수한 알루미나와 비교하였다. 순수한 알루미나 를 나타내는 도 3(a)는 해면체 모양으로 분말 형상이 관찰되고 망간과 란탄늄이 담지된 알루미나를 나타낸 도 3(b)은 육각 판상의 분말 입자를 관찰할 수 있었다. 판상형의 입자모양은 고온 소성조건에서 결정 성장을 억제하고 있다.
< 실시예 4 >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망간 및 란타늄이 담지된 알루미나 제조시 첨가제의 유무에 따른 알루미나 비표면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아래의 표 1에 나타낸 첨가제를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망간 및 란타늄이 담지된 알루미나를 제조하였으며 각 첨가제의 첨가에 따른 비표면적의 변화를표 1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첨가제로서 유기아민의 일종인 1-부틸아민(1-butylamine)을 사용한 경우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은 알루미나에 비하여 비표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지만 알콜의 일종인 1-부탄올(1-butanol), 유기산의 일종인 아세틱산(acetic acid), 벤젠류의 일종인 크실렌(Xylene)을 사용한 경우 오히려 비표면적이 감소하였다.
표 1. 첨가제의 유무에 따른 헥사알루미네이트의 비표면적 측정결과
Al2O3/CTACl 첨가제 첨가제/CTACl 몰비 비표면적(m2g-1)
62.8 - - 30.8
62.8 Xylene 40 26.5
62.8 Xylene 5 26.1
62.8 1-butanol 40 24.5
62.8 acetic acid 10 20.7
62.8 1-butylamine 10 31.7
< 실시예 5 >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망간 및 란타늄이 담지된 알루미나 제조시 계면활성제의 종류에 따른 알루미나 비표면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아래의 표 2에 나타낸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망간 및 란타늄이 담지된 알루미나를 제조하였으며 각 계면활성제의 사용에 따른 비표면적의 변화를 표 2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중성 계면활성제인 SE-30, Triton X-100 사용시 CTACl과 같은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이용할 때 얻어질 수 있는 비슷한 비표면적을 얻을 수가 있었으며, 첨가제로서 요소(Urea)를 알루미나에 대하여 몰비로 40배 사용하면, 비표면적 증대 효과를 높일 수가 있었다.
표 2. 계면활성제에 따른 망간과 란타늄이 담지된 알루미나의 비표면적
계면활성제 Al2O3/계면활성제 첨가제 비표면적(m2g-1)
CTACl 62.8 - 30.8
SE-30 62.8 - 28.7
SE-30 62.8 Urea 35.3
LE-50 62.8 - 25.0
Triton X-100 62.8 - 29.6
< 실시예 6 >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에 의해서 제조한 망간과 란탄늄이 담지된 알루미나의 메탄 연소반응 특성을 소형반응기와 가스 크로마토그램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메탄의 연소가 10% 일어나는 연소반응 개시온도는 540℃ 이었으며 완전 산화온도는 690℃로서 매우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고온 촉매연소용 고표면적 알루미나 촉매는 X선 회절 실험결과 θ형으로서 1,200℃의 고온에서도 담체의 비표면적을 10~80 m2/g로 조절이 용이하고 값이 저렴한 알루미나 졸과 금속염을 원료 물질로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금속 알콕사이드를 이용할 때 보다 현저하게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메탄을 연소시키는 촉매 기능도 할 수 있다.

Claims (6)

  1. 공지의 촉매연소용 알루미나 촉매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계면활성제 5∼30 wt%가 포함된 용액에 란타늄(La) 및 망간(Mn)이 혼합된 금속촉매 3 wt%를 용해한 후 10% 알루미나 졸 67∼92 wt%을 첨가하고 90∼120℃에서 가열건조하여 550∼650℃에서 소성 후 재차 1200℃의 온도에서 소성하여 계면활성제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고온 촉매연소용 고표면적 알루미나 촉매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는 세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폴리옥시에틸렌 스터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로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이소옥틸페닐에테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고온 촉매연소용 고표면적 알루미나 촉매의 제조방법
KR1019990026679A 1999-07-02 1999-07-02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고온 촉매연소용 고표면적 알루미나 촉매의 제조방법 KR100337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6679A KR100337024B1 (ko) 1999-07-02 1999-07-02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고온 촉매연소용 고표면적 알루미나 촉매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6679A KR100337024B1 (ko) 1999-07-02 1999-07-02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고온 촉매연소용 고표면적 알루미나 촉매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8729A KR20010008729A (ko) 2001-02-05
KR100337024B1 true KR100337024B1 (ko) 2002-05-17

Family

ID=19599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6679A KR100337024B1 (ko) 1999-07-02 1999-07-02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고온 촉매연소용 고표면적 알루미나 촉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70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409B1 (ko) 2021-08-13 2022-04-08 주식회사 성광이엔텍 함침법을 이용한 고활성 연소촉매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활성 연소촉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094B1 (ko) * 2006-08-31 2008-04-18 한화석유화학 주식회사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용 전기화학촉매의 제조방법
KR100774425B1 (ko) * 2006-09-15 2007-11-08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표면적이 증가된 금속필름 또는 금속산화물필름의 제조방법및 표면적이 증가된 금속촉매
KR101456900B1 (ko) * 2013-12-04 2014-11-04 희성촉매 주식회사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탄화수소 탈수소화 촉매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4616A (ja) * 1992-11-17 1994-06-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触媒体の製造方法
JPH07256100A (ja) * 1994-03-24 1995-10-09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触媒燃焼用耐熱性アルミナ担体の製造法
JPH1133412A (ja) * 1997-07-23 1999-02-09 Unitika Ltd 金属担持触媒の製造方法
KR19990026199A (ko) * 1997-09-23 1999-04-15 최수현 고온 연속촉매 분말과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4616A (ja) * 1992-11-17 1994-06-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触媒体の製造方法
JPH07256100A (ja) * 1994-03-24 1995-10-09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触媒燃焼用耐熱性アルミナ担体の製造法
JPH1133412A (ja) * 1997-07-23 1999-02-09 Unitika Ltd 金属担持触媒の製造方法
KR19990026199A (ko) * 1997-09-23 1999-04-15 최수현 고온 연속촉매 분말과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409B1 (ko) 2021-08-13 2022-04-08 주식회사 성광이엔텍 함침법을 이용한 고활성 연소촉매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활성 연소촉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8729A (ko) 200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i et al. Nanocrystalline LaCoO3 perovskite particles confined in SBA-15 silica as a new efficient catalyst for hydrocarbon oxidation
Maurer et al. Structural and acidic characterization of niobia aerogels
CN106824250B (zh) 一种掺杂锌的氮化碳可见光催化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Fan et al. Efficient V 2 O 5/TiO 2 composite catalysts for dimethoxymethane synthesis from methanol selective oxidation
JP5459322B2 (ja) 熱化学水分解用レドックス材料及び水素製造方法
US8435486B2 (en) Redox material for thermochemical water splitting, and method for producing hydrogen
CN105381812B (zh) 一种制备具有介孔结构的复合半导体材料的方法
Bedilo et al. Synthesis of carbon-coated MgO nanoparticles
CN113976155B (zh) 含氮/氧双重缺陷结构多孔氮化碳-铁酸盐复合催化剂的制备方法及光固氮应用
CN104860341B (zh) 一种耐高温和高比表面氧化铝的制备方法
KR100337024B1 (ko)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고온 촉매연소용 고표면적 알루미나 촉매의 제조방법
KR20110004172A (ko) 금속산화물 안정화제를 포함한 다공성 지르코니아 담체에 담지된 니켈 촉매, 그 제조방법 및 상기 촉매를 이용한 에탄올의 자열개질반응에 의한 수소 제조방법
KR100420909B1 (ko) 망간 및 알칼리 토금속 또는 희토류 금속 기재의 NOx트랩용 조성물 및 배기 가스 처리에 있어서의 그의 용도
JP4242842B2 (ja) ピロリン酸バナジル触媒を製造する方法
Greca et al. Evaluation of Pd/alumina catalysts, produced by combustion synthesis, in the ethanol oxidation reaction to acetic acid
WO2023033528A1 (ko) 양이온-음이온 이중 가수분해를 이용한 암모니아 분해용 촉매 제조방법
Cho et al. Surfactant-mediated synthesis of metal substituted hexaaluminate from alumina sol
Sohn et al. The effect of chelating agent on the catalytic and structural properties of Sm 2 Zr 2 O 7 as a methane combustion catalyst
KR102084504B1 (ko) 고온용 선택적 질소산화물 환원용 촉매
CN101147860B (zh) 由甲醇制备二甲醚的催化剂
KR20120117254A (ko) 글리세롤의 탈수반응을 통한 아크롤레인 생산 반응용 촉매 및 그 제조방법
CN107970935B (zh) 介孔氧化铝催化剂及其制备方法和在二氧化碳氧化1-丁烯脱氢制1,3-丁二烯中的应用
KR102493409B1 (ko) 아산화질소 분해 촉매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74199A (ko) 글리코 써멀법에 의한 나노 크기 세리아 분말의 제조방법
KR100228241B1 (ko) 고온 연소촉매 분말과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