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6292B1 - 도어록킹장치 - Google Patents

도어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6292B1
KR100336292B1 KR1019990014325A KR19990014325A KR100336292B1 KR 100336292 B1 KR100336292 B1 KR 100336292B1 KR 1019990014325 A KR1019990014325 A KR 1019990014325A KR 19990014325 A KR19990014325 A KR 19990014325A KR 100336292 B1 KR100336292 B1 KR 100336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ail
main body
friction member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4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6917A (ko
Inventor
이누리
Original Assignee
송원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원종 filed Critical 송원종
Priority to KR1019990014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6292B1/ko
Publication of KR20000066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6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6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62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6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holding sliding wings open
    • E05C17/6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holding sliding wings open by fri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8Holders
    • E05Y2201/22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측면 또는 후측면에 설치되어 도어가 안내되는 가이드레일을 압박하여 도어가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도어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도어 잠금장치들은 잠금시 창문이 개방되는 방향으로는 개방시킬 수 없지만 창문을 들어 그 하부를 레일로부터 벗어나게 하면 쉽게 개방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레일(11)을 타고 슬라이딩이동하는 미닫이식 도어(10a,10b)에 있어서, 양측단이 하부로 절곡되어 양측판(13a,13b)을 이루고 그 일측 측판(13a) 내측면에 레일(11)의 측면에 밀착되는 마찰부재(14a)를 부착하고 저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안내홈(15)을 구비하여 상기 레일(11)의 상부에 씌워지는 본체(12)와; 상단부에 안내홈(15)에 삽입되는 돌기(17)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12)의 양측판(13a,13b) 사이에서 이동하고 본체(10)의 마찰부재(14a)와 대향된 면에 동일재질의 마찰부재(14b)가 부착된 이동패드(16)와; 이동패드(16)가 없는 상기 본체(12)의 측면에 탭공을 형성하여 이에 체결되고 그 단부가 이동패드(16)에 공회전되게 결합되며, 외부에 노출된 타단에는 레버(19)가 형성된 작동봉(18)로 구성된 록킹장치(R1)를 구비하여, 외측 도어(10b)에는 내측면 단부에 설치하고, 내측 도어(10a)에는 측면하단부에 설치함과 동시에 내측 레일(11)에 함께 대응되도록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록킹장치는 도어의 측면 또는 측단부에 이동패드 및 마찰부재가 도어가 안내되는 레일을 압착하게 되어 슬라이딩되는 방향은 물론이고 도어가 상부로 들려올려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어떠한 방향에서든 도어가 개방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이러한 록킹장치를 이용하여 도어를 일정한 간격으로 개방시킨 후 그 개방상태를 유지하고 싶을 때에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록킹장치{An locking-apparatus for door}
본 발명은 도어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측면 또는 후측면에 설치되어 도어가 안내되는 가이드레일을 압박하여 도어가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도어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도어 록킹장치는 도어의 중앙부에 일측은 고정되고 타측은 회동되어 서로 맞물리는 세그먼트를 설치하여 필요시에 닫아 고정토록 하였다.
또 창문과 같은 곳에는 중앙부에 관통되는 구멍을 형성하고 바깥쪽 창문의 중앙부에는 나사구멍을 형성하여 끝단에 볼트가 형성된 잠금레버를 이용하여 잠글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잠금장치들은 창문이 개방되는 방향으로는 개방시킬 수 없지만 창문을 들어 그 하부를 레일로부터 벗어나게 하면 쉽게 개방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록킹장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도어의 측면 또는 측단부에 설치되어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은 물론이고 레일로부터 도어가 들려올려지는 것도 방지함으로써 어떠한 방향에서든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도어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록킹장치가 도어에 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록킹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부분 단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록킹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록킹장치의 사시도,
도 4a,4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록킹장치의 구조 및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단면사시도,
도 7은 제 3 실시예의 도어록장치 설치상태도,
도 8은 제 3 실시예의 도어록장치에 걸쇠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제 3 실시예의 도어록장치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제1실시예)
10a,10b - 도어 11 - 레일 12 - 본체
13a,13b - 양측판 14a,14b - 마찰부재 15 - 안내홈
16 - 이동패드 17 - 돌기 18 - 작동봉
19 - 레버 R1 - 록킹장치
(제2실시예)
21 - 본체 22 - 레일홈 23 - 로드
24 - 플랜지 25 - 스프링 26 - 마찰부재
27 - 회동레버 R2 - 록킹장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단은
레일을 타고 슬라이딩이동하는 미닫이식 도어에 있어서,
양측단이 하부로 절곡되어 양측판을 이루고 그 일측 측판 내측면에 레일의 측면에 밀착되는 마찰부재를 부착하고 저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안내홈을 구비하여 상기 레일의 상부에 씌워지는 본체와;
상단부에 안내홈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양측판 사이에서 이동하고 본체의 마찰부재와 대향된 면에 동일재질의 마찰부재가 부착된 이동패드와;
패드가 없는 상기 본체의 측면에 탭공을 형성하여 이에 채결되고 그 단부가 이동패드에 공회전되게 결합되며, 외부에 노출된 타단에는 레버가 형성된 작동봉으로 구성된 록킹장치를 구비하여,
외측부에 설치된 도어에는 내측면 단부에 설치하고, 내측부에 설치된 도어에는 측면하단부에 설치함과 동시에 내측 레일에 대응 되도록 설치하여 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록킹장치가 도어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록킹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부분 단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록킹장치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1)을 타고 슬라이딩이동하는 미닫이식 도어(10a,10b)에 있어서, 외측도어(10b)의 단부 내측면과 내측 도어(10a)의 측면 하단부에 내측 레일(11)에 물리도록 록킹장치(R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록킹장치(R1)는 레일(11)의 외부에 씌워지는 본체(12)와, 그 내부에서 이동하는 이동패드(16)와, 이동패드(16)를 수평이동시키는 작동봉(18)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12)는 양측단이 하부로 절곡되어 양측판(13a,13b)을 이루고 있으며, 그 일측 측판(13a) 내측면에 레일(11)의 측면에 밀착되는 마찰부재(14a)가 부착되며, 저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안내홈(15)이 형성되어 있다.
이동패드(16)는 상단부에 안내홈(15)에 삽입되는 돌기(17)가 형성되어 안내홈(15)을 타고 본체(12)의 양측판(13a,13b) 사이에서 수평 이동하도록 되어 있고,본체(12)의 마찰부재(14a)와 대향된 면에 동일재질의 마찰부재(14b)가 부착되어 있다.
작동봉(18)은 나사봉으로서, 이동패드(16)가 없는 본체(12)의 측면(13b)에 탭공을 형성하여 이에 출몰되게 체결되고 내측 단부가 이동패드(16)에 공회전되게 결합되며, 외부로 노출된 외측단부에는 조작이 쉽도록 외주면에 테이퍼진 레버(19)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록킹장치(R1)의 설치시 레버(19)가 내측을 향하도록 설치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도어(10a,10b)을 닫아 잠글 때에는 레버(19)를 회전시켜 이동패드(16)를 레일(11)쪽으로 이동시켜 본체(12)의 마찰부재(14a)와 이동패드(16)의 마찰부재(14b)를 레일(11)에 밀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마찰부재(14a,14b)의 마찰력에 의해 움직이지 않게 되므로 도어는 개방되지 않게 된다. 또 도어(10a,10b)를 레일(11)의 상부로 들어올리더라도 이또한 마찰부재(14a,14b)의 마찰력에 의해 들어올려지지 않게 되므로 도어(10a,10b)의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록킹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a,4b는 본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록킹장치의 구조 및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1)을 타고 슬라이딩이동하는 미닫이식 도어(10a,10b)에 있어서, 외측도어(10b)의 단부 내측면과 내측 도어(10a)의 측면 하단부에 내측 레일(11)에 물리도록 록킹장치(R2)가 설치되어 있다.
록킹장치(R2)는 본체(21)와, 본체(21)내부에서 상부로 관통되게 설치된 로드(23)와, 로드(23)의 외부에 설치된 스프링(25) 및 스프링(25) 외부 둘레의 마찰부재(26)와 로드(23)를 승하강 시키는 회동레버(27)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21)는 하부가 개구된 직육면체의 전후부에 쌍으로 이루어진 레일(11)이 관통되는 레일홈(22)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로드(23)는 하단부에 수평한 플랜지(24)가 형성되고 상단은 본체(21)의 중앙상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플랜지(24)는 레일(11)의 사이에 위치하게 설치된다. 플랜지(24) 상부의 로드(23) 둘레에는 상단은 본체(21)의 저면사이에 탄력지되고 하단은 플랜지(24)의 상면에 탄지되는 스프링(25)이 탄력 설치된다.
또 스프링(25)의 둘레에는 원통형의 마찰부재(26)가 씌워지고 마찰부재(26)의 하단부는 로드(23)의 플랜지(24)상부에 지지되어 있다. 이 마찰부재(26)는 적당한 두께를 가져 로드(23)의 승강에 의해 스프링(25)이 압축되면 본체(21)의 저면과 플랜지(24)사이에서 외부로 벌어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로 벌어진 마찰부재(26)는 쌍으로 이루어진 레일(11)내측면을 압착하게 된다.
회동레버(27)는 본체(21)의 상부로 노출된 로드(23)의 상단에 힌지결합되는데, 하부는 본체(21)의 상면과 힌지와의 간격이 좁게 형성되어 있고, 회동되는 쪽의 측부는 간격이 길게 형성되어 있어 회동레버(27)를 회동시키면 지렛대원리에 의해 로드(23)가 상부로 당겨지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도어(10a,10b)를 잠글 때에는 수직으로 놓여진 회동레버(27)를 직각으로 회동시키면 로드(23)가 상승하면서 스프링(25)을 압축시키게 되고 둘레의 마찰부재(26)는 쌍의 레일(11)내부에서 외부로 둥글게 벌어지게 되므로 레일(11)을 압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마찰부재(26)의 마찰력에 의해 도어(10a,10b)는 개방되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도어를 들어올려도 절대로 들어올려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외부에서는 도어를 개방시킬 수 없게 된다.
한편, 도어(10a,10b)를 개방시킬 때에는 직각으로 놓여진 회동레버(27)를 다시 수직으로 세우면 압축되었던 스프링(25)에 의해 로드(23)는 다시 하부로 하강하게 되고 플랜지(24)와 본체(21)의 하면이 멀어지게 되어 수축되어 외부로 부풀어졌던 마찰부재(26)는 다시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므로 도어(10a,10b)는 자유롭게 개방되게 된다.
(제3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단면사시도이고, 도 7은 제 3 실시예의 도어록장치 설치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0)의 단부에는 하부로 직각절곡된 지지부(31)가 형성되고 내측면에 고무와 같은 마찰부재(26)가 부착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레일(11)과의 마찰에 의해 레일(11)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외측면에도 마찰부재(26)을 설치할 수 있다.
본체(30)의 타측단에는 기어박스(32)가 설치되고, 기어박스(32)와 절곡된 본체(30)의 단부 사이에 이동체(38)가 설치된다. 이동체(38)의 전면 또는 후면에 마찰부재(26)가 부착되어 있다.
기어박스(32)의 내부에는 상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회전축(33)이 설치되고, 외부로 노출된 회전축(33)의 상단에 작동레버(34)가 설치되며, 하단에는 구동베벨기어(35)가 설치된다. 또 기어박스(32)에는 측면을 관통함과 동시에 이동체(38)를 탭을 내며 수평하게 관통하는 나사봉축(36)이 설치되고, 이 나사봉축(36)의 내측단에는 기어박스(32)내에서 구동베벨기어(35)와 맞물리는 종동베벨기어(37)가 설치되고, 타단은 본체(30)의 지지부(31)의 내측면에 공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도어록장치는 그 자체로 독립되게 사용할 수 있으나, 도 5 내지 도 7 과 같이 브래킷(B)을 달아 도어(10b)의 측면에 부착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도어(10b)를 잠글 때에는 레버(34)를 회전시켜 내부의 베벨기어(35)(37)를 통해 나사봉축(36)을 회전시킨다. 나사봉축(36)의 회전에 의해 축상에 설치된 이동체(38)가 전진하여 지지부(31)와의 사이에 위치한 레일(11)을 가압한다. 가압시 마찰부재(26)가 높은 마찰력을 발휘하므로 도어(10b)를 슬라이딩 이동시키거나 상부로 들어올려도 도어는 레일(11)을 절대 벗어나지 못하게 된다.
도어를 개방시킬 때에는 레버(34)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동체(38)가 후퇴하여 가압하고 있던 레일(11)을 풀어주게 되므로 도어는 이동이 자유롭게 된다. 이때 도어록장치는 브래킷(B)에 의해 도어(10b)와 함께 움직이게 된다.
브래킷(B)이 없을 때에는 도어록장치가 독립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도어가 닫혔을 때 도어의 측면에 근접되게 레일(11)에 설치하면 도어가 이에 걸려 움직이지 못하게 되고 어느정도 거리에 이격되게 설치하면 그 이격된 거리만큼만 개방되므로 필요에 따라 도어개방 정도를 조절하고 싶을 때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제 3 실시예의 도어록장치에 걸쇠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9는 제 3 실시예의 도어록장치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0)의 직각절곡된 단부 측면으로 관통된 수평한 구멍이 형성되고, 이 구멍의 내측 단부는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부로 개구되고 이 개구부를 통해 걸쇠(39)의 손잡이부가 노출되며 걸쇠(39)의 단부는 구멍의 내부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동시에 도어(10a)의 측면에 걸쇠(39)의 단부가 끼워지는 걸쇠구멍(h)이 형성되어 도어(10a)를 닫은 후 레일(11)에 설치된 록장치의 걸쇠(39)의 단부가 도어(10a)의 걸쇠구멍(h)에 꺼워져 도어(10a)를 잠그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도어를 닫은 후 도어록장치를 도어(10a)의 걸쇠구멍(h)에 대응시켜 상술한 방법으로 레일(11)에 설치한 후 걸쇠(39)를 전방으로 밀게 되면 걸쇠(39)는 전진하여 도어의 걸쇠구멍(h)으로 삽입되므로 도어(10a)는 유동하지 않게 되므로 외부에서는 절대 개방시키지 못하게 된다.
또한 도어를 특정 간격으로만 개방시켜야 할 경우에는 그 위치의 레일(11)위에 본 발명의 도어록장치를 설치해 놓고 걸쇠(39)에 도어의 걸쇠구멍(h)가 위치하도록 개방시킨 후 걸쇠(39)를 전진시키면 걸쇠(39)가 전진하여 걸쇠구멍(h)에 끼워지게 되므로 도어는 그 자리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록장치는 도어를 외부에서 개방시키지 못하도록 하는 작용 뿐만 아니라 특정 간격으로만 개방시키고 싶을 때에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의 측면 또는 측단부에 이동패드 및 마찰부재가 도어가 안내되는 레일을 압착하게 되어 슬라이딩되는 방향은 물론이고 도어가 상부로 들려올려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므로써 어떠한 방향에서든 도어가 개방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이러한 록킹장치를 이용하여 도어를 일정한 간격으로 개방시킨 후 그 개방상태를 유지하고 싶을 때에도 효과적을 사용할 수 있다.

Claims (6)

  1. 청구항1는 삭제 되었습니다.
  2. 레일(11)을 타고 슬라이딩이동하는 미닫이식 도어(10a,10b)에 있어서,
    하부가 개구되고 전후부에 쌍으로 이루어진 상기 레일(11)이 관통되는 레일홈(22)을 복수개 형성한 본체(21)와;
    하단부에 쌍으로 이루어진 상기 레일(11)의 사이에 위치하는 플랜지(24)가 형성되고 상단은 본체(21)의 중앙상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본체(21)의 내부에 설치된 로드(23)와;
    상기 로드(23)의 플랜지(24)와 본체(21)의 상부 저면사이에 탄력설치된 스프링(25)과;
    상기 스프링(25)의 둘레에 씌워지고 하단부는 로드(23)의 플랜지(24)상부에 안착되어 스프링(25)의 압축에 의해 외부로 벌어져 쌍으로 이루어진 레일(11)내측면을 압착하는 마찰부재(26)와;
    본체(21)의 상부로 노출된 로드(23)의 상단에 힌지결합되어 지렛대원리로 상기 로드(23) 하강 시키는 회동레버(27)로 구성된 록킹장치(R2)를 구비하여,
    외측 도어(10b)의 내측면 단부에 설치하고, 내측 도어(10a)에는 측면하단부에 설치함과 동시에 내측 레일(11)에 함께 대응 되도록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장치.
  3. 청구항3는 삭제 되었습니다.
  4. 청구항4는 삭제 되었습니다.
  5. 청구항5는 삭제 되었습니다.
  6. 청구항6는 삭제 되었습니다.
KR1019990014325A 1999-04-21 1999-04-21 도어록킹장치 KR100336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4325A KR100336292B1 (ko) 1999-04-21 1999-04-21 도어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4325A KR100336292B1 (ko) 1999-04-21 1999-04-21 도어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6917A KR20000066917A (ko) 2000-11-15
KR100336292B1 true KR100336292B1 (ko) 2002-05-13

Family

ID=19581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4325A KR100336292B1 (ko) 1999-04-21 1999-04-21 도어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62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336B1 (ko) * 2012-05-11 2013-08-16 강재화 미닫이창문 레버형 잠금장치
KR101448218B1 (ko) * 2013-05-07 2014-10-08 주식회사 공진 냉장 및 냉동고 도어용 도어록장치
KR101444618B1 (ko) * 2013-11-13 2014-09-26 한광식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12134U (ko) * 1976-02-19 1977-08-25
JPS6441583U (ko) * 1987-09-07 1989-03-13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12134U (ko) * 1976-02-19 1977-08-25
JPS6441583U (ko) * 1987-09-07 1989-03-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6917A (ko) 2000-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42188C (en) Pick resistant sash lock and keeper and method of locking sashes
US20060283087A1 (en) Automatic door bottom and sill assemblage
US4913476A (en) Door latch and release apparatus
KR100336292B1 (ko) 도어록킹장치
CA205454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atching sliding closures
CN108005489B (zh) 一种智能锁
US3235301A (en) Releasable retaining means for the reversible latch unit of a unit lock
US4418951A (en) Rotary latch for screen door
US4790107A (en) Window securing device
KR200216904Y1 (ko) 창문 개폐장치
KR200271060Y1 (ko)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GB2119007A (en) Locking devices for fitting to latch mechanisms
KR200223979Y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JP3932684B2 (ja) 窓装置
US3035829A (en) Window opening device
KR890006984Y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장치
CN217481019U (zh) 门锁锁舌传动机构及车载酒柜
JPS5814212Y2 (ja) 障子の施錠装置
JPH08135301A (ja) サッシ
KR200156293Y1 (ko) 차량용 도어의 개폐구조
KR200166864Y1 (ko) 도어핸들 겸 로크장치
KR200220699Y1 (ko) 창문 개폐용 받침 가이드
KR910008768Y1 (ko) 창문용 잠금장치
JPH0515017Y2 (ko)
KR900005064Y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