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768Y1 - 창문용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창문용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768Y1
KR910008768Y1 KR2019880000326U KR880000326U KR910008768Y1 KR 910008768 Y1 KR910008768 Y1 KR 910008768Y1 KR 2019880000326 U KR2019880000326 U KR 2019880000326U KR 880000326 U KR880000326 U KR 880000326U KR 910008768 Y1 KR910008768 Y1 KR 9100087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piece
hole
window
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03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6414U (ko
Inventor
장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남선알미늄
장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남선알미늄, 장형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남선알미늄
Priority to KR20198800003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8768Y1/ko
Publication of KR8900164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64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7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7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3/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 E05C3/041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rota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05C3/04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rota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in the form of a crescent-shaped ca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3/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 E05C3/041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rota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05C3/04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rota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the handle being at one side, the bolt at the other side or inside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3/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 E05C3/041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rota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05C3/043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rota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the pivot being between bolt and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창문용 잠금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잠금구 작동상태 배면도로서 제2a도는 잠금구가 열린 상태도, 제2b도는 잠금구의 손잡이가 회전중인 상태도.
제3도는 본고안 협지구의 분해사시도.
제4도는 본고안 압지구의 분해사시도.
제5도는 본고안에서 잠금구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제6도는 본고안 내외측 창문의 종바 단면도.
제7도는 본고안 협지구가 장착된 상태의 내측창문 상부 단면도.
제8도는 본고안 협지구의 누름편이 상부레일을 눌러 내측창문과 밀착되게한 상태단면도.
제9도는 본고안 잠금구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잠금구 B : 협지구
C : 압지구 4 : 승강간
10 : 승강판 20 : 지지간
22 : 협지편 23 : 작동간
38 : 압지편 42 : 작동판
본고안은 창문용 잠금구를 잠그면 내측 창문의 종바 상부에 설치된 협지구가 상부레일을 눌러 내측창문과 상부레일이 밀착되게 하므로서 내외측 창문이 모두 상부레일에 밀착고정되게 하므로서 내외측 창문이 모두 상부레일에 밀착고정되게 한 창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고안과 비슷한 잠금장치로서는 일본공개실용신안 소 58-128170호와 같이 잠금체가 회전하면 걸림편이 돌출하여 외측창문을 끌어 당김으로서 내외측 창문이 서로 밀착되게 한 것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일본의 공개실용신안소 58-128270호는 내외측 창문을 밀착시킬수는 있는것이나 창문을 상부레일에 밀착고정시킬수는 없는 것이기 때문에 상부레일과 창문사이에 틈이 생겨 외부먼지나 소음이 유입될뿐 아니라, 특히 상부레일과 창문이 밀착되지 못하므로서 바람에 의해 창문이 흔들리고 덜컹거리는 소음이 발생하는 등의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고안은 이러한 단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잠금구가 부착되는 내측 창문의 종바에 승가안과 협지구 및 압지구를 설치하여 잠금구의 손잡이를 회전하면 그에따라 승강간이 승강되고 승강간의 승강동작에 의하여 협지구와 압지구가 연통되도록 구성하여 창문이 잠겨짐과 동시에 압지구가 내외측 창문을 서로 밀착되게하고 협지구는 창문과 상부레일이 협지되도록하여 그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한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고안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내측창문 종바(1)의 외면에 부착된 잠금구(A)와 종바(1)에 형성된 안내홈(2)에 삽입되어 잠금구(A)의 손잡이(3)가 회전하면 상하로 승강되는 승강간(4)과 승강간(4)의 승강으로 내측창문과 상부레일(5) 사이를 밀착시키는 협지구(B)와 내측창문과 외측창문 사이를 밀착시키는 압지구(C)로 구성되어 있다.
잠금구(A)는 제9도에 도시된바와 같이 손잡이(3)의 사각축봉(6)에 돌봉(7)이 편심되게 돌출된 원형회전판(8)의 사각공(8')을 끼우고 회전판(8)의 돌봉(7)에 돌봉(9)이 일측에 돌출된 승강판(10)의 개방공(11)을 삽입하여 회전판(8)의 회전으로 승강판(10)이 상하로 승강작동케하고 승강판(10) 위에 덮개(12)를 피스로 고정하되 승강판(10)의 돌봉(9)이 덮개(12)의 장공(13)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게 하였다.
잠금구(A)는 내측창문 종바(1)의 안내홈(2)을 통하여 노출된 승강간(4)의 장공(14)을 관통하고 내측창문 종바(1)의 지지편(도시안됨)에 형성된 나사구멍에 나사결합되는 피스(15)에 의하여 내측창문의 종바(1)와 결착고정되고 이때 돌봉(9)은 승강간(4)의 통공(16)에 헐렁하게 삽입되어 손잡이(3)의 회전으로 승강판(10)의 돌봉(9)이 상하운동하면 승강강(4)도 상하운동케 하였다.
협지구(B)는 제3도와 같이 핀공(17)과 상하안내장공(18), (19)이 형성된 지지간(20)과 지지간(20)에 핀공(17), (17')을 관통하는 축핀(21)을 축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협지편(22)과 협지편(22)의 하부가 삽입되는 작동간(23)으로 구성되어 있고 작동간(23)의 상부에 삽입된 핀봉(24)은 협지편(22)의 ""형 안내공(25)을 관통하고 그 양단은 지지간(20)의 상부안내장공(18)에 이동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작동간(23)의 중앙부에 삽입된 핀봉(26)은 그 양단부가 지지간(20)의 하부 안내장공(19)에 이동가능 하도록 삽입되며 하부의 핀봉(27)과 지지간(20)의 걸림편(28)사이에는 스프링(29)을 탄력설치하여 작동간(23)의 상부핀봉(24)은 외력의 작용이 없는한 안내공(25)의 상단에 위치되게하고 협지편(22)의 상부로 돌출된 누름편(30)의 상단내측에 경사면(31)을 형성하여 이러한 구성의 협지구(B)는 내측창문 종바(1)의 중공부(32)내에 삽입하여 내측창문 종바(1)의 상단 높이와 협지구(B)의 상단높이가 일치되게하고 지지간(20)의 상하에 형성된 나공(23)에 내측창문 종바(1)를 관통하는 피스를 체결하여 협지구(B)가 내측창문 종바(1)와 결합되게 하며 이때 작동간(23)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공(34)이 제1도에서와 같이 승강간(4)의 상부나공(35)과 일치하므로 상부나공(35)에 피스(36)를 체결하며 피스(36)의 단부가 걸림공(34)을 관통하여 걸리게되고 제7도에서와 같이 누름편(30)은 내측창문 종바(1)의 상부에 형성된 레일안내홈(37) 일측에 위치한다.
압지구(C)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중앙부에 "ㄱ"형으로 절곡형성된 압지편(38)이 수평으로 이동 가능토록 삽입된 지지간(39)과 압지편(38)의 돌봉(40)에 ""형 안내공(41)이 유삽되어 상하로 승강운동하는 작동판(42)과 중앙부의 요입면(43)에 형성된 횡공(44)이 압지편(38)의 돌봉(40)에 헐렁하게 삽입되는 고정판(45)으로 구성되고 지지간(39)의 상부걸림편(46)과 작동판(42)의 상부걸림편(47) 사이에 스프링(48)을 설치하여 외력의 작용이 없는한 돌봉(40)이 항상 안내공(41)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하고 고정판(45)의 절곡측면(49)상하에 나공(50)을 형성하고 이 나공(50)에 지지간(39)의 상하통공(51)을 통하여 피스를 체결하므로서 고정판(45)이 지지간(39)과 결착되게 하였으며 이러한 압지구(C)를 협지구(B)와 마찬가지로 내측창문종바(1)의 중공부(32) 내에 삽입하고 지지간(39)의 상하에 형성된 나공(52)에 내측창문종바(1)를 관통하는 피스(53)를 체결하여 압지구(C)가 협지구(B)아래 내측창문종바(1)내에서 고정되게 한다.
이때 압지구(C)의 압지편(38) 부분은 제5도에서와 같이 내측창문 종바(1)에 뚫어놓은 개구공을 통하여 외부에 노출되며 제1도와 같이 작동판(42)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공(54)이 승강간(4)의 하부나공(55)과 일치하므로 하부나공(55)에 나사결합된 피스(56)의 단부가 걸림공(54)을 관통하여 걸리도록 한 것이다.
미 설명 부호(57)은 잠금구(A)의 걸림편, (58)은 외측창문의 종바, (59)는 외측 창문의 종바(58)에 돌출된 걸림간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고안은 내측창문에 부착된 잠금구(A)의 손잡이(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걸림편(57)이 같이 회전하여 외측창문의 걸림고리(도시안됨)에 걸리면서 창문이 잠기는 것은 종래와 같으나 손잡이(3)와 함께 회전판(8)이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제2a도, 제2b도에서와 같이 회전판(8)의 돌봉(7)이 원운동하면서 개방공(11)을 아래로 밀어 승강판(10)이 아래로 내려가게하고 덮개(12)의 장공(13)을 통하여 돌출되고 승강간(4)의 통공(16)에 삽입된 승강판(10)의 돌봉(9)이 승강간(4)을 하강하게 하므로 걸림공(34), (35)을 관통한 승강간(4)의 피스(36), (56)에 의하여 협지구(B)의 작동간(23)과 압지구(C)의 작동판(42)이 동시에 하강한다.
협지구(B)의 작동간(23)이 하강하면 핀봉(24)이 하강하므로 안내공(25)의 작용으로 협지편(22)이 축핀(2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따라서 누름편(30)이 회전하여 제8도와 같이 상부레일(5)의 측면을 누르므로 상부레일(5)과 내측창문이 밀착되고 이때 누름편(30)에는 경사면(31)이 돌출형성되어있어 누르는힘이 강화되고 누름편(30)이 회전하여 경사진 상태로 상부레일(5)의 측면을 눌러도 흠이 생기지 않게된다.
동시에 제4도와 같이(C)의 작동판(42)이 하강하면 안내공(41)의 작용으로 돌봉(40)이 내측으로 이동하므로 압지편(38)의 절곡단부가 "제6도"에서와 같이 외측창문종바(58)의 걸림간(59)을 내측으로 걸어 당겨 밀착되게 하므로 내외 창문도 서로 빈틈없이 밀착된다.
잠금구(A)의 손잡이(3)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걸림편(57)이 외측창문 걸림고리(도시안됨)와 이탈하여 창문의 잠금이 풀리고 동시에 하강할때와는 반대 작용으로 승강간(4)이 상승하고 작동간(23)과 작동판(42)도 상승하므로 상부레일(5)을 누르고 있던 누름편(30)이 안내공(25)의 작용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원래자리로 복귀하고 외측창문종바(58)의 걸림간(59)을 당겨누르고 있던 압지편(38)도 안내공(41)의 작용으로 외측으로 이동하여 원래자리로 복귀하므로 창문은 쉽게 열린다.
따라서 본고안은 창문을 잠그면 압지구(C)가 내외측창문을 서로 밀착시킬뿐 아니라 동시에 협지편(B)에 의하여 내측창문이 상부레일에 밀착고정되므로서 외부의 먼지나 소음의 유입이 방지되고 온도 손실도 적으며 특히 바람에 창문이 흔들려 덜컹거리지 않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잠금구(A)의 사각축봉(6)에 회전판(8)을 삽입하고 회전판(8)의 편심돌봉(7)에 승강판(10)의 개방공(11)을 삽입하고 승강판(10)의 돌봉(9)이 덮개(12)의 장공(13)으로 돌출되게하여 손잡이(3)가 회전하면 돌봉(9)이 상하로 승강토록하고 돌봉(9)을 승강간(4)의 통공(16)에 삽입하여 돌봉(9)을 따라 승강간(4)이 승강토록하고 협지구(B)의 지지간(20)에 누름편(30)이 돌출된 협지편(22)을 회전가능하도록 설치하고 협지편(22)의 안내공(25)에 작동간(23)의 상부핀봉(24)을 삽입하고 동시에 상부핀봉(24)의 양단부가 지지간(20)의 상부장공(18)에 삽입되게하고 하부핀봉(27)과 지지간(20)의 걸림편(28)사이에 스프링(29)을 설치하고 작동간(23)의 걸림공(34)에 승강으로 협지구(B)의 누름편(30)이 상부레일(5)을 누르도록 하여서된 창문용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협지구(B)의 누름편(30)에 경사면(31)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잠금장치.
KR2019880000326U 1988-01-16 1988-01-16 창문용 잠금장치 KR9100087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0326U KR910008768Y1 (ko) 1988-01-16 1988-01-16 창문용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0326U KR910008768Y1 (ko) 1988-01-16 1988-01-16 창문용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6414U KR890016414U (ko) 1989-08-19
KR910008768Y1 true KR910008768Y1 (ko) 1991-11-04

Family

ID=19271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0326U KR910008768Y1 (ko) 1988-01-16 1988-01-16 창문용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87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153U (ko) * 2015-03-10 2016-09-21 이동혁 기밀 효과를 높인 창호용 잠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153U (ko) * 2015-03-10 2016-09-21 이동혁 기밀 효과를 높인 창호용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6414U (ko) 198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62576A (en) Sliding glass window and door lock
KR910005295B1 (ko) 창문, 문 등의 슬라이딩 철물을 위한 잠금끼워맞춤
KR910008768Y1 (ko) 창문용 잠금장치
DE59808204D1 (de) Türöffner
JPH0515026Y2 (ko)
KR950002394Y1 (ko) 창문의 자동잠금장치
JPS5821885Y2 (ja) 施錠装置
JPS5817887Y2 (ja) 換気用小窓のロツク装置
JPS6122120Y2 (ko)
JPH0248579Y2 (ko)
JPS5838125Y2 (ja) 門扉の施錠装置
KR100788981B1 (ko) 열림손잡이를 구비한 도어잠금장치
KR970004508Y1 (ko) 전자기기의 도어 개폐장치
KR0119867Y1 (ko) 매립형 손잡이 겸 자물쇠
KR200230858Y1 (ko) 창문 자동 레바 록
JPH0417183Y2 (ko)
JPS5820038Y2 (ja) 天井点検口の内枠支持装置
JPH08450Y2 (ja) 落し棒装置
JPS6317837Y2 (ko)
JPS5814212Y2 (ja) 障子の施錠装置
JPS6137731Y2 (ko)
KR20030049418A (ko) 여닫이문의 처짐방지구
JP2512184Y2 (ja) 扉 錠
KR890001328Y1 (ko) 창문 괘정장치
JPH023060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0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