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5069B1 - 광 기록매체의 비씨에이 검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광 기록매체의 비씨에이 검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5069B1
KR100335069B1 KR1020000034557A KR20000034557A KR100335069B1 KR 100335069 B1 KR100335069 B1 KR 100335069B1 KR 1020000034557 A KR1020000034557 A KR 1020000034557A KR 20000034557 A KR20000034557 A KR 20000034557A KR 100335069 B1 KR100335069 B1 KR 100335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ca
signal
servo
window
tr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4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3906A (ko
Inventor
박상온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34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5069B1/ko
Publication of KR20020003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3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5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50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2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 G11B20/00217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the cryptographic key used for encryption and/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the record carrier being read from a specific source
    • G11B20/00253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the cryptographic key used for encryption and/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the record carrier being read from a specific source wherein the key is stored on the record carrier
    • G11B20/002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the cryptographic key used for encryption and/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the record carrier being read from a specific source wherein the key is stored on the record carrier the key being stored as a barcode
    • G11B20/00268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the cryptographic key used for encryption and/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the record carrier being read from a specific source wherein the key is stored on the record carrier the key being stored as a barcode said barcode being recorded in a burst cutting area [BC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37A/D conversion, D/A conversion, sampling, slicing and digital quantisation or adjusting parameters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46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filtering or equalising, e.g. setting the tap weights of an FIR filt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36Auxiliary data, e.g. lead-in, lead-out, Power Calibration Area [PCA], Burst Cutting Area [BCA], control inform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버스트 커팅 영역(BCA) 검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RF 신호로부터 윈도우 신호와 편심 성분을 추출한 후 윈도우 신호가 커지는 방향에 해당하는 편심 방향으로 트랙킹 액츄에이터의 이동을 제어하여 BCA 신호를 디코딩하도록 함으로써, BCA 영역이 매우 좁게 성형되는 경우에 편심의 영향 등에 의해 BCA 정보를 검출하기 어려운 광 기록매체에 대해서도 BCA 정보를 정확하고 안정되게 잘 검출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광 기록매체의 비씨에이 검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BCA}
본 발명은 버스트 커팅 영역(Burst Cutting Area ; BCA)이 존재하는 광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밀도 광 기록매체에서도 BCA의 정보를 안정되고 정확하게 검출하는 광 기록매체의 BCA 검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광 기록 재생 장치가 고밀도 광 기록 재생 장치로 진행하면서 무단 복제의 문제가 심각하게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복사 방지(copy protection)에 대한 방법이 제기되고 또한 논의되고 있다.
그 중 하나가 BCA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시스템 구현에 있어서 BCA를 검출 및 제어하는 것이 필수적인 요소가 되고 있다.
상기 BCA의 기록 형태는 다음과 같다. 도 1의 (a) 내지 (c)는 DVD-RAM/ROM에 대한 리드 인 영역의 구조의 일 예를 보인 도면이다.
즉, BCA는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 22.3mm부터 23.5mm 사이에 더미 데이터를 기록한 피트에 중첩되어 기록되어 진다. 이는 BCA 영역을 억세스할 때 피트 신호가 없으면, 재생 장치가 오동작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도 1의 (b)는 디스크 최 내주부의 BCA 신호의 반경 방향의 배치를 보이고 있다. 이 배치에 의해 BCA의 허용 범위내의 위치 오차가 있어도, 반경 23.9mm부터 외주측으로 기록되는 콘트롤 데이터 영역에서 150㎛ 이상의 거리가 유지된다. 이렇기 때문에 콘트롤데이터가 BCA 기록에 의해 열화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BCA 영역에서는 어드레스가 읽히지 않기 때문에 콘트롤 데이터를 억세스하려 할 때에 오버런(overrun)에 의해 광빔이 BCA 영역에 돌입하여도 위치를 알지 못한다고 불리는 상태를 피할 수 있다.
상기 BCA는 도 1의 (c)와 같이 스트라이프(stripe) 형태이며, 각각의 스트라이프는 반경 방향의 길이가 1.15mm부터 1.65mm로, 원주 방향의 폭이 5㎛부터 15㎛의 장 방향의 반사 막이 제거된 부분이다. 따라서, 신호 재생시는 저 반사부가 된다.
즉, 상기 스트라이프가 최대로 약 2000권, 원주 방향에 바코드 상태로 기록되어진다. 188바이트의 경우는, 바코드가 원주 방향으로 최대 300도의 각도분만큼 기록되어 있다.
상기 BCA를 기록하도록 설계된 디스크의 원반은 도 1의 (a)와 같이 피트의 기록을 반지름 22.25mm의 위치에서 시작하는 것이 DVD 규격에 정해져 있다. 즉, BCA가 있을 때의 리드 인 영역의 시작 포인트는 22.25mm가 된다.
이렇게 해서, BCA 영역내의 반경 22.3mm부터 23.45mm의 1.15mm의 범위에는 원반 피트와 BCA 양쪽이 반드시 존재하는 것이 된다.
한편, BCA가 없을 때의 리드-인 영역의 시작 포인트는 도 1의 (a)와 같이 22.6mm가 된다.
이때, BCA 영역에 BCA가 기록되어 있는지의 유무는 리드-인 영역의 콘트롤 데이터 영역에 기록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리드-인 영역의 콘트롤 데이터 영역을 읽어 BCA가 존재한다면 BCA가 위치한 영역으로 이동하여 포커스만 건 상태에서 BCA 신호를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BCA 신호의 디코딩을 통하여 BCA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BCA 정보를 이용하여 재생 및 기록에 필요한 제어를 하게 된다.
도 2는 이러한 일반적인 BCA 검출 회로의 구성 블록도로서, RF 신호로부터 BCA 영역을 검출하여 디코딩한다. 즉, 광 픽업(102)은 서보 제어부(107)의 제어에 의해 대물 렌즈에 집광된 광빔이 광 디스크(101)의 신호 트랙 위에 놓이게 하고, 또한 신호 기록면에서 반사하여 들어온 광을 다시 대물렌즈로 집광한 후 포커스 에러 신호와 트랙킹 에러 신호의 검출을 위해 광 검출기(도시되지 않음)로 입사한다.
상기 광 검출기는 복수개 이상의 광 검출 소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광 검출소자에서 얻은 광량에 비례하는 전기신호가 RF 및 서보 에러 생성부(103)로 출력된다. 상기 RF 및 서보 에러 생성부(103)는 상기 광 검출기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로부터 데이터 재생을 위한 RF 신호, 서보 제어를 위한 포커스 에러 신호(FE), 트랙킹 에러 신호(TE) 등을 검출한다. 여기서, 상기 RF 신호는 데이터 재생을 위해 출력되고, FE, TE와 같은 서보 에러 신호는 서보 제어부(107)로 출력된다.
이때, 상기 서보 제어부(107)는 포커스 에러 신호(FE)와 트랙킹 에러 신호(TE)를 각각 신호 처리하여 포커싱 제어를 위한 구동 신호와 트랙킹 제어를 위한 구동 신호를 발생시켜 포커스/트랙킹 서보 구동부(108)로 출력한다. 상기 포커스/트랙킹 서보 구동부(108)는 광 픽업(102) 내의 포커스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킴에 의해 광 픽업(102)을 상하로 움직여 광 디스크(101)가 회전과 함께 상하 움직임에따라 추종해가도록 한다. 또한, 상기 포커스/트랙킹 서보 구동부(108)는 광 픽업(102) 내의 트랙킹 액츄에이터를 구동함에 의해 광 픽업(102)의 대물렌즈를 래디얼(radial) 방향으로 움직여서 빔의 위치를 수정하고, 소정의 트랙을 추종한다.
이때, BCA 영역을 검출하여 디코딩하려면, 광 픽업(102)은 포커스만 온인 상태에서 상기 RF 및 서보 에러 생성부(103)를 통해 RF 신호를 검출하여 로우패스 필터(Low Pass Filter ; LPF)(104)로 출력한다.
도 3의 (a)는 BCA 영역에서 검출되는 RF 신호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의 (b)는 도 3의 (a)의 일부를 확대하여 본 것이다. 도 3의 (b)에서 보면, 스트라이프 부분에서는 반사 광량이 거의 존재하지 않으므로 Vpp가 큰 신호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도 3의 (b)와 같은 RF 신호를 LPF(104)에서 로우패스 필터링에 의해 평균화한 후 비교기(105)로 출력하면, 상기 비교기(105)는 상기 평균화된 신호를 기 설정된 슬라이스 레벨로 슬라이스하여 BCA 디코더(106)로 출력한다. 즉, 상기 비교기(105)에서 로우패스 필터링된 RF 신호를 슬라이스하면 도 3의 (c)와 같은 타이밍 간격으로 BCA 신호가 검출된다. 따라서, 이 BCA 신호를 BCA 디코더(106)에서 디코딩하면 타이밍 간격에 따른 BCA 정보가 검출된다.
그러면, 상기 서보 제어부(107)는 검출된 BCA 정보를 이용하여 재생 및 기록에 필요한 제어를 하게 된다. 일 예로, 상기 BCA 영역은 복사가 안 되는 영역이므로 무단 복제된 디스크에서 상기 BCA 영역의 정보가 검출되지 않으면 그 디스크는 재생시키지 않음으로써, 무단 복제를 막을 수 있다.
이때, BCA 영역이 존재하여 상기 BCA 영역으로 이동함에 의해 BCA 정보를 검출할 때, 상기 BCA 영역이 넓은 경우에는 다소 여유가 있어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도 4와 같이 BCA 영역이 넓지 않은 경우에는 BCA 정보 검출시 몇번의 반복 시도가 필요하게 된다. 즉, 도 4는 DVD-R/RW에 대한 리드 인 영역의 구조의 일 예를 보인 도면이다. 통상, DVD-R/RW의 경우 기록 테스트 영역 때문에 상기 BCA 영역을 좁게 성형하도록 되어 있어서, 상기된 DVD-RAM/ROM에 비해서 BCA 영역이 좁다. 즉, BCA 영역의 바코드를 줄였다.
또한, 광 기록매체가 고밀도로 갈수록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기록 영역의 확보로 인해 상기 BCA 영역이 좁아질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BCA가 좁은 경우를 NBCA(Narrow BCA)라 칭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BCA 정보의 검출이 어려우므로 시스템 초기화 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시스템의 안정도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특히, 이는 편심이 큰 경우에 더욱 문제가 될 수 있다.
즉, BCA 영역에서는 트랙킹 에러 신호가 생성되지 않으므로 편심을 추종할 수가 없다. 따라서, 상기 BCA 영역이 좁아지면서 편심의 영향을 받게 되면 BCA 검출이 어려워진다. 즉, 포커스만 온 시킨 상태에서 트랙킹 액츄에이터가 BCA 영역 중앙에 있어도 편심 때문에 광 빔이 트랙을 왔다갔다 하거나, 액츄에이터가 BCA 영역의 일부만 추종할 수 있고, 이렇게 되면 BCA 영역의 정보를 잃어 버리기 쉬우므로 BCA 정보를 제대로 검출하지 못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BCA 영역임을 표시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신호를 이용하여 정확하게 BCA 정보를 얻도록 하는 광 기록매체의 BCA 검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BCA 영역이 좁아서 편심에 의한 영역으로 읽기 어려운 경우에도 편심을 추종하도록 대물렌즈의 액츄에이터를 제어함으로써, 정확하게 BCA 정보를 얻도록 하는 광 기록매체의 BCA 검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DVD-RAM/ROM에 대한 리드 인 영역의 구조를 보인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BCA 검출 장치를 보인 구성 블록도
도 3의 (a)는 BCA 영역에서 검출되는 RF 신호의 예를 보인 파형도
도 3의 (b)는 도 3의 (a)의 일부를 확대한 파형도
도 3의 (c)는 도 3의 (b)를 슬라이스 레벨로 슬라이스한 결과를 보인 파형도
도 4는 일반적인 DVD-R/RW에 대한 리드 인 영역의 구조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BCA 검출 장치를 보인 구성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BCA 검출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7의 (a) 내지 (h)는 도 5의 각 부의 동작 파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 광 기록매체 202 : 광 픽업
203 : RF 및 서보에러 생성부 204 : 제 1 LPF
205 : 제 1 비교기 206 : BCA 디코더
207 : 서보 제어부
208 : 포커스, 트랙킹 액츄에이터 구동부
209 : 제 2 LPF 210 : 제 2 비교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매체의 BCA 검출 방법은, BCA가 존재하는 광 기록매체에서 상기 BCA에 BCA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지 유무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BCA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고 판별되면 트랙킹 액츄에이터를 상기 BCA가 위치한 지점으로 이동시키고 RF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의 RF 신호를 제 1 통과 대역으로 로우패스 필터링한 후 기 설정된 제 1 슬라이스 레벨로 슬라이스하여 BCA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의 RF 신호를 제 2 통과 대역으로 로우패스 필터링한 후 기 설정된 제 2 슬라이스 레벨로 슬라이스하여 BCA 영역임을 표시하는 윈도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광 기록매체의 편심 성분을 검출한 후 편심 방향으로 트랙킹 액츄에이터를 미세 조정하면서 상기 윈도우 내의 BCA 신호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CA 검출은 트랙킹 서보는 오프시키고 포커스 서보는 온시킨 프리러닝 상태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의 편심 성분은 상기 광 기록매체의 초기화시 프리러닝 상태에서 검출하며, 이때에는 상기 BCA가 크게 검출되는 BCA 윈도우 신호의 중심을 기준으로 검출된 편심량에 비례하는 정현파의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BCA 윈도우 신호가 크게 나오도록 트랙킹 액츄에에터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의 편심 성분은 상기 단계에서 제 2 통과 대역으로 로우패스 필터링된 RF 신호로부터 검출하며, 이때에는 서보 에러 신호인 트랙킹 에러 신호의 기준 레벨에 상기 제 2 통과 대역으로 로우패스 필터링된 RF 신호를 더하거나 빼서 BCA 윈도우 신호가 크게 나오도록 트랙킹 액츄에이터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매체의 BCA 검출 장치는, BCA가 존재하는 광 기록매체에서 상기 광 기록매체로부터의 반사 광량을 검출하고 그에 비례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광 픽업와, 상기 광 픽업에서 출력되는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RF 신호, 서보 에러 신호를 생성하는 RF 및 서보 에러 생성부와, 상기 RF 및 서보 에러 생성부에서 생성된 RF 신호를 제 1 통과 대역으로 로우패스 필터링한 후 기 설정된 제 1 슬라이스 레벨로 슬라이스하여 BCA 신호를 검출하는 BCA 신호 검출부와, 상기 RF 및 서보 에러 생성부에서 생성된 RF 신호를 제 2 통과 대역으로 로우패스 필터링한 후 기 설정된 제 2 슬라이스 레벨로 슬라이스하여 BCA 검출 영역임을 나타내는 윈도우 신호를 발생하는 BCA 윈도우 신호 발생부와, 상기 윈도우 신호 내의 BCA 신호를 디코딩하는 BCA 디코딩부와, 트랙킹 서보는 오프시키고 포커스 서보는 온시킨 프리러닝 상태에서 TE등을 이용하여 디스크의 편심량을 검출하고, 트랙킹을 온한 후 리드 인 영역에서 콘트롤 정보를 읽어 상기 BCA에 BCA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고 판별되면 상기 광 픽업을 상기 BCA가 위치한 지점으로 이동시킨 후 BCA 윈도우가 검출되면 윈도우가 커지는 편심 방향으로 편심량만큼 트랙킹 액츄에이터의 이동을 미세 조정하는 서보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BCA 영역이 매우 좁게 성형되어 편심의 영향 등으로 BCA 정보를 검출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BCA 정보를 정확하게 검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포커스만 온인 상태에서 검출된 TE등의 신호로부터 편심양을 추출하고 BCA 영역 유무를 리드 인 영역으로부터 검출하여 BCA가 있으면 광 픽업을 BCA 영역으로 이동한 후 RF로부터 검출되는 편심 성분을 기준으로 트랙킹 액츄에이터를 상기 편심량만큼 제어하여 BCA 정보를 검출함으로써, BCA 영역이 좁은 경우에도 BCA를 정확하게 검출하도록 한다.
도 5는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매체의 BCA 검출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매체의 검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도 5의 서보 제어부의 동작 흐름도이다. 또한, 도 7의 (a) 내지 도 7의 (h)는 도 5의 각 부의 동작 타이밍도이다.
먼저, 도 5의 구성을 보면, 광 디스크(201), 상기 광 디스크(201)로부터의 반사 광량을 검출하고 그에 비례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광 픽업(202), 상기 광픽업(202)에서 출력되는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RF 및 TE, FE와 같은 서보 에러 신호를 생성하는 RF 및 서보 에러 생성부(203), 상기 RF 및 서보 에러 생성부(203)에서 생성된 RF 신호를 로우패스 필터링하는 제 1 LPF(204), 상기 제 1 LPF(204)의 출력을 기 설정된 제 1 슬라이스 레벨로 슬라이스하는 제 1 비교기(205), 상기 RF 신호를 로우패스 필터링하여 편심 성분을 출력하는 제 2 LPF(209), 상기 제 2 LPF(209)의 출력을 기 설정된 제 2 슬라이스 레벨로 슬라이스하여 BCA 윈도우 신호를 발생하는 제 2 비교기(210), 상기 제 1, 제 2 비교기(205,210)의 출력으로부터 BCA 영역의 신호를 디코딩하고, 디코드가 완료되면 BCA 디코드 OK 신호를 생성하는 BCA 디코더(206), 상기 RF 및 서보 에러 생성부(203)에서 생성된 서보 에러 신호를 입력받아 포커스 서보 구동 신호 및 트랙킹 서보 구동 신호를 각각 발생하며, 상기 편심 성분과 BCA 윈도우 신호로부터 광 픽업(202) 내의 트랙킹 액츄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서보 제어부(207), 및 상기 서보 제어부(207)의 포커스 서보 구동 신호와 트랙킹 서보 구동 신호로 광 픽업(202) 내의 포커스 액츄에이터 및 트랙킹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는 포커스/트랙킹 서보 구동부(208)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BCA 영역을 검출하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발명은 BCA 영역이 매우 좁게 성형되어 편심의 영향 등으로 BCA 정보를 검출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BCA 정보를 정확하게 검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포커스 서보만 온인 상태에서 RF 및 서보 에러 생성부(203)에서 검출되는 RF 신호를 이용하여 BCA 정보를 검출하는데, 이때 정확한 BCA 정보의 검출을 위해 상기 RF 신호로부터 BCA 영역의 정보 검출시 편심 성분 및 BCA 윈도우 신호를 이용한다.
즉, 포커스 서보만 온인 상태에서 검출되는 TE등의 신호로부터 편심양을 추출하고, BCA 검출시 RF 신호를 로우 패스 필터링하는 제 2 LPF(209) 출력을 이용하여 편심 성분(방향)을 검출한 후 상기 편심량만큼 트랙킹 액츄에이터를 제어하여 BCA 신호를 디코딩한다. 여기서, BCA 신호의 디코딩은 BCA 윈도우 내에 있는 데이터에 대해서만 수행한다.
이때, 상기 트랙킹 액츄에이터를 편심 방향으로 제어하는데, 이때의 제어 방향은 BCA 윈도우 신호가 크게 나오는 방향이다. 그리고, 편심 성분은 제 2 LPF(209)를 통과한 RF 신호로부터 추정하거나, 초기 디스크 서보시 프리 러닝 상태에서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프리 러닝(free running) 상태란 트랙킹 서보는 오프시키고 포커스 서보만 온시킨 상태에서 디스크는 회전시키고 광 픽업은 고정시킨 채 서보 에러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의미하며 주로 디스크의 편심양 측정에 이용한다.
먼저, 광 디스크(201)가 삽입되어 디스크가 검출되면(단계 301), 트랙킹 서보는 오프시키고 포커스 서보만 온시킨 프리 러닝 상태에서 편심량을 측정한다(단계 302).
이때, 상기 편심량은 일 예로, 광 디스크 1 회전당 발생하는 트랙 제로 크로싱(Track zero crossing ; TZC) 신호를 카운트하면 알 수 있다.
상기 TZC 신호는 트랙 크로스 시점에서 온/오프되는 신호로서, RF 및 서보에러 생성부(203)에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를 내부 기준 레벨로 슬라이스하여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계 302가 수행되고 나면 리드 인 영역에서 BCA가 읽어지는지를 확인한다(단계 303). 즉, BCA 영역에 BCA 신호가 기록되어 있는지는 리드 인 영역의 콘트롤 데이터 영역에 기록되어 있으므로 우선 상기 콘트롤 데이터 영역을 읽어보면 BCA 영역에 BCA 신호가 기록되어 있는지의 유무를 알 수 있다.
만일, 상기 단계 303에서 BCA 신호가 존재한다고 판별되면 즉, 기록되어 있다고 판별되면(단계 304), 슬레드 이동에 의해 트랙킹 액츄에이터를 BCA 신호가 위치한 BCA 영역으로 이동시킨다(단계 305). 그리고, 상기 트랙킹 액츄에이터의 이동에 의해 RF 및 서보 에러 생성부(203)에서 생성된 RF 신호는 제 1, 제 2 LPF(204,209)로 동시에 출력된다.
이때, 상기 제 1 LPF(204)는 상기 RF 신호를 로우패스 필터링에 의해 평균화한 후 제 1 비교기(205)로 출력한다. 상기 제 1 비교기(205)는 상기 로우 패스 필터링된 RF 신호를 기 설정된 슬라이스 레벨로 슬라이스하여 BCA 디코더(206)로 출력한다.
동시에, 상기 제 2 LPF(209)는 상기 RF 신호를 로우패스 필터링에 의해 평균화한 후 제 2 비교기(210)로 출력하고, 상기 제 2 비교기(210)는 상기 로우 패스 필터링된 RF 신호를 기 설정된 슬라이스 레벨로 슬라이스하여 BCA 디코더(206)와 서보 제어부(207)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LPF(204)와 제 2 LPF(209)의 통과 대역은 제 1 LPF(204)보다 제 2 LPF(209)의 주파수가 낮게 설정할 수 있다. 즉,상기 제 1 LPF(204)는 BCA 데이터 검출용으로, 제 2 LPF(209)보다 고주파 대역을 포함하고, 제 2 LPF(209)는 편심 성분 검출용으로 상기 제 1 LPF(204)보다 대역이 좁은 저주파 검출용이다. 또한 제 1 비교기(205)의 슬라이스 레벨과 제 2 비교기(210)의 슬라이스 레벨도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이는 설계자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즉, 슬라이스 레벨은 각 신호 처리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결정되는 레벨이다.
만일, BCA 신호가 도 7의 (a)와 같이 검출된다고 가정할 경우, 이를 제 2 비교기(210)에서 기 설정된 슬라이스 레벨로 슬라이스하면 도 7의 (b)와 같은 BCA 윈도우 신호가 발생한다. 도 7의 (a)에서 빗금친 부분은 편심 때문에 발생한다.
즉, 상기 서보 제어부(207)는 상기 제 2 LPF(209)의 출력으로부터 편심 성분을 알 수 있고, 상기 제 2 비교기(210)의 출력으로부터 BCA 윈도우 신호 발생 여부 및 크기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계 305가 수행되고 나면, BCA 윈도우 신호가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한다(단계 306). 상기 BCA 윈도우 신호 발생 여부는 제 2 비교기(210)의 슬라이스 결과로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BCA 윈도우 신호를 발생시키고 검출하는 이유는 BCA의 모든 데이터가 디코딩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즉, BCA 윈도우가 가장 크게 발생하는 방향으로 트랙킹 액츄에이터를 미세 이동시킨 후 상기 BCA 윈도우 신호의 시작 부분부터 BCA 신호를 디코딩하면 편심이 큰 경우에도 잃어버리는 데이터 없이 BCA 영역의 모든 정보를 디코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단계 306에서 BCA 윈도우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별되면 상기 단계 305로 되돌아가고, BCA 윈도우가 발생하였다고 판별되면 BCA 디코더(206)는 BCA 윈도우 신호의 시작 부분부터 도 7의 (a)와 같은 BCA 신호를 디코딩한다(단계 307).
이때, 상기 BCA 디코더(206)는 BCA 영역의 모든 데이터가 디코딩되면 BCA 디코드 OK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서보 제어부(207)로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서보 제어부(207)는 상기 BCA 디코더(206)에서 BCA 디코드 OK 신호가 출력되면 BCA 정보의 디코딩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여 상기 BCA 정보를 저장한 후 본 루틴을 끝낸다(단계 309). 한편, 상기 BCA 디코더(206)에서 BCA 디코드 OK 신호가 출력되지 않으면 서보 제어부(207)는 트랙킹 액츄에이터의 제어를 위해 단계 310으로 진행한다.
여기서, BCA 디코딩 OK 신호가 발생하지 않았다는 것은 BCA 윈도우 신호가 잘못 발생된 경우 예를 들면, 실제 BCA 영역보다 작게 발생한 경우이다.
따라서, 이때는 제 2 LPF(209)의 출력으로부터 디스크의 편심 성분을 추정하여 편심 제어 곡선을 생성하거나, 상기 단계 302에서 초기 측정된 편심량을 이용하여 편심 제어 곡선을 생성하고, 트랙킹 액츄에이터를 이동시키기 위한 기준 시점을 결정한다.
즉, 상기 단계 310은 제 2 LPF(209)의 출력으로부터 편심을 추정하거나, 또는 단계 302에서 초기 측정된 편심량에 따라 도 7의 (c)와 같이 편심 제어 곡선을 생성하고 트랙킹 액츄에이터 이동을 위한 기준 시점을 결정한다. 여기서, 도 7의 (d)는 도 7의 (c)와 같은 편심 제어 곡선을 발생시킨 제 2 LPF(209)의 출력 예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LPF(209)의 출력으로 추정된 편심 제어 곡선 또는, 초기 측정된 편심량으로 추정된 편심 제어 곡선을 조합 또는, 개별 형태로 이용하여 편심 방향으로 트랙킹 액츄에이터를 이동시킨다(단계 311).
예를 들어, 상기 제 2 LPF(201)를 통과한 RF 신호로 편심 성분을 구하여 트랙킹 액츄에이터의 이동을 제어하는 경우에는 TE 기준 레벨에 제 2 LPF(201)의 출력을 더하거나 또는 빼서 BCA 윈도우 신호가 크게 나오도록 제어한다. 도 7의 (e) 내지 (h)는 그 예를 보이고 있다. 즉, 도 7의 (e),(f)는 BCA 윈도우 신호의 길이가 길어지는 방향으로 예컨대, 옳은 방향으로 트랙킹 액츄에이터가 제어되고 있는 예를 보이고 있고, 도 7의 (g),(h)는 BCA 윈도우 신호의 길이가 짧아지는 방향으로 트랙킹 액츄에이터가 제어되고 있는 예를 보이고 있다. 도 7의 (g),(h)의 경우는 트랙킹 액츄에이터의 이동 방향을 전환시켜야 한다.
한편, 초기 디스크 서보시 구한 편심 성분을 이용하여 트랙킹 액츄에이터의 이동을 제어하는 경우에는 BCA 검출시 회전 RPM이 일정한 점을 이용하여 BCA가 크게 검출되는 BCA 윈도우의 중심을 기준으로 측정된 편심량에 비례하는 정현파(sine wave)의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BCA 윈도우가 크게 나오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된 방법으로 트랙킹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면서 동시에 BCA 윈도우 신호의 변화를 체크한다(단계 312). 만일, 상기 단계 312에서 BCA 윈도우 신호의 길이가 짧아지고 있다고 판별되면 트랙킹 액츄에이터를 잘못 제어하고 있는 경우이므로 트랙킹 액츄에이터의 제어 위상을 반전시킨 후 상기 단계 312로 되돌아간다(단계 313).
한편, 상기 단계 312에서 BCA 윈도우 신호의 길이가 길어지고 있다고 판별되면 트랙킹 액츄에이터를 제대로 제어하고 있는 경우이므로 제어 위상을 그대로 유지한 채 트랙킹 액츄에이터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BCA 디코더(206)에서 BCA 디코드 OK 신호가 생성되어 출력되는지를 체크한다(단계 314). 즉, BCA 디코드 OK 신호가 출력되면 이때의 BCA 윈도우 신호가 가장 클때이므로 BCA 영역의 모든 데이터가 디코딩되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BCA 디코더(314)에서 BCA 디코드 OK 신호가 출력되면(단계 315), 상기 BCA 정보의 읽기를 끝내고 디코딩된 BCA 정보를 저장한 후 본 루틴을 종료하고(단계 309), 상기 BCA 디코더(314)에서 BCA 디코드 OK 신호가 출력되지 않으면 슬레드에 트랙킹 액츄에이터를 미세 조정한 후 다시 상기 단계 312로 되돌아가 상기된 과정들을 반복한다(단계 316).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편심 성분을 추출하여 트랙킹 액츄에이터를 편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이때의 이동 방향은 상기 BCA 윈도우의 크기가 커지는 방향이다.
그리고, 상기 BCA 영역을 디코딩할 수만 있다면 상기 BCA 영역을 도 1과 같이 넓게 가져갈 필요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좁은 BCA 영역뿐만 아니라 노말 상태의 BCA 영역을 갖는 디스크에 대해서도 기록 영역을 더 확보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BCA 검출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RF 신호로부터 BCA임을 나타내는 윈도우 신호와 편심 성분을 추출한 후 상기 윈도우 신호가 커지는 방향의 편심 방향으로 트랙킹 액츄에이터의 이동을 미세 제어하여 BCA 정보를 디코딩하도록 함으로써, BCA 영역이 매우 좁게 성형되어 편심의 영향 등으로 BCA 정보를 검출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BCA를 정확하고 안정되게 잘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즉, 트랙킹 액츄에이터가 편심을 추종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한번에 BCA 영역의 정보를 디코딩할 수 있다. 또한, 윈도우 내의 데이터만 디코딩하므로 윈도우 밖의 스크래치등을 디코딩하는 오류를 없앨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10)

  1. 버스트 커팅 영역(Burst Cutting Area ; BCA)이 존재하는 광 기록매체로부터 BCA를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BCA에 BCA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지 유무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BCA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고 판별되면 트랙킹 액츄에이터를 상기 BCA가 위치한 지점으로 이동시키고 RF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단계의 RF 신호를 제 1 통과 대역으로 로우패스 필터링한 후 기 설정된 제 1 슬라이스 레벨로 슬라이스하여 BCA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단계의 RF 신호를 제 2 통과 대역으로 로우패스 필터링한 후 기 설정된 제 2 슬라이스 레벨로 슬라이스하여 BCA 영역임을 표시하는 윈도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광 기록매체의 편심 성분을 검출한 후 편심 방향으로 트랙킹 액츄에이터를 미세 조정하면서 상기 윈도우 내의 BCA 신호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BCA 검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CA 검출은 트랙킹 서보는 오프시키고 포커스 서보는 온시킨 프리러닝 상태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BCA 검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방향은 상기 윈도우 신호가 커지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BCA 검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의 편심 성분은
    상기 광 기록매체의 초기화시 프리러닝 상태에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BCA 검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킹 액츄에이터 제어 단계는
    상기 BCA가 크게 검출되는 BCA 윈도우 신호의 중심을 기준으로 검출된 편심량에 비례하는 정현파의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BCA 윈도우 신호가 크게 나오도록 트랙킹 액츄에에터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BCA 검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의 편심 성분은
    상기 단계에서 제 2 통과 대역으로 로우패스 필터링된 RF 신호로부터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BCA 검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킹 액츄에이터 제어 단계는
    서보 에러 신호인 트랙킹 에러 신호의 기준 레벨에 상기 제 2 통과 대역으로로우패스 필터링된 RF 신호를 더하거나 빼서 BCA 윈도우 신호가 크게 나오도록 트랙킹 액츄에이터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BCA 검출 방법.
  8. 버스트 커팅 영역(Burst Cutting Area ; BCA)이 존재하는 광 기록매체로부터 BCA를 검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 기록매체로부터의 반사 광량을 검출하고 그에 비례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광 픽업;
    상기 광 픽업에서 출력되는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RF 신호, 서보 에러 신호를 생성하는 RF 및 서보 에러 생성부;
    상기 RF 및 서보 에러 생성부에서 생성된 RF 신호를 제 1 통과 대역으로 로우패스 필터링한 후 기 설정된 제 1 슬라이스 레벨로 슬라이스하여 BCA 신호를 검출하는 BCA 신호 검출부;
    상기 RF 및 서보 에러 생성부에서 생성된 RF 신호를 제 2 통과 대역으로 로우패스 필터링한 후 기 설정된 제 2 슬라이스 레벨로 슬라이스하여 BCA 검출 영역임을 나타내는 윈도우 신호를 발생하는 BCA 윈도우 신호 발생부;
    상기 윈도우 신호 내의 BCA 신호를 디코딩하는 BCA 디코딩부; 그리고
    트랙킹 서보는 오프시키고 포커스 서보는 온시킨 프리러닝 상태에서 디스크의 편심양을 측정하고 트랙킹 서보를 온한 후 리드 인 영역에서 콘트롤 정보를 읽어 BCA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고 판별되면 상기 광 픽업을 상기 BCA가 위치한 지점으로 이동시킨 후 BCA 윈도우가 검출되면 BCA 윈도우가 커지는 방향으로 트랙킹 액츄에이터를 편심량만큼 미세 조정하는 서보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BCA 검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보 제어부는
    초기 광 기록매체 서보시 프리러닝 상태에서 편심 성분을 검출한 후 상기 BCA가 크게 검출되는 BCA 윈도우 신호의 중심을 기준으로 측정된 편심량에 비례하는 정현파의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BCA 윈도우 신호가 크게 나오도록 트랙킹 액츄에에터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BCA 검출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보 제어부는
    상기 제 2 통과 대역으로 로우패스 필터링된 RF 신호로부터 편심 성분을 검출한 후 서보 에러 신호인 트랙킹 에러 신호의 기준 레벨에 상기 제 2 통과 대역으로 로우패스 필터링된 RF 신호를 더하거나 빼서 BCA 윈도우 신호가 크게 나오도록 트랙킹 액츄에이터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BCA 검출 장치.
KR1020000034557A 2000-06-22 2000-06-22 광 기록매체의 비씨에이 검출 방법 및 장치 KR100335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557A KR100335069B1 (ko) 2000-06-22 2000-06-22 광 기록매체의 비씨에이 검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557A KR100335069B1 (ko) 2000-06-22 2000-06-22 광 기록매체의 비씨에이 검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3906A KR20020003906A (ko) 2002-01-16
KR100335069B1 true KR100335069B1 (ko) 2002-05-03

Family

ID=19673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4557A KR100335069B1 (ko) 2000-06-22 2000-06-22 광 기록매체의 비씨에이 검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50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39580B2 (en) 2004-11-03 2009-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disk players and methods for detecting burst cutting area (BCA) data in a constant linear velocity mod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119B1 (ko) * 2007-03-10 2008-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디스크의 버스트 커팅 영역 디코딩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8713A (ja) * 1997-02-14 1998-08-25 Hitachi Ltd 光ディスク装置のbcaデータ読み出し方法
JPH10255269A (ja) * 1997-01-10 1998-09-25 Sony Corp 光ディスク再生方法及び光ディスク再生装置
JPH1173648A (ja) * 1997-08-29 1999-03-16 Toshiba Corp ディスク再生装置及びディスク再生方法
KR19990034101A (ko) * 1997-10-28 1999-05-15 구자홍 고유정보를 갖는 디스크 및 그 재생장치
JPH11328857A (ja) * 1998-03-16 1999-11-30 Seiko Epson Corp デ―タ読取り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5269A (ja) * 1997-01-10 1998-09-25 Sony Corp 光ディスク再生方法及び光ディスク再生装置
JPH10228713A (ja) * 1997-02-14 1998-08-25 Hitachi Ltd 光ディスク装置のbcaデータ読み出し方法
JPH1173648A (ja) * 1997-08-29 1999-03-16 Toshiba Corp ディスク再生装置及びディスク再生方法
KR19990034101A (ko) * 1997-10-28 1999-05-15 구자홍 고유정보를 갖는 디스크 및 그 재생장치
JPH11328857A (ja) * 1998-03-16 1999-11-30 Seiko Epson Corp デ―タ読取り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39580B2 (en) 2004-11-03 2009-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disk players and methods for detecting burst cutting area (BCA) data in a constant linear velocity mo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3906A (ko) 2002-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9245B2 (en) Optical disk,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information recorded in optical disk
US5724325A (en) Method for reducing lead in time in an optical disk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capable of processing data for multiple types of disks
US6728181B2 (en) Code judging apparatus and method, record medium judging apparatus and method, and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US6104686A (en) Copy protection marks on a transparent layer of an optical disk indicating that the disk has been previously accessed
EP0784321B1 (en) Automatic disk discrimin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optical disk system
JP2002117534A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およびディスク種別判別方法
KR19980033268A (ko)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및 그의 기록 및/또는 재생 방법
KR100335069B1 (ko) 광 기록매체의 비씨에이 검출 방법 및 장치
KR100419159B1 (ko) 서보 제어 장치, 서보 제어 방법 및 정보 재생 장치
US7961576B2 (en) Optical disc discriminating method and optical disc apparatus
US7057988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device
KR100686066B1 (ko) 광 기록매체의 제어 장치
US7269107B2 (en) Method of detecting land pre-pit signal and optical disc player
JP4477061B2 (ja) 種類判別装置、種類判別方法及び判別用プログラム
KR100379422B1 (ko) 광 기록매체의 서보 제어 방법
KR100698105B1 (ko) 광 기록매체의 랜드/그루브 트랙 판별 방법 및 장치
KR100569539B1 (ko) 광 기록매체의 디스크 종류 판별 방법
KR100813946B1 (ko) 광정보저장매체의 기록 및 재생장치, 편향크기 산출 방법, 재생 시스템, 기록 및 재생 시스템
KR20010010589A (ko) 광 기록매체의 비기록 영역 검출 방법 및 장치
KR20010057845A (ko) 광 기록 매체의 기록재생방법
JPH0916984A (ja) 光ディスク装置
JPH11328883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US20080137490A1 (en) Optical disc with angular information and system for detecting angular information and related method thereof
KR20010011617A (ko) 광 기록매체 기록 재생 제어 방법 및 장치
MXPA9700815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type of disc before reproducing the data of the d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