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1617A - 광 기록매체 기록 재생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광 기록매체 기록 재생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1617A
KR20010011617A KR1019990031079A KR19990031079A KR20010011617A KR 20010011617 A KR20010011617 A KR 20010011617A KR 1019990031079 A KR1019990031079 A KR 1019990031079A KR 19990031079 A KR19990031079 A KR 19990031079A KR 20010011617 A KR20010011617 A KR 20010011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er
zone
recording medium
optical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1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온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31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11617A/ko
Publication of KR20010011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161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9Zoned data area, e.g. having different data structures or formats for the user data within data layer, Zone Constant Linear Velocity [ZCLV], Zone Constant Angular Velocity [ZCAV], carriers with RAM and ROM area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8Speed 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20/121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 G11B2020/124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the area forming one or more zones, wherein each zone is shaped like an annulus or a circular sector
    • G11B2020/1245CLV zone, in which a constant linear velocity is us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존 CLV 구조를 갖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 재생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FG당 헤더의 개수와 헤더간 타임을 검출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현재 광 픽업이 위치하는 존을 판별하고 판별된 존의 스핀들 회전 속도로 스핀들을 제어함으로써, 트랙킹 서보가 오프되는 시크나 초기 픽업의 위치에서 프리 러닝하는 동안 정확하고 빠르게 존의 위치를 검출하여 최적의 스핀들 속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 기록매체 기록 재생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optical record medium record/playback controlling}
본 발명은 재기록 가능한 광 기록매체 기록/재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존 CLV 구조를 갖는 광 기록매체에서 현재의 존의 위치를 판별하고 스핀들 속도 제어를 수행하는 광 기록매체 기록 재생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 기록매체 예를 들면, 광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는 방식으로는 트랙의 위치에 따라 광 디스크의 회전 속도가 변화되면서 일정한 비트율로 정보를 기록하는 정선속도(Constant Linear Velocity ; CLV) 방식과 트랙의 위치에 관계없이 최내주에서 최외주까지 회전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일정한 비트율(Bit Rate)로 정보를 기록하는 정각속도(Constant Angle Velocity ; CAV) 방식이 널리 알려져 있다.
한편, 재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예를 들면, DVD-RAM)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인 영역(lead-in area)과 리드-아웃 영역(lead-out area) 그리고, 실제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영역(data area)으로 구분되며, 상기 데이터 영역은 다시 존(zone)별로 나누어 관리한다. 여기서, 상기 존은 그룹(group)이라고도 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 영역은 신호 트랙이 랜드와 그루브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랜드 또는 그루브의 트랙뿐만 아니라 랜드와 그루브의 트랙에 모두 데이터를 기록 또는 재생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된 재기록 가능형 디스크의 경우 최초의 디스크에는 아무런 정보가 없으므로 디스크 제어 및 기록이 불가능하다.
이를 위해 랜드와 그루브에 디스크 트랙을 만들고 해당 트랙을 따라 정보를 기록하게 하며, 섹터 어드레스, 랜덤 억세스, 회전 제어등을 위한 제어 정보를 별도로 디스크에 기록하여 놓음으로써, 정보 신호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공 디스크에서도 트랙킹 제어를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어 정보는 각 섹터마다 섹터의 시작 위치에 헤더 영역을 프리 포맷팅(pre-formatting)하여 기록할 수 있다.
이때, 각 섹터의 시작 위치에 프리 포맷되는 헤더 영역은 다시 4개의 헤더 필드(헤더 1 필드 ∼ 헤더 4 필드)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헤더 1,2 필드와 헤더 3,4 필드는 트랙 센터로부터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으며, 도 2는 그 한 예로서, 하나의 트랙에서 첫 번째 섹터에 대한 헤더 필드의 구조이다.
도 3은 일반적인 광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의 구성 블록도로서, 광 픽업(102)은 서보 제어부(106)의 제어에 의해 대물 렌즈에 집광된 광빔이 광 디스크(101)의 신호 트랙 위에 놓이게 하고, 또한 신호 기록면에서 반사하여 들어온 광을 다시 대물렌즈로 집광한 후 포커스 에러 신호와 트랙킹 에러 신호의 검출을 위해 광 검출기(도시되지 않음)로 입사한다.
상기 광 검출기는 다수개의 광 검출 소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광 검출소자에서 얻은 광량에 비례하는 전기신호가 RF 및 서보 에러 생성부(104)로 출력된다. 상기 RF 및 서보 에러 생성부(104)는 상기 광 검출기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로부터 데이터 재생을 위한 RF 신호(또는 리드 채널 1 신호라고도 함), 서보 제어를 위한 포커스 에러 신호(FE), 리드 채널 2 신호(read channel 2 signal)등을 검출한다. 여기서, 상기 리드 채널 2 신호를 가공하면 트랙킹 에러 신호(TE)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RF 신호는 재생을 위해 디코더(105)로 출력되고, FE, TE와 같은 서보 에러 신호는 서보 제어부(106)로 출력되며, 데이터 기록을 위한 제어 신호는 엔코더(103)로 출력된다.
상기 엔코더(103)는 기록할 데이터를 광 디스크(101)가 요구하는 포맷의 기록 펄스로 부호화한 후 광 픽업(102)을 통해 광 디스크(101)에 기록하고, 상기 디코더(105)는 상기 RF 신호로부터 원래 형태의 데이터를 복원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광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는 PC와 같은 호스트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호스트는 광 기록/재생 장치의 인터페이스(111)를 통해 기록/재생 명령을 마이콤(112)으로 전송하고, 상기 엔코더(103)에는 기록할 데이터를 전송하며, 디코더(105)로부터는 재생된 데이터를 전송받는다. 상기 마이콤(112)은 호스트의 기록/재생 명령에 따라 상기 엔코더(103), 디코더(105) 및 서보 제어부(106)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인터페이스(111)는 통상 ATAPI(Advanced Technology Attached Packet Interface)를 사용한다. 즉, ATAPI란 CD나 DVD 드라이브와 같은 광 기록/재생 장치와 호스트간의 인터페이스 규격으로 광 기록/재생 장치에서 디코딩된 데이터를 호스트로 전송하기 위해 제안된 규격으로, 디코딩된 데이터를 호스트에서 처리 가능한 데이터인 패킷 형태의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서보 제어부(106)는 포커스 에러 신호(FE)를 신호 처리하여 포커싱 제어를 위한 구동 신호를 포커스 서보 구동부(107)로 출력하고, 트랙킹 에러 신호(TE)를 신호 처리하여 트랙킹 제어를 위한 구동 신호를 트랙킹 서보 구동부(108)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포커스 서보 구동부(107)는 광 픽업(102) 내의 포커스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킴에 의해 광 픽업(102)을 상하로 움직여 광 디스크(101)가 회전과 함께 상하 움직임에 따라 추종해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트랙킹 서보 구동부(108)는 광 픽업(102) 내의 트랙킹 액츄에이터를 구동함에 의해 광 픽업(102)의 대물렌즈를 래디얼(radial) 방향으로 움직여서 빔의 위치를 수정하고, 소정의 트랙을 추종한다.
또한, 상기 서보 제어부(106)는 상기 RF 신호로부터 디스크의 회전 속도 정보를 검출하여 스핀들 서보(109)로 출력한다. 상기 스핀들 서보(109)는 회전 속도 정보에 따라 스핀들 모터(110)를 위상 동기 루프(Phase Locked Loop ; PLL) 제어하여 디스크(101)를 회전시킨다. 즉, 스핀들 모터(110)는 디스크(101)의 회전을 위해 스핀들(도시되지 않음)로 회전력을 주고, 스핀들은 스핀들 모터(110)가 주는 회전력을 디스크(101)에 전달하여 디스크(101)를 원하는 속도로 회전시킨다.
이때, 재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는 통상 존 CLV 회전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즉, 존 CLV 방식이란 존 내에서는 스핀들 회전 속도가 동일한 CAV 방식으로 디스크를 회전시키고, 존 마다는 스핀들 회전 속도가 달라지는 CLV 방식으로 디스크를 회전시킨다. 이는 기록 밀도를 높이고 스핀들 제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내주에서 외주로 가면서 존을 넘어갈 때마다 정해진 디스크(101)의 회전 속도는 감속하게 된다. 예를 들어, 최내주인 존 0에서는 39.78Hz로 디스크(101)가 가장 빨리 돌고, 존 1에서는 37.57Hz로 회전한다. 또한, 최외주인 존 23에서는 회전 속도가 16.91Hz이다.
따라서, 존 CLV 제어를 수행하는 광 디스크에서는 신뢰성 있는 데이터의 재생과 기록을 위해서 각 존마다 상기 스핀들을 정확한 회전 속도로 제어해야 하며, 특히 존을 넘어갈 때마다 각 존에 맞게 스핀들 회전 속도를 제어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 광 픽업이 있는 존의 위치를 검출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포커스 및 트랙킹 서보가 걸린 후에 스핀들 1회전 동안의 헤더의 개수를 카운트하거나 또는, 헤더의 어드레스를 읽어 현재의 존 위치를 검출하였다.
이것은 존의 검출 시간을 지연시키므로, 시크(seek)나 초기 픽업의 위치에서 프리러닝 후에 스핀들 서보가 안정화되는데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있다.
즉, 트랙킹 서보가 오프되는 트래버스(traverse)나 초기 픽업 위치에서 프리 러닝(free running)하는 동안은 디스크 편심등에 의해 광 픽업이 존과 존 사이를 왔다 갔다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빠른 시간 안에 존의 위치를 판별하여 스핀들 속도를 제어하는 것이 서보 안정화에 매우 중요한데, 종래에는 존의 위치를 판별하는데 시간이 걸리므로 특히, 시크나 프리러닝 후에 서보가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있다.
여기서, 트래버스 상태란 트랙킹 서보는 오프시키고 포커스 서보만 온시킨 상태에서 디스크를 회전시키고 동시에 광 픽업을 이동시키면서 서보 에러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의미하며 주로 트랙 점프와 같은 시크(seek)에 이용하고, 프리 러닝(free running) 상태란 트랙킹 서보는 오프시키고 포커스 서보만 온시킨 상태에서 디스크는 회전시키고 광 픽업은 고정시킨 채 서보 에러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의미하며 주로 디스크의 편심양 측정에 이용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빠른 시간 안에 광 픽업이 추종하는 존의 위치를 판별하여 최적의 스핀들 속도 제어를 수행하는 광 기록매체 기록 재생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크나 프리 러닝하는 동안 정확하고 빠르게 존의 위치를 판별하여 최적의 스핀들 속도 제어를 수행하는 광 기록매체 기록 재생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광 디스크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과 같이 재기록가능 디스크에서 각 섹터의 시작 위치에 프리포맷되는 헤더의 배치를 보인 도면
도 3은 일반적인 광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 디스크 기록재생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도 4의 헤더 검출부의 일 예를 보인 상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현재 존의 위치를 판별하는 과정을 보인 타이밍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 광 픽업 202 : RF 및 서보 에러 생성부
203 : 헤더 검출부 204 : 헤더 카운트부
205 : 헤더간 타임 검출부 206 : 존 판별부
207 : 스핀들 속도 제어부 208 : 스핀들 구동부
209 : 스핀들 모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매체 기록 재생 방법은, 광 기록매체의 데이터 영역을 다수개의 존으로 나누고 상기 존 내의 기록 가능한 영역의 형상 구분을 위해 헤더 영역이 배치되어 있는 광 기록매체에서 분할된 각 존마다 광 기록매체 회전 속도를 다르게 적용하는 단계와, 프리 러닝을 통해 상기 헤더의 개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헤더의 개수로 광 픽업이 추종하는 존의 위치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된 존의 회전 속도로 상기 광 기록매체를 회전시키고 서보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별 단계는 광 기록매체로부터의 광 반사신호의 합을 구하여 로우패스 필터링한 후 로우패스 필터링된 값이 제 1 기준값 이상이면 제 1 헤더 윈도우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광 기록매체로부터의 트랙 방향으로의 광 반사신호의 차를 구하여 하이패스 필터링한 후 신호 정형화하고 신호 정형화된 값이 제 2 기준값 이상이면 제 2 헤더 윈도우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제 2 헤더 윈도우 신호로부터 헤더 영역임을 나타내는 헤더 마스크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헤더 영역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별 단계는 스핀들 회전시 발생하는 FG 신호의 주기동안 헤더 개수를 카운트하여 판별에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별 단계는 헤더와 헤더 사이의 타임이 기준 타임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카운트된 헤더 개수에서 제외시키고 존의 위치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별 단계는 헤더와 헤더 사이의 타임을 정규화하여 광 픽업이 추종하는 존의 위치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별 단계는 시크의 경우 목표 위치로 이동한 후 존의 위치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매체 기록재생 제어 장치는, 광 기록매체의 데이터 영역을 다수개의 존으로 나누고 상기 존 내의 기록 가능한 영역의 형상 구분을 위해 헤더 영역이 배치되어 있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 재생을 수행하는 광 픽업과, 상기 광 픽업으로부터 반사 광량에 비례하여 출력하는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헤더 영역을 검출하는 헤더 검출부와, 상기 헤더 검출부에서 검출된 헤더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헤더 카운트부와, 상기 헤더 검출부에서 검출된 헤더와 헤더 사이의 타임을 검출하는 헤더간 타임 검출부와, 상기 카운트된 헤더 개수와 헤더간 타임을 이용하여 현재 광 픽업이 추종하는 존의 위치를 판별하는 존 판별부와, 상기 존 판별부에서 판별된 존의 회전 속도로 상기 광 기록매체를 회전시킨 후 서보를 제어하는 서보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존 마다 섹터의 개수가 틀리므로 섹터의 앞에 항상 위치하는 헤더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현재 광 픽업이 추종하는 존의 위치를 판별하고 판별의 존의 회전 속도로 스핀들을 제어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의 구성 블록도로서, 본 발명에 관련된 스핀들 속도 제어 부분만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보면, 광 픽업(201)의 각각의 광 검출소자에서 얻은 광량에 비례하는 전기신호로부터 데이터 재생을 위한 RF 신호(또는 리드 채널 1 신호라고도 함), 서보 제어를 위한 포커스 에러 신호(FE), 리드 채널 2 신호 등을 검출하는 RF 및 서보 에러 생성부(202), 상기 리드 채널 1, 2 신호를 이용하여 헤더를 검출하고 헤더 영역임을 나타내는 헤더 마스크 신호(HDM)를 생성하는 헤더 검출부(203), 상기 헤더 검출부(203)에서 검출된 헤더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헤더 카운트부(204), 상기 헤더와 헤더 사이의 타임을 검출하는 헤더간 타임 검출부(205), 상기 헤더 카운트부(204)에서 카운트된 헤더 개수와 헤더간 타임 검출부(205)에서 검출된 헤더간 타임을 이용하여 현 위치의 존을 판별하는 존 판별부(206), 상기 존 판별부(206)에서 판별된 존에 해당하는 스핀들 속도를 제어하는 스핀들 속도 제어부(207), 및 상기 스핀들 속도 제어부(207)의 회전 속도 정보에 따라 스핀들 모터(209)를 PLL 제어하여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스핀들 구동부(208)로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매체 기록 재생 제어 방법의 흐름도로서, 존의 위치를 판별하여 스핀들 속도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시크나 시스템 초기화 과정인 경우에 본 발명을 수행하는 것을 실시예로 한다.
즉, 시크 또는 초기화 과정인지를 판별하여(단계 301), 시크로 판별되면 광 픽업(201)이 이동해야 할 목표 위치의 회전 속도를 결정한 후(단계 302), 포커스 서보는 온시키고 트랙킹 서보는 오프시킨 채 광 픽업(201)을 목표 위치로 이동시킨다(단계 303).
그리고, 스핀들 회전시 발생하는 FG(Frequency Generation)신호 1 주기동안 카운트된 헤더의 개수와 헤더간 타임을 체크하여(단계 304), 현재 존 위치를 판별하고 판별된 존의 스핀들 속도를 결정한다(단계 305). 만일, 단계 301에서 디스크 삽입등과 같이 초기 픽업의 위치에서의 프리 러닝 상태로 판별되면 포커스 서보는 온시키고 트랙킹 서보는 오프시킨 채 바로 단계 304로 진행한다.
이를 위해 먼저, RF 및 서보 에러 신호 생성부(202)는 광 픽업(201) 내의 각각의 광 검출소자에서 얻은 광량에 비례하는 전기신호로부터 데이터 재생을 위한 RF 신호(또는 리드 채널 1 신호라고도 함), 서보 제어를 위한 포커스 에러 신호(FE), 리드 채널 2 신호 등을 검출하고, 헤더 검출을 위해 리드 채널 1,2 신호를 헤더 검출부(203)로 출력한다.
이때, 프리 러닝이나 시크시에는 서보가 불안정하므로 상기 헤더 검출부(203)는 서보가 불안정한 경우에도 헤더를 정확하게 검출하여야 하며, 도 6은 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제 1 헤더 윈도우 신호 검출부(400)의 LPF(401)는 RF 및 서보 에러 생성부(202)에서 생성된 리드 채널 1 신호를 입력받아 로우패스 필터링함에 의해 노이즈등을 제거한 후 비교기(402)로 출력한다. 상기 비교기(402)는 마이너스 단자로 입력되는 리드 채널1 신호가 플러스 단자로 입력되는 슬라이스 레벨보다 높으면 헤더 영역임을 나타내는 제 1 헤더 윈도우 신호를 발생하여 헤더 마스크 신호 생성부(600)로 출력한다.
그리고, 제 2 헤더 윈도우 신호 검출부(500)의 HPF(501)는 RF 및 서보 에러 생성부(202)에서 생성된 리드 채널 2 신호를 하이패스 필터링에 의해 미분하여 신호 정형부(502)로 출력한다. 상기 신호 정형부(502)는 상기 하이패스 필터링된 리드 채널 2 신호를 정형화하여 비교기(503)로 출력한다. 상기 비교기(503)는 마이너스 단자로 입력되는 정형화된 리드 채널2 신호가 플러스 단자로 입력되는 슬라이스 레벨보다 높으면 헤더 영역임을 나타내는 제 2 헤더 윈도우 신호를 발생하여 헤더 마스크 신호 생성부(600)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리드 채널 1 신호를 슬라이스하는 슬라이스 레벨과 리드 채널 2 신호를 슬라이스하는 슬라이스 레벨은 서로 다르다.
이때, 상기 헤더 마스크 신호 생성부(600)는 상기 제 1 헤더 윈도우 신호와 제 2 헤더 윈도우 신호를 이용하여 헤더 마스크 신호(HDM)를 생성하는데, 기록/미기록 영역에 따라 구별되는 헤더 마스크 신호(HDM)를 생성할 수도 있고, 기록/미기록 영역 구분없이 동일한 헤더 마스크 신호(HDM)를 생성할 수도 있다.
즉, 기록/미기록 영역에 따라 헤더 마스크 신호를 다르게 생성하는 경우, 기록 영역에서는 상기 제 1 헤더 윈도우 신호를 헤더 마스크 신호로 출력하고, 미기록 영역에서는 상기 제 2 헤더 윈도우 신호를 헤더 마스크 신호로 출력한다.
이는 헤더 영역은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비기록 영역이므로 미기록 영역과 반사율이 비슷하여 미기록 영역에서의 리드 채널 1 신호의 크기가 헤더 영역에서의 리드 채널 1 신호의 크기와 비슷한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로우패스 필터링된 리드 채널 1 신호를 고정된 슬라이스 레벨로 슬라이스하여 헤더 마스크 신호를 검출하면 미기록 영역이 헤더 영역으로 오검출될 확률이 많다. 그러나, 기록 영역은 반사율이 작아 기록 영역에서 리드 채널 1 신호에 나타나는 헤더 영역은 항상 일정 레벨 이상이 되므로, 기록 영역에서는 상기 리드 채널 1 신호를 기 설정된 슬라이스 레벨로 슬라이스하면 헤더 영역을 안정되게 검출할 수 있다.
한편, 리드 채널 1 또는 리드 채널 2 신호를 슬라이스하는 슬라이스 레벨을 조정하면 리드 채널 1 신호에서 검출된 헤더 마스크 신호를 기록/미기록 영역에 모두 적용할 수 있고, 또는 리드 채널 2 신호에서 검출된 헤더 마스크 신호를 기록/미기록 영역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지 않은 리드 채널 2 또는 리드 채널 1 신호는 보상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헤더 마스크 신호(HDM)가 생성되면 헤더 카운트부(204)는 상기 헤더 마스크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카운트를 증가시키는데 도 7과 같이 스핀들 회전시 발생하는 FG에 의해 리셋되어 FG당 헤더의 개수를 카운트하고 그 결과를 존 판별부(206)로 출력한다. 또한, 헤더간 타임 검출부(205)는 헤더와 헤더 사이의 타임을 검출하여 존 판별부(206)로 출력한다. 여기서, 설계자에 따라 스핀들 1회전시 발생하는 FG 신호의 수는 다르게 발생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실시예로 FG 신호의 1 주기동안 카운트된 헤더의 개수로 존의 위치를 판별한다. 이는 존 마다 1FG당 헤더의 수가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존 판별부(206)는 FG 신호 1주기 동안 카운트되는 헤더 개수를 보고 현재 광 픽업이 위치하는 존을 판별한다. 이때, 프리 러닝 상태에서는 디스크 편심등에 의해 광 픽업이 도 7과 같이 존과 존 사이를 왔다갔다 할 수 있는데, 존 경계 부근에서 광 픽업이 두 존(예, n 존, n+1 존)을 크로스하면서 두 존의 헤더가 같이 검출되어 카운트될 수 있다. 따라서, 존 판별부(206)는 헤더와 헤더 사이의 타임이 기준값보다 작게되면 에러로 간주한다. 즉, 다른 존의 헤더가 카운트되었다고 판단하여 카운트된 헤더의 수에서 이를 뺀 후 존의 위치를 판별한다. 이것은 하나의 존만을 추종하는 경우 헤더와 헤더 사이의 간격은 항상 일정하기 때문이다.
한편, 헤더와 헤더 사이에서는 속도가 항상 일정하므로 헤더간 타임을 정규화(normalize)하여 현재 광 픽업이 위치하는 존을 찾을 수도 있다.
즉, 존마다 스핀들 속도가 다르고 FG 사이 간격도 다르기 때문에 상기 FG로 현재 스핀들의 회전 속도를 알 수 있으므로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헤더간 타임을 정규화할 수 있다.
여기서, HD-speed는 헤더간 속도, SP-speed는 각 존별 스핀들 속도라 하면, K값이 같은 존내에서는 동일하지만 존 마다는 달라진다.
그러므로, 상기 K값을 미리 저장한 후 헤더간 타임 검출부(205)에서 검출된 헤더간 타임을 현재의 스핀들 회전 속도로 나눈 값을 상기 K값과 비교하면 현재 광 픽업이 위치하는 존의 위치를 판별할 수 있다. 이때에도 헤더간 타임이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에러로 간주하여 판별 과정에서 제외한다.
이와 같이 존 판별부(206)에서 현재 광 픽업이 위치하는 존이 판별되면 스핀들 속도 제어부(207)는 판별된 존의 회전 속도를 결정하고(단계 306), 상기 스핀들 구동부(208)를 통해 결정된 회전 속도로 스핀들 모터(209)를 구동시킨다(단계 307). 동시에 서보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트랙킹 서보를 온한다(단계 307). 그리고, 헤더의 어드레스를 읽어 와 존의 판별이 제대로 되었는지 검증하고(단계 308), 존의 확인이 끝나면 스핀들 회전 속도도 검증한다(단계 310). 만일, 존의 판별이나 스핀들 회전 속도의 결정이 잘못되었으면 검증된 존의 스핀들 속도로 스핀들을 제어한다(단계 310). 판별이 정확한 경우에는 상기 단계 305에서 결정된 스핀들 회전 속도로 스핀들 모터를 계속 구동시킨다.
즉, 상기 스핀들 구동부(208)는 스핀들 속도 제어부(208)에서 제공하는 회전 속도 정보에 따라 스핀들 모터(209)를 PLL 제어하여 디스크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서보 특히, 트랙킹 서보가 온되기 전에 스핀들을 원하는 속도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서보를 빨리 안정화시키고 이로 인해 데이터도 디스크로부터 빨리 독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매체 기록재생 제어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존 CLV 구조를 갖는 디스크에서 FG 신호의 1주기 동안 카운트된 헤더의 개수와 헤더간 타임을 검출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현재 광 픽업이 위치하는 존을 판별하고 판별된 존의 스핀들 회전 속도로 스핀들을 제어함으로써, 트랙킹 서보가 오프되는 시크나 초기 픽업의 위치에서 프리 러닝하는 동안 정확하고 빠르게 존의 위치를 검출하여 최적의 스핀들속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서보를 빨리 안정화시킬 수 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데이터의 기록 및 재생을 빠르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11)

  1. 광 기록매체의 데이터 영역을 다수개의 존으로 나누고 상기 존 내의 기록 가능한 영역의 형상 구분을 위해 헤더 영역이 배치되어 있는 광 기록매체 기록재생 제어 방법에 있어서,
    분할된 각 존마다 광 기록매체 회전 속도를 다르게 적용하는 단계;
    프리 러닝을 통해 상기 헤더의 개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헤더의 개수로 광 픽업이 추종하는 존의 위치를 판별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판별된 존의 회전 속도로 상기 광 기록매체를 회전시키고 서보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 기록재생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단계는
    상기 광 기록매체로부터의 광 반사신호의 합을 구하여 로우패스 필터링한 후 로우패스 필터링된 값이 제 1 기준값 이상이면 제 1 헤더 윈도우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광 기록매체로부터의 트랙 방향으로의 광 반사신호의 차를 구하여 하이패스 필터링한 후 신호 정형화하고 신호 정형화된 값이 제 2 기준값 이상이면 제 2 헤더 윈도우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제 2 헤더 윈도우 신호로부터 헤더 영역임을 나타내는 헤더 마스크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헤더 영역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 기록재생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단계는
    스핀들 회전시 발생하는 주파수 발생(FG) 신호의 주기동안 헤더 개수를 카운트하여 판별에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 기록재생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단계는
    헤더와 헤더 사이의 타임이 기준 타임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카운트된 헤더 개수에서 제외시키고 존의 위치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 기록재생 제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단계는
    헤더와 헤더 사이의 타임을 정규화하여 광 픽업이 추종하는 존의 위치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 기록재생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단계는
    헤더간 속도를 현재의 광 기록매체 회전 속도로 나누어 정규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 기록재생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기록매체 회전 속도는
    주파수 발생(FG) 신호의 주기에 해당하는 시간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 기록재생 제어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단계는
    헤더와 헤더 사이의 타임이 기준 타임보다 작은 경우에는 존 판별에 이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 기록재생 제어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단계는
    시크의 경우 목표 위치로 이동한 후 존의 위치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 기록재생 제어 방법.
  10. 광 기록매체의 데이터 영역을 다수개의 존으로 나누고 상기 존 내의 기록 가능한 영역의 형상 구분을 위해 헤더 영역이 배치되어 있는 광 기록매체 기록재생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 기록매체의 기록 재생을 수행하는 광 픽업;
    상기 광 픽업으로부터 반사 광량에 비례하여 출력하는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헤더 영역을 검출하는 헤더 검출부;
    상기 헤더 검출부에서 검출된 헤더의 개수를 스핀들 회전시 발생하는 주파수 발생(FG) 신호의 주기동안 카운트하는 헤더 카운트부;
    상기 헤더 검출부에서 검출된 헤더와 헤더 사이의 타임을 검출하는 헤더간 타임 검출부;
    상기 카운트된 헤더 개수와 헤더간 타임을 이용하여 현재 광 픽업이 추종하는 존의 위치를 판별하는 존 판별부; 그리고
    상기 존 판별부에서 판별된 존의 회전 속도로 상기 광 기록매체를 회전시킨 후 서보를 제어하는 서보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 기록재생 제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존 판별부는
    헤더간 타임이 기준 타임 이하에서 검출되는 헤더 영역은 에러로 간주하여 존 판별에 이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 기록재생 제어 장치.
KR1019990031079A 1999-07-29 1999-07-29 광 기록매체 기록 재생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0100116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079A KR20010011617A (ko) 1999-07-29 1999-07-29 광 기록매체 기록 재생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079A KR20010011617A (ko) 1999-07-29 1999-07-29 광 기록매체 기록 재생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1617A true KR20010011617A (ko) 2001-02-15

Family

ID=19605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1079A KR20010011617A (ko) 1999-07-29 1999-07-29 광 기록매체 기록 재생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1161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4842B1 (ko) 광디스크매체, 광디스크장치 및 광디스크 트랙킹방법
KR910001274B1 (ko) 광디스크장치
US5724325A (en) Method for reducing lead in time in an optical disk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capable of processing data for multiple types of disks
US6868052B2 (en) Optical disc 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of judging disc type
KR100298929B1 (ko) 정보기록/재생방법및장치
EP1473720B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ifferentiating between writable disc types
KR100419159B1 (ko) 서보 제어 장치, 서보 제어 방법 및 정보 재생 장치
US20050117483A1 (en) Optical disk apparatus and information reproducing method
JPH05266484A (ja) 情報再生装置
US7057988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device
US7813231B2 (en) Optical disc drive apparatus
KR20010011617A (ko) 광 기록매체 기록 재생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320469B1 (ko) 광 디스크 기록 재생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686066B1 (ko) 광 기록매체의 제어 장치
JP3091198B2 (ja) 光ディスク装置及び光ディスクトラッキング方法
JP2000030353A (ja) 光記録媒体判別方法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3073744B2 (ja) 光ディスク媒体
KR100686001B1 (ko) 광 기록매체의 비기록 영역 검출 방법 및 장치
JP3090925B2 (ja) 光ディスク装置
KR100379422B1 (ko) 광 기록매체의 서보 제어 방법
KR100698105B1 (ko) 광 기록매체의 랜드/그루브 트랙 판별 방법 및 장치
JP2000207744A (ja) ピット信号検出回路
KR20010057845A (ko) 광 기록 매체의 기록재생방법
JPH04268252A (ja) 記録媒体の判別方法
JP2000200421A (ja) 光ディ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