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2736B1 - 각형 파이프의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각형 파이프의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2736B1
KR100332736B1 KR1019990039827A KR19990039827A KR100332736B1 KR 100332736 B1 KR100332736 B1 KR 100332736B1 KR 1019990039827 A KR1019990039827 A KR 1019990039827A KR 19990039827 A KR19990039827 A KR 19990039827A KR 100332736 B1 KR100332736 B1 KR 100332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rollers
molding
support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9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7855A (ko
Inventor
김민
Original Assignee
김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 filed Critical 김민
Priority to KR1019990039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2736B1/ko
Publication of KR20010027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7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2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27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 B21D5/1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for making tubes
    • B21D5/12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for making tubes making use of forming-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재질로 된 성형판을 점진적으로 절곡시키면서 각형의 파이프로 성형시키도록 하는 각형 파이프의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성형장치(100)의 상·하측성형부싱롤러(120)(130)를 구비할 때 회전축 또는 연동축에 다수 개로 분할된 성형틀롤러와 지지롤러를 분해결합 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성형 제조코자하는 각형 파이프의 특성에 따라 각 공정의 상·하측성형부싱롤러(120)(130)를 용이하게 교체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고,
다수개의 분할된 성형틀롤러와 지지롤러만을 가공시켜주므로 가공비용과 시간을 줄이면서 특성에 따라 용이하게 가공시킬 수 있고,
동일한 생산라인에서 각 성형장치의 성형틀롤러와 지지롤러만을 교체시켜주는 것에 의해 다양한 각형 파이프를 제조할 수 있어 생산라인의 활용도(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사면이 폐쇄형으로 되는 각형 파이프를 제조할 때에는 이음부의 내·외면을 베어링이 장착된 성형지지구(143)와 외주 면이 요철형으로 되는 환상요철돌판(124-3)에 의해 압착시켜주므로 이음부가 견실하게 결속된 각형 파이프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각형 파이프의 성형장치{a quadrilateral pipe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금속 재질로 된 성형판을 점진적으로 절곡시키면서 각형의 파이프로 성형시키도록 하는 각형 파이프의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지지대에 굴대 설치되는 상측성형롤러와 하측 성형롤러의 사이로 성형판을 통과시켜 소정의 형상모양으로 성형시키도록 하는 성형장치에 있어서,
성형롤러와 하측성형롤러를 각형 파이프의 성형면에 따라 다수개씩의 부분성형틀 롤러로 분할하여 굴대 설치시킨 성형장치들을 일렬종대로 배열시키도록 하되, 각 성형장치들의 부분성형롤러들은 각형 파이프의 성형면의 요소와 특성에 따른 성형과정과 기능에 따라 부분성형틀롤러의 크기와 그 외주 연에 형성되는 성형틀의 형상과 모양을 점진적으로 다르게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소 크기가 작은 각형 파이프를 성형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일측 면이 터진 각형 파이프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상으로 밀폐되는 각형 파이프를 성형시킬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밀폐형 각형 파이프는 이음부가 면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성형시킬 수 있도록 된 성형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종래에도 상·하측에 굴대 설치되는 성형롤러에 의해 소정의 판넬을 성형하도록 하는 장치는 각종 제안이 행해지고 있는데, 성형용 평판을 소정의 형상모양으로 성형시킴에 있어서 단일고정에 의해 성형시킬 수 있는 것과 여러 공정에 의해 점진적으로 성형시킬 수 있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은 성형장치는 대향되게 설치되는 지지대의 사이에 상측성형롤러와 하측성형롤러를 굴대 설치하여 동력수단에 의해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되 대체적으로 하측성형롤러는 고정축형으로 설치하고 상측성형롤러는 유동축형으로 설치하며, 상·하측성형롤러의 각 외주 면에는 성형용평판을 소정의 형상·모양으로 성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대응되는 요철부를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성형장치들은 상·하측성형롤러의 외주 면에 성형용 요철부를 직접 가공 성형하였다는 것에 문제가 있다.
즉, 상·하측성형롤러의 외주 면에 성형용 요철부를 직접 가공 성형할 경우에는 각 성형장치의 상·하측성형롤러마다 직접 가공시켜주어야 하므로 중량체인 성형롤러를 들어 옮겨야하는 불편함과 성형롤러에서 특정부분을 가공시키기 위해서 모든 성형롤러를 성형장치에 장착시킨 상태에서 가공시켜야 하는 폐단으로 인하여 성형롤러를 용이하게 가공시킬 수 없게 되고, 그로 인하여 가공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용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종래의 성형장치는 성형품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점진적으로 변화되는 성형롤러를 모두 제작하여야 하므로 제작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고 이러한 성형롤러를 보관하는 데에도 많은 불편이 야기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종래의 성형장치는 성형품의 종류와 크기를 달리하여 제작할 때마다 성형롤러를 교체시켜 주어야하는데 무거운 성형롤러를 교체시키기가 용이치 못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으며,
또 성형롤러의 성형부분이 손상될 때마다 성형롤러자체를 새로 가공하여 교체해주어야 하므로 관리 보수비용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와 폐단을 해소할 수 있도록 된 각형 파이프의 성형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으로서, 특히 단면적이 적은 각형 파이프를 성형하는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대향되는 지지대 사이에 상·하측성형롤러가 굴대 설치되는 회전축과 성형판을 일정한 형상모양으로 성형시키도록 하는 성형부싱롤러를 별도로 구비하여 성형부싱롤러를 회전축에서 장착·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상·하측성형롤러의 각 성형부싱롤러를 각형 파이프의 성형 면과 형상·모양 및 구조에 따라 다수개의 성형분할부싱롤러로 분할하여서된 각형 파이프의 성형장치를 제공한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하측성형롤러를 지지대에 굴대 설치함에 있어 회전축을 슬라이더판에 굴대설치하고 슬라이더판을 지지대에서 결합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며, 성형시키기 위한 각형 파이프의 특성에 따라 성형부싱롤러만을 교체 장착할 수 있도록 된 각형 파이프의 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지대에 굴대 설치되는 회전축에서 성형부싱롤러만을 교체 장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성형되는 각형 파이프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성형부싱롤러만을 성형하여 주면 되도록 하고, 성형부싱롤러만을 성형시켜줌으로서 가공시간과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며, 성형부싱롤러만을 가공시키므로 다루기가 용이하여 보다 신속하게 가공할 수 있도록 된 각형 파이프의 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성형부싱롤러를 가공시키되 다수 개로 분할하여 각형 파이프의 성형시키고자 하는 위치와 부분을 개별적으로 가공하여 장착함으로서 가공시간을 단축시키고 가공비용을 절감시키며, 성형부싱롤러를 사용하는 도중에 소정위치의 성형분할부싱롤러가 손상되었을 경우 그 손상된 성형분할부싱롤러부분만을 가공하여 교체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개·보수할 수 있도록 된 각형 파이프의 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방형 및 폐쇄형의 각형 파이프를 성형시킬 수 있도록 하고, 폐쇄형의 각형 파이프는 이음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그 이음부를 내·외측에서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도록 된 각형 파이프의 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및 기타 목적은,
대향되게 이격 설치되는 지지대(101)에 소정의 요철성형부가 외주 면에 형성되는 상·하측성형롤러를 굴대 설치하여서 된 다수개의 성형장치(100)를 일렬종대로 설치하여 동력장치에 의해 각 성형장치의 성형롤러를 동시에 롤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각 성형장치의 상·하측성형롤러를 지지대(101)에 굴대 설치되는 회전축(117)·(118)에 삽입 장착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 상·하측성형부싱롤러(120)·(130)로 분할시킬 것과,
각 지지대(101)는 중간부를 상측이 터진 공간부(103)로 형성하여 회전축(117)(118)이 각각 굴대 설치된 하측슬라이더(116)와 상측슬라이더(115)를 차례로 삽입 장착하여 덮개판(104)으로 억류시킨 것과,
상기 상측슬라이더(115)는 높낮이 조정장치에 의해 지지대(101)를 따라 그 높낮이를 슬라이딩 조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파이프의 성형장치(이하 '제1성형장치'라 칭함)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상기 및 기타목적은,
대향되게 이격 설치되는 지지대(101)에 소정의 요철성형부가 외주 면에 형성되는 상·하측성형롤러를 굴대 설치하여서된 복수개의 성형장치를 일렬종대로 설치하여 동력장치에 의해 각 성형장치(100)의 성형롤러를 동시에 롤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각 성형장치의 상·하측성형롤러는 지지대(101)에 굴대 설치되는 회전축(117)(118)과 소정의 체결수단에 의해 그 회전축(117)·(118)에 삽입 장착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 성형틀부싱롤러(123)·(133) 및 지지부싱롤러(121)·(122)·(131)·(132)로 분할시킨 것과,
각 지지대(101)는 중간부를 상측이 터진 공간부(103)로 형성하여 각 회전축(117)·(118)이 각각 굴대 설치된 하측슬라이더(116)와 상측슬라이더(115)를 차례로 삽입 장착하여 덮개판(104)으로 억류시킨 것과,
상기 상측슬라이더(115)는 높낮이 조정장치에 의해 지지대(101)를 따라 그 높낮이를 슬라이딩 조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파이프의 성형장치(이하 '제2성형장치'라 칭함)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장치와 제2장치에 밀폐형 각형 파이프의 내부성형지지장치(140)를 설치하여서된 각형 파이프 성형장치가 제공되는데, 상기 밀폐형 각형 파이프의 내부성형지지장치(140)는 성형지지구(143)의 저면과 측면에 저면, 측면롤링베어링(146)·(147)을 소정의 간격으로 굴대설치하고, 상기 성형지지구(143)를 지지수단에 의해 상·하측성형롤러(120)·(130)의 성형틀부싱롤러(123)·(133)사이에 설치하여서된 각형 파이프 성형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되어있으므로 상·하측성형롤러(120)(130)의 사이로 성형판을 통과시키면서 소정의 형상·모양으로 절곡 성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상·하측성형롤러(120)·(130)는 회전축(117)·(118)에서 착탈할 수 있도록 되어있고, 특히 상·하측성형롤러(120)·(130)는 다수개씩의 성형틀부싱롤러(123)·(133)와 지지부싱롤러(121)·(122)·(131)·(132)로 분할하여 장착할 수 있으므로 성형시키고자 하는 각형 파이프의 형상과 크기에 따라 성형롤러를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고 교체 장착할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 손상되는 부싱롤러만을 가공하여 교체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밀폐형 각형 파이프를 성형할 때에는 이음부를 결합시키면서 내부성형지지장치(140)에 의해 이음부의 내면을 지지하여 주므로 이음부를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각기 다른 각형 파이프의 성형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각형 파이프 성형장치를 보인 평면도 및 정면도.
도 4a 내지 도 4n은 본 발명에 따른 각형 파이프 성형장치에 의해 정사각형 파이프의 성형공정을 보인 예시도.
도 5는 도 4의 공정 실시예에서 최종 공정을 발췌하여 보인 확대도.
도 6a 내지 도 6c는 도 4의 공정 실시예에서 각형파이프의 내부 성형지지장치를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성형판 1-1 : 터진각형파이프
1-2 : 정사각형 파이프 1-3 : 직사각형 파이프
2 : 저면부 3 : 측면부
4 : 상면부 5, 5-1 : 이음부
10 : 각형파이프성형장치 11 : 기대
12, 13 : 받침판 14 : 키홈
15 : 너트공 20 : 성형판공급장치부
21 : 지지대 22 : 받침롤러
23 : 가이드봉 24 : 슬라이더
25 : 슬라이더블럭 26 : 핸들
27 : 스크류봉 28 : 너트편
29 : 베어링 100 : 성형장치
101 : 성형롤러지지대 102 : 장착판
103 : 공간부 104 : 덮개판
105, 106 : 볼트 110 : 스크류봉
111 : 핸들 112 : 플랜지부
113 : 지지편 114 : 스크류봉
115 : 상측슬라이더 116 : 하측슬라이더
117 : 회전축 118 : 연동축
119 : 스프로켓 120 : 상측성형롤러
130 : 하측성형롤러 121, 131, 122, 132 : 지지부싱롤러
123, 133 : 성형틀부싱롤러 140 : 내부성형지지장치
141 : 지지대 142 : 연결구
143 : 성형지지구 144 : 지지봉
145 : 고정볼트 146 : 저면롤링베어링
147 : 측면롤링베어링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더욱 명확하게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도면 도 1a 내지 도 1c는 각형 파이프의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각형파이프성형장치(10)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각형파이프성형장치(10)에 의해 성형되어지는 각형 파이프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a는 일면이 개방형으로 되는 터진각형파이프(1-1)를 보인 예시도로서, 평판상으로 된 성형판(1)을 일렬종대로 설치되는 성형장치(100)들에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소정의 형상모양으로 성형시키게 된다. 즉, 저면부(2)의 비드(2-1)를 성형시켜주고 측면부(3)의 비드(3-1)를 성형시켜주며, 양단의 절곡부(6)를 성형시켜준 후 저면부(2)의 양측을 점진적으로 상향시켜서 직립상태의 측면부(3)로 성형시켜줌으로서 터진각형파이프(1-1)를 완성시킬 수 있으며, 일련의 성형공정은 일렬종대로 설치되는 성형장치(100)들에 의해 점진적으로 연속 성형시켜주게 되는 것이다.
도 1b는 사면이 크기가 동일하고 폐쇄형으로 된 정사각형 파이프(1-2)를 보인 예시도이다. 평판상으로 된 성형판(1)을 일렬종대로 설치된 성형장치(100)들에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성형시키게 되는데, 저면부(2)의 비드(2-1)를 성형하고 양 측면부(3)의 비드(3-1)를 형성하며 상면부(4)의 비드(4-1)를 성형한 후 양단의 이음부(5)(5-1)를 대향되게 성형시켜주며, 상면부(4)를 점진적으로 상향 절곡시켜 직립시켜준 후 양측의 측면부(3)를 점진적으로 상향 절곡시켜 직립시켜서 이음부(5-1)가 서로 접속되어지도록 한 후 이음부(5)·(5-1)를 상·하측에서 압착시켜줌으로서 정사격형파이프(1-2)를 성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c는 폐쇄형으로 되고 가로 폭과 세로 폭을 다르게 하여 직사각형파이프(1-3)로 성형시켜서 된 것으로서 일련의 성형공정은 도 1b에 도시된 정사각형파이프(1-2)를 성형시키는 공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줌으로서 직사각형파이프(1-3)를 성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터진각형파이프(1-1)와 정사각형파이프(1-2)및 직사각형파이프(1-3)는 다음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각형파이프성형장치(10)에 의해 성형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제1 및 제2 성형장치로 되는 각형파이프 성형장치(10)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중간을 절단하여 생략하였으나 길이가 긴 기대(11)의 위에 인입부에서 배출부측으로 성형판공급장치부(20)와 일련의 성형장치(100)들을 등간격으로 장착하였는데, 기대(11)의 상면에 한 쌍의 받침판(12)·(13)을 이격 시켜 평행하게 고정시키고, 상기 받침판(12)·(13)의 위에 성형판공급장치부(20)와 성형장치(100)들을 장착하였다.
성평판공급장치부(20)는 양측 면이 받침판(12)·(13)의 위에 안치되도록 하여 받침틀(21)을 고정시키되 받침틀(21)의 상면은 내측선단에 상향돌출부(21-1)를 형성하였다. 받침틀(21)에 한 쌍의 지지대(21-2)를 이격 고정시키되 지지대(21-2)의 사이에는 선단에서 내측으로 받침롤러(22)를 회전 가능하게 굴대설치하고 한 쌍의 가이드봉(23)을 이격 고정시켰다.
각 가이드봉(23)에는 가이드봉(23)과 교차되게 하여 슬라이더(24)의 슬라이더블럭(25)을 삽입 설치하되 한 쌍의 슬라이더(24)를 설치하였으며, 상기 가이드봉(23)의 중간에서 각 지지대(21)에는 베어링(29)에 의해 스크류봉(27)을 회전가능하게 굴대 설치하되 각 지지대(21)의 외측부에서는 각 스크류봉(27)에 핸들(26)을 장착하였고 각 스크류봉(27)은 슬라이더(24)에 고정된 너트편(28)에 나사 결합시켰다. 또한 받침틀(21)에서 내측의 상향돌출부(21-1)에는 한 쌍의 공급롤러(30)를 회전 가능하게 상하로 굴대 설치하였다.
상기 성형판공급장치부(20)의 내측으로는 성형장치(100)를 등간격으로 설치하였다. 받침판(12)·(13)에는 키홈(14)을 등간격으로 나란하게 형성하고 각 키홈(14)의 양측으로 너트홈(15)을 형성하여 양측의 받침판(12)·(13)에서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키홈(14)에 성형장치(100)의 장착판(102)을 돌편(도시하지 아니함) 및 볼트(105)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고정시켜서 지지대(101)가 대향되어지도록 하였다. 상기 지지대(101)는 중간부에 상부가 터진공간부(103)를 형성하여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상·하측성형롤러(120)·(130)의 상·하측슬라이더(115)·(116)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하였다. 하측성형롤러(130)의 회전축(117)의 양단에는 베어링(117-1)을 개입시켜 하측슬라이더(116)를 각각 굴대 설치하고, 하측슬라이더(116)를 지지대(101)의 공간부(103)에 삽입시키되 하측슬라이더(116)의 내·외면의 가장자리가 지지대(101)의 내측부와 중첩되어지도록 하여 하측슬라이더(116)가 지지대(101)에서 이탈되지 않고 상하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하측슬라이더(116)의 위에는 상측슬라이더(115)를 장착하였다. 상측슬라이더(115)는 하측슬라이더(116)와 같이 내·외면의 가장자리가 지지대(101)의 내측부와 중첩되어지도록 하여 이탈되지 않고 상하로 슬라이딩되어지도록 장착하되, 상측슬라이더(115)에는 상측성형롤러(120)의 연동축(118)의 양단을 베어링(118-1)을 개입시켜 굴대 설치하였으며, 특히 상측슬라이더(115)는 상하작동장치에 의해 지지대(101)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상측슬라이더(115)의 상하작동장치로서는, 상측슬라이더(115)의 상면중앙에 스크류봉(114)을 직립으로 고정시키고 덮개판(104)의 중앙에는 상측으로 노출되는 스크류관(110)을 베어링(110-1)을 개입시켜서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굴대 설치하되 덮개판(104)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스크류관(110)에 핸들(111)을 일체로 형성하고 핸들(111)과 덮개판(104)의 사이에 지지편(113)을 개입시켰으며, 스크류봉(114)에 스크류판(110)을 나사 결합시키되 덮개판(104)을 지지대(101)의 상측에 고정볼트(106)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시켜 주었다.
상기 상·하측성형롤러(120)·(130)의 회전축(117)과 연동축(118)에는 성형틀부싱롤러(123)·(133)와 지지부싱롤러(121)·(122)·(131)·(132) 및 셋팅관(120-1)·(130-1)을 삽입하여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였는데, 성형틀부싱롤러(123)·(133)를 중앙에 포진시키고 그 양측으로 지지부싱롤러(121)·(131) 및 지지부싱롤러(122)·(132)를 삽입하여 고정시켰으며, 이들의 외측으로 셋팅관(120-1)·(130-1)을 삽입하여 억류시켰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성형장치(100)는 성형되어지는 각형 파이프의 구조와 특성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 공정순서에 따라 기대(11)의 위에 다수 개(적게는 서너 개에서 많게는 수십 개까지)를 직렬로 설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또한 각 성형장치(100)에서 성형되는 각형 파이프의 구조와 특성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 공정순서에 따라 상·하측성형롤러(120)·(130)는 성형틀부싱롤러(123)·(133)와 지지부싱롤러(121)·(122)·(131)·(132)의 형상과 모양 및 크기를 달리하여 장착시키게 되며, 특히 성형틀부싱롤러(123)·(133)는 더욱 세분화되게 분할시키고 세분화된 성형롤러들의 크기, 형상, 모양을 성형조건에 맞도록 형성시켜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형파이프성형장치(10)의 구체적인 실시상태를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4a 내지 도 6c는 각형 파이프 중에서 도 1b에 예시되어있는 정사각형파이프(1-2)의 구체적인 성형공정을 보인 예시도로서, 도 4a 내지 도 4n과 도 5는 각 성형장치(100)에서 상·하측성형롤러(120)·(130)의 성형틀부싱롤러(123)·(133)와 지지부싱롤러(121)·(122)·(131)·(132)의 변화상태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6a 내지 도 6c는 일부 성형장치(100)의 선상에 구비되는 밀폐형 파이프의 내부성형지지장치(140)를 보인 예시도이다.
성형틀부싱롤러(123)·(133)는 중앙성형롤러(124)·(134)와 중간성형롤러(125)·(126)·(135)·(136) 및 외측성형롤러(127)·(128)·(137)·(138)로 분할하여 정사각형파이프(1-2)의 저면(2)과 측면(3)과 상면(4)을 성형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도 4a는 상·하측성형롤러(120)·(130)에서 중앙성형롤러(124)·(134)와 외측성형롤러(127)·(128)·(137)·(138)의 지름을 동일크기로 하여 외면이 연접되어지도록 하였고, 중간성형롤러(125)·(126)·(135)·(136)는 지름을 작게 하였으며, 지지롤러(121)·(122)·(131)·(132)는 상·하지지롤러의 외주 면이 서로 연접(당접)되어지도록 하였다.
도 4b는 도 4a에서 중앙성형롤러(124)·(134)의 외주 면에 서로 대응되는 한쌍씩의 환상홈(124-1)과 환상돌기(134-1)를 형성하였다.
도 4c는 중앙성형롤러(124)·(134)의 크기(지름)을 작게 하고, 중간성형롤러(125)·(126)·(135)·(136)의 크기를 외측성형롤러(127)·(128)·(137)·(138)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되 외주 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환상홈(125-1)·(126-1)·(135-1)·(136-1)을 형성하였다.
도 4d는 중앙성형롤러(124)의 외주 면에 환상홈(124-1)을 형성하여 성형판(1)을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중간성형롤러(125)·(126)·(135)·(136)는 작게 하였으며, 외측성형롤러(127)·(128)·(137)·(138)의 외주 면에는 대응되는 환상홈(127-1)·(128-1)과 환상돌기(137-1)·(138-1)를 대응되게 형성하였다.
도 4e는 도 4b와 동일하게 형성하되 상측성형롤러(120)에서 일측의 외측성형롤로(127)의 외주 면에는 환상홈(127-1)과 내향경사요홈(127-2)을 형성하고 타측의 외측성형롤러(127)의 외주 면에는 환상홈(128-1)과 외측 면으로 경사지는 외향경사면(128-1)을 형성하였으며, 하측성형롤러(130)에서 일측의 외측성형롤러(128)에는 상부의 외측성형롤러(127)와 대응되도록 외주 면의 외측으로 경사돌기(137-2)와 외향경사면(137-2)과 외향경사면(137-3)을 연결하여 형성하고 타측의 외측성형롤러(138)에는 외주 면의 외측 단에 내향경사면(138-2)을 돌출되게 형성하였다.
도 4f는 중앙성형롤로(124)·(134)와 중간성형롤러(125)·(126)·(135)·(136)는 도 4e와 동일하게 형성하였다. 상측성형롤러(120)에서 일측의 외측성형롤로(127)의 외주 면에는 한 쌍의 환상요홈(127-1)(127-3)과 외측부에 환상돌부(127-4)를 보다 크게 돌출 되도록 형성하였고 타측의 외측성형롤러(128)의 외주 면에는 환상홈(128-1)을 형성하였으며, 하측 성형부싱롤러(130)에서 일측의 외측성형롤러(137)에는 상측의 외측성형롤러(127)와 대응되도록 외측으로 환상돌부(137-3)와 환상요홈(137-4)을 형성하였고 타측의 외측성형롤러(138)의 외주 면은 밋밋하게 형성하였으며, 특히 환상돌부(127-4)가 삽입되는 환상요홈(137-4)의 폭을 다소 넓게 하여 환상돌부(127-4)의 내측면과 환상돌기(137-3)의 외측 면과의 사이가 약간 이격 되어지도록 하였고, 외측성형롤러(128)의 외측 면과 지지롤러(132)의 내측면 사이도 약간 이격 시켜 주어서 성형판(1)의 양편을 상반되게 절곡시켜 줄 수 있도록 하였다.
도 4g는 상측성형롤러(120)에서 중간 성형롤러(124)와 외측성형롤러(127)·(128)에 환상홈(124-1)·(127-1)·(127-5)·(128-1)을 형성하여 주되 외측성형롤러(128)의 외주 면에서 외측으로 환상돌부(128-3)와 환상내경사면(128-4)을 형성하였으며, 하측성형롤러(130)에서 일측의 외측성형롤러(137)의 외주 면에서 외측으로 환상돌기(137-5)와 환상내경사면(137-6)을 형성하였다.
도 4h는 상·하측성형롤러(120)·(130)의 중앙성형롤러(124)·(134)는 크기를 작게 하고, 중간성형롤러(125)·(126)·(135)·(136)와 외측성형롤러(127)·(128)·(137)·(138)는 크게 형성하되, 상측의 중간성형롤러(125)(126)에는 환상홈(125-1)·(126-1)을 각각 형성하였고, 외측성형롤러(127)·(128)는 외주 면의 내측과 외측을 외측의 절삭공간부(127-7)·(128-6)에 의해 단층 되어지도록 하되 내측으로 외향지지경사면(127-6)·(128-5)을 형성하였으며, 하측성형부싱롤러(130)에서 일측의 외측성형롤러(137)의 외주 면에는 상면내향경사부(137-7)와 환상요홈(137-8)을 형성하였고 타측의 외측성형롤러(138)의 외주 면에는 상면내향경사부(138-3)를 형성하였다.
도 4i는 도 4h와 같게 형성하되, 상측성형롤러(120)에서 외측성형롤러(127)·(128)의 절삭공간부(127-8)·(128-7)를 더욱 깊게 형성하였고, 하측성형부싱롤러(130)에서 외측성형롤러(137)·(138)의 상면내향경사면(137-9)·(138-4)의 경사를 더욱 크게 하였다.
도4j는 상측성형롤러(120)의 중앙성형롤러(124)의 크기와 하측성형부싱롤러(130)의 중앙성형롤러(134)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크고 적게 형성하였는데 상측의 중앙성형롤러(124)의 외주 면에는 환상요홈부(124-2)를 중앙에 형성하고 양측의 가장자리에는 외향경사면(124-3)을 각각 형성하였으며, 하측성형부싱롤러(130)에서 중간성형롤러(135)·(136)의 외주면 측면내향경사면(135-2)·(136-2)을 형성하였다.
도 4k는 상측성형롤러(120)의 지름(크기)을 모두 작게 형성하되 중앙에는 중간성형롤러(124)를 대신하여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내부성형지지장치(140)의 지지대(141)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하측성형부싱롤러(130)에서 중앙성형롤러(124)는 내부성형지지장치(140)의 성형지지구(143)에 굴대 설치되는 하측롤링베어링(147)과 근접되도록 하였고 중간성형롤러(135)(136)는 외주에 측면내향경사면(135-3)·(136-3)을 형성하였으며, 외측성형롤러(137)·(138)를 제외하고 지지롤러(131)·(132)를 장착하였다.
도 4l과 도 4m은 도 4k에서 중간 성형롤러(135)·(136)의 측면내향경사면(135-4)·(136-4)·(135-5)·(136-5)을 점진적으로 더욱 급경사지게 형성하였다.
도 4n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성형부싱롤러(130)에서 중앙성형롤러(134)를 다소 작게 하고 지지롤러(131)·(132)를 크게 하여 중앙성형롤러(134)의 상면과 지지롤러(131)·(132)의 내측면지지편(131-1)·(132-1) 사이로 정사각형파이프(1-2)가 통과되어지도록 하되 중앙성형롤러(134)의 외주에는 환상돌기(134-2)를 형성하였으며, 상측성형롤러(120)의 중앙성형롤러(124)와 지지롤러(121)·(122)를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되 중앙성형롤러(124)의 외주 면의 중앙에는 요철편환상돌부(124-2)를 형성하였고, 지지롤러(121)(122)에서 외주 면의 내측으로 환상플랜지부(121-1)·(122-1)를 형성하였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4k 내지 도 4n에 설치되는 밀폐형 파이프의 내부성형지지장치(40)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지지구(143)를 연결구(142)(148)에 의해 지지대(141)의 전방에 구비하되, 지지대(141)는 체결수단에 의해 소정위치의 성형장치(100)에 상측성형롤러(120)의 연동축(118)에 고정시켜주고,
성형지지구(143)의 상면과 저면에는 외주중앙에 상·하측베어링(146)(147)을 소정의 간격으로 굴대 설치하였다.
상기 상·하측베어링(146)(147)은 지지봉(144)의 외주중앙에 억지 끼움 하여 장착하고 고정볼트(145)를 양측 면에서 나사 결합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였는데, 상·하측베어링(146)·(147)은 도 4k 내지 도 4n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능한 한 성형장치(100)에서 상·하측성형부싱롤러(120)·(13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각 성형장치(100)에서 지지대(101)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상측성형부싱롤러(130)의 회전축(117)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로켓(119)을 장착하여 고정시키고 이와 같이 장착되는 각 성형장치(100)의 스프로켓(119)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공전형으로 되는 체인을 걸어주게 되는데, 체인은 동력장치 즉 동력모터의 축에 고정된 스프로켓(체인휠 :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의해 회전(공전)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도 4a 내지 도 4n 및 도 5와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성형장치(100)들과 내부성형지지장치(140)가 장착된 각 형파이프성형장치(10)에 의해 정사각형파이프(1-2)가 성형되어지는 공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성형판공급장치부(20)를 통하여 소정의 폭으로 절단되거나 가공되어진 철판, 즉 성형판(1)을 공급시킨다.
성형판공급장치부(20)에서 양측에 구비된 핸들(26)을 회전시켜서 슬라이더(24)를 성형판(1)의 폭과 일치시켜준다. 핸들(26)을 회전시키게 되면 스크류봉(27)이 회전하게 되고 스크류봉(27)이 회전하면 너트편(28)이 스크류봉(27)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슬라이더(24)는 슬라이더블럭(25)이 가이드봉(23)을 따라 슬라이딩되므로 슬라이더(24)는 가이드봉(23)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하여 성형판(1)의 폭에 따라 슬라이더블럭(25)의 간격을 조절하여 준다.
성형판(1)이 성형판공급장치부(20)의 슬라이더(24)를 통하여 공급되어지도록 하면서 첫번째 성형장치(100)의 상·하측성형부싱롤러(120)·(130)사이의 선단부에 성형판(1)의 선단부를 물려준 상태에서 각형파이프성형장치(10)를 가동시키는 스위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함)을 ON시켜 동력장치 즉, 동력모터(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작동시켜준다. 동력모터가 작동하게 되면 그이 축에 장착된 스프로켓(체인휠)이 회전하게 되고 스프로켓이 회전하게 되면 체인이 공전하게 되며, 체인이 공전하게 되면 체인에 걸어져 있는 각 성형장치(100)의 스프로켓(119)등이 회전하게 되므로 각 성형장치(100)의 하측성형부싱롤러(130)가 회전하면서 각형파이프성형장치(10)는 작동이 개시된다.
모든 성형장치(100)는 스프로켓(119)과 함께 회전축(117)이 회전하게 되고, 회전축(117)이 회전하면 하측성형부싱롤러(130) 즉, 성형틀롤러(123)와 지지롤러(121)·(122)들이 동시에 회전하게 되며, 상측성형롤러(120)는 성형틀롤러(133)와 지지롤러(131)·(132)들이 동시에 연동되면서 이동되는 상형판(1)을 점진적으로 각형 파이프로 성형시켜 주게된다.
제1공정인 성형장치(100)가 작동하게 되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판(1)은 하측성형부싱롤러(130)의 지지롤러(131)·(132)사이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성형판(1)은 상면과 저면이 상·하측성형부싱롤러(120)·(130)의 중앙성형롤러(124)·(134)의 사이 및 외측성형롤러(127)·(128)·(137)·(138)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차후 공정으로 흘러 이송되어진다.
제1공정의 성형장치(100)에 의해 이송 공급되는 성형판(1)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공정인 성형장치(100)에 유입된다. 제2의 성형장치(100)에서 외측성형롤러(127)·(128)·(137)·(138)에 의해 성형판(1)이 이송될 때 성형판(1)의 중간부는 중앙성형롤러(124)·(134)사이를 통과하게 되는데, 중앙성형롤러(124)·(134)에는 환상홈(124-1)과 환상돌기(134-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들에 의해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사각형파이프(1-2)의 저면부(2)에 해당되는 면에는 비드(2-1)가 형성되어진다.
제2공정의 성형장치(100)를 통과하면서 저면부(2)에 비드(2-1)가 형성된 성형판(1)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3공정의 공정인 성형장치(100)에 인입 된다.
제3의 성형장치(100)에 인입된 성형판(1)은 맞물려지는 외측성형롤러(127)·(128)·(137)·(138)에 의해 차후공정으로 이송되어지는데, 중앙성형롤러(124)·(134)는 크기가 작게되어 있으므로 성형판(1)의 저면부(2)에 성형된 비드(2-1)는 간섭 없이 통과하게 되고 저면부(3)의 양측에 형성되는 측면부(3)는 중간성형롤러(125)·(126)·(135)·(136)의 사이를 통과하게 되며, 중간성형롤러(125)·(126)·(135)·(136)에는 환상홈(125-1)·(126-1)과 환상돌기(135-1)·(136-1)가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측면부(3)가 통과할 때 측면부(3)에는 비드(3-1)가 형성되어진다.
제3공정의 성형장치(100:도 4c)를 통과하여 측면부(3)의 비드(3-1)가 형성된 성형판(1)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4공정의 성형장치(100)를 통과하게 된다.
제4공정의 성형장치(100)에 인입된 성형판(1)은 맞물려지는 중앙성형롤러(124)·(134)와 외측성형롤러(127)·(128)·(137)·(138)에 의해 이송되어지는데 외측성형롤러(127)·(128)·(137)·(138)에는 환상홈(127-1)·(128-1)과 환상돌기(137-1)·(138-1)가 대응되게 형성되어있으므로 정사각형 파이프(1-2)의 상면부(4)에 해당되는 면에는 비드(4-1)가 형성되어진다.
제4공정의 성형장치(100:도 4d)를 통과하면서 상면부(4)의 비드(4-1)가 형성되어진 성형판(1)을 제5공정의 성형장치(100)인 도 4e를 통과하게된다.
제5공정의 성형장치(100:도 4e)에 유입되는 성형판(1)은 외측성형롤러(127)·(128) 및 (137)·(138)의 각 외주면 외측부에 대향되게 형성된 내향경사요홈(127-2)과 외향경사면(137-4) 및 외향경사면(128-2)과 내향경사면(128-2)에 의해 성형판(1)의 양단이 하측과 상측으로 상반되게 절곡되어진다.
제5공정의 성형장치(100:도 4e)를 통과하여 양단이 경사지게 절곡된 성형판(1)은 제6공정의 성형장치(100:도 4f)를 통과하게되는데, 외측성형롤러(127)·(137)의 환상홈(127-3)과 환상돌부(127-4)및 환상돌부(137-3)와 환상요홈(137-4)에 의해 일측 단이 하향으로 직각 절곡되고, 타측에서 회측성형롤러(128)의 외측면과 지지롤러(132)의 내측면(132-1)에 의해 타측 단이 상향으로 직각 절곡되어진다.
제6공정의 성형장치(100:도 4f)를 통과한 성형판(1)은 도 4g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7공정의 성형장치(90)를 통과하게 된다.
제7공정의 성형장치(100:도 4g)를 통과하게 되는 성형판(1)은 하향 직각 절곡된 일측은 외측성형롤러(127)·(137)의 환상홈(127-5)과 환상내경사면(137-6) 및 환상돌부(137-5)에 의해 하향내측으로 경사지게 재차 절곡되어지고,
상향 직각 절곡된 타측은 외측성형롤러(128)·(138)의 환상돌부(138-3) 및 환상내경사면(128-4)과 외측성형롤러(138)의 외주 면에 의해 상향내측으로 경사지게 재차 절곡되어진다.
제7공정의 성형장치(100:도4g)를 통과한 성형판(1)은 제8공정의 성형장치(100)인 도 4h를 통과하게 된다. 성형판(1)이 도 4h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8공정의 공정성형장치(100)를 통과할 때 상측성형롤러(120)에서 외측성형롤러(127)·(128)의 외향지지경사면(127-6)·(128-5) 및 절곡공간부(127-7)·(128-6)와 하측성형부싱롤러(130)에서 외측성형롤러(137)·(138)의 상면내향경사면(137-7)·(138-3) 및 환상단면(137-8)에 의해 정사각형 파이프(1-2)의 상면(4)으로 되는 면이 일정한 각도(∠45)로 상향 절곡된다.
제8공정의 성형장치(100:도 4h)를 통과한 성형판(1)은 도 4i에 도시된 바와같은 제9공정인 성형장치(100)를 통과하게 된다. 상면(4)이 일정한 각도로 상향 절곡된 성형판(1)은 도 4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성형롤러(120)에서 외측성형롤러(127)·(128)의 내측면직각돌기부(127-8)·(128-7) 및 절곡공간부(127-9)·(128-8)와 하측성형부싱롤러(130)에서 외측성형롤러(137)의 외측면돌기부(137-9)및 지지롤러(132)의 내측면(132-1)에 의해 상면(4)은 직각으로 직립 상태로 절곡된다.
상기 제8공정과 제9공정인 도 4h와 도 4i를 통과하면서 직각으로 상향 직립되는 상면(4)은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공정 수를 좀 더 늘려서 하측성형부싱롤러(130)에서 외측성형롤러(137)·(138)에 형성되는 상면내향경사면(137-7)·(138-3)의 경사각도를 ∠30, ∠45, ∠60, ∠75, ∠90상태로 점진적으로 변화시켜주도록 하게되면 상면(4)을 더욱 부드럽고 용이하게 상향 절곡시켜줄 수 있게 된다.
제8공정인 도 4h와 제9공정인 도 4i에서 상면(4)을 직립으로 상향 절곡시켜준 성형판(1)은 제10공정 내지 제13공정인 도 4j 내지 도 4m에 의해 양측의 측면(3)을 상향으로 절곡시켜주게 된다.
도 4j는 제10공정을 보인 예시도로서 중앙성형롤러(124)·(134)에 의해 성형판(1)을 지지 이송시켜주게 되는데, 특히 상측성형롤러(120)의 중앙성형롤러(124)는 외주 면에 환상요홈부(124-2)가 형성되어있으므로 성형판(1)에서 정사각형파이프(1-2)의 저면(2)으로 되는 중앙부분의 비드(2-1)를 수용하면서 이송시키게 되고, 양측 단 모서리 면은 외향경사면(124-3)으로 되어있으므로 하측성형롤러(130)의 중간성형롤러(135)·(136)에 의해 상향으로 절곡되는 측면(3)을 지지하게 된다.
하측성형롤러(130)에서 중간성형롤러(135)·(136)는 외주 면이 내향경사면(135-2)·(136-2)으로 되어있으므로 성형판(1)이 상·하측성형롤러(120)·(130)의 중앙성형롤러(124)·(134)를 통과할 때 중간성형롤러(135)·(136)의 내향경사면(135-2)·(136-2)에 의해 상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지는데, 중앙성형롤러(124)의 외경사면(124-3)의 내측 모서리 면을 기준으로 상향으로 절곡되어지게 된다.
도 4j에 도시된 제10공정을 거친 성형판(1)이 도 4k인 제11공정에 인입되면 완만하게 상향 절곡되었던 측면(3)은 더욱 큰 각도로 경사지게 절곡되어진다. 상측성형롤러(120)에서 중앙성형롤러(124)가 장착되는 중앙에는 내부성형지지장치(140)가 장착되어있고 중간성형롤러(125)·(125)는 지름이 작게되어 있으므로 통과되는 성형판(1)을 간섭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하측성형롤러(130)의 중간성형롤러(135)(136)는 외주 면이 각도가 더욱 커진 내향경사면(135-3)·(136-3)으로 되어 있으므로 성형판(1)의 중앙부가 성형지지구(143)와 중앙성형롤러(134)에 의해 억류되어진 상태에서 더욱 큰 각도로 상향경사지게 되는 것이다. 특히 성형판(1)의 중간부분이 성형지지구(143)와 중앙성형롤러(134)의 사이를 통과할 때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지지구(143)의 저면부에 장착된 하측롤링베어링(147)에 의해 마찰 없이 자연스럽게 통과하게 된다.
도 4k에 도시된 제11공정을 거친 성형판(1)이 도 4ℓ과 도 4m에 도시된 제12공정 및 제13공정을 통과할 때 중간성형롤러(135)·(136)의 외주 면에 점진적으로 큰 각도로 형성된 내향경사면(135-4)·(136-4)·(135-5)·(136-5)에 의해 거의 직립상태가 되도록 절곡되어진다.
이와 같이 도 4ℓ과 도 4m에 도시된 제12공정과 제13공정을 통과한 성형판(1)은 도 4m에 도시된 제14공정을 통과하면서 정사각형파이프(1-2)의 형상으로 성형되어진다.
하측성형롤러(130)에서 중앙성형롤러(134)의 양측에 장착되는 지지롤러(131)·(132)의 내측직립면(131-2)·(132-2)에 의해 측면(3)이 직립상태로 되어지고, 측면(3)이 직립상태로 되면 양측의 상면(4)에 형성된 이음부(5)·(5-1)는 엇갈리게 맛 물리면서 결합되어진다. 결합된 이음부(5)·(5-1)는 내면을 성형지지구(143)의 상면에 의해 받쳐 지지하고 외면을 중앙성형롤러(124)의 외주에 돌출 형성된 환상요철돌판(124-3)에 의해 압착시켜주므로 더욱 완전한 상태로 결속시켜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공정들이 순차적으로 장착된 성형장치(100)들을 따라 평판상의 성형판(1)이 통과되어지도록 함으로서 정사각형파이프(1-2)를 성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는 아니하였으나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사각형파이프(1-3)를 성형함에 있어서도 정사각형파이프(1-2)를 성형하는 것과 같은 일련의 공정과 부속장치들에 의해 성형시켜주도록 하되 상·하측성형롤러(120)·(130)에서 중앙성형롤러(124)·(134)와 외측성형롤러(127)·(128)·(137)·(138)의 폭을 직사각형파이프(1-3)의 저면(2) 및 상면(4)의 폭에 맞게 설정하여 주면 용이하게 성형 제조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각형 파이프성형장치(10)는 일렬종대로 설치되어지는 성형장치(100)에서 각형 파이프를 성형시키도록 하는 상·하측성형롤러(120)·(130)를 성형 제조코자하는 각형 파이프의 특성에 따라 용이하게 교체 장착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성형공정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즉, 각 성형장치(100)의 성형틀부싱롤러(123)·(133)와 지지롤러(121)·(122)·(131)·(132)를 삽입하여 장착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성형 제조되는 각형 파이프의 특성과 형상·모양에 따라 이를 성형틀부싱롤러(123)·(133)와 지지롤러(121)·(122)·(131)·(132)의 외형적인 형상 모양만을 달리하여 교체 장착시킬 수 있게 되며, 특히 성형틀부싱롤러(123)·(133)는 정사각형파이프(1-2)를 성형하는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시 여러 조각 즉, 중앙성형롤러와 중간성형롤러 및 외측 성형롤러 등으로 분할하여 줌으로서 보다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성형장치(100)의 상·하측성형롤러(120)·(130)에 장착되는 성형롤러들을 여러 조각으로 분할하여 줌으로서 무게와 부피를 줄여 용이하게 다룰 수 있도록 하고 필요한 부분의 성형롤러를 선택적으로 가공하여 결합시켜줌으로서 가공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특히 성형시키고자 하는 각형 파이프의 특성에 따라 성형장치(100)에서 성형롤러들의 셋팅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동일한 생산라인 상에서 각 성형장치(100)의 분할 조각된 성형롤러들을 교체장착시켜 주는 것에 의해 형상·모양 및 크기를 달리하도록 하는 다양한 성형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사면이 폐쇄형으로 되는 각형 파이프를 견고하고 견실하게 성형 제조할 수 있다.
즉, 절곡 성형된 성형판을 각형 파이프로 성형시켜주기 위하여 이음부를 결속시켜 줄 때 이음부의 내면을 성형지지구(143)에 의해 받쳐 지지하면서 외면을 환상요철돌판(124-3)에 의해 압착시켜 주기 때문에 이음부는 견실하게 결속되어지는데, 특히 환상요철돌판(124-3)의 요철 돌편이음부의 외면을 찍어 억누르기 때문에 견고하게 압착되어 결속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더군다나 성형지지구(143)의 상하면에 굴대 장착되는 상·하측롤링베어링(146)·(147)은 도 4l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 시키거나 도 6b 및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접시켜 줄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롤링 베어링을 장착함으로서 환상요철돌판(142)이 이음부의 외면을 찍어 억누르더라도 성형되는 각형 파이프는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성형장치(100)의 상·하측성형롤러(120)(130)를 구비할 때 회전축 또는 연동축에 다수 개로 분할된 성형틀부싱롤러와 지지롤러를 분해결합 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성형 제조코자하는 각형 파이프의 특성에 따라 각 공정의 상·하측성형롤러(120)·(130)를 용이하게 교체 장착시킬 수 있고,
다수개의 분할된 성형틀부싱롤러와 지지롤러만을 가공시켜주므로 가공비용과시간을 줄일 수 있으면서 특성에 따라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으며,
따라서 동일한 생산라인에서 각 성형장치의 성형틀부싱롤러와 지지롤러만을 교체시켜주는 것에 의해 다양한 각형 파이프를 제조할 수 있어 생산라인의 활용도(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사면이 폐쇄형으로 되는 각형 파이프를 제조할 때에는 이음부의 내·외면을 베어링이 장착된 성형지지구(143)과 외주 면이 요철형으로 되는 환상요철돌판(124-3)에 의해 압착시켜주므로 이음부가 견실하게 결속된 각형 파이프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Claims (6)

  1. 대향되게 이격 설치되는 성형롤러지지대(101)에 소정의 요철성형부가 외주면에 형성되는 상·하측성형롤러를 굴대 설치하여서된 복수개의 성형장치(100)를 일렬종대로 설치하여 동력장치에 의해 각 성형장치의 성형롤러를 동시에 롤링 시킬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각 성형장치(100)의 상·하측성형롤러(120)·(130)는 성형롤러지지대(101)에 굴대 설치되는 회전축(117)·(118)에 삽입 장착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 상·하측성형부싱롤러(123)·(133)로 분할시킨 것과,
    각 성형롤러지지대(101)는 중간부를 상측이 터진 공간부(103)로 형성하여 각 회전축(117)·(118)이 각각 굴대 설치된 하측슬라이더(116)와 상측슬라이더(115)를 차례로 삽입 장착하여 덮개판(104)으로 억류시킨 것과,
    상기 상측슬라이더(115)는 높낮이 조정장치에 의해 성형롤러지지대(101)를 따라 그 높낮이를 슬라이딩 조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파이프의 성형장치.
  2. 대향되게 이격 설치되는 성형롤러지지대(101)에 소정의 요철성형부가 외주면에 형성되는 상·하측성형롤러를 굴대 설치하여서된 복수개의 성형장치를 일렬종대로 설치하여 동력장치에 의해 각 성형장치(100)의 성형롤러를 동시에 롤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각 성형장치(100)의 상·하측성형롤러(120)·(130)는 성형롤러지지대(101)에 굴대 설치되는 회전축(117)·(118)과 소정의 체결수단에 의해 그 회전축(117)·(118)에 삽입 장착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 성형틀부싱롤러(123)·(133) 및 지지부싱롤러(121)·(122)·(131)·(132)로 분할시킨 것과,
    각 성형롤러지지대(101)는 중간부를 상측이 터진 공간부(103)로 형성하여 각 회전축(117)·(118)이 각각 굴대 설치된 하측슬라이더(116)와 상측슬라이더(115)를 차례로 삽입 장착하여 덮개판(104)으로 억류시킨 것과,
    상기 상측슬라이더(115)는 높낮이 조정장치에 의해 성형롤러지지대(101)를 따라 그 높낮이를 슬라이딩 조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파이프의 성형장치.
  3. 대향되게 이격 설치되는 성형롤러지지대(101)에 소정의 요철성형부가 외주면에 형성되는 상·하측성형롤러를 굴대 설치하여서된 복수개의 성형장치(100)를 일렬종대로 설치하여 동력장치에 의해 각 성형장치의 성형롤러를 동시에 롤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각 성형장치(100)의 상·하측 성형롤러(120)·(130)는 성형롤러지지대(101)에 굴대 설치되는 회전축(117)·(118)에 삽입 장착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 상·하측성형부싱롤러(123)·(133)로 분할시킬 것과,
    각 성형롤러지지대(101)는 중간부를 상측이 터진 공간부(103)로 형성하여 각 회전축(117)·(118)이 각각 굴대 설치된 하측슬라이더(116)와 상측슬라이더(115)를 차례로 삽입 장착하여 덮개판(104)으로 억류시킨 것과,
    상기 상측슬라이더(115)는 높낮이 조정장치에 의해 성형롤러지지대(101)를 따라 그 높낮이를 슬라이딩 조정할 수 있도록 된 것과,
    밀폐형 각형 파이프의 내부성형지지장치(140)를 성형장치(100)의 상·하측성형부싱롤러(120)·(130)사이의 중앙선상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파이프의 성형장치.
  4. 대향되게 이격 설치되는 성형롤러지지대(101)에 소정의 요철성형부가 외주면에 형성되는 상·하측성형롤러를 굴대 설치하여서된 복수개의 성형장치(100)를 일렬종대로 설치하여 동력장치에 의해 각 성형장치(100)의 성형롤러를 동시에 롤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각 성형장치(100)의 상·하측성형롤러(120)·(130)는 성형롤러지지대(101)에 굴대 설치되는 회전축(117)·(118)과 소정의 체결수단에 의해 그 회전축(117)·(118)에 삽입 장착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 성형틀부싱롤러(123)·(133) 및 지지부싱롤러(121)·(122)·(131)·(132)로 분할시킨 것과,
    각 성형롤러지지대(101)는 중간부를 상측이 터진 공간부(103)로 형성하여 각 회전축(117)·(118)이 각각 굴대 설치된 하측슬라이더(116)와 상측슬라이더(115)를 차례로 삽입 장착하여 덮개판(104)으로 억류시킨 것과,
    상기 상측슬라이더(115)는 높낮이 조정장치에 의해 성형롤러지지대(101)를 따라 그 높낮이를 슬라이딩 조정할 수 있도록 된 것과,
    밀폐형 각형 파이프의 내부성형지지장치(140)를 성형장치(100)의 상·하측성형부싱롤러(120)·(130)사이의 중앙선상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파이프의 성형장치.
  5. 청구범위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하측성형롤러(120)·(130)의 성형틀부싱롤러(123)·(133)는 크기와 형상 및 모양을 달리하는 다수개의 성형롤러로 분할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파이프의 성형장치.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각형 파이프의 내부성형지지장치(140)는 성형지지구(143)의 저면과 측면에 저면·측면롤링베어링(146)·(147)을 소정의 간격으로 굴대 설치하고, 상기 성형지지구(143)를 지지수단에 의해 상·하측성형롤러(120)·(130)의 성형틀부싱롤러(123)·(133)사이에 설치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파이프의 성형장치.
KR1019990039827A 1999-09-16 1999-09-16 각형 파이프의 성형장치 KR100332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9827A KR100332736B1 (ko) 1999-09-16 1999-09-16 각형 파이프의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9827A KR100332736B1 (ko) 1999-09-16 1999-09-16 각형 파이프의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7855A KR20010027855A (ko) 2001-04-06
KR100332736B1 true KR100332736B1 (ko) 2002-04-17

Family

ID=19611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9827A KR100332736B1 (ko) 1999-09-16 1999-09-16 각형 파이프의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27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973B1 (ko) * 2016-10-31 2018-03-13 정동은 선반프레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067B1 (ko) * 2016-02-02 2017-02-22 정동은 선반프레임 제조장치
CN109622803A (zh) * 2018-12-29 2019-04-16 四季沐歌(洛阳)太阳能有限公司 一种工程联箱外壳连续生产线和生产方法
CN111283025A (zh) * 2019-12-31 2020-06-16 宁波隆兴电信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立柱的冷压弯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9526A (en) * 1980-06-21 1982-01-19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Manufacture of square shaped metallic tube through convex roll
KR930702088A (ko) * 1990-10-24 1993-09-08 우베 카르크 교환가능한 롤 링과 분할된 롤 몸체를 갖는 롤 스탠드용롤
JPH0639438A (ja) * 1992-07-22 1994-02-15 Jgc Corp 配管曲がり矯直機
KR950008292U (ko) * 1993-09-24 1995-04-17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형상교정기롤 교환장치
JPH0824929A (ja) * 1994-07-18 1996-01-30 Sumitomo Metal Ind Ltd リーラの圧延制御方法
KR19990044844A (ko) * 1997-10-22 1999-06-25 마스다 노부유키 초크리스 압연기의 롤 재조합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9526A (en) * 1980-06-21 1982-01-19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Manufacture of square shaped metallic tube through convex roll
KR930702088A (ko) * 1990-10-24 1993-09-08 우베 카르크 교환가능한 롤 링과 분할된 롤 몸체를 갖는 롤 스탠드용롤
JPH0639438A (ja) * 1992-07-22 1994-02-15 Jgc Corp 配管曲がり矯直機
KR950008292U (ko) * 1993-09-24 1995-04-17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형상교정기롤 교환장치
JPH0824929A (ja) * 1994-07-18 1996-01-30 Sumitomo Metal Ind Ltd リーラの圧延制御方法
KR19990044844A (ko) * 1997-10-22 1999-06-25 마스다 노부유키 초크리스 압연기의 롤 재조합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973B1 (ko) * 2016-10-31 2018-03-13 정동은 선반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7855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80651B (zh) 细长圆柱棒料自动上料调整机构
KR101071515B1 (ko) 2축 다열 제어가 가능한 엔씨 롤 피더 및 슬리터를 구비한 소재공급장치
US2686551A (en) Beading and flanging machine
CN108673657B (zh) 一种旋切机的高效进料输送装置
KR100332736B1 (ko) 각형 파이프의 성형장치
CN1079362C (zh) 用于分离堆积的扁平件的装置
CN107902874A (zh) 一种高硼硅玻璃壶自动化生产系统
JPS6045086B2 (ja) ガラスシ−ト支持兼移送装置
KR100705781B1 (ko) 수평식 비드링- 에이펙스필러 결합장치
CN215657868U (zh) 一种基于机械车削加工的开放式连续自夹持给料机构
CN216682534U (zh) 一种十字轴自动打孔设备
US4903516A (en) Rolling mill machine for longitudinal bending of plate
CN206661981U (zh) 一种调直机
CN109591361A (zh) 一种皮壳机
CN218773438U (zh) 一种压丝组件及压丝机构
CN211467463U (zh) 一种塑料筒状包装的双内卷边成型机
CN209097714U (zh) 一种灯芯柱输送转移装置
KR101569457B1 (ko) 조관기의 롤 교환 장치
CN208086595U (zh) 一种用于小模具生产运输装置
KR200187052Y1 (ko) 조관장치
CN1250351C (zh) 带状产品导向装置
KR100438328B1 (ko) 파이프 단부성형장치
CN210450289U (zh) 一种无缝钛管一次轧制成型模具
CN209452576U (zh) 扁平铜条弧形折弯工装
CN220925301U (en) Automatic change feed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