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2581B1 - 에어백용코팅원단및그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에어백용코팅원단및그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2581B1
KR100332581B1 KR1019980057430A KR19980057430A KR100332581B1 KR 100332581 B1 KR100332581 B1 KR 100332581B1 KR 1019980057430 A KR1019980057430 A KR 1019980057430A KR 19980057430 A KR19980057430 A KR 19980057430A KR 100332581 B1 KR100332581 B1 KR 100332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group
coating
airbag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7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1534A (ko
Inventor
문성엽
태 환 안
이상목
김광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KR1019980057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2581B1/ko
Publication of KR20000041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1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2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25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2Inflatabl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6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elastic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4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04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material
    • B60R2021/23509Fabr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2Vehicles
    • D10B2505/124Air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백용 코팅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주쇄가 DNA식 나선형 직쇄구조이고, 측쇄에 강력 향상용 반응 말단기들이 도입된 부가반응형 액상 실리콘 고무수지를 합성섬유 원단상에 15∼60g/㎡ 코팅하여 강연도가 1.00g-cm 이하이고, 스티프니스 모듈러스가 200kg/㎠ 이하인 에어백용 코팅원단을 제조한다.

Description

에어백용 코팅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자동차 충돌 등의 사고발생시 운자자 및 탑승자를 보호하는 자동차 에어백 제조에 사용되는 원단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의 교통수단 특히 자동차에는 충돌시 그 충격으로부터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에어백 시스템이 실용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에어백은 통상 자동차의 핸들, 대시보드내에 보관하게 되므로 에어백의 부피가 작을수록 좋다. 그리고 에어백은 장시간 동안 고온의 열과 자동차에 의한 진동을 반복적으로 받으므로 우수한 내열성과 내마모성을 가져야 한다.
자동차 사고발생시 승객의 머리와 몸통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에어백은 기밀성, 강도, 유연성 및 경량성 등의 특성이 요구된다. 사고발생시 인플레이트에서 나온 고온고압의 가스는 승객보호를 위해서 에어백을 부풀리게 된다. 이때 인플레이트에서 발생한 고온고압의 가스는 에어백 재료인 원단과 직접 접촉하여 에어백이 팽창하게 된다. 만약 에어백용 원단의 기밀성이 낮은 경우 고온 고압의 가스는 원단의 표면으로 빠져나와 어어백의 전개속도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승객의 인체와 직접 접촉하게 되어 화상 등의 유해한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에어백용 원단의 기밀성은 ASTM D 737(측정압력 125Pa)방법으로 측정한 공기투과도가 0.5CMF 이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CMF는 1초당 ㎠의 면적을 통해 원단을 통과한 공기량(㏄) 즉[㏄/㎠·초] 단위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에어백용 원단은 고온고압 가스에 의해 급속하게 팽창되므로 우수한 인장강도를 구비하여야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원단의 인장강도가 ASTM D 5034방법으로 측정시 181kg/인치 이상이 되어야 한다.
또한 에어백용 원단은 에어백 모듈내 수납성을 향상시키고, 자동차 경량화를 위해서 유연성 및 경량성을 구비하여야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두께가 0.04cm 이하이고 무게가 250g/㎡ 이하가 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에어백용 원단에 요구되는 각종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한 종래의 에어백용 원단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일본 공개특허 소 64-41438호에는 단사섬도가 3데니어 이하이고 경위사 각각의 원사섬도가 420데니어인 합성섬유 필라멘트를 경사 및 위사로 사용하여 경위사 제직밀도가 인치당 24본이 되도록 제직한 후, 기밀성 향상을 위하여 제직된 원단에 통상의 클로로프렌 고무수지를 코팅하여 에어백용 코팅원단을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클로로프렌계 고무수지의 코팅액을 제조하는 경우 고무수지 뿐만 아니라 요구성능을 부여하기 위해 다양한 첨가제들을 투입해 오고 있다. 첨가제들로는 산화방지제, 노화방지제, 내오존성 강화제, 카본블랙류의 충진제, 실리카 계통의 내마모증진제, 아연화, 우레아 계통의 가황촉진제, 접착제, 접착증진제, 가공조제 등의 여러 가지가 있다. 그러나 상기방법은 첨가제와 고무수지와 믹싱이 잘 안되어 작업성이 나빠지고, 코팅원단의 유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그 결과코팅원단의 코팅층이 두꺼워지게 되어 모듈 수납성 및 컴팩트성이 나빠지고 자동차 경량화에 기여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유연성(softness)이 우수한 에어백용 코팅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강연도가 우수함과 동시에 유연성(softness), 에어백 모듈 폴딩성 및 컴팩트성이 우수하여 자동차 경량화가 가능한 에어백용 코팅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강연도, 유연성 및 모듈 수납성 등이 우수한 에어백용 코팅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부가반응형 액상 실리콘 고무수지가 15∼60g/㎡ 코팅되어 있고, 강연도가 1.00g-cm 이하이고, 스티프니스 모듈러스가 200kg/㎠ 이하인 에어백용 코팅원단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주쇄가 DNA식 나선형 직쇄구조이고, 측쇄에 강력 향상용 반응 말단기들이 도입된 부가반응형 액상 실리콘 고무수지를 합성섬유 원단상에 15∼60g/㎡ 코팅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코팅원단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 원단의 코팅용 수지로서 부가반응형 액상 실리콘 고무수지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사용되는 부가반응형 액상 실리콘 고무수지의 주쇄는 에어백 원단의 모듈 수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DNA식 나선형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부가반응형 액상 실리콘 고무수지의 측쇄에는 강력 향상을 위해 반응말단기 들이 도입되어 있다. 반응말단기로는 비닐기, 페닐기, 아미노기, 에폭시기, 카르복실기, 메타크릴기, 멜캅토기 등의 비벌키성 페놀기이다. 이와 같은 반응 말단기들은 비벌키성이기 때문에 주쇄 및 측쇄의 유연성을 유지하면서도 측쇄와 측쇄, 측쇄와 주쇄간을 연결시킴으로서 강력도 향상시킨다.
상기 부가반응형 액상 실리콘 고무수지는 디메틸 폴리실록산과 트리펀셔널 실록산(Trifunctional siloxane)을 백금촉매 하에서 부가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원단상에 상기 실리콘 고무수지를 코팅시 코팅중량은 15∼60g/㎡이 되도록 한다. 코팅중량이 15g/㎡ 미만인 경우에는 강력이 저하되고 60g/㎡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유연성이 나빠진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코팅중량을 20∼40g/㎡으로 조절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에어백용 코팅원단은 강연도가 1.00g-cm 이하이고 스티프니스 모듈러스가 200kg/㎠ 이하이다. 다시말해 강연도가 우수함과 동시에 유연성도 우수하여 모듈 수납성 및 컴팩트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물성 측정방법은 아래와 같다.
·강연도(g-cm)
ASTM D 1388 캔티레버(Cantilever)법으로 측정한다.
·스티프니스 모듈러스(kg/㎠)
TRW 방법 ES-0053 L법으로 측정한다.
스티프니스 모듈러스=
상기 식에서 W는 중량(OZ/Yd2), C는 밴댕된 길이(cm), G는 원단두께(mm) 이다.
·인장 강신도
ASTM D 5034(모디 파이드 그랩법)으로 측정한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그러나 본 발명이 아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나일론 66의 420데니어 70필라멘트의 원사를 경사 및 위사로 사용하여 밀도가 49본×49본/인치인 원단을 제조한다. 상기 원단상에 주쇄가 DNA식 나선형 직쇄구조이고 측쇄에 비닐기가 도입된 부가반응형 액상 실리콘 고무수지의 코팅용액(300포아즈)을 나이프코팅기로 코팅(코팅중량 20g/㎡)한 후 170℃에서 3분간 건조 및 큐어링하여 에어백용 코팅원단을 제조한다. 제조된 에어백용 코팅원단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실시예 2 및 비교실시예 1∼3
코팅시 코팅수지 및 코팅중량을 표 1과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 및 조건으로 에어백용 코팅원단을 제조한다. 제조된 에어백용 코팅원단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본 발명의 에어백용 코팅원단은 유연성(softness)가 매우 우수하기 때문에 모듈 폴딩성(수납성) 및 컴팩트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에어백용 코팅원단은 우수한 강연도를 갖고 있어서 자동차 충돌시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있다.

Claims (2)

  1. 강연도가 1.00g-cm 이하이고, 스티프니스 모듈러스가 200kg/㎠ 이하인 에어백용 코팅원단을 제조함에 있어서, 주쇄가 DNA식 나선형 직쇄구조이고, 측쇄에 강력 향상용 반응 말단기들이 도입된 부가반응형 액상 실리콘 고무수지를 폴리아미드 원단상에 15∼60g/㎡ 코팅한 후, 건조 및 큐어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코팅원단의 제조방법.
  2. 1항에 있어서, 강력향상용 반응 말단기가 비닐기, 페닐기, 아미노기, 에폭시기, 카르복실시, 메타크릴기 또는 멜캅토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코팅원단의 제조방법.
KR1019980057430A 1998-12-23 1998-12-23 에어백용코팅원단및그의제조방법 KR100332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7430A KR100332581B1 (ko) 1998-12-23 1998-12-23 에어백용코팅원단및그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7430A KR100332581B1 (ko) 1998-12-23 1998-12-23 에어백용코팅원단및그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1534A KR20000041534A (ko) 2000-07-15
KR100332581B1 true KR100332581B1 (ko) 2002-09-04

Family

ID=19564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7430A KR100332581B1 (ko) 1998-12-23 1998-12-23 에어백용코팅원단및그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25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42128A1 (en) * 2002-11-06 2004-05-21 Kolon Ind. Inc. Inflatable two-layer fabric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936B1 (ko) * 2000-07-20 2007-03-14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중합성 메소제닉 톨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992A (ko) * 1994-09-16 1996-04-20 다까따 시게이찌로 에어백용 기재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960014565A (ko) * 1994-10-31 1996-05-22 야시마 아키라 자재형 클램프금구 및 자재형 클램프금구에 있어서의 회동정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992A (ko) * 1994-09-16 1996-04-20 다까따 시게이찌로 에어백용 기재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960014565A (ko) * 1994-10-31 1996-05-22 야시마 아키라 자재형 클램프금구 및 자재형 클램프금구에 있어서의 회동정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42128A1 (en) * 2002-11-06 2004-05-21 Kolon Ind. Inc. Inflatable two-layer fabrics
US7635144B2 (en) 2002-11-06 2009-12-22 Kolon Ind. Inc. Inflatable two-layer fabr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1534A (ko)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65124B1 (en) Fabric for airbags
US10266971B2 (en) Coating fabric for airbag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7681602B2 (en) Inflatable two-layer fabrics by gas
KR100264064B1 (ko) 비코팅형 에어백용 원단
US6024380A (en) Airbags and process of preparation
US7635144B2 (en) Inflatable two-layer fabrics
JP4857729B2 (ja) エアバッグ用基布の製造方法
EP3040246B1 (en) Coated fabric for airbag
KR100332581B1 (ko) 에어백용코팅원단및그의제조방법
KR100239038B1 (ko) 에어백용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JPH07300054A (ja) エアバッグ用基布
KR100476474B1 (ko) 에어백용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JP3395677B2 (ja) エアバッグ用布
JP2823635B2 (ja) エアバッグ
KR100249484B1 (ko) 에어백용 원단
KR101931860B1 (ko) 폴리에스터 폴리우레탄과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의 혼합물의 연속 코팅을 갖는 직물 기재
KR100546462B1 (ko) 에어백용 원단.
KR100587906B1 (ko) 에어백용 원단의 제조방법
KR950011283B1 (ko) 블로킹성이 우수한 에어백용 기포의 제조방법
KR101621080B1 (ko) 에어백용 폴리에스테르 원단 및 그의 제조 방법
KR0140186B1 (ko) 에어백
JP4032412B2 (ja) エアバッグ用基布
KR100614621B1 (ko) 고온 및 저온 환경 하에서 강도가 우수한 에어백용 원단및 그의 제조방법
JPH07186857A (ja) エアバッグ用基布
JPH07186856A (ja) エアバッグ用基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