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2340B1 - 영상 노이즈 검출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노이즈 검출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2340B1
KR100332340B1 KR1019990045812A KR19990045812A KR100332340B1 KR 100332340 B1 KR100332340 B1 KR 100332340B1 KR 1019990045812 A KR1019990045812 A KR 1019990045812A KR 19990045812 A KR19990045812 A KR 19990045812A KR 100332340 B1 KR100332340 B1 KR 100332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accumulator
noise
current field
div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5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8014A (ko
Inventor
정병화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45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2340B1/ko
Publication of KR20010038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8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2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23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1Circuitry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e.g. moiré or halo
    • H04N5/213Circuitry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impulsive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노이즈 검출장치를 공개한다. 그 장치는 현재 필드의 복수개의 수직 동기펄스들중 n개의 수직 동기펄스들의 액티브 구간에 인가되는 m개의 픽셀 데이터의 평균 레벨을 구하고, 현재 필드에 대하여 구하여진 평균 레벨과 이전 필드에 대하여 구하여진 평균 레벨을 이용하여 기준레벨을 구하는 기준레벨 발생회로, 기준레벨과 인가되는 픽셀 데이터의 차 값의 절대값을 구하는 절대값 계산회로, 현재 필드의 m개의 절대값을 누산하여 현재 필드의 n개의 수직 동기펄스들의 액티브 구간에 인가되는 m×n개의 픽셀 데이터에 대한 영상 노이즈 평균 레벨을 구하고, 현재 필드에 대하여 구하여진 영상 노이즈 평균 레벨과 이전 필드에 대하여 구하여진 영상 노이즈 평균 레벨을 이용하여 영상 노이즈 팩터를 구하는 영상 노이즈 팩터 발생회로, 현재 필드의 n개의 수직 동기펄스들의 액티브 구간에 인가되는 m개의 픽셀 데이터에 대하여 기준레벨과 인가되는 픽셀 데이터의 차 값이 소정값이상인 경우의 수를 카운팅함에 의해서 현재 필드의 임펄스 노이즈의 수를 구하는 카운터, 및 현재 필드에 대하여 구하여진 임펄스 노이즈의 수를 n으로 나눔에 의해서 현재 필드에 대한 임펄스 노이즈 레벨을 구하고, 현재 필드에 대하여 구하여진 임펄스 노이즈 레벨과 이전 필드에 대하여 구하여진 임펄스 노이즈 레벨을 이용하여 임펄스 노이즈 팩터를 구하는 임펄스 노이즈 팩터 발생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영상 노이즈 검출방법 및 장치{APPARATUS FOR DETECTING VIDEO NOISE}
본 발명은 영상 노이즈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텔레비젼 신호에 분포된 노이즈를 독립적 및 정량적으로 검출하여 각 신호처리회로에 제공할 수 있는 영상 노이즈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텔레비젼 수신장치의 신호처리회로들이 다기능화 및 디지털화가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영상신호처리회로들의 다기능화 및 디지털화에서는 여러 가지 기능들을 구현함에 있어서 신호 내에 분포한 노이즈에 관한 정보가 필요하다.
텔레비젼 신호는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어 공중을 통하여 텔레비젼 수신기에 수신되게 되는 바, 방송국의 송출회로, 공중, 안테나, 수신회로 등에서 각종 노이즈가 신호상에 혼입되게 된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서 보다 정확하고 고정세한 영상신호를 재현하기 위해서는 신호로부터 노이즈를 분리해 내는 기술이 요구된다. 텔레비젼 수신장치의 고정세화, 대형화, 고급화 및 다기능화 추세에 비추어 노이즈 검출 기술은 더욱 더 중요하다.
최근의 텔레비젼 수신장치에서는 칩화된 각 신호처리회로마다 노이즈 검출기능을 별도로 구비하는 경향이 있고 이와 같은 구성은 한 시스템 내에 동일한 노이즈 검출회로를 중복하여 갖게 되므로 세트의 코스트 상승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독립적으로 신호에 분포된 노이즈를 정량적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노이즈를 각 신호처리회로에 제공하기 위한 영상 노이즈 검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영상 노이즈 검출장치의 입출력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영상 노이즈 검출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회로 구성도.
도 3은 NTSC 방식의 텔레비젼 신호의 수직 동기신호의 구성을 나타낸 파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노이즈 검출장치 110 : 기준레벨 발생수단
120 : 감산수단 130 : 절대값 산출수단
140 : 노이즈 레벨 발생수단 150 : 카운트 수단
160 : 임펄스 노이즈 팩터 발생수단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영상 노이즈 검출장치는 현재 필드의 복수개의 수직 동기펄스들중 n개의 수직 동기펄스의 액티브 구간에 인가되는 m개의 픽셀 데이터의 평균 레벨을 구하고, 상기 현재 필드에 대하여 구하여진 평균 레벨과 이전 필드에 대하여 구하여진 평균 레벨을 이용하여 기준레벨을 구하는 기준레벨 발생수단, 상기 기준레벨과 인가되는 픽셀 데이터의 차 값의 절대값을 구하는 절대값 계산수단, 상기 절대값 계산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현재 필드의 m개의 절대값을 누산하여 상기 현재 필드의 n개의 수직 동기펄스들의 액티브 구간에 인가되는 m×n개의 픽셀 데이터에 대한 영상 노이즈 평균 레벨을 구하고, 상기 현재 필드에 대하여 구하여진 영상 노이즈 평균 레벨과 상기 이전 필드에 대하여 구하여진 영상 노이즈 평균 레벨을 이용하여 영상 노이즈 팩터를 구하는 영상 노이즈 팩터 발생수단, 상기 현재 필드의 n개의 수직 동기펄스들의 액티브 구간에 인가되는 m개의 픽셀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기준레벨과 상기 인가되는 픽셀 데이터의 차 값이 소정값이상인 경우의 수를 카운팅함에 의해서 상기 현재 필드의 임펄스 노이즈의 수를 구하는 카운팅 수단, 및 상기 현재 필드에 대하여 구하여진 임펄스 노이즈의 수를 n으로 나눔에 의해서 상기 현재 필드에 대한 임펄스 노이즈 레벨을 구하고, 상기 현재 필드에 대하여 구하여진 임펄스 노이즈 레벨과 상기 이전 필드에 대하여 구하여진 임펄스 노이즈 레벨을 이용하여 임펄스 노이즈 팩터를 구하는 임펄스 노이즈 팩터 발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노이즈 및 임펄스 노이즈 검출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현재 영상신호의 NR개의 동기펄스들의 액티브 구간에 인가되는 NR×NP개의 픽셀 데이터의 평균 레벨을 아래의 식들에 의하여 기준 레벨(avsync)로 검출한다.
여기서, Np는 NR개의 각 동기펄스의 액티브 구간에 인가되는 픽셀 데이터의 수이고, P(i)는 각 동기펄스의 액티브 구간에서 인가되는 픽셀 데이터의 레벨이고, avRSH는 각 동기펄스의 액티브 구간에서 인가되는 픽셀 데이터의 평균 레벨이다.
여기서, NR은 동기펄스들의 수이고, avCF는 현재 필드의 NR개의 동기펄스들의 액티브 구간에 입력되는 NR×NP개의 픽셀 데이터의 평균 레벨이다.
여기서, avPF복수개의 이전 필드들에 대한 픽셀 데이터의 평균 레벨이고, avsync는 기준 레벨이다.
구해진 기준 레벨을 기준으로 하여 현재 필드의 영상신호의 영상 노이즈 팩터는 아래의 수식들에 의해 구해진다.
여기서, GNs는 노이즈 게인이고, NsRegion은 NR개의 각 동기펄스의 액티브 구간에 인가되는 픽셀 데이터에 대한 노이즈 레벨이고, clip는 하한치와 상한치사이의 값을 유효처리하고 그 외의 값들은 버리는 연산자이다. lim은 상한치 이상은 버리는 연산자이다.
여기서, NsCF는 현재 필드의 NR개의 각 동기펄스의 액티브 구간에 입력되는 픽셀 데이터에 대한 노이즈 레벨의 평균 레벨로서 현재 필드에 대한 영상 노이즈 레벨이다.
여기서, NsPF는 이전 필드에 대한 영상 노이즈 레벨이고, Nsfactor는 영상 노이즈 팩터이다.
그리고, 임펄스 노이즈(INsfactor)는 다음의 수식들에 의해 구해진다.
여기서, Gimpulse는 임펄스 노이즈 게인이고, INspixel는 입력되는 픽셀 데이터와 기준 레벨의 차 값이고, CTRegion은 NR개의 각 동기펄스들의 액티브 구간에 입력되는 NP개의 픽셀 데이터의 임펄스 노이즈의 카운트 값이다.
여기서, INsCF는 현재 필드에 대한 임펄스 노이즈이다.
여기서, INsPF는 이전 필드에 대한 임펄스 노이즈이고, INsfactor는 임펄스 노이즈 팩터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영상 노이즈 검출장치의 입출력 관계를 나타낸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영상 노이즈 검출장치(100)는 텔레비젼 수신장치의 세트에 독립적으로 제공되기 위하여 원 칩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영상 노이즈 검출장치(100)는 리세트신호(RESETN) 입력단자, 클럭신호(CLK27) 입력단자, 8비트 복합영상 데이터(CVBS[7:0]) 입력단자들, 복합영상신호 동기기준신호(CVBS_H) 입력단자, 노이즈 검출 인에이블신호(VNOISE) 입력단자, 8비트 노이즈 제한 데이터(NOISELIMIT[7:0]) 입력단자들, 8비트 노이즈 게인 데이터(NOISEGAIN[7:0]) 입력단자들, 8비트 임펄스 게인 데이터(IMPULSEGAIN[7:0]) 입력단자들을 포함한다. 또한, 노이즈 검출장치(100)는 검출된 노이즈 레벨을 출력하기 위한 8비트 영상 노이즈 팩터(NSfactor) 출력단자들과 8비트 임펄스 노이즈 팩터(INSfactor) 출력단자를 포함한다.
리세트신호(RESETN)는 로우상태에서 액티브된다. 클럭신호(CLK27)는 시스템 클럭신호로 27MHz의 주파수를 갖는다. 복합영상 데이터(CVBS[7:0])는 복합영상신호를 샘플링한 데이터이다. 복합영상신호 동기기준신호(CVBS_H)는 하이상태에서 액티브되고, 복합영상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동기기준신호이다. 노이즈 제한 데이터(VNOISE)는 8비트 데이터로 평균 동기 블랙 레벨값 근처의 픽셀 데이터를 위한 제한 값이다. 노이즈 게인 데이터(NOISEGAIN[7:0])는 수직 동기펄스들 각각에서 측정된 노이즈에 인가되는 게인 팩터이다. 임펄스 게인 데이터(IMPULSEGAIN[7:0])는 수직 동기펄스들 각각에서 측정된 임펄스 노이즈 카운터에 인가되는 게인 팩터이다.
영상 노이즈 팩터(NSfactor[7:0])는 매 필드에 대해 검출된 영상 노이즈 팩터이고, 임펄스 노이즈 팩터(INSfactor[7:0])는 매 필드에 대해 검출된 임펄스 노이즈 팩터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영상 노이즈 검출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다.
도 2에서 영상 노이즈 검출장치(100)는 기준레벨 발생수단(110), 감산수단(120), 절대값 산출기(130), 영상 노이즈 팩터 발생수단(140), 카운팅수단(150), 임펄스 노이즈 팩터 발생수단(160)을 포함한다.
기준레벨 발생수단(110)은 현재 필드의 소정 개수의 동기펄스들의 액티브 구간에 인가되는 복수개의 픽셀 데이터에 대한 평균 레벨과 복수개의 이전 필드들에 대하여 구해진 평균 레벨을 평균하여 기준레벨을 발생한다. 기준레벨 발생수단(110)은 제 1 누산기(111), 제 1 제산기(112), 제 2 누산기(113), 제 2 제산기(114), 제 3 누산기(115), 승산기(116), 제 3 제산기(117)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3 누산기들(111, 113, 115)은 각각 가산기와 레지스터를 포함한다.
제 1 누산기(111)는 소정 개수의 동기펄스들 각각의 시작 시점에서 리세트되어 각 동기펄스의 액티브 구간에서 인가되는 픽셀 데이터의 값들을 누산한다. 여기서, 동기펄스들은 텔레비젼 신호의 수직 동기신호를 구성하는 소정 개수의 수직 동기펄스들을 말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NTSC 방식 텔레비젼 신호에서는 라인 2를 구성하는 두 개의 수직 동기펄스들(202, 204)과 라인 3을 구성하는 두 개의 동기펄스들(206, 208)을 설정된 수직 동기펄스들로 한다.
따라서, 제 1 누산기(111)의 레지스터는 동기펄스(202)의 시작 시점에서 리세트되어 각 동기펄스의 액티브 구간에서 샘플링된 1~256번째의 256개의 픽셀 데이터를 누산하게 된다. 이와같은 방법은 제 1 누산기(111)의 레지스터는 연속적으로 인가되는 동기펄스들(204, 206, 208)의 액티브 구간에서 입력되는 각 256개의 픽셀 데이터를 누산하게 된다.제 1 제산기(112)는 제 1 누산기(111)의 레지스터로부터 출력되는 누산된 값을 입력하여 우측으로 8비트 시프팅시킴으로써 256으로 나누는 결과를 발생한다. 즉, 제 1 제산기(112)를 구성하는 시프트 레지스터는 256번째 픽셀 데이터가 누산된 직후에 누산값을 입력하여 8비트 시프팅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므로, 시프트 레지스터의 출력값은 동기펄스의 액티브 구간에서 인가되는 픽셀 데이터의 평균 레벨이 된다.제 2 누산기(113)는 매 필드의 시작 시점에서 리세트되어 제 1 제산기(112)로부터 출력되는 동기펄스들(202, 204, 206, 208) 각각의 액티브 구간에서 인가되는 픽셀 데이터의 평균 레벨 값을 누산한다. 즉, 4개의 동기펄스들 각각에 대한 픽셀 데이터의 4개의 평균 레벨 값을 누산한다.
제 2 제산기(114)는 누산된 평균값을 4로 나누어 현재 필드에 대한 4개의 동기펄스들의 액티브 구간에 인가되는 픽셀 데이터의 평균 레벨 값을 구한다.
제 3 누산기(115)는 제 2 제산기(114)로부터 출력된 현재 필드의 평균 레벨값과 제 3 누산기(115)의 레지스터에 저장된 이전 필드들에 대한 평균 레벨 값을 누산한다. 이때, 승산기(116)는 누산 값에 가중치 15를 곱하여 제 3 누산기(115)의 일측 입력으로 이전 필드들에 대한 평균 레벨 값을 제공한다. 제 3 누산기(115)는 채널 전환시에 리세트되어 초기값 72를 출력한다.
제 3 제산기(117)는 누산기(115)의 출력을 4비트 시프트하여, 즉, 16으로 나누어 현재 필드의 영상신호의 기준레벨(avsync)을 발생한다.
감산수단(120)은 동기펄스들의 액티브 구간에 인가되는 픽셀 데이터와 기준 레벨의 차를 구한다. 이 차 신호는 각 픽셀 데이터의 노이즈 레벨이다.
절대값 산출기(130)는 8비트의 노이즈 제한값(NOISELIMIT[7:0])에 응답하여 차 신호의 레벨이 너무 작거나 너무 큰 경우는 제거하고 적정 범위의 레벨을 갖는 차신호만을 통과시킨다. 통과된 차신호는 절대값으로 출력된다.
노이즈 레벨 발생수단(140)은 절대값으로 제공된 노이즈 레벨과 복수의 이전 필드들의 노이즈 레벨을 평균하여 영상 노이즈 팩터를 구한다. 노이즈 레벨 발생수단(140)은 제 1 누산기(141), 제 1 승산기(142), 제 1 제산기(143), 제한기(144), 제 2 누산기(145), 제 2 제산기(146), 제 3 누산기(147), 제 2 승산기(148), 및 제 3 제산기(149)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3 누산기들(141, 145, 147)은 각각 가산기와 레지스터를 포함한다.
제 1 누산기(141)는 동기펄스들(202, 204, 206, 208) 각각의 시작 시점에서 리세트되고 인가되는 픽셀 데이터에 대한 노이즈 레벨을 누산한다.제 1 누산기(141)의 출력신호는 제 1 승산기(142)에서 8비트의 노이즈 게인과 승산되어 증폭된다. 증폭된 신호는 제 2 제산기(143)에서 64로 나누어진다. 제산된 결과는 제한기(144)에서 0 내지 255 사이의 값만 통과되고 나머지 신호들은 차단된다. 따라서, 4개의 동기펄스들의 액티브 구간에 인가되는 256개의 픽셀 데이터에 대한 노이즈 레벨이 구해진다.
제 2 누산기(145)는 매 필드의 시작 시점에서 리세트되어 제한기(144)로부터 제공된 각 영역들의 노이즈 레벨을 누산한다. 즉, 4개의 동기펄스들의 액티브 구간에 인가되는 복수개의 픽셀 데이터에 대한 노이즈 레벨을 누산한다.
제 2 제산기(146)는 누산된 값을 설정된 동기펄스들의 수, 즉, 4로 나누어 현재 필드의 평균 노이즈 레벨을 구한다.
제 3 누산기(147)는 제 2 제산기(146)로부터 출력되는 현재 필드의 평균 노이즈 레벨과 이전 필드들의 평균 노이즈 레벨들을 누산한다. 여기서, 승산기(148)는 누산값에 가중치 15를 승산하여 제 3 누산기(147)의 일측 입력으로 제공한다. 제 3 누산기(147)는 채널 전환시에 리세트된다.
제 3 제산기(149)는 누산기(147)의 출력을 4비트 시프트하여, 즉, 16으로 나누어 현재 영상신호의 영상 노이즈 팩터를 구하여 발생한다.
이와 같이 검출된 현재 영상신호의 영상 노이즈 팩터는 다른 영상신호처리회로에 제공된다.
카운팅수단(150)은 복합 영상신호(CVBS[7:0])를 입력하고, 설정된 동기펄스들의 액티브 구간에 입력되는 픽셀 데이터의 값이 8비트 노이즈 제한값(NOISELIMIT[7:0])보다 큰 경우에 임펄스 노이즈로 간주하여 카운팅한다. 카운팅수단(150)에서 출력되는 값은 임펄스 노이즈 팩터 발생수단(160)으로 인가된다.
임펄스 노이즈 팩터 발생수단(160)은 제 1 승산기(161), 제 1 제산기(162), 레벨 제한기(163), 제 2 누산기(164), 제 2 제산기(165), 제 3 누산기(166), 제 2 승산기(167), 제 3 제산기(168)를 포함한다.
제 1 승산기(161)는 제공된 카운트값을 시스템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임펄스 노이즈 게인(IMPULSEGAIN[7:0])으로 승산하여 증폭시킨다. 제 1 제산기(162)에서는 증폭된 값을 4로 나누어 레벨 제한기(163)로 제공한다. 레벨 제한기(163)에서는 입력된 값들 중 0 내지 255의 범위를 벗어나는 값은 버리고 범위 내의 값들만 통과시킨다. 통과된 값은 각 동기펄스들의 액티브 구간에서 입력되는 픽셀 데이터에 대한 임펄스 노이즈 값으로 제공된다.
제 1 누산기(164)는 매 필드의 시작 시점에서 리세트되어 레벨 제한기(163)로부터 제공되는 각 동기펄스의 액티브 구간에서 입력되는 256개의 픽셀 데이터에 대한 임펄스 노이즈를 누산한다. 즉, 4개의 동기펄스들의 액티브 구간에서 입력되는 256×4개의 픽셀 데이터의 임펄스 노이즈를 누산한다.
제 2 제산기(165)는 누산된 값을 4로 나누어 현재 필드에 대한 평균 임펄스 노이즈를 구한다.
제 3 누산기(166)는 제 2 제산기(165)로부터 출력된 현재 필드에 대한 평균 임펄스 노이즈와 이전 필드들의 평균 임펄스 노이즈들을 누산한다. 여기서, 승산기(167)는 누산값에 가중치 15를 승산하여 제 3 누산기(166)의 일측 입력으로 제공한다. 제 3 누산기(166)는 채널 전환시에 리세트된다.
제 3 제산기(168)는 누산기(166)의 출력을 16으로 나누어 현재 영상신호의 임펄스 노이즈 팩터를 발생한다.
이와 같이 검출된 현재 영상의 임펄스 노이즈는 다른 영상신호처리회로에 제공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영상신호에 혼재된 노이즈 레벨과 임펄스 노이즈를 독립된 회로블록에 의해 통합적으로 검출함으로써 시스템을 구성하는 다수의 신호처리블록들에 각각 노이즈 검출기능을 구현할 필요가 없으므로 구성이 간단해지고, 세트의 코스트를 다운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현재 필드의 복수개의 수직 동기펄스들중 n개의 수직 동기펄스들의 액티브 구간에 인가되는 m개의 픽셀 데이터의 평균 레벨을 구하고, 상기 현재 필드에 대하여 구하여진 평균 레벨과 이전 필드에 대하여 구하여진 평균 레벨을 이용하여 기준레벨을 구하는 기준레벨 발생수단;
    상기 기준레벨과 인가되는 픽셀 데이터의 차 값의 절대값을 구하는 절대값 계산수단;
    상기 절대값 계산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현재 필드의 m개의 절대값을 누산하여 상기 현재 필드의 n개의 수직 동기펄스들의 액티브 구간에 인가되는 m×n개의 픽셀 데이터에 대한 영상 노이즈 평균 레벨을 구하고, 상기 현재 필드에 대하여 구하여진 영상 노이즈 평균 레벨과 상기 이전 필드에 대하여 구하여진 영상 노이즈 평균 레벨을 이용하여 영상 노이즈 팩터를 구하는 영상 노이즈 팩터 발생수단;
    상기 현재 필드의 n개의 수직 동기펄스들의 액티브 구간에 인가되는 m개의 픽셀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기준레벨과 상기 인가되는 픽셀 데이터의 차 값이 소정값이상인 경우의 수를 카운팅함에 의해서 상기 현재 필드의 임펄스 노이즈의 수를 구하는 카운팅 수단; 및
    상기 현재 필드에 대하여 구하여진 임펄스 노이즈의 수를 n으로 나눔에 의해서 상기 현재 필드에 대한 임펄스 노이즈 레벨을 구하고, 상기 현재 필드에 대하여 구하여진 임펄스 노이즈 레벨과 상기 이전 필드에 대하여 구하여진 임펄스 노이즈 레벨을 이용하여 임펄스 노이즈 팩터를 구하는 임펄스 노이즈 팩터 발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노이즈 검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레벨 발생수단은
    상기 수직 동기펄스의 시작 시점에서 리세트되어 m개의 픽셀 데이터를 누산하는 제 1 누산기;
    상기 제 1 누산기의 누산된 값을 m으로 나누어 평균값을 구하는 제 1 제산기;
    매 필드의 시작 시점에서 리세트되어 상기 제 1 제산기로부터 출력되는 n개의 값을 누산하는 제 2 누산기;
    상기 누산된 값을 n으로 나누어 현재 필드의 평균 레벨을 구하는 제 2 제산기;
    상기 제 2 제산기로부터 제공된 현재 필드의 평균 레벨을 누산하여 상기 이전 필드에 대한 평균 레벨을 출력하는 제 3 누산기;
    상기 제 3 누산기의 출력에 소정 수를 곱하여 제 3 누산기의 입력에 제공하는 제 1 승산기;
    상기 제 3 누산기의 출력을 소정 수로 나누어 기준레벨로 발생하는 제 3 제산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노이즈 검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노이즈 팩터 발생수단은
    수직 동기펄스들의 시작 시점에서 리세트되어 상기 절대값들을 누산하는 제 4 누산기;
    상기 제 4 누산기로부터 제공된 누산된 값을 설정된 노이즈 게인으로 곱하는 제 2 승산기;
    상기 제 2 승산기로부터 제공된 승산값을 소정 수로 나누어 n개의 수직 동기펄스들의 액티브 구간에 인가되는 m개의 픽셀 데이터에 대한 노이즈 레벨을 구하는 제 4 제산기;
    상기 제 4 제산기로부터 제공된 노이즈 레벨 중 소정 레벨 이내의 값만 출력하는 제 1 레벨 제한기;
    매 필드의 시작 시점에서 리세트되어 상기 제 1 레벨 제한기를 통하여 레벨 제한된 n개의 노이즈 레벨을 누산하는 제 5 누산기;
    상기 제 5 누산기로부터 제공된 누산된 노이즈 레벨을 n으로 나누어 현재 필드의 영상 노이즈 평균 레벨을 구하는 제 5 제산기;
    상기 제 5 제산기로부터 제공된 현재 필드의 영상 노이즈 평균 레벨를 누산하여 상기 이전 필드의 영상 노이즈 레벨을 발생하는 제 6 누산기;
    제 6 누산기의 출력에 소정 수를 곱하여 제 6 누산기의 입력에 제공하는 제 3 승산기; 및
    상기 제 6 누산기의 출력을 소정 수로 나누어 영상 노이즈 팩터로 발생하는 제 6 제산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노이즈 검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펄스 노이즈 팩터 발생수단은
    상기 카운팅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값을 임펄스 게인으로 곱하는 제 4 승산기;
    상기 제 4 승산기로부터 제공된 승산값을 소정 수로 나누어 각 영역의 임펄스 노이즈를 출력하는 제 7 제산기;
    상기 제 7 제산기로부터 제공된 임펄스 노이즈 중 소정 레벨 이내의 값만 출력하는 제 2 레벨 제한기;
    상기 제 2 레벨 제한기를 통하여 레벨 제한된 n개의 수직 동기펄스에 응답하여 인가되는 m×n개의 픽셀 데이터에 대한 임펄스 노이즈를 누산하는 제 7 누산기;
    상기 제 7 누산기로부터 제공된 임펄스 노이즈를 n으로 나누어 현재 필드의 임펄스 노이즈 레벨을 구하는 제 8 제산기;
    상기 제 8 제산기로부터 제공된 현재 필드의 임펄스 노이즈 레벨을 누산하여 상기 이전 필드의 임펄스 노이즈 레벨을 발생하는 제 8 누산기;
    제 8 누산기의 출력에 소정 수를 곱하여 제 8 누산기의 입력에 제공하는 제 5 승산기; 및
    상기 제 8 누산기의 출력을 소정 수로 나누어 상기 임펄스 노이즈 팩터로 발생하는 제 9 제산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노이즈 검출장치.
KR1019990045812A 1999-10-21 1999-10-21 영상 노이즈 검출방법 및 장치 KR100332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812A KR100332340B1 (ko) 1999-10-21 1999-10-21 영상 노이즈 검출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812A KR100332340B1 (ko) 1999-10-21 1999-10-21 영상 노이즈 검출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8014A KR20010038014A (ko) 2001-05-15
KR100332340B1 true KR100332340B1 (ko) 2002-04-12

Family

ID=19616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5812A KR100332340B1 (ko) 1999-10-21 1999-10-21 영상 노이즈 검출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23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60258B2 (ja) * 2003-04-28 2007-08-15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および信号処理方法
KR20050049064A (ko) 2003-11-21 2005-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신호의 노이즈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8014A (ko)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7385A (en) Signal transient improvement circuit
JP3299968B2 (ja) テレビジョンシステム及びテレビジョンシステムにおけるインパルス雑音を除去する方法
US6965414B2 (en) Apparatus for detecting telecine conversion method of video signal
JP4297113B2 (ja) ブロック歪検出装置及びブロック歪検出方法、並びに映像信号処理装置
JPH0693780B2 (ja) 信号処理回路
US5003564A (en) Digital signal clamp circuitry
JPH02223869A (ja) 雑音測定装置
KR100332340B1 (ko) 영상 노이즈 검출방법 및 장치
US926427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null symbols
US6441871B1 (en) Method for correcting amplitude of synchronizing signal of composite video signal and device therefor
KR100219642B1 (ko) 액티브 비디오 영역 검출장치
KR100227486B1 (ko) 고화질텔레비젼의 세그먼트 동기신호 위치검출 장치
KR950005062B1 (ko) 텔레비젼 수상기의 주파수 가변 비트 노이즈 제거회로
JPS6346863A (ja) 気象衛星からの画像信号受信システム
JPH09284608A (ja) 映像信号処理回路
EP0228260B1 (en) Signal offset circuitry for digital deghosting system
KR100434632B1 (ko) 휘도 신호 처리 장치
US5280355A (en) Television deghosting apparatus using pseudorandom sequence detector
EP0340656A2 (en) Signal combining circuitry
KR950004459B1 (ko) 영상신호의 천이영역 검출방법과 장치
JP2563402B2 (ja) 非標準信号検出回路
JPS6151473B2 (ko)
JPH0342778Y2 (ko)
JP2576237B2 (ja) 波形歪除去装置
KR100328702B1 (ko) 디지털 텔레비전 수상기의 엔티에스시 신호 제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