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4522A - 고화질텔레비젼의 세그먼트 동기신호 위치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고화질텔레비젼의 세그먼트 동기신호 위치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4522A
KR19990004522A KR1019970028646A KR19970028646A KR19990004522A KR 19990004522 A KR19990004522 A KR 19990004522A KR 1019970028646 A KR1019970028646 A KR 1019970028646A KR 19970028646 A KR19970028646 A KR 19970028646A KR 19990004522 A KR19990004522 A KR 19990004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square
segmen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8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7486B1 (ko
Inventor
김주상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70028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7486B1/ko
Publication of KR19990004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4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7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74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5High-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Synchronizing For Television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고화질텔레비젼(HDTV)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종래 HDTV 세그먼트 동기신호 검출장치에서 동상신호 성분만을 사용함으로써 세그먼트 동기신호 검출장치가 주파수오류와 위상오류 및 극성반전에 영향을 받으면 세그먼트 동기신호를 검출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임.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입력되는 복소신호와 세그먼트 동기기준패턴 사이의 상관치를 얻는 상관부(400)와; 상기 상관부(400)에서 출력되는 동상신호와 직교신호의 상관치를 각각 제곱하는 제곱부(500)와; 상기 제곱부(500)에서 출력되는 동상신호 제곱치 및 직교신호 제곱치를 가산하는 가산부(600)와; 상기 가산부(600)의 출력을 메모리부(800)를 이용하여 여러번의 세그먼트 주기 동안 누적하는 누적부(700)와; 상기 누적부(700)의 누적값을 저장하고, 그 저장값을 상기 누적부(700)에 피드백시키는 메모리부(800)와; 상기 누적부(700)의 누적값 중에서 최대값 위치를 검출하여 세그먼트 동기신호의 위치를 알려주도록 세그먼트 동기신호와 세그먼트 록킹신호를 출력하는 최대값 위치검출부(90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고화질텔레비젼(HDTV)에 적용되는 것임.

Description

고화질텔레비젼의 세그먼트 동기신호 위치검출 장치
본 발명은 고화질텔레비젼(HDTV)에서 동상신호(In-phase signal)와 직교신호(Quadrature-phase signal)를 사용하여 주파수오류와 위상오류 및 극성반전이 존재하는 수신환경에서도 세그먼트동기화가 이루어지도록 한 고화질텔레비젼에서 세그먼트 동기신호 위치검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화질텔레비젼(High Definition Television; 이하 HDTV라 약칭한다)은 일반적인 텔레비젼에 비해 주사선수를 2배이상 늘리고 화면비를 16:9(일반 텔레비젼은 4:3)로 늘려 화면의 고정밀화 대형화를 실현시킨 텔레비젼이다.
이러한 HDTV에 있어서, 종래 디지털 신호처리 중 프레임 동기화에 사용되는 세그먼트 동기신호 검출장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된 동상신호와 세그먼트 동기기준 패턴 사이의 상관치를 얻는 상관부(1)와; 상기 상관부(1)의 출력을 누적하는 누적부(2)와; 상기 누적부(2)의 출력을 저장하는 메모리부(3)와; 상기 누적부(2)에서 입력된 신호에서 최대값 위치를 검출하여 세그먼트 동기신호를 출력하는 최대값 위치검출부(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HDTV의 세그먼트 동기신호 검출장치의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에러정정된 동상신호는 상관부(2)에 입력되어 동기기준 패턴과의 상관치가 검출되며, 이 상관치는 누적부(3)에서 여러번의 세그먼트 주기 동안 누적되며, 이후 메모리부(4)에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누적된 누적부(3)의 출력중 최대값을 가지는 위치가 최대값 위치검출부(5)에서 검출되어 세그먼트 동기신호의 위치를 알려주게 된다.
이에 따라 예정된 세그먼트 주기 동안 1차 누적을 실행하여 누적값 중에서 최대위치를 검출하고, 한번 더 여러 세그먼트 주기동안 1차 누적을 반복하여 두 번의 1차 누적에서 얻은 최대값 위치가 일정할 경우 2차 누적으로 넘어가고 그렇지 않으면 계속 1차 누적을 반복하여 수행하게 된다(ST1-ST3). 2차 누적도 1차 누적과 마찬가지로 여러 세그먼트 주기동안 누적부(3)의 출력을 누적하게 된다(ST4). 그리고 confidence counter를 두어 일단 여러 세그먼트의 누적이 끝나면, 그 이전에 누적과정에서 찾은 최대값 위치와 비교하여 만약 위치가 틀린 경우가 예를들어 연속 3번 반복되면 세그먼트 락을 놓친 것으로 간주하여 1차누적 과정으로 되돌아가게 된다(ST4-ST9).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HDTV 세그먼트 동기신호 검출장치에서는 동상신호 성분만을 사용함으로써 세그먼트 동기신호 검출장치가 주파수오류와 위상오류 및 극성반전에 영향을 받으면 세그먼트 동기신호를 검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HDTV에서 세그먼트 동기신호를 검출할 때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HDTV에서 동상신호와 직교신호를 사용하여 주파수오류와 위상오류 및 극성반전이 존재하는 수신환경에서도 세그먼트동기화가 이루어지도록 한 고화질텔레비젼에서 세그먼트 동기신호 위치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은,
입력되는 복소신호와 세그먼트 동기기준패턴 사이의 상관치를 얻는 상관부와; 상기 상관부에서 출력되는 동상신호와 직교신호의 상관치를 각각 제곱하는 제곱부와; 상기 제곱부에서 출력되는 동상신호 제곱치 및 직교신호 제곱치를 가산하는 가산부와; 상기 가산부의 출력을 메모리부를 이용하여 여러번의 세그먼트 주기동안 누적하는 누적부와; 상기 누적부의 누적값을 저장하고, 그 저장값을 상기 누적부에 피드백시키는 메모리부와; 상기 누적부의 누적값 중에서 최대값 위치를 검출하여 세그먼트 동기신호의 위치를 알려주도록 세그먼트 동기신호와 세그먼트 록킹신호를 출력하는 최대값 위치검출부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HDTV의 세그먼트 동기신호 검출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종래 HDTV의 세그먼트 동기신호 위치검출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3은 일반적인 HDTV의 세그먼트 전송규격을 보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HDTV의 세그먼트 동기신호 위치검출 장치의 블록도.
도 5는 도4의 상관부와 곱셈부의 세부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지연부 200 : 잔류측대역부
300 : 복소 멀티플라이어 400 : 상관부
500 : 곱셈부 600 : 제1 누적부
700 : 제2 누적부 800 : 메모리부
900 : 최대값 위치 검출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HDTV의 세그먼트 동기신호 위치검출 장치 블록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되는 복소신호와 세그먼트 동기기준패턴 사이의 상관치를 얻는 상관부(400)와; 상기 상관부(400)에서 출력되는 동상신호와 직교신호의 상관치를 각각 제곱하는 제곱부(500)와; 상기 제곱부(500)에서 출력되는 동상신호 제곱치 및 직교신호 제곱치를 가산하는 가산부(600)와; 상기 가산부(600)의 출력을 메모리부(800)를 이용하여 여러번의 세그먼트 주기 동안 누적하는 누적부(700)와; 상기 누적부(700)의 누적값을 저장하고, 그 저장값을 상기 누적부(700)에 피드백시키는 메모리부(800)와; 상기 누적부(700)의 누적값 중에서 최대값 위치를 검출하여 세그먼트 동기신호의 위치를 알려주도록 세그먼트 동기신호와 세그먼트 록킹신호를 출력하는 최대값 위치검출부(900)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제곱부(500)는, 상기 상관부(400)에서 동상신호와 상관된 신호를 입력받아 지연시키는 제1 디플립플롭(511)과, 상기 제1 디플립플롭(511)의 출력을 제곱하는 제1 스퀘어(square)부(512)와, 상기 제1 스퀘어부(512)의 출력을 지연시키는 제2 디플립플롭(513)을 포함하여 상기 동상신호와 상관된 신호를 제곱하여 주파수, 위상 및 극성반전에 독립적인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제곱부(510)와; 상기 상관부(400)에서 직교신호와 상관된 신호를 입력받아 지연시키는 제3 디플립플롭(521)과, 상기 제3 디플립플롭(521)의 출력을 제곱하는 제2 스퀘어부(522)와, 상기 제2 스퀘어부(522)의 출력을 지연시키는 제4 디플립플롭(523)을 포함하여 상기 직교신호와 상관된 신호를 제곱하여 주파수, 위상 및 극성반전에 독립적인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제곱부(52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HDTV의 세그먼트 동기신호 위치검출 장치의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동상신호는 지연부(100)에 의해 복소멀티플라이어(300)에 입력되고, 잔류측대역부(Vestigial SideBand Filter)(200)에 의해 직교신호로 변환되어 복소멀티플라이어(300)에 입력된다. 그리고 이러한 복소멀티플라이어(300)에서 처리된 동상신호와 직교신호의 복소신호는 상관부(400)에 입력된다. 그리고 제2 제곱부(520)는 극성반전에 무관한 신호를 생성하도록 누적된 동상신호를 제곱한다. 이처럼 제곱부(500)에 의해 극성반전이 제거된 신호는 가산부(600)에 누적된다.
그러면 예정된 세그먼트 주기 동안 1차 누적을 실행하여 누적값 중에서 최대 위치를 검출하고, 이전 누적에서 얻은 최대값의 위치와 현재의 누적에서 얻은 최대값의 위치가 일치하는 가를 판별한다. 만약 2번의 1차 누적에서 최대값의 위치가 일치하면 2차 누적을 실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2차 누적은 1차 누적에서 얻은 832/memory 개의 가능한 세그먼트 동기위치로부터 실제의 동기위치를 판별한다. 그리고 2차 누적에서도 1차 누적과 동일하게 여러 세그먼트 주기 동안 누적이 이루어지며, 각 누적에서 얻은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만약 연속적으로 3번의 위치가 정보가 틀리게 되면 lcok을 풀어주게 된다.
그리고 이전 누적이 찾은 최대값의 위치와 일치하면 세그먼트를 록킹하고 계속해서 2차 누적을 반복하여 세그먼트 락의 유실여부를 감시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동상신호와 직교신호를 이용함으로써 주파수오류와 위상오류 및 극성반전에 영향을 받지 않는 세그먼트 동기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고화질텔레비전(HDTV)의 세그먼트 동기신호 위치검출 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복소신호와 세그먼트 동기기준패턴 사이의 상관치를 얻는 상관부(400)와; 상기 상관부(400)에서 출력되는 동상신호와 직교신호의 상관치를 각각 제곱하는 제곱부(500)와; 상기 제곱부(500)에서 출력되는 동상신호 제곱치 및 직교신호 제곱치를 가산하는 가산부(600)와; 상기 가산부(600)의 출력을 메모리부(800)를 이용하여 여러번의 세그먼트 주기 동안 누적하는 누적부(700)와; 상기 누적부(700)의 누적값을 저장하고, 그 저장값을 상기 누적부(700)에 피드백시키는 메모리부(800)와; 상기 누적부(700)의 누적값 중에서 최대값 위치를 검출하여 세그먼트 동기신호의 위치를 알려주도록 세그먼트 동기신호와 세그먼트 록킹신호를 출력하는 최대값 위치검출부(900)로 구성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화질텔레비전(HDTV)의 세그먼트 동기신호 위치검출 장치.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곱셈(500)는, 상기 상관부(400)에서 동상신화와 상관된 신호를 입력받아 지연시키는 제1 디플립플롭(511)과, 상기 제1 디플립폴롭(511)의 출력을 제곱하는 제1 스퀘어(square)부(512)와, 상기 제1 스퀘어부(512)의 출력을 지연시키는 제2 디플립플롭(513)을 포함하여 상기 동상신호와 상관된 신호를 제곱하여 주파수, 위상 및 극성반전에 독립적인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제곱부(510)와; 상기 상관부(400)에서 직교신호와 상관된 신호를 입력받아 지연시키는 제3 디플립플롭(521)과, 상기 제3 디플립플롭(521)의 출력을 제곱하는 제2 스퀘어부(522)와, 상기 제2 스퀘어부(522)의 출력을 지연시키는 제4 디플립플롭(523)을 포함하여 상기 직교신호와 상관된 신호를 제곱하여 주파수, 위상 및 극성반전에 독립적인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제곱부(5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화질텔레비전(HDTV)의 세그먼트 동기신호 위치검출 장치.
KR1019970028646A 1997-06-28 1997-06-28 고화질텔레비젼의 세그먼트 동기신호 위치검출 장치 KR100227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8646A KR100227486B1 (ko) 1997-06-28 1997-06-28 고화질텔레비젼의 세그먼트 동기신호 위치검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8646A KR100227486B1 (ko) 1997-06-28 1997-06-28 고화질텔레비젼의 세그먼트 동기신호 위치검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522A true KR19990004522A (ko) 1999-01-15
KR100227486B1 KR100227486B1 (ko) 1999-11-01

Family

ID=19512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8646A KR100227486B1 (ko) 1997-06-28 1997-06-28 고화질텔레비젼의 세그먼트 동기신호 위치검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748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9090A (ko) * 1997-12-11 1999-07-05 김영환 고화질 텔레비젼 수신기의 세그먼트 동기 검출장치
KR100662373B1 (ko) * 2005-12-14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신신호의 동기 검출 장치 및 동기 검출 방법
KR100747584B1 (ko) * 2006-03-03 2007-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기 검출 장치 및 동기 검출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9090A (ko) * 1997-12-11 1999-07-05 김영환 고화질 텔레비젼 수신기의 세그먼트 동기 검출장치
KR100662373B1 (ko) * 2005-12-14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신신호의 동기 검출 장치 및 동기 검출 방법
KR100747584B1 (ko) * 2006-03-03 2007-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기 검출 장치 및 동기 검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7486B1 (ko) 199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17599A (en) Method and circuit for detecting CN ratio of QPSK signal
KR950035391A (ko) 고품위 텔레비젼 수신기에 있어서 기호 레이트의 약수에서 최종 중간 주파수 반송파를 갖는 디지탈잔류 측파대(vsb) 검출기
KR0152040B1 (ko) 심볼타이밍복구 및 동기신호검출을 이용한 고선명텔레비젼/엔티에스씨 공용수신방법 및 그 장치
KR100227486B1 (ko) 고화질텔레비젼의 세그먼트 동기신호 위치검출 장치
US6353358B1 (en) Quadrature demodulation circuit with a pseudo locked state detection system
KR0169619B1 (ko) 데이타 세그먼트 동기신호 발생 장치 및 방법
US4688096A (en) Demodulation phase error compensation circuitry as for an automatic deghosting system
US4542408A (en) Digital deghosting system
JPH0374074B2 (ko)
KR100238284B1 (ko) 위상 보정 회로 및 그 방법
JP2007537660A (ja) 残留側波帯変調システムの複素相関器
US5757439A (en) Method for detecting color burst signal amplitude for chrominance signal level control and an apparatus therefor
KR950004103B1 (ko) 복조 위상 에라 감쇄 회로
KR100332340B1 (ko) 영상 노이즈 검출방법 및 장치
KR100300947B1 (ko) 디지털텔레비젼수신장치의세그먼트동기신호검출장치
KR19990049090A (ko) 고화질 텔레비젼 수신기의 세그먼트 동기 검출장치
US20050117063A1 (en) Chrominance signal demodulation apparatus
CN116962601A (zh) 控制集成电路、电视接收器以及方法
EP1209912A1 (en) Slicing circuit
KR100551161B1 (ko) 동일채널 간섭신호 검출 장치
JP2731361B2 (ja) 信号処理装置
JP2604420B2 (ja) 同期分離回路
KR950009770B1 (ko) 비트 노이즈 제거장치
JPH06233157A (ja) Catv用受信tv信号処理回路
KR20000044164A (ko) 디지털 텔레비젼 수신장치의 필드 동기신호 검출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