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1140B1 - 회전전달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1140B1
KR100331140B1 KR1019940012979A KR19940012979A KR100331140B1 KR 100331140 B1 KR100331140 B1 KR 100331140B1 KR 1019940012979 A KR1019940012979 A KR 1019940012979A KR 19940012979 A KR19940012979 A KR 19940012979A KR 100331140 B1 KR100331140 B1 KR 100331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er
driven
coupling
rotational resistance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2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1134A (ko
Inventor
이토겐이치로
아다치겐로
Original Assignee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382379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344798A/ja
Priority claimed from JP1382999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344799A/ja
Application filed by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50001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1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11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5/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combined with automatic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hanging number of driven wheels, for switching from driving one axle to driving two or more 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f type of freewheel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02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electromagnets incorporated in the clutch, i.e. with collecting rings
    • F16D27/09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electromagnets incorporated in the clutch, i.e. with collecting rings and with interengaging jaws or gear-tee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4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combined with a clutch for locking the driving and drive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 F16D41/08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with provision for altering the freewheeling action
    • F16D41/084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with provision for altering the freewheeling action the intermediate coupling members wedging by pivoting or ro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7/00Systems of clutches, or clutches and couplings, comprising devices of types grouped under at least two of the preceding guide headings
    • F16D47/04Systems of clutches, or clutches and couplings, comprising devices of types grouped under at least two of the preceding guide headings of which at least one is a free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구동부재와 피동부재 그리고 이들사이에 장착된 맞물림요소, 그리고 필요에 따라 전환 수단의 작동을 전환할 수 있는 회전력을 전달하거나 차단하도록 기계적으로 전환하는 수단으로 구성된 회전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피동부재로서치 외부링과 구동부재로서의 내부링 사이에, 서로 이격되어 스프래그를 유지하기 위한 리테이너가 장착되어 있다. 내부부재내에 외부링을 맞물림하는 커플링수단과 솔레노이드를 수용한다. 솔레노이드는 슬립링에 대향하여 브러시를 접촉시킴으로써 구동되어, 커플링부재는 내부부재와 외부링을 커플링시키고, 스프래그가 비작동되게 한다.

Description

회전전달장치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구동력을 전달하고 차단할 수 있는 차량의 구동시스템상에 장착된 회전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점성커플링은 차량의 엔진으로부터 전륜 또는 후륜에 구동력을 전달하는데 사용하는 장치로서 알려져 있다.
차량이 저속에서 급회전할때, 점성커플링은 내재된 고점성 유체의 성질로 인하여 드래그토 오크를 생성하는 경향이 있다. 큰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커플링직경이 커야만 한다. 이것은 전체장치의 크기를 증가시킨다.
또한, 차량이 상대적으로 저속일때도 효과적으로 구동전달하기 위하여 전륜 및 후륜으로 구동력전달을 전환하기 위한 기계식 클러치를 사용하는 회전전달장치가 알려져있다.
이러한 장치는 하나가 다른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구동부재 및 피동부재, 구동부재와 피동부재 사이에 장착되어 이들 부재가 서로에 대하여 회전할때 구동부재와 피동부재를 맞물림시켜 이들 부재를 함께 연결하도록 된 맞물림요소, 그러고 맞물림요소를 서로 이격시켜 유지하고 맞물림요소의 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구동부재와 피동부재 사이에 장착된 리테이너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는 제 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4 륜구동차량의 구동경로상에 장착되어, 구동 부재가 분배장치로 부터 분기하는 추진축(B)에 연결되고, 피동부재가 전방차동부(C)에 연결된다. 이러한 배열은 전륜 및 후륜 사이의 연결을 순간적으로 전환할 수 있게하여, 이에 의해 자동적으로 2륜구동과 4륜구동으로 전환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차량이 직선으로 움직이거나 코너를 도는동안 피동부재가 맞물림요소에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회전하기 시작하면, 전륜이 구동시스템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토오크는 전륜으로부터 구동시스템에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엔진브레이크가 적용된 상태에서 차량이 움직이는 중에는 토오크가 전륜으로부터 구동시스템에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엔진브레이크가 후륜에만 적용된다. 따라서, 엔진힘을 증가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가 없고, 또한 큰 제동력이 필요할때 운전자가 기계식 클러치의 기능을 제한할 수 있는 회전전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 주위에 다른 하나가회전가능하게 장착된 구동부재 및 피동부재와, 구동부재와 피동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 부재가 양방향중 어느한 방향으로 회전할때 이들 구동부재와 피동부재를 맞물림시켜 이들 부재를 함께 연결시키도록 된 복수의 맞물림요소와, 소정된 간격만큼 서로를 원주상으로 이격하여 맞물림요소를 유지하기 위하여 구동부재와 피동부재 사이에 장착된 리테이너부재와, 양방향으로부터 리테이너부재에 회전저항을 부여하기위해 리테이너부재에 연결되는 2개의 회전저항부여 수단과, 구동부재가 한쪽방향으로 회전할때 2개의 회전저항부여 수단중의 하나로부터 리테이너부재에 회전저항을 부여하기 위하여 그리고 구동부재가 대향방향으로 회전할때 2개의 회전저항부여 수단중의 다른하나로 부터 리테이너부재에 회전저항을 부여하기 위하여 리테이너부재에 연결되는 전환수단과, 구동부재와 리테이너부재중 하나에 피동부재를 선택적으로 연결하거나 분리하기 위하여 피동부재상에 장착되어 있는 커플링수단으로 구성되며, 리테이너부재와 구동부재는 이들사이에 유극을 가지고 있어서 서로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함께 연결되어 있는 회전전달장치가 제공된다.
구동부재와 피동부재가 서로 분리된 동안 맞물림요소는 자유롭게 이동가능하게 되고 이로 인해 피동부재는 맞물림요소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구동부재와 피동부재가 커플링수단을 통해 함께 연결되어 있는 동안, 구동력 전달경로는 제위치에서 잠금되는 맞물림 요소와 직접연결된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맞물림요소는 회전토오크를 선택적으로 전달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클러치로서의 이들 기능을 상실한다.
리테이너부재 및 피동부재가 커플링수단을 통하여 함께 연결되어 있는 동안은, 피동부재가 초과이동 방향으로 회전할때 리테이너는 피동부재와 함께 회전된다.
이것은 맞물림요소가 맞물림하는 방향을 변화시켜, 기계식 클러치가 이 클러치의 맞물림방향으로 구동되게 한다. 따라서, 구동력이 전달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상황에 따라서 피동부재를 구동부재 또는 리테이너에 연결시킴으로써 기계식 클러치로서의 기능을 제한할 수 있다. 이 장치가 4륜구동 차량에 사용되면, 주행상태에 따라 적당히 구동모드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엔진브레이크의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될 것 이다.
제 1및 제2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 장치는 피동부재로서의 외부링(1)및 구동부재로서의 내부부재(2)를 가지고 있다.
이들 부재는 서로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하나가 다른 하나상에 장착되어 있다.
외부링(1)과 내부부재(2)사이에는 맞물림요소로서의 스프래그(5)가 수용되는 포켓으로 형성되는 대직경 리테이너(3)와 소직경 리테이너(4)가 장착되어있고, 외부링(1)과 내부부 재(2)는 이 맞물림 요소를 통하여 함께 맞물림된다.
소직경 리테이너(4)는 반경상으로 뻗는 만곡부분을 통하여 내부부재(2)에 고정되어 있 다.
대직경 리테이너(3)는 핀(6)을 통하여 내부부재(2)에 연결되며, 틈이 이들사이에서회전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위치스프링(7)은 대직경 리테이너(3)의 한쪽끝에 장착 되어, 한쪽방향으로부터 대직경 리테이너(3)에 회전저항을 부여한다. 대직경 리테이너(3)의 다른끝에는 원웨이 클러치(8)를 통하여 회전저항 부여수단(9)이 연결되어 스위치스프링(7)에 의해 생기는 회전저항에 대향된 방향으로 회전저항을 생성한다. 회전저항 부여수단(9)에 의해 생성된 회전저항은 스위치 스프링(7)에 의해 부여된 회전작용력 보다 더 크게 설정되어 있다.
원웨이 클러치(8)는 대직경 리테이너(3)와 회전저항 부여수단(9)사이의 연결을 전환하는 역활을 한다.
내부부재(2)의 회전방향에 따라 또한 이로인해 회전하는 대직경 리테이너(3)의 회전방향에 따라, 원웨이 클러치(8)는 회전저항 부여수단(9)을 대직경 리테이너(3)에 선택적으로 맞물림하거나 맞물림해제 시킨다.
제 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있어서, 커플링수단(10)은 피동부재로서의 외부링(1)과 구동부재로서의 내부부재(2)사이에 제공되어, 외부링(1)과 내부부재(2)를 선택적으로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커플링수단(10)은 내부부재(2)내에 형성된 보어(11)내에 미끄럼가능하게 장착되며 스플라인(12)을 통하여 내부부재에 연결된 커플링부재(13)와 외부링(1)의 바닥벽내에 형성된 바닥구멍(14)을 향해 커플링부재(13)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보어(11)의 심부내에 장착된 솔레노이드(15)로 구성되어 있다.
커플링 수단은 또한 보어(11)내에 장착된 스냅링(16)과 커플링부재(13)사이에 배치된 탄성부재(17)를 가지고 있어 커플링부재(13)를 가압하여 외부링(1)의 바닥구멍(14)을 부터 떨어지게 한다.
제 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맞물림톱니(18, 19)는 커플링부재(13)의 외주표면 및 외부링(1)의 내주표면상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맞물림톱니는 커플링 부재(13)와 외부링(1)이 서로 근접하게 이동할때 서로 맞물리게 된다. 외부링(1)과 내부부재(2)는 커플링부재(13)와 내부부재(2)가 스플라인을 통하여 함께 연결되어 있는 동안에 맞물림 톱니(18, 19)사이에서의 맞물림에 의해서 연결된다.
인입선(20)은 보어(11)를 통하여 솔레노이드(15)로부터 뻗어 있고, 내부부재(2)의 외주 상에 장착된 슬립링(21)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22)은 차량몸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내부부재(2)의 주위에 장착된다.
이 하우징에는 슬립링(21)을 향하여 뻗어 있는 반경방향의 구멍(23)이 형성된다, 이 구멍(23)내에 끼워맞춤된 것은 슬립링(21)으로부터 원근 이동가능한 가압부재(24)이다.
전기접촉식의 브러시(25)는 가압부재(24)의 선단에 장착되고, 밧데리와 같은 DC 전원(26)에 접속된다.
또한 구멍(23)내에 끼워맞춤되는 것은 하우징(22)의 외부표면에 고정된 외부솔레노이드(27)의 액츄에이터축(28)이다.
외부솔레노이드(27)용 전원회로의 스위치(29)를 킴으로써 액츄에이터축(28)은 가압부재(24)가 가압되어 슬립링(21)과 접촉될때까지 신장될 것이다.
구멍(23)에는 가압부재(24)를 외부로 가압하는 탄성부재(30)가 장착되어 있다.
외부솔레노이드(27)의 액츄에이터축(28)이 수축할때 가압부재(24)는 탄성부재(30)에 의해 가압되어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브러시(25)와 슬립링(21)을 서로 분리시킨다.
제 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 회전전달장치(A)는 내부분재(2)를 분배장치로부터 분기하는 전륜추진축(B)에 연결하고, 외부링(1)을 전방차동부(C)에 연결함으로써 차량의 구동시스템상에 장착된다. 장치(A)가 장착된 상태에서 차량이 후진할 때, 회전저항 부여수단(9)에 의해 생성된 회전저항이 대직경 리테이너(3)상에 작용하도록 원웨이 클러치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대직경 리테이너(3)의 회전은 내부부재(2)에 대하여 늦추어진다. 따라서 스프래그(5)는 제 5도에 도시된 맞물림가능한 위치로 기울어진다.
대조적으로, 차량이 전진할때는 원웨이 클러치(8)는 작동하지 않고, 이로인해 대직경 리테이너(3)는 회전저항 부여수단(9)으로부터 맞물림해제된다. 따라서 대직경 리테이너(3)는 스위치스프링(7)에 의한 회전저항만이 가해지기 때문에 대향방향으로 늦추어진다.
따라서 스프래그(5)는 전방이동 맞물림위치로 이동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차량이 직선으로 이동할때 주 피동휠로서의 후륜은 약간 미끄러지고, 그래서 내부부재(2)는 외부링(1)보다 더빨리 회전하게되고, 이로인해 스프래그(5)과 맞물림 한다.
따라서, 구동력이 전방휠에 전달되어 차량은 4륜으로 구동된다.
차량이 일정한 조종각도로 회전할때, 전륜은 후륜보다 빨리회전하여, 외부링(1)은 스프래그(5)를 초과이동해서, 스프래그(5)를 해제한다. 따라서 차량이 코너를 꽉차게 돌때도 브레이킹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회전전달장치에 있어서, 보통의 주행에 있어서, 전륜에 전달되는 회전토크를 선택적으로 전달 및 차단함으로써 4륜 및 2륜구동 사이에서 구동모드를 전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외부링(1)및 내부부재(2)는 서로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솔레노이드(15)는 작동될 필요가 없다.
즉, 솔레노이드(15)는 꺼지고 압력부재(24)는 브러시(25)와 슬립링(21)이 서로접촉하지 않는(제 1도)위치로 탄성부재(30)에 의해 가압된다.
한편, 차량이 긴 경사를 내려갈때와 같이 충분히 큰 엔진브레이크가 필요할때는, 외부솔레노이드(27)의 스위치(29)는 켜지고, 가압부재(24)가 아래로 이동하여, 브러시(25)가 슬립 링(21)과 미끄럼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내부솔레노이드(15)는 켜지고, 이로 인해 제 3도 및 제 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커플링부재(13)는 맞물림톱니(18, 19)가 서로 맞물리게 될때까지 외부링(1)의 바닥구멍(14)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외부링(1)과 내부부재(2)는 스프래그(5)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함께 연결되고, 이로인해 모든 4륜은 구동시스템에 연결된다. 따라서, 토오크는 전륜으로부터 구동시스템으로 전달된다. 다시말하면, 엔진브레이크가 전후방 휠에 적용되어, 제동력이 전체적으로 증가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브러시(25)와 슬립링(21)은 필요할때만 서로 미끄럼접촉하고, 그렇지 않으면 접촉하지 않기때문에, 이들 접촉부위는 거의 마모되지 않어 내구성이 향상된다.
제 7도 내지 제12도에는 제 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 1실시예와 비교하면, 외부링(1)이 구동부재로서 사용되고, 내부 부재(2)는 피동부재로 사용된다. 내부부재(2')와 소직경 리테이너(4)사이에는 이들을 연결 및 분리하기 위한 커플링수단(31)이 장착되어 있다.
제 7도 및 제 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커플링수단(31)은 내부부재(2')내에 형성된 보어(11)내에 축선상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지지부재(32)와 핀(34)을 통하여 지지부재(32)에 장착된 한쌍의 바깥쪽으로 피벗지지된 커플링부재(33)로 구성되어 있다.
솔레노이드(35)는 보어(11)내의 개구부가까이 장착되어 커플링부재(33)와 지지부재(32)를 한쪽방향으로 움직이게 한다. 스프링(36)은 보어(11)내의 심부에 장착되어 지지부재(32)를 솔레노이드(35)를 향하게 가압한다.
제 7도와 제 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보어(11)의 주위표면에는 커플링부재(33)가 펼쳐질 수 있는 윈도(37)가 직경방향으로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커플링부재(33)는 제 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들이 가까울때 윈도(37)의 끝벽(37a)과 접촉하는 이들 각각의 선단을 가지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솔레노이드(35)의 액츄에이터의 아암(41)을 신장시킴으로써, 커플링부재(33)는 제12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위치로 그 선단이 벽(37a)을 따라 이동을 유지하는 동안에 떨어져 펼쳐진다.
지지부재(32)가 그 후방위치에 있을때 원심력 때문에 내부부재(2')로부터 커플링부재(33)가 바깥쪽으로 내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윈도(37)내에 멈춤핀(38)이 구비되어 있다.
맞물림링(39)은 소직경 리테이너(4)의 내주표면상으로 압입된다.
제1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맞물림 링(39)은 커플링부재(33)가 떨어져 펴질때 커플링부재(33)의 선단과 맞물리도록 된 복수의 맞물림톱니(40)를 그 내주표면상에 구비한다.
이러한 배열에 있어서, 내부부재(2)와 소직경 리테이너(4)는 커플링부재(33)의 맞물림에 의해 맞물림톱니(40)와 윈도(37)의 원주상의 측벽(37b)과 함께 연결된다.
제 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내부부재(2')의 후방끝에는 내부부재(2)의 외주로부터 뻗어서 보어(11)와 연통하는 통로(42)가 형성되어 있다. 인입선(43)은 통로(42)를 통해 솔레노이드(35)로 부터 뻗어서, 내부부재(2')외주상에 장착된 슬립핑(21)에 연결된다.
제 1실시예와 유사하게, 차량몸체에 고정된 하우징(22)에는 슬립링(21)으로부터 떨어지거나향하여 이동하는 가압부재(24)에 끼워맞춤된 반경방항의 구멍(23)이 형성되어 있다.
브러시(25)는 가압부재(24)의 선단에 장착되어, 밧데리 같은 DC 전원(26)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구멍(23)내에는 외부솔레노이드(27)의 액츄에이터축(28)이 끼워맞춤된다.
외부솔레노이드(27)의 전원회로의 스위치(29)를 킴으로써 액츄에이터축(28)은 가압부재(24)가 슬립링(21)과 접촉할때까지 신장된다. 대조적으로 외부솔레노이드(27)의 액츄에이터 축(28)이 숙축할때는, 가압부재(24)는 탄성부재(30)에 의해 가압되어 바깥쪽으로 이동하고, 브러시(25)와 슬립링(21)을 서로 분리한다.
제1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2실시예의 회전전달장치(A')는 외부링(1)을 전륜휠 추진축(B)에 연결시키고, 내부부재(2)를 전방차동부(C)에 연결시킴으로써 4륜구동차량상에 장착된다. 보통주행시, 전방휠에 전달되는 토오크를 선택적으로 전달 및 차단함으로써 4륜 및 2륜구동 사이의 구동모드를 전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외부링(1)과 내부 부재(2)는 내부솔레노이드(35)를 끔으로써 서로로부터 분리된다.
한편, 충분히 큰 엔지브레이크가 요할때는, 즉 차량이 긴 경사를 내려갈때와 같은 때에는, 외부솔레노이드(27)가 켜져서 가압부재(24)를 이동시키고, 브러시(25)를 슬립링(21)과 미끄럼접촉하게 한다. 따라서 내부솔레노이드(15)가 켜지고, 이로인해, 지지부재(32)는 커플링부재(33)가 떨어져 펼쳐지고 맞물림링(39)상에서 맞물림톱니(40)와 결합할때까지 보어(11)의 심부로 이동된다. 내부부재(2')와 소직경 리테이너(4)는 함께 연결된다.
내부부재(2')와 소직경 리테이너(4)가 함께 연결되어 있을때, 소직경 리테이너(4)는 내 부부재(2)가 어느쪽으로 회전하든간에 관계없이 내부부재(2)와 함께 회전된다.
스프래그(5)는 한쪽으로 기울어서 맞물리고 이로인해 내부부재(2)와 외부링(1)은 함께 연결된다. 4 개의 휠은 모두 구동시스템에 연결되고, 토오크는 전륜에서 구동시스템으로 전달된다.
환언하면, 엔진브레이크는 전륜 및 후륜상에서 작용한다.
양 실시예에 있어서, 맞물림요소로 사용된 스프래그는 양방향중 어느쪽으로 기울어도 맞물림 가능하다. 그러나, 양방향중의 한방향으로 기울때만 각자 맞물림가능한 스프래그는 외부링(1)과 내부부재(2)사이에 장착될 수 있어서, 대칭적으로 즉, 서로 대향적인 방식으로 배열된다.
또한 맞물림요소는 스프래그 대신에 로울러일 수 있다.
이경우, 로울러와 맞물림가능한 맞물림표면은 외부링과 내부부재의 대향표면상에 형성되어 있다.
제 1도는 제 1실시예의 수직단면 정면도,
제 2도는 제 1도의 선II-II 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 3도는 제 1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 4도는 제 3도의 선 IV-IV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 5도는 제 1실시예의 맞물림 위치내에 있는 스프래그(sprag)의 단면도,
제 6도는 자동차의 구동시스템상에 장착되었을때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제 7도는 제 2실시예의 수직단면 정면도,
제8A도는 커플링부재와 지지부재의 정면도,
제8B도는 제8A도의 평면도,
제 9도는 제 2실시예의 내부부재의 단면도,
제10도는 내부부재의 부분평면도,
제11도는 맞물림링의 정면도,
제12도는 제 7도와 유사하지만, 다른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13도는 자동차의 구동시스템상에 장착되었을때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제14도는 종래장치의 수직단면 정면도, 그리고
제15도는 종래장치의 클러치기구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외부링 2 : 내부부재
3 : 대직경 리테이너 4 : 소직경 리테이너
5 : 스프래그 9 : 회전저항부여수단
10, 31 : 커플링수단 13, 33 : 커플링부재
15, 27 : 솔레노이드

Claims (3)

  1. 하나가 다른하나 둘레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구동부재 및 피동부재, 상기 구동부재와 상기 피동부재사이에 배치되어, 이들 부재가 양방향중 어느한방향으로 회전할때 상기 구동부재 및 상기 피동부재를 맞물림시켜 이들 부재를 함께 연결시키도록 된 복수의 맞물림요소,
    상기 구동부재와 상기 피동부재 사이에 장착되어 서로로부터 소정된 거리만큼 원주상으로 이격하여 상기 맞물림요소를 유지하기 위한 리테이너부재,
    양방향으로 부터 상기 리테이너부재에 회전저항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리테이너부재에 연결된 2개의 회전저항 부여수단,
    상기 구동부재가 한쪽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에 상기 2개의 회전저항부여 수단중의 하나로부터 상기 리테이너부재로 회전저항을 부여하기 위하여 그리고 상기 구동부재가 대향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에 상기 22개의 회전저항 부여수단중의 다른하나로부터 상기 리테이너부재로 회전저항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리테이너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전환수단, 그리고
    상기 구동부재 및 상기 리테이너부재중의 하나에 상기 피동부재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거나 분리시키기 위한 커플링수단, 으로 구성되며,
    상기 리테이너부재와 상기 구동부재는 이들 사이에 유극을 가지고 있어서 서로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함께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수단은 상기 구동부재 및 상기 리테이너부재중 하나와 상기 피동부재를 연결하고 분리하기 위한 상기 커플링부재와 상기 구동부재 및 상기 리테이너부재중 하나와 상기 피동부재를 함께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커플링부재를 상기 작동위치로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슬립링은 상기 솔레노이드에 연결되고, 여기에서 상기 회전 전달장치는 외부전원에 연결되어 상기 슬립링으로부터 원근이동될 수 있도록 장착된 접촉부를 더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달장치.
KR1019940012979A 1993-06-10 1994-06-09 회전전달장치 KR1003311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138299 1993-06-10
JP93-138237 1993-06-10
JP13823793A JPH06344798A (ja) 1993-06-10 1993-06-10 回転伝達装置
JP13829993A JPH06344799A (ja) 1993-06-10 1993-06-10 回転伝達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134A KR950001134A (ko) 1995-01-03
KR100331140B1 true KR100331140B1 (ko) 2002-11-29

Family

ID=26471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2979A KR100331140B1 (ko) 1993-06-10 1994-06-09 회전전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542514A (ko)
KR (1) KR100331140B1 (ko)
DE (1) DE4420411A1 (ko)
FR (1) FR2706554B1 (ko)
GB (1) GB22788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9749A (en) * 1994-06-30 1998-09-01 Ntn Corporation Rotation transmission device for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the transmission of driving force
US5732807A (en) * 1995-01-26 1998-03-31 Ntn Corporation Power transmission device
US6237735B1 (en) * 1997-05-30 2001-05-29 Eaton Corporation Viscous actuated ball ramp clutch having one-way clutch
US5992592A (en) * 1998-03-24 1999-11-30 Borg-Warner Automotive, Inc. Bi-directional overrunning clutch assembly for transfer cases and the like
US6231475B1 (en) * 2000-01-14 2001-05-15 Delphi Technologies, Inc. Unidirectional ball clutch
NL1022458C2 (nl) * 2003-01-22 2004-07-26 Skf Ab Riemschijfinrichting en startmotor/generator welke een dergelijke riemschijf omvat.
DE102005061791A1 (de) * 2005-12-23 2007-07-05 Schaeffler Kg Verriegelungseinheit, insbesondere für eine Überlagerungslenkung
US20240084861A1 (en) * 2022-09-14 2024-03-14 Warner Electric Technology Llc Disproportional Drag Actuation of an Overrunning Clutch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34270A (en) * 1932-05-12 1933-11-07 Edwin P Maynard Controlled coaster wheeling mechanism for motor driven vehicles
US2672965A (en) * 1948-05-21 1954-03-23 Humber Ltd Electromagnetic clutch
US2591989A (en) * 1949-11-17 1952-04-08 Martin P Winther Centrifugal-electric clutch
US3414096A (en) * 1966-06-17 1968-12-03 Dana Corp Automatic and manual means for hub clutch
US4212557A (en) * 1978-10-12 1980-07-15 Dana Corporation Hub clutch
US4694943A (en) * 1986-01-21 1987-09-22 Boulder 12 Investments Ground clutch assembly with dynamic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JPS62238115A (ja) * 1986-04-07 1987-10-19 Fuji Heavy Ind Ltd 4輪駆動車の駆動軸選択装置
DE3738008A1 (de) * 1987-11-09 1989-05-18 Porsche Ag Vorrichtung zum antrieb eines kraftfahrzeugs
US5025902A (en) * 1990-01-04 1991-06-25 Aichi Kikai Kogyo Kabushiki Kaisha Bidirectional differential clutch
US5355748A (en) * 1991-05-31 1994-10-18 Ntn Corporation Rotation transmitting device for an interaxle gearless differential
JPH05118359A (ja) * 1991-10-23 1993-05-14 Ntn Corp 回転伝達装置
JP3095482B2 (ja) * 1991-10-23 2000-10-03 エヌティエヌ株式会社 回転伝達装置
JP3228976B2 (ja) * 1991-11-27 2001-11-1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摩擦式一方向クラッチの断続装置
JP3213633B2 (ja) * 1992-06-30 2001-10-02 エヌティエヌ株式会社 回転伝達装置
JPH0626533A (ja) * 1992-07-09 1994-02-01 Ntn Corp クラッチ
JP3213634B2 (ja) * 1992-07-09 2001-10-02 エヌティエヌ株式会社 回転伝達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420411A1 (de) 1994-12-15
FR2706554A1 (fr) 1994-12-23
FR2706554B1 (fr) 1999-04-30
GB9411610D0 (en) 1994-08-03
GB2278899B (en) 1996-05-15
US5542514A (en) 1996-08-06
GB2278899A (en) 1994-12-14
KR950001134A (ko) 1995-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57032A (ko) 클러치 링용 엑츄에이터
JPH0366927A (ja) 動力伝達装置
KR100331140B1 (ko) 회전전달장치
JPH11218161A (ja) 車両駆動系
JP2010525267A (ja) 原動機駆動車両用のトルク差または速度差応動クラッチ操作装置
US5355748A (en) Rotation transmitting device for an interaxle gearless differential
JP3572266B2 (ja) 不整地走行用の二駆四駆切換装置付き四輪駆動車
KR100392570B1 (ko) 대칭 자유 회전 조립체를 갖는 점성 커플링
US5443147A (en) Rotationally dependent free-wheeling coupling
JP2000046067A (ja) クラッチリング機構
JP3445855B2 (ja) 回転伝達装置
US4420069A (en) Automatic clutch
JPS6328809B2 (ko)
JPH06344799A (ja) 回転伝達装置
JPS5836902Y2 (ja) 二方向フリ−ホイ−ル
KR100282880B1 (ko) 4륜 구동차량의 전,후륜 구동력 분배장치
JPH06344798A (ja) 回転伝達装置
JP2975134B2 (ja) 回転伝達装置
JPH0135007Y2 (ko)
JP2886698B2 (ja) 回転伝達装置
JP3594652B2 (ja) ハブクラッチ装置
US5040650A (en) Power transmission
JP3742309B2 (ja) リミテッドスリップディファレンシャルギア
JPH05118407A (ja) 車両の駆動力伝達装置
JP3851390B2 (ja) 車両用動力伝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