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0879B1 - 승합자동차의 백도어 - Google Patents

승합자동차의 백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0879B1
KR100330879B1 KR1019960053747A KR19960053747A KR100330879B1 KR 100330879 B1 KR100330879 B1 KR 100330879B1 KR 1019960053747 A KR1019960053747 A KR 1019960053747A KR 19960053747 A KR19960053747 A KR 19960053747A KR 100330879 B1 KR100330879 B1 KR 100330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door
attached
door
coupled
v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3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5405A (ko
Inventor
최재홍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60053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0879B1/ko
Publication of KR19980035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5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0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08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 B60J5/1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comprising door or part of door being moveable by a linkage system to open/clos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26Means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ailboards or sideboards
    • B60P1/267Controlling degree of tailboard or sideboard movement in dependence upon degree of tipping movement, e.g. by linkage or ca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7/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 E05C7/005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for "Dutch doors", i.e. upper and lower w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6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up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로 분리된 승합자동차의 백도어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백도어는 상단부가 루프패널의 후단부에 힌지브라켓으로 축결합되어 있어, 백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해서는 차체의 후방에 일정간격의 공간을 확보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특히 차체의 루프패널과 수평상태로 개방되는 백도어를 키가 작은 사람이 잡아 닫기에는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백도어(12)를 수평으로 양분시켜 상측백도어(14)와 하측백도어(16)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측백도어(14)는 공압에 의한 실린더(26)의 작동으로 수직 슬라이드되도록 하고 하측백도어(16)는 하단부의 힌지브라켓(30)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종래와 같이 백도어(2)를 개폐시키는데 있어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상측백도어(14)를 공압에 의해 개폐되도록 하고, 특히 하측백도어(16)를 하방으로 펼칠 수 있으므로 화물을 싣고 내리는데 매우 수월하게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승합자동차의 백도어
본 발명은 상·하로 분리된 승합자동차의 백도어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백도어의 양측단에 스테이댐퍼가 부착되고 차체의 상단부와 힌지결합된 백도어를 수직으로 슬라이드되는 상측백도어와 하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개폐되는 하측백도어로 구성된 자동개폐가 가능한 승합자동차의 백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합자동차는 다용도로 사용되는 자동차로서 원박스형으로 차실이 구비되어 있으며 프런트실에는 운전자나 선탑자가 승·하차 할 수 있도록 프런트도어가 부착되어 있고, 리어실에 탑승자가 승·하차 할 수 있는 슬라이드식 사이드도어가 일측 측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간단한 화물을 싣고 내리는데 편리하도록 차체의 후면에는 백도어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백도어는 첨부된 예시도면 도 1 에 표현된 바와 같이, 루프패널(1)의 후단부와 백도어(2)의 상단부에 양측으로 한쌍의 힌지브라켓(3)이 부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어지고 백도어(2)의 양측단과 리어필라(4) 사이에 스테이댐퍼(5)가 부착되어 백도어(2)의 상단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백도어(2)는 그 하단부 중앙부에 록커(6)가 부착되어지고 이와 상응하는 위치인 리어범퍼(7)의 중앙부에 부착된 스트라이커(8)와 결합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테이댐퍼(5)는 힌지브라켓(3)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백도어(2)를 열고 닫을 때 서서히 열리고 닫히도록 백도어(2)의 양측단과 리어필라(4) 사이에 부착되어있어, 상기 백도어(2)의 외측 손잡이(도면상 미도시되었음)를 잡고 상측으로 당기면 백도어(2)의 하단부 중앙에 부착된 록커(6)가 리어범퍼(7)에 부착된 스트라이커(8)로부터 이탈되어 백도어(2)는 상단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개방이 되는 것이다.
상기 종래의 원박스형 승합자동차의 백도어(2)는 그 상단부가 루프패널(1)의 후단부에 부착된 힌지브라켓(3)과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양측단에 스테이댐퍼(5)가 부착되어 있어 개방된 백도어(2)가 하강하지 않도록 일측의 스테이댐퍼(5)가 지지해주고, 또한 닫혀있는 백도어(2)를 개방시키고자 할 때는 타측의 스테이댐퍼(5)가 백도어(2)를 밀어주게되어 적은 힘으로 개방시킬 수 있으므로 리어실에 화물을 효과적으로 싣고 내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백도어(2)는 상단부가 루프패널(1)의 후단부에 힌지브라켓(3)으로 축결합되어 있어, 백도어(2)를 개방시키기 위해서는 차체의 후방에 일정간격의 공간을 확보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특히 차체의 루프패널(1)과 수평상태로 개방되는 백도어(2)를 키가 작은 사람이 잡아 닫기에는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 승합자동차의 백도어가 지닌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수직으로 슬라이드되는 상측백도어와 하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하측으로 개폐되는 하측백도어로 이루어진 승합자동차의 백도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체의 사이드패널 리어측단에 공압실린더를 부착시켜 상측백도어의 일측단과 일체로 결합되어지되, 양측 사이드패널 리어측단과 상측백도어의 내측면 사이에 가이드부를 부착시켜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지며, 하측백도어는 그 하단부와 리어범퍼 상에 힌지브라켓을 부착시켜 하단부를 축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서, 화물을 싣거나 내리기 위해 상·하측 백도어를 개방시키는데 있어, 상측백도어는 수직 상방향으로 가이드부를 따라 승·하강되고, 하측백도어는 하단부의 힌지브라켓을 회전축으로 하여 하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차체 후방의 공간을 적게 차지하게 되고, 또한 상측백도어는 공압실린더에 의해 가이드부를 따라 승·하강하도록 되어 있다.
도 1 은 종래 승합자동차의 백도어 사용상태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합자동차의 백도어를 부분 절개한 상태의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요부확대 단면도로서, (가)는 도 2 의 A-A선 단면도이고, (나)는 도 2 의 B-B선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합자동차의 상·하분리된 백도어의 상측 백도어에 장착되는 실린더를 부분 절개한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합자동차의 상·하분리된 백도어의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차체,12 - 백도어,
14 - 상측백도어,16 - 하측백도어,
18 - 이동브라켓,20 - 가이드레일,
22 - 리어필라,24 - 로드,
26 - 실린더,28 - 리어범퍼,
30 - 힌지브라켓,32 - 걸림부,
34 - 회동부,36,36′- 에어공급호오스,
38 - 피스톤,40 - 걸림돌부.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과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차체(10)의 리어측면을 이루고 있는 백도어(12)를 상측백도어(14)와 하측백도어(16)로 양분시켜 형성하되, 상측백도어(14)는 내측 양단에 수직으로 "ㄷ"자형상의 이동브라켓(18)이 접합되어지고, 이와 결합되는 내측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레일(20)을 양측 사이드패널의 리어필라(22)(22′)에 부착시키되, 일측의 리어필라(22)에는 로드(24)가 내장된 실린더(26)를 부착시켜 상측백도어(14)를 승·하강하도록 구성하고, 하측백도어(16)에는 리어범퍼(28)와 접하는 하단부에 양측으로 힌지브라켓(30)이 부착되어지고, 상기 상측백도어(14)의 하단 중앙부와 하측백도어(16)의 상단 중앙부에 각각 "ㄱ"자형 걸림부(32)와 회동부(34)를 부착시켜 상·하측 백도어(14)(16)가 닫혀지도록 구성된 승합자동차의 백도어이다.
상기 공압을 이용한 실린더(26)는 그 상·하측에 에어공급호오스(36)(36′)가 결합되어지고 내장된 로드(24)의 하단에 피스톤(38)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걸림돌부(40)를 부착시켜 상측백도어(14)와 일체를 이루고, 걸림돌부(40)와 대칭되는 위치에 "ㄷ"자형상의 이동브라켓(18)이 부착되어 가이드레일(20)과 결합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42는 하측백도어(16)의 상단외부에 부착된 고무지지대, 44는 이동브라켓(18)의 양단에 부착된 로울러, 46은 회동부(34)를 작동시키는 외측손잡이이다.
예시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합자동차의 백도어를 부분절개한 상태의 예시도로서, 차체(10)의 백도어(12)를 상·하로 분리시켜 상측백도어(14)와 하측백도어(16)를 형성하되, 상측백도어(14)의 내측 양단에 수직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레일(20)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레일(20)에는 공압실린더(26)의 내부에 내장된 로드(24)의 상단부와 일체를 이루는 이동브라켓(18)이 결합되어있다.
또한, 하측백도어(16)에는 상단 외부에 고무지지대(42)가 양측에 부착되어 있으며 중앙부에 하측백도어(16)를 개폐시키는 외측손잡이(46)가 부착되고 그 하축으로 힌지브라켓(30)이 리어범퍼(28)에 부착되어 하측백도어(16)는 하단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작동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백도어(12)는 첨부된 예시도면 도 3 의 (가)와 (나) 및 도 4 에 표현된 바와 같이, 차체(10)의 후단부를 이루고 있는 리어필라(22)에 요홈부를 형성하여 그 내부에 양측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레일(20)을 용접에 의해 견고하게 부착시키고, 상기 가이드홈에 이동브라켓(18)을 결합시키되, 이동브라켓(18)의 양단에는 로울러(44)가 가이드홈에 결합되어 이동브라켓(18)은 부드럽게 슬라이드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레일(20)과 결합된 이동브라켓(18)은 상측백도어(14)의 양단에 각각 부착되어있어 리어필라(22)와 상측백도어(14)는 일체를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상측백도어(14)의 하단 중앙에는 걸고리 형상의 걸림부(32)가 부착되어있되, 상기 걸림부(32)와 결합되는 회동부(34)는 하측백도어(12)의 상단 중앙부에 축결합되어 외측의 손잡이(46)와 연동하여 작동됨으로 해서, 상기 손잡이(46)를 상측으로 당기면 축결합된 회동부(34)는 화살표와 같이 작동된다.
이와 같이 회동부(34)가 걸림부(32)로부터 이탈되도록 작동이 되면 상측백도어(14)는 전술한 가이드레일(20)을 따라 승·하강하게 되고, 하측백도어(16)는 하단의 힌지브라켓(30)을 축으로 하여 회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레일(20)을 따라 승·하강하는 상측백도어(14)를 작동시키는 실린더(26)는 상·하측에 에어공급호우스(36)(36′)가 부착이 되어 내부에 내장된 로드(24)의 하단에 부착된 피스톤(38)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키게 됨에 따라 로드(24)는 화살표와 같이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로드(24)의 상부에 돌출된 걸림돌부(40)는 상측백도어(14)와 결합되어 있어 상측백도어(14)가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측백도어(14)를 승강시키려 할 경우, 도면상 미도시되었으나 차체(10)에 장착되어 있는 콤프레셔로부터 압축공기가 실린더(26)의 하측에 부착된 에어공급호오스(36′)를 통해 공급이 되면 로드(24)의 하단에 부착된 피스톤(38)이 상승하면서 로드(24)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로드(24)의 걸림돌부(40)와 일체를 이루는 상측백도어(14)는 승강되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승강된 상측백도어(14)를 하강시키려 할 경우, 실린더(26)의 상측에 부착된 에어공급호오스(36)를 통해 압축공기를 공급시키면 피스톤(38)은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하측의 공기를 밀어내면서 하강하게 되어 상측백도어(14)는 서서히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백도어(12)는 첨부된 예시도면 도 5 에 표현된 바와 같이, 상측백도어(14)는 실린더(26)의 로드(24)가 상승함에 따라 리어필라(22)에 부착된 가이드레일(20)과 수직 슬라이드되도록 결합되어 있어 상승하게 되고, 하측백도어(16)는 하단부의 힌지브라켓(30)을 축으로 하여 화살표와 같이 회동되어 차체(10)의 리어실이 개방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백도어(12)를 수평으로 양분시켜 상측백도어(14)와 하측백도어(16)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측백도어(14)는 공압에 의한 실린더(26)의 작동으로 수직 슬라이드되도록 하고 하측백도어(16)는 하단부의 힌지브라켓(30)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종래와 같이 백도어(2)를 개폐시키는데 있어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상측백도어(14)를 공압에 의해 개폐되도록 하고, 특히 하측백도어(16)를 하방으로 펼칠 수 있으므로 화물을 싣고 내리는데 매우 수월하게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차체(10)의 리어측면을 이루고 있는 백도어(12)를 상측백도어(14)와 하측백도어(16)로 양분시켜 형성하되, 상측백도어(14)는 내측 양단에 수직으로 "ㄷ"자형상의 이동브라켓(18)이 접합되어지고, 이와 결합되는 내측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레일(20)을 양측 사이드패널의 리어필라(22)(22′)에 부착시키되, 일측의 리어필라(22)에는 로드(24)가 내장된 실린더(26)를 부착시켜 상측백도어(14)를 승·하강하도록 구성하고, 하측백도어(16)에는 리어범퍼(28)와 접하는 하단부에 양측으로 힌지브라켓(30)이 부착되어지고, 상기 상측백도어(14)의 하단 중앙부와 하측백도어(16)의 상단 중앙부에 각각 "ㄱ"자형 걸림부(32)와 회동부(34)를 부착시켜 상·하측 백도어(14)(16)가 닫혀지도록 구성된 승합자동차의 백도어.
  2. 제 1 항에 있어서, 공압을 이용한 실린더(26)는 그 상·하측에 에어공급호오스(36)(36′)가 결합되어지고 내장된 로드(24)의 하단에 피스톤(38)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걸림돌부(40)를 부착시켜 상측백도어(14)와 일체를 이루고, 걸림돌부(40)와 대칭되는 위치에 "ㄷ"자형상의 이동브라켓(18)이 부착되어 가이드레일(20)과 결합되어진 승합자동차의 백도어.
KR1019960053747A 1996-11-13 1996-11-13 승합자동차의 백도어 KR100330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3747A KR100330879B1 (ko) 1996-11-13 1996-11-13 승합자동차의 백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3747A KR100330879B1 (ko) 1996-11-13 1996-11-13 승합자동차의 백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405A KR19980035405A (ko) 1998-08-05
KR100330879B1 true KR100330879B1 (ko) 2002-05-09

Family

ID=37479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3747A KR100330879B1 (ko) 1996-11-13 1996-11-13 승합자동차의 백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08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4972A (ko) * 2000-12-07 2002-06-19 이계안 차량용 이중 폴딩 테일게이트
WO2023069769A1 (en) * 2021-03-16 2023-04-27 Bestop, Inc. Arrangement of a vehicle tailgate window assembly and rear corne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405A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5879B2 (en) Motor vehicle with a cargo space and cargo space door
US20060158009A1 (en) Retractable roof panel
US7950719B2 (en) Vehicle dual hinge rear door articulating and sliding system
JP4281163B2 (ja) 車両の後部開閉体構造
US3021174A (en) Hardtop convertible automobile structure
EP1207067B1 (en) Vehicle
US7631921B2 (en) Closure system for a vehicle
US6840567B2 (en) Sliding door structure for vehicle
JPH07305558A (ja) 車両用摺動式の窓
JPH08175187A (ja) コンバーチブル車輛ルーフ
CN101550792A (zh) 汽车滑动门引导件的遮盖装置
JP2003507244A (ja) 自動車の居住空間の取外し可能な被覆用モジュール及びかかるモジュールを備えた自動車
US7891724B2 (en) Safety window in foldable cab door
US5910077A (en) Door actuated extendable strap handle
US7806469B2 (en) Swinging and sliding roof device for motor vehicles
KR100330879B1 (ko) 승합자동차의 백도어
JPH08324459A (ja) 自動車の車体構造
JPH03118283A (ja) 車両の上部車体構造
US7506915B2 (en) Motor vehicle with a hatchback and opening roof part
JP2002046472A (ja) 2ウェイスライド方式の車両用バックドア装置
JPH0425393Y2 (ko)
JP2004203349A (ja) グローブボックスの開閉構造
JP2002160529A (ja) 車両の後部開閉体構造
JP2602723Y2 (ja) サンシェード装置
JPH0617611Y2 (ja) 自動車のサンルー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