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0834B1 - 수평형 신장측정기와 이를 이용한 유아용 체중 겸용 신장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수평형 신장측정기와 이를 이용한 유아용 체중 겸용 신장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0834B1
KR100330834B1 KR1019990000896A KR19990000896A KR100330834B1 KR 100330834 B1 KR100330834 B1 KR 100330834B1 KR 1019990000896 A KR1019990000896 A KR 1019990000896A KR 19990000896 A KR19990000896 A KR 19990000896A KR 100330834 B1 KR100330834 B1 KR 100330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ing
weight
height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0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0794A (ko
Inventor
문제규
Original Assignee
문제규
주식회사 동산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제규, 주식회사 동산제닉스 filed Critical 문제규
Priority to KR1019990000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0834B1/ko
Publication of KR20000050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0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0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08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2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measuring distances on the body, e.g. measuring length, height or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persons
    • G01G19/5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persons having additional measuring devices, e.g. for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06Children, e.g. for attention deficit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52Load cells

Abstract

(1) 발명이 속하는 분야
본 발명은 수평형 신장측정기 및 유아용 체중 겸용 신장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신생아나 유아의 신장을 측정할 수 있는 수평형 신장측정기와, 한대의 기구에서 단계적으로 용이하게 체중과 동시에 신장을 측정할 수 있는 유아용체중 겸용 신장측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3) 발명의 구성
본 발명중의 일 발명인 수평형 신장측정기는, 신장측정용 리니어인코더를 좌우 각각에 길이방향으로 뉘여서 함체에 설치하고 각각의 리니어인코더의 슬라이더상단에는 지지대에 발광 및 수광 적외선센서를 측정판의 전후방 상방에서 서로 대향지게 마주보면서 좌우로 이동자유롭게 설치한 이동센서대를 구비시켜 좌우측 신장측정대를 형성하여서, 상기 좌우측 신장측정대를 각각 제어장치에 의하여 독립적으로 작동제어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중의 일 발명인 유아용 체중 겸용 신장측정기는, 일측방으로 길고 상방이 개방되며 전방측에는 센서이동대가, 후방측에는 수개의 제어스위치와 제어회로기판에 일체로 설치된 체중치표시부와 신장치표시부들이 설치되는 측정표시대가 형성된 장방형의 함체에 중앙 일측 저면에는 로드셀을 고정하여 상기 제어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이 로드셀의 측정단 상단에는 함체의 내부 전면적에서 상하로 이동 자유롭게 설치되는 측정판을 일체로 부착시키며, 상기 함체 바닥판의 상면에서 로드셀의 전방측에는 상기 수평형 신장측정기를 설치하여, 수평형 신장측정기의 이동센서대에 설치된 좌우측 각각의 발광 및 수광 적외선센서들이 상기 측정판의 전후방 상방에서 좌우로 각각 이동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평형 신장측정기와 이를 이용한 유아용 체중 겸용 신장측정장치{weight &height horizontal device of measurement for baby}
본 발명은 수평형 신장측정기와 이를 이용한 유아용 체중 겸용 신장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체중 겸용 신장측정장치는 여러 가지가 제공되어 있었으나, 이들은 대부분이 아동이나 성인들만 사용할 수 있는 직립형이어서 유아용으로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피측정자의 체중과 신장을 동시에 또는 단계적으로 한 대의 기구에서 측정할수 있는 체중 겸용 신장측정장치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체중을 측정하는 체중계와 신장을 측정하는 신장측정기를 단일 몸체로 구성하여야하고,
또한 체중계에 측정자가 올라선 후 신장측정기의 기둥에 기대면 체중계에서 자동으로 체중이 계측되고, 이어서 신장측정기의 측정대가 신장을 측정하여, 계측된 체중치와 신장치를 일정위치에 설치한 계시판에 종합적으로 표시되도록 하여, 측정자나 피 측정자가 용이하게 체중과 신장을 일목요연하게 한 곳에서 판독할 수 있는 특성을 구비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특성을 갖는 체중 겸용 신장측정장치 및 기구들은 본 출원인의 선 발명인 국내 실용신안공고 제96-8137호,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113978호, 국내실용신안등록출원 제96-29934호 등에 게재 및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 발명들의 체중 겸용 신장측정장치들은 체중의 측정과 함께 한 대의기구에서 신장을 단계적으로 측정할 수 있고, 부수적으로는 체중치와 신장치를 비교하여 비만도(肥滿度)등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신장측정장치의 구성이 아동이나 성인등과 같이 피측정자가 스스로 측정대에 올라서거나 기대어야만 사용할 수 있는 직립형이어서, 신생아나 유아용으로는 전혀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아동이나 성인용의 직립형 체중 겸용 신장측정장치의 단점을 해결하고져 제공되는 것으로서, 일 목적은 신생아나 유아용의 수평형 체중 겸용 신장측정장치를 구성할 수 있는 수평형 신장측정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신생아나 유아의 체중과 신장을 한 대의 기구에서 단계적으로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으면서 체중 및 신장측정치의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는 유아용 체중 겸용 신장측정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유아용 체중 겸용 신장측정장치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유아용 체중 겸용 신장측정장치의 내부 평면도
도3은 제2도의 구성중 A - A 선 단면도
도4는 제2도의 구성중 B - B 선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구성중 신장측정기의 일측 신장측정대 측면구성도
도6은 본 발명의 수평형 신장측정기 구성중 리니어인코더의 단면도
도7은 제6도의 구성중 C - C 선 단면도
도8은 제6도의 구성중 슬라이더의 배면구성도
도9는 제6도의 구성중 슬라이더와 스케일프레임의 접동구조확대도
도10은 본 발명에 실시되는 리니어스케일의 구성도
도11은 본 발명에 실시되는 이동센서대의 적외선센서 장착도
도12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의 유아용 체중 겸용 신장측정장치의 작동제어장치 블록다이어그램
도13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 유아용 체중 겸용 신장측정장치의 체중 및 신장측정 순차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함체 11:함체의 바닥판 12:측정함실
13:측정표시대 131:체중치표시부 132:신장치표시부
14:센서이동대 15:전원스위치 16:영점스위치
17:체중 세팅스위치 18:제어회로기판 19:발스위치
20,20a:좌우측 신장측정대 21,21a:좌우측 슬라이더
211:상판부재 212,213:전,후방부재 212a:와이어 고정부재
214:중간부재 215:고정보울트 216,217:구멍
218:안내로울러 219:축보울트 22,22a:좌우측이동센서대
221,221a:좌우측 수평지지대 222,223:좌측 전,후방 수직지지대
222a,223a:우측 전,후방 수직지지대 224,225:전,후방 반투명투과판
23,23a:좌우측 스케일프레임 231:리니어스케일 고정대
232:안내레일부 25,25a:좌우측리니어스케일 251:상한눈금부
252:정상눈금부 253:하한눈금부 26:포토센서
30:받침대 31:로드셀 311:로드셀측정단 32:측정판
33:스프링 Ba:기어드모터 브라켓 Bb:풀리 브라켓
CPU:중앙처리장치 M,Ma:좌우측기어드모터
MP, MPa:구동풀리 MPe:풀리홈
P1:좌측신장측정대 회전풀리 P1a:우측신장측정대 회전풀리
P2,P3:좌측신장측정대 방향전환풀리 P2a,P3a:우측신장측정대 방향전환풀리
S1,S2:발광 및 수광 적외선센서 W,Wa:좌우측 와이어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평형 신장측정기의 구성은, 일정길이에 걸쳐 슬릿형의 정상눈금부 및 좌우 끝단측으로 하한눈금부와 상한눈금부가 형성된 리니어스케일과, 상기 리니어스케일이 바닥면에 세워져 고정된 스케일프레임과, 상기 리니어스케일에 접선하는 포토센서를 하단면에 내설하고 상기 스케일프레임의 상단에서 안내장치에 의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자유롭게 조립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를 스케일프레임의 좌우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더 구동장치 등으로 구성되는 신장측정용 리니어인코더(linear encoder)를 기본부재로 하여, 상기 기본부재슬라이더의 상단에 발광 및 수광 적외선센서가 전후방간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대에 의하여 일정높이로 대향지게 설치된 이동센서대를 구비시켜 신장측정대를 형성하여서, 상기 신장측정대를 좌우로 긴 장방형의 함체내에 길이방향에 걸쳐서 좌우 대칭으로 한 쌍을 고정설치하여 좌우측 신장측정대로 형성시키고 이 좌우측 신장측정대는 각각 제어장치에 의하여 독립적으로 작동제어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성인 유아용 수평형 체중 겸용 신장측정장치의 구성은, 유아가 가로방향으로 뉘여질수 있는 평면적을 갖는 장방형의 함체를 몸체로 하여 그 내부에, 로드셀(road sell)을 이용한 체중측정기와, 상기 일 구성으로 개시되는 이동센서대와 리니어인코더를 조합하여 구성한 신장측정기와, 상기 체중측정기와 신장측정기의 측정작업을 제어하면서 각각에서 측정된 체중치와 신장치를 함체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측정표시대에 디지털숫자로 표시하는 제어장치를 일체로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수평형 신장측정기와 유아용 체중 겸용 신장측정장치는 본 발명에 의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개시되는 발명이나, 수평형 신장측정기는 유아용 체중겸용 신장측정장치의 일 구성요소로 사용되므로 이하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효과를 첨부된 일실시예의 유아용 체중 겸용 신장측정장치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1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의 유아용 체중 겸용 신장측정장치의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 유아용 체중 겸용 신장측정장치는, 가로방향으로 긴 장방형의 함체(10)를 몸체로 하여, 그 내부에는 로드셀(31)을 이용한 체중측정기와 리니어인코더를 응용한 신장측정기를 구비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체중측정기와 신장측정기를 일련의 제어방법으로 제어하여 측정된 소정의 체중치와 신장치를 각각 함체의 상면 일측에 형성된 측정표시대(13)에 디지털숫자로 환산하여 표시하는 중앙처리장치(CPU)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함체(10)의 구성은 좌우로 긴 장방형으로 되어, 후방 상측에는 일정규격의 폭과 높이를 갖는 측정표시대(13)가 가로방향으로 형성되고, 중앙측은 상부가 개방되어 유아가 가로방향으로 뉘여질수 있는 평면적을 갖는 일정체적의 측정함실(12)로 형성되며, 전방측에는 좁은 폭과 일정 높이를 갖는 센서이동대(14)가 형셩된다.
측정표시대(13)는 후술하는 신장측정기의 구성중 좌우측 이동센서대(22)(22a)들의 후방 수직지지대(223)(223a)들이 측정판(32)의 후방측에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위하여, 측정판(32) 보다 일정높이 높으면서 전후방간에 좁은폭으로 형성되어 상방은 밀폐되고 하방은 개방되며, 전방부 하단측은 후술하는 측정판(32)과의 사이에 일정높이의 개방부가 형성되어 후방 반투명투과판(225)이 설치된다.
상기 측정표시대(13)의 상면판중 전면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그 중간 외측면에는 디지털표시소자로 된 체중치표시부(131)와 신장치표시부(132)가 일렬로구분 설치되고, 일측에는 전원스위치(15), 영점스위치(16) 및 체중 세팅스위치(17)가 설치되며, 내부에는 중앙처리장치(CPU)등이 설치되는 제어회로기판(18)이 설치된다.
측정함실(12)의 내부면 바닥판(11)의 중앙에는 상기 제어회로기판(18)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로드셀(31)이 받침대(30)에 의하여 고정설치되고, 로드셀측정단(311)의 상단에는 측정표시대(13)와 센서이동대(14)보다 낮은 높이에서 측정함실(12)의 측면판들에 간섭되지 않고 상하 유동자유롭게 측정판(32)이 수평으로 고정 조립된다.
상기 센서이동대(14)는 후술하는 신장측정기의 구성중 좌우측 이동센서대(22)(22a)들의 좌우측 전방 수직지지대(222)(222a)들이 측정판(32)의 전방측에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측정판(32) 보다 일정높이 높으면서 전후방간에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 상방은 밀폐되고 하방은 개방되며, 후방부 하단측은 측정판(32)과의 사이에 일정높이의 개방부가 형성되어 전방 반투명투과판(224)이 설치된다.
신장측정기는 상기와 같은 함체(10)의 측정함실(12) 내부에서 바닥판(11)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좌우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좌우측 신장측정대(20)(20a)를 한조로 조립하여 형성된다(도2 참조).
상기 좌우측 신장측정대(20)(20a)는 설치방향만 상이할 뿐 각각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좌측 신장측정대(20)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함체(10)에 설치된 좌측 신장측정대(20)의 측면 구성도이고, 도 6은좌측 신장측정대(20)의 구성중 리니어인코더인 슬라이더(21)와 스케일프레임(23)및 리니어스케일(25)과 포토센서(26)와의 접속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좌측 신장측정대(20)는, 찬넬부재로 형성되고 수개의 발광및 수광 적외선센서(S1)(S2)들을 전후방으로 마주보게 설치한 좌측 이동센서대(22)와, 상기 좌측 이동센서대(22)를 상단에 지지하고 내부에는 리니어인코더의 포트센서(26)가 내설된 좌측 슬라이더(21)와, 상기 슬라이더(21)가 슬라이딩 구조로 조립되고 내부에 리니어인코더의 리니어스케일(25)이 구비된 좌측 스케일프레임(23)과, 상기 슬라이더(21)를 스케일프레임(23)에서 좌우측간에 왕복이동시키는 슬라이더 구동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센서대(22)의 구성은 제3-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슬라이더(21)의 상단에 보울트등의 고정부재로 고정되는 수평지지대(221)와, 이 수평지지대 (221)의 양단에서 상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측정표시대(13)의 내부와 센서이동대 (14)의 내부에 까지 연장되는 전,후방 수직지지대(222)(223)들로 구성되고, 전후방 수직지지대(222)(223)의 상단 내측에는 각각 수개의 발광 및 수광 적외선센서(S1)(S2)들이 각각 측정판(32)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서 전,후방 반투명투과판(224)(225)의내측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더(21)의 구성은 도5,6,7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동센서대(22)의 수평지지대(221)를 지지하는 상판부재(211)와, 이 상판부재(211)의 전후방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스케일프레임(23)의 단면폭 보다 넓게 형성되는 전,후방부재(212)(213)와, 상기 상판부재(211)의 하면 중간에서 스케일프레임(23)의 내측으로 인입되게 돌출된 중간부재(214)로 구성되어,
상기 슬라이더 중간부재(214)의 하단 일측에는 후술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리니어인코더의 포토센서(26)가 리니어스케일(25)의 눈금부를 깜싸듯이 고정부착된다(도6 참조).
상기 슬라이더 전방부재(212)의 중간에는 좌우로 2개의 구멍(216)(217)들이 형성된 와이어 고정부재(212a)가 하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이 2개의 구멍(216)(217)들 사이에는 와이어 고정보울트(215)가 나사조임식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 전,후방부재(212)(213)들의 하단에는 각각 2개의 안내로울러(218)들이 축보울트(219)들에 의하여 피봇형으로 아이들 축설되어 후술하는 스케일프레임(23)의 전후측단에 형성된 안내레일부(232)에 접동된다.
상기 스케일프레임(23)은 상방이 터진 일정길이의 '∪' 자 단면형 압출부재로 되어, 그 내부 하단판 중앙에는 리니어인코더의 리니어스케일(25)이 상기 슬라이더(21)의 포토센서(26)와 접속되게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세워져 고정대(241)에 고정 부착되며, 찬넬부재의 전후방 측단에는 상기 슬라이더(21)들의 안내로울러(218)들이 안내되는 안내레일부(242)가 전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니어스케일(25)의 구성은 시작단에는 일정면적에 걸쳐 검게 처리되어서 하이(Hi)펄스를 형성하는 상한눈금부(251)가 형성되고, 끝단부에 일정면적에 걸쳐 눈금부가 없어서 로우(Lo)펄스를 형성하는 하한눈금부(253)가 형성되며, 상,하한눈금부 사이에는 일정간격의 띠형 정상눈금부(252)가 형성되어 있다(도10 참조).
이와같은 구성의 좌측 슬라이더(21)와 좌측 스케일프레임(23)에는 기어드모터(M), 구동풀리(MP), 와이어(W), 회전풀리(P1), 방향전환풀리(P2)(P3) 등의 요소로 구성된 센서대구동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기어드모터(M)는 스케일프레임(23)의 우측 끝단에 브라켓(Ba)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고정설치되어 그 출력측에는 스케일프레임(23)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서 회동하고 스케일프레임(23)의 전후 폭보다 큰 직경의 풀리홈(MPe)을 갖는 구동풀리(MP)가 축설되며,
회전풀리(P1)는 스케일프레임(23)의 폭보다 큰 직경을 갖고 스케일프레임(23)의 좌측단에서 풀리브라켓(Bb)에 의해 수평으로 아이들 측설되며, 방향전환풀리(P2)(P3)들은 구동풀리(MP) 보다 하방 위치에서 전후방 부재의 외측에 각각 피봇형으로 아이들 축설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스케일프레임(23), 슬라이더(21), 기어드모터(M), 구동풀리(MP), 회전풀리(P1), 방향전환풀리(P2)(P3)등의 요소들은 도2,5등에 도시한 바와같이, 가느다란 금속재 와이어(W)를 구동풀리(MP)의 풀리홈(MPe)의 상단부 반원호에 감아서 일측 자유단은 후방측 방향전환풀리(P3) 일부를 감아돌려 슬라이더(21)의 와이어 고정부재(212a)의 일측 구멍(216)을 통해 내측에서 외측으로 뽑아서 고정보울트(215)의 축봉을 일측으로 감아 돌아 타측 구멍(217)을 통해 다시 내측으로 뽑은 후, 계속하여 좌측방으로 당겨 회전풀리(P1)에 감아 돌려 스케일프레임(23)의 전방측에 위치시키고,
타측 자유단은 전방측 방향전환풀리(P2)의 일부를 감아돌리면서 스케일프레임(23)의 전방에서 좌측방으로 당겨서 스프링(33)으로 상기 회전풀리(P1)에 감아돌려진 타측 자유단과 연결하여 무한궤도로 형성시킨 구성이다.
상기한 구성에서 와이어(W)의 양측 자유단을 결속하여 무한궤도로 형성하는 스프링(33)은 구동풀리(MP)와 회전풀리(P1), 방향전환풀리(P2)(P3)들 간에 무한궤도로 감겨진 와이어의 장력을 적정하게 조절하기 위하여 구비된 것이다.
이와같은 슬라이더 구동장치에 의하면 좌측 슬라이더(21)가 스케일프레임(23)의 좌측에 있는 상태에서 기어드모터(M)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슬라이더(21)는 우측(함체의 중앙측)으로 이동되고, 기어드모터(M)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슬라이더(21)는 다시 좌측(함체의 외측)으로 각각 이동제어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좌측 신장측정대(20)는 함체(10)의 바닥판(11) 상면에서 기어드모터(M)는 중앙측에, 회전풀리(P1)는 함체의 좌측변에 위치되게 가로방향으로 고정설치되고,우측 신장측정대(20a)는 상기 좌측 신장측정대(20)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되어 우측 기어드모터(Ma)를 좌측 기어드모터(M)의 전방측에서 다소의 간격을 두고 겹쳐지게 위치시키고, 우측 회전풀리(P1a)는 방는 함체의 우측변에 위치되게 가로방향으로 고정설치하는 형식으로 좌측 신장측정대(20)와 좌우 대칭으로 설치된다.
미설명부호 19는 신장측정기를 작동시키고져 측정자가 발로 밟았을 때에 후술하는 신장측정기의 좌우측 모터시동제어부에 기동신호를 인가시키도록 중앙처리장치(CPU)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스위치이고,
부호 21a는 우측 슬라이더, 부호 22a는 우측 이동센서대, 부호 221a는 우측수평지지대, 부호 222a,223a는 우측 전후방수직지지대, 부호 23a는 우측 스케일프레임, 부호 25a는 우측 리니어스케일, 부호 MPa는 우측 구동풀리, 부호 Wa는 우측와이어 등을 각각 표시한 것이다.
중앙처리장치(CPU)는 상기와 같은 구성의 체중측정기와 신장측정기 및 측정표시대(13) 등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측정표시대(13)의 배면에 고정되는 제어회로기판(18)상에 구비된다.
중요구성으로는 도12에 표시한 바와같이, 전원스위치(15)에 의하여 단속 공급되는 전원을 적정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체중측정기의 로드셀(31), 좌우측 신장측정기(20)(20a)의 기어드모터(M)(Ma)들 및 좌우측 이동센서대(22)(22a)들의 발,발광 적외선센서(S1)(S2)들 및 좌우측 슬라이더(21)(21a)들의 포토센서(26)들에 적정의 작동전압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체중측정기의 로드셀(31)에서 감응된 체중측정데이터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체중치 측정데이터변환부와,
체중치 측정데이터변환부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체중치로 연산하여 채중치표시부에 인가시키고, 동시에 발육성장치(發育成長値)연산부에 인가시키는 체중치연산부와,
체중측정을 하기전에 영점스위치가 조작되면 로드셀의 측정 초기값과 체중치표시부의 표시를 영점으로 세팅하는 영점세팅회로와,
체중을 측정한 후에 측정된 체중치를 체중치표시부에 표시함에 있어서 체중세트스위치를 조작하면 영점세팅회로에서 영점세팅신호가 인가되기 전까지 표시된 체중치를 고정표시하는 체중치세트회로 등의 체중측정기 제어회로가 구비되며, 신장측정기의 구동제어회로로는, 각각의 좌우측 이동센서대(22)(22a)들에 설치된 발, 수광 적외선센서(S1)(S2)들간에 교류되던 적외선이 신체에 감응되어 차단되면 좌우측 신장측정대들의 모터역전제어부를 각각 독립적으로 기동시키는 이동센서감지부들과,
발스위치(19)에서 작동신호가 인가되면은 좌우측 슬라이더들의 포토센서(26)들이 대기위치에서 일차직으로 상한눈금부(251)를 거친 후 정상눈금부(252)와 접속되어 중앙측으로 이동되도록 좌우측 신장측정대(20)(20a)의 기어드모터(M)(Ma)들을 각각 독립적으로 기동제어하는 모터시동제어부와,
시동된 좌우측 기어드모터(M)(Ma)들에 의해서 좌우측 슬라이더(21)(21a)들이 각각 함체의 중앙측으로 이동되는 상태에서, 이동센서감지부의 역전작동신호가 인가되거나, 또는 상기 슬라이더들에 설치된 포토센서(26)들이 하한눈금부(253)에서 로우(Lo)펄스를 검출하여 리니어펄스카운트부에서 역전기동신호를 인가받으면 좌우측 각각의 기어드모터(M)(Ma)들을 각각 독립적으로 역전기동시키게 제어하는 모터역전제어부와,
모터역전제어부에 의해서 좌우측 기어드모터(M)(Ma)들이 역전기동되어 좌우측 슬라이더(21)(21a)들이 각각 함체의 외측방측으로 환원이동되는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들에 설치된 포토센서(26)들이 상한눈금부(251)에서 하이(Hi)펄스를 검출하여 리니어펄스카운트부에서 정지기동신호를 인가받으면 좌우측 각각의 슬라이더(21)(21a)들을 각각 독립적으로 대기위치로 정지시키는 모터정지제어부 등으로 구성된 좌우측 신장측정대 기동제어부가 구비되고,
신장측정기의 신장측정제어회로로, 상기 좌우측 신장측정대의 모터시동제어부에 의하여 좌우측 기어드모터(M)(Ma)들에 기동전압이 공급되어서 좌우측 각각의 슬라이더(21)(21a)들이 기동되면은, 슬라이더에 내장되어 함께 기동되는 포토센서(26)들에 의하여 검출되는 좌우측 각각의 리니어스케일(25)(25a)들의 펄스를 카운트하여서, 촤우측 각각의 슬라이더(21)(21a)들이 기어드모터(M)(Ma)들의 역전기동에 의하여 외측으로 환원되기 전까지 각각의 포토센서(26)들이 각각의 리니어스케일(25)(25a)들과의 신장측정궤적에서 검출한 정상눈금부(252)에서의 펄스를 카운트하여 측정테이터를 신장치연산부에 인가시키고, 또한 좌우측 각각의 포토센서(26)들이 좌우측 각각의 리니어스케일 하한눈금부(253)에서 로우(Lo)펄스를 검출하면은 해당 모터역전제어부를 기동하게 작동신호를 인가시키며, 모터역전제어부에 의해 좌우측 슬라이더(21)(21a)들이 외측으로 환원될 때에 포토센서(26)들이 리니어스케일 상한눈금부(251)에 접속하여 하이(Hi) 펄스를 감출하면은 좌우측 슬레이더(21)(21a)들을 각각 독립적으로 대기위치로 정지시키게 모터정지제어부에 작동신호를 인가시키는 제어회로등을 구비한 리니어인코더카운트부와,상기 리니어인코더카운트부에서 인가된 좌우측 각각의 측정데이터를 신장치로 연산하고, 이 연산된 데이터를 신장치표시부에 신장치로 인가하는 동시에 발육성장치연산부에 인가시키는 신장치연산부와,
상기 체중치연산부와 신장치연산부에서 인가된 테이터를 소정의 발육성장지수에 의하여 발육성장치를 연산하는 발육성장치연산부등의 제어회로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구성에 의하면 도13의 순차흐름도와 같이 유아의 체중 및 신장측정작동이 이루어진다.
함체(10)의 일측에 마련된 전원접속구(미도시)를 전원콘센트에 접속한 상태에서 측정표시대(13)에 설치된 전원스위치(15)를 온(ON)하면 중앙처리장치(CPU)의 전원부에서는 중앙처리장치(CPU)의 제반 제어회로 및 체중측정기의 로드셀(31)등에 적정의 작동전압을 공급하여 체중측정기 및 신장측정기는 측정대기상태로 되고, 측정표시대(13)에 설치된 영점스위치(16)를 눌러 주면 체중치표시부는 영점으로 표시된다.
피측정자인 신생아나 유아를 측정판(32)에 올려 놓으면 로드셀(31)에 작동감응되어, 그 감응된 데이터(전압)는 중앙처리장치(CPU)의 체중치 측정데이터변환부에 인가된다.
측정데이터변환부에서는 인가된 체중측정데이터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체중치연산부에 인가시키고, 체중치연산부는 인가된 데이터를 체중치로 연산하여 연산된 체중치가 적정의 체중측정상태인지를 판단하여서 적정의 체중측정상태이면 체중치를 측정표시대(13)의 체중치표시부(131)에 인가시켜 디지털숫자로 표시하며, 동시에 발육성장치연산부에 인가시키고, 부적정의 체중측정상태이면 이후의 작동제어를 중지하고 체중측정기를 대기상태로 환원시킨다.
체중치표시부(131)에 피측정자의 체중치가 정상적으로 표시되면 측정자는 체중 세팅스위치(17)를 눌러 체중치표시를 고정시킨 뒤에 신장측정을 실시한다.
신장측정은 피측정자인 유아가 측정판(32)에 올려진 상태에서 측정자가 유아의 머리와 다리를 측정판의 가로방향으로 곧게 뉘어 놓은 후 발스위치(19)를 눌러주므로서 시작된다.
발스위치(19)를 눌러주면, 상술한 설명과 같이 중앙처리장치(CPU)에 구비된 좌우측 신장측정대 각각의 모터시동제어부가 기동되어서 좌우측신장 측정대(20)(20a)의 기어드모터(M)(Ma)들을 시동시키는 바, 좌우측 모터시동제어부의 제어회로에 의하여 포토센서(26)들이 대기위치에서 일차적으로 상한눈금부(251)를 거친 후 정상눈금부(252)와 접속되어 중앙측으로 이동되도록 좌우측 신장측정대(20)(20a)의 기어드모터(M)(Ma)들을 각각 독립적으로 기동제어하게된다.
좌우측 신장측정대(20)(20a)의 좌우측 슬라이더(21)(21a)들이 각각 독립적으로 좌우측 스케일프레임(23)(23a)들을 따라 외측에서 중앙측으로 이동하게되면,
각각의 좌우측 슬라이더(21)(21a)들의 중간부재(214)에 설치된 포토센서(26)들 및 슬라이더들의 상단에 일체로 고정된 좌우측 이동센서대(22)(22a)들도 중앙측으로 이동하게되어 신장측정작동이 시작된다.
좌측 신장측정대(20)에서는 좌측 슬라이더(21) 및 좌측 슬라이더(21)의 상단에 일체로 고정되고 전,후방 수직지지대(222)(223)의 상단에 설치된 발,수광 적외선센서(S1)(S2)들 간에 적외선을 교신하고 있는 좌측 이동센서대(22)가 함체의 체중측정함실(12)의 좌측에서 중앙측으로 이동하면은, 발,수광 적외선센서(S1)(S2)들간에 교신되고 있던 적외선이 피측정자의 머리 선단에 접선되어 발광적외선센서(S1)에 적외선이 차단되는 즉시로, 중앙처리장치(CPU)의 좌측신장측정대 이동센서부에서는 이에 감응하여 즉시 좌측신장측정대 기동제어부의 모터역전제어부를 기동시켜 기어드모터(M)에 공급되는 전류를 역방향으로 변환하여 공급하게되고, 기어드모터(M)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좌측 슬라이더(21)는 외측으로 환원하게된다.
상기와 같이 좌측 슬라이더(21)가 외측에서 중앙측으로 이동하다가 좌측 이동센서대(22)에 의한 피측정자의 머리감응작용으로 다시 외측방으로 환원하여 새 리니어스케일(25)의 외측단에 형성된 상한눈금부(251)에 이르게 되면, 중앙처리장치(CPU)의 리니어인코더카운트부가 하이(Hi) 펄스를 검출하게 되어, 좌측 신장측정대기동제어부의 모터정지제어부를 기동시켜 기어드모터(M)에 공급되는 전압을 차단하여 좌측 슬라이더(21)를 측정대기위치로 정지시키게된다.
이와같은 좌측 슬라이더(21)의 신장측정작동제어행정에 의하면, 좌측 슬라이더(21)의 중간부재(214)에 내설된 포토센서(26)도 동일한 행정으로 작동제어되어, 리니어스케일(25)의 정상눈금부(252)와 초기위치에서부터 중앙측으로 이동하다가 환원되기까지 접선되는 좌측 신장측정궤적을 가지게 되고,
이러한 좌측 포토센서(26)의 좌측 신장측정궤적은 상기한 좌측 슬라이더(21)의 작동제어와 동시에 중앙처리장치(CPU)의 리니어인코더카운트부가 정상눈금변위펄스를 카운트하여 신장치연산부에 좌측 신장측정데이터를 인가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한 좌측 신장측정대(20)와 대칭으로 함체의 바닥판(11) 우측에 설치된 우측 신장측정대(20a)에서도 상기한 좌측 신장측정대와는 독립된 제어회로로제어되면서 동일한 행정의 신장측정작동이 이루어지는 바,
우측 신장측정대(20a)에서는 우측 슬라이더(2a1) 및 우측 슬라이더(21a)의상단에 일체로 고정되고 전후방 수직지지대(222a)(223a)들에 설치된 발,수광 적외선센서들 간에 적외선을 교신하고 있는 우측 이동센서대(22a)가 함체의 측정함실(12)의 좌측에서 중앙측으로 이동하다가, 발,수광 적외선센서들 간에 교신되고 있던 적외선이 피측정자의 머리 선단에 접선되어 발광 적외선센서에 적외선이 차단되는 즉시로, 중앙처리 장치(CPU)의 우측신장측정대 이동센서감지부에서는 이에 감응하여 즉시 우측신장측정대의 모터역전제어부를 기동시켜 우측 기어드모터(Ma)에 공급되는 전류를 역방향으로 변환하여 공급하게되고, 기어드모터(Ma)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우측 슬라이더(21a)는 외측으로 환원하게된다.
상기와 같이 우측 슬라이더(21a)가 외측에서 중앙측으로 이동하다가 우측 이동센서대(22a)에 의한 피측정자의 발바닥 감응작용으로 다시 외측방으로 환원하여서 우측 리니어스케일(25a)의 외측단에 형성된 상한눈금부(251)에 이르게 되면, 중앙처리장치(CPU)의 리니어인코더카운트부가 하이(Hi) 펄스를 검출하게 되어, 우측신장측정대 기동제어부의 모터정지제어부를 기동시켜 우측 기어드모터(Ma)에 공급되는 전압을 차단하여 우측 슬라이더(21a)를 측정대기위치로 정지시키게된다.
이와같은 우측 슬라이더(21a)의 신장측정작동제어행정에 의하면, 우측 슬라이더(21a)에 내장된 포토센서도 동일한 행정으로 작동제어되어, 우측 리니어스케일(25a)의 정상눈금부 초기위치에서부터 중앙측으로 이동하다가 환원되기까지 접선되는 우측 신장측정궤적을 가지게 되고,
이러한 우측 신장측정대측 포토센서의 우측 신장측정궤적은 상기한 우측 슬라이더(21a)의 작동제어와 동시에 중앙처리장치(CPU)의 리니어인코더카운트부가 정상눈금변위 펄스를 카운트하여 신장치연산부에 우측 신장측정데이터를 인가시키게된다.
상기와 같이 좌우측 신장측정대들이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되어 좌우측 각개의 신장측정데이터를 신장치연산부에 인가시키게되면, 신장치연산부에서는 미리 입력되어 있는 신장치연산회로에 의하여 좌우측 초기 정상눈금부간의 전체길이에서 좌우측 각각의 신장측정궤적으로 검출된 길이를 제(-)하여 피측정자의 신장치를 연산하게되고, 이 연산치는 측정표시대(13)에 설치된 신장치표시부(132)에 인가되어디지털숫자로 표시되고 동시에 발육성장치연산부에도 인가시키게된다.
한편 발육성장치연산부에 상기와 같은 체중측정기 및 신장측정기를 통해서 체중치와 신장치의 연산데이터가 입력되면, 미리 입력되어 있는 발육성장지수 연산프로그램에 의하여 연령대비 체중치와 신장치에 대하여 발육성장치를 연산하게되고, 이 발육성장치 데이터는 프린터등을 부설할 경우에 인쇄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정상적인 신장측정작동은 측정판(32)에 피측정자가 신장측정작동이 완료될 때까지 바른자세로 올려져 있을 경우에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신장측정작동을 실시하는 중간에 피측정자를 측정판(32)에서 내려 놓거나 피측정자가 없이 발스위치(19)를 눌러 신장측정기를 기동시키는 비정상적인 신장측정상태에서는 신장측정대가 다음과 같이 작동제어된다.
비정상적인 신장측정상태에서는 좌우측 신장측정대 전부에서 또는 어느 일측의 이동센서대가 신체를 감응을 하지 못하게되므로, 중앙처리장치(CPU)의 이동센서감지부에 의한 모터역전제어부의 기동제어가 일어나지 않게된다.
중앙처리장치(CPU)의 이동센서감지부에의한 모터역전제어부의 기동제어가 일어나지 않으면 이동센서대는 중앙측으로 계속 이동하게되어 슬라이더에 내장된 포토센서(26)는 리니어스케일(25)의 하한눈금부(253)에 이르게 되어 로우(Lo) 펄스를검출하게된다.
리니어인코더에서 좌,우 어느 일측이나 전부에서 포토센서(26)에 의하여 로우(Lo) 펄스를 검출하게 되면, 전술한 중앙처리장치(CPU)의 구성설명과 같이 리니어인코더카운트부에서는 해당 이동센서대의 모터역전제어부에 기동신호를 인가하여서 해당 슬라이더의 기어드모터를 역전구동시키게 되고, 역전구동 이후의 작동제어는 전술한 정상적인 작동제어와 동일하게 이루어져 슬라이더를 대기위치로 정지시키게 제어된다.
상기한 구성의 신장측정기와 그 제어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측정자가 측정된신장치 판독성을 높이기 위하여 부수적으로 신장치표시유지회로를 중앙처리장치(CPU)에 구비할 수 있다.
즉, 체중 겸용 신장측정기는 여러사람이 사용하는 것이고, 측정된 체중치와 신장치는 별도의 인쇄장치를 설치하지 않으면 측정치의 기록에 어려움이 있다.
측정된 체중치는 체중 세트스위치를 조작하면 체중치표시부에 표시된 체중치가 신장측정상태에서도 그대로 유지될 수 있으나, 측정자가 신장치를 필기로 기록하기 위하여서는 신장치의 표시도 일정시간 유지되는 것이 유리하다.
신장치표시유지회로는 상기 신장치연산부에 연산된 신장치를 신장치표시부에디지털숫자로 표시함에 있어서, 신장치표시부에 인가된 신장치를 발스위치가 재작동하기 전까지는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신장치연산부에 또는 별도의 회로로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유아의 체중 측정은 체중측정기를 사용상태로 세팅한 상태에서 유아를 측정판에 올려 놓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체중을 측정할수 있고, 이어서 신장을 측정할 때는 측정판을 신장측정판 겸용으로 사용하면서, 좌우측으로 대칭되게 2대의 리니어인코더형 신장측정대를 설치하고, 신장측정센서인 이동센서대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제어하는 구성으로 형성하므로서, 체중측정이 끝난 후 바로 측정판에 올려진 유아가 중앙을 기점으로 좌우 어느 일측편으로 치우쳐 올려지더라도 유아의 몸체를 길이방향으로만 곧게 펴서 눕힌 후 발스위치만 눌러 조작하면 좌우측 신장측정대들이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제어되면서 자동적으로 신장측정을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수평형 신장측정기의 특징은 체중 겸용 신장측정장치를 유아용으로 구성함에 있어서, 종래의 체중 겸용 신장측정장치들에서 측정자가 측정판에 눕혀진 유아의 발바닥을 측정판이 설치된 함체의 어느 일측벽에 고정시킨 후 머리측까지의 길이를 측정하였던 불편함을 해소하여, 신장측정작업을 매우 간편하면서도 신속,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작동특성을 갖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 유아용 체중 겸용 신장측정장치의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시한 것으로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수평형 신장측정기는 일실시예의 체중측정기와
체중측정기와 신장측정기의 구성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로 형태로 변경 실시하여서도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유아용 체중 겸용 신장측정장치는 피측정자를 눕혀서 사용하는 수평형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피측정자가 체중계와 측정대에 올라서서 사용하여야 하는 종래의 직립형 체중 겸용 신장측정장치로 측정할 수 없었던 유아들의 체중 및 신장을 한 대의 기구에서 단계적으로 매우 용이하면서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자는 측정표시대의 체중치표시부와 신장치표시부에서 각각 피측정자의 체중치와 신장치를 일목요연하게 디지털숫자로 파악할 수 있으면서 부가적으로는 발육성장치를 별도의 계산없이 곧바로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

Claims (7)

  1. 일정 길이의 정상눈금부의 좌우 끝단측으로 하한눈금부와 상한눈금부가 형성된 리니어스케일과, 상기 리니어스케일이 바닥면에 세워져 고정된 스케일프레임과,상기 리니어스케일에 접선하는 포토센서를 하단면에 내설하고 상기 스케일프레임의 상단에서 안내장치에 의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조립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를 스케일프레임의 좌우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더 구동장치로 구성되는 신장측정용 리니어인코더(linear encoder)를 기본부재로 하여, 상기 기본부재 슬라이더의 상단에 발광 및 수광 적외선센서가 전,후방간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대에 의하여 일정 높이로 대향지게 설치된 이동센서대를 구비시켜 신장측정대를 형성하여서, 상기 신장측정대를 좌우로 긴 장방형의 함체내에 길이방향에 걸쳐서 좌우 대칭으로 한 쌍을 고정설치하여 좌우측 신장측정대로 형성시키고 이 좌우측 신장측정대는 각각 제어장치에 의하여 독립적으로 작동제어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수평형 신장측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센서대의 구성은, 좌우측 신장측정대(20)(20a)들에 각각 구비되는 좌우측 슬라이더(21)(21a)의 상단에서 각각 스케일프레임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고정되는 좌우측 수평지지대(221)(221a)들과, 상기 좌우측 수평지지대(221)(221a)들의 양단에서 각각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피측정자가 뉘여지는 측정판(32)의 상면보다 일정 높이 높으면서 측정판(32)의 전,후방간에 대칭되게 위치하는 좌우측 전,후방 수직지지대(222)(222a)(223)(223a)들과, 상기 전,후방 수직지지대(222)(222a)(223)(223a)들의 상단에서 각각 전,후방 반투명투과판(224) (225)을 통하여 전,후방간에 마주보게 설치되는 발광 및 수광 적외선센서(S1)(s2)들을 구비한 좌우측 이동센서대(22)(22a)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 수평형 신장측정기.
  3. 제1항에 있어서 수평형 신장기의 제어장치는, 좌우측 신장측정대의 슬라이더 구동장치인 기어드모터에 시동전압을 인가시키는 발스위치와, 발스위치에 의하여 시동신호가 인가되면 좌우측 신장측정대에 설치된 좌우측 각각의 포토센서들이 좌우측 리니어스케일의 상한눈금부를 거친 후 정상눈금부로 접선되어 끝단측으로 이동되게 좌우측 각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좌우측 모터시동제어부와, 상기 좌우측 신장측정대의 슬라이더와 이동센서대가 시동된 후에 이동센서대의 적외선센서의 신체감응신호를 감지하는 좌우측 이동센서감지부와. 상기 좌우측 신장측정대가 시동된 후에 좌우측 이동센서감지부나 리니어펄스카운트부에서 좌우측 포토센서에 의하여 리니어스케일의 하한눈금부에서 로우(Lo)펄스를 검출하는 신호가 인가되면은 좌우측 기어드모터를 각각 역회전으로 제어하는 모터역전제어부와, 상기 좌우측 기어드모터가 역회전 제어된 후에 리니어펄스카운트부에서 좌우측 포토센서에 의하여 리니어스케일의 상한눈금부에서 하이(Hi)펄스를 검출하는 신호가 인가되면은 좌우측 슬라이더를 대기상태로 정지제어시키는 모터정지제어부와, 상기 좌우측 신장측정대가 시동된 후에 포토센서에 의하여 검출되는 좌우측 각각의 리니어스케일들의 펄스를 카운트하여서, 좌우측 각각의 슬라이더들이 기어드모터들의 역전기동에 의하여 외측으로 환원되기 전까지 각각의 포토센서들이 각각의 리니어스케일과의 신장측정궤적에서 검출한 정상눈금부에서의 펄스변위를 카운트하여 신장치연산부에 인가시키고, 또한 좌우측 각각의 포토센서가 좌우측 각각의 리니어스케일 하한눈금부에서 로우(Lo)펄스를 검출하면은 좌우측 각각의 모터역전제어부를 기동하게 작동신호를 인가시키며, 좌우측 각각의 모터역전제어부에 의해 좌우측 슬라이더들이 외측으로 환원될 때에 좌우측 포토센서가 각각의 리니어스케일 상한눈금부에 접속하여 하이(Hi) 펄스를 검출하면은 좌우측 슬라이더들을 각각 독립적으로 대기위치로 정지시키게 좌우측 모터정지제어부에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신호를 인가시키는 제어회로를 구비한 리니어인코더카운트부와, 상기 리니어인코더카운트부에서 인가된 좌우측 신장측정대 각각의 측정테이터를 신장치로 연산하고, 이 연산된 데이터를 신장치표시부에 신장치로 인가하는 동시에 발육성장치연산부에 인가시키는 신장치연산부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수평형 신장측정기.
  4. 제3항에 있어서 신장측정기의 제어장치는, 상기 신장치연산부에서 인가된 테이터에 의하여 디지털표시소자로 형성된 신장치표시부에 디지털숫자로 신장치를 표시한 후에 발스위치가 재작동하기 전까지는 표시된 신장치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신장치표시유지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수평형 신장측정기.
  5. 청구항5는 삭제 되었습니다.
  6. 유아가 가로방향으로 뉘여질수 있는 평면적을 갖는 측정함실(12)과, 전방측에는 센서이동대(14)가, 후방측에는 수개의 제어스위치와 제어회로기판(18)에 일체로 설치된 체중치표시부(131)와 신장치표시부(132)들이 설치되는 측정표시대(13)가 형성된 장방형의 함체(10)를 몸체로 하여, 측정함실(12)의 바닥판(11) 상면 중앙에는 로드셀(31)을 받침대(30)에 의하여 고정설치하고, 로드셀측정단(311) 상단에는 측정판(32)을 고정설치하여 체중측정기를 구성하며,
    상기 바닥판(11)의 상면에서 로드셀(31)의 전방측에는, 좌우 대칭형으로 리니어인코더형 좌우측 신장측정대(20)(20a)를 고정설치하여 구성되는 신장측정기를 구비하되, 상기 좌우측 신장측정대(20)(20a)들은 각각 좌우측 슬라이더(21)(21a)들이 각각 좌우측 스케일프레임(23)(23a)의 외측단에서 측정대기상태로 위치되게 좌우대칭형으로 설치되고, 좌우측 슬라이더(21)(21a)들의 상단에 고정설치되는 좌우측 이동센서대(22)(22a)의 전,후방 수직지지대(222)(222a)(223)(223a)들은 그 내측에 설치된 발,수광 적외선센서(S1)(S2)들이 측정표시대(13)의 전방 하단에 설치된 후방 반투명투과판(225)과 센서이동대(14)의 후방 하단에 설치된 전방 반투명투과판(224)을 통하여 전,후방간에 마주보면서 좌우로 이동 자유롭게 설치함을 특징으로한 유아용 체중 겸용 신장측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중측정기에는, 측정된 체중치를 체중치표시부에 표시함에 있어서 체중 세트스위치를 조작하면 영점세팅회로에서 영점세팅신호가 인가되기 전까지 표시된 체중치를 고정표시하는 체중치세트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체중 겸용 신장측정장치.
KR1019990000896A 1999-01-14 1999-01-14 수평형 신장측정기와 이를 이용한 유아용 체중 겸용 신장측정장치 KR100330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0896A KR100330834B1 (ko) 1999-01-14 1999-01-14 수평형 신장측정기와 이를 이용한 유아용 체중 겸용 신장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0896A KR100330834B1 (ko) 1999-01-14 1999-01-14 수평형 신장측정기와 이를 이용한 유아용 체중 겸용 신장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0794A KR20000050794A (ko) 2000-08-05
KR100330834B1 true KR100330834B1 (ko) 2002-04-03

Family

ID=19571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0896A KR100330834B1 (ko) 1999-01-14 1999-01-14 수평형 신장측정기와 이를 이용한 유아용 체중 겸용 신장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08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324B1 (ko) * 2012-11-01 2013-12-0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영유아 약물량 자동계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공급시스템
CN103040472A (zh) * 2013-01-20 2013-04-17 山东电讯七厂有限责任公司 半自动婴幼儿身长测量装置
CN109077709A (zh) * 2018-08-31 2018-12-25 重庆建工住宅建设有限公司 一种施工现场人员健康监测系统
KR20210036512A (ko) 2019-09-26 2021-04-05 농업회사법인(주)명성포크 식육 첨가제, 피클액 및 식육 가공품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9849A (en) * 1988-11-10 1990-07-10 Johnson Diana L Infant measuring device
JPH06194786A (ja) * 1992-11-06 1994-07-15 Fuji Photo Film Co Ltd 写真フイルムパトローネ
JPH06258062A (ja) * 1993-03-08 1994-09-16 Sumitomo Heavy Ind Ltd プレス入側材料測長方法並びに測長装置およびプレス入側材料供給装置
JPH08247755A (ja) * 1995-03-08 1996-09-27 Daito M Ii Kk 三次元座標測定機
KR19980032192U (ko) * 1998-05-28 1998-08-17 정용주 유아용 체중 겸용 신장측정장치
JPH10328166A (ja) * 1997-05-30 1998-12-15 Shimadzu Corp 身長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9849A (en) * 1988-11-10 1990-07-10 Johnson Diana L Infant measuring device
JPH06194786A (ja) * 1992-11-06 1994-07-15 Fuji Photo Film Co Ltd 写真フイルムパトローネ
JPH06258062A (ja) * 1993-03-08 1994-09-16 Sumitomo Heavy Ind Ltd プレス入側材料測長方法並びに測長装置およびプレス入側材料供給装置
JPH08247755A (ja) * 1995-03-08 1996-09-27 Daito M Ii Kk 三次元座標測定機
JPH10328166A (ja) * 1997-05-30 1998-12-15 Shimadzu Corp 身長計
KR19980032192U (ko) * 1998-05-28 1998-08-17 정용주 유아용 체중 겸용 신장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0794A (ko) 200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4896B2 (en) Waist circumference calculation apparatus and body composition determination apparatus
JP5141468B2 (ja) 胴体縦横幅測定ユニットおよび内臓脂肪測定装置
KR100330834B1 (ko) 수평형 신장측정기와 이를 이용한 유아용 체중 겸용 신장측정장치
US5174402A (en) Height and weight measuring machine
KR100452533B1 (ko) 체성분 측정기 및 그 측정방법
JPH0622939A (ja) 身長測定装置
KR101322644B1 (ko) 디지털 신장계
KR101794686B1 (ko) 자동 신장계
US4320895A (en) Running training apparatus
KR200176009Y1 (ko) 윗몸일으키기 자동 측정 장치
JP4395498B2 (ja) 身長計
KR20210119179A (ko)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
KR200431240Y1 (ko) 비만도 측정기
CN204881823U (zh) 一种体重脚长测量装置
CN216050194U (zh) 便携式水表计数器灵敏度测试盒
KR0113978Y1 (ko) 비만도 측정기의 신장측정기 승강장치
CN216387758U (zh) 表壳按键孔位置尺寸检测机构
JP3863766B2 (ja) 身長計
KR980008172A (ko) 리니어인코더를 사용한 신장측정기의 작동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CN218066749U (zh) 一种色彩分析仪
KR19980032192U (ko) 유아용 체중 겸용 신장측정장치
CN220695242U (zh) 一种健康检测指示台
CN212871198U (zh) 一种大理石的水平测量装置
CN220230471U (zh) 一种产品高度检测装置
CN214407730U (zh) 一种婴儿用身高体重bim测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