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0018B1 - 잉크젯 프린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잉크젯 프린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0018B1
KR100330018B1 KR1019990016274A KR19990016274A KR100330018B1 KR 100330018 B1 KR100330018 B1 KR 100330018B1 KR 1019990016274 A KR1019990016274 A KR 1019990016274A KR 19990016274 A KR19990016274 A KR 19990016274A KR 100330018 B1 KR100330018 B1 KR 100330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nozzle
micro
seri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6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3156A (ko
Inventor
이성희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16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0018B1/ko
Publication of KR20000073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3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0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00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fuse
    • H01R13/684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fuse the fuse being removable
    • H01R13/68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fuse the fuse being removable with housing part adapted for accessing the 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fuse
    • H01R13/69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fuse the fuse being integral with the terminal, e.g. pin or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Landscapes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와 이를 제어하는 프린터콘트롤러를 연결하는 플렉시블케이블의 제어 라인 수를 줄여 기구적인 연결 및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잉크젯 프린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프린터콘트롤러는 외부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입력받아 동시에 인쇄할 인쇄 데이터에 대한 노즐 구동 데이터를 생성한 후 직렬데이터로 변환하여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 캐리지부에 전송하고, 마이크로 이젝팅 디바이스 캐리지부는 직렬데이터 통신 방식에 따라 노즐 구동 데이터를 입력받아 인쇄용지 상을 이동하면서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의 노즐을 구동하여 잉크를 분사하고, 직렬 통신 수단은 프린터콘트롤러로부터 생성된 구동 데이터를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 캐리지부에 직렬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와 이를 제어하는 프린터콘트롤러를 연결하는 플렉시블케이블의 제어 라인 수를 줄일 수 있어, 플렉시블케이블을 구성하는 비용을 줄이고, 기구적인 연결 및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잉크젯 프린터 및 그 제어 방법{Inkjet prin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잉크젯 프린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와 이를 제어하는 프린터콘트롤러를 연결하는 플렉시블케이블의 제어 라인 수를 줄여 기구적인 연결 및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잉크젯 프린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잉크젯 프린터는 사용하는 인쇄 용지규격에 따라 크기가 정해지고 용지 삽입/전후진/Feed 제어 등을 위해 정교한 기계적 메커니즘과 반도체칩 회로의 전자콘트롤이 요구된다. 그러나 인쇄부위 자체는 잉크통(카트리지)과 노즐 그리고 노즐과 약 0.4~0.7mm간격으로 근접돼있는 용지만으로 단순하게 이루어져 있다.
잉크통에 담긴 수용성 잉크는 노즐 속의 작은 챔버(chamber)에 흘러 들어와 있다가 발진(Piezo)소자나 전열(Thermal)소자에 전기신호가 주어지면 가압/가열팽창해 직선 분사하여 인쇄한 후 프린터콘트롤러에 의해 노즐뭉치로 구성된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를 다음 위치로 이동한다. 노즐은 통상 직경이 40∼60μm이고 32∼64개의 노즐들이 병렬 배치되어 있다. 이때,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는 잉크를 통과시키는 노즐들과 노즐을 통해 잉크를 외부로 분사시키는 분사수단을 포함한다.
수용성 잉크를 노즐을 통해 분사하여 화상을 구현하는 잉크젯 프린터는 노즐로부터 잉크를 분사하는 방식(즉, 분사수단)에 따라 크게 열전사(Thermal) 방식 프린터와 압전소자(Piezo Aqueous) 방식 프린터로 대별한다.
열전사 방식은 200∼300℃의 고열로 순간 가열해 잉크를 분사하여 인쇄하는 방식으로서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의 저항에 전기신호가 가해지면 급속히 달구어져 기포가 발생한다. 이 기포의 힘으로 잉크가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노즐 밖으로 밀려나와 종이에 인쇄된다.
반면, 압전소자 방식은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에 있는 압전소자에 전기적인 충격이 가해지면 진동을 하게 되고, 그 여파로 잉크가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의 노즐 밖으로 나오면서 종이에 인쇄된다.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는 잉크 카트리지에 주입된 잉크를 초기에 흡입한 다음 그 후부터는 내장된 잉크의 표면장력과 모세관 현상, 관성 운동에 의해 잉크가 공급된다.
이와 같은 잉크젯 프린터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인쇄하는 과정을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컴퓨터 사용자에 의해 프린트 명령이 제공되면 컴퓨터는 뒷면에 붙어있는 직렬 포트에 연결된 프린트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각 페이지에 해당하는 비트맵을 프린터콘트롤러(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말하는 비트맵이란 제공된 페이지에 문자 및 영상을 나타내기 위하여 도트의 연속으로 구성되어 있는 도트의 집단을 말한다. 이 비트맵은 컴퓨터의 프린터 드라이버 프로그램을 통해 그래픽 언어(이를테면, PCL)로 구성된다.
프린터콘트롤러(100)의 처리부(130)는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직렬 포트 또는 병령 포트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각 페이지의 비트맵 정보를 인쇄데이터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받음과 동시에 인쇄데이터를 수평에서 수직으로 비트맵 데이터로 변환하여 비트맵 정보를 DRAM으로 이루어진 메모리(120)에 저장한다.
이어, 마이크로 인젝팅 콘트롤러(140)는 프린터 컨트롤러(100)의 처리부(130)에 의해 처리되어 저장된 비트맵 데이터를 인쇄용지에 인쇄할 위치 및 인쇄할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의 노즐을 설정하여, 마이크로 인젝팅 노즐 구동부(150)를 통해 프린터콘트롤러(100)와 플렉시블케이블(flexible cable : 300)로 연결되어 캐리지(400)에 장착된 잉크통 하단에 형성된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200)의 노즐을 구동하여 잉크를 인쇄 용지 상에 분사하여 인쇄한다.
이처럼, 종래의 잉크젯 프린터는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200)와 이를 제어하는 프린터콘트롤러(100)의 마이크로 인젝팅 노즐 구동부(150)가 분리되어 있어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200)를 제어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200)의 노즐 수에 해당하는 또는 최소한 노즐 수의 제곱근에 해당하는 수의 제어선(310)을 갖는 플렉시블케이블(flexible cable : 300)을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200)에 연결해주어야 하므로 연결되는 제어 신호선 수가 많아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200)와 이를 제어하는 프린터콘트롤러(100)를 연결하는 플렉시블케이블(flexible cable : 300)의 가격이 매우 비싸므로 재료비 상승문제가 발생하고, 연결선이 많음에 따른 기구적인 연결 및 접촉 문제가 유발되며, 회로적인 노이즈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와 이를 제어하는 프린터콘트롤러를 연결하는 플렉시블케이블의 제어 라인 수를 줄이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잉크젯 프린터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내며,
도 2는 일반적인 잉크젯 프린터의 주요 구성요소인 프린터콘트롤러와 캐리지에 실장된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를 나타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의 중요 구성요소를 나타내고,
도 4는 본 발명의 중요 구성요소 중 하나의 병렬/직렬변환부와 직렬/병렬변환부를 나타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콘트롤러 측면에서 인쇄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을 나타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 캐리지부 측면에서 인쇄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을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부분의 부호의 설명>
500 : 프린터콘트롤러 510 : 처리부
520 : 인쇄데이터입력부 530 : 저장부
540 : 마이크로 인젝팅 콘트롤러 550 : 병렬/직렬변환부
551 : 전송레지스터 552 : 제 1 쉬프트레지스터
553 : 제 1 타이밍콘트롤러부
600 :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 캐리지부
610 : 직렬/병렬변환부 611 : 제 2 쉬프트레지스터
612 : 제 2 타이밍콘트롤러부 613 : 수신레지스터
620 : 마이크로 인젝팅 노즐 구동부 630 :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직렬데이터 통신 방식에 따라 노즐 구동 데이터를 입력받아 인쇄용지 상을 이동하면서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의 노즐을 구동하여 잉크를 분사하는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 캐리지부; 외부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입력받아 동시에 인쇄할 상기 인쇄 데이터에 대한 상기 노즐 구동 데이터를 생성한 후 직렬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 캐리지부에 전송하는 프린터콘트롤러; 상기 프린터콘트롤러로부터 생성된 상기 구동 데이터를 상기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 캐리지부에 직렬로 전송하는 직렬 통신 수단을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터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린터콘트롤러는, 외부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입력받는 인쇄데이터입력부; 상기 입력받은 인쇄데이터를 비트맵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부에 저장하는 처리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비트맵 데이터를 상기 인쇄용지에 동시에 인쇄할 상기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의 노즐에 대한 노즐 구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마이크로인젝팅콘트롤러; 상기 생성된 노즐 구동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경하여 상기 직렬 통신 수단으로 출력하는 병렬/직렬변환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병렬/직렬변환부는, 상기 마이크로인젝팅콘트롤러에 의해 생성된 동시에 인쇄할 인쇄 데이터에 대한 노즐 구동 데이터를 병렬로 입력받는 전송레지스터; 상기 전송레지스터로부터 병렬로 데이터를 로딩받아 클럭에 따라 한 비트씩 데이터를 상기 직렬 통신 수단에 출력하는 제 1 쉬프트레지스터; 상기 인젝팅 디바이스 캐리지부와 동기되어 상기 클럭을 발생하는 제 1 타이밍콘트롤러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 캐리지부는, 상기 직렬 통신 수단을 통해 상기 노즐 구동 데이터를 비트 단위로 수신하여 병렬데이터로 변환하는직렬/병렬변환부; 상기 변환된 노즐 구동 데이터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마이크로인젝팅노즐구동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직렬/병렬변환부는 상기 직렬 통신 수단을 통해 상기 노즐 구동 데이터를 클럭에 동기되어 한 비트 단위로 입력받는 제 2 쉬프트레지스터; 상기 프린터콘트롤러와 동기되어 상기 클럭을 발생하는 제 2 타이밍콘트롤러부; 상기 제 2 쉬프트레지스터에 상기 입력된 노즐 구동 데이터가 가득 찬 경우 병렬로 로딩하여 상기 마이크로인젝팅노즐구동부에 전달하는 수신레지스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는 잉크를 통과시키는 노즐들과 상기 노즐들을 통해 상기 잉크를 외부로 분사시키는 분사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사수단은 상기 노즐에 열을 제공하는 저항소자(resister)이거나, 상기 노즐에 진동을 제공하는 압전소자 중 하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입력받아, 입력받은 인쇄데이터를 비트맵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한 후, 저장된 비트맵 데이터를 인쇄용지에 동시에 인쇄할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의 노즐에 대한 노즐 구동 데이터를 생성하여, 생성된 노즐 구동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경하여 출력하고, 출력된 상기 노즐 구동 데이터를 비트 단위로 수신하여 병렬데이터로 변환한 후, 변환된 노즐 구동 데이터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를 구동하여 인쇄하는 잉크젯 프린터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들, 특징들, 그리고 장점들을 첨부된 도면에 나타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의 주요 구성요소를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외부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입력받아 동시에 인쇄할 인쇄 데이터에 대한 노즐 구동 데이터를 생성한 후 직렬데이터로 변환하여 후술할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 캐리지부(600)에 전송하는 프린터콘트롤러(500)와, 직렬데이터 통신 방식에 따라 노즐 구동 데이터를 입력받아 인쇄용지 상을 이동하면서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의 노즐들을 구동하여 잉크를 분사하는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 캐리지부(600), 그리고 프린터콘트롤러(500)로부터 생성된 구동 데이터를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 캐리지부(600)에 직렬로 전송하는 직렬 통신 라인(700)으로 구성한다.
프린터콘트롤러(500)의 처리부(510)는 인쇄데이터입력부(520)를 통해 컴퓨터와 같은 외부장치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입력받은 후, 입력받은 인쇄데이터를 비트맵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부(530)에 저장한다.
한편, 처리부(510)는 저장부(530)에 저장된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의 노즐들을 통해 동시에 인쇄할 비트맵 데이터를 인터럽트 방식이나, 직접 메모리 접근(DMA) 방식으로 후술할 마이크로인젝팅콘트롤러(540)에 전달한다.
마이크로인젝팅콘트롤러(540)는 저장부(530)에 저장된 동시에 인쇄할 비트맵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것을 인쇄용지에 인쇄할 위치 및 인쇄할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의 노즐에 대한 노즐 구동 데이터를 생성한다.
병렬/직렬변환부(550)는 생성된 노즐 구동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직렬 통신 라인(700)으로 출력한다.
병렬/직렬변환부(5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레지스터(551)를 통해 마이크로인젝팅콘트롤러(540)에 의해 생성된 동시에 인쇄할 인쇄 데이터에 대한 노즐 구동 데이터를 병렬로 입력받고, 제 1 쉬프트레지스터(552)를 통해 전송레지스터(551)로부터 병렬로 데이터를 로딩받아 제 1 타이밍콘트롤러부(553)에 의해 발생되는 클럭에 따라 한 비트씩 데이터를 직렬 통신 라인(700)에 출력한다.
한편,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 캐리지부(600)는 직렬/병렬변환부(60)를 통해 직렬 통신 라인(700)으로부터 노즐 구동 데이터를 비트 단위로 수신하여 병렬데이터로 구성한다. 마이크로인젝팅노즐구동부(620)는 병렬데이터로 변환된 노즐 구동 데이터에 따라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630)를 구동하여 인쇄한다.
이때,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630)는 잉크를 통과시키는 노즐들과 노즐을 통해 잉크를 외부로 분사시키는 분사수단을 포함하며, 노즐 구동 데이터는 분사수단을 작동시키는 제어 데이터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분사수단은 열전사 방식에 의한 저항(resister)이거나, 진동 방식에 의한 압전소자일 수 있다.
직렬/병렬변환부(6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쉬프트레지스터(611)를 통해 직렬 통신 라인(700)으로부터 노즐 구동 데이터를 제 2 타이밍콘트롤러부(612)에서 발생하는 클럭에 동기되어 한 비트 단위로 입력받은 후, 제 2 쉬프트레지스터(611)에 노즐 구동 데이터가 가득 찬 경우 수신레지스터(613)는 병렬로 노즐 구동 데이터를 로딩하여 마이크로인젝팅노즐구동부(620)에 전달한다.
한편, 제 1 타이밍콘트롤러부(553)와 제 2 타이밍콘트롤러부(612)는 동기시호에 의해 데이터 전송 속도를 조절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시에 인쇄할 인쇄 데이터에 대한 노즐 구동 데이터가 40비트인 경우 전송레지스터(551) 및 제 1 쉬프트 레지스터(522)와 제 2 쉬프트 레지스터(611) 및 수신레지스터는 각각 40비트 저장 용량이 요청되며, 제1 타이밍콘트롤러부(533)와 제 2 타이밍콘트롤러부(612)에 의해 40번 클럭을 발생하여 노즐 구동 데이터를 프린터콘트롤러(500)로부터 마이클 인젝팅 디바이스 캐리지부(6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동시에 인쇄할 인쇄 데이터에 대한 노즐 구동 데이터가 40비트인 경우 두개 이상의 직렬 통신 라인을 통해 노즐 구동 데이터를 프린터콘트롤러(500)로부터 마이클 인젝팅 디바이스 캐리지부(600)로 전송할 수 있게 구성하여 전송레지스터(551) 및 제 1 쉬프트 레지스터(522)와 제 2 쉬프트 레지스터(611) 및 수신레지스터의 저장 용량을 직렬 통신 라인 수에 비례하여 줄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에 적용되는 잉크젯 프린터 제어 방법을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프린터콘트롤러(500)는 컴퓨터와 같은 외부장치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인쇄데이터입력부(520)를 통해 입력받는다(단계 : 810).
외부장치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입력받은 후, 입력받은 인쇄데이터를 비트맵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부(530)에 저장한다(단계 : S820, S830).
인쇄데이터를 비트맵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한 후, 저장된 비트맵 데이터를 인쇄용지에 동시에 인쇄할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의 노즐에 대한 노즐 구동 데이터를 마이크로 인젝팅 콘트롤러(540)를 통해 생성한다(단계 : S840).
노즐 구동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생성된 노즐 구동 데이터를 병렬/직렬변환부(550)를 통해 직렬 데이터로 변경하여 직렬 통신 라인(700)에 출력한다(단계 : S850).
한편,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 캐리지부(600)는 프린터콘트롤러(500)의 병렬/직렬변환부(550)로부터 출력된 노즐 구동 데이터를 비트 단위로 제 2 쉬프트레지스터(611)를 통해 수신하여 병렬데이터로 변환한다(단계 : S910, S920).
즉, 노즐 구동 데이터를 한 비트씩 수신하여 제 2 쉬프트레지스터(611)에 한 비트씩 쉬프팅하며 저장한 후 만일 제 2 쉬프트레지스터(611)가 가득 차면, 제 2 쉬프트레지스터(611)에 저장된 노즐 구동 데이터를 한 클럭 시간동안 수신레지스터(613)에 병렬 로딩하므로 직렬데이터를 병렬데이터로 변환한다.
직렬 통신 방식에 따라 수신한 노즐 구동 데이터를 병렬데이터로 변환한 후, 변환된 노즐 구동 데이터에 따라 마이크로 인젝팅 노즐 구동부(620)를 통해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630)를 구동하여 인쇄한다(단계 : S93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와 이를 제어하는 프린터콘트롤러를 연결하는 플렉시블케이블의 제어 라인 수를 줄일 수 있어, 플렉시블케이블을 구성하는 비용을 줄이고, 기구적인 연결 및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용 하드웨어를 통해 구성된 본 발명을 범용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원칩(one chip)으로 구성하여 도 5와 도 6에 도시된 잉크젯 프린터 제어 방법을 수행하므로 본 발명을 실시할 수 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Claims (6)

  1. 직렬 통신 수단을 통해 노즐 구동 데이터를 비트 단위로 수신하여 병렬데이터로 변환하는 직렬/병렬변환부, 상기 변환된 노즐 구동 데이터에 따라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마이크로인젝팅노즐구동부를 구비하는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 캐리지부;
    외부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입력받는 인쇄데이터입력부, 상기 입력받은 인쇄데이터를 비트맵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부에 저장하는 처리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비트맵 데이터를 상기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의 노즐에 대한 노즐 구동 데이터로 변환하는 마이크로인젝팅콘트롤러, 상기 변환된 노즐 구동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경하여 직렬 통신 수단으로 출력하는 병렬/직렬변환부를 구비하는 프린터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병렬/직렬변환부는,
    상기 마이크로인젝팅콘트롤러에 의해 생성된 동시에 인쇄할 인쇄 데이터에 대한 노즐 구동 데이터를 병렬로 입력받는 전송레지스터;
    상기 전송레지스터로부터 병렬로 데이터를 로딩받아 클럭에 따라 한 비트씩 데이터를 상기 직렬 통신 수단에 출력하는 제 1 쉬프트레지스터;
    상기 인젝팅 디바이스 캐리지부와 동기되어 상기 클럭을 발생하는 제 1 타이밍콘트롤러부를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병렬변환부는,
    상기 직렬 통신 수단을 통해 상기 노즐 구동 데이터를 클럭에 동기되어 한 비트 단위로 입력받는 제 2 쉬프트레지스터;
    상기 프린터콘트롤러와 동기되어 상기 클럭을 발생하는 제 2 타이밍콘트롤러부;
    상기 제 2 쉬프트레지스터에 상기 입력된 노즐 구동 데이터가 가득 찬 경우 병렬로 로딩하여 상기 마이크로인젝팅노즐구동부에 전달하는 수신레지스터를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는,
    상기 잉크를 통과시키는 노즐들과 상기 노즐들을 통해 상기 잉크를 외부로 분사시키는 분사수단을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터.
  5.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수단은,
    상기 노즐에 열을 제공하는 저항소자(resister)이거나, 상기 노들에 진동을 제공하는 압전소자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6. 외부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입력받는 인쇄데이터입력단계;
    상기 입력받은 인쇄데이터를 비트맵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비트맵 변환단계;
    상기 저장된 비트맵 데이터를 상기 인쇄용지에 동시에 인쇄할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의 노즐에 대한 노즐 구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노즐구동데이터생성단계;
    상기 생성된 노즐 구동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병렬/직렬변환단계;
    상기 출력된 상기 노즐 구동 데이터를 비트 단위로 수신하여 병렬데이터로 변환하는 직렬/병렬변환단계;
    상기 변환된 노즐 구동 데이터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 인젝팅 디바이스를 구동하여 인쇄하는 인쇄단계를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터 제어 방법.
KR1019990016274A 1999-05-07 1999-05-07 잉크젯 프린터 및 그 제어 방법 KR100330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6274A KR100330018B1 (ko) 1999-05-07 1999-05-07 잉크젯 프린터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6274A KR100330018B1 (ko) 1999-05-07 1999-05-07 잉크젯 프린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3156A KR20000073156A (ko) 2000-12-05
KR100330018B1 true KR100330018B1 (ko) 2002-03-27

Family

ID=19584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6274A KR100330018B1 (ko) 1999-05-07 1999-05-07 잉크젯 프린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00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41053A (zh) * 2014-03-21 2014-07-23 江苏丽阳电子仪表有限公司 新型智能电表接线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971B1 (ko) 2004-01-27 2007-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41053A (zh) * 2014-03-21 2014-07-23 江苏丽阳电子仪表有限公司 新型智能电表接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3156A (ko) 2000-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63524B2 (ja) プリントヘッドとそのヒータボード及びプリント装置とその方法
JP3944712B2 (ja) インクジェット式プリンタ
JP4262070B2 (ja) 記録ヘッドの素子基体、記録ヘッド及び記録ヘッドの制御方法
JP2001287365A (ja) 記録ヘッド、記録ヘッドの駆動方法及びデータ出力装置
JP2008162275A (ja) ヘッド基板、記録ヘッド、ヘッドカートリッジ、及び記録装置
JP5184869B2 (ja) ヘッド基板、記録ヘッド、ヘッドカートリッジ、及び記録装置
JP2005199703A (ja) 記録ヘッドの素子基体及び該素子基体を有する記録ヘッド
JPH07290707A (ja) 記録ヘッド及び該記録ヘッドを用いたプリンタ装置及びプリント方法
US7084996B2 (en) Recording device
JP2003305895A (ja) 画像形成システム、記録装置及び記録制御方法
JP3311152B2 (ja) 記録ヘッド、その記録ヘッドを用いた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JPH06179268A (ja) 記録装置
JP2000094692A (ja) 記録ヘッド及びその記録ヘッドを用いた記録装置
KR100330018B1 (ko) 잉크젯 프린터 및 그 제어 방법
US7448708B2 (en) Liquid droplet ejecting head, image recording apparatus, recording method, and image recording method with digital signals expressing voltage and duration of a waveform
JP4785375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用基板、記録ヘッド、ヘッドカートリッジ及び記録装置
JP5019641B2 (ja) 記録ヘッドの素子基体、記録ヘッド、記録ヘッドカートリッジ、及び記録装置
US9272509B2 (en) Printing apparatus
JPH08156257A (ja) 記録ヘッド及び該記録ヘッドを備えるプリンタ装置
JP4930622B2 (ja) インクジェット式プリンタ、及び、印刷方法
JP2005205770A (ja) 記録ヘッド基板、その記録ヘッド基板を用いた記録ヘッド、及びその記録ヘッドを備えた記録装置
JP3347584B2 (ja) 記録ヘッド及びその記録ヘッドを用いた記録装置
US6905185B2 (en) Inkjet printing apparatus, with plural printheads and control circuit
JP2007131012A (ja) 記録装置
JPH10230595A (ja) 記録ヘッド及び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及び記録制御方法及びその記録ヘッドを用いた記録ヘッド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