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9395B1 - 액정프로젝터 - Google Patents

액정프로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9395B1
KR100329395B1 KR1019940017406A KR19940017406A KR100329395B1 KR 100329395 B1 KR100329395 B1 KR 100329395B1 KR 1019940017406 A KR1019940017406 A KR 1019940017406A KR 19940017406 A KR19940017406 A KR 19940017406A KR 100329395 B1 KR100329395 B1 KR 100329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failure
liquid crystal
error signal
driving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7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돈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17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93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9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9395B1/ko

Links

Landscapes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 프로젝터의 램프 고장 유무를 자동으로 검출할 수 있는 액정 프로젝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액정과, 램프를 포함하는 소정의 광학계, 프로그램 내용에 따라 영상 및 음성신호 그리고 소정의 신호를 처리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가 내장된 제어장치, 상기 램프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공급하는 램프 구동전원부를 구비하여 스크린에 화면을 투사하는 액정 프로젝터에 있어서, 상기 램프 구동전원부의 램프 구동전압을 검출하며 그 검출전압이 설정된 전압이상이면 제1에러신호를 발생하는 램프점등 검출수단과, 상기 제1에러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램프 구동전원부의 작동을 소정 시간동안 금지시킨 후 재작동시켜 상기 램프를 재점등시키는 시간지연수단과, 상기 시간지연수단에 의한 램프 재점등시에도 램프점등 검출수단에서 제2에러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램프의 고장을 결정하는 램프고장 판별수단과, 상기 램프점등 검출수단 및 램프고장 판별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램프의 고장 유무상태를 표시하는 램프고장 표시수단을 구비하여, 램프 고장 유무를 자동으로 체크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시스템의 안정성과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액정 프로젝터
본 발명은 액정 프로젝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액정 프로젝터의 램프 고장 유무를 자동으로 검출할 수 있는 액정 프로젝터에 관한 것이다.
액정 프로젝터(Projector)는 액정과 소정의 광학계로 구성되어 스크린에 화면을 투사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액정 프로젝터는 사용하기에 간편하고 또한 액정 프로젝터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마이크로컨트롤러(MCU:이하 "MCU"라 약칭한다)가 내장된 제어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다. 액정 프로젝터에 사용되는 MCU 제어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전원 온/오프(ON/OFF), 음량조절, 화면조정등의 기본적 기능들을 사용자가 손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그리고, 액정 프로젝터를 구성하는 소정의 광학계는 강력한 빛을 발산하는 램프, 예를 들면 메탈 할라이드 램프(Metal Halide Lamp: 이하 "MHL"이라 약칭한다)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 MHL은 특성상 초기 점등시 매우 높은 전압을 순간적으로 인가하여 주는 트리거(Trigger)를 거치고 난 후 점등이 되면 직류전압이 약 8OV 정도(램프의 전력에 따라 다를 수 있음) 걸리게 된다. 그리고 장시간 램프를 점등하면 램프의 온도가 매우 높아지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 램프를 잠시 껐다가 다시 점등시킬 경우 램프의 점등 초기 상태인 트리거를 하고나서도 점등이 안되면 수백볼트의 전압이 램프 구동회로 내부에 걸리게 된다. 그러나 얼마간의 시간이 지나고 램프의 온도가 일정 온도 아래로 떨어지면 이 순간부터는 점등이 정상적으로 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램프가 점등되지 않을 경우, 이것이 램프나 램프 구동전원회로의 고장에서 파생된 것인지 아니면 램프와 특성으로 인한 일시적인 현상인지 판별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질 수 있었다.
즉, 종래의 액정 프로젝터는 MHL의 고장시 스크린에 화면을 투사하지 못하는 것을 판단기준으로 하여 사용자가 직접 눈으로 MHL의 고장유무를 확인하는 수동적인 방법을 이용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액정 프로젝터의 구성상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MHL의 고장 유무를 MCU가 점검하여 이를 사용자애게 알려줌과 동시에 화면조정이나 기타 액정 프로젝터를 조작함에 있어 그때 그때의 상태를 알아보기 쉽게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OSD(On Screen Display)기능을 사용자 위주로 한 액정 프로젝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프로젝터는,
액정과, 램프를 포함하는 소정의 광학계, 프로그램 내용에 따라 영상 및 음성신호 그리고 소정의 신호를 처리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가 내장된 제어장치, 상기 램프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공급하는 램프 구동전원부를 구비하여 스크린에 화면을 투사하는 액정 프로젝터에 있어서,
상기 램프 구동전원부의 램프 구동전압을 검출하며 그 검출전압이 설정된 전압이상이면 제1에러신호를 발생하는 램프점등 검출수단과, 상기 제1에러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램프 구동전원부의 작동을 소정 시간동안 금지시킨 후 재작동시켜 상기 램프를 재점등시키는 시간지연수단과, 상기 시간지연수단에 의한 램프 재점등시에도 램프점등 검출수단에서 제2에러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램프의 고장을 결정하는 램프고장 판별수단과, 상기 램프점등 검출수단 및 램프고장 판별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램프의 고장 유무상태를 표시하는 램프고장 표시수단을 구비하여 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프로젝터의 램프고장 체크방법은,
액정과, 램프를 포함하는 소정의 광학계, 프로그램 내용에 따라 영상 및 음성신호, 그리고 소정의 신호를 처리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가 내장된 제어장치, 상기 램프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공급하는 램프 구동전원부를 구비하여 스크린에 화면을 투사하는 액정 프로젝터의 램프 고장 판별방법에 있어서,
상기 램프 구동전원부의 램프 구동전압을 검출하여 그 검출전압이 설정된 전압이상이면 제1에러신호를 발생하는 에러신호 발생단계와,
상기 제1에러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램프 구동전원부의 작동을 소정 시간동안 금지시킨 후 재작동시켜 상기 램프를 재점등시키는 시간지연 단계와,
상기 시간지연 단계에서 램프 재점등시에도 램프 구동전압이 설정 전압이상이 되면 제2에러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램프의 고장을 결정하는 램프고장 판별단계와,
상기 에러신호 발생단계 및 램프고장 판별단계의 제1,2에러신호에 따라 상기 램프의 고장 유무상태를 소정의 표시수단에 의해 표시하는 램프고장 표시단계를 포함하여 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프로젝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프로젝터는 액정 프로젝터의 램프 고장 유무를 자동으로 검출할 수 있는 것으로서, 소정의 광학계를 구성하며 강력한 빛을 발산하는 램프(17)와, 프로그램된 내용대로 각각의 입력신호들을 받아 그에 따라 출력신호들을 내보내는 기능을 기본적으로 구비하고 있으며 스크린상에 문자를 표시할 수 있도록OSD기능을 내장하고 있는 마이크로컨트롤러(20)와, 램프(17) 구동에 필요한 전원만을 제외하고 비디오와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에 필요한 전원과 냉각팬(16)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마이크로컨트롤러(20)의 제어에 따라 제공하는 비디오 구동전원부(15)와, 램프(17)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마이크로컨트롤러(26)의 제어에 따라 공급하는 램프 구동전원부(11)와, 액정패널(27)에 화면을 구성할 수 있도록 비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액정패널(27)에 맞는 영상신호를 만드는 제반의 신호처리과정과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신호 증폭처리회로를 거쳐 스피커에 출력시키는 동작을 하는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29)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프로젝터는 램프(17)에 전원을 인가하여도 점등되지 않을 경우 이를 검출하여 마이크로컨트롤러(20)에 에러(Error)신호를 보내는 동작을 하도록 포토커플러와 트랜지스터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 램프점등 검출부(13)와, 리모트컨트롤러(미도시)에서 출력되어지는 신호를 입력받아 필터 처리과정과 증폭과정을 거쳐 마이크로컨트롤러(20)에 신호를 보내는 리모트컨트롤러 모듈(21)과, 영상신호로부터 분리된 색신호(R,G,B)와 마이크로컨트롤러(20)에서 출력되는 색신호를 마이크로컨트롤러(20)의 휘도신호(Yout)에 따라 합성하는 멀티플렉서(25)와, 전원LED(L1), 램프LED(L2), 온도LED(L3)로 구성되어 각각의 상태를 마이크로컨트롤러(20)의 제어에 의해 표시하는 표시부(31)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20)는 램프 점등검출부(13)로부터 출력되는 에러신호를 입력받아 미리 프로그램된 내용에 의해 램프(17)의 고장유무를 판별하는 프로그램 루틴(Routine)과, 이 서브루틴 프로그램에 의해 판별된 램프(17)의 고장을 표시부(31)를 통해 표시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프로젝터의 작용 및 동작은 다음과 같다.
액정 프로젝터에서 사용하는 램프(17)는 투사되는 화면의 고휘도를 위해 MHL을 사용하는테, 정상적으로 점등이 되는 경우는 다음의 과정을 거쳐 점등이 된다.
램프 구동전원부(11)를 통해 램프(17) 내부의 전극에 매우 높은 전압(수백볼트)이 인가되면 램프(17)가 점등이 되고, 이때 램프(17)에 걸리는 전압은 약8O볼트 정도로 떨어지면서 안정적으로 점등상태가 지속된다.
그러나, 램프 구동전원부(11)를 통해 램프(17) 고전압의 트리거를 주었는데도 점등이 안되는 경우에는 램프(17)에 고전압을 인가해주는 램프 구동전원부(11)에 수백볼트의 전압이 계속 걸리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램프 구동전원부(11)에 램프 점등검출부(13)를 구성하여 점등이 안되었을 때 에러신호를 출력하도록 하였다. 램프 점등검출부(13)의 동작 원리는 램프(17)에 고전압의 트리거를 하고 난뒤 램프 구동전원부(11)에 걸리는 부하 전압(즉, 램프부하 전압)이 정상적으로 점등 되었을 경우의 전압 레벨(약8O볼트)일 경우 정상신호를 보내고, 만약 점등이 안되어 부하 전압이 수백볼트일 경우 마이크로컨트롤러(20)로 에러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마이크로컨트롤러(20)에서 램프 에러신호를 입력받을 경우 이것이 램프(17)의 고장이나 램프 구동전원부(11)의 이상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램프(17)의 특성으로 인하여 램프(17)의 온도를 일정정도 식혀주어야 하는 경우인지를 판별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은 기준에 의해 판단되어지게 된다.
MHL 내부에는 여러 금속 화합물 가스가 차 있는데, 이것이 고전압의 트리거를 받으면 안정된 분자 상태에서 이온화 상태로 바뀌며 이때 발광이 된다. 하지만 램프(17)를 일정시간 점등을 시키고 나서 전원을 끄고 다시 전원을 인가 하였을 경우에 램프(17) 내부의 가스가 충분히 안정된 상태가 아닌 램프(17)의 높은 온도로 인한 이온화 상태가 램프(17)의 점등을 방해하는 일정량 이상으로 잔존하고 있는 경우 트리거를 하더라도 점등이 되지 못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약30초 정도의 램프(17) 내부의 안정화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램프(17)의 특성으로 인한 불점등의 경우를 제외한 나머지 점등이 안되는 경우는 램프(17)의 고장이나 램프 구동전원부(11)의 고장으로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램프(17)가 약30초 정도의 안정화 시간이 있을 경우 램프 고장이 아닌 경우 어떤 경우에도 점등이 가능하다는 사실에 주목을 하여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즉 역으로 생각하여 램프(17)를 소등하고 나서 약30초 정도의 시간 이내에 다시 점등을 했는지 판단하여 만약 이 시간내에 점등 시도를 하여 램프 에러 신호가 발생하면 램프의 안정화 시간이 필요한 경우로 간주하여 표시부(31)에 마련된 램프LED(L2)를 녹색으로 점멸시키며, 약3O초 가량의 안정화 시간을 강제적으로 갖게 하고 나서 자동으로 램프를 재점등시킨다. 그러나 30초 정도의 시간 이후에 액정 프로젝터의 키입력장치(19)애 마련된 전원 키를 눌러 다시 램프(17)를 점등하려고 했는데, 점등이 안되고 램프 점등검출부(13)에서 에러신호가 발생하면 이 경우는 램프(17) 고장이나 램프 구동전원부(11)에 이상이 있는 경우로 간주하여 표시부(31)의 램프LED를 빨간색으로 점등하고 램프(17)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단계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키입력장치(19)에 마련된 전원키가 눌러지면 마이크로컨트롤러(20)는 비디오 구동전원부(15)와 램프 구동전원부(11)에 각각 제어신호를 보내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다.
둘째; 표시부(31)에 마련된 전원LED(L1)와 램프LED(L2)는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있다는 표시로써 녹색으로 점등이 된다.
세째; 램프 구동제어신호를 받은 램프 구동전원부(11)가 램프(17)에 전압을 공급했는데도 램프(17)가 점등이 되지 않으면 램프 구동전원부(11)와 연관된 램프 점등검출부(13)를 통해 램프 에러신호를 마이크로컨트롤러 (20)로 보낸다.
마이크로컨트롤러(20)는 사용자가 액정 프로젝터의 동작을 중지하기 위해 전원키를 눌러서 전원을 끄면 이 순간부터 시간을 체크하여 약30초가 되면 이것을 마이크로컨트롤러(20)의 메모리에 기억하고 있게 된다. 프로그램적으로는 이것을 마이크로컨트롤러(20) 내부의 어떤 레지스터(여기서는 시간 체크 레지스터라 한다)에 데이타를 써 주게 된다. 마이크로컨트롤러(20)에는 전원 플러그를 콘센트에 꽃으면 스탠바이 전원으로써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전원 플러그가 콘센트에 꽃혀져 있는 동안은 계속동작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마이크로컨트롤러(20)로 램프 에러신호가 입력된 후 마이크로컨트롤러(20)에서의 램프 고장 판별과정을 제2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계1OO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20)의 메모리인 시간체크 레지스터를 검사하여 현재 램프 점등을 하는 시점으로부터 30초 이전에 램프(17)를 점등한 적이 있는지를 판별한다.
만일, 현재 램프 점등시점으로부터 30초 이전에 램프(17)를 점등한 사실이 없는 경우는 램프(17)나 램프 구동전원부(11)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이기 때문에 단계101에서 램프 구동 제어신호를 오프하여 램프(17)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단계103에서 표시부(31)의 램프LED(L2)를 적색으로 온한다. 그 다음, 단계105에서 비디오 구동 제어신호를 오프하여 주전원을 차단하고, 단계109에서 액정 프로젝터 방열 대책의 일환으로 냉각팬(16)을 약9O초 가량 동작시키는데 이 시간동안을 표시하기 위하여 표시부(31)의 전원LED(L1)를 적색으로 온한다. 이와 같은 과정이 완료되면 램프 고장 체크 루틴을 빠져 나간다.
그리고, 만일 현재 램프 점등시점으로부터 30초 이전에 램프(17)를 점등한 사실이 있는 경우는 아직 램프(17) 또는 램프 구동전원부(11)의 고장 발생 유무가 불확실한 상태이기 때문에 단계102에서 램프 구동 제어신호를 오프하여 램프(17)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표시부(31)의 전원LED(L1)는 정상상태를 알리는 녹색으로 계속 점등시켜 놓고 램프LED(L2)는 소등한다.
그 다음, 단계104, 1O6에서 30초동안 램프LED를 녹색으로 점멸시키면서 키입력장치(19)에 마련된 전원키가 눌려지는지 체크한다. 만일, 이 기간 중에 전원키가 눌려지면 프로그램은 주전원 오프(OFF) 루틴(단계107)으로 점프하여 액정 프로젝터의 동작을 중지하도록 한다. 이는 램프(17)가 아직 안정화 상태에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키입력장치(19)에 마련된 전원키가 단계106, 1O8에서 3O초동안의 램프(17) 안정화 시간중에 눌러지질 않았으면 단계110에서 램프 구동 제어신호를 램프 구동전원부(11)에 출력해 다시 램프(17)에 전원을 인가하고, 단계112에서 표시부(31)의 램프LED(L2)를 녹색으로 점등한다. 이와 같은 과정이 완료되면 램프 고장 체크 루틴에서 제3도의 메인 루틴으로 빠져 나간다.
이상의 램고 고장 체크 루틴을 포함한 액정 프로젝터의 마이크로컨트롤러(20)의 전체 흐름도를 제3도 나타내 보였다.
단계120,122,124에서 키 입력신호와 리모트 컨트롤러 입력신호 그리고 마이크로컨트롤러(20)로 입력되어지는 다른 입력신호들이 있는지 판독을 하고 만약 입력이 있을 경우 어떤 기능을 원하는 입력신호인지를 판단하여 그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루틴으로 점프를 하여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난 후 다시 처음의 입력 판독루틴으로 되돌아 오는 흐름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는데, 본 발명 액정 프로젝터의 마이크로컨트롤러에 내장된 프로그램에서 수행되어 지는 주요 기능은 단계126 내지 단계132에 마련될 수 있는, 화면조정 선택기능, 화면조정 증가기능, 화면조정 감소기능, 음량증가 기능, 음량감소 기능등이다.
본 발명은 메탈 할라이드 램프를 구성해서 스크린에 화면을 투사하는 시스템을 가진 어떤 프로젝터에도 응용가능하다는 것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프로젝터는 램프 고장 유무를 자동으로 체크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시스템의 안정성과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프로젝터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애 따른 액정 프로젝터의 램프 고장 유무를 검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프로젝터의 전체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램프 구동전원부 13 ‥‥ 램프 점등검출부
15 ‥‥ 비디오 구동전원부 17 ‥‥ 램프
19 ‥‥ 키입력 장치 20 ‥‥ 마이크로컨트롤러
25 ‥‥ 멀티플렉서 27 ‥‥ 액정패널
29 ‥‥ 비디오/오디오 신호처리부 31 ‥‥ 표시부

Claims (9)

  1. 액정과, 램프를 포함하는 소정의 광학계, 프로그램 내용에 따라 영상 및 음성신호 그리고 소정의 신호를 처리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가 내장된 제어장치, 상기 램프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와 제어에 따라 공급하는 램프 구동전원부를 구비하여 스크린에 화면을 투사하는 액정 프로젝터에 있어서,
    상기 램프 구동전원부의 램프 구동전압을 검출하며 그 검출전압이 설정된 전압이상이면 제1에러신호를 발생하는 램프점등 검출수단과, 상기 제1에러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램프 구동전원부의 작동을 소정 시간동안 금지시킨 후 재작동시켜 상기 램프를 재점등시키는 시간지연수단과, 상기 시간지연수단에 의한 램프 재점등시에도 램프점등 검출수단에서 제2에러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램프의 고장을 결정하는 램프고장 판별수단과, 상기 램프점등 검출수단 및 램프고장 판별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램프의 고장 유무상태를 표시하는 램프고장 표시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프로젝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지연수단은 상기 램프가 소등된 후 소정 시간 이내에 다시 점등되는 경우에 동작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프로젝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가 메탈 할라이드 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프로젝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점등 검출수단에 포토 커플러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프로젝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지연수단 및 램프고장 판별수단은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에 프로그램화되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프로젝터.
  6. 액정과, 램프를 포함하는 소정의 광학계, 프로그램 내용에 따라 영상 및 음성신호 그리고 소정의 신호를 처리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가 내장된 제어장치, 상기 램프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공급하는 램프 구동전원부를 구비하여 스크린에 화면을 투사하는 액정 프로젝터의 램프 고장 판별방법에 있어서,
    상기 램프 구동전원부의 램프 구동전압을 검출하여 그 검출전압이 설정된 전압이상이면 제1에러신호를 발생하는 에러신호 발생단계와,
    상기 제1에러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램프 구동전원부의 작동을 소정 시간동안 금지시킨 후 재작동시켜 상기 램프를 재점등시키는 시간지연 단계와,
    상기 시간지연 단계에서 램프 재점등시에도 램프 구동전압이 설정 전압이상이 되면 제2에러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램프의 고장을 결정하는 램프고장 판별단계와,
    상기 에러신호 발생단계 및 램프고장 판별단계의 제1,2에러신호에 따라 상기 램프의 고장 유무상태를 소정의 표시수단에 의해 표시하는 램프고장 표시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프로젝터의 램프 고장 판별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지연단계는 상기 램프가 점등되고 나서 소등된 후 경과한 시간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램프고장 판별단계는 상기 경과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램프 또는 램프 구동전원부의 고장유형을 분리하여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프로젝터의 램프 고장 판별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고장 판별단계에서 제2에러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경과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이면 상기 표시수단을 제1의 색으로 점등하고 구동전원부의 출력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램프 또는 램프 구동전원부에서의 고장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프로젝터의 램프 고장 판별방법.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고장 판별단계에서 제2에러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경과 시간이 소정시간 미만이면, 상기 표시수단을 제2의 색으로 점등하고 상기 경과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이 될 때까지 대기한 다음 램프 구동전원부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램프의 특성에 의한 고장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프로젝터의 램프 고장 판별방법.
KR1019940017406A 1994-07-19 1994-07-19 액정프로젝터 KR100329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7406A KR100329395B1 (ko) 1994-07-19 1994-07-19 액정프로젝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7406A KR100329395B1 (ko) 1994-07-19 1994-07-19 액정프로젝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9395B1 true KR100329395B1 (ko) 2002-08-13

Family

ID=37479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7406A KR100329395B1 (ko) 1994-07-19 1994-07-19 액정프로젝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93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535B1 (ko) 2005-06-14 2007-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가진단기능을 구비한 dlp 텔레비젼 및 그자가진단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4259A (en) * 1976-04-14 1977-07-05 Audio Visual Innovators Corporation Spare lamp control circuit for a light projec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4259A (en) * 1976-04-14 1977-07-05 Audio Visual Innovators Corporation Spare lamp control circuit for a light projec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535B1 (ko) 2005-06-14 2007-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가진단기능을 구비한 dlp 텔레비젼 및 그자가진단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33548B1 (en) Light source lamp unit, light source device, and projection display device
US8777423B2 (en) Projector and program
US20030214638A1 (en) Projector and lamp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used for the same
US8277050B2 (en) Projector and projector controlling method
JP2010276818A (ja) プロジェクター
JP2002341442A (ja) 投射型画像表示装置
KR100329395B1 (ko) 액정프로젝터
US7419270B2 (en) Display apparatus and its lamp-lighting mechanism
JPH10239767A (ja) プロジェクタ
JP2003005287A (ja) 投射型表示装置
JPH07333571A (ja) 液晶投影装置
JP3962900B2 (ja) ランプ点灯装置および投射型表示装置
JP2009042263A (ja)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H10312888A (ja) ランプ点灯装置
JPH0749476Y2 (ja) 投写用光源装置
KR100945159B1 (ko) Lcd 프로젝터의 냉각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3043440A (ja) 液晶投射型表示装置
KR0183840B1 (ko) 프로젝션 티브이의 램프전원 제어방법
JP2006071929A (ja) 画像表示装置
JP2004279908A (ja) プロジェクタ
US8235535B2 (en) Projector and control method of projector
KR19980036568U (ko) 램프 점등 동작시간을 osd로 표시기능을 갖는 액정 프로젝터
JP2003203792A (ja) ランプ駆動装置および投射型表示装置
KR100273193B1 (ko) 액정프로젝터전원차단장치및방법
JP2001013580A (ja) 投射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