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9264B1 - 건조 겸용 세탁기 - Google Patents

건조 겸용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9264B1
KR100329264B1 KR1020000014357A KR20000014357A KR100329264B1 KR 100329264 B1 KR100329264 B1 KR 100329264B1 KR 1020000014357 A KR1020000014357 A KR 1020000014357A KR 20000014357 A KR20000014357 A KR 20000014357A KR 100329264 B1 KR100329264 B1 KR 100329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undry
washing
washing machine
tank
wash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4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9076A (ko
Inventor
장보영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14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9264B1/ko
Publication of KR20010089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9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9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92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26B21/02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 F26B21/024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by using movable fan uni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건조 겸용 세탁기는, 하우징과, 그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며, 세탁수의 저장을 위한 저수조와, 그 저수조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실제로 세탁 및 탈수를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세탁조와, 그 세탁조의 회전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전동기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되며, 주변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와,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세탁조 내로 불어주기 위한 팬 및 세탁기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세탁조의 바닥면에는 세탁조의 측벽면에 붙어 있는 세탁물을 떼어내기 위한 세탁물 분리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세탁조의 내부에 세탁조의 측벽면에 붙어 있는 세탁물을 분리시켜 줄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어, 세탁물의 탈수 후 건조시에 세탁물을 세탁조의 측벽면으로부터 떼어내 줌으로써 세탁물의 건조 효율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건조 겸용 세탁기{Electric washing machine with drying function}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탁물의 세탁은 물론 건조까지 겸할 수 있는 건조 겸용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물의 세탁 및 탈수를 수행하는 세탁조와, 그 세탁조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그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건조 겸용 세탁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종래 건조 겸용 세탁기(100)는 하우징(101)과, 그 하우징(101) 내부에 마련되며, 세탁수의 저장을 위한 저수조(102)와, 그 저수조(102)의 내부에 마련되며, 실제로 세탁 및 탈수를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세탁조(103)와, 상기 저수조(102)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세탁조(103)의 회전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전동기 (104)와, 상기 하우징(101)의 상부 일측에 마련되며, 주변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105)와, 히터(105)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세탁조(103) 내로 불어주기 위한 팬 (106)과, 건조 모드 및 건조 시간 등의 선택을 위한 스위치 패드(107)와, 세탁기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08)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건조 겸용 세탁기에 있어서, 세탁물의 세탁 및 탈수 과정이 완료된 후, 세탁물의 건조를 위해 히터(105) 및 팬(106)이 동작하게 된다. 즉, 제어부(108)의 제어에 의해 히터(105)가 동작하여 주변의 공기를 가열하면, 팬(106)이 동작하여 가열된 공기를 세탁조(103) 내로 불어넣어 주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인입구(109)를 통해 세탁조(103) 내로 인입된 더운 공기는 세탁조(103) 내부를 순환하는 한편, 세탁조(103)의 측벽면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관통공(통수공)(103h)을 통해 유출되어 저수조(102)와 세탁조(103) 사이의 틈새를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그와 같은 세탁조(103) 내외부의 유동 공기는 최종적으로 배출구(1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과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세탁조 (103) 내의 세탁물은 건조된다.
그런데, 이상과 같은 종래 건조 겸용 세탁기에 있어서, 세탁물의 세탁 및 탈수 후의 세탁물의 상태를 보면, 탈수과정에서의 세탁조(103)의 고속회전에 따른 원심력으로 인해 통상 세탁물이 세탁조(103)의 측벽면에 붙어 있게 된다. 따라서, 세탁물의 건조 시 세탁물이 골고루 잘 건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세탁물의 탈수 후 건조 전에 세탁조 벽면에 붙어 있는 세탁물을 떼어내 줌으로써 세탁물의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건조 겸용 세탁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건조 겸용 세탁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 겸용 세탁기의 제1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세탁기에 있어서의 세탁물 분리수단의 구동을 위한 장치 메커니즘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 겸용 세탁기의 제2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도 4의 세탁기에 있어서의 세탁물 분리수단의 부분 발췌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 겸용 세탁기의 제3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 겸용 세탁기의 제4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201,401...하우징 102,202,402...저수조
103,203,403...세탁조 104,204,404...전동기
105,205,405...히터 106,206,406...팬
107,207,407...스위치 패드 108,208,408...제어부
211...베이스 플레이트 212...날개편
301...래치부재 302...인장스프링
411...세탁물 분리수단 411h...수평부재
411v...수직부재 601,701...로울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조 겸용 세탁기는, 하우징과, 그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며, 세탁수의 저장을 위한 저수조와, 그 저수조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실제로 세탁 및 탈수를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세탁조와, 그 세탁조의 회전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전동기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되며, 주변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와,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세탁조 내로 불어주기 위한 팬 및 세탁기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세탁조의 바닥면에는 세탁조의 측벽면에 붙어 있는 세탁물을 떼어내기 위한 세탁물 분리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세탁물 분리수단은 상기 세탁조의 바닥면에 세탁조와 별개의 부재로 마련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그 베이스 플레이트에 마련되는 적어도 한 개의 날개편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날개편 혹은 베이스 플레이트 (수평부재)에는 세탁물과의 접촉에 의해 회전운동함으로써 세탁물의 유동을 촉진시키기 위한 로울러가 마련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 겸용 세탁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조 겸용 세탁기의 제1실시예(200)는 종래 건조 겸용 세탁기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를 구비한다. 즉, 하우징(201)과, 그 하우징(201) 내부에 마련되며, 세탁수의 저장을 위한 저수조(202)와, 그 저수조(202)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실제로 세탁 및 탈수를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세탁조(203)와, 그 세탁조(203)의 회전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전동기(204)와, 상기 하우징(201)의 일측에 마련되며, 주변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205)와, 히터(205)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세탁조(203) 내로 불어주기 위한 팬(206)과, 건조 모드 및 건조 시간 등의 선택을 위한 스위치 패드(207)와, 세탁기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208)를 구비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건조 겸용 세탁기의 제1실시예(200)에 있어서는, 상기 세탁조(203)의 바닥면에 세탁조(203)의 측벽면에 붙어 있는 세탁물을 떼어내기 위한 세탁물 분리수단이 별도로 마련되는 점이 종래 건조 겸용 세탁기와 특징적으로 다르다.
여기서, 상기 세탁물 분리수단은 상기 세탁조(203)의 바닥면에 세탁조(203)와 별개의 부재로 마련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11)와, 그 베이스 플레이트(211)에 마련되는 적어도 한 개의 날개편(212)으로 구성된다.
도 3은 이상과 같은 세탁물 분리수단의 구동을 위한 장치 메커니즘을 보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기축(204s)과 세탁조(203)의 바닥면(203b) 사이에는 래치(latch)부재(301)가 마련된다. 이 래치부재(301)는 인장 스프링(302)에 의해 전동기축(204s)에 출몰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 겸용 세탁기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세탁 및 탈수시에는 전동기(204)를 반시계방향으로 고속으로 회전시키게 되는 바, 따라서 도 3의 구조에서 전동기축(204s)의 반시계방향으로의 고속 회전에 따라 원심력이 인장스프링(302)의 탄성복원력보다 크게 되며, 그에 따라 래치부재 (301)가 전동기축(204s) 외부로 돌출되어 세탁조(203)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는 대응되는 홈에 삽입되게 된다. 그에 따라 이때는 세탁조(203) 및 세탁물 분리수단이 모두 함께 회전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특히 세탁시 상기 날개편(212)은일반 펠세이터(pulsator)형 세탁기에서의 펄세이터의 역할도 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세탁물의 세탁 및 탈수 과정이 완료되면, 건조과정으로 접어들게 되는데, 이때 본격적인 건조과정으로 들어서기 전에 세탁조(203) 벽면에 붙어 있는 세탁물을 떼어내게 된다. 즉, 이때는 전동기(204)를 시계방향으로 저속으로 회전시키게 되는 바, 따라서 도 3의 구조에서 전동기축(204s)의 시계방향으로의 저속 회전에 따라 원심력이 인장스프링(302)의 탄성복원력보다 작게 되며, 그에 따라 래치부재(301)가 인장스프링(30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전동기축(204s) 내부로 몰입된다. 따라서, 이때는 세탁조(203)는 고정되어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211) 및 날개편(212)으로 구성된 세탁물 분리수단만 회전하게 된다. 그에 따라 세탁조(203)의 측벽면에 붙어 있던 세탁물은 날개편(212)의 회전에 의해 벽면으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세탁조(203)의 측벽면에 붙어 있던 세탁물이 떨어지면, 본격적인 건조 과정으로 들어간다. 즉, 히터(205) 및 팬(206)의 동작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세탁조(203) 내로 유입되고, 전술한 바와 같은 더운 공기의 유동에 의해세탁조(203) 내의 세탁물이 건조된다. 이때, 세탁물은 세탁조(203)의 측벽면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태이므로 골고루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 겸용 세탁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조 겸용 세탁기의 제2실시예(400)는 상기 제1실시예(200)와 그 구성에 있어서 크게 다르지는 않다. 다만, 세탁물 분리수단의 구성이 약간 다를 뿐이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제2실시예에서의 세탁물 분리수단 (411)은 상기 제1실시예에서의 세탁물 분리수단에 비해 구조적으로 좀 더 간단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이 제2실시예에서의 세탁물 분리수단(411)은 전동기축에 고정되는 수평부재(411h)와, 그 수평부재(411h)와 일체로 형성된 수직부재(411v)로 구성된다. 탈수 후, 건조과정에 돌입하기 전의, 이상과 같은 제2실시예에서의 세탁물 분리수단(411)의 동작은 상기 제1실시예에서의 세탁물 분리수단의 동작과 동일하며, 따라서 별도로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한편,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 겸용 세탁기의 제3, 제4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이 제3, 제4실시예의 경우는 상기 제1, 제2실시예의 경우와 각각 전체적인 구성에 있어서 동일하나, 날개편(212)과 수평부재(411h)에 세탁물과의 접촉에 의해 회전운동함으로써 세탁물의 유동을 촉진시키기 위한 로울러(601)(701)가 각각 더 마련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따라서, 이 제3, 제4실시예에 있어서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이나 기능은 각각 상기 제1, 제2실시예의 경우와 거의 동일하다고 할 수 있으며, 다만 로울러(601)(701)의 존재로 인해 세탁물의 유동이 좀 더 촉진되어 세탁물의 건조 효율을 좀 더 높일 수 있는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조 겸용 세탁기는 세탁조의 내부에 세탁조의 측벽면에 붙어 있는 세탁물을 분리시켜 줄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어, 세탁물의 탈수 후 건조시에 세탁물을 세탁조의 측벽면으로부터 떼어내 줌으로써 세탁물의 건조 효율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하우징과, 그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며, 세탁수의 저장을 위한 저수조와, 그 저수조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실제로 세탁 및 탈수를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세탁조와, 그 세탁조의 회전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전동기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되며, 주변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와,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세탁조 내로 불어주기 위한 팬 및 세탁기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세탁조의 바닥면에는 세탁조의 측벽면에 붙어 있는 세탁물을 떼어내기 위한 세탁물 분리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 분리수단은 상기 세탁조의 바닥면에 세탁조와 별개의 부재로 마련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그 베이스 플레이트에 마련되는 적어도 한 개의 날개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편에는 세탁물과의 접촉에 의해 회전운동함으로써 세탁물의 유동을 촉진시키기 위한 로울러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 분리수단은 상기 전동기의 축에 고정되는 수평부재와, 그 수평부재와 일체로 형성된 수직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에는 세탁물과의 접촉에 의해 회전운동함으로써 세탁물의 유동을 촉진시키기 위한 로울러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
KR1020000014357A 2000-03-21 2000-03-21 건조 겸용 세탁기 KR100329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4357A KR100329264B1 (ko) 2000-03-21 2000-03-21 건조 겸용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4357A KR100329264B1 (ko) 2000-03-21 2000-03-21 건조 겸용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9076A KR20010089076A (ko) 2001-09-29
KR100329264B1 true KR100329264B1 (ko) 2002-03-18

Family

ID=19657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4357A KR100329264B1 (ko) 2000-03-21 2000-03-21 건조 겸용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926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9076A (ko) 200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91759B2 (ja) 乾燥洗濯機
JP2001178985A (ja) 洗濯乾燥機
JP4007057B2 (ja) 洗濯乾燥機
JP2001218994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3539382B2 (ja) 洗濯乾燥機
KR100329264B1 (ko) 건조 겸용 세탁기
JP2004121352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100329263B1 (ko) 건조 겸용 세탁기
JPH11347280A (ja) 全自動洗濯乾燥機
JP4265079B2 (ja) 洗濯乾燥機
KR100400749B1 (ko)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JP4385518B2 (ja) 洗濯乾燥機
KR20050012451A (ko) 세탁기의 세미 드라이 방법
KR100379446B1 (ko) 건조세탁기의건조진행방법
KR0176826B1 (ko) 전자동세탁기
KR100413431B1 (ko) 공기순환기능를 갖는 펄세이터 및 이를 이용한 건조세탁기
JP2003311065A (ja) 乾燥洗濯機
JP3496663B2 (ja) 洗濯乾燥機
JP2003024684A (ja) 乾燥洗濯機
KR100413432B1 (ko)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JP2005130987A (ja) 洗濯乾燥機
KR100382497B1 (ko) 건조세탁기의 냉각구조
KR100413436B1 (ko) 건조세탁기용 펄세이터
JP4423788B2 (ja) 洗濯乾燥機
KR100413454B1 (ko)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