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2497B1 - 건조세탁기의 냉각구조 - Google Patents

건조세탁기의 냉각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2497B1
KR100382497B1 KR10-2001-0010368A KR20010010368A KR100382497B1 KR 100382497 B1 KR100382497 B1 KR 100382497B1 KR 20010010368 A KR20010010368 A KR 20010010368A KR 100382497 B1 KR100382497 B1 KR 100382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machine
cooling structure
rotor
laundry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0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9850A (ko
Inventor
정인철
최무용
김경환
장보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0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2497B1/ko
Publication of KR20020069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9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2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24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본 발명은 외조 및 구동부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는 건조세탁기의 냉각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외조의 하부에 설치되며 회전축이 결합된 로터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유입공에 설치되는 안내부재와, 상기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하우징에 형성되는 통공과, 상기 외조 저면에 설치되는 리브에 형성되는 통공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건조과정시에 상기 로터의 안내부재의 회전에 의하여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세탁기의 냉각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조세탁기의 냉각구조{Cooling structure for washing machine having drying function}
본 발명은 건조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조 및 구동부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는 건조세탁기의 냉각구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세탁물에 충격 등의 에너지를 가하여 오염물을 박리시키는 장치로서, 세탁물에 에너지를 가하는 방식에 따라 펄세이터방식 세탁기, 드럼방식 세탁기 및 애지테이터방식 세탁기로 나눌 수 있다. 즉 펄세이터 또는 애지테이터에 의하여 세탁물에 충격을 주거나, 드럼의 회전에 의하여 세탁물을 낙하시켜 세탁물에 충격을 주어 세탁물을 세탁한다. 그리고 여기에 세제의 작용이 추가되어 세탁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세탁기들은 의류 등과 같은 세탁물을 세탁하는 기능만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세탁기의 사용자는 세탁 완료후에 세탁물을 세탁기에서 꺼내어 햇볕에서 건조시켜야 한다.
근래에는 아파트에서의 생활이 널리 보급되고 또한 생활 패턴의 변화로 세탁 완료된 세탁물을 빠른 시간내에 인공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는 것이 요구되었고,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건조기가 개발되었다. 건조기가 개발됨으로써 세탁기에서 세탁 완료된 세탁물을 간단히 그리고 빠른 시간내에 건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통상 건조기는 세탁기와 거의 같은 크기이므로 세탁기와 건조기를 각각 설치하려면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며, 세탁기에서 세탁 완료된 세탁물을 세탁기에서 꺼내어 다시 건조기에 넣어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이에 따라, 세탁 완료 후에 세탁된 세탁물들을 이동시키지 않고 세탁기의 세탁조에서 바로 세탁물을 건조킬 수 있는 건조기능를 가지는 세탁기가 제안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기능 및 건조기능을 동시에 갖는 건조세탁기에 적용되어 외조 및 구동부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는 건조세탁기의 냉각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탁물과 열교환하여 다습해진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건조세탁기의 냉각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세탁기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세탁기의 냉각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I-I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외조 5 : 내조
7 : 펄세이터 9 : 구동수단
10 : 급수밸브 11 : 배수덕트
13 : 배수밸브 15 : 히터
20 : 순환덕트 22 : 송풍팬
94 : 로터 93 : 스테이터
96 : 베어링 하우징 91 : 리브
94a : 유입공 94b : 안내부재
91a, 96a : 통공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조의 하부에 설치되며, 회전축이 결합된 로터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유입공에 설치되는 안내부재와; 상기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하우징에 형성되는 통공과; 상기 외조 저면에 설치되는 리브에 형성되는 통공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건조과정시에 상기 로터의 안내부재의 회전에 의하여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세탁기의 냉각구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로터의 유입공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세탁기의 구동부 및 외조를 효율적으로 냉각시킴으로써 구동부의 부품에 대한 열적부하를 낮추고 또한 외조의 내부에 있는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조세탁기의 냉각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조세탁기의 냉각구조가 적용되는 건조세탁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 기능을 위한 구성부품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세탁기 케이스(1)의 내부에는 세탁수를 저장하는 외조(3)가 설치되며, 상기 외조(3)의 내부에는 다수의 통공(5a)이 형성된 내조(5)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내조(5)의 내부에는 펄세이터(7)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내조(5) 및 펄세이터(7)는 외조(3)의 저면에 설치된 구동수단(9)에 의하여 회전하게 된다.
한편, 케이스(1)의 상부에는 세탁 및 헹굼을 위한 물을 공급하는 급수밸브(10)가 설치되며, 상기 급수밸브(10)에는 내조(5)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덕트(미도시)가 연결된다. 그리고, 외조(3)의 저면에는 세탁 완료 후의 더러워진 세탁수를 세탁기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덕트(11)가 연결되며, 상기 배수덕트(11)의 소정위치에는 배수밸브(13)가 설치된다.
다음으로, 세탁물의 건조를 위한 구성부품들을 설명한다.
외조(3)와 케이스(1)의 사이에는 내조(5)에 세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순환덕트(2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순환덕트(20)의 하단은 외조(3)의 하단에 연결되며, 상단은 내조(5)의 상부 근처에 위치하게 된다.
물론, 상기 순환덕트(20)의 소정 위치에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15)와,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키기 위한 송풍팬(22)이 설치된다.
한편, 순환덕트(20)의 토출구에서 토출되어 내조(5)에 있는 의류를 건조시키고 다시 순환덕트(20)로 배출되는 공기는 다습한 상태이다. 따라서, 이러한 다습한 상태의 공기를 그대로 순환시키게 되면 건조효율이 저하되므로 공기의 순환시에 공기가 함유하고 있는 습기를 제거하여야 한다. 즉, 상기 히터(15)가 일부 제습기능를 수행하지만 별도의 제습장치를 설치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히터(15)가 일부 제습기능을 수행하지만 제습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건조효율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별도로 추가의 제습수단을 설치하지 않고 구동수단(9)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제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조세탁기의 냉각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조(3)의 저면에는 다수의 리브(91)가 형성되며, 또한 구동수단(9)이 설치된다. 구동수단(9)을 상세히 설명하면, 펄세이터(7)가 결합된 회전축(92)은 로터(94)의 중심에 결합되며, 상기 로터(94)의 내측에는 스테이터(93)가 설치된다. 물론 상기 회전축(92)은 베어링 하우징(96)에 설치된 베어링(95)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구동수단(9)에 전원이 인가되면 로터(94)가 회전하며, 상기 로터(94)가 회전하면 상기 로터(94)에 결합된 회전축(92)이 회전하게 되어 펄세이터(7) 및/또는 외조(3)가 회전하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94)의 바닥면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공(94a)공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공(94a)에는 공기를 안내하는 안내부재(94b)가 소정각도를 가지고 형성된다. 또한, 베이링 하우징(96) 및 리브(91)에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통공(91a, 96a)이 형성된다.
이렇게 구성하면, 로터(94)가 회전하면 로터(94)의 바닥면에 형성된 안내부재(94b)도 같이 회전하여 로터(94)의 하부에 있는 공기를 유입공(94a)을 통하여 흡입하게 된다. 흡입된 공기는 베이링 하우징(96) 및 리브(91)에 형성된 통공(91a, 96a)을 통하여 상부로 유동하여 구동수단(7)의 내부 및 외조(3)의 저면을 냉각시키게 된다.
따라서, 로터(94)의 구동시에 자동적으로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여 구동수단(7)을 냉각하므로 부품의 열적부하를 낮추게 된다. 또한, 외조(3)를 냉각하므로 상기 외조(3) 내부의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펄세이터(7)를 사용하는 건조세탁기를 예로 들어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건조세탁기의 냉각구조은 드럼식 건조세탁기 또는 애지테이터방식의 건조세탁기에서도 구동수단이 실질적으로 아우터로터(94)(Outer rotor) 방식인 경우에는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면에서는 로터(94)의 유입공(94a)의 대략 중심에 안내부재(94b)가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안내부재(94b)는 상기 로터(94)의 유입공(94a)의 일측면에서 경사지도록 결합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탁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세탁기능은 종래의 세탁기의 동작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세탁행정, 헹굼행정 및 탈수행정이 순차적으로 행해져 세탁물을 세탁하게 된다.
세탁과 탈수가 완료되면 건조과정이 시작된다. 건조과정이 시작되면 송풍팬(22)이 동작하게 되어 내조(5) 내부의 공기가 순환덕트(20)를 순환하여 다시 내조(5)로 공급된다. 이때, 공기는 히터(15)에 의하여 가열되어 내조(5)로 공급되게 된다. 내조(5)로 공급된 가열공기는 세탁물과 열교환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키게 된다.
즉, 가열된 공기가 내조(5)를 순환하면서 내조(5)내의 세탁물을 건조시키게 되고, 소정 시간의 순환 과정 후에 건조과정이 완료되게 된다.
한편, 건조과정시에는 세탁물을 적절히 교반하여 주기 위하여 통상 펄세이터(7) 및/또는 외조(3)가 회전한다. 즉, 로터(94)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로터(94) 근처의 공기가 흡입되어 로터(94) 저면에서 외조(3)의 저면 방향으로 유동하게 되어, 구동수단(9) 및 외조(3)를 냉각시키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하나의 실시예만을 설명하였으나,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세탁기의 냉각구조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탁물의 건조과정에서 발생한 공기 유동이 외조를 냉각하므로 제습효율이 향상되어 결과적으로 건조효율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구동수단의 열적부하를 낮출 수 있으므로 에너지 효율 및 구동수단의 내구성 측면에서 유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외조의 하부에 설치되며, 회전축이 결합된 로터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유입공에 설치되는 안내부재와;
    상기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하우징에 형성되는 통공과;
    상기 외조 저면에 설치되는 리브에 형성되는 통공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건조과정시에 상기 로터의 안내부재의 회전에 의하여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세탁기의 냉각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로터의 유입공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세탁기의 냉각구조.
KR10-2001-0010368A 2001-02-28 2001-02-28 건조세탁기의 냉각구조 KR100382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0368A KR100382497B1 (ko) 2001-02-28 2001-02-28 건조세탁기의 냉각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0368A KR100382497B1 (ko) 2001-02-28 2001-02-28 건조세탁기의 냉각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850A KR20020069850A (ko) 2002-09-05
KR100382497B1 true KR100382497B1 (ko) 2003-05-09

Family

ID=27695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0368A KR100382497B1 (ko) 2001-02-28 2001-02-28 건조세탁기의 냉각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249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850A (ko) 200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1433B1 (ko) 드럼 세탁기용 건조장치
KR100413438B1 (ko)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KR100382505B1 (ko) 건조세탁기용 제습장치
KR100382497B1 (ko) 건조세탁기의 냉각구조
KR100400749B1 (ko)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KR100413445B1 (ko)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KR100382499B1 (ko) 건조세탁기의 히터 결합구조
KR100413439B1 (ko)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KR100382524B1 (ko) 건조세탁기용 제습장치
KR100413432B1 (ko)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KR100418901B1 (ko) 건조세탁기의 오버플로우장치
KR100379491B1 (ko)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의 외조커버
KR100413440B1 (ko)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KR100413431B1 (ko) 공기순환기능를 갖는 펄세이터 및 이를 이용한 건조세탁기
KR100418892B1 (ko) 건조세탁기용 거품역류방지 방법
KR100418884B1 (ko)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KR100418900B1 (ko) 건조세탁기용 제습장치
KR100418887B1 (ko)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KR100413436B1 (ko) 건조세탁기용 펄세이터
KR100413429B1 (ko) 삶기 기능을 갖는 건조세탁기
KR100413454B1 (ko)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KR100382507B1 (ko)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KR20020065072A (ko)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KR100413451B1 (ko)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KR20100064580A (ko) 세탁기의 건조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