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9078B1 - 어린이용유모차에바디를부착하는장치및이를구비한유모차 - Google Patents

어린이용유모차에바디를부착하는장치및이를구비한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9078B1
KR100329078B1 KR1019970042345A KR19970042345A KR100329078B1 KR 100329078 B1 KR100329078 B1 KR 100329078B1 KR 1019970042345 A KR1019970042345 A KR 1019970042345A KR 19970042345 A KR19970042345 A KR 19970042345A KR 100329078 B1 KR100329078 B1 KR 100329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g
housing
mounting piece
attachment element
chas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2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4201A (ko
Inventor
로랑 아제뉴
Original Assignee
장-루이 랑베르
앙빠프랑스 소시에테 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R9611035A external-priority patent/FR2753158B1/fr
Application filed by 장-루이 랑베르, 앙빠프랑스 소시에테 아노님 filed Critical 장-루이 랑베르
Publication of KR19980024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9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9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 B62B7/142Means for securing the body to the frame

Abstract

본 발명은 어린이용 유모차에 바디(28)를 부착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바디(28)의 양 측면에 하나씩 배치된 2개의 장착편을 구비하고 구름 휠(3a, 3b) 상에 안착된 섀시(1a, 1b)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28)는 상기 섀시(1a, 1b)의 하나의 장착편과 각각 상호 작동하는 2개의 부착 요소(26a, 26b)를 구비하고, 각각의 부착 요소(26a, 26b)는 장착편의 하나 이상의 하우징과 상호 작동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러그에 어울리게 형상화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어린이용 유모차에 바디를 부착하는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유모차{DEVICE FOR ATTACHING A BODY TO A CHILD'S PUSHCHAIR, AND A PUSHCHAIR EQUIPPED WITH SUCH A DEVICE}
본 발명은 어린이용 유모차에 바디를 간단하고 신뢰성 있게 장착 및 탈착할 수 있게 해주는 바디 부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바디(body)"란 용어는 어린이용 침대, 휴대용 침대 및 시트 등과 같이 어린이를 수용할 수 있고 유모차에 설치될 수 있는 임의의 물건을 의미한다.
다양한 형태의 어린이용 유모차가 알려져 있다. 프랑스 특허 제2,693,162호(AMPAFRANCE)에 설명된 첫 번째 형태에서, 유모차는 로드에 의해 유지되는 직물로 만들어진 바디와 접는 섀시를 구비한다. 유모차는 매우 만족스럽게 접혀질 수 있고 바디는 예를 들면 앉는 위치 및 눕는 위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선회할 수 있다. 그러나, 바디를 유모차 섀시로부터 들어낼 수 있는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 이는 사용된 바디가 강성이며 접혀지지 않는 외피를 구비한 휴대용 침대일 때 특히 그러하다. 따라서, 유모차를 접기 전에 휴대용 침대를 유모차로부터 들어낼 필요가 있다.
두 번째 형태의 유모차가 유럽 특허 출원 제0,339,890호(HESTAIR MACLAREN)로부터 알려져 있으며, 이 형태는 섀시에 대하여 기울어질 수 있고 섀시로부터 들어내거나 섀시에 다시 위치시킬 수 있는 시트를 지지하는 섀시를 포함한다. 상기 섀시는 역 V자 형태이고 모서리에 리브(rib)가 있는 2개의 측면 시트 장착대를 구비한다. 시트는 섀시의 장착대와 상호 작동하는 역 V자 형상의 중앙 오목부를 갖고, 장착대의 립이 삽입될 수 있는 2개의 홈을 갖는 2개의 측면 부품을 포함한다. 그러나, 그러한 시스템은 비교적 망가지기 쉬우며, 잠김 전에 시트의 한 단부를 잡아당기거나 밀때 불안정하고, 조작이 그리 용이하지 않다. 이는 장착대 상의 리브와 시트의 측면 부품 상의 리브가 망가지기 쉽다는 것 이외에도, 치수가 작아서 시트를 유모차에 다시 설치하고자 하는 조작자는 시트의 각 측면 부품을 유모차 섀시의 대응 장착대 위에 동시에 정확하게 위치시켜야만 하기 때문이다. 만약 그러한 위치 정확성이 달성되지 않는다면, 시트의 하나 또는 2개의 측면 부품은 대응 장착대 상의 리브에 맞물리지 않을 우려가 있고, 조작자는 시트가 지면에 떨어질 위험성을 감내해야 한다.
또한, 장착대의 형상은 시트를 유모차 섀시에 대해 장착 또는 탈착하는 동작이 바디의 위치에 대하여 대략 직각일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설치된 시트가 수평이 되는 위치에 장착대가 배치되면, 시트의 움직임은 대략 직각일 필요가 있다. 설치된 시트가 소정 각도를 갖는 위치에 장착대가 위치되면, 섀시 상에 시트를 설치하는 동작은 시트가 경사지게 될 각도에 대하여 대략 직각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섀시 상으로의 시트의 설치는 특히 까다로운 작업이 되는데, 이는 조작자가 시트의 각 측면 부품을 대응 장착대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위치 결정해야할 뿐만 아니라, 또 시트를 설치가능한 각도로 위치 결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 형태의 유모차의 다른 결점은 시트 각도 변경용 버튼과, 유모차 섀시로부터 시트를 제거할 목적으로 시트를 잠금 해제하기 위한 버튼이 서로 극히 근접하고 있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이들 버튼을 혼동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바디가 잠기지 않은 상태에서도 바디를 안정되게 하고, 충분히 견고하며, 바디의 설치중에 바디가 떨어뜨려져서 어린이가 떨어질 위험성을 상당히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바디가 섀시에 대하여 안내되는 유모차에 바디를 장착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 장치를 구비한 유모차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 장치용 장착편의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장착편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 요소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부착 요소의 배면도.
도 6은 도 4의 부착 요소의 다른 형태의 정면도.
도 7은 도 4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잠금 링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도식적 측면도.
도 10은 다른 형태의 부착 장치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1b : 섀시 조립체 2a, 2b : 전방 프레임 부재
5a, 5b : 수평 굽힘 핸들 영역 6 : 핸들 바
7 : X자형 섀시 8, 9 : 분기부
12a, 12b : 관절 연결 축 13a, 13b : 활주 슬리브
14a : 커넥팅 로드 23a, 23b : 바디 장착편
24a, 24b : 조작 레버 25a : 탭
26a, 26b : 부착 요소 28 : 바디
30a, 30b : 잠금 링 35a, 36a : 하우징
71a : 조작 버튼
본 발명에 따르면, 바디를 어린이용 유모차에 부착하기 위한 장치는 구름 수단 위에 안착되고 바디의 양 측면에 하나씩 배치되는 2개의 장착편을 구비하는 섀시를 포함하고, 바디는 각각이 상기 섀시의 하나의 장착편과 상호 작동하는 2개의부착 요소를 구비한다. 각각의 부착 요소는 상기 러그(lug)에 적합하게 형상화되고 상기 장착편의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과 상호 작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 러그를 포함한다. 따라서, 잠김 전에 상기 섀시에 대하여 자연스럽게 안정적이 되는 바디가 얻어진다.
러그는 적어도 2개의 러그 부분을 포함하고, 하우징은 적어도 2개의 하우징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러그는 하우징 내로의 러그의 진입을 안내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이 러그 진입 안내 수단은 러그의 경사진 하부 형태이다. 이 러그의 하부는 하우징 아래로부터 돌출가능하다. 따라서, 특별한 정확성 없이 섀시 위에 제공된 바디는 떨어질 위험성이 없이 섀시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러그는 러그를 하우징 내에서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이 수단은 상기 러그의 원통형 상부의 형태이다. 만약, 충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조작자가 바디의 한 단부를 누르거나 들어올리려고 한다면, 러그의 상부는 하우징에 끼이게 되어 바디가 불안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장착편은 하우징 내로의 러그의 진입을 측면에서 안내하는 수단과, 러그의 각 측면에 하나씩 배치된 종방향 안내용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 안내 수단은 장착편의 상부 모서리로부터 바디의 중앙을 향해 상방으로 연장된 립(lip) 형태이고, 상기 부착 요소는 하우징 내로의 러그의 진입을 측면에서 안내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이 측면 안내 수단은 한 측면에 배치된 베벨(bevel) 부분 형태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부착 요소는 바디와 섀시간의 간극을 제한하기 위해 장착편의 오목부와 상호 작동하는 섀시측 상의 측면 돌출부를 포함한다. 이 측면 돌출부는 각각의 오목부에 쉽게 진입하기 위해 둥근 형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장치는 부착 요소용 잠금 수단을 조작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이들 조작 수단은 작동 위치와 부착 요소가 장착편의 하우징 내에 잔류하는 한 잠금 수단을 잠김 해제 상태로 유지하는 눌림 비작동 위치를 갖도록 설계되는 선형 조작 버튼의 형태이다.
장착편은 부착 요소용 잠금 수단을 조작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며, 이들 조작 수단은 바디 쪽에 배치되며, 상기 장착편에 관절식으로 연결되어, 경사질 때 부착 요소가 잠김 및 잠김 해제될 수 있게 해주는 탭을 포함한다. 바디 각도를 변경하는 버튼이 일반적으로 섀시와 바디 사이가 아닌 섀시의 외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각도 경사 기구와 잠금 기구가 혼동될 위험성이 감소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부착 요소는, 탭과 일체형이며 상기 하우징 모서리의 구멍을 통해 장착편의 하우징내로 돌출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잠금 수단과 상호 작동하도록 설계되고 러그 측벽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포함한다. 조작 탭은 조작자가 곧바로 알아볼 수 있게 되며, 이는 조작 오류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부는 러그의 대응 하우징 내로의 진입이 돌출부를 옆으로 밀어내어 탭을 경사지게 하도록 베벨형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장착편은 바디를 경사지게 하는 기구를 포함하고, 이 기구는 섀시의 각 측면에 몇 개씩 장착된 조작 수단을 구비한다.
다른 형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부착 요소의 러그들 중 적어도 하나의 러그는 하우징의 한 단부의 벽 아래로 부분 돌출하여 동 부착 요소의 다른 러그가 그 하우징으로부터 나오기 전에 상기 하나의 러그가 자신의 하우징으로부터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섀시로부터의 바디의 제거는 2단계 동작을 필요로 하며, 첫번째 단계는 다른 러그를 나오게 하는 것이고, 두번째 단계는 첫 번째 러그를 나오게 하는 것이며, 이는 바디의 부정확한 조작의 위험성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부착 요소는 2개의 부가 러그를 포함한다.
부착 요소는 몇가지 다른 부착 형태를 구비한 시트 유지 수단을 포함하는 어댑터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유지 수단은 상부를 향해 돌출한 포크(fork)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바디 부착 장치, 및 상기 부착 장치를 구비한 어린이용 지지대를 구비한 어린이용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지지대는 어린이용 침대, 휴대용 침대, 시트, 어린이 운반차 등과 같이 앉은 위치 또는 누운 위치로 어린이를 수용할 수 있는 임의의 요소를 의미한다.
물론 유모차 섀시는 접는식 또는 다른 공지된 형태일 수 있고, 지지대도 또한 예를 들면 관형 프레임에 의해 유지되는 직물로 만들어진 시트, 자동차 시트로 도 사용될 수 있는 강성 시트, 반강성(semi-rigid)의 접는 시트, 강성 외피를 구비한 휴대용 침대 등의 많은 다른 형태중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에 의해 도시되고 비제한적인 실례로서 거론되고 있는 이하의 몇 가지 실시예에 관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모차는 참조 부호 "1a" 및 "1b"로 표시된 2개의 측면 섀시 조립체를 포함한다. 이들 2개의 측면 섀시 조립체는 동일하므로, 측면 조립체(1a)를 구성하고 첨자 a를 붙인 요소들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하며, 측면 섀시 조립체(1b)는 첨자 b를 붙인 동일 요소들을 구비함을 이해할 것이다.
측면 섀시 조립체(1a)는 전방 프레임 부재(2a) 및 도 1에서는 볼 수 없는 후방 프레임 부재를 포함한다. 전방 프레임 부재(2a)의 하단부는 전방 휠(3a) 또는 2개의 휠로 구성된 다른 형태의 휠 유닛용의 축을 구비한다.
측면 섀시 조립체(1a)의 또 다른 형성 부품으로는 푸시 암(4a)이 있으며, 이 푸시 암의 상단부는 수평 굴곡 핸들 영역(5a)을 구비한다. 2개의 푸시 암(4a, 4b)의 각 핸들 영역(5a, 5b)은 참조 부호 "6"으로 표시된 횡단 핸들 바를 형성하도록 서로 연결된다.
유모차의 후방에는 관절식으로 연결된 X자형의 섀시(7)가 위치되며, 이 섀시는 분기부(8)와 분기부(9)로 구성되고, 이들 분기부는 그 중간이 축(10)에 의해 관절식으로 연결되어 X자 형상을 이룬다. 분기부(8,9)의 하단부는 이 하단부에 근접한 후방 프레임 부재에 고정된 축(11a,11b)을 중심으로 해서 선회할 수 있다. 분기부(8,9)의 상단부는 활주 슬리브(13a, 13b)의 일부를 형성하는 축(12a, 12b) 주위에 관절식으로 연결되고, 각 후방 프레임 부재는 상기 활주 슬리브(13a, 13b)를 통과하여 그 안에서 활주될 수 있다.
이들 모든 요소는 예를 들면 경합금의 금속관 형태로 만들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커넥팅 로드(14a)의 상단부는 푸시 암(4a)의 하단부의 일부를 형성하는 축(15a)에 관절식으로 연결된다. 커넥팅 로드(14a)의 하단부 근방에는 후방 프레임 부재의 하부의 일부를 형성하는 축(16a)에 관절식으로 연결된다. 예시된 실례에서, 유모차가 완전히 전개된 위치에 있을 때, 축(16a)은 X자형의 후방 섀시(7)의 분기부(8, 9)의 축(11a, 12a) 사이에서 고정되고 후방 프레임 요소에 대해 고정되는 슬리브(17a) 내에 장착됨을 알 수 있다. 커넥팅 로드(14a)는 관절 연결축(16a)을 지나 연장부(18a) 형태로 계속되며, 이 연장부(18a)의 하단부는 관절 연결 축(19a)을 구비하고, 이 관절 연결 축에 대해 제어 링크 기구(20a)가 선회할 수 있으며, 이 링크 기구의 상단부는 축(21a)에 의해 활주 슬리브(13a)에 연결되며, 이 활주 슬리브는 X자형의 후방 섀시(7)의 분기부(9)의 상단부의 일부를 형성한다.
이와 동일한 설치 구조가 측면 섀시 요소(b)에도 적용되며, 대응 제어 링크 기구(20b)는 섀시(7)의 분기부(8)의 상단부의 일부를 형성하는 활주 슬리브(13b)에 관절식으로 연결된다. 커넥팅 로드(14a, 14b)와 해당 제어 연동 기구(20a, 20b)는 측면 섀시 요소(1a, 1b)의 외부에서 이들 섀시 요소와 후방 휠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조립체를 매우 강성으로 하면서 조립체의 부피를 감소시키기 위해 평평한 금속 바로 만들어진 링크로 구성된다.
또한, 측면 섀시 조립체(1a)에는 전방 프레임 부재(2a) 및 푸시 암(4a)이 통과하여 그 안에서 자유롭게 활주할 수 있는 활주 슬리브(22a)가 배치된다. 이 슬리브(22a)는 측면 섀시 조립체(1b)의 유사한 슬리브(22b)와 마찬가지로 유모차가 도 1에 도시된 완전히 전개된 위치에 있을 때 상부 정지부(stop)에 맞닿는 위치를 차지할 수 있다. 이 슬리브는 또한 하부 정지부에 맞닿는 위치를 차지할 수 있는데, 이 위치는 유모차가 완전히 접힌 위치에 있고 또 접히는 과정에 있을 때 전방 프레임 부재(2a) 상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은 정지부에 의해 한정된다. 슬리브(22a)는 섀시(1a, 1b)의 내측에 배치된 장착편(23a)을 구비한다. 슬리브(22a)는 또한 섀시(1a, 1b)의 외측에 배치된 조작 레버(24a)를 지지한다.
유모차는 또한 중앙축에 의해 관절식으로 연결된 2개의 접음식 분기부를 구비한 강성 발걸이(27)를 포함한다.
슬리브(22a)와 장착편(23a)(도 2)은 어린이를 수용하는 바디(28)를 형성하는 직물 등을 수용할 수 있는 로드(27a)의 일부를 형성하는 부착 요소(26a)를 수용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편(23a)은 슬리브(22a)의 중앙으로 삽입되어 부착 요소(26a)(도 1)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장착편(23a)은 슬리브 내의 도시하지 않은, 대응 직경을 갖는 구멍과 상호 작동할 수 있는 축(29a)을 포함한다. 장착편(23a)은 바디측의 축(29a)의 단부에 축(29a)의 직경을 크게 초과하는 직경을 갖고 축(29a)과 동일쪽의 면에 슬리브의 대응 톱니와 상호 작동할 수 있는 복수의 균등하게 이격된 톱니(31)를 구비하는 링(30a)을 포함함으로써 슬리브(22a, 22b)에 대한 바디(28)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유모차 전체에 대한 바디(28)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바디(28)의 각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첫 번째 단계는 레버(24a, 24b)를 조작하는 것인데, 이 경우 슬리브(22a, 22b)의 내측에 위치하는 레버의 단부는 장착편(22a, 22b)을 내측으로 추진시켜, 톱니(31)를 슬리브(22a, 22b)의 대응 톱니로부터 해제한다. 이 방식으로 바디(28)의 각도를 예를 들면 앉는 위치 및 뒤로 누운 위치 사이에서 변화시킬 수 있다.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레버(24a, 24b)는 잠기고, 이 잠김은 장착편(23a, 23b)을 유모차의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톱니(31)를 슬리브(22a, 22b)의 대응 톱니에 다시 맞물리도록 한다.
장착편(23a)은 톱니(31)의 반대측에서, 링(30a)에 인접한 원통부(32a)를 포함한다. 원통부(32a)는 웨지(wedge)를 형성하고 장착편(23a)의 저부에 배치된 2개의 융기부(33a)를 포함한다. 원통부(32a)는 또한 링(30a)의 반대측에서 경사진 모서리를 갖는 방사상 하우징(34a)을 포함한다.
장착편(23a)은 링(30a)의 반대측의 원통부(32a) 근방에서, 2개의 대체로 원통형인 하우징 부분(35a, 36a)을 한정한다. 하우징 부분(35a, 36a)은 장착편(23a)의 모서리(37a)와 원통부(32a), 링(30a) 및 축(29a)과 동축인 중앙부(38a)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하우징 부분(35a, 36a)의 내벽(39a)들은 이들이 작은 간극을 두고 부착 요소(26a)와 상호 작동할 수 있도록 원통형이고 서로 평행하다. 그러나, 중앙부(38a)에 대한 하우징 부분(35a, 36a)의 양 단부는 부착 요소에 대한 적절한 형상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부분의 저부에서 약간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중앙부(38a) 근방에서, 장착편(23a)의 모서리(37a)는 부착 요소(26a)가 장착편(23a)의 하우징 부분(35a, 36a) 내로 진입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해주고 바디중앙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립(41a)을 형성하도록 외향 굴곡된다.
2개의 리브(40a)는 모서리(37a)의 각 단부에서, 벽(39a)에 평행하게 하우징(35a, 36a)의 외측에 배치된다.
장착편(23a)은 또한 원통부(32a)의 반대측에서 모서리(37a)와 접촉 상태로 배치된 평판(42a)과, 평판(42a) 저부의 각 단부에서 쌍으로 배치되고 공통축을 중심으로 원통부(32a)의 융기부(33a)의 일부를 형성하는 2개의 대응하는 U자형 링크(44a)에 관절식으로 연결된 U자형 링크(43a)를 구비한 잠금 조작 탭(25a)을 포함한다. 탭은 도 3의 화살표 방향으로 기울어져야 한다. U자형 링크(43a, 44a) 아래에는, 스프링(45a)이 원통부(32a)와 평판(42a) 사이에 배치되어 전술한 방향의 기울어짐에 대항하는 힘을 가한다. 탭(25a)은 모서리(37a)와 동일한 쪽에서 평판(42a) 상에 배치되고 안착 위치에서 모서리(37a)의 구멍(47a, 48a)을 통하여 하우징 부분(35a, 36a) 내로 돌출하는 갈고리형의 2개의 돌출부(46a)를 더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 요소(26a)는 바디(28)(도 1)의 로드(27a)를 수용할 수 있는 관형 상부(49a)를 포함한다. 2개의 러그 부분(50a, 51a)은 관형 상부(49a)로부터 아래로 연장된다. 러그 부분(50a, 51a)은 둥근 형상의 오목부(52a)에 의해 분리된다. 러그 부분(50a)의 벽(53a, 54a)과 러그 부분(51a)의 벽(55a, 56a)은 이들 러그 부분(50a, 51a)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편(23a)의 하우징 부분(35a, 36a) 안으로 꼭 맞게 끼워질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되어 있다. 러그 부분(50a, 51a)의 하단부 근방에는 또한 부착 요소(26a)를장착편(23a)에 대하여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우징 부분(35a, 36a) 아래로 돌출 가능한 방식으로 치수 설정된 경사부(57a, 58a)가 제공된다. 러그 부분(50a, 51a)의 양 측면에는 부착 요소(26a)를 장착편(23a)에 대하여 측면에서 안내하기 위한 베벨 부분(59a)이 제공된다.
부착 요소(26a)는 2개의 러그 부분(50a, 51a)을 분리하는 오목부(52a) 위에 배치된 측면 돌출부(60a)를 포함한다. 측면 돌출부(60a)는 장착편(23a)의 하우징(34a)에 적합하게 형상화된다. 돌출부(60a)는 도 4에서는 볼 수 없지만, 하단부가 둥근 형상이며, 이 둥근 형상은 상기 돌출부가 장착편(23a)의 하우징(34a)과 용이하게 상호 작동할 수 있게 해준다. 돌출부(60a)는 수직 경사 모서리(61a)가 하우징(34a)의 대응 모서리와 상호 작동하는 비둘기 꼬리 형상으로 되어 있다. 러그 부분(50a, 51a)은 베벨 부분(59a)과 관형 상부(49a) 사이에 배치되고 잠금 조작 탭(25a)의 돌출부(46a)와 상호 작동하도록 설계되는 오목부(62a, 63a)를 구비한다.
관형 상부(49a)는 오목부(62a, 63a)와 동일한 쪽에 절개부(64a)를 포함하며, 절개부의 형상은 장착편(23a)의 모서리(37a) 상의 립(41a)(도 3)에 끼워맞추어지도록 설계된다.
도 6에 도시된 부착 요소(26a)는 강성 외피를 갖는 시트에 특히 적합하다. 부착 요소(26a)는 각각 러그 부분(50a, 51a)의 벽(53a, 56a)에 대면하면서 이들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고 러그 부분(50a, 51a) 반대쪽의 경사 안내 표면(67a, 68a)에 의해 연장된 평면(65a, 66a)을 포함한다. 안내 표면(67a, 68a)은 부착요소(26a)가 장착편(23a) 안으로 도입될 때 모서리(37a)(도 2 및 도3)와 접촉할 수 있다. 슬롯(69a, 70a)이 평면(65a, 66a)에 제공되어 장착편(23a) 상의 리브(40a)와 상호 작동하여 안내를 돕는다.
조작 버튼(71a)은 평면(65a) 근처의 구멍(72a) 안에 제공되고, 상기 버튼(71a)을 누를 때 장착편(23a)의 리브(40a) 뒤에서 스냅식으로 끼워맞춤 가능하고 부착 요소(26a)가 장착편(23a) 상에 남아있는 한 상기 리브(40a)에 의해 유지되는 측면 돌출부(73a)를 구비한다. 부착 요소(26a)를 들어내면 돌출부(73a)는 리브(40a)로부터 해제되고 버튼(71a)은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에 작용하에 초기의 비작동 위치로 복귀한다.
부착 장치가 동작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바디(28)가 유모차에 설치된 상태에서 이 바디를 제거하고자 할 때, 그 첫 번째 단계는 돌출부(46a)들이 돌출하게 되는 오목부(62a, 63a)로부터 돌출부를 해제하기 위해 탭(25a)을 경사지게 하는 것이다.
탭(25a)이 잠금 해제되는 상기 위치에서, 부착 요소(26a)는 장착편(23a)에 대하여 안정한 상태로 남아있게 되는데, 그 이유는 장착편(23a)의 하우징 부분(35a, 36a)의 대응 벽(39a, 40a) 상의 러그 부분(50a, 51a)의 수직면(53a, 54a, 55a, 56a)의 봉쇄효과와 하우징(34a)의 대응 벽 상의 돌출부(60a)의 경사벽(61a)의 봉쇄 효과 때문이다. 예를 들면, 압력이 바디(28)의 로드(27a)의 저부 단부에 가해지면, 부착 요소(26a)는 하우징 부분(36a)의 모서리(37a)를 압박하게 된다. 이러한 선회가 개시되면 수직벽(55a)이 중앙부(38a)에 대하여 움직이지 않게 되고, 수직벽(53a)이 하우징 부분(35a)의 벽(39a)에 대하여 움직이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봉쇄는 부착 요소(26a)가 장착편(23a)으로부터 우연히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유사한 이유로 인해 바디(28)의 로드(27a)의 하단부를 들어올리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동일한 현상이 일어난다.
따라서, 바디(28)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부착 요소(26a) 부근의 로드(27a)를 잡고 상기 로드(27a)에 직각인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것이 필요하다. 이 방식으로 하면 부착 요소(26a)를 그 배향에 상관없이 장착편(23a)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동일한 과정이 장착편(26b)에 대하여도 적용된다. 탭(25a)을 경사지게 하는 조작 및 로드(27a)를 잡는 조작이 그저 한손으로 동시에 실행될 수 있다.
반대로, 바디(28)를 유모차에 장착하고자 할 때, 가능하다면 동일한 각도로 부착 요소(26a)를 장착편(23a) 위에 위치시킨다. 그러나, 장착편(23a)이 ±10°만큼 기울어진 상태에서 부착 요소(26a)가 수평으로 제공되면, 러그 부분(50a, 51a)의 경사부(57a, 58a)는 부착 요소(26a)가 장착편(23a)에 대하여 바른 위치를 취할 수 있게 해준다. 러그 부분(50a, 51a)이 하우징 부분(35a, 36a)에 근접하게 제공되면, 이들 러그 부분은 장착편(23a)의 립(41a)에 의해 측면이 안내되며, 상기 립은 러그 부분을 각각의 하우징 부분(35a, 36a) 안으로 진입하게 하여 바디(28)가 떨어질뜨려질 가능성을 방지한다. 립(41a)은 러그 부분(50a, 51a)에 제공된 베벨 부분(59a)과 상호 작동하여 ±5°정도의 오정렬을 보상할 수 있다. 러그 부분(50a, 51a)은 이들의 경사부(57a, 58a)에 의해 하우징 부분(35a, 36a)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안내된다. 장착편(23b)에 부착 요소(26b)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이와 동일하다. 따라서, 조작자는 바디(28)를 떨어뜨릴 염려 없이 비교적 큰 측면 오차 여유, 종방향 오차 여유 및 각도 오차 여유를 갖고 바디(28)를 제공할 수 있다.
러그 부분(50a, 51a)이 각 하우징 부분(35a, 36a) 내로 진입하기 시작하면, 측면 돌출부(60a)는 장착편(23a)의 하우징(34a) 내로 진입하고 베벨 부분(59a)은 탭(25a)의 돌출부(46a)와 접촉하게 되어 이들 돌출부를 점차적으로 옆으로 밀어내며, 이는 탭(25a)을 경사지게 하여 스프링(45a)이 압축되도록 한다. 부착 요소(26a)의 이동이 완료되면, 돌출부(46a)는 러그 부분(50a, 51a)의 오목부(62a, 63a)로 돌입하게 되고 탭(25a)은 초기 위치로 복귀하며, 이는 부착 요소(26a)의 장착편(23a)에 대한 추후의 어떠한 움직임도 방지한다.
도 7에서, 부착 요소는 또한 러그 부분(50, 51)의 각 측면에 하나씩 외부면(76, 77)이 둥근 2개의 부가 러그(74, 75)를 더 포함한다. 러그 부분(51)의 벽(56)에 인접한 부가 러그(75)의 면(78)은 수직이고 벽(56)으로부터 장착편(23)의 모서리(37)의 두께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떨어져서 연장되어 배치된다. 돌출부(60)는 둥근 상부 표면(79)을 구비한다.
슬리브(22a)는 또한 도 8에 도시되고 장착편(23a)의 원통부(32a)를 둘러싸는 잠금링(80a)을 구비할 수 있고, 이 경우 잠금 링은 융기부를 구비하지 않는다.
링(80a)은 전체적으로 고리형상이고 그 구멍에 방사상 내향 돌출하고, 도시하지 않은 슬롯과 상호 작동하는 장착편(23a)의 원통부(32a) 상에 링(80a)이 장착될 때, 링(80a)의 장착편(23a)에 대한 각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러그(81a)를 포함한다. 링(80a)은 그 외주부에 링(80a) 상에서의 조작자 손가락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영역(82a)을 구비하는데, 이 영역은 줄무늬로 되거나, 돌기를 제공하거나 또는 다른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장착편(23a)의 하우징 부분(35a, 36a)에 인접한 링(80a) 쪽에는 측면 절개부(83a)가 제공된다. 이 절개부(83a)의 깊이는 장착편(23a)에 제공된 하우징(34a)의 깊이와 대략 동일하다.
부착 장치가 작동하는 방법은 이하와 같다.
바디(28)가 유모차에 설치된 상태에서 이 바디를 제거하고자 할 때, 그 첫 번째 단계는 링(80a)을 회전시켜 부착 요소(26a)의 돌출부(60)가 그 안으로 돌출하게 되는 장착편(23a)의 하우징(34a)과 링(80a)의 절개부(83a)을 정렬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절개부(83a)와 하우징(34a)이 정렬되어 있지 않을 때, 링(80a)은 하우징(34a)을 방사상으로 덮어서 돌출부(60)의 어떠한 이동도 방지하고, 이에 따라 부착 요소(26a)의 어떠한 이동도 방지하기 때문이다.
안전상의 이유로, 사용자로 하여금 2회 동작, 예를 들면 회전시키고 나서 하나를 다른 하나에 대해 병진 운동시키는 것과 같은 동작을 이용하여 바디를 유모차로부터 탈착시키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 요소(26a)를 고정 접촉 지점(85, 86, 87, 88)을 통하여 지지하는 잠금 바(84)와 가동 잠금편(89)을 구비한 장착편(23)을 제공할 수 있다. 가동 잠금편(89)은 그 자체가 조작 수단을 통해 가동되는 캠(90)에 의해 작동된다. 잠금편(89)이 돌출해서 작동 위치에 있을 때, 부착 요소(26)는 바(84)에 대하여 움직이지 않게 된다.잠금편(89)이 비작동 위치로 후퇴하면, 부착 요소(26)는 무엇보다도 먼저 접촉 지점(88)을 중심으로 해서 부착 요소(26)를 선회시켜 접촉 지점(85, 86) 근처의 부착 요소(26)를 상승시킨 다음에, 접촉 지점(87, 88)을 바(84)로부터 떨어지게 하는 병진 운동에 의해 바(84)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부착 요소(26)는 무엇보다도 먼저 화살표(91) 방향으로 이동한 다음에, 화살표(92)의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장착편(23)으로부터 분리된다. 바디가 유모차에 다시 부착되어야 할 경우는 역조작이 실행된다.
도 10에서, 부착 요소(26a)는 러그로부터 멀어져서 상방을 향하는 포크(93a)를 포함한다.
포크(93a)는 대응 부착 수단을 갖는 예를 들면 강성 외피를 구비한 시트를 수용하도록 오목부(95a)에 의해 분리된 2개의 갈퀴(94a)를 포함한다. 포크(93a)는 측면 돌출 러그(96a) 및 이 러그(96a)가 장착된 탄성부(97a)를 구비한다.
탄성부(97a)는 슬롯(98a)에 의해 포크(93a)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분리되고, 제어 로드(99a)를 형성하도록 아래로 연장되며 제어 로드의 하단부는 도 10에는 볼 수 없다.
러그(96a)는 시트가 자동적으로 봉쇄되도록 하고, 러그(96a)가 후퇴하도록 제어 로드(99a) 상에 가해진 동작에 의해 잠금 해제된다.
따라서, 부착 요소(26a)는 다양한 형태의 시트용 어댑터로 작용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자의 조작이 다소 부정확하더라도 바디와 그 부착 요소가 각각의 장착편 안으로 자연스럽게 떨어진다는 사실 때문에 견고하고 간단하며 극히 안전한 부착 장치를 얻을 수 있다. 결국, 사용자는 유모차 프레임의 다른 쪽에 있는 방향 제어 레버와 혼동하지 않고 잠금 탭이 무엇을 하기로 되어 있는지를 즉각적으로 알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조작의 용이성이 개선된다.

Claims (6)

  1. 바디(28)의 양 측면에 하나씩 배치된 2개의 장착편(23a, 23b)을 구비하고 구름 휠(3a,3b) 위에 안착되는 섀시(1a,1b)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는 상기 섀시의 하나의 장착편과 각각 상호 작동하는 2개의 부착 요소(26a, 26b)를 포함하는 형태의 어린이용 유모차에 바디를 부착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착 요소의 각각은 상기 장착편의 하나 이상의 하우징(35a, 36a)과 상호 작동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돌출 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러그에 들어맞게 형상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용 유모차에 바디를 부착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러그는 두개 이상의 러그 부분(50a, 51a)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두개 이상의 하우징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용 유모차에 바디를 부착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러그는 하우징 내로의 러그의 진입을 안내하기 위한 수단인 하부 경사부(57a, 58a)를 포함하고, 상기 러그의 하부는 상기 하우징의 아래로부터 돌출가능하고;
    상기 러그는 하우징 내에서의 러그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수단인 관형 상부(49a)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편은 하우징 내로의 러그의 진입을 측면에서 안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장착편의 상부 모서리로부터 바디의 상부 중앙을 향해 연장된 립(41a)과, 러그의 각 측면에 하나씩 배치된 종방향 안내 표면(67a, 68a)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 요소는 하우징 내로의 러그의 진입을 측면에서 안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한 측면에 배치된 베벨 부분(59a)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편은, 잠금 조작 수단으로서 바디측에 배치되고 상기 장착편에 관절식으로 연결되어 경사질때 부착 요소가 잠김 및 잠김 해제될 수 있게 해주는 탭(25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용 유모차에 바디를 부착하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부착 요소는 잠금 수단으로서, 탭과 일체형이며 상기 하우징의 모서리에 있는 구멍을 통하여 장착편 내의 하우징내로 돌출가능한 하나 이상의 돌출부(46a)와 상호 작동하도록 러그의 한 측벽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오목부(62a)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러그가 대응 하우징 내로 진입하면 돌출부를 옆으로 밀어내어 탭을 경사지게 하도록 베벨형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용 유모차에 바디를 부착하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부착 요소의 러그들 중 적어도 한 러그가 하우징의 한 단부의 벽 아래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됨으로서 동 부착 요소의 다른 러그가 자신의 하우징을 빠져나오기 전에, 상기 한 러그가 자신의 하우징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용 유모차에 바디를 부착하는 장치.
  6.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또는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바디 부착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용 유모차.
KR1019970042345A 1996-09-10 1997-08-29 어린이용유모차에바디를부착하는장치및이를구비한유모차 KR1003290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611035A FR2753158B1 (fr) 1996-09-10 1996-09-10 Dispositif d'accrochage d'une nacelle sur une poussette pour enfant, poussette et support equipes d'un tel dispositif
FR9611035 1996-09-10
FR9708615A FR2753159B1 (fr) 1996-09-10 1997-07-07 Dispositif d'accrochage d'une nacelle sur une poussette pour enfant, poussette et support equipes d'un tel dispositif
FR9708615 1997-07-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201A KR19980024201A (ko) 1998-07-06
KR100329078B1 true KR100329078B1 (ko) 2002-07-18

Family

ID=26232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2345A KR100329078B1 (ko) 1996-09-10 1997-08-29 어린이용유모차에바디를부착하는장치및이를구비한유모차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183001B1 (ko)
EP (1) EP0827890B1 (ko)
JP (1) JP3260672B2 (ko)
KR (1) KR100329078B1 (ko)
AT (1) ATE221013T1 (ko)
DE (1) DE69714160T2 (ko)
DK (1) DK0827890T3 (ko)
ES (1) ES2180905T3 (ko)
FR (1) FR2753159B1 (ko)
PT (1) PT827890E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80932B1 (fr) 1998-07-08 2000-09-22 Ampafrance Poussette pliante pour enfant, a memorisation de l'inclinaison du hamac
WO2000047894A1 (fr) * 1999-02-15 2000-08-17 Kazutomi Yokota Dispositif d'aspiration et d'evacuation de liquide trace
FR2794447B1 (fr) 1999-06-07 2001-07-06 Wichard Dispositif bloqueur de cordage
JP4968640B2 (ja) * 2006-03-06 2012-07-04 コンビ株式会社 シート本体の取付構造とリクライニング機構及びショッピングカート
EP1970284A1 (en) 2007-03-15 2008-09-17 Team-Tex Bracket for supporting a child seat on an undercarriage
FR2963906B1 (fr) 2010-08-19 2013-04-05 Dorel France Sa Nacelle avec detecteurs de tension de sangles
US9216755B2 (en) 2012-03-30 2015-12-22 Kolcraft Enterprises, Inc. Foldable strollers
FR2991957B1 (fr) 2012-06-18 2014-12-12 Dorel France Sa Dispositif de support de plusieurs assises pour une voiture d'enfant
US9399477B2 (en) 2012-12-27 2016-07-26 Kolcraft Enterprises, Inc. Strollers with removable child supports and relate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27651B2 (en) 1978-10-24 1983-03-17 Andrews Maclaren Ltd. Collapsible cot
GR75106B (ko) 1980-10-10 1984-07-13 Maclaren Ltd Andrews
CA1202995A (en) 1982-03-31 1986-04-08 Abdelraouf M.S. Al-Sheikh Collapsible push chair
GB8322893D0 (en) 1983-08-25 1983-09-28 Maclaren Ltd Andrews Collapsible push chair
EP0271422A3 (en) * 1986-12-09 1988-09-14 JANE, Sociedad Anonima Improvements in foldable frames for children's pushchairs
DE68913791T2 (de) 1988-04-25 1994-08-18 Maclaren Ltd Rahmen.
US5056805A (en) * 1990-06-05 1991-10-15 Wang Chia Ho Stroller
JPH08212Y2 (ja) * 1990-07-20 1996-01-10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における座席の係止構造
US5069474A (en) * 1990-09-21 1991-12-03 Tai Huang M Doll-carriages
JPH04154477A (ja) * 1990-10-16 1992-05-27 Konbi Kk ベビーカーの折り畳み機構
GB2254587B (en) * 1991-04-08 1995-02-15 Maclaren Ltd Baby or infant transporting apparatus
DE4137575C1 (en) * 1991-11-15 1993-02-25 Audi Ag, 8070 Ingolstadt, De Modular child's car seat - has seat mounted main part and exchangeable modules for baby's cradle shell, and sitting shell for older children
GB2268220A (en) 1992-07-01 1994-01-05 Maclaren Ltd A latching mechanism.
FR2693162B1 (fr) 1992-07-02 1994-09-16 Ampafrance Poussette pliante pour enfant à pliage compact.
US5687985A (en) * 1994-11-04 1997-11-18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Stroller, reclining and canopy tensioning mechanisms thereof
US5772279A (en) * 1995-08-31 1998-06-30 Kolcraft Enterprises, Inc. Coupling system for infant carrier to second support device
US5769447A (en) * 1996-04-01 1998-06-23 Huang; Li-Chu Chen Foldable stroller
US5865447A (en) * 1997-03-17 1999-02-02 Huang; Li-Chu Chen Controlling structure of a stro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753159A1 (fr) 1998-03-13
ATE221013T1 (de) 2002-08-15
US6183001B1 (en) 2001-02-06
FR2753159B1 (fr) 1999-03-26
EP0827890B1 (fr) 2002-07-24
JP3260672B2 (ja) 2002-02-25
DE69714160T2 (de) 2003-07-03
EP0827890A1 (fr) 1998-03-11
JPH1095345A (ja) 1998-04-14
DK0827890T3 (da) 2002-11-18
DE69714160D1 (de) 2002-08-29
KR19980024201A (ko) 1998-07-06
ES2180905T3 (es) 2003-02-16
PT827890E (pt) 200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9078B1 (ko) 어린이용유모차에바디를부착하는장치및이를구비한유모차
US4660850A (en) Baby stroller
EP3733478B1 (en) Baby stroller with a folding mechanism triggered by a child carrier
EP0994004B1 (en) Fold latch assembly for a stroller
CA2586541A1 (en) A device for removably fitting to prams carrycot seats and carrycots being provided with an articulated handle
EP0483042B1 (en) Folding chassis for babies' pushchairs
US4176879A (en) Wheelchair foot rest latch
US20020109336A1 (en) Stroller
GB2318099A (en) Folding mechanism for a pushchair
EP0256495B1 (en) Guard attachement/removal structure in baby carriage
US5795091A (en) Recline latch system for collapsible stroller
IL182273A (en) Device for removably fitting to prams carrycot seats and carrycots being provided with an articulated handle
EP1470986A2 (en) Child car seat
GB2179897A (en) Locking mechanism for folding baby carriage
GB2337802A (en) Shock-absorbing device for a toy
JPH11104187A (ja) 折り畳み式側柵における立位保持機構
KR102319303B1 (ko) 유모차
EP0639489A2 (en) Locking hinge
JP7189596B2 (ja) 段差乗り上げ用リフタおよびそれを備える輸送機器
CN1939789B (zh) 婴儿座及童车
EP0633177B1 (en) Child transporter
CN110775136B (zh) 婴儿车
CN212709636U (zh) 一种联动式刹车机构以及婴儿车
EP4008583B1 (en) Child car seat
GB2189202A (en) Invalid hoist chas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