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7283B1 - 인쇄선명성이우수한복층연신필름적층금속판 - Google Patents
인쇄선명성이우수한복층연신필름적층금속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27283B1 KR100327283B1 KR1019960022079A KR19960022079A KR100327283B1 KR 100327283 B1 KR100327283 B1 KR 100327283B1 KR 1019960022079 A KR1019960022079 A KR 1019960022079A KR 19960022079 A KR19960022079 A KR 19960022079A KR 100327283 B1 KR100327283 B1 KR 1003272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m
- thickness
- thermoplastic resin
- metal plate
- stretched film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목적] 금속판의 편면 또는 양면을 복층으로 이루어지는 연신 필름으로 피복함으로써, 캔 외면이나 캔 뚜껑 외면이 선명한 백색도 또는 인쇄 선명성을 갖는 소재를 제공한다.
[구성] 상층에 특정 범위의 백색 안료를 갖는 특정 두께의 필름과, 하층이 특정 범위의 충전재를 갖는 특정 두께의 필름이 적층된 복층 연신 필름을 금속판상에 피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쇄 선명성이 우수한 복층 연신 필름 적층 금속판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 용기에 사용하는 필름의 광선 반사율을 높임으로써 인쇄 선명성을 높인 연신 필름을, 캔의 외면 또는 뚜껑의 외면에 상당하는 금속판 표면측에 적층함으로써 인쇄 선명성 또는 외관을 개선한 복층 연신 필름 적층 금속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포장 재료의 기능으로서 단순히 내용물의 유지성외에 색조의 선명성 등의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예컨대 음료캔을 예로들면, 캔의 외면측의 인쇄의 선명성이나 광택성을 높이기 위하여, 통상, 백색의 인쇄 바탕층이 만들어지지만, 3 피스 캔의 경우는 캔 제조전의 판에 도장·인쇄가 행해지고, 2 피스 캔의 경우는 캔 제조후에 도장·인쇄가 행해진다. 근래, 2 피스 캔 및 3 피스 캔의 분야에서 도료대신에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피복한 캔이 시장에 출시되게 되었지만, 이들의 경우에는 백색도료 대신에 백색 필름층이 인쇄 바탕층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들의 백색 인쇄 바탕층의 두께는 금속판의 종류에도 좌우되지만, 약 5 내지 15㎛ 의 범위에 있다. 이 막두께는 인쇄층의 2 배 이상이며, 막두께 감소는 캔제조 에너지의 삭감 및 비용절감에 기여한다.
그러나, 도료 대신에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는 필름 제조상의 제약 때문에, 필름중의 백색 안료 농도를 높게 할 수 있으므로, 필름 막 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을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백색 안료의 작용 효과를 크게하여 필름 막두께를 감소시키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해결할려고 하는 다른 과제는 캔의 뚜껑 외면측에 사용하여 외관을 개선하는 점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캔 외면의 인쇄 신명성이 우수한 2 피스 캔용 또는 3 피스 캔용의 피복 적층 금속판을 얻는 것이며, 캔 외면측의 외관을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인쇄 선명성이 우수한 복층 연신 필름 적층 금속판은 금속판의 적어도 편면에, 상층이 5 내지 50 중량% 의 백색 안료를 갖는 두께 3 내지 30 ㎛ 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하층이 열가소성 수지와의 상용성(相溶性) 이 나쁜 첨가제를 함유한 두께 1 내지 30 ㎛ 의 열가소성 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복층 연신 필름을 피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복층 연신 필름 적층 금속판은, 금속판의 적어도 편면에, 상층이 5 내지 50 중량% 의 백색 안료를 갖는 두께 3 내지 30㎛ 의 열가소성수지 필름과, 하층이 편평상(扁平狀) 의 공극을 주위에 형성한 첨가제를 함유하는 두께 1 내지 30㎛ 의 열가소성 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복층 연신 필름을 피복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복층 연신 필름 적층 금속판은 금속판의 적어도 편면에, 상층이 5 내지 50 중량% 의 백색 안료를 갖는 두께 3 내지 30㎛ 의 열가소성 수지필름과, 하층이 미세한 공극이 분산된 1내지 30㎛ 의 열가소성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복층 연신 필름을 피복하여 이루어진다.
이들 복층 연신 필름 적층 금속판의 열가소성 수지에 첨가하는 첨가제는 운모, 탄산칼슘, 황산바륨, 유리, 폴리올레핀, 폴리테트라플로로에틸렌으로부터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름을 복층화하여, 하층쪽에 공극을 포함하는 층을 형성시킨다. 공극을 형성시키는 수단으로서 필름을 연신하는 공정을 이용하여도 좋다.
즉, 예를 들면 복층 연신 필름이 2 층 필름일 때는 금속판의 적어도 편면에, 상층이 5 내지 50 중량%의 백색 안료를 갖는 두께 3 내지 30㎛ 의 열가소성 수지필름의 층과, 하층이 열가소성 수지와 상용성이 나쁜 첨가제를 함유하는 두께 1 내지 30 ㎛ 의 열가소성 수지필름의 층을 연설하면, 하층의 첨가제의 주변에 공극이 형성된다. 이 복층 연신 필름을 적층함으로써 캔 외면의 인쇄 선명성이 우수한 연신 필름 적층 금속판을 얻을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와 상용성이 나쁜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운모, 탄산칼슘, 황산바륨, 유리, 폴리올레핀, 폴리테트라플로로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피복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폴리에스테르수지, 폴리올레핀수지, 폴리카아보네이트수지 또는 폴리아미드수지 등이 바람직하고, 그 두께는 2층의 합계가 4 내지 6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에스테르수지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수지,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위를 주체로 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수지가 보다 적합하다. 상층으로 되는 열가소성 수지필름에는 5 내지 50 중량% 의 산화티탄계 백색 안료가 첨가되어 있는 것이 필요하며, 또 하층으로 되는 열가소성 수지필름에는 0.5 내지 50 중량%의 운모, 탄산칼슘, 황산바륨, 유리, 폴리올레핀, 폴리테트라플로로에틸렌 등의 첨가제가 첨가되어 있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캔 외면이 충분한 인쇄 선명성을 갖는 2 피스 캔 또는 3 피스 캔용의 연신 필름 적층 금속판을 얻는 것, 또는 캔 뚜껑의 외면측의 외관성을 개선하는 연신 필름 적층 금속 필름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피스 캔의 경우도, 3 피스 캔의 경우도, 또 캔 뚜껑의 경우도 동일한 작용기구에 의해 목적이 달성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통상, 식용캔의 외면측에는 백색의 인쇄 바탕층 (백색도료)이 만들어지고, 또한 그위에 인쇄와 니스가 처리되어서 외관이 미려한 캔으로 마무리된다. 근래, 2 피스 캔 및 3 피스 캔의 분야에 있어서, 도료 대신에 열가소성 수지필름을 피복한 캔이 시장에 출시되었지만, 이들 경우에는 백색도료 대신에 백색필름층이 인쇄 바탕층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들의 백색 도료를 인쇄의 바탕층으로 하는 것은, 표면처리를 행한 금속판의 색조를 은폐하기 위해서 이며, 백색도가 우수한 바탕층일수록 인쇄 선명성이 우수한 바탕층이라고 말할 수 있다.
백색안료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필름 피복 금속판의 표면의 백색도의 정도는 확산 반사 L*(L*은 엘라스타라고 읽고, 명도를 나타낸다) 값과 상관성이 있으며, 확산반사 L*값이 클수록 열가소성 수지필름 피복금속판의 표면이 백색으로 된다. 단, 여기에서 말하는 확산반사 L*값이란, 예를 들면, 닛뽕덴쇼꾸 (日本電色) (주) 제의 분광색차계 SZS-Σ90 등으로 입사광을 시료의 법선 방향에 대하여 10 도의 각으로 입사하였을시의 확산 반사성분을 측정한 L*값이다.
백색 안료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필름 피복 금속판의 백색도를 증가시키면, 바탕 금속의 은폐성이 뛰어나고, 그 결과, 인쇄 선명성이 우수하게된다. 열가소성 수지필름의 백색도를 증가시키는데는 백색 안료 농도를 높이는 것이 효과적이지만, 막 제조상의 이유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백색 안료의 농도를 일정한 채로 백색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하여 검토한 결과, 복층 연신 필름으로 함으로써, 종래에 없는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았다. 복층 연신 필름의 상층쪽에 백색 안료를 갖는 층을 형성하고, 하층쪽에 연신에 의해 공극을 생성하는 첨가제 함유층을 형성하는 구성이라면, 복층 연신 필름은 3층이든 4 층이든 (상층과 하층의 중간에 다른 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층 연신 필름은, 복층이 2 층인 경우는, 상층 (가장 바깥쪽으로 되는 경우를 포함하고 상대적으로 하층보다 위에 있으면 좋다) 이 5 내지 50 중량%의 백색 안료를 갖는 두께 3 내지 30㎛ 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층과, 하층 (금속판과 접촉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상대적으로 상층의 아래에 있으면 좋다) 이 연신에 의해 공극을 생성하는 첨가제를 함유하는 두께 1 내지 30 ㎛ 의 열가소성 수지필름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복층 연신 필름이다.
공극을 형성하는 첨가제는 열가소성 수지와의 상용성이 나쁜 것이 선택되고, 예를 들면, 운모, 탄산칼슘, 황산바륨, 유리, 폴리올레핀, 폴리테트라플로로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첨가제의 열가소성 수지와의 상용성은 정성적(定性的)이지만, 유기화합물에서는 용해성 파라미터를 지표로 선택할 수가 있다. 또, 무기 화합물에서는 접촉각 등을 지표로 선택할 수 가 있다.
이들의 첨가제의 첨가 목적은 필름의 연신시에 수지와 첨가제의 계면에 얇은 공극을 형성하는데 있다. 이 공극이 광선의 산란에 큰 작용을 미친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중에 입사한 광선은 백색 안료에 반사되어, 백색으로써 인식된다. 백색안료에 충돌하지 않은 광선은 바탕의 금속 표면에서 반사되어, 금속특유의 색조를 나타낸다. 안료나 금속 표면에서의 광선 반사율은 매체인 열가소성 수지필름의 굴절율과 안료나 금속표면의 굴절율의 차의 크기에 따라서 영향을 받는다. 통상, 열가소성 수지필름의 굴절율은 1.5 내지 1.6 의 범위에 있고, 산화티탄에서는 2.4 내지 3 의 범위에 있다. 금속 표면은 금속 종류나 표면 처리 종류에 따라 상이하다. 따라서, 굴절율차가 큰 산화티탄이 백색 안료로서 선택된다. 굴절율이 작은 것으로부터 굴절율이 큰 것으로 광선이 입사되는 경우는, 이와 같이 굴절율차가 중요하다. 반대로, 굴절율이 큰 것으로부터 작은 것으로 광선이 입사되는 경우는, 굴절율차에 따라 입사각이 어느 값을 초과하면 반사율은 1로 되므로, 굴절율이 1.5 내지 1.6 의 열가소성 수지필름중에 굴절율이 최소 (1.0) 의 공극이 있으면 필름과 공기의 계면에서 많은 광선이 반사된다. 따라서, 바탕의 금속 표면에 달하는 광선이 감소하여 은폐성이 높아진다. 이와 같은 공극의 반사 작용은, 상층의 백색 안료를 함유하는 필름층의 하층에서 발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따라서, 복층 필름의 하층쪽에 미세한 공극이 분산된 필름층이면, 그 제조방법에 의하지 않고 효과를 발휘한다. 수지와의 상용성이 나쁜 첨가제를 사용하여 필름의 연신 공정에서 미세한 공극을 형성시키는 방법외에, 하층으로 되는 용융수지중에 공극을 형성하는 불활성 기체 등을 버블링(bubbling) 하는 방법도 가능하며, 이 경우는 연신 공정이 꼭 필요한 것은 아니다.
상층에 5 내지 50 중량 %의 백색 안료를 갖는 층을 형성시키는 목적은, 이 층내의 백색 안료로 입사광을 산란시키는 동시에 하층으로부터의 반사광을 산란시키기 위해서이다. 백색 안료로서는 무기계, 유기계의 적용도 가능하며 용도에 따라 선택되지만, 입경 0.2 내지 0.3 ㎛ 의 산화 티탄계의 안료를 사용하는 것이 인쇄 선명성을 가지게 함에 있어 보다 바람직하다. 첨가량이 5 중량 % 이하에서는, 하층의 수지필름중에 운모등의 첨가제를 사용하여도 바탕의 은폐성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목적으로 하는 충분한 인쇄 선명성을 확보할 수 없다. 또, 50 중량 % 이상 첨가하면, 필름 강도가 저하하기 때문에, 5 내지 50 중량 % 의 첨가 범위로 한정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 % 로 한정한다. 상층의 필름 두께는 바탕의은폐성을 확보하는데는 최저 3 ㎛ 이상 필요하며, 30 ㎛ 이상에서는 높은 비용이 들기 때문에 3 내지 30 ㎛ 로 규정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로 규정한다.
하층을 열가소성 수지필름과 상용성이 나쁜 0.5 내지 50 중량 %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두께 1 내지 30 ㎛ 의 열가소성 수지필름 층으로 한 것은 필름의 연신에 의해 첨가제의 주위에 미세한 공극을 형성시키기 위해서이다. 열가소성 수지와 상용성이 나쁜 무기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운모, 탄산칼슘, 황산바륨, 유리등을 들 수 있다. 또, 유기 첨가제로서는 폴리올레핀, 폴리테트라플로로에틸렌등을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필름과의 상용성이 나쁜 첨가제라면 특별히 한정을 할 필요는 없지만, 운모등 면 형상으로 배향하여 공극을 형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첨가제의 형상은 구형상이라도, 비늘조각상이라도 좋지만, 특히 비늘 조각상의 경우는 그 효과가 크다. 첨가제가 비늘조각상의 운모인 경우는 0.5 내지 50 ㎛,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 의 크기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입자 형상의 첨가제는 0.1 내지 3 ㎛ 의 입경의 것이 적당하다. 이들 첨가제는 대략 첨가량에 비례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첨가량으로서는 0.5 중량 % 이하에서는 반사의 효과가 낮고, 또 50 중량 % 이상에서는 필름 강도가 저하하기 때문에 0.5 내지 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량 24 % 로 한정한다. 바탕 금속의 색조를 은폐하는데는, 하층의 필름 두께는 1 ㎛ 이상 필요하며, 30 ㎛ 이상에서는 높은 비용이 들기 때문에 1 내지 30 ㎛ 로 규정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 로 규정한다.
금속판상에 수지필름을 피복하는 경우, 금속판의 양측 모두 본 발명의 복층 연신 수지 필름층으로 피복하여도 좋고, 캔 외면으로 되는 쪽만 연신수지 필름층으로 피복하고, 캔 내면으로 되는 쪽은 임의의 수지로 피복하여도 좋다.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는, 복층의 합계의 두께가 4 내지 60 ㎛ 가 바람직하다.
금속판으로서는, 강판 및 알루미늄판에 여러 가지의 표면 처리를 행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폴리에스테르수지, 폴리올레핀수지, 폴리카아보네이트수지, 폴리아미드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여러 가지의 것을 사용할 수가 있지만,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위를 주체로 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올레핀 수지인 경우는 폴리프로필렌, 플리에틸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본 발명에 적용가능하다.
또,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카아보네이트수지인 경우는 내열성의 면에서 방향족 폴리카아보네이트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폴리아미드수지로서는, 6-나일론, 6,6-나일론, 6-6,6-공중합체 나일론, 6,10-나일론, 7-나일론, 11-나일론 등이 본 발명에 적용가능하다.
상기한 열가소성 수지필름을 금속판에 피복하는 방법으로서, 금속판의 양면에, 통상의 방법에 따라 연신 배향시킨 필름을 열융착에 의해, 또는 접착제를 통하여 적층하는 방법 및 이들의 방법을 병용한 방법 등이 있고, 어느 방법도 본 발명의 수지필름 피복 금속판의 제조방법으로서 적용가능하다.
그리고, 상기의 열가소성수지필름을 접착제층을 통하여 금속판에 적층하는 것은 가공밀착성을 개량하는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접착제는 공지의 것도 사용가능하지만, 에폭시기 (基)를 분자내에 갖는 열경화성 중합 조성물이 보다 바람직하고, 열가소성 수지필름의 금속판과 접하는면에 도포, 건조해도 또는 금속판의 표면에 도포,건조시켜도 좋다.
또, 캔내면으로 되는 쪽에서는 임의의 수지가 적용가능하지만, 열가소성 수지 대신에 도료를 사용하는 경우는, 에폭시 수지에 경화제로서 적정량의 페놀수지, 아미드 수지, 아크릴수지 등을 혼합한 에폭시기를 분자내에 갖는 열경화성 중합 조성물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통상의 얇은 주석도금강판에, 캔내면측으로되는 면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88 몰%,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12 몰% 로 이루어지는 2 축연신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필름 (두께 : 25 ㎛, 면배향계수 : 0.126, 융점 : 229 ℃)을, 캔 외면측으로 되는 면의 상층쪽으로 30 중량 % 의 백색안료를 갖는 두께 5 ㎛의 상기와 동일 조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필름과, 하층이 각각 0.5, 1, 10 중량 % 의 운모 분말을 갖는 두께 5 ㎛ 의 상기와 동일 조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복층 연신 필름을 적층하고, 바로 수중에 침지 냉각하였다. 건조 후,두께 2 ㎛ 의 적, 청, 녹, 황, 금색의 기준색을 다색 인쇄하였다. 이 줄무늬 형상 필름 적층강판을 용접 캔용 블랭크 사이즈로 절단하고, 3 피스 용접캔으로 하였다. 인쇄전의 바탕의 백색도를 닛뽕덴쇼꾸 (주) 제의 분광색차계 SZS - Σ90으로 확산 반사 L*를 측정한 값으로 평가하였다. 이 확산 반사 L*값은 측정기종이나 측정조건에 의해서도 상이하기 때문에, 절대치로 판단할 것은 아니지만, 편의상 캔 몸체부, 캔 뚜껑부 모두 84 이상을 합격으로 하였다. 또, 캔 제조후의 캔 외면의 인쇄 선명성은 적, 청, 녹, 황, 금색의 기준색을 다색 인쇄한 캔을 육안으로 보고 평가함과 동시에, 시각으로 느끼는 인쇄 선명성의 정도는 인쇄가 가장 선명한 경우부터, 희미한 경우까지 모두 4단계로 나누어서 이하와 같이 평가하였다.
◎ : 매우 선명 ○: 선명 △ : 약간 희미하다 ×: 희미하다
실시예 2
통상의 전해 크롬산처리 강판에 캔 내면측으로 되는 면에는 두께 10 ㎛ 의 비스페놀 A 폴리카아보네이트 수지 필름을, 캔 외면측으로 되는 면에는 상층이 20 중량 % 의 백색 안료를 갖는 두께 12 ㎛ 의 상기와 동일 조성의 비스 페놀 A 폴리 카아보네이트 수지 필름과, 하층이 각각 0.5, 1, 10 중량 % 의 유리 분말을 갖는 두께 1 ㎛ 의 상기와 동일 조성의 폴리 카아보네이트 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복층 연신 필름을 적층하고, 바로 수중에 침지 냉각하였다. 건조 후, 양면에 파라핀계 왁스를 약 50 mg/㎡ 도포하고, 이후의 가공을 실시하였다. 먼저, 직경 179 mm 의 블랭크로 펀칭한 후, 캔 지름이 100 mm 의 드로잉 캔으로 하였다. 이어서, 재드로잉 가공에 의해 캔 지름 80 mm 의 재드로잉 캔으로 하였다. 이 재드로잉 캔을 다시 캔지름 66 mm 의 박리화 딥드로잉 (deep drawing) 캔으로 하였다. 캔 제조 후, 두께 2 ㎛ 의 적, 청, 녹, 황, 금색의 기준색을 다색 인쇄하고, 캔 외면의 인쇄 선명성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실시예 3
통상의 얇은 주석 도금 강판에 캔내면측으로 되는 면에는 두께 10 ㎛ 의 에폭시/페놀도료를, 캔 외면측으로 되는 강판면에 상층이 12 중량 % 의 백색 안료를 갖는 두께 20 ㎛ 의 실시예 1 에 나타낸 공중합 플리에스테르 수지필름과, 하층이 각각 1, 5, 30 중량 % 의 폴리테트라플로로에틸렌 수지를 혼합한 두께 3 ㎛ 의 상기와 같은 종류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으로 이루이지는 복층 연신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 과 같은 조건으로 캔을 제조하고, 캔 제조 후의 캔 외면측의 인쇄 선명성을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실시예 4
캔 외면측으로 되는 알루미늄면에 상층이 12 중량 % 의 백색 안료를 갖는 두께 20 ㎛ 의 실시예 1 에 나타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필름과, 하층이 각각 0.5, 1, 10 중랑 % 의 황산바륨을 첨가한 두께 3 ㎛ 의 상기외 같은 종류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복층 연신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2 와 같은 조건으로 캔을 제조하고, 캔 제조 후의 캔 외면측의 인쇄 선명성을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실시예 5
캔 뚜껑의 외면측으로되는 알루미늄면에 상층이 15 중량 % 의 백색안료를 갖는 두께 10 ㎛ 의 비스페놀 A 폴리카아보네이트 수지필름과, 하층이 각각 0.5, 1, 10 중량 % 의 탄산칼슘을 갖는 두께 3 ㎛ 의 상기와 같은 종류의 폴리카아보네이트 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복층 연신 필름을 적층하고, 캔 뚜껑 외면측의 백색도 (바탕 은폐성)를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실시예 6
캔 뚜껑의 외면측으로 되는 전해 크롬산 처리 강판면에 상층이 15 중량 % 의 백색 안료를 갖는 두께 10 ㎛ 의 비스페놀 A 폴리카아보네이트 수지필름과, 하층이 각각 1, 5, 30 중량 % 의 폴리올레핀 (폴리프로필렌)을 혼합한 두께 3 ㎛ 의 상기와 같은 종류의 폴리카아도네이트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복층 연신 필름을 적층하고, 캔 뚜껑 외면측의 백색도 (바탕 은폐성) 을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비교예 1
통상의 얇은 주석도금 강판에, 캔 내면측으로 되는 면에는 실시예 1과 같은 필름을 캔 외면측으로 되는 면의 상층쪽에는 30 중량 % 의 백색 안료를 갖는 두께 5 ㎛ 의 실시예 1 과 동일 조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필름과, 하층이 0.3 중량 % 의 운모 분말을 갖는 두께 5 ㎛ 의 상기와 같은 종류의 폴리에스테르 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복층 연신 필름을 적층하고, 바로 수중에 첨지 냉각하였다.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캔을 제조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캔 외면측의 인쇄 선명성을 평가하였다.
비교예 2
통상의 전해 크롬산 처리 강판에, 캔 내면측으로 되는 면에는 실시예 2 와같은 두께의 10 ㎛ 의 비스페놀 A 폴리카아보네이트 수지필름을, 캔 외면측으로 되는 면의 상층쪽에는 20 중량 % 의 백색 안료를 갖는 두께 12 ㎛ 의 실시예 2 와 동일 조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필름과, 하층에 0.3 중량 % 의 유리 분말을 갖는 두께 1 ㎛ 의 상기와 같은 종류의 비스페놀 A 폴리카아보네이트 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복층 연신 필름을 적층하고, 바로 수중에 침지 냉각하였다. 실시예 2 와 같은 조건으로 캔을 제조하고,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인쇄 후, 캔 외면측의 인쇄 선명성을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비교예 3
통상의 얇은 주석 도금 강판에, 캔내면측으로 되는 면에는 두께 10 ㎛ 의 에폭시/페놀 도료를, 캔외면측으로 되는 강판면에 상층이 12 중량 % 의 백색 안료를 갖는 두께 20 ㎛ 의 실시예 1 에 나타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수지필름과 하층이 0.3 중량 % 의 폴리테트라플로로에틸렌 수지를 혼합한 두께 3 ㎛ 의 상기와 같은 종류의 폴리에스테르 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복층 연신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 과 같은 조건으로 캔을 제조하고, 캔 제조후의 캔 외면측의 인쇄 선명성을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비교예 4
캔 외면측으로 되는 알루미늄면에 상층이 12 중량 % 의 백색 안료를 갖는 두께 20 ㎛ 의 실시예 1 에 나타낸 공중한 폴리에스테르 수지필름과, 하층이 0.3 중량 % 의 황산바륨을 첨가한 두께 3 ㎛ 의 상기와 같은 종류의 폴리에스테르 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복층 연신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2 와 같은 조건으로캔을 제조하고, 캔 제조후의 캔 외면측의 인쇄 선명성을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비교예 5
캔 두께의 외면측으로 되는 알루미늄면에 상층이 15 중량 % 의 백색 안료를 갖는 두께 10 ㎛ 의 비스페놀 A 폴리카아보네이트 수지필름과, 하층이 0.3 중량 % 의 탄산칼슘 분말을 갖는 두께 3 ㎛ 의 상기와 같은 종류의 폴리카아보네이트 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복층 연신 필름을 적층하고, 캔 뚜껑 외면측의 백색도 (바탕 은폐성) 를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비교예 6
캔 두께의 외면측으로 되는 전해 크롬산 처리 강판면에 상층이 15 중량 % 의 백색 안료를 갖는 두께 10 ㎛ 의 비스페놀 A 폴리카아보네이트 수지필름과, 하층이 0.3 중량 % 의 폴리올레핀 (폴리프로필렌)을 혼합한 두께 3 ㎛ 의 상기와 같은 종류의 폴리카아보네이트 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복층 연신 필름을 적층하여, 캔 뚜껑의 외면측의 백색도 (바탕 은폐성)를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비교예 7
통상의 전해 크롬산 처리 강판에, 캔 내면측으로 되는 면에는 실시예 2 와 같은 두께 10 ㎛ 의 비스페놀 A 폴리카아보네이트 수지필름을 캔 외면측으로 되는 면에는 20 중량 % 의 백색 안료를 갖는 두께 13 ㎛ 의 상기와 같은 종류의 폴리카아보네이트 수지필름의 단층 연신 필름을 적층하고, 바로 수중에 침지 냉각하였다. 실시예 2 와 같은 조건으로 캔을 제조하고,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인쇄 후, 캔 외면측의 인쇄 선명성을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평가한 결과를 표 1 에서 표 3 에 표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복층 연신수지필름 피복 금속판은 우수한 캔 외면의 인쇄 선명성 또는 바탕 은폐성을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연신 필름 적층 금속판을 사용함으로써, 백색 안료를 갖는 수지필름층의 두께를 감소시키더라도, 캔 외면의 인쇄 선명성이 우수한 2 피스 캔 및 3 피스 캔 또는 바탕 은폐성이 우수한 캔 뚜껑의 제조가 가능케 된다.
Claims (4)
- 금속판의 적어도 편면에, 상층이 5 내지 50 중량 % 의 백색 안료를 갖는 두께 3 내지 30 ㎛ 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하층이 열가소성 수지와의 상용겅 (相溶性)이 나쁜 첨가제를 함유한 두께 1 내지 30 ㎛ 의 열가소성 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복층 연신 필름을 피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선명성이 우수한 복층 연신 필름 적층 금속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와의 상용성이 나쁜 첨가제는 편평상의 공극을 주위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선명성이 우수한 복층 연신 필름 적층 금속판.
- 금속판의 적어도 편면에, 상층이 5 내지 50 중량 % 의 백색 안료를 갖는 두께 3 내지 30 ㎛ 의 열가소성 수지필름과, 하층이 미세한 공극이 분산된 1 내지 30 ㎛ 의 열가소성 수지필름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복층필름을 피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선명성이 우수한 복층 연신 필름 적층 금속판.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가 운모, 탄산칼슘, 황산바륨, 유리, 폴리올레핀, 폴리테트라플로로에틸렌으로부터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선명성이 우수한 복층 연신 필름 적층 금속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22079A KR100327283B1 (ko) | 1996-06-18 | 1996-06-18 | 인쇄선명성이우수한복층연신필름적층금속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22079A KR100327283B1 (ko) | 1996-06-18 | 1996-06-18 | 인쇄선명성이우수한복층연신필름적층금속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80000890A KR980000890A (ko) | 1998-03-30 |
KR100327283B1 true KR100327283B1 (ko) | 2002-07-08 |
Family
ID=66287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60022079A KR100327283B1 (ko) | 1996-06-18 | 1996-06-18 | 인쇄선명성이우수한복층연신필름적층금속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27283B1 (ko) |
-
1996
- 1996-06-18 KR KR1019960022079A patent/KR10032728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80000890A (ko) | 1998-03-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97819B1 (ko) | 이축배향된다층폴리에스테르필름및이의제조방법 | |
CA1311675C (en) | Laminated metal sheet | |
KR100528557B1 (ko) | 산소차단성이높은이축배향폴리에스테르필름,이의용도및제조방법 | |
KR100597817B1 (ko) | 이축연신된공압출폴리에스테르필름및이의제조방법 | |
AU2011283642B2 (en) | High opacity laser printable facestock | |
JP3208089B2 (ja) | 冷凍食品パッケージ用のコンポジット材料とその製造方法 | |
EP0816063B1 (en) | High-image-sharpness resin-coated metal sheet excellent in adhesion after work | |
JP3329052B2 (ja) | 金属板ラミネート用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 |
US4957578A (en) | Process for producing a paperboard product for premium packaging applications | |
KR100327283B1 (ko) | 인쇄선명성이우수한복층연신필름적층금속판 | |
JPH11348218A (ja) | 着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着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を被覆してなる被覆金属板、および着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被覆金属板を用いた缶 | |
KR20200016339A (ko) | 캔 뚜껑용 멀티레이어드 마감 | |
US6150012A (en) | White film to be laminated to metal surface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 |
JP3046215B2 (ja) | 印刷鮮明性に優れる複層延伸フィルム積層金属板 | |
KR102453574B1 (ko) | 플라스틱 프리 친환경 금속 포장지 및 이의 제조방법 | |
JP3117729B2 (ja) | 印刷鮮明性に優れる複層フィルム積層金属板 | |
JP3282376B2 (ja) | 金属板ラミネート用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 | |
JP3056377B2 (ja) | 容器用二層樹脂被覆鋼板 | |
JPH11179846A (ja) | 金属ラミネート用白色フィルム | |
CN1174121A (zh) | 具有印刷鲜明性的复层延伸膜片层合金属板 | |
JP2000154264A (ja) | 着色樹脂フィルム、着色樹脂被覆金属板および着色樹脂被覆金属板を用いてなる缶 | |
JP3041679B2 (ja) | 電子線硬化樹脂被覆シートの製造方法 | |
WO2023282030A1 (ja) | 金属板貼合せ用フィルム | |
JPH11245359A (ja) | 金属ラミネート用白色フィルム | |
CA2209137C (en) | A resin-coated metal sheet with higher vivid reflectivity having the excellent workable adhesion strength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1125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