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3858B1 - 절첩식 휴대용 미니 오토바이 - Google Patents

절첩식 휴대용 미니 오토바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3858B1
KR100323858B1 KR1019990014743A KR19990014743A KR100323858B1 KR 100323858 B1 KR100323858 B1 KR 100323858B1 KR 1019990014743 A KR1019990014743 A KR 1019990014743A KR 19990014743 A KR19990014743 A KR 19990014743A KR 100323858 B1 KR100323858 B1 KR 100323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handle shaft
fixed support
inclined surface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4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6780A (ko
Inventor
차기영
Original Assignee
차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기영 filed Critical 차기영
Priority to KR1019990014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3858B1/ko
Publication of KR19990046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6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3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38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62K15/008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foldable about 2 or more 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2Saddles resiliently mounted on the frame; Equipment therefor, e.g.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62K11/02Frames
    • B62K11/10Frames characterised by the engine being over or beside driven rear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18Joints between frame members
    • B62K19/24Screwed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3/00Rider-operated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i.e. means for initiating control operations, e.g. levers, grips
    • B62K23/02Rider-operated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i.e. means for initiating control operations, e.g. levers, grips hand actuated
    • B62K23/04Twist g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8Frames for saddles; Connections between saddle frames and seat pillars; Seat pillars
    • B62J2001/085Seat pillars having mechanisms to vary seat height, independently of the cycle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절첩식 미니 오토바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미니 오토바이는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의자 지주를 올리고 내려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정도 외에 절첩 구조를 구비하지 못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선행 고안으로 하부 측에 스프링 압력을 받아 승강되게 체결구를 설치하여 절첩되게 한 방법이 공지되어 있으나 이는 스프링이 하부 측에 설치되어 체결구를 받쳐 올려 주도록 되어있는 관계로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스프링 압력이 저하되고 변형되어 수축 될 경우 체결구가 핸들 축으로부터 빠져 내려와 운전중 절첩될 수 있는 치명적인 안전 상의 문제가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제 결점에 착안하여 미니 오토바이의 핸들 축과 의자 지주 각 하측을 절첩 될 수 있는 구조로 하되, 안전성 보장을 위하여 절첩 구동부를 절첩부 상부측에 설치하므로 써 운전중 임의 절첩될 수 있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여 사고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간단히 절첩시켜 승용차의 트렁크 등에 넣고 휴대하여 여행지 등에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편리하게 사용 보관하기에 적합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절첩식 휴대용 미니 오토바이 {Portable mini autobicycle having hold and open system}
본 발명은 휴대용 절첩식 미니 오토바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핸들 축과 의자 지주를 간단히 절첩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트렁크 등에 휴대, 보관하기에 편리하도록 한 것이다.
통상 미니 스쿠터 또는 모페드로 불리는 미니 오토바이는 필수 요소 즉, 소형 바퀴 2개와 엔진, 핸들과 쿠션 의자 및 두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정도의 작은 발판으로 간단히 구성된 소형, 경량으로서 야외에서 레저 스포츠용으로 즐기거나 근거리를 신속하게 이동하는 업무용으로 편리하게 사용되는 것으로 전 세계적으로 그 수요는 급속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미니 오토바이는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의자 지주를 올리고 내려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정도 외에 절첩 구조를 구비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자동차 등에 싣고 한적한 교외로 나가 자연과 더불어 상쾌함을 온몸으로 느끼고 싶은 욕망을 충족시킬 수 없게되는 결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선행 고안으로 하부 측에 스프링 압력을 받아 승강되게 체결구를 설치하여 절첩되게 한 방법이 공지되어 있으나 이는 스프링이 하부 측에 설치되어 체결구를 받쳐 올려 주도록 되어있는 관계로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스프링 압력이 저하되고 변형되어 수축 될 경우 체결구가 핸들 축으로부터 빠져 내려와 운전중 절첩될 수 있는 치명적인 안전 상의 문제가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제 결점에 착안하여 미니 오토바이의 핸들 축과 의자 지주 각 하측을 원터치 방식으로 안전하게 절첩 될 수 있는 구조로 하여 간단히 절첩시켜 승용차의 트렁크 등에 넣고 휴대하여 여행지 등에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편리하게 사용 보관하기에 적합하도록 한 것이다.
도 1 - 본 발명에 따른 미니 오토바이의 사시도
도 2 - 본 발명에 따른 미니 오토바이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 - 본 발명에 따른 미니 오토바이의 절첩예시 요부 발췌 측면도
도 4 - 본 발명에 따른 미니 오토바이의 핸들부 발췌 측 단면도
도 5 - 본 발명에 따른 미니 오토바이의 절첩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미니 오토바이 2 - 프레임
3a,3b - 전, 후측 소형 바퀴 4 - 발판
5 - 엔진 9 - 핸들 축
10 - 쿠션 의자 11 - 의자 지주
12a,12b - 절첩장치 13 - 고정 지지관체
14a - 하측 절첩 경사면 14b - 상측 절첩 경사면
14c - 슬라이드 경사면 15 - 'U'자형 개구부
16 - 힌지 볼트 17 - 내관체
18 - 조인트 슬라이드 작동체 19 - 압축코일 스프링
20 - 고정볼트 21 - 케이블
22 - 캠 레버 23 - 장공
24 - 승강레버
이하, 첨부된 도면 및 바람직 한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미니 오토바이(1)의 구조는 종래와 같은 것으로 한 쌍의 전, 후측 소형 바퀴(3a)(3b)가 두발을 딛고 설 수 있는 정도의 폭으로 장착된 발판(4)을 고정시킨 프레임(2)의 전후에 장착 설치되고, 후측 소형 바퀴(3b)의 상부 측에는 엔진(5)이 장착되어 상기 발판(4)과 일체형의 엔진 커버(6)에 의하여 커버되어 있으며, 앞측에는 상단 양측에 가속레버(7a)와 전륜 브레이크(8a), 손잡이(7b)와 후륜 브레이크(8b)가 설치된 핸들과 연결된 파이프형 핸들 축(9)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발판(4) 후측의 프레임(2)에는 상단에 쿠션 의자(10)가 장착된 파이프형의 의자 지주(11)가 높이 조정구(12)에 의하여 높이 조정 가능한 상태로 수직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통상의 미니 오토바이 구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의 앞측과 후측에 수직으로 연결 설치된 핸들 축(9)과 의자 지주(11)의 하단 부에 서로 대향하여 절첩되는 동일 구조의 절첩장치(12a)(12b)가 설치되는 바,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레임(2)에 접속되어 수직 설치되는 고정 지지관체(13)의 상단 면은 절첩 방향으로 하측 절첩 경사면(14a)을 형성하고, 여기에 맞추어 절첩될 수 있도록 그 길이 만큼의 상기 핸들 축(9)의 절첩 반대쪽은 평 단면상 U자형 개구부(15)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 지지관체(13)가 안쪽으로 삽입, 분리 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위하여 고정 지지관체(13)의 하부 양측을 관통하여 횡으로 힌지 볼트(16)로써 절첩 가능토록 핸들 축(9)을 체결 설치한다.
이때, 상기 핸들 축(9)의 U자형 개구부(15)의 상단 부에는 그 내측에 삽입되는 고정 지지관체(13)의 상단과 일치하도록 상측 절첩 경사면(14b)을 형성하여 대응 결합 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 축(9)의 상측 절첩 경사면(14b) 내측에는 내관체(17)가 삽입 설치되고 그 내경에는 조인트 슬라이드 작동체(18)가 삽입 설치되는 데, 그 하단은 상기 핸들 축(9)의 상측 절첩 경사면(14b)과 일치되는 슬라이드 경사면(14c)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 지지관체(13)의 하측 절첩 경사면(14a)과 접촉되어 승강되도록 하며, 상승 후의 자동 하강을 위하여 그 상부 측에는 압축코일 스프링(19)이 삽입 설치되고 이는 상측을 횡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고정 볼트(20)에 의하여 상부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였으며, 절첩시 조인트 슬라이드 작동체(18)의 강제 상승을 위하여 핸들 축(9)의 내경을 통해 케이블(21)로 연결하여 핸들의 상측에 캠 레버(22)를 설치하여 레버를 제치면 당겨 올려지고 다시 원위치 시키면 복귀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보조 기능으로써 핸들 축(9)과 내관체(17)의 측면에는 장공(23)을 형성하고, 승강 레버(24)를 조인트 슬라이드 작동체(18)의 측면에 체결하여 강제 승강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원터치 절첩이 가능케 되는 것으로서 사용 후 절첩 식히고자 하는 경우에는 핸들 상측에 설치된 캠 레버(22)를 제치거나 승강 레버(24)를 당겨 올려 조인트 슬라이드 작동체(18)를 상승시키게 되면 고정 지지관체(13)에 끼워져 핸들 축(9)을 수직으로 지지하고 있던 상태에서 빠져 올라가 그 하단의 슬라이드 경사면(14c)이 내관체(17) 하단의 상측 절첩 경사면(14b)과 일치되어 고정 지지관체(13) 하부측 힌지 볼트(16)를 지지 점으로 핸들 축(9) 절첩이 가능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절첩시킨 크기는 약 폭:50㎝, 전장:100㎝, 높이;40㎝ 정도로서 승용차의 트렁크에 휴대하기 용이하여 여행지에서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절첩 보관 상태에서 사용을 위하여 전개시키는 경우에는 특별한 조작 없이 단순히 절첩 상태의 핸들 축(9)을 곧게 세워 주기만 하면 원터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서, 절첩 상태에서 압축코일 스프링(19) 압력을 받아 내관체(17) 하부로 밀려나와 있던 조인트 슬라이드 작동체(18)는 그 하면의 슬라이드 경사면(14c)이 고정 지지관체(13) 상면의 하측 절첩 경사면(14a)과 접촉되면서 슬라이딩되어 상측의 압축코일 스프링(19)을 압축하면서 일시적으로 내관체(17) 내로 밀려 올라가 갔다가 핸들 축(9)이 정 수직 상태로 세워지는 시점에 이르게 되면 고정 지지관체(13)의 내경과 수직 일치 상태가 됨으로 압축코일 스프링(19)의 압력을 받고있던 조인트 슬라이드 작동체(18)가 하강하여 고정 지지관체(13)내에 끼워지게 됨으로 견고하고 안전하게 조립 설치되는 것으로 의자 지주(11)도 같은 절첩 방식으로 절첩 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압축코일 스프링의 상부 탄발 구조로 하여 조인트 슬라이드 작동체가 상부 측에서 승하강 작동하는 구조로 되어있어 장기간 사용에 따라 압축코일 스프링의 탄성이 약화된다 하더라도 조인트 슬라이드 작동체는 자체 하중에 의하여 하강 작동력이 상시 작용됨으로 조인트 상태가 정확히 유지되어 운행중 임의로 절첩될 수 있는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므로 써 간편하게 절첩, 휴대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통상의 구조로 된 미니 오토바이에 있어서,
    절첩장치(12a)를 구성함에 있어 프레임(2)에 접속되어 수직 설치되는 고정 지지관체(13)의 상단에는 하측 절첩 경사면(14a)을 형성하고, 여기에 맞추어 절첩될 수 있도록 그 길이 만큼의 상기 핸들 축(9)의 절첩 반대쪽은 평 단면상 U자형 개구부(15)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 지지관체(13)가 안쪽으로 삽입, 분리 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위하여 고정 지지관체(13)의 하부 측에 힌지 볼트(16)로써 절첩 가능토록 핸들 축(9)을 체결 설치하되, U자형 개구부(15)의 상단 부에는 그 내측에 삽입되는 고정 지지관체(13)의 상단과 일치하도록 상측 절첩 경사면(14b)을 형성하여 대응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핸들 축(9)의 상측 절첩 경사면(14b) 내측에는 내관체(17)와 조인트 슬라이드 작동체(18)를 삽입 설치하되, 그 하단은 상기 핸들 축(9)의 상측 절첩 경사면(14b)과 일치되는 슬라이드 경사면(14c)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 지지관체(13)의 하측 절첩 경사면(14a)과 접촉되어 승강되도록 하며, 그 상부 측에는 압축코일 스프링(19)을 삽입 설치한 다음 절첩시 조인트 슬라이드 작동체(18)의 강제 상승을 위하여 핸들 축(9)의 내경을 통해 케이블(21)로 연결하여 핸들의 상측에 캠 레버(22)를 설치하며, 상기 핸들 축(9)과 내관체(17)의 측면에는 장공(23)을 형성하고, 승강 레버(24)를 조인트 슬라이드 작동체(18)의 측면에 체결하여 강제 승강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절첩장치(12a)와 동일 구조로 하여 상단에 쿠션 의자(10)가 장착되고 수직 절첩이 가능토록 된 의자 지주(11)의 하부 측에 절첩장치(12b)를 구성 설치하여 상기 핸들 축과 대향 절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휴대용 미니 오토바이.
  2. 삭제
KR1019990014743A 1999-04-24 1999-04-24 절첩식 휴대용 미니 오토바이 KR100323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4743A KR100323858B1 (ko) 1999-04-24 1999-04-24 절첩식 휴대용 미니 오토바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4743A KR100323858B1 (ko) 1999-04-24 1999-04-24 절첩식 휴대용 미니 오토바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6780A KR19990046780A (ko) 1999-07-05
KR100323858B1 true KR100323858B1 (ko) 2002-02-19

Family

ID=37460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4743A KR100323858B1 (ko) 1999-04-24 1999-04-24 절첩식 휴대용 미니 오토바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38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0497A (ko) 2022-02-09 2023-08-17 주식회사 대화연료펌프 시트 에어모듈을 갖는 퍼스널 모빌리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986U (ja) * 1983-06-27 1985-01-17 ブリヂストンサイクル株式会社 折り畳み自転車フレ−ムの固定装置
KR900000627U (ko) * 1988-06-16 1990-01-17 장영길 접철식 자전거
US5388659A (en) * 1993-08-19 1995-02-14 Pepe; Anthony Motorized scooter
KR19990009415U (ko) * 1997-08-21 1999-03-15 박명규 미니스쿠우터 핸들프레임의 절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986U (ja) * 1983-06-27 1985-01-17 ブリヂストンサイクル株式会社 折り畳み自転車フレ−ムの固定装置
KR900000627U (ko) * 1988-06-16 1990-01-17 장영길 접철식 자전거
US5388659A (en) * 1993-08-19 1995-02-14 Pepe; Anthony Motorized scooter
KR19990009415U (ko) * 1997-08-21 1999-03-15 박명규 미니스쿠우터 핸들프레임의 절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6780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6602A (en) Collapsible bicycle
US7140681B2 (en) Occupant centering ergonomic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JP4686765B2 (ja) 三輪車
KR20160040437A (ko) 개인용 운송수단을 접는 방법 및 시스템
US7549664B2 (en) Motorcycle anti-tipover device
US20120013103A1 (en) Quick-lock motorcycle fold-up structure
US20020145264A1 (en) Folding structure of a scooter
GB2284583A (en) Powered two-wheel vehicles
KR100323858B1 (ko) 절첩식 휴대용 미니 오토바이
KR100363220B1 (ko) 접이식 3륜자전거
CN111252179B (zh) 滑板车
CN216709545U (zh) 一种可伸缩的电动自行车
EP4234382A2 (en) Collapsible electric vehicle, vehicle frame for same, and vehicle frame lock
JP4391795B2 (ja) 二輪車両及び三輪車両用パーキングレバーの配置構造
JPH05201372A (ja) 自動二輪車のピリオンフートレスト装置
KR100340446B1 (ko) 절첩식 휴대용 미니 오토바이
CN220465660U (zh) 一种可折叠儿童车载座椅
KR200175478Y1 (ko) 서행용 이륜차의 핸들 절첩장치
KR101189799B1 (ko) 접이식 자전거
KR200284392Y1 (ko) 스쿠터의 안장 절첩장치
CN219277699U (zh) 折叠电动车
EP1277624B1 (fr) Dispositif de protection perfectionné contre les chocs à appui-tête et arceau mobile, pour véhicule automobile
CN111186520B (zh) 一种便携式折叠代步车
KR200172249Y1 (ko) 서행용 이륜차의 핸들 로크장치
CN211943624U (zh) 一种带行李箱功能的折叠代步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