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3424B1 - 스폿 용접기 - Google Patents

스폿 용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3424B1
KR100323424B1 KR1019990035977A KR19990035977A KR100323424B1 KR 100323424 B1 KR100323424 B1 KR 100323424B1 KR 1019990035977 A KR1019990035977 A KR 1019990035977A KR 19990035977 A KR19990035977 A KR 19990035977A KR 100323424 B1 KR100323424 B1 KR 100323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holder
arm
support
spot we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5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9535A (ko
Inventor
임영운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90035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3424B1/ko
Publication of KR20010019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9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3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34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 B23K11/115Spot welding by means of two electrodes placed opposite one another on both sides of the weld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0Features relating to electrodes
    • B23K11/3072Devices for exchanging or removing electrodes or electrode t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스폿 용접기가 하부팁의 직경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팁을 교환하여 설치해야 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고 나사산의 마모로 인해 수명이 짧은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복수개의 암이 방사형으로 설치되고 각각의 암의 끝단부에는 서로 다른 직경의 하부팁이 설치된 팁홀더와, 베이스 상에 설치되어 상기 팁홀더의 암을 지지하는 지지블록과, 상기 팁홀더의 중앙부 하측에 설치되어 팁홀더를 탄발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되고 용접이 이루어지는 하부팁이 설치된 암의 선단을 지지하는 팁지지대와, 상기 하부팁과의 사이에 아크를 발생시켜 둘 사이에 놓인 피용접재를 점 용접하는 상부팁과, 상기 상부팁이 피스톤의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팁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를 고정시키는 실린더 홀더로 구성됨으로써,
볼트 타입이 아닌 회전식으로 되어 있어 하부팁의 교체가 용이하므로 작업성이 향상되고 하부팁에 나사산이 없으므로 나사산의 마모로 인해 발생되는 여러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스폿용접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폿 용접기 { Spot Welder }
본 발명은 두 개의 팁을 통해 한 지점에 용접을 실시하는 스폿 용접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직경이 서로 다른 복수개의 하부 팁을 회전시켜 가면서 용접을 실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스폿 용접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폿 용접기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타입의 하부팁(11)이 설치된 팁 고정대(14)와, 상기 하부팁(11)과의 사이에 아크를 발생시켜 둘 사이에 놓인 피용접재를 점 용접하는 상부팁(12)과, 상기 상부팁(12)이 피스톤의 끝단(13')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팁(12)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13)와, 상기 유압실린더(13)를 고정시키는 실린더 홀더(1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스폿 용접기는 상부팁과 하부팁 사이에 위치된 피용접재를 일점씩 용접하게 되어있다.
피용접재를 상부팁(12)과 하부팁(11) 사이에 위치시킨 후, 유압실린더(13)를 작동시키면 유압실린더(13)의 동작에 따라 상부팁(12)이 하강하게 된다. 상부팁(12)의 하강에 따라 피용접재의 상측에는 상부팁(12)이 근접되고 피용접재의 하측은 하부팁(11)에 접촉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부팁(12)과 하부팁(11) 사이에 순간적으로 아크가 발생되고, 아크의 발생은 고열을 수반하게 되므로 피용접재의 일부가 녹으면서 서로 용접된다. 물론, 아크의 발생과 동시에 상기 상부팁(12)은 상승하게 되므로, 피용접재가 계속 녹지 않고 일순간만 아크가 발생되어 피용접재가 용접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스폿 용접기는 하부팁의 직경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팁을 교환하여 설치해야 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고 나사산의 마모로 인해 수명이 짧은 문제점이 있다.
즉, 하부팁이 볼트 타입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부팁의 직경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팁을 교환하여 다시 설치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으며, 팁의 잦은 교체는 필연적으로 나산산의 마모를 야기하므로 팁의 수명이 줄어들게 된다.
또, 하부팁을 교환한 후 정위치에 수납하지 않으면 분실의 우려가 있고 나사산의 마모가 심한 팁을 사용할 때 조임이 느슨하면 아크가 발생될 때 안전사고의 위험이 상존하는 다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하부팁을 볼트 체결 방식이 아닌 회전식으로 구성함으로써 하부팁의 직경 전환이 자유롭고 하부팁의 내구성 및 안전성이 향상된 스폿 용접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폿 용접기가 도시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A'부가 도시된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폿 용접기가 도시된 구성도,
도 4는 도 3의 'K'부가 도시된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팁홀더의 사시도,
도 6은 팁홀더의 평면도,
도 7은 팁홀더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하부팁 52 : 팁지지대
53 : 암 53' : 보조암
54 : 지지블록 55 : 팁홀더
55' : 밀판 55' : 중앙축
56 : 스프링 57 : 상부팁
58 : 유압실린더 58' : 피스톤
59 : 실린더 홀더 60 : 베이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암이 방사형으로 설치되고 각각의 암의 끝단부에는 서로 다른 직경의 하부팁이 설치된 팁홀더와, 베이스 상에 설치되어 상기 팁홀더의 암을 지지하는 지지블록과, 상기 팁홀더의 중앙부 하측에 설치되어 팁홀더를 탄발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되고 용접이 이루어지는 하부팁이 설치된 암의 선단을 지지하는 팁지지대와, 상기 하부팁과의 사이에 아크를 발생시켜 둘 사이에 놓인 피용접재를 점 용접하는 상부팁과, 상기 상부팁이 피스톤의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팁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를 고정시키는 실린더 홀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스폿 용접기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암(53)이 방사형으로 설치되고 각각의 암(53)의 끝단부에는 서로 다른 직경의 하부팁(51)이 설치된 팁홀더(55)와, 베이스(56) 상에 설치되어 상기 팁홀더(55)의 암을 지지하는 지지블록(54)과, 상기 팁홀더(55)의 중앙부 하측에 설치되어 팁홀더(55)를 탄발시키는 스프링(56)과, 상기 베이스(56) 상에 설치되고 용접이 이루어지는 하부팁이 설치된 암의 선단을 지지하는 팁지지대(52)와, 상기 하부팁(51)과의 사이에 아크를 발생시켜 둘 사이에 놓인 피용접재를 점 용접하는 상부팁(57)과, 상기 상부팁(57)이 피스톤(58')의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팁(57)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58)와, 상기 유압실린더(58)를 고정시키는 실린더 홀더(59)로 구성된다.
상기 암(53)의 끝단 하측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블록(54)에는 상기 돌출부가 안착되는 요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팁홀더(55)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 상기 암(53)은 길이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슬라이딩 방식의 보조암(53')이 설치되며, 상기 보조암(53')의 끝단부에는 상기 팁지지대(52)의 요홈부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하부팁(51)은 보조암(53')의 끝단부 상측에 설치된다.
상기 팁홀더(55)의 중앙축(55') 하측 끝단부에는 밀판(55')이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56)은 중앙축(55')에 외삽되며 일단이 상기 밀판(55')에 결착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지지블록(54)에 결착됨으로써, 밀판(55')을 밀어 올려 팁홀더(55)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스폿 용접기는 팁홀더를 회전시켜 가면서 서로 다른 직경의 하부팁을 이용하여 스폿 용접을 실시할 수 있게 한다.
팁홀더(55)의 암(53) 끝단부에 설치된 하부팁(51)을 팁지지대(52)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하부팁(51)과 상부팁(57) 사이에 피용접재를 위치시키고 유압실린더(58)를 이용하여 상부팁(57)을 하강시킴으로써 피용접재를 용접하게 된다.
여기서, 하부팁(51)의 직경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팁홀더(55)의 하측에 설치된 밀판(55')을 밀어 올림으로써 팁홀더(55)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팁홀더(55)를 회전시켜 적합한 직경의 하부팁(51)이 팁지지대(52)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후, 밀판(55')을 밀어 올리는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56)의 탄성력에 의해 팁홀더(55)는 하강하게 되고, 팁홀더(55)의 암(53) 끝단에 형성된 돌출부가 지지블록(54)의 요홈부에 안착되어 팁홀더(55)는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다.
또, 상기 암(53)의 크기가 길 경우 회전반경이 커지게 되므로 보조암(53')을 사용하는데, 보조암(53')은 암(53)의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면서 팁지지부(52) 측으로 확장된다. 즉, 적합한 하부팁(51)이 설치된 보조암(53')을 확장시켜 보조암(53')의 하부에 형성된 돌출부가 팁지지부(52)의 요홈부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하부팁(51)을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스폿 용접기는 볼트 타입이 아닌 회전식으로 되어 있어 하부팁의 교체가 용이하므로 작업성이 향상되고 하부팁에 나사산이 없으므로 나사산의 마모로 인해 발생되는 여러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복수개의 암이 방사형으로 설치되고 각각의 암의 끝단부에는 서로 다른 직경의 하부팁이 설치된 팁홀더와, 베이스 상에 설치되어 상기 팁홀더의 암을 지지하는 지지블록과, 상기 팁홀더의 중앙부 하측에 설치되어 팁홀더를 탄발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되고 용접이 이루어지는 하부팁이 설치된 암의 선단을 지지하는 팁지지대와, 상기 하부팁과의 사이에 아크를 발생시켜 둘 사이에 놓인 피용접재를 점 용접하는 상부팁과, 상기 상부팁이 피스톤의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팁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를 고정시키는 실린더 홀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용접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팁 홀더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암의 끝단 하측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블록에는 상기 돌출부가 안착되는 요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용접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길이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슬라이딩 방식의 보조암이 설치되며, 상기 보조암에 하부팁이 설치되고 보조암의 끝단부에는 상기 팁지지대의 요홈부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용접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팁홀더의 중앙축 하측 끝단부에는 밀판이 설치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중앙축에 외삽되며 일단이 상기 밀판에 결착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지지블록에 결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용접기.
KR1019990035977A 1999-08-27 1999-08-27 스폿 용접기 KR100323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5977A KR100323424B1 (ko) 1999-08-27 1999-08-27 스폿 용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5977A KR100323424B1 (ko) 1999-08-27 1999-08-27 스폿 용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9535A KR20010019535A (ko) 2001-03-15
KR100323424B1 true KR100323424B1 (ko) 2002-02-06

Family

ID=19609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5977A KR100323424B1 (ko) 1999-08-27 1999-08-27 스폿 용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34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522B1 (ko) * 2011-12-27 2014-02-10 주식회사 포스코 냉장고 도어의 측면 프레임 제작방법
KR101708191B1 (ko) * 2016-07-14 2017-02-20 미성이엔시 주식회사 용접봉 공급 가이드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7880U (ko) * 1985-01-28 1986-08-11
JPH03221271A (ja) * 1990-01-25 1991-09-30 Hitachi Electron Eng Co Ltd スポット溶接装置
JPH05169277A (ja) * 1991-12-18 1993-07-09 Toyota Motor Corp 抵抗溶接装置
KR19980048298A (ko) * 1996-12-17 1998-09-15 박병재 회전용 고정전극을 가지는 스폿용접기
KR19990065940A (ko) * 1998-01-14 1999-08-16 김문기 자동차 부품 스폿용접기에 있어 회전식 하부전극 자동교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7880U (ko) * 1985-01-28 1986-08-11
JPH03221271A (ja) * 1990-01-25 1991-09-30 Hitachi Electron Eng Co Ltd スポット溶接装置
JPH05169277A (ja) * 1991-12-18 1993-07-09 Toyota Motor Corp 抵抗溶接装置
KR19980048298A (ko) * 1996-12-17 1998-09-15 박병재 회전용 고정전극을 가지는 스폿용접기
KR19990065940A (ko) * 1998-01-14 1999-08-16 김문기 자동차 부품 스폿용접기에 있어 회전식 하부전극 자동교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9535A (ko) 200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13795B2 (ko)
KR100323424B1 (ko) 스폿 용접기
CN102202824A (zh) 翻转夹头和具有该翻转夹头的材料移除刀具
JP2023533578A (ja) ダブルリミットディスクを有するビット
CN113560702B (zh) 一种适合小截面十字柱焊接装置
KR100418795B1 (ko) 2중 하부홀더 용접건
JP3154911U (ja) 溶接用電極ユニット保持アーム
JPH0221192Y2 (ko)
CN217394013U (zh) 全自动焊接机器手臂
JP3793638B2 (ja) スポット溶接機
CN218873990U (zh) 一种制环机用切环刀具结构
KR200256495Y1 (ko) 다이아몬드 톱날 레이저 용접지그장치
KR100206252B1 (ko) 용접팁의 불순물 제거장치
JPH11170052A (ja) 溶接用給電チップ
KR100726166B1 (ko) 점 용접 장치
CN208992392U (zh) 一种电极帽修磨装置
JPH0341903Y2 (ko)
CN213599227U (zh) 一种路灯结构和路灯
CN206164333U (zh) 一种ctp制版机的音圈马达
WO2024106168A1 (ja) 抵抗溶接装置
JPH0731893Y2 (ja) 溶接機の電極均等加圧装置
CN109590661B (zh) 一种前簧吊耳焊接夹具
CN210589156U (zh) 一种再制造涡轮增压器用的新型风轴装配装置
SU121437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борки под сварку кольцевых швов
KR0123437Y1 (ko) 스폿용접기의 생크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