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3332B1 - 어망 결속구 - Google Patents

어망 결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3332B1
KR100323332B1 KR1019990056060A KR19990056060A KR100323332B1 KR 100323332 B1 KR100323332 B1 KR 100323332B1 KR 1019990056060 A KR1019990056060 A KR 1019990056060A KR 19990056060 A KR19990056060 A KR 19990056060A KR 100323332 B1 KR100323332 B1 KR 100323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net
line
net
moss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6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5008A (ko
Inventor
김상원
Original Assignee
김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원 filed Critical 김상원
Priority to KR1019990056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3332B1/ko
Publication of KR20010055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5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3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33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발명은 어망의 상단에 부착되는 뜸줄과 어망의 하단에 부착되는 발줄을 그물과 일체로 묶어주어 어망을 완성토록 하는 어망결속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망을 투망하거나 양망할 때 어망을 잡아당기기 위한 버팀줄로 어망의 상,하 테두리끈에는 뜸줄과 발줄을 부착 고정하며, 뜸줄에는 부구를 고정하며, 발줄에는 추를 달아 어망이 바다속에서 직립되게 세워주게 된다.
이와 같이 뜸줄이나 발줄을 어망에 부착하는 방법으로 종래에 있어서는 그물코 바늘을 사용하여 묶음줄로 어망의 테두리끈과 뜸줄 및 발줄을 묶어 고정하는 것을 볼 수 있으나, 본발명은 어망의 테두리끈과 뜸줄 및 발줄을 초음파나 고주파에 의해 녹는 합성수지재로 이를 묶어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합성수지재로 된 결속편 표면에는 다수개의 침을 형성하며, 접합단부에는 요철부를 형성하여 초음파나 고주파에 의해 결속편의 양단부가 견고하게 보다 확실한 결속을 얻기 위해 결속편의 양단에 체결요홈 및 이에 삽치되는 체결돌기를 형성하게 되며, 체결편의 내측에 금속보강편을 삽치하여 보다 확실한 결속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어망결속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어망 결속구{fastener for fishing net}
본발명은 어망의 상단에 부착되는 뜸줄과 어망의 하단에 부착되는 발줄을 그물과 일체로 묶어주어 어망을 완성토록 하는 어망결속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망은 대상어족에 따라 그물코의 크기 그물실의 굵기 및 그물의 폭과 길이가 서로 다른 어망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어망에 있어 공통적으로 동일한 것은 어망의 상단에는 뜸줄을 부착하며, 어망의 하단에는 발줄을 부착하여어망의 투망 및 양망을 용이하게 하며, 또한, 어망의 상단에 부착되는 뜸줄에는 일정간격으로 부구를 고정하며, 어망 하단에 부착되는 발줄에는 추(납 또는 돌맹이)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를 고정하여 어망을 바다에 투망할시 발줄은 추에 의해 가라앉고 뜸줄은 부구의 부력에 의해 뜨도록 하여 어망을 바다속에서 직립되게 부설하게 된다.
이와 같이 어망의 상단의 뜸줄 및 어망 하단에 부착되는 발줄은 어망을 양망할 때 어망을 잡아당길 수 있는 버팀줄 역활을 하게 된다.
본발명은 이와 같이 어망의 상단과 하단에 부착되어 어망을 바다속에서 직립되게 세워주며, 어망을 양망할 때 잡아 당겨주는 당김줄로 사용되는 뜸줄이나 발줄을 어망에 묶어 고정하여 주는 어망 결속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 어망상단과 하단에 각각 뜸줄과 발줄을 부착함에 있어서는 그물의 상,하 테두리끈과 뜸줄과 발줄을 그물코 바늘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일일이 매듭을 형성하여 어망을 완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뜸줄과 발줄을 그물의 테두리 끈에 그물코 바늘을 이용하여 매듭을 지어 그물을 완성하는데에 있어서는 많은 시간과 많은 인원이 소요되는 것을 감안하여 본발명이 안출된 것으로, 본발명은 그물의 상단과 하단의 테두리줄에 부착되는 뜸줄과 발줄을 간단히 일체로 묶어 고정토록 하는 어망 결속구에 관한것이다.
유자망, 저자망과 같은 각종 어망에 있어 어망 상단에 부착되는 뜸줄과 하단에 부착되는 발줄은 어망의 양망과 투망을 용이하게 하며, 뜸줄에는 부구를 부착하며, 발줄에는 추를 부착하여 어망을 바다속에서 직립되게 세워주게 된다.
이와 같이 어망은 그물에 뜸줄이나 발줄을 부착 고정하여 완성하게 되며, 뜸줄이나 발줄을 그물에 묶어주기 위해서는 코바늘을 이용하여 일일이 매듭을 형성해야만 했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것을 감안하여 본발명을 개발하게 된 것으로, 본발명은 고주파나 초음파 용착기에 의해 가용되는 합성수지재질로 결속편을 구성하며, 결속편으로 그물의 테두리줄과 뜸줄 또는 발줄을 감은 후, 이를 초음파나 고주파로 녹여 부착토록 하므로 그물의 테두리끈과 뜸줄, 발줄을 일체로 고정시켜 어망의 조립을 완성토록 한 것이다.
도1 - 본발명의 펼친상태의 사시도.
도2 - 본발명의 감긴상태의 사시도.
도3 - 본발명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4 - 본발명의 타실시예의 펼친상태의 사시도.
도5 - 본발명의 타실시예의 감긴상태의 사시도.
도6 - 본발명의 타실시예의 사시도.
도7 - 본발명의 타실시예의 단면도.
도8 - 어망의 개략정면도.
고주파나 초음파에 의해 가용되는 굽힘이 가능한 합성수지재질로 된 결속편(11)의 일측면(12) 표면에는 다수개의 침(14)을 형성하며, 상기 결속편(11)의 접합단부(15)에는 요철부(16)를 형성토록 한 것으로, 이를 어망(101)의 테두리줄(102)과 뜸줄(105) 또는 어망(101)의 테두리줄(102)과 발줄(106)과를 일체로 감아 묶은 후, 초음파 용착기나 고주파 용착기등을 이용하여 접합부를 녹여 붙일 때 어망(101)의 테두리줄(102)과 뜸줄(105) 및 어망(101)의 테두리줄(102)과 발줄(106)이 일체로 고정시켜 어망을 완성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발명의 타실시예로 결속편(11)의 일측에는 수개의 체결구멍(21)을 가지며, 결속편(11)의 접합단부에는 상기 체결구멍(21)에 끼움 마춤되는 수개의 체결돌기(22)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또다른 실시예로 결속편(11)의 타측면(13) 결합요홈(25)을 형성하며, 결속편(11)의 접합단부(15)에는 상기 결합요홈(25)에 삽치되는 단부를 갖도록 본발명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 상기에서 설명한 결속편(11)의 두께 내측에 금속보강재(31)를 삽치토록 하여 본발명을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통상 어망(11)은 그물의 상단 테두리끈(102)과 뜸줄(105)을 고정토록 하며, 어망(101)의 하단 테두리끈(102)과 발줄(106)을 고정시켜 어망(101)을 완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어망(101)의 상,하단에 부착되는 뜸줄(105) 및 발줄(106)을 어망(101)이 바닷속에서 직립되게 세워주기 위해 뜸줄(105)에는 부구(120)가 부착되며, 발줄(106)에는 추(121)가 부착고정하게 되며, 뜸줄(105)과 발줄(106)은 어망(101)을 투망하거나 양망할 때 버팀줄로 사용되기도 한다.
종래 어망의 테두리끈(102)에 뜸줄(105)이나 발줄(106)은 그물코 바늘을 이용하여 묶음줄을 일정간격으로 감아묶어 연속적으로 매듭을 형성하여 뜸줄(105)이나 발줄(106)을 어망테두리끈(102)에 묶어 어망을 완성하게 되나, 본발명은 어망의 테두리끈(102)과 뜸줄(105)이나 발줄(106)을 초음파나 고주파에 의해 가용되는 합성수지재로 된 어망 결속구를 이용하여 일체로 묶어 고정토록 한 것이다.
본발명인 어망결속구는 초음파나 고주파에 의해 가용되는 합성수지재질로 된 결속편(11)을 어망의 테두리끈(102)과 발줄(106) 또는 뜸줄(105)을 감아준 후, 이를 초음파나 고주파 용착기에 의해 녹여 일체로 형성할 때 그 내측의 어망테두리끈(102)과 뜸줄(105) 또는 발줄(106)이 일체로 고정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초음파나 고주파 용착기에 의해 녹아 일체로 뜸줄이나 발줄을 어망테두리끈에 고정시킬 때 본발명인 결속편(11) 내주면에 형성된 침(14)은 어망테두리끈(102) 또는 뜸줄(105)을 파고 들어가 좌우로 이동이 발생되지 않는 상태로 견고히 부착되어지게 된다.
또한, 결속편(11)의 일측에는 수개의 체결구멍(21)을 형성하며, 결속편(11)의 타단인 접합단부(15)에는 상기 삽치구멍(21)을 끼움 마춤되는 수개의 체결돌기(22)를 갖도록 구성한 후, 체결돌기(22)를 체결구멍(21)에 끼운후, 고주파나 초음파용착기로 그 위를 녹여 붙일 때 견고한 부착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결속편(11)의 일측단부 표면에 타측접합단부(15)가 삽치되는 요홈(25)을 형성하며, 이에 접합단부(15)를 끼운후, 고주파나 초음파 용착기로 그 위를 녹여 붙일 때 견고한 부착과 동시에 정확한 위치로 결속편(11)의 양단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접합단부(15)에 요철부(16)를 형성할 때 요철부를 형성하지 아니한 것보다 녹는 시간이 빠르며, 굳은 결착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본발명에 사용되는 합성수지는 초음파나 고주파 용착기에 의해 녹는 재질의 합성수지재를 사용하되 특히, 굽혔을 때 쉽게 부러지지 않는 굽힘이 가능한 재질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발명은 뜸줄과 어망의 테두리줄 또는 발줄과 어망의 테두리줄(102)을 감싼 후, 초음파용착기나 고주파용착기로 가압 가열하여 결속편(11)의 접합된 양단부를 녹여 붙임으로 간단히 어망을 조립 완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결속편(11) 내측에 금속보강재(31)를 삽치할 때 어망의 테두리끈(102)과 뜸줄(105) 또는 발줄(106)을 견고히 잡아줄 뿐만아니라 어망이 바다에 무단 폐기 되었을 때 금속탐지기등을 이용하여 폐기된 어망을 용이하게 탐색 수거할 수 있게 되며, 특히, 금속보강재(31)의 재질이 구리재일 경우에는 바닷물속에서 작용하는 각종 전파를 차단하는 효과를 갖게 되므로, 고기를 보다 많이 잡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바다에 투망한 어망을 잡아당겨 인양할 경우 어망의 뜸줄이나 발줄을 잡아당겨 어망을 인양하게 된다. 따라서, 어망의 뜸줄이나 발줄에 일체로 묶어준 어망의 테두리끈은 아주 견고하게 묶어주지 않으면 풀어져 어망의 망손과 함께 잡은 고기를 놓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위해 어망의 테두리끈과 뜸줄 및 발줄은 아주 견고한 결속을 유지해야만 하며, 이와 같이 견고한 결속을 위해서는 고주파나 초음파 용착기에 의해 결속편(11)의 양단부를 녹여 부착하는 것이 아주 이상적인 것이다.
이와 같은 본발명은 어망의 테두리끈과 뜸줄이나 발줄을 일체로 묶어 어망을 완성하게 되며, 굳은 결착력으로 쉽게 풀림이 발생되지 않으며, 결속편(11)에 형성된 다수개의 침(14)이 어망의 테두리끈(102)이나 뜸줄(105) 또는 발줄(106)에 박혀 이동이 되어지지 않게 되며, 굳은 결속력을 지탱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 어망의 상단에 뜸줄을 부착 고정하며, 어망의 하단에는 발줄을 부착 고정하여 주는 수단 및 방법으로는 그물코 바늘을 이용하여 사람이 일일이 일정간격으로 매듭을 형성하므로 어망조립시간이 많이 소요되었으며, 그 조립비용이 많이 소요되었다.
그러나, 초음파나 고주파에 의해 가용되는 합성수지재로 된 결속구를 사용하여 어망의 테두리끈과 뜸줄 및 발줄을 묶어줄 때 빠른시간 및 저렴한 가격에 어망을 조립 완성할 수 있게 되어 어민들의 어망 준비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발명에 의한 어망결속기는 초음파 및 고주파에 의해 녹여 일체로 부착토록 하므로 견고한 체결력을 얻게 되며, 내주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침이 어망 테두리끈과 뜸줄 또는 발줄에 박혀 쉽게 이동되지 않게 되며, 결속편 내측에 보강 금속편을 삽치할 경우 보다 굳은 결속력과 함께 어망이 바다에 무단 폐기되었을 때 이를 금속탐지기를 이용하여 폐기된 어망을 수립 제거할 수 있게 되는 아주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고주파나 초음파에 의해 가용되는 합성수지재로 된 결속편(11)의 일측면(12) 표면에는 다수개의 침(14)이 형성되며, 상기 결속편(11)의 접합단부(15)에는 요철부(16)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결속구.
  2. 제1항에 있어서, 결속편(11)의 일측에는 다수개의 체결구멍(21)을 가지며, 결속편(11)의 접합단부(15)에는 다수개의 체결돌기(2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결속구.
  3. 제1항에 있어서, 결속편(11)의 타측면(13)에는 결합요홈(25)을 형성하며, 결속편(11)의 타측 접합단부(15)에는 상기 결합요홈(25)에 삽치되는 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결속구.
  4.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결속편(11)의 내측에 금속보강재(31)를 삽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결속구.
KR1019990056060A 1999-12-09 1999-12-09 어망 결속구 KR100323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060A KR100323332B1 (ko) 1999-12-09 1999-12-09 어망 결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060A KR100323332B1 (ko) 1999-12-09 1999-12-09 어망 결속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008A KR20010055008A (ko) 2001-07-02
KR100323332B1 true KR100323332B1 (ko) 2002-03-13

Family

ID=19624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6060A KR100323332B1 (ko) 1999-12-09 1999-12-09 어망 결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333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008A (ko) 2001-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80243A (en) Portable playing court demar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fabrication thereof
JP2008161169A (ja) 釣り用クッションゴム
JPH01501764A (ja) 引き上げ可能な窓掛け
JP2013236629A (ja) 特に、動物飼育するために水域に設置できる籠又はスリーブのネット
KR100323332B1 (ko) 어망 결속구
JP2002363990A (ja) 法面緑化工法
KR200230497Y1 (ko) 어망결속구
US3385619A (en) Fly line and method and means for joining a leader thereto
JP4264162B2 (ja) 河川植生護岸工法と河川植生護岸
JP4361195B2 (ja) 河川植生護岸工法
KR100555583B1 (ko) 회전 접이식 훌치기 낚시바늘
KR200311638Y1 (ko) 어망
JPS5914515Y2 (ja) 泥吹き用ネツト
JPH0622406B2 (ja) 囲いネット付の長尺根囲い巻付体
JPH051262Y2 (ko)
JPH0226996Y2 (ko)
JP3003863U (ja) 苗木類の移植用袋
JP3053376U (ja) 護岸石覆
JP3050608U (ja) 土のう袋
JPS605079Y2 (ja) 自己展張性土木用敷設シ−ト
JP2001234539A (ja) ネット材の接続部構造およびネット材の接続方法
JP3323149B2 (ja) 砂防ネット用リング部品
KR200186684Y1 (ko) 낚시채비의 지선 연결구
KR900005198Y1 (ko) 안간망용 닻
JPH023638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