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0497Y1 - 어망결속구 - Google Patents

어망결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0497Y1
KR200230497Y1 KR2020010002885U KR20010002885U KR200230497Y1 KR 200230497 Y1 KR200230497 Y1 KR 200230497Y1 KR 2020010002885 U KR2020010002885 U KR 2020010002885U KR 20010002885 U KR20010002885 U KR 20010002885U KR 200230497 Y1 KR200230497 Y1 KR 2002304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net
line
net
moss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28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원
Original Assignee
김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원 filed Critical 김상원
Priority to KR20200100028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04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04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0497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어망의 상단에 부착되는 뜸줄과 어망의 하단에 부착되는 발줄을 그물과 일체로 묶어주어 어망을 완성토록 하는 어망결속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망을 투망하거나 양망할 때 어망을 잡아당기기 위한 버팀줄로 어망의 상,하 테두리끈에는 뜸줄과 발줄을 부착 고정하며, 뜸줄에는 부구를 고정하며, 발줄에는 추를 달아 어망이 바다속에서 직립되게 세워주게 된다.
이와 같이 뜸줄이나 발줄을 어망에 부착하는 방법으로 종래에 있어서는 그물코 바늘을 사용하여 묶음줄로 어망의 테두리끈과 뜸줄 및 발줄을 묶어 고정하는 것을 볼 수 있으나, 본 고안은 어망의 테두리끈과 뜸줄 및 발줄을 합성수지재로 된 어망결속구로 이를 묶어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합성수지재로 된 결속구 표면에는 다수개의 돌기를 형성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굳은 결속력을 갖도록 하며, 결속구의 좌우양단부에는 체결편 및 체결돌기를 갖는 결합구를 서로 끼움 체결토록 하여 어망의 상단 및 하단의 뜸줄 및 발줄을 어망의 테두리에 묶어 어망을 조립토록 하는 어망결속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어망 결속구{fastener for fishing net}
본 고안은 어망의 상단에 부착되는 뜸줄과 어망의 하단에 부착되는 발줄을 그물과 일체로 묶어주어 어망을 완성토록 하는 어망결속구에 관한 것이다.
도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어망(100)은 대상어족에 따라 그물코의 크기, 그물실의 굵기 및 그물의 폭과 길이가 서로 다른 그물(101)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어망(100)에 있어 공통적으로 동일한 것은 어망(100)의 상단에는 뜸줄(102)을 부착하며, 어망의 하단에는 발줄(106)을 부착하여 어망의 투망 및 양망을 용이하게 하며, 또한, 어망(100)의 상단에 부착되는 뜸줄(105)에는 일정간격으로 부구(120)를 고정하며, 어망 하단에 부착되는 발줄(106)에는 추(121)(납 또는 돌맹이)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를 고정하여 어망(100)을 바다에 투망할시 발줄(106)은 추(121)에 의해 가라앉고 뜸줄(105)은 부구(120)의 부력에 의해 뜨도록 하여 어망을 바다속에서 직립되게 부설하게 된다.
이와 같이 어망의 상단의 뜸줄(105) 및 어망 하단에 부착되는 발줄(106)은 어망을 양망할 때 어망을 잡아당길 수 있는 버팀줄 역할을 하게 된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이 어망의 상단과 하단에 부착되어 어망을 바다속에서 직립되게 세워주며, 어망을 양망할 때 잡아 당겨주는 당김줄로 사용되는 뜸줄(105)이나 발줄(106)을 어망의 상,하 테두리줄(102)에 묶어 고정하여 주는 어망 결속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 어망상단과 하단에 각각 뜸줄과 발줄을 부착함에 있어서는 그물의 상,하 테두리줄(102)과 뜸줄(105)과 발줄(106)을 그물코 바늘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일일이 매듭을 형성하여 어망(100)을 완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뜸줄과 발줄을 그물의 테두리 끈에 그물코 바늘을 이용하여 매듭을 지어 그물을 완성하는데에 있어서는 많은 시간과 많은 인원이 소요되는 것을 감안하여 본 고안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그물의 상단과 하단의 테두리줄에 부착되는 뜸줄과 발줄을 간단히 일체로 묶어 고정토록 하는 어망 결속구에 관한 것이다.
유자망, 저자망과 같은 각종 어망에 있어 어망 상단에 부착되는 뜸줄과 하단에 부착되는 발줄은 어망의 양망과 투망을 용이하게 하며, 뜸줄에는 부구를 부착하며, 발줄에는 추를 부착하여 어망을 바다속에서 직립되게 세워주게 된다.
이와 같이 어망은 그물에 뜸줄이나 발줄을 부착 고정하여 완성하게 되며, 뜸줄이나 발줄을 그물에 묶어주기 위해서는 코바늘을 이용하여 일일이 매듭을 형성해야만 했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것을 감안하여 본 고안을 개발하게 된 것으로, 본 고안은 합성수지재질로 결속편을 구성하며, 결속편으로 그물의 테두리줄과 뜸줄 또는 발줄을 감은 후, 결속편의 좌우양단에 형성된 체결편과 결합구를 서로 끼움 결합하여 그물의 테두리줄과 뜸줄, 발줄을 일체로 고정시켜 어망을 완성토록 한 것이다.
도1 - 본 고안의 펼친상태의 사시도.
도2 - 본 고안의 감긴상태의 사시도.
도3 -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4 - 본 고안의 타실시예의 감긴상태의 사시도.
도5 - 본 고안의 타실시예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6 - 본 고안의 타실시예의 사시도.
도7 - 본 고안의 타실시예의 단면도.
도8 - 본 고안의 타실시예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9 - 본 고안이 사용된 어망의 개략정면도.
굽힘이 가능한 합성수지재로 된 결속편(11)의 표면에 다수개의 침(12)을 형성하며, 일측 단부에는 체결구멍(13)을 갖는 체결편(14)을 형성하며, 상기 체결편(14)의 상면 및 좌우측면에는 1∼2개의 상면돌기 삽치구멍(14-1), 1∼2개의 측면돌기 삽치구멍(14-2)을 형성하며, 상기 결속편(11)의 타측단부인 결합구(15)에는 1∼2개의 상면돌기(15-1), 1∼2개의 측면돌기(15-2)를 각각 형성토록 한 것이다.
상기에 있어 체결편(14)의 상면 및 좌우측면에 형성한 상면 및 측면돌기 삽치구멍(14-1)(14-2)을 원형이나 타원형 구멍으로 형성하며, 타측단부인 결합구(15)의 상면 및 좌우측면에 돌출 형성하는 상면돌기(15-1)나 측면돌기(15-2)를 원형이나 타원형 형상의 돌기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결합구(15)의 상면 및 좌우측면에 돌출 형성한 상면돌기(15-1)나 측면돌기(15-2)는 끼워 들어가는 입구 방향에는 경사면을 형성하여 힘을 주어 밀어 넣을 경우 각각의 돌기를 체결편(14)의 돌기삽치구멍(14-1)(14-2)에 용이하게 삽치되어지나 반대로 체결편(14)의 돌기삽치구멍(14-1)(14-2)에 삽치된 상면돌기(15-1) 및 측면돌기(15-2)는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또한, 도6 및 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타실시예로 결속편(11)의 일측단부의 체결편(24)에 내측구멍(25)을 형성하여 내측구멍(25)의 표면에는 요철 내표면(26)을 형성하며, 결속편(11)의 타측단부인 결합구(27)에는 요철 외표면(28)을 갖도록 본 고안을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어망의 테두리줄(102)과 뜸줄(105) 또는 어망의 테두리줄(102)과 발줄(106)을 결속편(11)으로 감은 후, 결속편(11)의 일측단부에 마련한 체결편(14)의 체결구멍(13)에 결속편(11)의 타측단부인 결합구(15)를 끼워 넣을 때 결합구(15)의 상면 및 좌우측면에 1∼2개씩 각각 돌설 형성한 상면돌기(15-1) 및 측면돌기(15-2)가 체결편(14)의 상면 및 측면의 돌기 삽치구멍(14-1)(14-2)에 각각 끼워 맞춤되어 어망의 테두리줄(102)과 뜸줄(105) 또는 발줄(106)을 일체로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어망의 테두리줄(102)과 뜸줄(105) 또는 발줄(106)을결속편(11)으로 감을 때 결속편(11) 단부의 체결편(14)을 결속편(11)의 내측 즉, 뜸줄(105)이나 어망의 테두리줄(102)과 맞닿게 감은 후, 체결편(14)의 체결구멍(13)에 결합구(15)를 끼워 넣어 어망의 테두리줄(102)와 뜸줄(105) 또는 발줄(106)을 일체로 고정할 때 체결편(14)을 어망의 테두리줄(102)이나 뜸줄(105)과 맞닿게 내측에 위치하도록 어망의 테두리줄(102)과 발줄 또는 뜸줄을 일체로 고정하게 된다.
또한, 도4 및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체결편(14)과 맞닿는 결합구(15)의 단부를 체결편(14)의 맞닿는 단부와 일체로 되어지게 결합구(15)의 턱(15-3)을 형성할 때 체결편(14)에 결합구(15)를 끼워 조립할 때 단턱이나 틈새가 발생되지 않는 원형 외측테두리를 조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원형테두리에 단턱이나 틈새가 없게 둥근 원형테두리는 어망을 잡아당겨 양망할 때 손바닥을 자극하지 않아 양망의 작업을 수월하게 하는 잇점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결속편(11)의 단부에 형성된 체결편(14)을 내측에 위치토록 할 경우 외관이 매끄러운 원형을 형성하므로 말미암아 어망을 잡아당길때 손바닥 등에 자국을 가하지 않는 잇점을 갖게 된다.
또한, 도6 및 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타실시예와 같이 결속편(11)의 일측단부 내측에 요철 내표면(26)을 갖는 내측구멍(25)을 갖는 체결편(24)을 형성하고, 결속편(11)의 타측단부인 결합구(27)에 요철 외표면(28)을 갖도록 구성한 다음, 결합구(27)를 체결편(24)의 내측구멍(25)에 끼워 넣어체결편(24)에 결합구(27)가 체결되도록 본 고안을 구성할 때 체결편(24)에 형성한 요철 내표면(26)을 갖는 내측구멍(25)에 요철 외표면(28)을 갖는 결합구(27)가 맞물려 고정되므로 쉽게 빠지지 않는 굳은 결합구조를 갖게 된다.
종래 어망의 상단에 뜸줄을 부착 고정하며, 어망의 하단에는 발줄을 부착 고정함에 있어서는 그물코 바늘을 이용하여 사람이 일일이 일정간격으로 매듭을 형성하여 어망의 상,하에 뜸줄 및 발줄을 결합하여 어망을 완성하는 것을 볼 수 있으나, 이와 같이 그물코 바늘을 이용하는 어망결속방법은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됨으로 인해 어망조립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과 같이 일정간격을 두고 어망상단의 테두리줄과 뜸줄을 또는 어망하단의 테두리줄과 발줄을 결속편으로 감아준 후, 결속편의 좌우양단에 형성된 체결편 및 결합구를 일치시켜 결합할 때 어망의 뜸줄과 발줄의 결합이 빠른시간에 가능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어망을 조립 완성할 수 있어 어민들의 어망 준비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어망의 테두리줄과 뜸줄 또는 발줄을 본 고안으로 일체로 결속할 때 결합되는 연결부위가 내측으로 위치하고 밖으로 돌출되지 않아 어망의 뜸줄을 손으로 잡아 당겨 양망할 때 본 고안인 결속편을 손으로 잡아 쥘 경우에도 손바닥 등에 자극이 가해지지 않아 보다 수월하게 양망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어망의 수명이 다하여 어망으로부터 뜸줄이나 발줄을 분리할 때 칼이나 가위 등의 간단한 수공구로 결속편을 절단할 때 어망으로부터 뜸줄이나 발줄을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굽힘이 가능한 합성수지재로 된 결속편(11)의 표면에 다수개의 침(12)을 형성하며, 일측 단부에는 체결구멍(13)을 갖는 체결편(14)을 형성하며, 상기 체결편(14)의 상면 및 좌우측면에는 1-2개의 상면돌기 삽치구멍(14-1), 1-2개의 측면돌기 삽치구멍(14-2)을 형성하며, 상기 결속편(11)의 타측단부인 결합구(15)에는 1-2개의 상면돌기(15-1), 1-2개의 측면돌기(15-2)를 각각 형성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결속구.
  2. 제1항에 있어서, 체결편(14)의 상면 및 좌우측면에 형성한 상면 및 측면돌기 삽치구멍(14-1)(14-2)을 원형이나 타원형 구멍으로 형성하며, 결합구(15)의 상면 및 좌우측면에 돌출 형성하는 상면돌기(15-1) 및 측면돌기(15-2)를 원형이나 타원형 돌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결속구.
  3. 제1항에 있어서, 체결편(14)와 맞닿는 결합구(15)의 단부에 턱(15-3)을 형성하여 체결편(14)에 결합구(15)가 결합될 때 단턱을 갖지 않는 원형테두리가 조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결속구.
  4. 제1항에 있어서, 결속편(11)의 일측 단부에 형성하는 체결편(24)은 요철 내표면(26)을 갖는 내측구멍(25)을 형성하고, 결속편(11)의 타측단부인 결합구(27)에는 요철 외표면(28)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결속구.
KR2020010002885U 2001-02-07 2001-02-07 어망결속구 KR2002304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885U KR200230497Y1 (ko) 2001-02-07 2001-02-07 어망결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885U KR200230497Y1 (ko) 2001-02-07 2001-02-07 어망결속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0497Y1 true KR200230497Y1 (ko) 2001-07-04

Family

ID=73095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2885U KR200230497Y1 (ko) 2001-02-07 2001-02-07 어망결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049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1648A (ko) * 2002-12-11 2004-06-19 김상원 어망 조립기
KR20190035039A (ko) * 2017-09-25 2019-04-03 강기오 김발 간답대용 묶음줄 형성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1648A (ko) * 2002-12-11 2004-06-19 김상원 어망 조립기
KR20190035039A (ko) * 2017-09-25 2019-04-03 강기오 김발 간답대용 묶음줄 형성구
KR102023773B1 (ko) * 2017-09-25 2019-09-20 강기오 김발 간답대용 묶음줄 형성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5478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a hair unit
US20060107494A1 (en) Wrapping device for packages
KR200230497Y1 (ko) 어망결속구
US20060211507A1 (en) Stake for securing inflatable devices
US6959470B2 (en) Pigtail fastener
JP6924101B2 (ja) つる性植物の這い上がり防止装置
AU772051B2 (en) Pigtail fastener
KR100323332B1 (ko) 어망 결속구
KR200311638Y1 (ko) 어망
JP3466606B1 (ja) 連結貝係止具とロール状連結貝係止具
JP2005282177A (ja) 棒材相互の結着材
JP7236138B2 (ja) 紐類の締結装置
JP2004154065A (ja) 筒状網体
WO2011008085A1 (en) Arrangement for attaching an ornamental element to either natural or artificial hair
JP3119073U (ja) 綴じ紐用留め具
JP6881771B2 (ja) 法枠材接続装置、法枠構造、及び、法枠を法面に構築する方法
JP2534601Y2 (ja) シート緊結具
JP3001712U (ja) 動物の引き紐とこれに用いるループ止め具
JP3085786U (ja) 釣竿等の結束具
JPH0116733Y2 (ko)
KR20230001651U (ko) 매생이 발 체결구
JP5557597B2 (ja) ペット用胴輪
JPH10215740A (ja) 釣糸用連結ビーズ
JP2003336350A (ja) 鉄筋交差部の結束具
JP5386621B1 (ja) ロープと漁網の連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