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1648A - 어망 조립기 - Google Patents

어망 조립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1648A
KR20040051648A KR1020020078590A KR20020078590A KR20040051648A KR 20040051648 A KR20040051648 A KR 20040051648A KR 1020020078590 A KR1020020078590 A KR 1020020078590A KR 20020078590 A KR20020078590 A KR 20020078590A KR 20040051648 A KR20040051648 A KR 20040051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net
plate
hole
bind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8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원
Original Assignee
김상원
권순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원, 권순건 filed Critical 김상원
Priority to KR1020020078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51648A/ko
Publication of KR20040051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164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GMAKING NETS BY KNOTTING OF FILAMENTARY MATERIAL; MAKING KNOTTED CARPETS OR TAPESTRIES; KNOT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G1/00Making nets by knotting of filamentary material
    • D04G1/02Making nets by knotting of filamentary material in machines
    • D04G1/08Making nets by knotting of filamentary material in machines using two series of threa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망의 상단에 부착하는 뜸줄과 어망의 하단에 부착하는 발줄을 어망의 테두리줄에 결속하여 어망을 완성하는 어망 조립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어망의 뜸줄이나 발줄을 어망의 테두리줄에 결속함에 있어서, 좌우에 암수 체결구를 갖는 프라스틱제 결속구로 체결토록 하는 것으로, 작업대 일측에 부착되는 "ㄱ"형상의 브라켓 위에 좌우 지지기둥으로 지지되는 에어실린더를 가지며, 에어실린더의 피스톤축에는 누름판을 일체로 고정하며, 상기 누름판이 피스톤축에 따라 상하로 이동할 때 누름판과 동시에 상하로 이동하는 작동 플레이트를 가지며, "ㄱ"형상의 브라켓의 하면에는 플라스틱제 결속구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결속구 카트리지를 가지며, 상하로 이동하는 작동 플레이트에는 결속구를 가압 작동하는 결속구 작동레버를 가지며, 작동 플레이트가 하방으로 내려왔을 시 하강하는 누름판 하방의 누름돌기가 상기 결속구 작동레버를 작동시켜 그 사이에 위치한 결속구의 양단을 체결할 때 결속구 내측에 위치한 그물의 테두리줄과 뜸줄 또는 발줄이 일체로 고정되도록 하는 어망 자동조립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하나의 작업대 위에 2개의 구성품을 서로 대칭으로 조립할 경우 한번에 2개의 결속구를 체결하게 되는 어망 조립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어망 조립기{fishing net assembling machine}
본 발명은 어망의 상단에 부착하는 뜸줄과 어망의 하단에 부착하는 발줄을 결합하여 어망을 완성하는 어망 조립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망은 대상 어족에 따라 그물코의 크기, 그물실의 굵기 및 폭과 길이를 서로 달리하는 그물로 어망을 조립하게 사용된다.
그러나 어망에 있어서, 공통적으로 동일한 구조는 일정폭과 일정길이를 갖는 그물의 상방에는 뜸줄을 부착하게 되며, 그물의 하방에는 발줄을 부착하여 어망을 조립 구성하게 된다.
상기 어망의 상방에 부착하는 뜸줄에는 어망을 들어올리는 부구가 일정간격으로 끼워지게 되며, 어망의 하방에 부착하는 발줄에는 어망의 하단을 바다로 가라앉히는 돌맹이나 납등의 추가 부착되어 어망이 바다에 투여될 시 어망의 하방이 가라앉도록 하여 어망이 직립되도록 한다. 또한 어망이 상방 및 하방에 부착하는 뜸줄 및 발줄은 어망을 양망할 때 어망을 잡아 당기는 버팀줄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어망의 상단과 하단에 부착하여 바다에서 어망이 직립하게 세워주며, 어망을 양망할 때 잡아당기는 버팀줄 역할을 하는 뜸줄이나 발줄을 어망의 양단 즉, 그물의 양단에 자동으로 부착하는 어망 조립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 어망 상단과 하단에 각각 뜸줄과 발줄을 부착함에 있어서는 어망, 즉 그물의 좌우양측에 뜸줄과 발줄을 놓고 뜸줄과 발줄을 그물의 테두리줄에 코바늘등을 이용하여 일일이 수작업으로 묶어 어망을 완성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 어망은 뜸줄과 발줄을 일일이 사람이 그물코 바늘을 이용하여 매듭지어 고정하므로 하나의 어망을 완성하는데 많은 인원이 투여되어지며, 그 작업시간이 길어 어망의 완성에 많은 비용과 많은 시간이 소요됨을 감안하여 본 바렴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어망, 즉 그물의 상단과 하단에 부착되는 뜸줄과 발줄을 암수체결구를 갖는 플라스틱제 결속구로 자동으로 결속하여 단시간에 어망을 조립 완성토록 하는 어망 조립기를 제공토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으로 볼 수 있는 어망 조립기는 본 출원인에 의해 선등록된 특허등록 제318220호를 볼 수 있다.
상기 본 출원인에 의해 선등록된 특허는 종래 어망의 상방 및 하방의 테두리줄과 뜸줄 또는 발줄을 실패를 회전시켜 실을 감아 뜸줄과 발줄을 어망의 상방 및 하방에 고정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출원인의 선등록 특허에 있어서는 단시간에 어망을 조립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나 금번 본 발명은 어망의 뜸줄과 발줄을 굽힘이 자유로운 플라스틱재 결속구로 서로 체결하는 기계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 본 출원인의 선등록 특허에 비해 작업속도 향상과 양질의 어망을 조립 완성토록 한 것이다.
어망의 상방에 부착되는 뜸줄과 어망의 하방에 부착하는 발줄은 어망을 지탱하여 주며, 특히 어망을 투망하거나 양망할 시 버팀줄로 힘이 가해짐으로 인해 뜸줄이나 발줄은 어망에 견고하게 부착되어야 한다.
또한 어망이 그 수명을 다해 그물을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어망의 상방 및 하방에 부착한 뜸줄이나 발줄을 분리하여 재사용하여야 하므로 뜸줄이나 발줄은 어망으로부터 쉽게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
또한 뜸줄이나 발줄을 그물 양측에 부착함에 있어서 빠른시간에 어망을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그물의 테두리줄과 뜸줄이나 발줄을 좌우에 암수체결구를 갖는 플라스틱제 결속구를 사용하여 빠른시간에 어망을 조립 완성토록 하며, 어망의 그물을 교체하고자 어망으로부터 뜸줄이나 발줄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 가위나 니퍼등과 같은 수공구로 간단히 결속구를 절단하여 발줄이나 뜸줄을 분리토록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1 - 본 발명을 정면에서 본 부분단면도.
도2 - 본 발명의 작동전 측면도.
도3 - 본 발명의 작동직후 측면도.
도4 - 본 발명의 누름판과 작동 플레이트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5 - 본 발명의 작동후 누름판과 작동 플레이트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6 - 본 발명의 부분 분해사시도.
도7 - 본 발명의 부분 사시도.
도8 - 본 발명에 있어서 하나의 작업대에 본 발명을 대칭으로 2개 조립구성한 것을 보인 부분정면도.
도9 - 본 발명에 사용되는 결속구의 사시도.
도10 - 본 발명에 있어서 결속구의 체결과정을 보인 작동상태도.
도11 - 본 발명에 의해 조립되는 어망의 부분정면도.
도12 - 도11의 A부분 확대도.
표면에 V블럭(12)을 부착한 작업대(11) 일측에 "ㄱ"형상의 브라켓(13)을 가지며, 상기 "ㄱ"형상의 브라켓(13)의 상면에는 좌우지지기둥(15)을 갖되 좌우지지기둥(15)의 상단에는 에어 실린더(17)를 부착 고정하는 에어 실린더 고정판(16)이 고정되며, "ㄱ"형상의 브라켓(13) 하면에는 결속구(41)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결속구 공급 카트리지(42)를 가지며, 상기 "ㄱ"형상의 브라켓(13)상의 좌우지지기둥(15) 사이에 형성한 사각구멍(14) 내측에는 가이드 레일(21)을 좌우에 부착하며, 상기 좌우 가이드 레일(21) 내측에 상하로 이동자재하는 작동 플레이트(22)가 끼워지되 상기 작동 플레이트(22)는 일측면에는 상기 에어 실린더(17)의 피스톤 축(18)과 상방이 결합되는 누름판(31)을 상하로 이동자재하게 하는 좌우지지대(23)를 가지며, 상기 작동 플레이트(22)의 표면에는 가이드 핀 결합구(36)와 스프링(38)을 갖는 가이드 핀(37)이 상하로 이동자재하게 끼워지는 좌우 장공(25)과 하방에 삽치요홈(27)과 상방에 사각요홈(28)을 가지며, 상기 장공(25)의 내측에는 작동 플레이트(22) 하방으로 가이드 핀(37)이 돌출 이동하는 가이드 핀 작동구멍(29)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 핀 결합구(36)의 일측돌기(36')는 상기 누름판(31)의 결합구멍(33)에 끼워 고정되며, 상기 작동 플레이트(22) 하방에는 결속구(41)의 좌우 단부를 눌러 체결하는 좌우 결속구 작동레버(30)가 핀(26)으로 유설 고정토록 하며, 상기 누름판(31) 하방에는 상기 좌우 결속구 작동레버(30)를 직접 눌러 가압하는 좌우 누름돌기(32)를 형성토록 한 것이다.
상기에 있어서, 결속구(41)는 굽힘이 자유로운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며 그 일측 단부에는 끼움구멍(41-1)을 가지며, 하측단부에는 상기 끼움구멍에 끼워지는 결합구(41-2)를 갖는 형상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동일한 구성의 또다른 장치를 작업대(11)에 대칭으로 부착하여 한번에 2개의 결속구(41)로 어망을 조립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3-1은 좌우지지대(23)간 극조절 볼트이며, 34는 누름판(31) 고정용 너트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살펴봄과 동시에 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일정폭을 갖는 그물(61)의 양단 테두리줄(62)에 뜸줄(63)이나 발줄(64)을 고정하는 장치로 그물(61)의 테두리줄(62)과 부구(66)을 끼워 넣는 뜸줄(63) 또는 납추(67)를 끼워 넣는 발줄(64)을 플라스틱재 결속구(41)로 결속 고정토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그물(61)의 테두리줄(62)과 뜸줄(63) 또는 발줄(64)을 작업대(11) 상위의 V블럭(12) 중심선상에 위치시키고 결속구(41)로 그물의 테두리줄(62)과 뜸줄(63) 또는 발줄(64)을 결합하는 것으로, "ㄱ"형상의 브라켓(13) 상면에 고정되는 좌우지지기둥(15) 상의 에어 실린더 고정판(16)에 부착되는 에어 실린더(17)를 작동하여 에어 실린더의 피스톤 축(18)을 하강시키게 되면 피스톤 축(18) 단부에 고정된 누름판(31)이 하강하면서 누름판(31)의 좌우측변을 잡아주는 작동 플레이트(22)의 좌우지지대(23)에 의해 작동 플레이트(22)가 동시에 하강을 시작하게 된다.
하강하는 작동 플레이트(22)는 "ㄱ"형상의 브라켓(13)에 형성한 사각구멍(14) 내측양측에 부착한 가이드 레일(21)을 타고 하강을 하게 되며, 또한 하강하는 작동 플레이트(22) 하단에 핀(26)으로 유설한 좌우결속구 작동레버(30)가 "ㄱ"형 브라켓(13)의 하면에 부착한 결속구 카트리지(42)로부터 한개의 결속구(41)를 인출하여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결속구(41)를 인출하여 하강하는 작동 플레이트(22)는 작업대(11) 위의 V블럭(12) 중심선상에 위치한 그물의 테두리줄(62)과 뜸줄(63) 또는 발줄(64)을 작동 플레이트(22) 하단의 좌우 결속구 작동레버(30) 사이에 끼워진 결속구(41) 내측으로 끼울때까지 하강한 후 하강을 멈추게 되나, 작동 플레이트(22)의 양측 좌우지지대(23) 사이에 끼워진 누름판(31)은 작동 플레이트(22)가 정지한 후에도 하강을 계속하여 누름판(31)의 하단 누름돌기(32)가 핀(26)으로 유설된 좌우 결속구 작동레버(30)의 내측 빗면을 가압하여 좌우 결속구 작동레버(30)을 내측으로 대칭으로 회전시켜 좌우 결속구 작동레버(30) 사이에 끼워진 결속구(41)의 좌우양단을 서로 체결하게 된다.
상기 결속구(41)는 일측에 끼움구멍(41-1)과 결합구(41-2)로 된 암수 체결부를 가짐으로 좌우 결속구 작동레버(30)에 의해 결속구(41)가 오르라질 경우 암수 체결부가 일체로 체결 고정되어지며, 그 내측에 그물의 테두리줄(62)과 뜸줄(63) 또는 발줄(64)를 하나로 묶어주게 된다.
한편 결속구 작동레버(30)를 눌러 주기 위해 하강하는 누름판(31)은 작동 플레이트(22)의 장공(25)에 삽치되는 가이드 핀 결합구(36)가 돌기(36')에 의해 누름판(31)의 결합구멍(33)과 고정됨으로 인해 누름판(31)의 하강은 가이드 핀 결합구(36)를 작동 플레이트(22)의 장공(25)을 따라 하강시키게 되며, 하강하는 가이드 핀 결합구(36)는 이에 끼움 고정된 가이드 핀(37)을 작동 플레이트(22)의 가이드 핀 작동구멍(26)을 타고 하강시키게 되며, 하강하는 가이드 핀(37)은 V블럭(12) 중심선상에 위치하는 그물의 테두리줄(62)과 뜸줄(63) 또는 발줄(64)를 내측에 위치시켜 이를 정리하게 되며, 하강하는 누름판(31)은 가이드핀(37)에 끼워진 스프링(38)에 의해 부드럽게 하강하게 된다.
즉 누름판(31)의 결합구멍(33)에 가이드핀 결합구(36)으로 고정되는 가이드핀(37)에 끼워진 스프링(38)은 하강하는 누름판(31)을 부드럽게 하강토록 하여 누름돌기(32)가 결속구 작동레버(30)를 부드럽게 가압하여 결속구(41)의 좌우 체결부를 정확하게 체결시켜주게 된다.
이와 같이 에어 실린더(17)의 피스톤 축(18)에 의해 하강하여 결속구(41)로그물의 테두리줄(62)과 뜸줄(63) 또는 발줄(64)을 일체로 고정한 다음 에어 실린더(17)의 피스톤 축(18)을 상승하여 누름판(31) 및 작동 플레이트(32)를 원위치로 상승 복귀함으로 1회 작동이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작동 플레이트(22) 하방에 핀(26)으로 유설되는 좌우 각각의 결속구 작동레버(30)는 그 형상이 돌기(30-1)를 갖는 마름모 형상으로 편심되게 핀(26)으로 작동 플레이트(22)에 유설됨으로 인해 누름판(31)이 하강하여 누름돌기(32)로 결속구 작동레버(30)의 경사진 내측 빗면을 가압하여 누를 경우 좌우 결속구 작동레버(30)는 각각의 핀(26)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으로 회전되어 결속구 작동레버(30) 사이의 결속구(41)를 내측으로 오므려트려 결속구(41) 양단의 암수 체결부인 끼움구멍(41-1)과 결합구(41-2)를 서로 일체로 연결 고정하게 되며, 이에 의해 결속구(41) 내측에 하강시 삽치한 그물의 테두리줄(62)과 뜸줄(63) 또는 발줄(64)을 일체로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작업대(11) 위에 부착하는 V블럭(12)은 내측의 경사면에 부구(66)를 얹어 놓을 경우 부구(66)의 중심구멍에 끼워진 뜸줄(63)과 그물의 테두리줄(62)이 V블럭(12)의 정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그물(61)의 상단에 부구(66)를 삽치하는 뜸줄(63)이나 그물(21)의 하단에 납추(67)를 삽치하는 발줄(64)을 일체로 그물에 부착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으로 된 2개를 한 조로, 작업대(11)에 부착 구성토록 할 경우 한번에 뜸줄(63)의 부구(66) 좌우양측을 그물(61)의 테두리 줄(62)에 일체로 부착할 수 있게 되며, 한번의 기계작동으로 뜸줄(63)을 그물의 테두리 줄(62)에 부착할 수있음과 동시에 뜸줄(63)에 끼워진 부구(66)가 좌우로 이동 불가하게 뜸줄(63)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어망의 상단에는 어망을 물속에서 뜨도록 하는 부구를 부착하게 되며, 어망의 하단에는 어망을 가라앉히는 납추가 부착되어지게 되며, 상기 어망을 띄우는 부구는 어망의 상단 테두리 줄과 일체로 부착되는 뜸줄에 끼워지게 되며, 어망의 하단에 부착되는 어망의 하단 테두리 줄에 끼워 고정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어망의 상방 및 하방에 부착되는 부구나 납추등은 잡고자 하는 대상 어족에 따라 납추나 부구의 크기와 갯수를 달리하여 어망을 조립하게 된다.
따라서 어망은 잡고자 하는 대상 어족에 따라 각기 독특한 구조와 형상을 가짐으로 볼 수 있으며, 종래 그물의 양단에 부구를 삽치한 뜸줄이나 납추를 삽치한 발줄을 고정하는 것은 사람이 일일이 코바늘을 이용하여 그물을 조립 완성함으로 인해 많은 시간과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특히 폐그물로부터 뜸줄이나 발줄을 분리하여 회수하는 것도 쉽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어망 조립기는 그물 테두리 줄과 뜸줄 또는 발줄을 작업대 위에 얹어 놓고 스위치를 작동하면 자동적으로 결속구가 하강하여 그물의 테두리 줄과 뜸줄 또는 발줄을 체결 고정하여 단시간내에 간단히 어망을 조립 완성할 수 있게 되며, 어망의 수명이 다해 폐기하고자 할 경우에는 결속구를 절단 제거함으로 어망으로부터 발줄과 뜸줄을 간단히 분리 회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저렴하게 어망을 조립 완성할 수 있어 어민들이 저렴하게 어마을 구입할 수 있게 되며, 그 조립을 간단히 단시간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아주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표면에 V블럭(12)을 부착한 작업대(11) 일측에 "ㄱ"형상의 브라켓(13)을 가지며, 상기 "ㄱ"형상의 브라켓(13)의 상면에는 좌우지지기둥(15)을 갖되 좌우지지기둥(15)의 상단에는 에어 실린더(17)를 부착 고정하는 에어 실린더 고정판(16)이 고정되며, "ㄱ"형상의 브라켓(13) 하면에는 결속구(41)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결속구 공급 카트리지(42)를 가지며, 상기 "ㄱ"형상의 브라켓(13)상의 좌우지지기둥(15) 사이에 형성한 사각구멍(14) 내측에는 가이드 레일(21)을 좌우에 부착하며, 상기 좌우 가이드 레일(21) 내측에 상하로 이동자재하는 작동 플레이트(22)가 끼워지되 상기 작동 플레이트(22)는 일측면에는 상기 에어 실린더(17)의 피스톤 축(18)과 상방이 결합되는 누름판(31)을 상하로 이동자재하게 하는 좌우지지대(23)를 가지며, 상기 작동 플레이트(22)의 표면에는 가이드 핀 결합구(36)와 스프링(38)을 갖는 가이드 핀(37)이 상하로 이동자재하게 끼워지는 좌우 장공(25)과 하방에 삽치요홈(27)과 상방에 사각요홈(28)을 가지며, 상기 장공(25)의 내측에는 작동 플레이트(22) 하방으로 가이드 핀(37)이 돌출 이동하는 가이드 핀 작동구멍(29)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 핀 결합구(36)의 일측 돌기(36')는 상기 누름판(31)의 결합구멍(33)에 끼워 고정되며, 상기 작동 플레이트(22) 하방에는 결속구(41)의 좌우 단부를 눌러 체결하는 좌우 결속구 작동레버(30)가 핀(26)으로 유설 고정토록 하며, 상기 누름판(31) 하방에는 상기 좌우 결속구 작동레버(30)를 직접 눌러 가압하는 좌우 누름돌기(32)를 형성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조립기.
  2.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작업대(11) 위에 동일한 구성의 또다른 장치를 대칭으로 서로 부착하여 한번에 2개의 결속구(41)로 어망을 조립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 조립기.
  3. 제1항에 있어서, 결속구(41)는 굽힘이 자유로운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며, 그 일측 단부에는 끼움구멍(41-1)을 가지며, 타측 단부에는 상기 끼움구멍(41-1)에 끼워지는 결합구(41-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 조립기.
  4. 제1항에 있어서, 작동 플레이트(22) 하방에 핀(26)으로 유설되는 좌우 결속구 작동레버(30)는 그 형상이 하방에 돌기(30-1)를 갖는 마름모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 조립기.
KR1020020078590A 2002-12-11 2002-12-11 어망 조립기 KR200400516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590A KR20040051648A (ko) 2002-12-11 2002-12-11 어망 조립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590A KR20040051648A (ko) 2002-12-11 2002-12-11 어망 조립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6949U Division KR200305500Y1 (ko) 2002-12-11 2002-12-11 어망 조립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1648A true KR20040051648A (ko) 2004-06-19

Family

ID=37345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8590A KR20040051648A (ko) 2002-12-11 2002-12-11 어망 조립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5164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468B1 (ko) * 2019-08-06 2019-11-18 (주) 에이비엔 페스너스 어망용 무게추 및 부표의 결속방법
CN115008186A (zh) * 2022-06-30 2022-09-06 马鞍山久泰渔具有限公司 用于渔具箱配件的半自动组装机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13883U (ko) * 1977-02-18 1978-09-11
JPH06146146A (ja) * 1992-10-30 1994-05-27 Masahiko Obara ネット加工装置
JPH07274784A (ja) * 1994-04-07 1995-10-24 Tokyo Harigane Kogyo Kk 漁具用締結装置、漁具用締結方法、締結部を有する漁具
KR19990084183A (ko) * 1999-09-21 1999-12-06 김상원 어망류의 자동조립기
KR20000023930A (ko) * 1999-09-21 2000-05-06 김상원 어망조립기
KR200230497Y1 (ko) * 2001-02-07 2001-07-04 김상원 어망결속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13883U (ko) * 1977-02-18 1978-09-11
JPH06146146A (ja) * 1992-10-30 1994-05-27 Masahiko Obara ネット加工装置
JPH07274784A (ja) * 1994-04-07 1995-10-24 Tokyo Harigane Kogyo Kk 漁具用締結装置、漁具用締結方法、締結部を有する漁具
KR19990084183A (ko) * 1999-09-21 1999-12-06 김상원 어망류의 자동조립기
KR20000023930A (ko) * 1999-09-21 2000-05-06 김상원 어망조립기
KR200230497Y1 (ko) * 2001-02-07 2001-07-04 김상원 어망결속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468B1 (ko) * 2019-08-06 2019-11-18 (주) 에이비엔 페스너스 어망용 무게추 및 부표의 결속방법
CN115008186A (zh) * 2022-06-30 2022-09-06 马鞍山久泰渔具有限公司 用于渔具箱配件的半自动组装机台
CN115008186B (zh) * 2022-06-30 2024-05-03 马鞍山久泰渔具有限公司 用于渔具箱配件的半自动组装机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03438A (en) Disposable rodent trap
ATE506048T1 (de) Gehhilfe mit verstellbarer griffstange
KR20040051648A (ko) 어망 조립기
KR200305500Y1 (ko) 어망 조립기
CN109288611B (zh) 一种用于畜牧业的辅助牛前蹄指甲修剪的固定装置
CN203801834U (zh) 一种适用于四合扣的打扣机
CN208596604U (zh) 一种网络变压器掰片装置
KR200311638Y1 (ko) 어망
CN201663841U (zh) 一种多功能绑枝器
CN210128039U (zh) 一种输送带带扣用扣钉装订机
CN218072982U (zh) 一种剪羊毛辅助固定台架
CN203523577U (zh) 管氏肿腿蜂人工接蜂架
KR200249270Y1 (ko) 자동포획낚시장치
JP7341281B1 (ja) 小魚捕集器
CN2934547Y (zh) 单柱倒顺梯
KR102270172B1 (ko) 통발의 프레임 커버 체결장치
CN211185600U (zh) 一种重压式捕鼠器
CN213607142U (zh) 一种梅花鹿用保定装置
CN215454661U (zh) 一种新型畜牧兽医用耳标钳
CN216163888U (zh) 一种菠萝蜜套袋设备
KR200438646Y1 (ko) 말뚝 뽑는 장치
CN201403448Y (zh) 灭鼠器
CN208338983U (zh) 自动放上下扣眼的手动打扣机
CN212743580U (zh) 一种方便收拢的畜牧养殖用防护栏
CN2250724Y (zh) 扎笤帚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