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3773B1 - 김발 간답대용 묶음줄 형성구 - Google Patents

김발 간답대용 묶음줄 형성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3773B1
KR102023773B1 KR1020170123791A KR20170123791A KR102023773B1 KR 102023773 B1 KR102023773 B1 KR 102023773B1 KR 1020170123791 A KR1020170123791 A KR 1020170123791A KR 20170123791 A KR20170123791 A KR 20170123791A KR 102023773 B1 KR102023773 B1 KR 102023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present
answering
insertion portion
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5039A (ko
Inventor
강기오
Original Assignee
강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기오 filed Critical 강기오
Priority to KR1020170123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3773B1/ko
Publication of KR20190035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9/00Binding or sealing ends, e.g. to prevent unravelling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501/00Application field
    • D07B2501/20Application field related to ropes or cables
    • D07B2501/2038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60Fishing; Aquaculture; Aquafarm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묶음줄과, 묶음줄의 양단에 일체로 성형되는 한쌍의 결합구로 이루어지되, 상기 한쌍의 결합구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끈결합부와, 끈결합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턱부와, 상기 걸림턱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간답대의 통공에 쉽게 삽입되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선단부는 뾰쪽하고 외측면에는 다수개의 미늘이 형성된 삽입부로 구성되는 김발 간답대용 묶음줄 형성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로는 본 발명의 효과로는 뾰쪽하고 단단한 재질로 제조된 결합구를 간답대의 통공에 밀어넣기만 하면 미늘에 의해 빠지지 않게 되어 묶음줄을 간답대에 큰 힘들이지 않고 신속하게 결속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삽입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미늘이 탄성에 의해 간답대의 통공에 들어갈때는 손쉽게 들어가지만 한번 들어가면 쉽게 이탈되지 않아 견고한 결속이 가능하고, 또 상기 삽입부의 일측에는 원판(圓板) 형상의 걸림턱부가 형성되어 작업자가 끈결합부를 잡은 상태로 삽입부를 밀어넣기 용이하며, 또한 걸림턱부는 간답대의 통공에 걸리게 되어 삽입부가 통공으로 더이상 삽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어 최적의 걸림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김발 간답대용 묶음줄 형성구{A laver reed pole which is easily fixable of rope}
본 발명은 김발 간답대용 묶음줄 형성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김발 양측의 로프를 간답대에 신속하고 간단하게 결박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발은 김을 양식할 때 김의 홀씨가 붙어 자라도록 설치하는 발인데, 이 김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체(1)와, 이 망체(1)의 양측에 연결된 로프(2) 및 양측의 로프(2) 사이에 일정 간격마다 가로놓여 김발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대나무 또는 수지 파이프 등으로 이루어진 간답대(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간답대(3)에는 김발이 수면 위에 떠있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부구(4) 등이 추가로 설치되기도 한다.
상기 간답대(3)는 양식용 양식줄이나 양식망을 부착하고 부표와 함께 로우프로 고정되어 바닷물위에 설치되는 양식용 지주대로 써 종래에는 대나무나 합성수지로 만든 간답대 또는 대나무 외부에 합성수지를 코팅한 간답대 등이 고안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 간답대(3)는 김발 양측의 로프(2)를 고정해야 하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답대(3)의 양단에 전,후로 관통하는 구멍(3a)을 천공하고, 이 구멍(3a)에 별도의 짧은 결박용 묶음줄(5)을 끼워넣어 간답대(3)의 외측으로 로프(5)의 양끝을 인출한 상태에서 이 묶음줄(5)을 묶어 매듭을 형성한 상태에서 묶음줄(5)을 당기면묶음줄(5)이 고리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 고리 형태의 묶음줄(5)에 김발의 로프(2)를 끼우고 간답대(2)에 걸어주는 방식으로 결박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로프 결박방식을 활용하는 경우 고리 형태의 묶음줄(5)을 끼우고 묶는 작업에 상당히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것은 물론 이 묶음줄(5)의 매듭상태가 풀릴 경우 결박상태가 해제되어 간답대(3)가 로프(2)에서 이탈되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답대의 전,후단에는 로프 결박을 위한 로프 결박부가 형성되되, 이 로프 결박부는 묶음줄을 끼워주기 위한 끼움구멍과 이 끼움구멍에 끼워진 묶음줄이 걸리는 걸림 혀로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 혀의 외측면에는 걸림 혀에 걸린 묶음줄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묶음줄 홈이 형성되어 묶음줄을 끼움구멍에 끼운 상태에서 걸림 혀의 묶음줄 홈에 걸어주기만 하면 간답대에 묶음줄을 신속 간편하게 결박할 수 있도록 한 김발 간답대가 개발되어 있기도 하다.
그러나 이 역시 묶음줄을 끼움구멍에 끼워야 하는데 좁은 끼움구멍 속에 묶음줄을 끼워넣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고, 결속에 상당한 힘과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부족한 어촌에서 이와 같은 작업은 작업자들이 특히 꺼려하고 있는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1. 등록실용신안 20-0284565
2. 등록실용신안 제20-0454068호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묶음줄을 끼움구멍에 끼워넣기만 하면 간답대에 묶음줄이 결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간답대에 묶음줄을 매우 손쉽고 신속하게 형성할 수 있는 김발 간답대용 묶음줄 형성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수단을 살펴보면, 묶음줄과, 묶음줄의 양단에 일체로 성형되는 한쌍의 결합구로 이루어지되, 상기 한쌍의 결합구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끈결합부와, 끈결합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턱부와, 상기 걸림턱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간답대의 통공에 쉽게 삽입되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선단부는 뾰쪽하고 외측면에는 다수개의 미늘이 형성된 삽입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한쌍의 결합구중 어느 하나는 원통형상의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 내측면에 미늘이 걸리기 위한 다수개의 걸림턱 또는 걸림구멍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로는 뾰쪽하고 단단한 재질로 제조된 결합구를 간답대의 통공에 밀어넣기만 하면 미늘에 의해 빠지지 않게 되어 묶음줄을 간답대에 큰 힘들이지 않고 신속하게 결속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삽입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미늘이 탄성에 의해 간답대의 통공에 들어갈때는 손쉽게 들어가지만 한번 들어가면 쉽게 이탈되지 않아 견고한 결속이 가능하고, 또 상기 삽입부의 일측에는 원판(圓板) 형상의 걸림턱부가 형성되어 작업자가 끈결합부를 잡은 상태로 삽입부를 밀어넣기 용이하며, 또한 걸림턱부는 간답대의 통공에 걸리게 되어 삽입부가 통공으로 더이상 삽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어 최적의 걸림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 김발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김발과 간답대의 결합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도 3은 종래 간답대와 묶음줄의 결합구조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김발 간답대용 묶음줄 형성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결합부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 묶음줄 형성구의 결합전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서 묶음줄 형성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참고도.
도 8은 도 7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결합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 참고도.
도 13은 도 12의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김발 간답대용 묶음줄 형성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김발 간답대용 묶음줄 형성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결합부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 묶음줄 형성구의 결합전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참고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서 묶음줄 형성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참고도이며, 도 8은 도 7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결합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 참고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단면도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김발 간답대용 묶음줄 형성구(100)는 크게 김발에 묶기 위한 묶음줄(120)과, 묶음줄(120)의 양단에 일체로 성형되는 한쌍의 결합구(11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한쌍의 결합구(110)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결합구(110)는 끈결합부(111)와, 끈결합부(111)의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턱부(112)와, 상기 걸림턱부(112)의 일측에 형성되되 간답대(A)의 통공(D)에 쉽게 삽입되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선단부(113a)는 뾰쪽하고 외측면에는 다수개의 미늘(113b)이 형성된 삽입부(113)로 이루어진다.
상기 끈결합부(111)에는 묶음줄(120)이 연결되는데 이때 연결방법은 묶음줄(120)을 사출금형(미도시)에 넣고 양단에 용융된 합성수지를 주입시켜 사출방식으로 제작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묶음줄(120) 역시 합성수지 재질이어야 한다. 물론 상기 묶음줄(120)을 끈결합부(111)에 억지로 끼워넣거나 묶는 방식에 의해서도 연결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끈결합부(111)의 일측에는 끈결합부(111) 보다 직경이 큰 원판(圓板) 형상의 걸림턱부(112)가 형성되는데, 이는 작업자가 끈결합부(111)를 잡은 상태로 삽입부(113)를 밀어넣기 용이하게 하는 구성이고, 또 삽입부(113)의 삽입범위를 한정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이다. 즉 삽입부(113)가 간답대(A)의 통공(D)에 삽입됨에 있어 걸림턱부(112)가 간답대(A)의 통공(D)에 걸리게 됨으로써 삽입부(113) 전체가 통공(D)으로 삽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즉 걸림턱부(112)가 있어야 미늘(113b)도 통공(D)에 최적의 걸림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걸림턱부(112)의 일측에 형성되는 삽입부(113)는 간답대(A)의 통공(D)에 쉽게 삽입되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선단부(113a)는 뾰쪽하고 외측면에는 다수개의 미늘(113b)이 형성된 삽입부(113)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한쌍의 결합구(110)중 어느 하나 삽입부(130)는 원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원통의 내측면에 다른 결합구(110)의 미늘(113b)이 걸리도록 하기 위한 다수개의 걸림턱 또는 걸림구멍(131)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한쌍의 결합구(110)가 도 9 내지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할 때 필요한 구성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뾰쪽하고 단단한 재질로 제조된 결합구(110)를 간답대(A)의 통공(D)에 밀어넣기만 하면 미늘(113b)에 의해 간답대(A)의 통공(D)에 걸리거나, 결합구(110)끼리 서로 결합되어 빠지지 않게 되어 묶음줄(120)을 간답대(A)에 큰 힘들이지 않고 신속하게 결속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삽입부(113)에 형성된 다수개의 미늘(113b)이 탄성에 의해 간답대(A)의 통공(D)에 들어갈때는 통공(D)에 간섭되지 않는 상태로 삽입되지만 통공(D)에 삽입되고 나서는 미늘(113b)이 탄성에 의해 통공(D)에 걸리게 되어 쉽게 이탈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손쉽게 묶음줄(120)을 간답대(A)에 형성할 수 있으면서도 매우 견고한 결속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0: 본 발명 묶음줄 형성구
110: 결합구 120: 묶음줄
111: 끈결합부 112: 걸림턱부
113: 삽입부 113b: 미늘
A: 간답대 B: 대나무
C: 합성수지 피복 D: 통공

Claims (2)

  1. 통공을 구비하는 간답대와, 상기 간답대에 연결되어 김발에 묶기 위한 묶음줄과, 상기 묶음줄의 양단에 일체로 성형되는 한쌍의 결합구로 이루어지는 김발 간답대용 묶음줄 형성구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의 일측에는 끈결합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삽입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끈결합부와 삽입부 사이에는 적어도 간답대의 통공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갖는 걸림턱부가 형성되어 삽입부만 간답대의 통공에 끼워지고 걸림턱부는 통공에 걸리도록 하여 끈결합부가 간답대의 외측에 노출되도록 하며,
    상기 삽입부의 선단부는 뾰쪽하게 형성되고 외측면은 다수개의 미늘이 돌출되어 삽입부가 간답대의 통공에 용이하게 삽입되되 한번 삽입되면 미늘이 간답대에 걸려 쉬 빠지지 않도록 하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김발 간답대용 묶음줄 형성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결합구중 어느 하나의 결합구는 원통형상의 삽입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부 내측면에는 다른 하나의 결합구의 외측면에 형성된 미늘이 걸리도록 하기 위한 다수개의 걸림턱 또는 걸림구멍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김발 간답대용 묶음줄 형성구.
KR1020170123791A 2017-09-25 2017-09-25 김발 간답대용 묶음줄 형성구 KR102023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791A KR102023773B1 (ko) 2017-09-25 2017-09-25 김발 간답대용 묶음줄 형성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791A KR102023773B1 (ko) 2017-09-25 2017-09-25 김발 간답대용 묶음줄 형성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039A KR20190035039A (ko) 2019-04-03
KR102023773B1 true KR102023773B1 (ko) 2019-09-20

Family

ID=66165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791A KR102023773B1 (ko) 2017-09-25 2017-09-25 김발 간답대용 묶음줄 형성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377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8647B2 (ja) * 1997-03-06 2000-05-08 日通工株式会社 Posオーダエントリシステム
KR200230497Y1 (ko) * 2001-02-07 2001-07-04 김상원 어망결속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8647U (ja) * 1996-11-14 1997-06-24 ニチモウ株式会社 浮動環拘束具
KR20090012196U (ko) * 2008-05-27 2009-12-02 주영관 간답대 등에 결합되는 로프 고정용 고리
KR101947751B1 (ko) * 2017-07-13 2019-02-13 박원석 난간용 로프의 텐션 유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8647B2 (ja) * 1997-03-06 2000-05-08 日通工株式会社 Posオーダエントリシステム
KR200230497Y1 (ko) * 2001-02-07 2001-07-04 김상원 어망결속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039A (ko) 2019-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0347B1 (en) Rubber strap device
US7614179B2 (en) Quick release line attachment
US9301514B2 (en) Fishing lure connector
US20130133240A1 (en) Line connector apparatus and method
US20180185690A1 (en) Portable training rig
CN103180636A (zh) 缆绳束紧捆扎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023773B1 (ko) 김발 간답대용 묶음줄 형성구
CA1272378A (en) Fishnet hanging system
US3140520A (en) Snap-on device for attaching leader lines to fish lines and the like
US4845877A (en) Line connector
US4805334A (en) Fishnet hanging system
JP3140404U (ja) 釣り糸接続具
KR200454068Y1 (ko) 로프 결박이 용이한 김발 간답대
TW200925059A (en) Tying-up piece
US5121566A (en) Fishnet hanging system
US7444719B2 (en) Device for attachment to a rope
US10113612B2 (en) Line tensioner
KR101073491B1 (ko) 원형 베일러 결속네트
US5033221A (en) Fishnet hanging system
KR20120001652U (ko) 결속끈 엉킴 방지장치
CN209852908U (zh) 一种高效捆绑绳
CN212787094U (zh) 一种防脱地插配件
KR200392949Y1 (ko) 문어 포획단지
CA1106158A (en) Macrame coupling device
TWI584727B (zh) 漁具浮子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250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615

Effective date: 201905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