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2559B1 -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의감광벨트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의감광벨트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2559B1
KR100322559B1 KR1019980007908A KR19980007908A KR100322559B1 KR 100322559 B1 KR100322559 B1 KR 100322559B1 KR 1019980007908 A KR1019980007908 A KR 1019980007908A KR 19980007908 A KR19980007908 A KR 19980007908A KR 100322559 B1 KR100322559 B1 KR 100322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ensitive belt
heat source
roller
dry
electrophotographic pri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7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4364A (ko
Inventor
신규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07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2559B1/ko
Publication of KR19990074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4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2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25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with means for handling the intermediate support, e.g. heating, cleaning, coating with a transfer ag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1Removing excess liquid developer, e.g. by hea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88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removing liquid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19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대전상태의 감광벨트 전사면에 정전잠상으로 부착되는 토너 함유 액상 캐리어를 효율적으로 건조 증발시키기 위하여, 감광벨트의 전사면 일부와 접촉되어 회전되도록 설치된 드라이롤러와, 그 드라이롤러를 가열하기 위한 히팅수단으로서 드라이롤러의 회전중심축상에 설치된 제1열원과, 드라이롤러와 맞물려 회전되도록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히팅롤러 및 그 히팅롤러의 회전중심축상에 설치된 제2열원을 포함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건조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건조장치{Dry apparatus for a liquid electrographic imaging system}
본 발명은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감광매체에 정전잠상으로 부착된 토너 함유 액상 캐리어를 건조 증발시켜 수거하기 위한 감광벨트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방식 프린터는 감광드럼이나 감광벨트와 같은 감광매체에 정전잠상(Latent electrostatic image)을 형성시키고, 그 정전잠상을 소정 색상의 토너로 현상하여 기록지에 전사시킴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얻을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이다. 이러한 전자사진방식 프린터는 사용하는 토너에 따라 건식과 습식으로 구분되는데, 건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경우 분말 상태의 토너가 사용된다. 반면에,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경우에는 휘발 성분의 액체 캐리어에 토너가 혼합된 액상의 현상액이 사용되며, 건식의 경우보다 인쇄 품질이 우수한 동시에 유해한 토너 분진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어서 그 이용이 점차 증가되는 추세이다.
도 1은 종래의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프린터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으로서, 3개의 롤러 즉, 1차롤러(121)와 2차 롤러(122) 및 3차 롤러(123)에 의해 삼각형의 폐곡선 형태로 지지되어 무한궤도로의 순환 주행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감광벨트(110)를 감광매체로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감광벨트(110)의 하방에는 화상신호에 따라 상기 감광벨트(110)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노광에 의한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LSU; Laser scanning unit, 130)과, 상기 감광벨트(110)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특정 칼라의 토너를 함유한 현상액을 부착시켜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장치(1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130)과 현상장치(140)는 칼라 프린팅을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칼라에 대한 정전잠상의 현상이 가능하도록 복수개가 설치된다. 상기 감광벨트(110)는 대전장치(150)로부터 인가되는 전하에 의해 일정한 전압을 띠고 도시된 화살표시 방향으로 주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130)은 특정색의 패턴 부분에 해당하는 레이저 빔을 상기 감광벨트(110)에 주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감광벨트(110)의 빛을 받은 부분은 전하를 잃게 되어 빛을 받지 않은 부분과 전압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현상장치(140)는 상기 감광벨트(110)의 전하를 잃은 부분에 특정색의 현상액을 현상하게 된다. 상기 현상장치(140)에 의해 감광벨트(110)의 정전잠상에 부착된 토너상은 감광벨트(110)를 사이에 두고 상기 1차 롤러(121)와 나란하게 설치된 전사롤러(124)에 전사된 다음, 상기 전사롤러(124) 및 그와 나란하게 설치된 정착롤러(125)의 사이로 공급되는 기록지(126)에 옮겨짐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프린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현상장치(140)로부터 감광벨트(110)에 전사되는 잉크는 고체 토너와 액상의 캐리어가 혼합된 것으로서, 상기 토너는 실제로 기록지에 인쇄되는 색상을 지니고 있으며, 상기 캐리어는 토너를 운반해주는 용매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캐리어는 인쇄전에 상기 건조장치(160)에 의해 건조 증발되어 상기 감광벨트(20)의 전사면으로부터 제거되기 때문에, 상기 감광벨트(110)의 정전잠상에 부착된 액체상태의 현상액은 건조장치(160)를 지나면서 액체성분이 제거되어 건조된 상태로 남게 된다.
상기 건조장치(160)는 복수의 회전롤러로 구성되는데, 상기 감광벨트(110)의 전사면 일부와 접촉되어 회전되도록 설치된 드라이롤러(161)와, 그 드라이롤러 161)를 가열하기 위한 히팅수단으로서 회전중심축상에 예컨대, 히트 램프와 같이열을 발생시키는 열원(163)을 가지고 상기 드라이롤러(161)와 맞물려 회전되도록 설치된 1쌍의 히팅롤러(162)(162)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의 건조장치(160)에 따르면, 상기 드라이롤러(161)가 상기 감광벨트(110)와 접촉되어 회전하면서 감광벨트(110)의 전사면에 부착되어 있는 화상 잉크중 액상의 캐리어를 압착하여 묻어 나오도록 하고, 상기 히팅롤러(162)는 열원(163)에 의해 일정한 온도로 가열된 상태에서 상기 드라이롤러(161)에 묻어 있는 액상 캐리어를 건조시켜 증발시키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감광벨트 건조장치에 따르면 프린팅동작의 초기에 있어서의 건조과정에서는 상기 히팅롤러(163)의 표면 온도가 낮기 때문에 액상의 캐리어 건조가 잘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드라이롤러(161)의 연속적인 회전으로 인하여 그 표면에 묻어 나온 액상 캐리어가 다시 감광벨트(110)로 옮겨 붙음으로써, 프린팅 화상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감광벨트에 부착된 액상 캐리어의 건조증발에 대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감광벨트 건조장치를 가지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개략적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감광벨트 건조장치를 가지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개략적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감광벨트 124...전사롤러
126...기록용지 130...레이저 스캐닝 유닛(LSU)
140...현상장치 210...드라이롤러
220...제1열원 230, 240...히팅롤러
250, 260...제2열원 211, 231, 242...온도감지수단
270...제어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건조장치는, 대전상태의 감광벨트 전사면에 정전잠상으로 부착되는 토너함유 액상 캐리어를 건조 증발시켜 수거하기 위하여, 상기 감광벨트의 전사면 일부와 접촉되어 회전되도록 설치된 드라이롤러와, 그 드라이롤러를 가열하기 위한 히팅수단을 포함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히팅수단은 상기 드라이롤러의 회전중심축상에 설치된 제1열원과; 상기 드라이롤러와 맞물려 회전되도록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열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열원과 제2열원은 각각 상기 드라이롤러 및 히팅롤러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감지수단을 가지는 제어기에 연결되어 상기 온도감지수단의 온도감지 결과에 따라 온/오프 제어가 가능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제1열원은 상기 드라이롤러가 40 내지 45。C 온도 범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반복적으로 온/오프 제어되고, 상기 제2열원은 상기 드라이롤러와 맞물려 회전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히팅롤러가 60 내지 70。C 온도 범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반복적으로 온/오프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감광벨트 건조장치를 가지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의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건조장치는, 감광벨트(110)의 전사면 일부와 접촉되어 회전되도록 설치된 드라이롤러 210)와, 그 드라이롤러(210)를 가열하기 위한 히팅수단으로서, 상기 드라이롤러210)의 회전중심축상에 설치된 제1열원(220)과, 상기 드라이롤러(210)와 맞물려 회전되도록 설치된 1쌍의 히팅롤러(230(240) 및 그 히팅롤러(230)(240)의 회전중심축상에 각각 설치된 제2열원(250)(26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열원(220)과 제2열원(250)(260)은 예컨대, 히터 램프 등의 통상적인 열발생원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라이롤러(210)와 히팅롤러(230)(240)는 각각 예컨대, 열전대 등의 온도감지수단(211, 231, 241)에 의해 그 온도가 감지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온도감지수단(211, 231, 241)은 상기 제1열원(220) 및 제2열원(250)(260)과 연결된 제어기(270)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기(270)는 상기 온도감지수단(211, 231, 241)의 온도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드라이롤러(210)와 히팅롤러(230)(240)가 일정한 범위의 온도로 가열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열원(220) 및 제2열원(250)(260)을 반복적으로 온/오프(On/Off) 제어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상기 제1열원(220)은 상기 드라이롤러(210)의 외주면 온도가 40 내지 45。C 범위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어기(270)에 의해 반복적으로 온/오프(On/Off) 제어되며, 상기 제2열원(250)(260)은 상기 히팅롤러(230) (240)의 외주면 온도가 60 내지 75。C 범위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어기(270)에 의해 반복적으로 온/오프 제어된다.
상기 구성의 감광벨트 건조장치(160)에 따르면, 상기 제어기(270)는 프린터장치의 메인제어기(미도시)에 연결되며, 그 메인제어기에 접속된 스위치 조작에 의한 사용자의 프린팅동작 명령시 상기 제1열원(220)과 제2열원(250)(260)을 온(On)시켜 열을 발생시킨다. 이렇게 발생되는 열은 각각 상기 드라이롤러(210)와 히팅롤러(230)(240)의 외주면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전달되어 상기 드라이롤러(210)와 히팅롤러(230)(240)를 가열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드라이롤러(210)와 히팅롤러 (230)(240)는 각각 40 내지 45。C 및 60 내지 75。C 온도 범위에 이르게 될 때까지 공회전하면서 가열된다. 상기 드라이롤러(210)와 히팅롤러(230)(240)가 각각 상기한 온도 범위로 가열될 때, 상기 드라이롤러(210)가 상기 감광벨트(110)의 전사면에 부착되어 이송되어 오는 초기 화상 잉크중 액상의 캐리어를 압착하여 묻어 나오도록 하고, 상기 히팅롤러(230)(240)는 상기 드라이롤러(210)에 묻어 있는 액상 캐리어를 가열 건조시킴으로써, 이후 그 액상 캐리어가 증발되어 이후 응축에 의해 다시 수거된다.
한편, 상기 제어기(270)는 상기 제1열원(220)과 제2열원(250)(260)을 반복적으로 온/오프(On/Off) 제어하여 상기 드라이롤러(210)와 히팅롤러(230)(240)가 각각 40 내지 45。C 및 60 내지 75。C 온도 범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감광벨트 건조장치에 따르면, 상기 드라이롤러(210) 및 히팅롤러(230)(240)에 의해 각각 예열 및 가열 과정을 거침으로써 빠른 시간내에 액상 캐리어 건조를 위한 온도 범위를 유지하여 특히, 프린팅동작의 초기시 상기 감광벨트(110)의 전사면에 부착되어 이송되어 오는 초기 화상 잉크의 액상 캐리어 건조과정에서부터 그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어기(270)에 의한 열원의 반복 온/오프(On/Off) 제어에 따라 드라이롤러(210)와 히팅롤러(230)(240)가 일정한 온도 범위로 유지될 수 있으므로 드라이롤러(210)의 연속적인 회전으로인하여 액상 캐리어가 다시 감광벨트(110)로 옮겨 붙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건조장치에 의하면, 감광벨트의 전사면과 접촉되어 회전되는 드라이롤러를 열원에 의해 직접 및 간접적으로 가열하여 그 표면의 온도가 초기 건조과정에서도 신속하게 가열되므로 액상 캐리어 건조 증발 효율이 상승되어 프린팅 화상의 품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8)

  1. 대전상태의 감광벨트 전사면에 정전잠상으로 부착되는 토너 함유 액상 캐리어를 건조 증발시키기 위하여, 상기 감광벨트의 전사면 일부와 접촉되어 회전되도록 설치된 드라이롤러와, 그 드라이롤러를 가열하기 위한 히팅수단을 포함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히팅수단은,
    상기 드라이롤러의 회전중심축상에 설치된 제1열원과,
    상기 드라이롤러와 맞물려 회전되도록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열원;을 포함하며, 상기 제1열원에 비해 제2열원이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열을 발생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원과 제2열원은 각각 상기 드라이롤러 및 히팅롤러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감지수단을 가지는 제어기에 연결되어 상기 온도감지수단의 온도감지 결과에 따라 온/오프 제어가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건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원은 상기 드라이롤러가 일정 온도 범위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반복적으로 온/오프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건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원은 상기 드라이롤러가 40 내지 45。C 온도 범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반복적으로 온/오프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건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열원은 상기 드라이롤러와 맞물려 회전되도록 설치된 히팅롤러의 회전중심축상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건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열원은 상기 드라이롤러가 일정 온도 범위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반복적으로 온/오프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건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열원은 상기 히팅롤러가 60 내지 70。C 온도 범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반복적으로 온/오프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건조장치.
  8.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원과 제2열원은 히터 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건조장치.
KR1019980007908A 1998-03-10 1998-03-10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의감광벨트건조장치 KR100322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7908A KR100322559B1 (ko) 1998-03-10 1998-03-10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의감광벨트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7908A KR100322559B1 (ko) 1998-03-10 1998-03-10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의감광벨트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4364A KR19990074364A (ko) 1999-10-05
KR100322559B1 true KR100322559B1 (ko) 2002-06-26

Family

ID=37460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7908A KR100322559B1 (ko) 1998-03-10 1998-03-10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의감광벨트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255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465A (ja) * 1989-06-09 1991-01-21 Sharp Corp 透光性着色材料
JPH0546050A (ja) * 1991-08-15 1993-02-26 Konica Corp 定着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465A (ja) * 1989-06-09 1991-01-21 Sharp Corp 透光性着色材料
JPH0546050A (ja) * 1991-08-15 1993-02-26 Konica Corp 定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4364A (ko) 199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47792Y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EP0254572B1 (en) Liquid development copying machine
US5784679A (en) Apparatus for drying and pressing an image to a copy sheet
US5001519A (en) Image fixing apparatus having plural temperature settings
US5099281A (en) Electrophotographic interposition development with means for removing moisture from conventional paper
KR100322559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의감광벨트건조장치
US5940666A (en)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having liquid carrier recovery apparatus
US6356728B1 (en) Device and method for capturing liquid
JPS6341878A (ja) 連続用紙乾燥装置を備えた電子写真式印字機
KR100224906B1 (ko)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전사방법 및 그 장치
KR100534670B1 (ko) 습식 화상형성장치
EP0435516A2 (en) Dryer-fuser apparatus and method for high speed electrophotographic printing device
JPS6396674A (ja) 電子写真装置
KR20010103663A (ko) 액체회수 방법 및 장치
KR100243156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캐리어건조장치
KR100346695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건조유닛
KR100413689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건조장치
KR100261113B1 (ko) 화상형성장치
KR200342232Y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정착장치
KR20030034330A (ko) 습식 인쇄기의 화상농도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JPH0421868A (ja) 画像形成装置
JPH10143001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KR19990009553A (ko)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전사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사장치
KR20030015711A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컬러 토너농도 측정 및제어방법
KR19980021700U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