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1539B1 - 기록장치와소스선택장치의결합체 - Google Patents

기록장치와소스선택장치의결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1539B1
KR100321539B1 KR1019950702986A KR19950702986A KR100321539B1 KR 100321539 B1 KR100321539 B1 KR 100321539B1 KR 1019950702986 A KR1019950702986 A KR 1019950702986A KR 19950702986 A KR19950702986 A KR 19950702986A KR 100321539 B1 KR100321539 B1 KR 100321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ignal
source
recording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2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0508A (ko
Inventor
루돌프로쓰
라인데르하크마
Original Assignee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요트.게.아. 롤페즈
Publication of KR960700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0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1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15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1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not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2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5/09Digital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 G11B2220/65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indexing information or meta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G11B2220/91Helical scan format, wherein tracks are slightly tilted with respect to tape direction, e.g. VHS, DAT, DVC, AIT or exabyte
    • G11B2220/913Digital audio tape [DAT] forma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G11B2220/93Longitudinal format, wherein tracks are in the direction of the tape, read with a static head, e.g. DC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2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t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Particle Formation And Scattering Control In Inkjet Prin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록 장치(1)와 소스 선택 장치(3)의 결합체에 관한 것이다. 기록 장치는 아나로그(4) 및 디지탈(5) 전기 입력을 포함한다. 아나로그 입력(4)에 인가된 아나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들 변환하기 위해 A/D 변환기(7)가 제공된다. 디지탈 신호를 기록 캐리어(2)상에 기록하기 위해 기록 수단(8)이 제공된다. 또한, 아나로그 전기 입력 또는 디지탈 전기 입력을 제 1 제어 신호의 제어하에 기록 수단의 입력(9)에 결합시키기 위해 스위칭 수단(10)이 제공된다. 소스 선택 장치(3)는, 제 1 오디오 신호원(컴팩트 디스크 디지탈 오디오 플레이어, CD), 제 2 오디오 신호원(TUNER) 및, 적어도 하나의 보조 오디오 신호원(AUX1) 중 한 신호원을 선택하는 소스 선택 수단(13)을 포함한다. 소스 선택 장치에는 아나로그(17) 및 디지탈(18) 전기 출력이 제공된다. 소스 선택 장치의 아나로그 전기 출력(17)은 기록 수단의 아나로그 전기 입력(4)에 결합되고, 디지탈 전기 출력(18)은 디지탈 전기 입력(5)에 결합된다. 상기 결합체는 사용자 조작에 응답하여 출력(30)에 선택 신호를 발생시키는 선택 신호 발생기 수단(28)에 결합된 사용자 조작 입력 수단(28)을 더 포함한다. 또한, 선택 신호 발생기 수단(28)은 입력 수단(26)에 결합된 제어 신호 입력(38)을 갖는 메모리 수단(36)을 포함하는데, 이 메모리 수단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소스에 관련되며 기록장치의 아나로그 또는 디지탈 전기 입력중 선택된 소스에 의해 공급된 신호가 인가되는 입력을 나타내는 정보(I, I)를 저장한다.

Description

기록 장치와 소스 선택 장치의 결합체
본 발명은 기록 캐리어(record carrier)상에 신호를 디지탈형태로 기록하는 기록 장치 및 소스 선택 장치의 결합체에 관한 것으로,
상기 기록 장치는
아나로그 신호를 수신하는 아나로그 전기입력과;
디지탈 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탈 전기입력 및/또는 광신호를 수신하는 광입력과;
아나로그 전기입력에 인가된 아나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와;
기록될 디지탈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을 구비하며 기록 캐리어상에 디지탈 신호를 기록하는 기록 수단 및;
제 1 제어신호의 제어하에, 기록 수단의 입력에 아나로그 전기입력이나 디지탈 전기입력(존재할 경우), 또는 광입력(존재할 경우)을 결합시키는 제 1 스위칭 수단(10)을 포함하고,
상기 소스 선택 장치는
제 1 신호원, 제 2 신호원 및, 적어도 제 3 신호원 중에서 한 신호원을 선택하는 소스 선택 수단과;
아나로그 신호를 공급하는 아나로그 전기 출력 및;
디지탈 신호를 공급하는 디지탈 전기 출력 및/또는 광신호를 공급하는 광출력을 포함하는데,
소스 선택 장치의 아나로그 전기출력은 기록 수단의 아나로그 전기 입력에 결합되고, 소스 선택 장치(3)의 디지탈 전기 출력(존재할 경우)은 기록 수단의 디지탈 전기 입력(존재할 경우)에 결합되며, 소스 선택 장치의 광출력(존재할 경우)은 기록 수단의 광입력(존재할 경우)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체는, 선택 신호 발생기 수단에 결합될 사용자 조작 입력 수단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선택 신호 발생기 수단은 사용자의 상기 입력 수단 조작에 응답하여 출력에 선택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소스와 관계가 있는 상기 선택 신호는 상기 입력 수단을 조작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며, 상기 선택 신호 발생기 수단의 출력은 상기 소스 선택 수단에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결합체용 기록 장치와 소스 선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록 캐리어는 자기 기록 캐리어가 될 수도 있고 광기록 캐리어와 같은 다른 유형의 기록 캐리어가 될 수도 있다. 기록될 신호는 디지탈 오디오 신호가 될 수도 있고 디지탈 비디오 신호가 될 수도 있다.
디지탈 오디오 신호를 기록하는 서두에 기술된 결합체는 시장에서 바로 사용가능하다. 상기 기록 장치는 DCC 900 디지탈 컴팩트 카세트 레코더 형태이고, 상기 소스 선택 장치는 FA 930 증폭기의 형태인데, 둘다 필립스 상표이다. DCC 900 디지탈 컴팩트 카세트 레코더는 자기형 기록 캐리어상에 디지탈 오디오 신호를 기록할수 있다.
전술될 기록 장치는, 기록 캐리에상에 오디오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기록할 수 있고, 4 형태, 즉, '아나로그 입력', '디지탈 입력', '광입력' 및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는 노브(knob)의 형태인 사용자 조작 입력 수단을 포함한다. 이 노브는 기록장지내 기록 수단의 입력이, 이 장치의 아나로그 전기입력, 디지탈 전기입력, 광입력 중 한 입력에 스위치될 수 있는 선택기노브이다. 제 4 상태인 '자동'에서는 장치를 자동 입력 선택 모드에 두고 광입력상에 신호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신호가 존재하면, 제 1 스위칭 수단은 광입력에 인가된 신호가 기록 수단에 공급되는 상태로 설정된다. 신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디지탈 전기 입력상에 신호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신호가 존재하면, 제 1 스위칭 수단은 디지탈 입력에 인가된 신호가 기록 수단에 공급되는 상태로 설정된다. 신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스위칭 수단은 아나로그 입력이 기록 수단에 결합되는 상태로 설정된다. 나중에 디지탈 전기 입력이나 광입력에 신호가 존재할 경우 다른 상태로 연속 스위칭되지 않는다.
소스 선택은 FA 930 증폭기에서 발생하고 소스 선택기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실현된다. 'CD', 'TUNER'로 표시된 소스 및 적어도 하나의 보조소스 'AUX1'가 기록을 위해 선택될 수 있다. 이런 선택에는 사용자를 위한 두번의 조작이 필요한데, 그 하나는 기록장치의 입력을 선택하는 조작이고, 두번째는 증폭기내 소스를 선택하는 조작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 의한 상기 결합체의 사용을 간이화하는 방법을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를 결합체는 선택 신호 발생기 수단이 입력 수단에 결합된 제어 신호 입력을 갖는 메모리 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메모리 수단은, 입력 수단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소스에 관련되며 기록장치의 아나로그 전기입력, 디지탈 전기입력 및/또는 광입력 중 선택된 소스에 의해 공급된 신호가 인가되는 입력을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하도록 적용화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입력 수단을 조작함에 따라, 제 1 스위칭 수단의 제어 신호 입력에 결합된, 스위칭 제어 신호들 공급하는 제어 신호 출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은 입력 수단의 조작에 응당하여 기록 장치의 입력 종류의 선택 뿐만 아니라 소스 선택 또한 발생되도록하므로 결합체의 단순한 제어가 달성된다.
메모리 수단, 조작가능 입력 수단 및 선택신호 발생기 수단은, 기록장치나 소스 선틱 장치 중 어느 한 장치내에 수용될수 있다. 그리나, 양호하게는 기록장치가 메모리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합체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소스에 관련되며 기록장치의 아나로그 전기입력, 디지탈 전기입력 및/또는 광입력중 선택된 소스에 의해 공급된 신호가 인가되는 입력을 나타내는 정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제 2 의 사용자 조작 입력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이것은 사용자에게 메모리 수단의 내용을 자신의 필요에 따라 변경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기록 장치나 소스 선택 장치중 어느 한 장치가 제 2 의 사용자 조작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체는, 아나로그 전기 입력에 인가된 신호를 증폭시키는 제어가능 신호 증폭 수단 및, 아나로그 전기 입력에 신호를 공급하는 소스를 선택할때 상기 증폭 수단에 의해 실현될 증폭율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 2 메모리 수단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제 2 메모리 수단의 출력은 증폭기 수단의 제어 신호 입력에 결합되며, 상기 제 2 메모리 수단은, 입력 수단에 결합된 제어 신호 입력을 가지며, 사용자의 입력 수단 조작에 응답하여 아나로그 전기 입력에 신호를 공급하는 소스를 선택하도록 저장 장소에서 증폭율에 관련된 정보를 복귀시키고 그 정보를 출력에 공급하도록 적용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소스의 단순한 선택에 응답하여, 양호하게는 기록 장치내에 위치하는, 기록 증폭기의 자등 세팅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결합체는, 아나로그 전기 입력에 신호를 공급하는 소스를 선택할때 증폭 수단에 의해 실현되는 증폭율에 관한 정보를 발생시키고 그 정보를 제 2 메모리 수단에 저장시키는 제 3 의 사용과 조작 입력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이것은 사용자에게 제 2 메모리 수단의 내용을 변경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고, 그에 따라 선택될 다양한 아나로그 소스에 대한 증폭기 세팅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양상들은 다음의 도면 설명을 참조하면 더 명료해질 것이다.
제 1 도는 결합체의 제 1 실시예.
제 2 도는 제 1 도의 기록 장치내 메모리 수단의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
제 3 도는 결합체의 제 2 실시예.
제 4 도는 기록 장치의 다른 실시예.
제 5 도는 제 4 도의 기록 장치내 메모리 수단의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
제 1 도는, 자기 기록 캐리어(2)상에 오디오 신호를 디지탈 형태로 기록하는 기록 장치(1) 및, 소스 선택 장치(3)의 결합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기록 장치(1)는 아나로그 오디오 신호들 수신하는 아나로그 전기 입력(4)을 포함한다. 기록 장치는 적어도 제 2 입력을 구비한다. 이 적어도 제 2 입력은 디지탈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탈 전기 입력이 될 수도 있고 오디오 신호를 광형태로 수신하는 광입력이 될 수도 있다. 제 1 도의 실시예에서, 기록 장치(1)는 3 게의 입력을 포함하는데, 제 2 및 제 3 입력은 디지탈 전기 입력(5)과 광입력(6)이다. 광입력을 통해 디지탈 오디오 신호가 기록 장치에 인가될 수도 있다.
상기 장치(1)는, 아나로그 전기 입력(4)에 인가된 아나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탈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7)와, 입력(6)에 인가된 광신호를 디지탈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기 변환기(12) 및, 입력(9)에 인가된 디지탈 오디오 신호를 기록 캐리어(2)상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8)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치(1)는, 제어 신호선(11)을 통해 인가된 제 1 제어 신호의 제어하에, 아나로그 전기 입력(4), 디지탈 전기 입력(5) 또는 광입력(6)을 기록 수단(8)의 입력(9)에 결합시키는 제 1 스위칭 수단(10)을 구비한다. 보통, 스위치(10)의 단자(d)와 기록 수단(8)의 입력(9) 사이에는, 그 입력에 인가된 디지탈 신호에 채널 변조를 수행하도록 직용화되어 있는 디지탈 신호 처리 유닛(도시안됨)이 수용되어 있다.
상기 기록 장치(1)는 장치내 여러 유닛에 그 목적에 합당한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마이크로제어기(도시안됨)의 제어하에 기능한다.
소스 선택 장치(3)는 증폭시 장치에 통합될 수도 있으며, 컴팩트 디스크 디지탈 오디오 플레이어 형의 제 1 오디오 신호원, 튜너형의 제 2 오디오 신호원 및 적어도 하나의 보조 오디오 신호원 중 한 신호원을 선택하는 소스 선택 수단(13)을 포함한다. 소스 선택 장치(3)는 아나로그 오디오 신호를 공급하는 아나로그 전기 출력(17) 및 적어도 제 2 출력을 구비한다. 이 적어도 제 2 출력은 디지탈 오디오 신호를 공급하는 디지탈 전기 출력이 될 수도 있고, 또는 오디오 신호를 광형태로 공급하는 광출력이 될 수도 있다. 제 1 도의 실시예에서는 선택 장치는 디지탈 전기 출력(18)과 광출력(19)을 둘 다 포함한다.
소스 선택 수단(13)은 제 1, 제 2 및 제 3 제어가능 스위치(15.1, 15.2 및 15.3)를 각각 포함한다. 스위치(15.1)는 5 개의 단자(a-e)들 구비하는데, 그 중 단가(e)는 고정 단자로서 아나로그 오디오 신호를 공급하는 아나로그 전기 출력(17)에 결합된다. 스위치(15.2)는 5 개의 단자(a-e)를 구비하는데, 그 중 단자(e)는 고정 단자로서 디지탈 전기 출력(18)에 결합된다. 스위치(15.3)는 5 개의 단자(a-e)를 구비하는데, 그 중 단자(e)는 고정 단자로서 오디오 신호를 공급하는 광출력(19)에 결합된다. 따라서, 이 스위치들은 4개의 입력 신호중 한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스위치(15.1)의 a 단자는 소스 선택 장치의 입력(21.1)에 결합되는데 이 입력에는 CD 플레이어의 아나로그 출력이 결합될 수 있다. 스위치(15.1)의 b 단자는 입력(21.2)에 결합되는데 이 입력에는 튜너의 아나로그 출력이 결합될 수 있다. 스위치(15.1)의 c 단자는 제 1 보조 입력 'aux1'인 입력(21.3)에 결합되는데 이 입력에는 컴팩트 카세트 플레이어의 아나로그 출력이 결합될 수 있다. 스위치(15.1)의 d 단자는 제 2 보조 입력 'aux2'인 입력(21.4)에 결합되는데 이 입력에는 디스크 레코드 플레이어와 같은 다른 아나로그 신호원의 출력이 결합될 수 있다.
스위치(15.2)의 a 단자는 소스 선택 장치의 입력(22.1)에 결합되는데 이 입력에는 CD 플레이어의 디지탈 출력이 결합될 수 있다. 스위치(15.2)의 b 단자는 입력(22.2)에 결합되는데 이 입력에는 디지탈 오디오 방송 수신기(DAB)가 결합될 수 있다. 스위치(15.2)의 c 단자는 제 1 디지탈 보조 입력 'aux1'인 입력(22.3)에 결함되는데 이 입력에는 DCC 플레이어와 같은 디지탈 자기 테이프 플레이어의 디지탈 출력이 결합될 수 있다. 스위치(15.2)의 d 단자는 제 2 디지탈 보조입력 'aux2'인 입력(22.4)에 결합되는데 이 입력에는 다른 디지탈 신호원의 디지탈 출력이 결합될 수 있다.
스위치(15.3)의 a 단자는 소스 선택 장치의 입력(23.1)에 결합되는데 이 입력에는 CD 플레이어의 광출력이 결합될 수 있다. 스위치(15.3)의 b 단자는 입력(23.2)에 결합되는데 이 입력에는 디지탈 오디오 방송 수신기(DAB)의 광출력이 결합될 수 있다. 스위치(15,3)의 c 단자는 제 1 광보조 입력 'auxl'인 입력(23.3)에 결합되는데 이 입력에는 DCC 플레이어와 같은 디지탈 자기 테이프 플레이어의 광출력이 결합될 수 있다. 스위치(15.3)의 d 단자는 제 2 광보조 입력 'aux2'인 입력(23.4)에 결합되는데 이 입력에는 다른 디지탈 신호원의 광출력이 결합될 수 있다.
소스 선택 수단(3)의 아나로그 전기 출력(17)은 기록 수단(1)의 아나로그 전기 입력(4)에 결합된다. 소스 선택 수단(3)의 디지탈 전기 출력(18)은 기록 수단(1)의 디지탈 전기 입력(5)에 결합된다. 소스 선택 수단(3)의 광출력(19)은 기록수단(1)의 광출력(6)에 결합된다.
결합체내 기록 장치(1)가 아나로그 입력과 디지탈 전기 입력만을 가질 경우, 결합체내 대응하는 선택 장치(3)는 적어도 아나로그 출력 및 디지탈 전기 출력을 구비하여, 결합체내 기록 장치(1)가 아나로그 입력과 광입력 만을 가질 경우, 결합체내 대응하는 선택장치(3)는 적어도 아나로그 출력 및 광출력을 구비한다는 것을 주시해야 한다.
제 1 도의 소스 선택 장치(3)의 실시에는 매우 정교한 것이다. 물론 선택 장치의 더 단순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예로서, 선택 장치는 광출력(19)에 바로 접속된 하나의 광입력, 디지탈 출력(18)에 바로 접속된 하나의 디지탈 전기 입력 및, 스위치(15.1)를 거쳐 아나로그 출력(17)에 결합된 입력(21.1 내지 21.4)과 같은 다수의 아나로그 입력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결합체는 사용자 조작 입력 수단(26)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입력 수단(26)은 기록 장치(1)에 통합된다. 예컨대 입력 수단(26)은 'CD', 'TUNER', 'AUX1' 및 'AUX2'로 표시된 다수이 4 누름 버튼을 포함한다. 누름 버튼을 누름으로써 소스들중 하나가 선택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CD' 버튼을 누르면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가, 'TUNER' 버튼을 누르면 (아나로그 또는 디지탈) 튜너가, 'AUX1' 버튼을 누르면 (아나로그 또는 디지탈) 제 1 보조 소스(예컨대, 컴팩트 카세트 플레이어나 DCC 플레이어)가, 'AUX2' 버튼을 누르면 제 2 보조 소스(예컨대, 디스크 레코드 플레이어)가 각각 선택된다.
입력 수단(26)은 선택 신호 발생기 수단(28)의 입력에 결합된 출력을 구비한다. 선택 신호 발생기 수단(28)은 사용자의 입력 수단(26) 조작에 응답하여 출력(30)에 선택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적응화되어 있는데, 이 선택 신호는 입력 수단(26)의 조작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소스에 관한 신호이다. 선택 신호 발생기 수단(28)의 출력(30)은 장치(1)의 제어 신호 출력(32)에 결합된다. 이 제어 신호 출력(32)은 장치(3)의 제어 신호 입력(34)에 결합된다. 제어 신호 입력(34)을 통해 장치(3)에 인가된 선택 신호는 스위칭 신호로서 스위치(15.1, 15.2 및 15.3)에 공급된다. 이 스위칭 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치는 다음과 같이 위치 설정된다. 즉, 입력 수단(26)의 누름 버튼 'CD'가 조작되면 모든 스위치는 a-e 위치로 전환되고, 누름 버튼 'TUNER'가 조작되면 모든 스위치는 b-e 위치로 전환되고, 누름 버튼 'AUX1'이 조작되면 모든 스위치는 c-e 위치로 전환되며, 누를 버튼 'AUX2'가 조작되면 모든 스위치는 d-e 위치로 전환된다. 두 장치(1 및 3)의 각 단자(32 와 34)간의 전기 접속은 공지된 ESI 버스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이 ESI 버스는 전술된 DCC 900 디지탈 컴팩트 카세트 레코더와 FA 930 증폭기 간의 통신을 실현한다.
선택 신호 발생기 수단(28)은 입력 수단(26)의 출력에 결합된 제어 신호 입력(38)을 구비하는 메모리(36)를 더 포함한다. 이 메모리(36)는, 입력 수단(26)을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소스에 관련되며 기록장치의 아나로그 전기 입력(4), 디지탈 전기 입력(5) 또는 광입력(6) 중 선택된 소스에 의해 공급된 신호가 인가되는 입력을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한다.
CD 플레이어(도시안됨)는 장치(3)의 광입력(23.1)에 결합된 광출력을 구비하며, 튜너(도시안됨)는 장치(3)은 입력(21.2)에 결합된 출력을 구비하고, DCC 플레이어(도시안됨)는 장치(3)의 입력(22.3)에 결합된 디지탈 전기 출력을 구비하며, 레코드 플레이어(도시안됨)는 장치(3)의 입력(21.4)에 결합된 출력을 구비한다고 가정한다.
CD 플레이어에 의해 공급된 오디오 신호를 기록하려면 기록 캐리어(2)상에 CD 의 동조 기록을 실현하는 'CD synchro' 누름 버튼이 기록 장치상에 필요할 수도 있다.
기록 캐리어(2)상에 CD 플레이어에 의해 공급된 오디오 정보를 기록하는 것은, 스위치(15.3)가 a-e 위치로 전환되고 스위치(10)가 c-d 위치로 전환되는 것을 의미한다. 기록 캐리어(2)상에 튜너에 의해 공급된 오디오 정보들 기록하는 것은, 스위치(15.1)가 b-e 위치로 전환되고 스위치(10)가 a-d 위치로 전환되는 것을 의미한다. 기록 캐리어(2)상에 DCC 플레이어에 의해 공급된 오디오 정보를 기록하는 것은, 스위치(15,2)가 c-e 위치로 전환되고 스위치(10)가 b-d 위치로 전환되는 것을 의미한다. 기록 캐리어(2)상에 레코드 플레이어에 의해 공급된 오디오 정보를 기록하는 것은, 스위치(15.1)가 d-e 위치로 전환되고 스위치(10)가 a-d 위치로 전환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메모리(36)는, 'CD' 누름 버튼이 눌러질때 선택수단(26)에 의해 발생된 신호의 의해 어드레싱(adressing) 가능한 제 1 저장 장소내에 제 1 정보코트 I1를 포함한다. 'CD' 누를 버튼을 누르면, 제 1 정보 코트 I1는 출력(40)에 출력되고 스위칭 제어 신호로서 스위치(10)에 공급되는데, 이 제어 신호의 제어하에 스위치(10)는 c-d 위치로 전환된다. 메모리(36)는 'TUNER' 누름 버튼이 눌러질때 선택 수단(26)에 의해 발생된 신호에 의해 어드레싱 가능한 제 2 저장 장소내에 제 2 정보 코드 I2를 포함한다. 'TUNER' 누름 버튼을 누르면, 제 2 정보 코드 I2는 출력(40)에 출력되고 스위칭 제어 신호로서 스위치(10)에 공급되는데, 이 제어 신호의 제어하에 스위치(10)는 a-d 위치로 전환된다. 메모리(36)는 'AUX1' 누름 버튼이 눌러질때 선택 수단(26)에 의해 발생된 신호에 의해 어드레싱 가능한 제 3 저장 장소내에 제 3 정보 코드 I3를 포함한다. 'AUX1' 누름 버튼을 누르면 제 3 정보 코드 I3는 출력(40)에 출력되고 스위칭 제어 신호로서 스위치(10)에 공급되는데, 이 제어 신호의 제어하에 스위치(10)는 b-d 위치로 전환된다. 메모리(36)는 'AUX2' 누름 버튼이 눌러질때 선택 수단(26)에 의해 발생된 신호에 의해 어드레싱 가능한 제 4 저장 장소내에 제 4 정보 코드 I4를 포함한다. 'AUX2' 누름 버튼을 누르면 제 4 정보 코드 I4는 출력(40)에 출력되고 스위칭 제어 신호로서 스위치(10)에 공급되는데, 이 제어 신호의 제어하에 스위치(10)는 a-d 위치로 전환된다. 제 2 도는, 여러 누름 버튼중 한 버튼을 누름으로써 어드레싱 및 출력될 수 있는, 메모리(36)내 4 개의 기억 장소의 내용을 도시한다.
제 1 도의 실시예는 메모리(36), 선택 수단(26) 및 선택 신호 발생기 수단(28)이 기록 장치(1)에 통합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다. 그러나, 상기 요소들중 1 이상의 요소를 소스 선택 장치(3) 내에 통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요소 전부가 소스 선택 장치(3)내에 통합될 경우에는 메모리(36)의 출력(40)에 존재하는 출력 신호를 기록 장치(1)내 스위치(10)에 공급하기 위해 단자(32 및 34) 사이에 신호 접속이 필요하다.
제 1 도의 실시예에서, 소스 선택 장치(3)에는 입력(34)에 존재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가 제공될 수도 있는데, 이 제어 신호의 제어하에, 디스플레이는 CD 플레이어, 튜너 또는 제 1 또는 제 2 보조 소스 중 어떤 소스가 선택되었는지를 나타낸다.
상기 결합체에는, 전술된 제어 기능을 모두 실현할 수도 있는 원격 제어 소자(도시안됨)가 제공될 수도 있다는 것을 또한 주시해야 한다. 심지어, 몇몇 제어 기능이 원격 제어에만 제공되고, 기록 장치(1)나 선택 장치(3)에는 제공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제 3 도는 결합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 3 도의 결합체는 제 1 도의 결합체와 많은 유사점을 갖는다. 제 3 도의 기록 장치(1')는 정보(I1, I2, I3)를 입력하고 그 정보를 메모리(28)에 저장시키는 제 2 의 사용자 조작 입력 수단(50)을 더 포함한다. 입력 수단(50)은 'PRESET' 키(51) 및 'SCROLL' 키(52)를 포함한다. 장치(1')는 3 개의 정보값(I1, I2및 I3)이 저장되는 ROM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메모리(54)는 입력 수단(50)을 통해 입력(58)에 인가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출력(56)에 I1값을 공급한다. 메모리(54)의 출력(56)은 메모리(36)의 정보 신호 입력(60)에 결합된다.
'PRESET' 키(51)를 한번(첫번째) 누름으로써, 기록 장치는 '프리셋' 모드로 전환되며, 이 모드에서 메모리(36)의 제 1 기억 장소가 채워질 수 있다. 사용자는 기록 장치(1')의 입력(4, 5 또는 6) 중 CD 플레이어에 의해 공급된 오디오 신호가 기록되어야 할 경우 이용가능한 입력을 식별해야 한다. CD 플레이어는 장치(1')에 오디오 신호를 디지탈 형태로 공급할 것이라는 점에서 제 1 기억 장소내 디폴트(default) 값은 I3이다. 스크롤 키(scroll key; 52)를 한번 누르면, 메모리는, 입력 수단(50)에 의해 발생되어 제어 신호 입력(58)에 공급된 제어 신호의 제어하에 그 출력(56)에 I1값을 공급한다. 제 1 도의 상황에서, CD 신호가 기록 장치(1')에 인가될 경우 이제 메모리(36)의 제 1 기억 장소는 정확하게 채워진다.
'PRESET' 키(51)를 한번 더(두번째) 누를 경우, 메모리(36)의 제 2 기억 장소가 채워질 수 있다. 제 2 기억 장소내의 디폴트값이 역시 I3라고 가정하면, 스크롤 키(52)를 한번 누를 경우 메모리(54)는 I1값을 공급하고, 스크롤 키(52)를 한번 더 누를 경우 메모리(54)는 출력(56)에 I2값을 공급함으로써, 메모리(36)의 제 2 기억 장소에는 I2값이 저장될 수 있다. 제 1 도의 상황에서 튜너 신호가 기록 장치(1')에 아나로그 형태로 인가될 경우, 이제 메모리(36)의 제 2 기억 장소는 정확하게 채워진다.
'PRESET' 키(51)를 한번 더(세번째) 누르면, 메모리(36)의 제 3 기억 장소가 채워질 수 있다. 제 3 기억 장소내의 디폴드 값이 역시 I3라고 가정한다. 제 1 보조 소스(DCC 플레이어)가 디지탈 전기 입력(5)을 통해 오디오 신호를 공금함에 따라, 제 3 기억 위치의 내용을 변경시킬 필요는 없다.
'PRESET' 키(51)를 한번 더(네번째) 누르면, 메모리(36)의 제 4 기억 장소가 채워질 수 있다. 제 4 기억 장소내의 디폴트 값 또한 I3라고 가정하면, 스크롤 키(52)를 한번 누를 경우 메모리는 I1값을 공급하고, 스크를 키(52)를 한번 더 누를 경우 메모리(52)는 출력(56)에 I2값을 공급함으로써, 메모리(36)의 제 4 기억 장소에는 I2값이 저장될 수 있다. 제 1 도의 상황에서, 제 2 보조 소스(레코드 플레이어)가 기록 장치(1')에 오디오 신호를 아나로그 형태로 공급할 경우, 이제 메모리(36)의 제 4 기억 장소는 정확하게 채워진다.
예컨대, 소스 CD 를 선택하고, CD 플레이어를 플레이모드로 개시하고, 장치(1) 내에서 이용가능한 신호를 갖는 입력을 검출함으로써 다른 방식의 메모리(36) 내용 설정도 물론 가능하다는 것을 주시해야 한다. 입력들 중 한 입력의 입력 신호를 검출한 후, 그 입력에 대응하는 정보(I1, I2또는 I3)가 메모리(36)에 저장된다. 이것은 다른 소스에 대해서도 반복된다.
제 4 도는 기록 장치(1")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 4 도의 기록장치(1")는 제 3 도의 기록 장치(1')와 많은 유사점을 갖는다. 기록 장치(1")는 입력(4)과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7)의 입력 사이의 전기 접속에 결합된 제어가능 신호 증폭기(70)를 더 포함한다. 메모리(36')는 증폭기(70)에 공급되어야할 증폭율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 5 도에 도시된 저장 장소를 더 구비한다는 점에서 제 1 도 및 3 도의 메모리(36)와 다르다. 제 5 도로 부터, 메모리(36')가 2 배의 저장 장소를 구비한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파선(71)으로 표시된 저장 장소는 제 1 도 및 3 도의 메모리(36)에 비해 메모리(36')가 여분으로 갖는 저장 용량이다. 이 메모리 공간(71)은 물론 분리된 제 2 메모리 내에 통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제 4 도 및 5 도의 실시예에서, 이들 기억 장소는 메모리(36')내에 결합된다.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36')의 부분(71)의 제 2 저장 장소는 증폭기(70)에 의해 실현될 제 1 증폭율에 관한 정보 A1을 포함한다. 정보 A1로 인해 증폭기(70)에 대한 증폭율이 A1이 된다고 가정한다. 메모리(36')의 부분(71)의 제 4 저장 장소는 증폭기(70)에 의해 실현될 정보 A2를 포함한다.
사용자 조작 입력 수단(26)에서 누름 버튼 'TUNER'을 조작하면, 메모리(36')의 어드레스 입력(38)에 인가된 어드레스 신호의 제어하에, 이 메모리는 제 1 도를 참조로 설명된 것처럼 출력(40)에 정보(I2)를 공급한다. 또한, 이 어드레스 신호가 메모리 부분(71)의 제 2 저장 장소에 할당됨으로써 정보(A1)가 메모리(36')의 제 2 출력에 공급된다. 필요하다면, 변환 유닛(75)을 통해 이 정보가 공급되어 정보는 필요한 제어 신호로 변환되는데, 이 제어 신호는 출력(76)에 공급되며, 그에 따라증폭기(70)에 공급된다. 증폭기(70)는, 입력(4)에 인가된 튜너 신호의 계수 A1만큼의 증폭을 실현하도록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어된다.
사용자 조작 입력 수단(36)에서 누름 버튼 'AUX2'을 조작하면, 메모리(36')의 어드레스 입력(38)에 인가된 어드레스 신호의 제어하에, 이 메모리는 제 1 도를 참조로 설명된 것처럼 출력(40)에 정보(I2)를 다시 공급한다. 또한, 이 어드레스 신호가 메모리 부분(71)의 제 4 저장 장소에 할당됨으로써, 정보(A2)가 메모리(36')의 제 2 출력(73)에 공금된다. 필요하다면, 변환 유닛(75)을 통해 이 정보가 공급되어 정보는 필요한 제어 신호로 변환되는데, 이 제어 신호는 출력(76)에 공급되며, 그에 따라 증폭기(70)에 공급된다. 증폭기(70)는 입력(4)에 인가된 레코드 플레이어 신호의 계수 A2만큼의 증폭을 실현하도록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어된다.
제 4 도의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가능한 누름 버튼(81, 82)을 더 포함한다. 메모리(36')내의 첫번째 4 개의 기억 장소(36.1 내지 36.4)를 정보(I1, I2, I3및 I2)로 각각 채운후, 제 3 도를 참조로 전술된 방식으로 PRESET 버튼(51)을 또 한번 누를 경우, 상기 장치는 증폭기 세팅 모드(setting mode)로 전환된다. 이 모드에서, 제 3 입력 수단(80)의 누름 버튼(81 및 82)이 조작되어 컨버터(75)(존재할 경우)에 84 를 통해 인가되는 제어 신호가 발생된다. 누름 버튼(81 및 82)을 누름으로써, 증폭기(70)의 증폭율은 원하는 값의 증폭율(제 5 도를 참조하면 값 A1)이 달성될때까지 각각 감소 및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라인(84)상의 이용가능한 정보는메모리(36')의 제 2 입력(85)에 공급된다. 'PRESET' 버튼(51)을 다시 누르면, 이제 이 값(A1)이 메모리 부분(71)의 제 2기억 장소(71.2)에 저장된다.
'PRESET' 버튼(51)을 또 다시 누르면, 제 4 기억 장소(71.4)내의 저장을 위해 값 A2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과정이 반복될 수 있다.
제 4 도의 장치에 아나로그 증폭기(70)를 제공하는 대신,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7)의 출력과 스위치(10)의 a 단자 사이에 결합된 제어 가능 디지탈 증폭기(도시안됨)가 제공될 수도 있다.
여기서, 증폭기(70)는 반드시 기록 장치내에 수용될 필요가 없음을 주시해야 한다. 증폭기(70)는 소스 선택 장치내에 수용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오디오 신호들 처리하는 실시예를 창조로 설명되었다. 그리나, 본 발명은 이런 응용분야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교시를, 비디오 신호가 선택장치에 의해 선택되고 기록 장치에 의해 기록되는 결합체에 적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Claims (13)

  1. 기록 캐리어상에 신호를 디지탈 형태로 기록하는 기록 장치와 소스 선택 장치의 결합체로서,
    상기 기록 장치는
    아나로그 신호를 수신하는 아나로그 전기입력과;
    디지탈 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탈 전기입력 및/또는 광신호를 수신하는 광입력과;
    아나로그 전기입력에 인가된 아나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와;
    기록될 상기 디지탈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을 구비하며 기록 캐리어상에 디지탈 신호를 기록하는 기록 수단 및;
    제 1 제어신호의 제어하에, 상기 기록 수단의 입력에 상기 아나로그 전기입력이나 상기 디지탈 전기입력(존재할 경우), 또는 상기 광입력(존재할 경우)을 결합시키는 제 1 스위칭 수단(10)을 포함하고,
    상기 소스 선택 장치는
    제 1 신호원, 제 2 신호원 및, 적어도 제 3 신호원 중에서 한 신호원을 선택하는 소스 선택 수단과;
    아나로그 신호를 공급하는 아나로그 전기 출력 및;
    디지탈 신호를 공급하는 디지탈 전기 출력 및/또는 광신호를 공급하는 광출력을 포함하는데,
    소스 선택 장치의 아나로그 전기출력은 상기 기록 수단의 아나로그 전기 입력에 결합되고, 상기 소스 선택 장치(3)의 상기 디지탈 전기 출력(존재할 경우)은 상기 기록 수단의 디지탈 전기 입력(존재할 경우)에 결합되며, 소스 선택 장치의 광출력(존재할 경우)은 상기 기록 수단의 광입력(존재할 경우)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체는, 선택 신호 발생기 수단에 결합된 사용자 조작 입력 수단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선택 신호 발생기 수단은 사용자의 상기 입력 수단 조작에 응답하여 출력에 선택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소스와 관련된 상기 선택 신호는 상기 입력 수단을 조작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며, 상기 선택 신호 발생기 수단의 출력은 상기 소스 선택 수단에 결합되는 상기 결합체에 있어서,
    상기 선택 신호 발생기 수단은 메모리 수단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메모리 수단은, 상기 입력 수단에 결합된 제어 신호 입력을 구비하며;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소스에 관련되며 상기 기록 장치의 아나로그 전기 입력, 디지탈 전기 입력 및/또는 광입력 중 선택된 소스에 의해 공급된 신호가 인가되는 입력을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하며; 사용자가 상기 입력 수단을 조작함에 따라 제 1 스위칭 수단의 제어 신호 입력에 결합된, 스위칭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제어신호 출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와 소스 선택 장치의 결합체.
  2. 기록 캐리어상에 신호를 디지탈 형태로 기록하는 기록 장치와 소스 선택 장치의 결합체로서,
    상기 기록 장치는
    아나로그 신호를 수신하는 아나로그 전기입력과;
    디지탈 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탈 전기입력 및/또는 광신호를 수신하는 광입력과;
    아나로그 전기입력에 인가된 아나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와;
    기록될 상기 디지탈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을 구비하며 기록 캐리어상에 디지탈 신호를 기록하는 기록 수단 및;
    제 1 제어신호의 제어하에, 상기 기록 수단의 입력에 상기 아나로그 전기입력이나 상기 디지탈 전기입력(존재할 경우), 또는 상기 광입력(존재할 경우)을 결합시키는 제 1 스위칭 수단(10)을 포함하고,
    상기 소스 선택 장치는
    컴팩트 디스크 오디오 플레이어형의 제 1 오디오 신호원, 튜너형의 제 2 오디오 신호원 및, 적어도 하나의 보조 오디오 신호원중 한 신호원을 선택하는 소스선택 수단과;
    아나로그 신호를 공급하는 아나로그 전기 출력 및;
    디지탈 신호를 공급하는 디지탈 전기 출력 및/또는 광신호를 공급하는 광출력을 포함하는데,
    소스 선택 장치의 상기 아나로그 전기출력은 기록 수단의 아나로그 전기 입력에 결합되고, 상기 소스 선택 장치의 상기 디지탈 전기 출력(존재할 경우)은 상기 기록 수단의 디지탈 전기 입력(존재할 경우)에 결합되며, 소스 선택 장치의 광출력(존재할 경우)은 상기 기록 수단의 광입력(존재할 경우)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체는, 선택 신호 발생기 수단에 결합된 사용자 조작 입력 수단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선택 신호 발생기 수단은 사용자의 상기 입력 수단 조작에 응답하여 출력에 선택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소스와 관련된 상기 선택 신호는 상기 입력 수단을 조작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며, 상기 선택 신호 발생기 수단의 출력은 상기 소스 선택 수단에 결합되는 상기 결합체에 있어서,
    상기 선택 신호 발생기 수단은 메모리 수단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메모리 수단은, 상기 입력 수단에 결합된 제어 신호 입력을 구비하며;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해 사용자애 의해 선택된 소스에 관련되며 상기 기록 장치의 아나로그 전기 입력, 디지탈 전기 입력 및/또는 광입력 중 선택된 소스에 의해 공급된 신호가 인가되는 입력을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하며; 사용자가 상기 입력 수단을 조작함에 따라 제 1 스위칭 수단의 제어 신호 입력에 결합된, 스위칭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제어 신호 출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와 소스 선택 장치의 결합체.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는 상기 메모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와 소스 선택 장치의 결합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는 상기 사용자 조작 입력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와 소스 선택 장치의 결합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는 상기 선택 신호 발생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와 소스 선택 장치의 결합체.
  6.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선택 장치는 상기 사용자 조작 입력 수단 및 상기 선택 신호 발생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와 소스 선택 장치의 결합체.
  7.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소스에 관련되며 상기 기록 장치의 아나로그 전기 입력, 디지탈 전기 입력 및/또는 광입력 중 선택된 소스에 의해 공급된 신호가 인가되는 입력을 나타내는 정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정보를 메모리에 기억시키는 제 2 의 사용자 조작 입력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와 소스 선택 장치의 결합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는 상기 제 2 의 사용자 조작 입력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와 소스 선택 장치의 결합체.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선택 장치는 상기 제 2 의 사용자 조작 입력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와 소스 선택 장치의 결합체.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나로그 전기 입력에 인가된 신호를 증폭시키는 제어 가능 신호 증폭 수단 및, 제 2 메모리 수단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제 2 메모리 수단은, 상기 아나로그 전기 입력에 신호를 공급하는 소스를 선택할때 상기 증폭 수단에 의해 실현될 증폭율에 관련될 정보를 저장하고; 그 출력은 상기 증폭기 수단의 제어 신호 입력에 결합되며; 상기 입력 수단에 결합된 제어 신호 입력을 구비하며; 사용자의 상기 입력 수단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아나로그 전기 입력에 신호를 공급하는 소스를 선택하도록, 저장 장소에서 증폭율에 관련된 정보를 복귀시키고 그 정보를 출력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와 소스 선택 장치의 결합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아나로그 전기 입력에 신호를 공급하는 소스를 선택할 때, 상기 증폭기 수단에 의해 실현될 증폭율에 관한 정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정보를 상기 제 2 메모리 수단에 저장시키는 제 3 의 사용자 조작 입력 수단을 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와 소스 선택 장치의 결합체.
  12. 제 3 항에 청구된 결합체에 사용될 수 있는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는 결합체내에서 상기 기록 장치를 특징짓는 제 3 항에서의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13. 제 6 항에 청구된 결합체에 사용될 수 있는 소스 선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스 선택 장치는 결합체내에서 상기 소스 선택 장치를 특징짓는 제 6 항에서의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KR1019950702986A 1993-11-24 1994-11-16 기록장치와소스선택장치의결합체 KR1003215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3203284.0 1993-11-24
EP93203284 1993-11-24
PCT/IB1994/000360 WO1995014992A1 (en) 1993-11-24 1994-11-16 A combination of a recording arrangement and a source selection arrang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0508A KR960700508A (ko) 1996-01-20
KR100321539B1 true KR100321539B1 (ko) 2002-06-20

Family

ID=8214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2986A KR100321539B1 (ko) 1993-11-24 1994-11-16 기록장치와소스선택장치의결합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581529A (ko)
EP (1) EP0687377B1 (ko)
JP (1) JPH08512165A (ko)
KR (1) KR100321539B1 (ko)
AT (1) ATE180093T1 (ko)
DE (1) DE69418457T2 (ko)
SG (1) SG44009A1 (ko)
WO (1) WO19950149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9250A (ja) * 1995-04-04 1996-10-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ジタル信号記録方法とディジタル信号書き換え方法及びfm音声信号/ディジタル信号記録兼用ドラム装置とディジタル信号磁気記録再生装置
US6757913B2 (en) 1996-07-15 2004-06-29 Gregory D. Knox Wireless music and data transceiver system
KR100201836B1 (ko) * 1996-09-30 1999-06-15 전주범 튜닝 포인트 제어장치 및 튜닝 포인트 제어 기능을갖는 동조회로
EP0933764A1 (en) 1998-01-30 1999-08-04 Sony Italia S.p.A. Universal storage device for data
JP2000285644A (ja) * 1999-03-31 2000-10-13 Sony Corp コンテンツ作成方法、コンテンツ作成装置、コンテンツ記録媒体、コンテンツダウンロード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蓄積配信装置
KR100718565B1 (ko) * 2000-01-07 2007-05-16 톰슨 멀티미디어 비디오 소스를 갖는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 및 그 디지털비디오 리코더용 멀티플렉서
GB2363556B (en) * 2000-05-12 2004-12-22 Global Silicon Ltd Digital audio processing
DE60234654D1 (de) * 2002-03-05 2010-01-14 D & M Holdings Inc Audiowiedergabegerät
TWI299859B (en) * 2004-12-30 2008-08-11 Tatung Co Ltd Method for recording a selectable audio source and annotating the audio to a picture in a portable device
BR112017000133B1 (pt) * 2014-07-07 2021-02-09 Koninklijke Philips N.V dispositivo de aparagem de cabelos e barba
US20190008720A1 (en) * 2016-10-21 2019-01-10 Zoll Medica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s for adaptive body positioning during chest compression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5978A (en) * 1980-03-19 1981-12-19 Hitachi Ltd Function switching circuit
US4897739A (en) * 1986-04-07 1990-01-30 Canon Kabushiki Kaisha Multi-channel recording apparatus using a plurality of heads in turn
JP2713950B2 (ja) * 1988-02-22 1998-02-16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一体型記録再生装置
DE3808862A1 (de) * 1988-03-17 1989-09-28 Thomson Brandt Gmbh Aufzeichnungsgeraet
US5036409A (en) * 1989-03-15 1991-07-30 Deutsche Thomson-Brandt Gmbh Signal selection arrangement
JPH0589405A (ja) * 1991-09-30 1993-04-09 Pioneer Electron Corp デイジタル記録再生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0508A (ko) 1996-01-20
EP0687377B1 (en) 1999-05-12
DE69418457D1 (de) 1999-06-17
US5581529A (en) 1996-12-03
SG44009A1 (en) 1997-11-14
EP0687377A1 (en) 1995-12-20
ATE180093T1 (de) 1999-05-15
DE69418457T2 (de) 1999-11-11
WO1995014992A1 (en) 1995-06-01
JPH08512165A (ja) 1996-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14860A (en) Remote control transmitter arrangement for one or more television devices
US7324168B2 (en) Universal remote control unit
US5963269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television receiver using a plurality of stored labels
KR100321539B1 (ko) 기록장치와소스선택장치의결합체
KR910002230A (ko) 텔레비젼 수상기 및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동작 및 제어를 통합하는 시스템
FR2521800A1 (fr) Dispositif de commande a distance de magnetoscope et de recepteur de television
GB2063600A (en) Receiver with a channel swapping apparatus
WO1998052311A1 (en) Automobile radio recording system
US4539711A (en) Tuning control system for a pair of tuners employing a common channel skip memory
KR920006963A (ko) Cd체인져 플레이어 및 라디오수신기 공용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H05298868A (ja) Vtrとテレビとの結合装置
KR930010485B1 (ko) 자막정보 처리장치
JPS58172011A (ja) 選局装置
KR0135855B1 (ko) 다기능 간편리모콘장치 및 방법
CA2047037C (en) Surround sound effect control device
KR940005792B1 (ko) 더블데크 vcr의 스위칭 회로 및 스위칭 방법
KR950011663B1 (ko) 방송 신호 시청중 외부 입력 신호의 녹화가 가능한 티브이씨알의 스위칭 장치
JPS6046873B2 (ja) 磁気録画再生装置付テレビ受信機
KR940004501B1 (ko) 더블 데크 vcr 시스템
KR940002304Y1 (ko) 휘도신호 스위칭 회로
KR100584415B1 (ko) 원격조정코드수용장치및방법
KR0165313B1 (ko)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일체형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채널예약시간 디스플레이방법
KR200179568Y1 (ko) 복합 영상기록 시스템
KR0144938B1 (ko)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일체형 텔레비젼 수상기
JPH0437394A (ja) 信号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