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1218B1 - 증기다리미 - Google Patents

증기다리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1218B1
KR100321218B1 KR1019970701104A KR19970701104A KR100321218B1 KR 100321218 B1 KR100321218 B1 KR 100321218B1 KR 1019970701104 A KR1019970701104 A KR 1019970701104A KR 19970701104 A KR19970701104 A KR 19970701104A KR 100321218 B1 KR100321218 B1 KR 100321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generating chamber
droplet
steam generating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1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5669A (ko
Inventor
하네발트 안드레아
폰스 폰스 프란체스
카르로스 상쯔 코로나도 유안
팔마 바츠퀘츠 미구엘
페레츠 아우리아 아우구스틴
Original Assignee
브라운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라운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브라운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970705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5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1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1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08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 D06F75/22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with 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article being iro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Ir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증기 다리미는 액체 저장부(12)와, 하측에 증기 방출 포트(18)들을 구비하며, 상측에 액체 증발용의 2개 이상의 증기 발생실(8, 22)을 포함하는 가열체(4, 6)를 구비한다. 각각의 증기 발생실(8, 22)은 적어도 2개의 액적 충돌 영역(14, 24)을 구비한다. 1개 이상의 증기 발생실(8)은 액체 도관(10)을 통해 액체 저장부(12)와 연결되는 한편, 다른 한편으로는 증기 방출 포트(18)들과 연통한다. 하나 이상의 또 다른 증기 발생실(22)은 액적 분배 도관(36)을 통해 액체 저장부(12)와 연결되고, 증기 다리미의 전단에 배치된 증기 분사 노즐(28)과 연결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또 다른 증기 발생실(22)을 유동 방향으로 확장하기 위해, 액체가 가열체(4, 6)의 상측의 전방 영역에 배치된 액적 충돌 영역(24)으로 이송되는 증기 도관으로서 구성된다. 그 증기 도관은 증기 다리미의 후방 단부를 향하여 액적 충돌 영역(24)으로부터 연장하고, 증기 다리미의 증기 분사 노즐(28)을 향하여 편향된다.

Description

증기 다리미{STEAM IRON}
이러한 종류의 증기 다리미는, 예컨대 독일 특허 공개 제41 33 295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증기 다리미들은 다림질되는 물품에 습증기를 가해서 그 물품을 더욱 유연하게 함으로써 다림질 과정을 촉진한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 가습은 다리미의 밑판(soleplate)에 설치된 증기 방출 포트들로부터 방출되는 증기에 의해, 또는 다림질 방향에서 보았을 때 다리미 밑판의 전단(前端) 앞의 소정 위치에서 다림질 대상 물품에 부딪치는 증기 또는 액체의 제트에 의해 이루어진다. 다림질되는 직물의 종류 및 증기/액체 제트의 온도와 조성에 따라 워터 스폿팅 현상(water spotting)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구체적으로는 합성 직물과 같이 직물이 흡수성이 없거나, 예컨대 면과 같은 흡수성의 두꺼운 천연 섬유 직물을 취급할 때에 증기/액체 혼합물이 직물 재료에 충분하게 스며들지 못하는 경우 등이다. 그러므로, 가습 및 다림질의 반복이 필수이다. 다림질 대상 직물들의 흡수성이 폭넓게 다르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와 마찬가지로 다림질에 대한 직물들의 반응도 폭넓게 다르다.
독일 특허 공개 제41 33 295호에 설명된 증기 다리미는 2개의 증기 발생실을포함하는 바, 그들중 하나는 증기/액체 제트로 다림질하는 다리미의 밑판의 전단 앞에 유도될 액체를 증발시키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증기 다리미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증기 다리미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증기 다리미의 가열 가능한 슈우(shoe)의 상부면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증기 제트의 분출을 개선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부의 구성을 합체한 증기 다리미에 의해 달성된다.
청구항 1에 따라 구성된 증기 다리미에 있어서, 증기 도관이 증기 다리미 본체의 제한된 공간에 수용되어야 하는 경우에도 종방향으로 증기 도관의 길이를 신장시키는 것이 성취 가능하다고 하는 장점이 나타난다. 그 결과, 여전히 습증기인 증기가 증기 도관을 통한 증기 통로를 따라 추가의 열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으므로, 증기 방출 노즐로부터 주로 건증기가 방출된다.
청구항 2 및 3은 특히 다리미 본체에 의해 부과되는 공간적 한계에서 초래되는 제한 사항들과 관련하여 증기 도관의 특히 유리한 구성을 제시한다.
청구항 4에 따라 구성된 증기 다리미에서, 물의 양과 함께 제2 증기 발생실에서 증발될 물의 양이 펌프 장치에 의해 용이하게 계량될 수 있으며, 상당히 고속으로 증기 발생실로 송출될 수 있으므로, 이 물이 비교적 단시간에 증발될 수 있는 장점이 나타난다.
청구항 5에 따라 구성된 증기 다리미에서, 액적(液滴) 충돌 영역(drop impingement area)들이 분리되어 배열되면, 이들 중 하나의 영역과 충돌하는 액적들이 증기 방출 노즐의 바로 상류의 다른 액적 충돌 영역의 이미 완전히 증발된 물에 의해 동반되며(entrained), 따라서 증기가 증기 방출 노즐로부터 방출될 때 습증기 함량이 높은 증기가 발생되는 것을 보여준다.
청구항 6의 증기 다리미에 있어서, 증기 방출 노즐로부터 방출되는 증기의 습증기 함량이 조절 가능하다는 유리한 구성이 나타난다.
청구항 7에 따라 구성된 증기 다리미에 있어서, 이 증기 다리미는 소정량의 액체가 제2 액적 충돌 영역으로 지연 이송된 결과, 이 소정량의 액체는 제1 액적 충돌 영역에 있는 소정량의 액체가 증발되고 증기 발생실을 통과하여 제2 액적 충돌 영역에 도달한 후까지는 제2 액적 충돌 영역으로 액적 형태로 공급되지 않으므로, 제2 영역으로 이송된 소정량의 액체는 제1 액적 충돌 영역의 소정량의 액체로부터 발생되어 유입되는 증기에 의해 즉시 실려 나간다.
청구항 8에 따른 증기 다리미의 구성에 있어서, 액체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증기 방출 노즐을 통해 방출되는 증기량도 역시 조절할 수 있다는 점을 장점이 나타난다.
청구항 9에 따라 구성된 증기 다리미에서, 증발 결과 다리미 본체로부터 열량이 소실되고 소정량의 액체가 액적 형태로 공급되므로, 다리미 본체로부터 소실되는 열량 및 액적 형태로 공급되는 액체의 양과 관련하여 국부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어떠한 냉각도 별도의 가열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개별적으로 평형화될 수 있다는 장점이 나타난다.
청구항 10 및 11의 구성에는 증기 방출 노즐 형상의 다양성 및 몇 개의 증기 방출 노즐을 설치할 가능성이 포함되며, 배출 증기의 방향 및 세기(intensity)가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세부 사항들과 장점들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후술되는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제 도 1을 살펴보면, 증기 다리미(2)가 단순화되어 도시되어 있다. 가열 가능한 슈우(6)가 다리미의 밑판(4) 위에 장착되어 있다. 가열 가능한 슈우(6)에는 2개의 증기 발생실이 합체되어 있다. 제1 증기 발생실(8)은 밸브(도시 생략)에 의해 폐쇄되도록 구성된 액체 도관(10)에 의해 액체 저장부(12)와 유체 연통한다. 증기 다림질하는 동안, 도관(10)이 개방되어, 액체가 저장부(12)로부터 도관(10)을 통해 제1 증기 발생실에 있는 액적 충돌 영역(14)으로 흐르며, 그곳에서 액체는 신속하게 완전히 증기로 변한다. 이 증기는 배출 도관(16)을 통해 증기 다리미(2)의 밑판(4)에 있는 증기 방출 포트(18)들로 이동되어, 다림질되는 물품을 가습시킨다. 다리미 밑판(4)을 통해 방출되는 증기의 세기를 더 강하게 하기 위해, 제1 증기 발생실과 유체 연통하는 제2 액적 충돌 영역(20)이 제공된다. 제1 액적 충돌 영역에서 발생된 증기에 추가하여, 액체가 제2 액적 충돌 영역으로 흘러 증기로 전환되어 배출 도관(16)을 통과하는 경우, 단위 시간당 실질적으로 더 많은 양의 증기가 증기 방출 포트(18)들을 통해 방출되어 다림질되는 물품을 가습시킨다.
가열 가능한 슈우(6)는 제2 증기 발생실(22)을 더 포함한다. 길이가 긴 제2 증기 발생실(22)은 도 2에 보다 명료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슈우(6)의 상측에 합체되어 있다. 증기 발생실(22)에는 제1 액적 충돌 영역(24)과 제2 액적 충돌 영역(26)이 있다. 또한, 제2 증기 발생실(22)은 증기 방출 노즐(28)과 유체 연통한다. 증기 방출 노즐(28)은 방출된 증기/액체 제트가 증기 다리미의 첨단(尖端) 앞에 부딪쳐서, 증기 다리미의 밑판(4)이 다림질되는 물품 위로 미끄러지기 직전에 그 물품을 가습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다.
액체가 액체 저장부(12)로부터 액적 충돌 영역(24, 26)으로 이송되게 하기 위해 펌프 장치(30)가 제공되어 있다. 이 펌프 장치(30)는 흡인 도관(32)을 포함하는 바, 펌프(34)의 작동시 액체가 이 도관을 통해 액체 저장부(12)로부터 액적 분배 도관(36)으로 공급된다. 예컨대, 피스톤 펌프인 펌프(34)는 작동 부재(38)를 회전시키거나 가압시킴으로써 작동된다. 펌프(34)에 의해 이송될 액체의 양은 증기 다리미의 사용자가 예컨대 펌프의 피스톤 행정(stroke)을 미리 선택함으로써 사전에 선택될 수 있다. 액체의 양은 통상 행정당 약 1∼7g 액체의 범위이다. 액적 분배 도관(36) 속에 매니폴드(manifold) 장치(4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액적 분배 도관은 이 매니폴드 장치(40)에서 2개의 방출 도관(42, 44)으로 분리된다. 제1 방출 도관(42)은 제2 증기 발생실(22)의 제1 액적 충돌 영역(24) 위에서 종결되며, 제2 방출 도관(44)은 제2 증기 발생실(22)의 제2 액적 충돌 영역(26) 위에서 종결된다. 제2 액적 충돌 영역(26)에 대한 액체 유입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2 방출 도관(44)에 조정 장치(46)가 배치되어 있다. 이 조정 장치(46)는 증기 다리미의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유체 통과를 한정하는 흐름 단면을 조정하기 위해 더 크거나 작은 정도로 도관(44) 속에 나사식으로 맞물릴 수 있는 로터리 핀이다. 방출 도관의 신축 가능한 부분의 단면을 감소시키기 위한 예컨대 클램프(clamp)와 같은 다른 조정 장치들이 액체 흐름의 분배를 변화시키기에 동일하게 적합할 수 있다. 또한, 매니폴드 장치(40)가 없는 구성도 고려할 수 있다. 그 경우 액적 분배 도관(36)은 제2 증기 발생실(22)의 제1 (이 실시예의 경우, 유일한) 액적 충돌 영역(24)에 이른다.
도 2는 증기 다리미(2)의 가열 가능한 슈우(6)에 있는 제1 증기 발생실(8)과 제2 증기 발생실(22)의 실시 가능한 구성과 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제2 증기 발생실(22)은 슈우(6)의 중앙에 있는 제1 증기 발생실(8)과, 슈우(6)의 외측 테두리 부분(48)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증기 발생실(22)은 제1 액적 충돌 영역(24)이 배치되어 있는 슈우(6)의 전방 ⅓지점에 있는 제1 단부(50)로부터 시작하여 슈우(6)의 후방 단부까지 제1 증기 발생실(8)의 양측으로 두 갈래로 분할된다. 이어서, 제2 증기 발생실(22)은 슈우(6)의 후방 약 ⅓지점에 있는 약 180°의 만곡 부분(52)으로부터 슈우(6)의 전방 첨단까지 연장하여 종결하며, 여기에서 그것의 제2 단부(54)가 증기 방출 노즐(28)에 이어져 있다. 제2 액적 충돌 영역(26)은 제2 증기 발생실(22)의 제2 단부(54)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증기 발생실(8)과 제2 증기 발생실(22)은 별도의 전열선(傳熱線; 도시 생략)에 의해 개별적으로 가열될 수 있다.
증기/액체 제트는 펌프(34)의 작동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데, 이 펌프는 액체 저장부(12)로부터 소정량의 액체를 흡인 도관(32)을 통해 흡인하여 그것을 액적 분배 도관(36)으로 공급하며, 통상 탈염수인 액체는 상기 분배 도관으로부터 매니폴드 장치(40)로 이동된다. 이 매니폴드 장치(40)에서, 소정량의 액체는 2개의 분류(分流)로 분할된다. 제1 분류는 방출 도관(42)을 통과하여 제2 증기 발생실(22)의 가열된 제1 액적 충돌 영역(24)에 도달한다. 액체는 제2 증기 발생실(22)의 길이 방향으로 흐르면서 증발하기 시작한다. 이 증기 발생실(22)이 길기 때문에, 제1 액적 충돌 영역(24)으로 액적 형태로 공급된 물은 실제로 완전하게 증발된다. 그 증기는 초기의 습증기 상태로 제1 액적 충돌 영역(24)으로부터 증기 방출 노즐(28)쪽을 향한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이 습증기는 증기 방출 노즐(28)로 계속 이동할 때 증기 발생실(22)이 길게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증기 발생실(22)의 측벽들에 의해 재가열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물은 증기 방출 노즐(28)에 도달할 때에는 적어도 거의 완전하게 증발된다. 송출되는 액체의 제1 분류는 제2 증기 발생실의 제2 단부(54)에 도달할 때 적어도 거의 완전하게 증발되어, 증기 방출 노즐(28)로부터 방출되기 시작한다. 액체의 제2 분류는 방출 도관(44)을 통해 제2 액적 충돌 영역(26)으로 이송됨으로써 이러한 기존 증기에 부가된다. 이 제2 분류는 단지 일부만 증발되고, 상당량의 액체가 이미 증발된 제1 분류의 액체에 의해 동반되며, 증기와 함께 증기 방출 노즐(28)로부터 방출되어, 미세하게 분무화된 소적(小滴)의 흐름으로서 다림질되는 물품과 부딪친다. 사용자는 매니폴드 장치(40)를 조정함으로써, 제2 분류의 액체가 거의 완전하게 증발되어 비교적 고온의 분출 증기가 다림질되는 물품과 부딪치게 할 것인지, 혹은 제2 액적 충돌 영역(26)에 부가된 액체가실질적으로 액체 상태로 제1 분류의 증기에 의해 동반되어 덜 뜨겁지만 다량의 소적을 여전히 동반하는 증기/액체 제트가 다림질되는 물품에 부딪치게 할지를 광범위하게 미리 선택할 수 있다. 특히, 증기/액체 제트의 생성을 위한 장점으로서, 매니폴드 장치는 그것에 공급되는 제1 분류의 액체를 우선 방출하고, 제1 액체로부터 발생된 증기가 제2 증기 발생실(22)의 제2 단부(54)에 도달한 후에야 비로소 제2 분류의 액체를 제2 액적 충돌 영역(26)으로 향하게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시간 지연은 제1 액적 충돌 영역(24)에서 물이 증발되는데 필요한 시간에 추가하여 증기의 유동 속도에 의해 초래되는 시간, 즉 증기가 제1 액적 충돌 영역(24)으로부터 제2 액적 충돌 영역(26)으로 증기를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에 기인한다.
다림질 밑판이 결합된 다리미 슈우로 구성된 장치가 이와 같은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련하여 설명되었다. 본 발명을 인식하면, 본 발명은 또한 하부가 다리미 본체로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다리미에도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따라서, 본 다리미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슈우 및 다리미의 밑판으로 구성된 본체를 구비한다.

Claims (11)

  1. 액체 저장부(12)와, 하면에 증기 방출 포트(18)들이 마련되고 상면에 액체 증발을 위한 2 이상의 증기 발생실(8, 22)이 마련되는 가열체(4, 6)를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증기 발생실(8, 22)은 하나 이상의 액적(液滴) 충돌 영역(14, 24)을 구비하며, 상기 증기 발생실(8) 중 하나 이상은 일단에서 액체 도관(10)을 통해 상기 액체 저장부(12)와 유체 연통하고 타단에서 증기 방출 포트(18)들과 유체 연통하며, 상기 다른 증기 발생실(22)은 일단에서 액적 분배 도관(36)을 통해 액체 저장부(12)와 유체 연통하고 타단에서 증기 방출 노즐(28)과 유체 연통하며, 상기 증기 방출 노즐(28)은 다리미의 전단(前端)에 배치되며, 상기 다른 증기 발생실(22)은 액체가 액적 충돌 영역(24)으로 구성된 제1 단부(50)에 액적 형태로 이송되는 증기 도관으로서 구성되도록 유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증기 다리미에 있어서,
    상기 액적 충돌 영역(24)은 상기 가열체(4, 6)의 상면의 전방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다른 증기 발생실(22)은 상기 액적 충돌 영역(24)으로부터 시작해서 증기 다리미의 후방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연장하고 역방향을 따라가서 상기 증기 방출 노즐(28)로 이어지게 되며, 상기 다른 증기 발생실(22)은 상기 가열 가능한 슈우(6)의 첨단(尖端)까지 연장하여, 그곳에서 증기 발생실(22)의 제2 단부(54)가 상기 증기 방출 노즐(28)로 직접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다리미.
  2. 제1항에 있어서, 증기 도관으로서 구성된 상기 제2 증기 발생실(22)은 상기가열체(4, 6)의 전방 ⅓ 지점에 있는 제1 액적 충돌 영역(24)으로부터 두갈래로 분할되어, 상기 제2 증기 발생실(22)이 가열체(4, 6)의 후방 ⅓ 지점까지 가열체(4, 6)의 외측 테두리 부분(48)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하며, 이 지점에서 대략 180° 만곡되어 상기 증기 방출 노즐(28)의 방향으로 반대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다리미.
  3. 제2항에 있어서, 다리미의 후방 단부의 방향으로 상기 액적 충돌 영역(24)으로부터 연장하는 증기 발생실(22)의 부분 중 상기 가열체(4, 6)의 중앙을 보았을 때 보이는 부분의 외벽은, 역방향을 따라 다리미의 증기 방출 노즐(28)로 연장하는 증기 발생실(22)의 부분 중 상기 가열체(4, 6)의 중앙을 보았을 때 보이는 부분의 내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다리미.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인 도관(32), 펌프(34), 그리고 액적 분배 도관(36)을 포함하는 펌프 장치(30)를 구비하며, 상기 펌프 장치(30)는 작동시 상기 액체 저장부(12)로부터 상기 제2 증기 발생실(22)의 하나 이상의 액적 충돌 영역(24)으로 액체를 송출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다리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장치(30)의 액적 분배 도관(36)은 송출된 액체를 제2 증기 발생실(22)의 2 이상의 분리된 액적 충돌 영역(24, 26)으로 이송하게 되어 있는 2개 이상의 방출 도관(42, 44)이 있는 매니폴드(manifold) 장치(40)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액적 충돌 영역(24)은 증기 발생실(22)의 제1 단부(50)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액적 충돌 영역(26)은 증기 방출 노즐(28)의 바로 상류의 증기 발생실(22)의 제2 단부(54)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다리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 장치(40)는 조정 장치(48)를 구비하며, 상기 조정 장치에 의해 상기 제2 증기 발생실(22)의 제1 액적 충돌 영역(24)과 제2 액적 충돌 영역(26)으로 이송될 액체의 양의 비율이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다리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 장치(40)는 그것의 제1 액적 충돌 영역(24)으로 이송될 일부 액체의 양을 우선 배출하고, 상기 제2 액적 충돌 영역(26)으로 잔여 액체의 양을 소정 시간 지체시켜 보내도록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다리미.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34)에 의해 액체 저장부(12)로부터 흡인된 액체의 양은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다리미.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증기 발생실(8)과 제2 증기 발생실(22)은 개별적으로 가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다리미.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방출 노즐(28)의 형상은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다리미.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증기 발생실(22)은 복수 개의 증기 방출 노즐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다리미.
KR1019970701104A 1994-08-27 1995-07-26 증기다리미 KR1003212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430548A DE4430548A1 (de) 1994-08-27 1994-08-27 Dampfbügeleisen
DEP4430548.6 1994-08-27
PCT/EP1995/002949 WO1996006970A1 (de) 1994-08-27 1995-07-26 Dampfbügeleis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5669A KR970705669A (ko) 1997-10-09
KR100321218B1 true KR100321218B1 (ko) 2002-08-27

Family

ID=6526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1104A KR100321218B1 (ko) 1994-08-27 1995-07-26 증기다리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777778B1 (ko)
KR (1) KR100321218B1 (ko)
AT (1) ATE167712T1 (ko)
AU (1) AU681807B2 (ko)
DE (2) DE4430548A1 (ko)
ES (1) ES2120763T3 (ko)
WO (1) WO199600697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275B1 (ko) 2011-03-07 2013-06-24 현태섭 연재 지각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40463A1 (de) * 1991-12-09 1993-06-17 Boehringer Mannheim Gmbh 2'-desoxy-isoguanosin, dessen isostere analoge sowie anwendung derselben
FR2815649B1 (fr) * 2000-10-24 2003-01-03 Rowenta Werke Gmbh Fer avec fonction de surplus de vapeur
DE202005007735U1 (de) * 2005-05-18 2005-07-21 Eugster/Frismag Ag Dampfbügeleisen
DE202005012165U1 (de) * 2005-05-18 2005-09-29 Eugster/Frismag Ag Dampfbügelsystem mit einem stationären Dampferzeuger und einem mit diesem verbundenen Bügeleisen
DE102005061489A1 (de) * 2005-12-22 2007-07-05 Braun Gmbh Dampfbügeleis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ampfbügeleisens
DE102005062641A1 (de) * 2005-12-23 2007-07-05 Braun Gmbh Bügeleisen
CN100453730C (zh) * 2006-02-09 2009-01-21 徐建群 一种储汽式汽化锅改良结构
US11655585B2 (en) * 2019-04-16 2023-05-23 Hamilton Beach Brands, Inc. Iron-steamer applian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77380A (ko) * 1961-04-21
FR1356984A (fr) * 1962-06-19 1964-04-03 Sunbeam Corp Fer à repasser
CA1024435A (en) * 1973-12-13 1978-01-17 General Electric Company Steam iron
DE7837620U1 (de) * 1977-12-21 1980-06-12 Seb S.A., Selongey, Cote-D'or (Frankreich) Elektrisches Dampfbügeleisen
DE4133295A1 (de) * 1991-10-08 1993-04-15 Braun Ag Dampfbuegeleis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275B1 (ko) 2011-03-07 2013-06-24 현태섭 연재 지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6006970A1 (de) 1996-03-07
ES2120763T3 (es) 1998-11-01
EP0777778A1 (de) 1997-06-11
AU681807B2 (en) 1997-09-04
KR970705669A (ko) 1997-10-09
DE59502657D1 (de) 1998-07-30
DE4430548A1 (de) 1996-02-29
ATE167712T1 (de) 1998-07-15
EP0777778B1 (de) 1998-06-24
AU3165995A (en) 199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19916C (zh) 蒸汽熨烫装置
CN1986950B (zh) 熨斗
US6216369B1 (en) Steam iron with steam discharge ahead of and along the side of the iron
KR100321218B1 (ko) 증기다리미
KR100429051B1 (ko) 증기다리미
KR101578948B1 (ko) 모발의 스팀 처리를 위한 휴대형 장치
US7065907B2 (en) Electric steaming device
EP1613806A1 (en) Steam ironing device
JP2020500666A (ja) スチームしわ伸ばし装置
US2010008628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steamer
US3919793A (en) Extra capacity steam iron
US5787614A (en) Electric steam iron with aerosol sprayer
JP4762975B2 (ja) 蒸気流において渦を得る渦発生手段を有する蒸気アイロン装置
ITMI970805A1 (it) Stazione di stiratura a vapore
US6935056B2 (en) Steam iron with steam chamber with a small-sized vent
EP3899129A1 (en) Ironing machine
CZ301264B6 (cs) Žehlicka
EP2576891B1 (en) Iron and relative ironing method
KR101474475B1 (ko) 스팀다리미
CN214193860U (zh) 熨烫柜
JPH1190099A (ja) アイロン
JP3945386B2 (ja) アイロン
WO2017076440A1 (en) A steam iron
JPH0375198B2 (ko)
JPH11300100A (ja) アイロ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