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0133B1 - 조리개장치 - Google Patents

조리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0133B1
KR100320133B1 KR1019940005117A KR19940005117A KR100320133B1 KR 100320133 B1 KR100320133 B1 KR 100320133B1 KR 1019940005117 A KR1019940005117 A KR 1019940005117A KR 19940005117 A KR19940005117 A KR 19940005117A KR 100320133 B1 KR100320133 B1 KR 100320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electrode
electrode group
transparent
electrochromic element
diaphrag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5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2167A (ko
Inventor
이세고이치
니시다야수오
야수다아키오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40022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2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0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01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63Operation of electrochromic cells, e.g. electrodeposition cells; Circuit arrangements therefo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55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533Constructional details structural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iaphragms For Camera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상태에 있어서는 충분한 광투과율이 유지되는 동시에 차광상태에 있어서는 차광특성이 높고 전체로서 소형의 조리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성은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광투과특성이 변화하는 일렉트로크로믹소자(11)와 이 일렉트로크로믹소자(11)를 좁아지도록 하여 설치하여 각각 복수의 투명전극(14a 내지 14d, 15a 내지 15d)을 동심형으로 배열하여 되는 제 1투명전극군(14) 및 제 2투명전극군(15)과 이들 투명전극군의 가장바깥둘레부에 설치되는 동시에 쌍극을 구성하는 제 3전극(16)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조리개장치
본 발명은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광투과특성이 변화하는 일렉트로크로믹소자를 구비하고 이 일렉트로크로믹소자의 광투과특성에 의해 투과광량을 제어하도록 한 촬상렌즈계의 조리개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같이 일렉트로크로믹소자는 전기화학반응에 의해 행해지는 산화상태와 환원상태로서 광의 투과특성을 다르게 하는 소자이고 이 광투과특성을 이용하여 입사광의 투과광량의 제어장치에 이용되고 있다. 즉 일렉트로크로믹소자는 예를 들면 WO3, WoD3등의 일렉트로크로믹재료로 형성된 박막과, 필름형 리튬등의 전해질을 접하도록하여 주입하여서 되고 전해질측에 정전압이 인가되면 그 상태가 변화한다.
예를들면 무색의 WO3, 박막의 경우 이것에 부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전자와 전해질중의 양자이온이 주입되어서 [Mx +WO3ex]가 생성되고 무색에서 청색으로 변화한다. 따라서 이러한 일렉트로크로믹소자의 전기·광투과특성을 이용하고 다른 파장영역에서 착색하는 것을 포개어 합하므로써 가시광전역에 대하여 투과광량의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일렉트로크로믹소자의 전기·광투과특성을 이용한 카메라등의 촬상렌즈계의 조리개장치가 제공되고 있고 이 조리개장치는 예를들면 일본 특개소 62-198835호 『조리개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즉 이 선출원 조리개장치(1)는 제 7도 및 제 8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일렉트로크로믹소자(2)를 전해질과 함께 스페이서(3)를 통하여 한쌍의 투명기판(4A, 4B)에 의해 끼워넣도록 하여 봉입하고 이들 투명기판(4A, 4B)의 내부에 상기 일렉트로크로믹소자(2)의 표리면에 접촉하도록 하여 제 1투명전극군(5) 및 제 2투명전극(6)을 각각 설치 하게 된다.
상기 적어도 한편의 투명전극군(5)은 동심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투명전극(5a, 5b, 5c, 5d)에 의해 구성되고 또 다른편의 투명전극(6)은 상기 투명전극군(5)의 쌍극을 구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투명전극(5, 6)간에 단자(7A, 7B)를 통하여 가장바깥 둘레부의 투명전극(5d)에서 안둘레부측의 투명전극에 향해서 순차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조리개장치(1)는 가장바깥둘레부의 투명전극(5d)에 대응하는 링부에서 안둘레부측의 투명전극에 대응하는 링형의 영역부가 순차투명상태에서 차광상태로 이행하여 입사광의 투과구경이 조여지고 투과광량이 소망의 상태로 제어된다.
그런데 상술한 일렉트로크로믹소자(2)를 이용한 카메라의 조리개장치(1)에 있어서는 투명상태에서는 입사광에 대하여 충분한 투과광량이 얻어지고 또 차광상태에서는 입사광을 확실하게 차광한다고 하는 광학적특성이 요구된다. 특히 조리개개구의 크기를 변화시켜서 피사계심도를 콘트롤하고 혹은 렌즈를 조임으로써 수차를 감소시켜서 렌즈특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경우에 있어서 조리개장치의 차광특성은 특히 중요하게 된다.
예를들면 이 선원 조리개장치(1)에 있어서 투명전극(5)의 각 투명전극(5a 내지 5d)에 대응하는 부분이 전부 투명상태인 조리개 최대개방시의 F값을 『1.4』, 가장 안둘레측의 투명전극(5a)에 대응하는 부분만이 투명상태인 최소개방시의 F값을『8』로서 또 일렉트로크로믹소자(2)의 투과율을 투명시는100%, 차광시는 1%로서 또한 투명전극(5, 6)의 투과율이 한층당 10%저하하는 것으로서 2층 구성이기 때문에 (1-0.1)2=0.92로 한 경우 조리개장치(1)의 조리개최대개방시와 조리개 최소개방시와의 광량비 다시말하면 S/N비는 다음식에서 산출된다.
투명전극(5b, 5c, 5d)대응영역부에서 누설되는 광량/투명전극(5a)대응영역부를 통과하는 광량=(투명전극(5b, 5c, 5d)대응영역부의 면적)×(투과율)/(투명전극대응영역부(5a)의 면적)×(투과율),
따라서 이 산출식에 상기 조건값을 대입하면 [8(/1.4)2-1]×(0.01×0.92)/1×(1×0.92)≒0.32로 된다.
상술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투명전극(5b, 5c, 5d)에 대응하는 링형의 차광부에서 누설되는 광량은 그 표면적이 크기때문에 30%이상에 도달하는 것이되고 상술한 카메라의 조리개장치(1)에 요구되는 차광특성을 만족할 수 없게 된다. 이때문에 심도의 얕은 각 투명전극(5b, 5c, 5d)부분에서 누설된 광에 의해 피사계심도가 콘트롤 불능으로 되고 렌즈를 조인 경우의 수차의 체감효과도 상기 누설광에 의해 충분하지 않게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제 9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술한 조리개장치(1)를 2매 포갠 구조로 함으로써 차광특성의 개선을 도모한 조리개장치(9)가 고려된다.
또한 이 조리개장치(9)에 대해서는 같은도면에 있어서 상기 제 7도 및 제 8도에 나타낸 조리개장치(1)와 동일부분은 동일부호를 붙임으로써 그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이 조리개장치(9)의 S/N비는 입사광이 일렉트로크로믹소자(2)를 2층, 투명전극(6, 7)을 4층분씩 통과하는 것에서 상기 (1)식에서 [8(/1.4)2-1]×0.01×0.94/1×(12×0.94)≒0.0032로 된다.
상술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일렉트로크로믹소자(2)가 2층 또 투명전극(5, 6)이 4층 합계 6층의 구조로 한 조리개장치(9)에 있어서는 상기 조리개장치(1)와 비교하여 조리개 최소개방시의 투명전극(5b, 5c, 5d)에 대응하는 링형차광부로부터의 누설광량은 1/100로 되고 그 차광특성이 각단에 향상되고 상술한 카메라등의 촬상렌즈계의 조리개장치에 요구되는 투명상태에서의 투과율,차광상태에서의 차광특성은 충분히 만족된다.
그렇지만 상술한 구성에 의해 차광특성의 향상을 달성한 제 9도에 나타내는 조리개장치(9)에 있어서는 제 7도 및 제 8도에 나타낸 조리개장치(1)와 비교하면 전체의 두께규격이 거의 2배로 되고 이 조리개장치(9)의 두께규격의 증가에 의해광학계 전체로서는 3배 정도까지 크게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입사광은 4층의 투명전극(6, 7)을 통과하는 것으로부터 투명상태의 투과광량이 대폭으로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생긴다. 예를들면 광투과율에 우수한 ITO(Indium-Thin-Oxide)를 이용하여 투명전극을 구성한 경우에 있어서도 투명전극 각 1층당의 광투과율의 저하는 이 투명전극의 광흡수에 의해 약 10%로 되고 전체로서 (1-0.1)4=0.66으로 되어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투명상태에 있어서는 충분한 광투과율이 유지되는 동시에 차광상태에 있어서는 차광특성이 높고 전체로서 소형이고 촬상렌즈계에 사용하여 가장 적절한 조리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제안된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한 본 발명에 관계하는 조리개장치는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광투과특성이 변화하는 일렉트로크로믹소자와, 이 일렉트로크로믹소자를 끼우는 것같이 하여 설치되고 각각 복수의 투명전극을 동심형으로 배열하여 되는 제 1투명전극군 및 제 2투명전극군과, 상기 제 1투명전극군 및 제 2투명전극군의 쌍극을 구성하는 제 3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3전극은 상기 제 1투명전극군 및 제 2투명전극군의 가장바깥둘레부 측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계하는 조리개장치는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광투과특성이 변화하는 일렉트로크로믹소자와, 이 일렉트로크로믹소자를 끼우는 것같이 하여 광학계의 유효지름내에 설치되는 각각 복수의 투명전극을 동심형으로 배열하여 되는 제 1투명전극군 및 제 2투명전극군과, 상기 제 1투명전극군 및 제 2투명전극군의 쌍극을 구성하는 제 3의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3전극은 상기 제 1투명전극군 및 제 2투명전극군의 가장바깥둘레부측에 있어서 광학계의 유효지름외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쌍극은 제 1투명전극군 및 제 2투명전극군에 대하여 광축방향에 절곡되어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광축방향과 평행으로 절곡되어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 관계하는 조리개장치에 의하면 일렉트로크로믹소자를 끼우는 것같이 하여 설치된 제 1투명전극과 제 2투명전극 및 이들 투명전극의 쌍극으로서 구성되는 제 3의 전극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일렉트로크로믹소자의 표리 2층에 차광층이 형성되고 두께규격을 크게 하지않고 차광상태에 있어서 충분한 차광특성이 유지된다.
상기 제 1투명전극 및 제 2투명전극은 복수의 투명전극을 동심형으로 배열한 것이기 때문에 바깥둘레측의 투명전극에서 안둘레측의 투명전극으로 향하여 순차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입사광의 투과구경이 차츰차츰 조여지는 조리개 작용이 나타난다.
일렉트로크로믹소자를 끼우는 것같이 하여 설치된 제 1투명전극과 제 2투명전극과의 쌍극을 구성하는 제 3전극은 촬상렌즈계의 유효지름외에 설치한 것이기 때문에 렌즈경통(鏡筒)이 크게 되는것이 방지된다. 또한 이들 쌍극을 광축에 대하여 평행하게 절곡함으로써 렌즈경통의 큰지름화가 한층 방지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본 발명에 관계하는 조리개장치(10)는 제 1도 및 제 2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예를 들면 메탈등의 비수용매액(非水溶媒液)중에서 요드화은과 요드화나트륨을 용해하여 되는 일렉트로크로믹소자(11)를 구비하고 이 일렉트로크로믹소자(11)는 한쌍의 투명한 글라스기판(12A, 12B)간에 스페이서(13)를 통하여 봉입되고 있다.
상기 글라스기판(12A, 12B)의 마주대하는 내면에는 복수의 투명전극(14a 내지 14d)을 동심원형으로 배열하여 되는 제 1투명전극군(14)과 복수의 투명전극(15a 내지 15d)을 동심원형으로 배열하여 되는 제 2투명전극군(15)과 이들 제 1및 제 2투명전극군(14, 15)의 가장바깥둘레부에 각각 동심으로 설치된 링형의 제 3투명전극(16A, 16B)이 형성되어있다. 바꾸어 말하면 일렉트로크로믹소자(11)의 표리면에 접하도록 하여 제 1투명전극군(14), 한편의 제 3투명전극(16A)과 제 2투명전극군(15), 다른편의 제 3투명전극(16B)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1투명전극군(14), 제 2투명전극군(15) 및 제 3투명전극(16A, 16B)은 글라스기판(12A, 12B)의 내측면에 투명한 도전페이스트를 도포하기도하고 혹은 투명한 도전막을 패턴인쇄하는 등에 의해 형성된다. 설명의 편의상 제 1도 및 제 2도에 있어서는 정확하게 도시되어 있지않지만 제 1투명전극군(14)의 각 투명전극(14a 내지14d)의 표면적의 합과 제 3투명전극(16A)의 표면적과는 거의 동일하고 또 제 2투명전극군(15)의 각 투명전극군(15a 내지 15b)의 표면적의 합과 제 3의 투명전극(16B)의 표면적과 거의 같은 것으로 한다.
상기 제 3투명전극(16A, 16B)은 각각 제 1투명전극(14) 및 제 2투명전극(15)의 쌍극을 구성하고있다. 즉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광투과특성이 변화하는 각종 광학소자에 있어서는 예를들면 액정의 경우에 있어서는 전극간에 균일하게 이러한 전기장에 의해 분자배열을 바꾸어서 광투과특성이 변화되고 이때문에 전극은 액정을 끼워서 마주대한 상태로 설치된다.
이것에 대하여 일렉트로크로믹소자의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같이 전극과 이것에 접하여 설치한 일렉트로크로믹소자와 전하의 주고받음으로써 광투과특성이 변화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액정의 경우와 같이 전장의 방향성, 균일성은 특히 문제가 되지 않는다. 바꾸어말하면 일렉트로크로믹소자(11)의 광투과특성을 제어하는 투명전극(14, 15 및 16)은 각각 임의의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 일렉트로크로믹소자의 특성에 착안하여 쌍극으로 되는 제 3투명전극(16A, 16B)을 제 1투명전극군(14) 및 제 2투명전극군(15)의 가장바같둘레부에 설치한 것을 제 1의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런데 제 1투명전극군(14) 및 제 2투명전극군(15)은 각각 가장안둘레부의 원판형 투명전극(14a, 15a)을 중심으로서 각 투명전극을 동심원형으로 배열함으로써 입사광의 투과개구경을 제어하는 전극으로서 작용하는 동시에 가장바같둘레부에 설치된 제 3투명전극(16)은 상기 투명전극군의 공통전극인 쌍극으로서 작용한다. 그리고 제 3투명전극(16)은 후술하는 바와같이 광학계의 유효지름(D)의 바깥측에 위치하여 설치한 것을 제 2의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각 투명전극(14, 15 및 16)은 제 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그 일부가 바깥둘레부까지 인출되고있고 이들 투명전극에 전압을 인가하기위한 단자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즉 제 1투명전극군(14)의 각 투명전극(14a 내지 14d)에는 각각단자(17a 내지 17d)가 접속되고 제 2투명전극군(15)의 각 투명전극(15a 내지 15d)에는 각각 단자(18a, 내지 18d)가 접속되어있다. 또 제 3투명전극(16)에는 단자(19a 및 19b)가 각각 접속되고 있다. 또 상술한 각 단자군(17, 18 및 19)는 도시하지 않은 전압인가장치와 접속되어 있다.
제 1투명전극군(14)의 각 투명전극(14a 내지 14d)과 제 2투명전극군(15)의 각 투명전극(15a 내지 15d)과 각각 대응하는 투명전극의 전위는 각각 같고 또한 동일하게 제어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도시하지않은 전압인가장치에 의해 단자(17, 18 및 19)에 전압을 인가하면 각 투명전극(14a 내지 14d, 15a 내지 15d)의 표면상에는 은이 석출부착하고 이들 각 투명전극(14a 내지 14d, 15a 내지 15d)에 대응하는 링형의 영역부가 투명상태에서 차광상태에로 이행한다. 따라서 제 3투명전극(16)과 같이 바깥둘레부측의 투명전극(14d, 15d)에서 안둘레측의 투명전극에 걸쳐서 순차전압을 인가하면 투명한 영역부가 점차로 좁아지고 입사광의 투과개구경이 제어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된 조리개장치(10)에 있어서 예를들면 제 1투명전극군(14)의 각 투명전극(14a 내지 14d) 및 제 2투명전극군(15)의 각 투명전극(15a 내지 15d)이 전부 투명상태인 조리개 최대개방시의 F값을 『1.4』가장안둘레측의 투명전극(14a, 15a)부분만이 투명상태인 최소개방시의 F값을 『8』로 한다. 또 일렉트로크로믹소자(11)의 투과율을 투명시는 100% 차광시는 1%로서 또한 투명전극의 투과율은 1충당 10%저하한다.
이상의 조건값에서 실시예 조리개장치(10)는 일렉트로크로믹소자(11)의 표리면에 제 1투명전극군(14)과 제 2투명전극군(15)을 설치하여되는 2충구성이기 때문에 입사광의 투과율은 (1-0.1)2=0.92으로 된다. 따라서 조리개장치(10)의 조리개최대개방시와 조리개최소개방시의 광량비, 바꾸어말하면 S/N비는, 투명전극(14b-15b, 14c-15c, 14d-15d)대응영역부에서 누설되는 광량/투명전극(14a-15a)대응영역부를 통과하는 광량=(투명전극(14b-15b, 14c-15c, 14d-14d)대응영역부의 면적)×(투과율)/(투명전극(14a-15a)대응영역부의 면적)×(투과율)식에서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산출식에 상기 조건값을 대입하면 [8(/1.4)2-1]×[(0.01)2×(0.9)2]/1×[12×(0.9)2]≒0.0032로 되고 상술한 투명전극이 4층구성의 조리개장치(9)와 동등의 값으로 되고 카메라등의 조리개장치로서 충분한 차광특성이 유지되는 것은 명백하다. 한편 입사광의 투과율의 저하는 투명전극 2층구성의 실시예 조리개장치(10)에 있어서 (0.9)2=0.81로 된다. 따라서 상술한 투명전극이 4층구성의 조리개장치(9)와 비교하여 23%의 광량증가의 효과를 가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조리개장치(10)는 제 3도에 나타낸 촬상렌즈계(20)에 짜넣어진다. 촬상렌즈계(20)는 광축(21)에 대하여 전방에서 전방렌즈유니트(22), 줌유니트를 구성하는 베리에이타(23), 조리개장치(10), 고정렌즈 및 가변렌즈군으로 되는 이너포커스유니트(24), 적외선 흡수글라스, CCD커버글라스 및 평행평면판으로 되는 로패스필터(25) 및 CCD센서(26)를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전방렌즈유니트(22)에서 이 촬상렌즈계(20)에 입사된 입사광은 베리에이타(23)를 통하여 조리개장치(10)에로 인도된다. 상술한 조리개장치(10)에 의한입사광의 투과개구경의 제어동작은 이 조리개장치(10), 로패스필터(25) 및 CCD센서(26)를 통과한 광량에 의거해서 상기 CCD센서(26)의 A/D콘버터를 통한 디지탈출력을 엔코더를 통하여 제 3투명전극(16)과 제 1투명전극군(14), 제 2투명전극군(15)의 상기 각 단자군에 바깥둘레부에서 안둘레부에 걸쳐서 인가함으로써 행해진다.
여기서 조리개장치(10)는 종래의 일렉트로크로믹소자가 1층, 투명전극이 2층인 조리개장치(1)(제 7도 및 제 8도)와 동등의 두께규격이고 이 조리개장치(10)의 전후에 설치된 베리에이타(23) 혹은 이너포커스유니트(24)등의 렌즈간극이 크게 되지않고 이것에 의해 촬상렌즈계(20)의 전체길이 혹은 전방렌즈지름이 종래의 촬상렌즈계와 동등으로 유지된다.
한편 조리개장치(10)는 제 3투명전극(16)을 촬상렌즈계의 유효지름(D)의 바깥측에 위치하여 설치한 것이기 때문에 종래 장치와 비교하여 지름방향으로 크게 되어있다.
그렇지만 제 3도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비교적 큰 지름으로 되는 전방렌즈유니트(22)의 투영규격의 범위를 넘는 것은 없고 렌즈경통이 크게 되는 것은 없다. 그런데 입사광의 투과율이 높고 또한 차광특성에 우수한 촬상렌즈계(20)가 극히 콤팩트로 구성된다.
제 4도는 본 발명에 관계하는 조리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이 조리개장치(30)는 상기 제 1실시예 조리개장치(10)와 동일하게 일렉트로크로믹소자(31)를 한쌍의 투명기판(32A, 32B) 및 스페이서(33)에 의해 봉해서 장치하는 동시에 상기 일렉트로크로믹소자(31)를 끼워 각각 동심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투명전극(34a 내지 34d)으로 되는 제 1투명전극군(34)과 동심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투명전극(35a 내지 35d)으로 되는 제 2투명전극군(35)과 이들 제 1투명전극군(34) 및 제 2투명전극군(35)의 바깥둘레부에 설치된 제 3투명전극(36A, 36B)으로 되는 기본적 구성에 대하여는 상기 제 1실시예 조리개장치(10)와 동일이다.
또 상기 제 1실시예 조리개장치(10)에 있어서는 일렉트로크로믹소자(11)를 글라스가판(12A, 12B)에 의해 봉해서 장치하도록 구성하였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투명기판(32A, 32B)은 가공성을 고려하여 예를들면 PMMA등의 투명한 합성수지재료에 의해 성형되어있다.
이러한 조리개장치(30)에 있어서 상기 제 3투명전극(36)은 후술하는 바와같이 광학계의 유효지름(D')의 바깥측에 위치하여 설치되는 동시에 광축에 대하여 평행으로 절곡되어있고 전체로서 단면 대략 ⊃자 모양으로 형성되어있는 구성에 대하여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 조리개장치(30)의 광학적 특성 즉 광투과율, 차광성에 대해서는 상기 조리개장치(10)와 동등인 것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조리개장치(30)는 제 5도에 나타내는 촬상렌즈계(40)에 짜넣어진다. 이 촬상렌즈계(40)의 조리개장치(30)을 제거한 그 다른 구성은 상기 제 3도에 나타낸 촬상렌즈계(20)와 동일이고 동일부호를 부착함으로써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조리개장치(30)는 제 1투명전극군(34)과 제 2투명전극군(35)의 쌍극을 구성하는 제 3투명전극(36)이 광축과 평행하게 전방으로절곡되어있고 같은도면에 나타낸 바와같이 전방쪽에 촬상렌즈계의 유효지름(D')분의 공간부(H)가 형성된다. 그런데 조리개장치(30)의 상기 공간부(H)를 줌유니트를 구성하는 베리에이타(23)의 이동영역(L)의 일부로 이용함으로써 촬상렌즈계(40)를 길이방향으로 콤팩트화할 수 있다. 물론 지름방향의 콤팩트화가 도모되고 조리개장치(30)에 근접하여 다른 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렌즈경통의 콤팩트화가 한층 도모된다.
제 6도는 전방렌즈(51)의 전방부에 조리개장치(52)를 설치하고있는 즉 프론트아이리스형 촬상렌즈계(50)를 나타낸다. 이 프론트아이리스형 촬상렌즈계(50)에 있어서는 전방렌즈(51)의 전방부에 조리개장치(52)가 설치되기 때문에 이 조리개장치(52)의 바같지름이 촬상렌즈계(50)의 크기규격을 규제하는 것이 된다.
상기 조리개장치(52)는 그 기본적 구성이 상술한 제 2실시예 조리개장치(30)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지만 일렉트로크로믹소자(53)의 표리면에 설치된 제 1투명전극군(54) 및 제 2투명전극군(55)의 쌍극을 구성하는 제 3투명전극(56)이 광축에 대하여 평행하게 절곡되어있고 전체갭형으로 형성되어있다.
이 조리개장치(52)는 그 내경 바꾸어말하면 촬상렌즈계의 유효지름이 렌즈경통(57)의 외경과 거의 같고 전방렌즈(51)을 개구단근방에 맞붙인 상기 렌즈경통(57)의 개구부에 맞붙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조리개장치(52)를 구비함으로써 촬상렌즈계(50)는 소구경이고 또한 광투과율이 우수하고 충분한 차단특성을 가지는 동시에 콤팩트가 도모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투명전극으로 되는 제 1투명전극군 및 제2 투명전극군과 각각 동심원형으로 배열하였지만 동심의 마름모꼴 타원형등 적당한 형상으로 배열하여도 좋다. 또 제 1투명전극군 및 제 2투명전극군의 마주대하는 투명전극을 차광특성에 지장이 없는 범위에서 겹치지 않도록 하여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제 1투명전극군 및 제 2투명전극군의 쌍극을 구성하는 제 3전극에 대해서는 광학계의 유효지름외로 설치함으로써 특히 투명전극으로 할 필요도 없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투명전극을 동심형으로 배열하여 되는 제 1투명전극군과 제 2투명전극군을 일렉트로크로믹소자의 표리면에 설치하는 동시에 이들 투명전극군의 쌍극을 구성하는 제 3전극을 제 1투명전극군과 제 2투명전극군과의 가장바깥둘레부에 각각 설치하고 이 제 3전극과 상기 제 1투명전극군 및 제 2투명전극군의 바깥측의 투명전극에서 안둘레측의 투명전극에 향해서 순차 전압을 인가하여 동심형의 차광층을 순차 형성하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입사광의 투과구경이 점차로 조여져 들어가는 조리개작용이 나타나고 또한 전체로서 두께규격을 크게 하지않고 차광상태에 있어서 충분한 차광특성이 유지된 극히 고성능의 조리개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 일렉트로크로믹소자의 표리면에 제 1투명전극군과 제 2투명전극군과를 설치하는 동시에 이들의 쌍극을 구성하고 또한 가장바깥둘레부에 설치된 제 3전극을 광학계의 유효지름외에 설치한 것이기 때문에 렌즈경통의 지름 혹은 길이규격이 크게 되지않고 극히 고성능으로 소형의 촬상렌즈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입사광의 투과구경을 제어하는 제 1투명전극군과 제 2투명전극군과의 쌍극을 구성하는 제 3전극을 광축에 대하여 평행으로 절곡함으로써 보다 렌즈경통의 소경화가 달성되고 특히 조리개장치를 전방렌즈의 전방부에 설치하여되는 프론트 아이리스형 촬상렌즈계에 있어서 극히 유효하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로서 나타내는 조리개장치의 종단면도이다.
제 2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로서 나타내는 조리개장치의 정면도이다.
제 3도는 상기 조리개장치를 구비한 촬상렌즈계의 구성도이다.
제 4도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로서 나타내는 조리개장치의 종단면도이다.
제 5도는 상기 조리개장치를 구비한 촬상렌즈계의 구성도이다.
제 6도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로서 나타내는 조리개장치를 구비한 프론트아이리스형 촬상렌즈계의 주요부분 구성도이다.
제 7도는 종래의 조리개장치의 정면도이다.
제 8도는 종래의 조리개장치의 종단면도이다.
제 9도는 종래의 다른 조리개장치의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조리개장치 11. 일렉트로크로믹소자
12. 글라스기판 13. 스페이서
14. 제 1투명전극군 14a∼14d. 투명전극
15. 제 2투명전극군 15a∼15d. 투명전극
16. 제 3투명전극(쌍극) 17∼19. 단자
20. 촬상렌즈계 21. 광축
22. 전방렌즈유니트 23. 베리에이타
24. 이너포커스유니트 25. 로패스필터
26. CCD센서

Claims (4)

  1. 적어도 광학계의 유효경 내에 설치된 한 쌍의 투명기판과,
    상기 한 쌍의 투명기판사이에 설치되고,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광투과특성이 변화하는 일렉트로크로믹소자와,
    상기 일렉트로크로믹소자를 끼우는 것같이, 상기 한 쌍의 투명기판상의 상기 광학계의 유효경내에 복수의 투명전극이 동심형으로 배열되는 제 1투명전극군 및 제 2투명전극군과,
    상기 제 1투명전극군 및 제 2투명전극군의 쌍극을 구성하는 제 3전극을 갖추고,
    상기 제 3전극은 상기 제 1투명전극군 및 제 2투명전극군의 최외주부 측이며, 상기 광학계의 유효경 외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광학계의 유효경 외에 각각 설치한 제 1투명전극군 및 제 2투명전극군의 쌍극을 구성하는 제 3전극은, 상기 제 1투명전극군 및 제 2투명전극군에 대하여 광축방향으로 절곡되어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광학계의 유효경 외에 광축방향으로 절곡되어서 각각 설치된 제 3전극은,
    제 1투명전극군 및 제 2투명전극군에 대하여 광축방향과 평행하게 절곡되어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개장치.
  4. 적어도 광학계의 광로 중에 설치된 한 쌍의 투명기판과,
    상기 한 쌍의 투명기판 사이에 설치되고,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광투과특성이 변화하는 일렉트로크로믹소자와,
    상기 일렉트로크로믹소자를 끼우는 것같이, 상기 한 쌍의 투명기판상의 상기 광로 내에 복수의 투명전극이 동심형태로 배열되는 제 1투명전극군 및 제 2투명전극군과,
    상기 제 1투명전극군 및 제 2투명전극군의 쌍극을 구성하는 제 3전극을 갖추고,
    상기 제 3전극은 상기 제 1투명전극군 및 제 2투명전극군의 최외주부 측이며, 상기 광로 외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개장치.
KR1019940005117A 1993-03-19 1994-03-15 조리개장치 KR1003201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060753 1993-03-19
JP06075393A JP3194312B2 (ja) 1993-03-19 1993-03-19 絞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2167A KR940022167A (ko) 1994-10-20
KR100320133B1 true KR100320133B1 (ko) 2002-03-20

Family

ID=13151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5117A KR100320133B1 (ko) 1993-03-19 1994-03-15 조리개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471339A (ko)
EP (1) EP0616242B1 (ko)
JP (1) JP3194312B2 (ko)
KR (1) KR100320133B1 (ko)
CN (1) CN1052546C (ko)
CA (1) CA2119303C (ko)
DE (1) DE69407453T2 (ko)
MY (1) MY11223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645B1 (ko) * 1994-10-01 1997-04-18 삼성전자 주식회사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의 부분 프로그램을 위한 데이터 로딩회로
US5781329A (en) * 1995-12-20 1998-07-14 Lg Electronics Inc. Electrochromic display device for optical pick up apparatus
US6336753B1 (en) * 1999-01-20 2002-01-08 Sony Corporation Optical device, a fabricating method thereof, a driving method thereof and a camera system
DE19957596A1 (de) 1999-02-25 2000-09-28 Hewlett Packard Co Digitaler Bildscanner mit einer Linse mit variabler Öffnung und mit mehreren Erfassungsgeschwindigkeiten
US20020036958A1 (en) * 2000-07-24 2002-03-28 Hidenori Wada Optical element, optical head,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method
US6471360B2 (en) * 2000-08-03 2002-10-29 Ppg Industries Ohio, Inc. Switchable electrochromic devices with uniform switching and preferential area shading
US6963437B2 (en) * 2000-10-03 2005-11-08 Gentex Corporation Devices incorporating electrochromic elements and optical sensors
US7450290B2 (en) * 2001-06-25 2008-11-11 University Of Washington Electropolymerization of enhanced electrochromic (EC) polymer film
JP4166512B2 (ja) * 2001-09-04 2008-10-15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計器
JP2004012906A (ja) * 2002-06-07 2004-01-15 Sanyo Electric Co Ltd 調光素子及びその駆動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撮像装置
US7808691B2 (en) * 2002-06-25 2010-10-05 University Of Washington Green electrochromic materials
JP4101864B2 (ja) * 2002-11-18 2008-06-18 株式会社村上開明堂 固体型ec素子
JP4503933B2 (ja) * 2003-03-13 2010-07-1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
CN100353434C (zh) * 2004-03-16 2007-12-0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光学元件、光头、光信息装置以及光头的控制方法
JP4878761B2 (ja) * 2004-03-16 2012-02-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光ヘッド、及び光情報装置
KR100645635B1 (ko) * 2004-11-30 2006-11-15 삼성전기주식회사 광학 소자를 포함하는 이미지 픽업 모듈
US20070133983A1 (en) * 2005-12-14 2007-06-14 Matilda Traff Light-controlling element for a camera
EP1830345A1 (en) * 2006-03-02 2007-09-05 THOMSON Licensing Driving scheme of a variable electrophoretic optical iris diaphragm
JP4996114B2 (ja) * 2006-03-14 2012-08-08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カメラ用絞り光学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80317459A1 (en) * 2007-06-23 2008-12-25 Wei Chen Chih Electrical Aperture and Shutter Device having a transparence Switching Element
US9128343B2 (en) 2011-08-19 2015-09-08 Ppg Industries Ohio, Inc. Method of making an optical element having an electrochromic apodized aperture
TWI547725B (zh) * 2011-11-16 2016-09-0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鏡頭模組
CN103135155A (zh) * 2011-12-02 2013-06-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镜头模组
US9307158B2 (en) * 2013-01-04 2016-04-05 Apple Inc. Electro-optic aperture device
US20140192256A1 (en) * 2013-01-04 2014-07-10 Apple Inc. Electro-optic aperture device
US9851613B2 (en) 2014-02-21 2017-12-26 Apple Inc. Electro-optic variable aperture lens
CN104950476B (zh) * 2014-03-26 2018-06-15 北京数字智通科技有限公司 用于摄像装置的电控调光单元及摄像装置
US9798213B2 (en) * 2015-06-03 2017-10-24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chromic element, method of driving the same, an optical filter, lens unit, image pick-up device and window material
KR20170030789A (ko) 2015-09-10 2017-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방법
US9759984B1 (en) 2016-05-31 2017-09-12 Apple Inc. Adjustable solid film camera aperture
WO2018022592A1 (en) * 2016-07-26 2018-02-01 Gentex Corporation Electro-optic infrared filter
CN108519657A (zh) * 2018-04-16 2018-09-1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镜头模组及移动终端
EP3832358B1 (en) * 2018-08-03 2023-12-20 Ningbo Sunny Opotech Co., Ltd. Variable-aperture apparatus, camera module and manufacture thereof
CN112394576B (zh) * 2019-08-15 2023-01-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摄像模组、电子设备
CN110543055A (zh) * 2019-09-27 2019-12-0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摄像头模组、电致变色元件及其制备方法
CN110989261A (zh) * 2019-12-27 2020-04-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摄像头模组、电致变色元件及其制备方法
CN111505834A (zh) * 2020-03-06 2020-08-0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聚焦装置和聚焦方法
CN115280233B (zh) * 2020-03-17 2023-12-15 华为技术有限公司 光学装置
CN113740997A (zh) * 2020-05-29 2021-12-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镜头组件、摄像模组以及电子设备
CN113359365A (zh) * 2021-07-02 2021-09-07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光学透镜及其制备方法、成像设备和电子设备
CN114609843A (zh) * 2022-03-07 2022-06-10 江西晶浩光学有限公司 一种可变光圈、摄像模组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812A (en) * 1890-02-18 Joseph c
US4147416A (en) * 1976-03-30 1979-04-03 Citizen Watch Co., Ltd. Electrochromic display device
GB1566031A (en) * 1977-04-19 1980-04-30 Ibm Electrochromic display device
JPS5496997A (en) * 1978-01-17 1979-07-31 Minolta Camera Co Ltd Electrochromic light volume control component
JPS58134578A (ja) * 1982-02-05 1983-08-10 Nippon Kogaku Kk <Nikon> テレビジヨンカメラ用フイルタ装置
FR2523734A1 (fr) * 1982-03-17 1983-09-23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Attenuateur electrolytique de flux lumineux
JPS62198835A (ja) * 1986-02-26 1987-09-02 Olympus Optical Co Ltd 絞り装置
US5187607A (en) * 1989-03-13 1993-02-16 Nikon Corporation Electrochromic device with low resistance electrical connections
JP2506312Y2 (ja) * 1989-10-31 1996-08-07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素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0205A (zh) 1995-03-15
JPH06273806A (ja) 1994-09-30
US5471339A (en) 1995-11-28
KR940022167A (ko) 1994-10-20
DE69407453T2 (de) 1998-04-16
CA2119303A1 (en) 1994-09-20
EP0616242B1 (en) 1997-12-29
MY112236A (en) 2001-05-31
CN1052546C (zh) 2000-05-17
EP0616242A1 (en) 1994-09-21
CA2119303C (en) 2003-06-10
JP3194312B2 (ja) 2001-07-30
DE69407453D1 (de) 1998-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0133B1 (ko) 조리개장치
US6426492B1 (en) Electro-optic aperture for vehicular imaging system
US6702483B2 (en) Optical element
KR101393821B1 (ko) 전기변색성 광학 소자
CN110784632B (zh) 摄像头和电子装置
EP1626301B1 (en) Optical system and imaging device
KR100378412B1 (ko) 박막 트랜지스터의 백 채널을 바이어스하기 위한 2개의기판 구조물 사이에 도전 스페이서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장치
CN112394576B (zh) 一种摄像模组、电子设备
JP2008216626A (ja) 可変焦点レンズ
KR20070015063A (ko) 액정 렌즈 장치
CN110727102A (zh) 镜头模组、成像装置及终端
CN211979380U (zh) 一种滤光装置、摄像头及发光光源
US20220137391A1 (en) Camera module and terminal device
CN111487830A (zh) 一种滤光装置、摄像头及发光光源
JPH10210213A (ja) 光学装置
US20170293193A1 (en) Electrochromic element, optical filter, lens unit, imaging device, and window component
CN110646995A (zh) 镜头组件、潜望式摄像头和电子设备
JP6742799B2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素子およびそれを有する光学系、撮像装置、レンズ装置
KR100691279B1 (ko) 카메라폰용 카메라모듈의 조리개 일체형 셔터
US11366369B2 (en) Electrochromic element
JP2004061833A (ja) 電気泳動光量調整素子とその駆動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装置
JPS62118316A (ja) サングラス
US20210200050A1 (en) Electrochromic element
JPH047535A (ja) カメラのファインダ用視野装置
US20230093313A1 (en) Imaging System with Multi-Stop Aper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