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9474B1 -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기 장치 - Google Patents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9474B1
KR100319474B1 KR1019990046794A KR19990046794A KR100319474B1 KR 100319474 B1 KR100319474 B1 KR 100319474B1 KR 1019990046794 A KR1019990046794 A KR 1019990046794A KR 19990046794 A KR19990046794 A KR 19990046794A KR 100319474 B1 KR100319474 B1 KR 100319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hole
resonator
dielectric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6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9345A (ko
Inventor
츠카모토히데키
구로다가츠히토
이시하라진세이
가토히데유키
Original Assignee
무라타 야스타카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야스타카,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무라타 야스타카
Publication of KR20000029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9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9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94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10Dielectric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13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 H01P1/2136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using comb or interdigital filters; using cascaded coaxial cavi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01P1/2056Comb filters or interdigital filters with metallised resonator holes in a dielectric blo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13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작업으로, 칫수 정밀도가 높은 공진기 구멍의 개방면을 형성할 수가 있으며, 따라서 저가이고 특성이 양호한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유전체 블록(1)의 제 1단면(1a)으로부터 그것에 대향하는 제 2단면(1b)을 관통하여, 공진기 구멍(2a, 2b) 및 외부 결합 구멍(3a, 3b)이, 그 축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형성되며, 제 1단면의 외부 결합 구멍(3a, 3b)의 형성 영역에는 각각 오목부(8)가 형성되어 있다. 각 구멍의 내주면에는 내부 도체(5)가 형성되어 있다. 제 1단면(1a)의 공진기 구멍(2a, 2b)의 개구면을 제외하는 유전체 블록의 외면의 대략 전면에 외부 도체(6)가 형성되며, 제 2단면(1b)의 외부 결합 구멍(3a, 3b)의 개구부에는 외부 도체(6)와 분리된 입출력 전극(7a, 7b)이 형성되어 있다. 공진기 구멍(2a, 2b)의 개구면의 외부 도체는 제 1단면(1a)을 평면 연마하여 삭제되어 있다.

Description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기 장치{dielectric filter, dielectric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마이크로파 대역에서 사용되는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이들을 사용한 통신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이러한 종류의 유전체 필터로서,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낸 구조의 것이 있다. 이하의 도에 있어서, 점으로 칠한 부분은, 유전체 블록의 베이스부가 보이는 부분(도체 비형성부)을 나타낸다.
이 유전체 필터는, 유전체 블록(1)의 제 1단면(1a)으로부터 그것에 대향하는 제 2단면(1b)을 관통하여, 공진기 구멍(2a, 2b) 및 외부 결합 구멍(3a, 3b)이 형성되며, 각각의 내주면에는 내부 도체가 형성되며, 유전체 블록(1)의 외면에는 외부 도체(6)가 형성되어 있다. 제 1단면(1a)의 공진기 구멍(2a, 2b)의 개구부 영역에는 외부 도체(6)의 비형성 영역이 형성되며, 공진기 구멍(2a, 2b)의 내부 도체는 제 1단면(1a)에서 외부 도체(6)와 분리되고, 제 2단면(1b)에서 외부 도체(6)에 도통하고 있다. 또한, 제 1단면(1a)의 외부 결합 구멍(3a, 3b)의 개구부 영역에는 외부 도체(6)가 형성되고, 외부 결합 구멍(3a, 3b)의 내부 도체는 제 1단면(1a)에서 외부 도체(6)와 도통하고 있다. 또한, 제 2단면(1b) 및 한 측면을 걸쳐서, 외부 결합 구멍(3a, 3b)의 내부 도체에 도통하고 또한 외부 도체(6)와 분리되는 입출력 전극(7a, 7b)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각 공진기 구멍(2a, 2b)의 내부 도체는 컴 라인 결합하고, 외부 결합 구멍(3a, 3b)의 내부 도체는 각각 서로 이웃하는 공진기 구멍(2a, 2b)의 내부 도체와 인터디지탈 결합하고, 이 전자계 결합에 의하여 외부 결합을 얻고 있다.
이와 같이 유전체 블록의 한쪽 단면을 각 공진기 구멍의 내부 도체의 개방단으로 하고, 또한 외부 결합 구멍에 의하여 외부 결합을 얻도록 구성한 경우, 한쪽 단면에는 외부 도체의 형성 영역과 비형성 영역이 필요해진다. 이 유전체 필터는 각 공진기 구멍 및 외부 결합 구멍이 형성된 유전체 블록의 외면 및 각 구멍의 내주면의 전부에 전극 재료를 무전해 도금 등에 의하여 형성한 후, 제 1단면의 공진기 구멍의 개구부 영역의 외부 도체 및 입출력 전극의 주위의 외부 도체를 삭제하여 제조된다. 이 제 1단면의 공진기 구멍 개구부 영역의 삭제는 외부 도체를 샌드 페이퍼 등으로 깍아냄으로써 행해진다.
또한, 서로 이웃하는 공진기 구멍의 한쪽의 공진기 구멍의 개방면을 제 1단면으로 하고, 다른쪽의 공진기 구멍의 개방면을 제 2단면으로 하여, 서로 이웃하는 공진기를 인터디지탈 결합한 경우에도, 양 단면에는 외부 도체의 형성 영역과 비형성 영역이 필요해진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유전체 필터에서는, 공진기 구멍의 개구부 영역의 외부 도체를 부분적으로 삭제하여, 공진기 구멍의 내부 도체의 개방단이 되는 개방면을 형성할 필요가 있으며, 공진기 구멍의 개방면의 형성 작업이 어렵고, 제조 원가가 높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개방면을 정밀도 좋게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며, 필터 특성에 편차를 생기게 한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한편, 스크린 인쇄법에 의하여 단면의 외부 도체를 형성하는 방법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도체 페이스트의 인쇄, 도체 소성 등 제조 공정수가 많아지며, 또한 위치 어긋남 및 도체 페이스트의 번짐 등에 의하여 외부 도체의 위치 정밀도가 나빠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작업으로, 칫수 정밀도가 높은 공진기 구멍의 개방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저가이고 특성이 양호한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제 1실시 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실시 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제조 과정의 사시도이고, 유전체 블록의 전체 표면에 도체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제 2실시 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제 3실시 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제 4실시 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제 5실시 형태에 따른 유전체 듀플렉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제 6실시 형태에 따른 유전체 듀플렉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제 7실시 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제 8실시 형태에 따른 유전체 듀플렉서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 9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기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유전체 필터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있어서의 부호의 설명)
1: 유전체 블록 1a: 제 1단면
1b: 제 2단면 2a∼2g: 공진기 구멍
3a∼3c: 외부 결합 구멍 4a∼4c: 외부 결합 조정 구멍
5: 내부 도체 6: 외부 도체
7a∼7c: 입출력 전극 8: 오목부
122: 안테나 123: 유전체 듀플렉서
124: 송신 필터 125: 수신 필터
126: 송신 회로 127: 수신 회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필터 및 유전체 듀플렉서는, 제 1단면과 제 2단면의 사이에 연속하는 측면을 갖는 유전체 블록의 내부에 양 단면 사이를 관통하는 복수의 공진기 구멍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결합 구멍을 형성하고, 각 공진기 구멍 및 외부 결합 구멍의 내주면에 내부 도체를 형성하고, 유전체 블록의 외면에 외부 도체를 형성한 구조를 기본으로 하고, 제 1단면 또는 제 2단면의 외부 결합 구멍의 형성 영역 및 각 공진기 구멍의 단락단 영역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제 1단면 또는 제 2단면의 오목부를 제외하는 부분의 외부 도체를 삭제하여, 제 1단면 또는 제 2단면에 각 공진기 구멍의 개방면을 형성한다. 즉, 본 발명의 유전체 필터 및 유전체 듀플렉서에서는, 각 공진기 구멍의 개구면이 되는 단면에 있어서 각 공진기 구멍의 개방면을 다른 부분보다도 돌출되게 형성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단면 또는 제 2단면의 공진기 구멍의 개구면을 연마한다고 하는 간단한 작업으로, 제 1단면 또는 제 2단면의 공진기 구멍의 개구면 전면의 외부 도체를 삭제할 수가 있다. 즉 제 1단면 또는 제 2단면의 오목부내의 외부 도체는 삭제되지 않으며, 제 1단면 또는 제 2단면의 외부 결합 구멍의 형성 영역 및 각 공진기 구멍의 단락면에 칫수 정밀도가 높은 외부 도체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양호한 필터 특성을 얻을 수가 있다.
또한, 모든 공진기 구멍의 개방면을 제 1단면으로 한 구조의 경우에는, 제 1단면의 외부 결합 구멍의 형성 영역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제 1단면의 오목부를 제외하는 부분의 외부 도체를 삭제하여, 제 1단면에 각 공진기 구멍의 개방면을 형성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단면의 공진기 구멍의 개구면을 연마한다고 하는 간단한 작업으로, 제 1단면의 공진기 구멍의 개구면 전면의 외부 도체를 삭제할 수가 있으며, 제 1단면에 칫수 정밀도가 높은 공진기 구멍의 개방면을 형성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필터 및 유전체 듀플렉서는, 제 1단면의 외부결합 구멍 형성 영역의 오목부와 제 2단면 사이를 관통하여, 내주면에 내부 도체가 형성된 외부 결합 조정 구멍을 형성한다. 이 경우, 오목부내의 외부 결합 구멍의 개구부와 외부 결합 조정 구멍의 개구부를 축길이 방향에 있어서 다른 위치에 형성하여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외부 결합 구멍 및 외부 결합 조정 구멍의 직경의 형상 및 배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외부 결합의 크기를 조정할 수가 있다. 또한, 외부 결합 조정 구멍은 이것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웃하는 공진기 구멍간의 결합을 차단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게다가, 오목부의 형상 및 깊이를 변화시켜서, 외부 결합 구멍 또는 외부 결합 조정 구멍의 길이(축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외부 결합의 크기의 조정 및 설정의 자유도를 더욱 증가시킬 수가 있다.
또한, 제 2단면에 외부 결합 구멍의 내부 도체에 접속되며 외부 도체와 분리되는 입출력 전극을 형성하여, 외부 결합 구멍의 내부 도체와 이것에 인접하는 공진기 구멍의 내부 도체와의 결합을 인터디지탈 결합으로 함으로써, 더욱 큰 외부 결합을 얻을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입출력 전극을 측면에 걸치도록 형성하면, 상기 입출력 전극이 형성된 측면을 실장면으로 할 수가 있다.
복수의 입출력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부에 외부 결합 구멍에 의한 외부 결합 수단을 적용하면 되고, 다른 입출력부의 외부 결합을 입출력 전극과 공진기 구멍의 용량 결합에 의해 얻도록 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제 1단면에 외부 결합 구멍의 내부 도체에 접속되며 외부 도체와 분리되는 입출력 전극을 형성하여, 외부 결합 구멍의 내부 도체와 이것에 인접하는 공진기 구멍의 내부 도체의결합을 컴 라인 결합으로 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입출력 전극을 형성하지 않고, 한쪽 단면에서 외부 결합 구멍의 내부 도체와 외부 도체를 분리하여, 외부 결합 구멍의 내부 도체와 접속되는 금속제의 입출력 단자를 삽입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기 장치는, 상기의 특징을 갖는 유전체 필터 또는 유전체 듀플렉서를 구비하여 구성되므로, 저가이고 특성이 양호한 것이 된다.
(발명의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 1실시 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구조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1은 유전체 필터의 사시도이고, 각 공진기 구멍의 개방면을 위로, 회로 기판에의 실장면을 앞쪽으로 하여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유전체 필터는, 유전체 세라믹스로 이루어지는 대략 직방체 형상의 유전체 블록(1)에 소정 형상의 구멍 및 전극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유전체 블록(1)의 제 1단면(1a)으로부터 그것에 대향하는 제 2단면(1b)을 관통하여, 공진기 구멍(2a, 2b) 및 외부 결합 구멍(3a, 3b)이, 그 축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형성되며, 제 1단면(1a)의 외부 결합 구멍(3a, 3b)의 형성 영역에는 각각 오목부(8)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8)는 제 1단면(1a)의 양측에 위치하고, 3개의 측면에 걸쳐서 직사각형 형상으로 노치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공진기 구멍(2a, 2b)은 그 직경을 제 1단면(1a)측에서는 크고, 제 2단면(1b)측에서는 작게 한 스텝 구멍으로 하고 있다. 외부 결합 구멍(3a, 3b)은 그 직경이 전체 길이에 걸쳐서 동일한 칫수의 스트레이트 구멍으로 하고 있다.
각 구멍(2a, 2b, 3a, 3b)의 내주면에는 내부 도체(5)가 형성되어 있다. 제 1단면(1a)의 공진기 구멍(2a, 2b)의 개구면을 제외하는 유전체 블록의 외면의 대략 전면에 외부 도체(6)가 형성되고, 제 2단면(1b)의 외부 결합 구멍(3a, 3b)의 개구부에는 외부 도체(6)와 분리된 입출력 전극(7a, 7b)이 형성되어 있다. 입출력 전극(7a, 7b)은 제 2단면(1b) 및 측면을 걸쳐서 형성되며, 이 유전체 필터는 입출력 전극(7a, 7b)이 형성된 측면을 실장면으로 하여, 실장 기판에 실장된다.
공진기 구멍(2a, 2b)의 각 내부 도체(5)는 제 1단면(1a)에서 외부 도체(6)와 분리되며, 제 2단면(1b)에서 외부 도체(6)에 접속되며, 제 1단면(1a)의 공진기 구멍(2a, 2b)의 개구면은 공진기 구멍(2a, 2b)의 개방면이 되며, 제 2단면(1b)은 공진기 구멍의 단락면으로 되어 있다. 즉 제 1단면(1a)에 있어서 공진기 구멍(2a, 2b)의 개방면은 다른 부분보다도 돌출된 위치에 균일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부 결합 구멍(3a, 3b)의 각 내부 도체(5)는 제 1단면(1a)(오목부 (8)내)에서 외부 도체(6)에 접속되며, 제 2단면(1b)에서 입출력 전극(7a, 7b)에 접속되어 외부 도체(6)와 분리되어 있다. 즉 외부 결합 구멍(3a, 3b)은 제 1단면(1a)에서 단락되어 있다.
이 유전체 필터는 각 공진기 구멍(2a, 2b)의 내부 도체(5)에 대응하는 2개의 공진기로 구성되며, 이 서로 이웃하는 2개의 공진기가 컴 라인 결합하고, 외부 결합 구멍(3a, 3b)의 각 내부 도체(5)는 서로 이웃하는 공진기 구멍(2a, 2b)의 내부 도체(5)와 인터디지탈적으로 전자계 결합하고, 이 결합에 의하여 외부 결합을 얻고 있다.
이어서, 본 실시 형태의 유전체 필터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공진기 구멍 및 외부 결합 구멍을 가지며, 각 구멍이 개구되어 있는 한쪽의 면(제 1단면)의 외부 결합 구멍의 개구부 영역에 오목부가 형성된 대략 직방체 형상의 유전체 블록을 프레스 성형에 의하여 성형하고, 이것을 소성하여 유전체 블록(1)을 얻는다. 이어서, 유전체 블록의 전체 표면에 Cu, Ag등의 전극 재료를 무전해 도금에 의하여 형성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구멍(2a, 2b, 3a, 3b)의 내주면에 내부 도체(5)가 형성되고, 외면의 전면에 외부 도체(6)가 형성된 유전체 블록(1)을 형성한다. 이어서, 제 1단면(1a)을 회전 연마기 및 샌드페이퍼 등에 의하여 평면 연마하여, 오목부(8)를 제외하는 제 1단면(1a)의 외부 도체(6)를 깍아내어 삭제한다. 이어서, 입출력 전극(7a, 7b)의 주위의 외부 도체(6)를 초음파 가공기 등에 의하여 삭제하여, 외부 도체(6)와 분리된 입출력 전극(7a, 7b)을 형성하여, 도 1에 나타낸 유전체 필터를 얻는다. 오목부(8)의 형성은 유전체 블록 성형 및 소성후에 절삭하여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오목부(8)의 깊이는 제 1단면(1a)을 평면 연마하였을 때, 오목부(8)내의 외부 도체(6)가 남는 깊이이면 되고, 또한 오목부(8)의 형상도 상기 실시 형태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2개의 오목부(8)의 형상은 동일할 필요도 없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공진기 구멍을 스텝 구멍으로 하고, 외부 결합 구멍을 스트레이트 구멍으로 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공진기 구멍을 스트레이트 구멍으로 해도 되고, 또한 외부 결합 구멍을 스텝 구멍으로 해도 되고, 스텝 구멍 및 스트레이트 구멍을 각각 혼재시켜서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2단 구성의 유전체 필터로 설명하였으나, 유전체 블록에 3개 이상의 공진기 구멍을 형성한 3단 이상의 공진기로 이루어지는 유전체 필터이어도 된다. 이 경우, 외부 결합 구멍은 입출력단의 공진기 구멍에 서로 이웃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유전체 필터에서는, 제 1단면(1a)의 외부 결합 구멍(3a, 3b)의 개구부 영역에는 오목부(8)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 1단면(1a)을 평면적으로 균일하게 연마한다고 하는 간단한 작업으로, 외부 결합 구멍(3a, 3b)의 개구부가 되는 오목부(8)의 외부 도체(6)를 남기고, 또한 공진기 구멍(2a, 2b)의 개구면 전면의 외부 도체를 삭제할 수가 있다. 즉 저가로 공진기 구멍(2a, 2b)의 개방면을 형성할 수가 있으며, 또한 제 1단면(1a)의 외부 도체(6)의 형성 영역과 비형성 영역의 칫수 정밀도는 높은 것이 되며, 외부 도체(6)형성의 편차에 기인하는 필터 특성의 편차는 대폭으로 저감된 것이 된다.
게다가, 오목부(8)의 형상 및 깊이를 변화시켜서, 외부 결합 구멍(3a, 3b)의 길이(축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외부 결합의 크기를 조정 및 설정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2실시 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구성을 도 3에 나타낸다. 제 1실시 형태의 예에서는, 제 1단면의 오목부에 외부 결합 구멍만을 형성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부 결합 구멍(3a, 3b)에 더하여, 오목부(8)와 제 2단면(1b)을 관통하여, 내주면에 내부 도체(5)가 형성된 외부 결합 조정 구멍(4a, 4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외부 결합 조정 구멍(4a, 4b)의 내부 도체(5)는 양 단면(1a, 1b)에서 외부 도체(6)에 접속(도통)되어 있다.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제 1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외부 결합 조정구멍(4a, 4b)은 외부 결합을 조정하기(외부 결합을 약화시키기) 위하여 형성되며, 외부 결합 구멍(4a, 4b)의 형성 위치 및 형상을 변화시킴으로써 더욱 다양한 외부 결합을 얻을 수가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도, 제 1단면(1a)을 평면적으로 연마하는 것만으로, 오목부(8)의 외부 도체(6)를 남기어, 공진기 구멍(2a, 2b)의 개방면을 정밀도 좋고 용이하게 형성할 수가 있다. 또한 오목부(8)의 형상 및 깊이를 변화시킴으로써, 외부 결합의 조정 및 설정도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 3실시 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구성을 도 4에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부(8)는 한쪽 측면측에서 깊고, 다른쪽 측면측에서 얕아지도록 단차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부 결합 조정 구멍(3a, 3b)은 오목부의 깊은 부분에 형성되며, 외부 결합 조정 구멍(4a, 4b)은 얕은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즉 외부 결합 구멍(3a, 3b)과 외부 결합 조정 구멍(4a, 4b)의 개구부가 축길이 방향에서 다른 위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외부 결합 구멍과 외부 결합 조정 구멍의 축길이를 다르게 함으로써, 상기 제 2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효과에 더하여, 게다가 외부 결합의 조정 및 설정의 자유도가 높아지며, 더욱 다양한 외부 결합을 얻을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 4실시 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구성을 도 5에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부(8)는 공진기 구멍(2a, 2b)측에서 얕고, 측면측에서 깊어지도록 단차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부 결합 조정 구멍(3a, 3b)은 오목부의 깊은 부분에 형성되며, 외부 결합 조정 구멍(4a, 4b)은 얕은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도 제 3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5실시 형태에 따른 유전체 듀플렉서(안테나 공용기)의 구성을 도 6에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유전체 듀플렉서는 대략 직방체 형상의 유전체 블록(1)을 구비하며, 송신측이 공진기 구멍(2b, 2c)에 대응하는 2단의 공진기로 형성되는 밴드 패스 필터와, 공진기 구멍(2a)에 대응하는 트랩 공진기로 구성되며, 수신측이 공진기 구멍(2d∼2f)에 대응하는 3단의 공진기로 형성되는 밴드 패스 필터와, 공진기 구멍(2g)에 대응하는 트랩 공진기로 구성되어 있다. 유전체 블록(1)의 제 1단면(1a)에는 공진기 구멍(2a, 2b)사이, 공진기 구멍(2c, 2d)사이 및 공진기 구멍(2f, 2g)사이에는 각각 오목부(8)가 형성되며, 각 오목부(8)의 영역에 외부 결합 구멍(3a, 3b, 3c) 및 외부 결합 조정 구멍(4a, 4b, 4c)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부(8)는 대향하는 측면을 걸쳐서 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구멍(2a∼2g, 3a, 3b, 3c, 4a, 4b, 4c)의 내주면에는 내부 도체(5)가 형성되어 있다. 제 1단면(1a)의 각 공진기 구멍(2a∼2g)의 개구면을 제외하는 유전체 블록(1)의 외면의 거의 전면에 외부 도체(6)가 형성되어 있다. 제 2단면(1b) 및 측면을 걸쳐서 외부 결합 구멍(3a, 3b, 3c)의 내부 도체(5)에 접속되며 또한 외부 도체(6)와 분리된 입출력 전극(7a, 7b, 7c)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입출력 전극(7a)은 송신측 필터의 송신 단자, 입출력 전극(7c)은 수신측 필터의 수신 단자로서, 입출력 전극(7b)은 송신 및 수신 필터의 입출력을 공용하는 안테나 단자로서 기능한다. 외부 결합 구멍(3a)은 서로 이웃하는 공진기 구멍(2a,2b)과, 외부 결합 구멍(3b)은 서로 이웃하는 공진기 구멍(2c, 2d)과, 외부 결합 구멍(3c)은 서로 이웃하는 공진기 구멍(2f, 2g)과 각각 인터디지탈 결합하고, 이 결합에 의하여 외부 결합을 얻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외부 결합 조정 구멍(3a∼3c)은 외부 결합을 조정하는 기능에 더하여, 이것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웃하는 공진기 구멍간의 결합을 차단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도, 제 1단면(1a)에는 오목부(8)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1실시 형태 및 제 2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가 있다.
제 1∼제 4실시 형태의 유전체 필터에 있어서도,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외부 결합 구멍을 사이에 두고 트랩 공진기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6실시 형태에 따른 유전체 듀플렉서의 구성을 도 7에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유전체 듀플렉서는 대략 직방체 형상의 유전체 블록(1)을 구비하며, 송신측이 공진기 구멍(2a, 2b, 2c)에 대응하는 3단의 공진기로 형성되는 밴드 패스 필터로 구성되며, 수신측이 공진기 구멍(2d∼2f)에 대응하는 3단의 공진기로 형성되는 밴드 패스 필터로 구성되어 있다. 유전체 블록(1)의 제 1단면(1a)의 공진기 구멍(2c, 2d)사이에는 오목부(8)가 형성되고, 오목부(8)의 영역에 외부 결합 구멍(3b) 및 외부 결합 조정 구멍(4b)이 형성되어 있다. 각 구멍(2a∼2f, 3b, 4b)의 내주면에는 내부 도체(5)가 형성되어 있다. 제 1단면(1a)의 각 공진기 구멍(2a∼2f)의 개구면을 제외하는 유전체 블록(1)의 외면의 거의 전면에 외부 도체(6)가 형성되어 있다.
안테나 단자가 되는 입출력 전극(7b)은 제 2단면(1b) 및 측면을 걸쳐서 형성되며, 송신 단자가 되는 입출력 전극(7a) 및 수신 단자가 되는 입출력 전극(7c)은 제 1단면(1a)측의 근방에서 인접하는 측면을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입출력 전극(7a, 7c)은 공진기 구멍(2a, 2f)과 각각 용량 결합하고, 이들 용량으로 외부 결합을 얻고 있다. 외부 결합 구멍(3b)은 서로 이웃하는 공진기 구멍(2c, 2d)과 인터디지탈 결합하고, 이 결합에 의하여 외부 결합을 얻고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입출력부 중에서, 1개의 입출력부에 외부 결합 구멍에 의한 외부 결합 수단을 적용한 것이어도 되고, 이 경우, 제 1단면에는 하나의 오목부를 형성하면 된다.
이 구성에 있어서도, 제 1단면(1a)에는 오목부(8)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1실시 형태 및 제 2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가 있다.
제 5, 제 6실시 형태의 구성에 있어서도, 오목부를 제 3, 제 4실시 형태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차부를 갖도록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외부 결합 조정 구멍은 반드시 형성할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더욱 큰 외부 결합을 얻기 위하여 외부 결합 구멍과 입출력단의 공진기 구멍의 결합을 인터디지탈 결합으로 하고 있으나, 입출력 전극을 제 1단면의 오목부에 형성하여 컴 라인 결합으로 외부 결합을 얻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각 공진기 구멍의 개방면을 모두 제 1단면으로 하여, 각각 서로 이웃하는 공진기 사이를 컴 라인 결합으로 한 것으로 설명하였는데, 이어서 서로 이웃하는 공진기간의 결합을 인터디지탈 결합으로 한 유전체 필터 또는 유전체 듀플렉서의 구성을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제 7실시 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구성을 도 8에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유전체 필터는, 제 1단면(1a)의 외부 결합 구멍(3a, 3b)의 형성 영역 및 공진기 구멍(2b)의 단락단 영역에, 또한 제 2단면(1b)의 외부 결합 구멍(3a, 3b)의 형성 영역 및 공진기 구멍(2a)의 단락단 영역에 오목부(8)가 형성되어 있다. 제 1단면(1a)의 공진기 구멍(2a)의 개구면 및 제 2단면(1b)의 공진기 구멍(2b)의 개구면은 외부 도체의 비형성부가 되며, 이들 면이 공진기 구멍(2a, 2b)의 개방면으로 되어 있다. 즉, 제 1단면(1a)에 있어서 공진기 구멍(2a)의 개방면이, 또한 제 2단면에 있어서 공진기 구멍(2b)의 개방면이 다른 부분보다도 돌출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각 공진기 구멍(2a, 2b)은 인터디지탈 결합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8실시 형태에 따른 유전체 듀플렉서의 구성을 도 9에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유전체 듀플렉서는 수신측 필터를 구성하는 하나의 공진기 구멍(2e)의 개방면을 제 2단면(1b)으로 한 것이다. 제 1단면(1a)의 외부 결합 구멍(3a∼3c), 외부 결합 조정 구멍(4a∼4c)의 형성 영역 및 공진기 구멍(2e)의 단락단 영역에, 또한 제 2단면(1b)의 공진기 구멍(2e)의 개방단 영역을 제외하는 부분에 오목부(8)가 형성되어 있다. 제 1단면(1a)의 공진기 구멍(2a∼2d, 2f, 2g)의 개구면 및 제 2단면(1b)의 공진기 구멍(2e)의 개구면은 외부 도체의 비형성부로 되고, 이들 면이 각 공진기 구멍의 개방면으로 되어 있다. 즉 제 1단면(1a)에 있어서 공진기 구멍(2a∼2d, 2f, 2g)의 개방면이, 또한 제 2단면에 있어서 공진기 구멍(2e)의 개방면이 다른 부분보다도 돌출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도 6에 나타낸 것과 거의 동일한 구성이다. 송신측 필터의 공진기 구멍(2b, 2c)은컴 라인 결합하고, 수신측 필터의 공진기 구멍(2d, 2e, 2f)은 인터디지탈 결합하고 있다.
상기 제 7실시 형태 또는 제 8실시 형태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공진기 구멍의 개방면이 서로 반대의 단면이 되는 구성에 있어서도, 제 1단면, 제 2단면을 연마함으로써, 각 공진기 구멍의 개방면을 용이하고 정밀도 좋게 형성할 수가 있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각 구멍의 단면 형상은 원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형 및 다른 다각 형상이어도 되고, 이들 형상의 각 구멍을 혼재하도록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각 구멍은 직경이 축길이에 걸쳐서 대략 동일한 스트레이트 구멍이어도 되고, 직경이 큰 부분과 직경이 작은 부분을 갖는 스텝 구멍이어도 되며, 스텝 구멍의 경우, 스텝 위치는 각각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9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기 장치의 구성을 도 10에 나타낸다. 도 10에 있어서, 122는 안테나, 123은 유전체 듀플렉서, 124는 송신 필터, 125는 수신 필터, 126은 송신 회로, 127은 수신 회로이다. 유전체 듀플렉서(123)의 안테나 단자(ANT)는 안테나(122)에 접속되고, 송신 단자(Tx)는 송신 회로(126)에 접속되고, 수신 단자(Rx)는 수신 회로(127)에 접속되어 통신기 장치가 구성된다.
송신 필터(124) 또는 수신 필터(125)로서, 제 1∼제 4, 제 7실시 형태의 유전체 필터를 사용할 수가 있으며, 또한 유전체 듀플렉서(123)로서, 제 5, 제 6, 제 8실시 형태의 유전체 듀플렉서를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필터 또는 유전체 듀플렉서를 사용함으로써, 저가이고 특성이 양호한 통신기 장치를 실현할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필터 또는 유전체 듀플렉서는, 유전체 블록의 제 1단면 또는 제 2단면의 외부 결합 구멍 또는 외부 결합 조정 구멍의 형성 영역 및 각 공진기 구멍의 단락단 영역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1단면 또는 제 2단면의 공진기 구멍의 개구면을 연마한다고 하는 간단한 작업으로, 오목부내의 외부 도체를 남기고, 제 1단면 또는 제 2단면의 공진기 구멍의 개구면 전면의 외부 도체를 삭제할 수가 있으며, 제 1단면 또는 제 2단면에 칫수 정밀도가 높은 공진기 구멍의 개방면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가 있다. 따라서, 제 1단면 또는 제 2단면에 있어서의 공진기 구멍의 개방면의 형성 작업 공정수는 대폭 삭감되며, 제조 원가를 저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양호한 특성을 얻을 수가 있다.
게다가, 오목부의 형상 및 깊이를 변화시킴으로써, 외부 결합의 크기의 조정 및 설정의 자유도를 더욱 증가시킬 수가 있으며, 소망의 특성을 용이하게 얻을 수가 있다.
또한, 외부 결합 구멍의 내부 도체에 접속하여 입출력 전극을 형성하여, 용이하게 표면 실장형으로 할 수가 있다. 외부 결합 구멍과 입출력단의 공진기 구멍의 결합을 인터디지탈 결합으로 함으로써, 더욱 큰 외부 결합을 얻을 수가 있으며, 외부 결합의 조정 및 설정의 범위를 크게 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필터 또는 유전체 듀플렉서를 실장함으로써, 저가이고 특성이 양호한 통신기 장치를 얻을 수가 있다.

Claims (8)

  1. 제 1단면과 제 2단면 사이에 연속하는 측면을 갖는 유전체 블록의 내부에 양 단면 사이를 관통하는 복수의 공진기 구멍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결합 구멍을 형성하고, 각 공진기 구멍 및 외부 결합 구멍의 내주면에 내부 도체를 형성하고, 유전체 블록의 외면에 외부 도체를 형성한 유전체 필터로서,
    제 1단면 또는 제 2단면의 외부 결합 구멍의 형성 영역 및 각 공진기 구멍의 단락단 영역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제 1단면 또는 제 2단면의 오목부를 제외하는 부분의 외부 도체를 삭제하여, 제 1단면 또는 제 2단면에 각 공진기 구멍의 개방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
  2. 제 1단면과 제 2단면 사이에 연속하는 측면을 갖는 유전체 블록의 내부에 양 단면 사이를 관통하는 복수의 공진기 구멍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결합 구멍을 형성하고, 각 공진기 구멍 및 외부 결합 구멍의 내주면에 내부 도체를 형성하고, 유전체 블록의 외면에 외부 도체를 형성한 유전체 필터로서,
    제 1단면의 외부 결합 구멍의 형성 영역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제 1단면의 오목부를 제외하는 부분의 외부 도체를 삭제하여, 제 1단면에 각 공진기 구멍의 개방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제 1단면의 외부 결합 구멍 형성 영역의 오목부와 제 2단면 사이를 관통하여, 내주면에 내부 도체가 형성된 외부 결합 조정 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내의 외부 결합 구멍의 개구부와 외부 결합 조정 구멍의 개구부를 각 구멍의 축길이 방향에 있어서 다른 위치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
  5. 제 1항, 제 2항 및 제 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단면, 또는 제 2단면 및 측면을 걸쳐서, 외부 결합 구멍의 내부 도체와 도통하고 외부 도체와 분리되는 입출력 전극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
  6. 제 3항에 있어서, 제 2단면, 또는 제 2단면 및 측면을 걸쳐서, 외부 결합 구멍의 내부 도체와 도통하고 외부 도체와 분리되는 입출력 전극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
  7. 유전체 블록에 적어도 2개 이상의 필터부가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필터부가 제 1항, 제 2항, 제 3항, 제 4항, 제 5항 및 제 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전체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듀플렉서.
  8. 제 1항, 제 2항, 제 3항, 제 4항, 제 5항 및 제 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전체 필터, 또는 제 7항에 기재된 유전체 듀플렉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 장치.
KR1019990046794A 1998-10-29 1999-10-27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기 장치 KR1003194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849298 1998-10-29
JP10-308492 1998-10-29
JP11-268482 1999-09-22
JP26848299A JP3534008B2 (ja) 1998-10-29 1999-09-22 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ュプレクサ及び通信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9345A KR20000029345A (ko) 2000-05-25
KR100319474B1 true KR100319474B1 (ko) 2002-01-09

Family

ID=26548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6794A KR100319474B1 (ko) 1998-10-29 1999-10-27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549095B2 (ko)
EP (2) EP1947731A1 (ko)
JP (1) JP3534008B2 (ko)
KR (1) KR100319474B1 (ko)
CN (1) CN1135648C (ko)
DE (1) DE69939517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5513B2 (ja) 2000-01-19 2004-01-1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DE10042229A1 (de) * 2000-08-28 2002-03-28 Epcos Ag Elektrisches Bauelement,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dessen Verwendung
JP3788368B2 (ja) * 2001-04-10 2006-06-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US6801106B2 (en) * 2002-03-29 2004-10-05 Ngk Spark Plug Co., Ltd. Dielectric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 of adjusting input/output coupling thereof
WO2007059434A2 (en) * 2005-11-21 2007-05-24 Thermal Wave Molding Corporation Radiant pre-heating of mold surfaces
US7619496B2 (en) * 2006-10-27 2009-11-17 Cts Corporation Monoblock RF resonator/filter having a conductive transmission line connecting regions of conductive material
US8358182B2 (en) * 2009-02-05 2013-01-22 Ecole De Technologie Superieure Duplexer for integration in communication terminals
US8823470B2 (en) * 2010-05-17 2014-09-02 Cts Corporation Dielectric waveguide filter with structure and method for adjusting bandwidth
US9030278B2 (en) 2011-05-09 2015-05-12 Cts Corporation Tuned dielectric waveguide filter and method of tuning the same
US9130255B2 (en) 2011-05-09 2015-09-08 Cts Corporation Dielectric waveguide filter with direct coupling and alternative cross-coupling
US9130256B2 (en) 2011-05-09 2015-09-08 Cts Corporation Dielectric waveguide filter with direct coupling and alternative cross-coupling
US9030279B2 (en) 2011-05-09 2015-05-12 Cts Corporation Dielectric waveguide filter with direct coupling and alternative cross-coupling
US9583805B2 (en) 2011-12-03 2017-02-28 Cts Corporation RF filter assembly with mounting pins
US10116028B2 (en) 2011-12-03 2018-10-30 Cts Corporation RF dielectric waveguide duplexer filter module
US9130258B2 (en) 2013-09-23 2015-09-08 Cts Corporation Dielectric waveguide filter with direct coupling and alternative cross-coupling
US9466864B2 (en) 2014-04-10 2016-10-11 Cts Corporation RF duplexer filter module with waveguide filter assembly
US10050321B2 (en) 2011-12-03 2018-08-14 Cts Corporation Dielectric waveguide filter with direct coupling and alternative cross-coupling
US9666921B2 (en) 2011-12-03 2017-05-30 Cts Corporation Dielectric waveguide filter with cross-coupling RF signal transmission structure
US11081769B2 (en) 2015-04-09 2021-08-03 Cts Corporation RF dielectric waveguide duplexer filter module
US10483608B2 (en) 2015-04-09 2019-11-19 Cts Corporation RF dielectric waveguide duplexer filter module
CN108365308B (zh) * 2018-02-05 2020-04-21 重庆思睿创瓷电科技有限公司 介质波导滤波器及其贴装方法
CN112840508B (zh) * 2018-12-26 2022-01-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介质滤波器、双工器及通信设备
US11437691B2 (en) 2019-06-26 2022-09-06 Cts Corporation Dielectric waveguide filter with trap resonator
CN110459847B (zh) * 2019-08-02 2021-04-20 成都理工大学 基于多通孔的电磁耦合交指带通滤波器及设计方法
CN112563693A (zh) 2019-09-25 2021-03-26 深圳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介质滤波器
CN114927845B (zh) * 2022-06-13 2024-03-22 深圳大学 一种单腔多模介质腔体带通滤波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5408A (ja) * 1988-08-20 1990-02-23 Toko Inc 誘電体フィルタの製造方法
JPH03284002A (ja) * 1990-03-30 1991-12-13 Kyocera Corp 誘電体フィルタ
US5216394A (en) * 1991-07-19 1993-06-01 Uniden Corporation Dielectric multi-line resonator including a coupling conductor line mainly inductively coupled to a resonator conductor line
JPH0865012A (ja) * 1994-06-16 1996-03-08 Murata Mfg Co Ltd 誘電体フィルタ
JPH10145109A (ja) * 1996-11-11 1998-05-29 Fuji Elelctrochem Co Ltd 誘電体フィル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3904A (ja) * 1985-08-22 1987-02-25 Murata Mfg Co Ltd 誘電体共振器
CA2037262A1 (en) * 1990-03-02 1991-09-03 Hiroyuki Sogo Dielectric resonator and a filter using same
US5130683A (en) * 1991-04-01 1992-07-14 Motorola, Inc. Half wave resonator dielectric filter construction having self-shielding top and bottom surfaces
JP3319121B2 (ja) * 1994-02-22 2002-08-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フィルタ
KR0147726B1 (ko) * 1994-06-16 1998-08-17 무라따 야스따까 유전체 필터
JPH09219605A (ja) * 1996-02-09 1997-08-19 Ngk Spark Plug Co Ltd 誘電体フィルタ及びその共振周波数調整方法
JPH1022710A (ja) * 1996-07-03 1998-01-23 Ngk Spark Plug Co Ltd 誘電体フィルタの電極形成方法
JP3175602B2 (ja) * 1996-09-19 2001-06-1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フィルタ、送受共用器およびマルチプレクサ
JP3327196B2 (ja) * 1997-12-25 2002-09-2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フィルタ及び誘電体デュプレクサ
JP2000138502A (ja) * 1998-10-29 2000-05-16 Murata Mfg Co Ltd 誘電体フィルタ、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5408A (ja) * 1988-08-20 1990-02-23 Toko Inc 誘電体フィルタの製造方法
JPH03284002A (ja) * 1990-03-30 1991-12-13 Kyocera Corp 誘電体フィルタ
US5216394A (en) * 1991-07-19 1993-06-01 Uniden Corporation Dielectric multi-line resonator including a coupling conductor line mainly inductively coupled to a resonator conductor line
JPH0865012A (ja) * 1994-06-16 1996-03-08 Murata Mfg Co Ltd 誘電体フィルタ
JPH10145109A (ja) * 1996-11-11 1998-05-29 Fuji Elelctrochem Co Ltd 誘電体フィル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939517D1 (de) 2008-10-23
EP0997964A3 (en) 2001-09-05
CN1135648C (zh) 2004-01-21
EP0997964B1 (en) 2008-09-10
US20020030558A1 (en) 2002-03-14
JP2000201002A (ja) 2000-07-18
EP0997964A2 (en) 2000-05-03
CN1253392A (zh) 2000-05-17
US6549095B2 (en) 2003-04-15
JP3534008B2 (ja) 2004-06-07
EP1947731A1 (en) 2008-07-23
KR20000029345A (ko) 2000-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9474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기 장치
JP3610751B2 (ja) 誘電体フィルタ及び誘電体デュプレクサ
US6351198B1 (en) Dielectric filter,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5731746A (en) Multi-frequency ceramic block filter with resonators in different planes
KR100401969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US6498542B1 (en) Dielectric resonant device, dielectric filter, dielectric duplexer, communic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forming input-output electrode of the dielectric resonant device
KR20020067668A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EP1030400B1 (en) A dielectric filter, a dielectric duplexer, and a communication apparatus
JP2000091810A (ja) 誘電体フィルタ、複合誘電体フィルタ、アンテナ共用器および通信装置
JP2001111304A (ja) 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ィ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KR101681899B1 (ko) 유전체 필터
EP1294042B1 (en) Dielectric filter, dielectric duplexer, and communication device
KR100268527B1 (ko) 유전체필터및그의제조방법
KR100456039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US6480701B1 (en) Composite filter,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6949987B2 (en) Dielectric electronic component with attenuation adjustment electrode and method of adjusting attenuation characteristics of the same
KR101670893B1 (ko) 유전체 필터
US6642817B2 (en) Dielectric filter, dielectric duplexer, and communication device
KR100213386B1 (ko) 일체형 유전체필터
JPH066106A (ja) 誘電体フィルタ及び誘電体分波器
JP2001298308A (ja) 誘電体共振器装置、通信装置および誘電体共振器装置の製造方法
JPH11308010A (ja) 誘電体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